캅카스 알바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캅카스 알바니아는 기원전 2세기 또는 1세기에 캅카스 동부에 등장한 고대 국가이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대부분의 영토와 다게스탄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을 차지했으며, 아르메니아의 강력한 영향 아래 있었다. 이름은 파르티아어, 중세 페르시아어, 아랍어, 고대 그리스어 등으로 불렸으며, 아르메니아어로는 '아그 후안크'로 불리기도 했다. 캅카스 알바니아는 기원전 6세기 메디아 제국에 통합된 이후 아케메네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사산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4세기에는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7세기 중반 이슬람의 페르시아 정복으로 멸망했으며, 주민들은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우디인 등으로 동화되었다. 캅카스 알바니아어는 고유의 문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슬람 시대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지리사 - 아트로파테네
아트로파테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메디아 북부에 건국되어 파르티아의 봉신국으로 존속하다가 사산 왕조에 정복된 고대 왕국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지리사 - 아르메니아주
아르메니아주는 1828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이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예레반 칸국과 나흐치반 칸국 영토에 설치되었으며, 코카서스 지역의 무슬림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기독교인들을 통해 통치하려 했으나, 1840년 조지아-이메레티아 지방에 병합되었다. - 캅카스 알바니아 - 호스로 2세
호스로 2세는 호르미즈드 4세의 아들이자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샤로서, 바흐람 초빈의 반란으로 왕위를 잃었으나 비잔틴 제국의 도움으로 복위하여 제국을 확장하고 예술과 음악을 장려하며 전성기를 이끌었지만, 말년에는 잦은 전쟁과 내부 갈등으로 몰락했다. - 캅카스 알바니아 - 헤레티
헤레티는 아제르바이잔 북서부에 위치했던 역사적 지역이자 왕국으로, 헤르족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캅카스 이베리아에 합병, 독립 공국으로 부상, 카케티 왕국에 합병, 조지아 왕국의 공작령을 거쳐 통일 조지아 왕국 분열 후 카케티 왕국의 지배를 받으며 잊혀졌다. - 캅카스 - 북캅카스
북캅카스는 대캅카스산맥 북쪽 사면과 캅카스산맥 북쪽 스텝 지대를 포함하는 지리적 명칭으로, 아조프해, 흑해, 카스피해에 접하며 비옥한 흑토 지대에서 농경과 목축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언어와 종교를 가진 민족들이 거주하며 러시아에서는 높은 생명 기대 수명을 보이는 지역이다. - 캅카스 - 남캅카스
남캅카스는 코카서스 산맥 남쪽에 위치하며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자원이 풍부하며 정치적 긴장이 높은 곳이다.
캅카스 알바니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통칭 | 카프카스 알바니아 |
원어 명칭 | Lang|grc|Ἀλβανία(알바니아) Lang|la|Albānia(알바니아) |
기타 명칭 | Lang|hy|Աղուանք(아후앙크) Lang|pal|آران(아란) |
존속 기간 | 기원전 2세기 ~ 8세기 |
지위 | 초기 국가는 불명, 이후 사산 제국과 라시둔 칼리파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아바스 칼리파국의 속국 왕국 및 지방 |
수도 | 카발라크(카발라) 파르타우(바르다) |
주요 언어 | 카프카스 알바니아어 파르티아어 중세 페르시아어 아르메니아어 |
종교 | 이교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
역사 | |
성립 | 기원전 2세기 |
멸망 | 8세기, 칼리파국에 합병 |
현재 국가 |
2. 이름
파르티아어로는 캅카스 알바니아를 Ardhan(아르드한)이라고 불렀으며, (중세 페르시아어로는 آران(아르란))이라고 불렀다.[153] 아랍어로는 ''아르-란''이라고 불렀다.[153][154] 그러나 토착민들의 언어에서는 이 나라를 알바니아라고 칭하지는 않았다.[152]
고대 캅카스 알바니아는 대 캅카스 산맥의 남동쪽에 위치했다. 서쪽으로는 캅카스 이베리아(오늘날의 조지아)와 경계를 접했고, 북쪽으로는 사르마티아, 동쪽으로는 카스피해, 그리고 서쪽으로는 쿠라강을 따라 아르차흐 및 우티크 지방과 경계를 이루었다.[17] 그러나 이 경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었으며, 때때로 캅카스 알바니아의 영토는 쿠라 강 서쪽의 땅을 포함하기도 했다.[18]
이슬람 이전 시대에 캅카스 알바니아/아란은 이슬람 이후 아란보다 더 넓은 개념이었다. 고대 아란은 동부 트란스카우카시아 전체를 포괄했는데, 여기에는 오늘날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영토의 대부분과 다게스탄 공화국의 일부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이후 시대에 아란의 지리적 개념은 쿠라강과 아라스강 사이의 영토로 축소되었다.[3]
'''아그 후안크'''(고전 아르메니아어: Աղուանք(알루안크), 아르메니아어: Աղվանք(아그반크))는 캅카스 알바니아의 아르메니아어 이름이다. 아르메니아 작가들은 그 이름이 [http://en.wiktionary.org/wiki/amiable 우호적인]이라는 뜻을 지닌 아르메니아어 "아그 후"(≪Աղու≫)에서 유래되었다고 언급한다. ''아그 후안크''는 여러 의미를 가지며, 아르메니아의 지역으로 쿠어 강과 아락세스 강 사이의 지역을 뜻하기도 한다.[155] 이 경우, 때로는 ''아르메니안 아그 후안크'' 또는 ''하이-아그 후안크''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156][157][158]
이 지역의 아르메니아 역사가인 모브세스 카간카트바치는 캅카스 알바니아의 첫 번째 통치자인 ''아르란'' 또는 ''아르한''의 애칭이 아란의 인자한 성품을 뜻하는 ''아그 후''(아르메니아어로 상냥한, 순한, 다정한)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159] 칼란카튀크의 모세스와 다른 고대 자료들은 ''아르란'' 또는 ''아르한''을 캅카스 알바니아의 전설적인 창시자의 이름으로 설명하며, 몇몇 번역에서는 노아의 아들 자펫의 아들인 알란으로 알려진 이란 부족의 이름으로까지 설명한다.[160] 아베스타의 번역가 자메스 다르메스테르는 ''아르란''과 ''아이르야나 바에고''를 비교하는데,[162] 그는 아락세스-아라라트 지역[161]에 있다고 여겼지만, 현대 이론에서는 이란 동부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3. 지리
이슬람 시대의 알바니아 또는 아란은 동쪽은 저지대, 서쪽은 산악 지대인 쿠라 강과 아라스강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삼각형의 땅이었으며,[3][19] 밀 평원과 무간 평야의 일부를 포함하며, 이슬람 이전 시대에는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영토와 대략 일치했다.[3]
알바니아의 지역은 다음과 같았다:[49]캄비세네 게타루 엘니/크세니 베그 Шеки (историческая область)|셰키|한국어 발음표기ru 졸마즈 카팔라크 함바시 겔라부 헤제리 칼라다슈트
고대 왕국의 수도는 카발라(가발라, 카팔라크)였다.[20]
고전 자료에 따르면, 기원전 2세기에 아르메니아인들이 쿠라 강 우안의 영토를 정복한 후 쿠라강(키로스)이 아르메니아와 알바니아의 경계가 되었다.[49]
알바니아의 원래 영토는 약 23000km2였다.[21] 387년 이후 캅카스 알바니아의 영토는 때때로 학자들에 의해 "대 알바니아"라고 불렸으며,[49] 약 45000km2로 성장했다.[21] 5세기에 수도는 파르타브로 옮겨졌는데, 이곳은 우티크에 위치해 있으며 알바니아의 왕 바체 2세가 5세기 중반에 건설했다고 전해지지만,[22] M. L. 쇼몽에 따르면, 그 이전에는 아르메니아 도시였다고 한다.[23]
13세기에 익명의 저자가 쓴 중세 연대기 "''아자이이바드두니아''"에서 아란은 너비가 30 파르상(200 km), 길이가 40 파르상(270 km)이라고 한다. 쿠라 강 우안 전체가 아란에 속한다고 여겨졌으며 (쿠라 강 좌안은 시르반으로 알려짐), 아란의 경계는 역사를 통틀어 변화해 왔으며, 때로는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전체 영토를 포함하기도 하고, 때로는 남캅카스의 일부만을 포함하기도 했다.[24]
중세 이슬람 지리학자들은 아란과 그 도시들에 대한 설명을 남겼는데, 여기에는 바르다, 베일라간, 간자 등이 포함되었다.
4. 역사
고대 캅카스 알바니아는 대(大) 캅카스산맥의 남동부에 위치했다. 서쪽으로는 캅카스 이베리아 (오늘날의 조지아), 북쪽으로는 사르마티아, 동쪽으로는 카스피해, 그리고 서쪽으로는 쿠라 강을 따라 아르차흐와 우티크의 지방과 경계를 이루었다.[17] 그러나 이러한 경계는 결코 고정적이지 않았으며, 때로는 캅카스 알바니아의 영토가 쿠라 강 서쪽의 땅을 포함하기도 했다.[18]
캅카스 알바니아의 역사는 기원전 6세기 이전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어떤 가설에 따르면, 캅카스 알바니아는 기원전 7세기 또는 6세기 초에 메디아 제국에 통합되었다.[23]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페르시아의 영향력 증가는 침략하는 유목민으로부터 페르시아의 북쪽 국경을 방어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2][23]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초부터 캅카스 고개를 요새화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을 수 있다. 기원전 6세기 중반까지 알바니아는 아케메네스 제국에 통합되었고, 이후 미디아의 아케메네스 사트라피에 의해 통치되었다.[23][48]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에 수도를 카발라에 둔 국가로서 명확한 형성이 이루어졌고, 쟁기 농업, 방목, 여러 공예, 고부스탄 등 문화를 구축했다. 기원전 1세기경에는 쿠라 강에서의 전투에서 폼페이우스와 전투한 기록이 남아있다.
3세기부터 5세기경에 걸쳐 기독교가 국교가 됨과 동시에 봉건적인 국가가 형성되었다. 6세기에 사산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7세기 메르 왕조 시대에 독립을 회복했다. 8세기에 칼리파령이 되어 이슬람화가 진행됨과 함께 국가로서의 존재는 소멸되었다.
알바니아의 원래 영토는 약 23000km2였다.[21] 서기 387년 이후 캅카스 알바니아의 영토는 때때로 학자들에 의해 "대 알바니아"라고 불렸으며,[49] 약 45000km2로 성장했다.[21] 5세기에 수도는 파르타브로 옮겨졌다.
캅카스 알바니아인은 4세기에 기독교인이 된 후, 서부 인구는 서서히 현대 아르메니아인의 조상들과 동질화되었으며[209], 캅카스 알바니아의 동부는 이슬람화되었고 이란족[210]과 그 후에는 튀르크족(현대 아제르바이잔인)에 흡수되었다[152]. 그 집단에서 소수의 나머지 인구는 자주적으로 계속하여 실재하며, 우디인이라고 알려져 있다[211].
4. 1. 메디아와 아케메네스조 시대
캅카스 알바니아는 메디아 제국에 합병되었다고 추정된다.[171] 이 지역으로의 페르시아 침투는 이란 제국의 남부 국경 방어 필요성과 관련이 있었다.[168][171] 아마도 일찍이 아케메네스조 이래로 침입자들이 캅카스 통과를 막기 위한 몇몇 대책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르반드의 토대와 일련의 관문들은 전통적으로 사산 제국에 의해 만들어졌다.[168] 알바니아는 그 시대 후기에 아케메네조 제국에 합병되었고 메디아의 스트라피 통치하에 있었다.[171][170]
어떤 가설에 따르면, 캅카스 알바니아는 기원전 7세기 또는 6세기 초에 메디아 제국에 통합되었다.[23]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페르시아의 영향력 증가는 침략하는 유목민으로부터 페르시아의 북쪽 국경을 방어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2][23]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초부터 캅카스 고개를 요새화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을 수 있다. 기원전 6세기 중반까지 알바니아는 아케메네스 제국에 통합되었고, 이후 미디아의 아케메네스 사트라피에 의해 통치되었다.[23][48] 다르반드의 요새와 관문 건설은 전통적으로 사산 제국에 기인한다.[22]
4. 2.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 역사가 아리아노스는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캅카스 알바니아인들을 처음 언급하는데, 이때 알바니아인, 메디아인, 카두시인, 사카족은 아트로파테스의 지휘를 받았다.[23] 알바니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아르메니아의 티그라네스 2세 (기원전 95-56년) 제국의 속국으로 등장한다. 알바니아 왕국은 기원전 2세기 또는 1세기에 캅카스 동부에서 등장했으며,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과 함께 남캅카스의 세 민족 중 하나를 형성했다.[49][50] 알바니아는 강력한 아르메니아의 종교적,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22][51][52][53][54]
헤로도토스, 스트라보 및 기타 고전 작가들은 카스피인들을 반복적으로 언급하지만 그들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는 듯하다. 그들은 아마르디, 아나리아카에, 카두시, 알바니, 비티이와 같이 카스피해 남쪽 해안의 다른 거주민들과 함께 묶이며, 그들의 땅 (카스피아네)은 알바니아의 일부라고 한다.[55]
기원전 2세기에는 알바니아의 일부가 아르메니아 왕국에 정복되었는데, 아마도 메디아에서 정복되었을 것이다.[2] (이전에는 오론티드 아르메니아의 일부였을 가능성도 있다).
아르메니아 정복 이전 쿠라강 우안 영토의 원래 인구는 다양한 토착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고대 연대기에는 아르차흐와 우티크 지역을 포함하여 이 지역에 거주했던 여러 민족의 이름이 제공된다. 이들은 우디인, 미키인, 카스피인, 가르가리안, 사카세니안, 겔리안, 소디안, 루페니안, 발라스[악]아니안, 파르시안 및 파르라시안이었다.[2] 로버트 H. 휴센에 따르면, 이 부족들은 "분명히 아르메니아 출신이 아니"며 "페르시아와 메디아 통치 기간 동안 일부 이란 민족이 여기에 정착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원주민은 인도유럽인이 아니었다."[2] 그는 또한 쿠라강 우안의 여러 민족들이 "매우 아르메니아화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그 자체로' 아르메니아인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서기 387년에 쿠라강 우안이 캅카스 알바니아인에게 병합될 때까지 별개의 민족으로 계속 언급되었다.[2]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에 수도를 카발라에 둔 국가로서 명확한 형성이 이루어졌고, 쟁기 농업, 방목, 여러 공예, 고부스탄 등 문화를 구축했다. 기원전 1세기경에는 쿠라 강에서의 전투에서 폼페이우스와 전투한 기록이 남아있다.
4. 3. 로마 제국
알바니아는 고대 로마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56]
제12 군단 풀미나타를 언급하는 고부스탄, 바쿠의 보유크다시 산 근처에 있는 라틴어 암석 비문은 세계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알려진 라틴어 비문이다.[57] 알바니아에서 로마인들은 처음으로 카스피 해에 도달했다.[57]
로마 주화는 서기 3세기 말까지 캅카스 알바니아에서 통용되었다.[58] 기원전 2세기의 유적에서 발굴된 두 개의 데나리우스는 클로디우스와 카이사르에 의해 주조되었다.[58] 아우구스투스의 주화는 널리 퍼져 있었다.[58] 가발라 보물은 오토, 베스파시아누스,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의 데나리우스를 드러냈다.
기원전 69-68년에 루쿨루스는 아르메니아 통치자 티그라네스 2세를 물리치고 캅카스 알바니아의 국경에 접근했으며, 그의 뒤를 폼페이우스가 이었다.[59]
기원전 66-65년 겨울을 보낸 후 폼페이우스는 이베리아 원정을 시작했다. 이는 이에 참여한 미틸레네의 테오파네스의 기록에 따라 스트라보에 의해 보고되었다.[60] 카밀라 트레버의 증언에 따르면, 폼페이우스는 오늘날 아제르바이잔의 가자흐 구역에 있는 알바니아 국경에 도달했다. 이그라르 알리예프는 이 지역을 캄비세네라고 불렀으며, 당시 주로 가축 사육자들이 거주했다고 밝혔다. 알라잔 강을 건너던 중 그는 알바니아의 왕 오로에제스의 군대의 공격을 받았고 결국 그들을 격파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알바니아인들은 "코시스라는 왕의 형제에게 이끌렸는데, 그는 전투가 시작되자 폼페이우스에게 달려들어 가슴 보호대에 창을 꽂았다. 그러나 폼페이우스는 그의 몸을 관통하여 그를 죽였다."[61] 플루타르코스는 또한 "전투 후 폼페이우스는 카스피 해로 진군하려 했으나, 겨우 사흘 길을 걸었을 때 수많은 치명적인 파충류에 의해 저지당했고, 소아르메니아로 물러났다"고 보고했다.[62] 알바니아의 첫 번째 왕들은 분명히 지역 부족 귀족의 대표자들이었는데, 이는 그들의 비 아르메니아어 및 비 이란어 이름(그리스어 자료의 오로에제스, 코시스 및 조버)에서 증명된다.[63]
로마 시대의 캅카스 알바니아 인구는 북동 코카서스 민족[3] 또는 남 코카서스 민족에 속했던 것으로 여겨진다.[64] 스트라보에 따르면 알바니아인들은 쿠라 강 북쪽에 살았던 26개의 부족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각 부족은 자체 왕과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2] 기원전 1세기 전에 그들은 하나의 국가로 연합하여 한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65]
스트라보는 기원전 1세기에 캅카스 알바니아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알바니아는 또한 디오니시우스 페리에게테스 (서기 2세기 또는 3세기)에 의해 언급되는데, 그는 알바니아인을 이베리아인과 조지아인 옆에 사는 전사 민족으로 묘사한다.[66]
1899년 아제르바이잔 마을 칼라가흐 근처에서 로마 토레우틱스가 특징인 은판이 발굴되었다. 보유크다시의 남동쪽 발치(바쿠에서 70 km) 근처의 암석 비문은 1948년 6월 2일 아제르바이잔 고고학자 이샤그 자파르자데에 의해 발견되었다. 전설은 IMPDOMITIANO CAESARE·AVG GERMANIC L·IVLIVS MAXIMVS> LEG XII·FVL이다. 도미티아누스의 칭호에 따르면, 관련 행진은 84년에서 96년 사이에 이루어졌다. 비문은 러시아 전문가 예브게니 파코모프에 의해 연구되었는데, 그는 관련 원정이 데르벤트 게이트를 통제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제12 군단 풀미나타는 영구 기지인 멜리테네 또는 그 이전부터 이동했을 수 있는 아르메니아에서 출발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67] 파코모프는 군단이 아라스 강을 따라 끊임없이 그 지점으로 진군했다고 추정했다. 1956년에 출판된 후기 버전은 당시 군단이 카파도키아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백부장은 동부 통치자들과의 회담을 위해 로마 사령관들이 일반적으로 백부장을 파견했기 때문에 외교 임무를 띠고 알바니아에 있었을 수 있다고 진술한다.[68]
1953년 아우구스투스의 데나리우스 12개가 발굴되었다.[58] 1958년에는 서기 82년경에 주조된 데나리우스 1개가 샤마히 보물에서 발견되었다.[58]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 (117-138) 치하에서 알바니아는 이란 유목 민족인 알란의 침략을 받았다.[69] 이 침략은 로마와 알바니아 사이의 동맹을 촉진했고, 이는 140년 안토니누스 피우스 치하에서 강화되었다. 사산 왕조는 서기 240년경 이 지역을 점령했지만 몇 년 후 로마 제국은 캅카스 알바니아의 통제권을 되찾았다.
297년에 니스비스 조약은 캅카스 이베리아와 알바니아에 대한 로마 보호령의 재건을 규정했다. 그러나 50년 후 로마는 그 지역을 잃었고, 그 이후로 사산 제국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4. 4. 파르티아 시대
파르티아의 지배하에 이 지역에서 이란의 정치와 문화적 영향력이 증가했다.[194] 로마의 산발적인 종주권에도 불구하고, 이 나라는 이베리아(동조지아) 및 (캅카스) 알바니아와 함께 범 아르사케스 가문 연맹의 일부가 되었다.[194] 문화적으로, 아르탁시아드 왕조 시대와 마찬가지로 헬레니즘이 우세했지만, 이제 "이란주의"가 우세하게 되었고, 징후적으로는 이전의 그리스어가 아닌 파르티아어가 교육받은 사람들의 언어가 되었다.[194] 이 시대에 알란족의 침략이 있었는데, 이들은 134년에서 136년 사이에 알바니아, 메디아, 아르메니아를 공격하여 카파도키아까지 침투했다. 그러나 볼로가세스는 그들에게 돈을 지불하여 철수하도록 설득했다.[194]
4. 5. 사산조 시대
252년~253년에 캅카스 알바니아는 캅카스 이베리아, 대 아르메니아와 함께 사산 제국에 정복되어 합병되었다. 알바니아는 사산 제국의 종속국이 되었지만,[195] 군주권은 유지했다. 알바니아의 왕은 실제 권력이 거의 없었고, 대부분의 내정, 종교, 군사 권한은 사산조 마즈반(군사 통치자)이 가지고 있었다.[196]
로마는 약 300년경 몇 년 동안 캅카스 알바니아를 종속국으로 통제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산조가 아랍의 침입 전까지 수 세기 동안 이 지역을 다시 지배했다.
알바니아는 나크시-에 루스탐에 있는 샤푸르 1세의 3개 국어 비문에 기록된 사산 제국의 속국 중 하나로 언급된다.[197][198]
4세기 중반, 알바니아 왕 우르냐르는 아르메니아에 도착하여 계몽자 그레고리우스에게 세례를 받았지만, 기독교는 알바니아에 서서히 퍼져나갔고, 알바니아 왕은 사산조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였다. 알바니아가 비잔티움과 페르시아로 분할(387년)된 후, 알바니아는 사산조의 도움으로 아르메니아로부터 아르차흐와 우티크를 포함하는 쿠라강에서 아락세스강까지의 모든 우측 제방을 확보할 수 있었다.[171]
사산 제국의 왕 야즈데게르드 2세는 제국 내 모든 기독교인들이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할 것을 요구하는 칙령을 통과시켰다. 이는 기독교인들이 당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로마 제국과 동맹을 맺을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아르메니아 귀족들 상당수가 알바니아의 산악 지방으로 피신했으며, 특히 아르차크는 사산조 페르시아에 저항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알바니아 왕국의 종교 중심지 역시 이곳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야즈데게르드 2세와 인척 관계였던 알바니아 왕 바체는 사산 제국의 공식 종교로 개종해야 했지만, 곧바로 기독교로 되돌아갔다.
5세기 중반, 페르시아 왕 페로즈 1세는 바체에게 우티크에 도시를 건설하도록 했다. 이 도시는 처음에는 페로자바드, 나중에는 파르타우, 그리고 베르데라고 불렸으며, 알바니아의 수도가 되었다.[199] 파르타우는 알바니아 왕과 페르시아 마즈반의 왕권 소재지였고, 알바니아의 총주교좌도 파르타우로 옮겨졌다.[171][200]
바체가 죽은 후, 알바니아는 30년 동안 왕이 없는 채로 방치되었다. 사산 제국의 발라시는 야즈데게르드의 아들이자 이전 왕 바체의 형제인 바차간을 알바니아의 왕으로 임명하여 군주국을 재건했다.
5세기 말, 파르티아 통치 왕조의 한 갈래인 알바니아의 아르사크 왕족 가문은 멸망했고, 6세기에 사산조 혈통을 주장하는 페르시아 또는 파르티아 미흐란조 가문의 왕자에 의해 대체되었다. 그들은 아란샤흐(알바니아의 페르시아식 이름, 아란의 샤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01] 이 통치 왕조는 페르시아의 창시자이자 사산조와 가까운 친척인 미흐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2] 미흐란 왕조는 821년~822년까지 무슬림 종주국 하에서 생존했다.[203]
6세기 후반 ~ 7세기 초반, 알바니아의 영토는 사산조 페르시아, 비잔티움, 하자르 카간국의 각축장이 되었는데, 후자의 두 세력은 자주 동맹을 맺었다. 628년 제3차 페르시아-튀르크 전쟁 기간 동안 하자르가 알바니아를 침입했고, 그들의 지도자 지에벨은 스스로를 알바니아의 군주로 선언하여 상인들과 쿠라강과 아락세스강의 어부들에게 세금을 부과했다. 이는 "페르시아 왕국 토지의 측량과 일치하는 지역"에 대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트랜스캅카스는 아랍이 도착하기 전까지 하자르의 통치하에 있었다.[168] 알바니아 왕들은 지역 권력자에게 공물을 바치며 통치를 유지했다.
4. 6. 기독교
3세기부터 5세기경에 걸쳐 기독교가 캅카스 알바니아의 국교로 지정됨과 동시에 봉건적인 국가가 형성되었다.[171] 6세기에 사산 왕조의 지배를 받았지만, 7세기 메르 왕조 시대에 독립을 회복했다.[171] 8세기에 칼리파령이 되면서 이슬람화가 진행되어 국가로서의 존재는 소멸되었다.[208]
4. 7. 이슬람 시대
캅카스 알바니아인이 4세기에 기독교인이 된 후, 서부 인구는 서서히 현대 아르메니아인의 조상들과 동질화되었으며[209], 캅카스 알바니아의 동부는 이슬람화되었고 이란족[210]과 그 후에는 투르크족(현대 아제르바이잔인)에 흡수되었다[152]. 그 집단에서 소수의 나머지 인구는 자주적으로 계속하여 실재하며, 우디인이라고 알려져 있다[211].
이슬람 이전 시대에 캅카스 알바니아/아란은 이슬람 이후 아란보다 더 넓은 개념이었다. 고대 아란은 동부 트란스카우카시아 전체를 포괄했는데, 여기에는 오늘날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영토의 대부분과 다게스탄 공화국의 일부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이후 시대에 아란의 지리적 개념은 쿠라강과 아라스강 사이의 영토로 축소되었다.[3]
이슬람 시대의 알바니아 또는 아란은 동쪽은 저지대, 서쪽은 산악 지대인 쿠라 강과 아라스 강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삼각형의 땅이었으며,[3][19] 밀 평원과 무간 평원의 일부를 포함하며, 이슬람 이전 시대에는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영토와 대략 일치했다.[3]
사산 왕조의 알바니아는 7세기 중반 페르시아의 이슬람 정복으로 멸망했고 라시둔 칼리파국에 편입되었다. 미흐라니드 왕조의 가장 저명한 통치자인 알바니아의 왕 자반시르는 사산 왕조 이란 편에서 칼리프 우스만의 아랍 침략에 맞서 싸웠다. 남쪽의 아랍 침략과 북쪽의 하자르 공세의 위협에 직면한 자반시르는 칼리프의 종주권을 인정해야 했다. 그 후 아랍인들은 아르메니아와 이 지역을 하나의 총독 아래 재결합시켰다.[23]
8세기 무렵 "알바니아"는 엄격한 지리적, 칭호적 교회적 의미로 축소되었으며,[119] 중세 아르메니아 역사가들이 그렇게 언급했다. 그 자리에 아르메니아 공국과 하친 공국 왕국을 비롯해 다양한 코카서스, 이란, 아랍 공국과 같은 여러 공국이 생겨났다. 샤다디드 공국, 쉬르반 공국, 데르벤트 공국 등이 있었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890년부터 929년까지 페르시아 사지드 왕조가 통치했다.
당시 초기 이슬람 통치 왕조에는 라와디드, 사지드, 살라리드, 샤다디드, 쉬르반샤와 셰키, 트빌리시 토후국이 있었다. 초기 중세 시대의 아란 주요 도시에는 바르다(파르타브)와 간자가 있었다. 바르다는 10세기에 두각을 나타냈고 주조창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르다는 10세기에 루스인과 노르드인에 의해 여러 번 약탈당했는데, 이는 루스의 카스피 원정의 결과였다. 바르다는 이러한 습격 이후 결코 부활하지 못했고 수도는 바일라칸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1221년에 몽골인에 의해 약탈당했다. 이후 간자가 부상하여 이 지역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샤다디드 왕조의 수도였던 간자는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아란의 모도시"로 여겨졌다.
아란 영토는 셀주크 투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그 다음에는 일데기즈 왕조가 되었다. 호라즘 제국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고, 그 후 13세기에 몽골 훌라구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초바니드, 잘라이르 왕조, 티무르 왕조, 사파비 왕조의 일부가 되었다.
7세기 메르 왕조 시대에 독립을 회복했지만, 8세기에 칼리파령이 되어 이슬람화가 진행됨과 함께 국가로서의 존재는 소멸되었다.
4. 8. 민족기원
캅카스 알바니아인은 4세기에 기독교인이 된 후, 서부 인구는 점차 현대 아르메니아인의 조상들과 동화되었다.[209] 캅카스 알바니아의 동부는 이슬람교화되어 이란족[210]과 이후 튀르크족(현대 아제르바이잔인)에게 흡수되었다.[152] 이들 중 소수 집단은 우디인으로 알려져 있다.[211]
캅카스 알바니아의 이슬람 이전 인구는 아제르바이잔인, 아르메니아인, 나그르노-카라바흐의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카케티아), 라크족, 레즈긴족, 다게스탄의 차쿠르 등 여러 현대 민족의 민족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212]
원래 캅카스 알바니아인의 일부는 현대 다게스탄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레즈기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8][25] 그러나 캅카스 알바니아에서는 26개나 되는 다른 언어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6]
4세기에 캅카스 알바니아인이 기독교화된 후, 인구 일부는 아르메니아인과 조지아인에게 동화되었다.[27] 캅카스 알바니아 동부 지역은 이슬람화되어 이란 민족[28]과 이후 튀르크 민족(현대 아제르바이잔인)에게 흡수되었다.[2] 이들의 잔재는 우디인으로 알려져 있다.[29]
캅카스 알바니아의 이슬람 이전 인구는 가발라, 자카탈라, 샤키, 오구즈의 아제르바이잔인, 오구즈와 샤키의 아르메니아인, 카케티아와 헤레티 (잉길로이)의 조지아인, 다게스탄의 락인, 레즈긴인, 차후르인의 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30]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에는 카발라에 수도를 둔 국가가 형성되었으며, 쟁기 농업, 방목, 여러 공예, 고부스탄 등 문화를 발전시켰다. 기원전 1세기경에는 쿠라 강 전투에서 폼페이우스와 싸운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이 알바니아인은 현대 발칸 반도의 알바니아인과는 전혀 다른 민족이다. 캅카스 알바니아인(우디인의 조상)은 우디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4. 9. 종교
캅카스 알바니아의 원주민들은 다양한 이교 종교를 따랐다. 아케메네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특히 사산 제국의 영향으로 이 지역에서도 조로아스터교가 성장했다. 기독교는 사산 시대인 4세기 말부터 전파되기 시작했다.
아랍 정복과 칼케돈 공의회는 캅카스 알바니아 교회의 심각한 붕괴를 초래했다. 8세기부터 지역 주민의 상당수가 이슬람 개종을 했다. 11세기에는 이미 파르타우, 가발라, 셰키에 회당 사원이 있었다. 이 도시들은 캅카스 알바니아 기독교의 신조였다.[118]
이슬람화된 집단은 나중에 레즈긴족과 차쿠르족으로 알려지거나 투르크 민족 및 이란 민족과 섞여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인을 형성했으며, 기독교로 남은 사람들은 점차 아르메니아인에게 흡수되었거나[46] 독자적으로 존재하여 우디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헤레티의 캅카스 알바니아 부족은 10세기에 헤레티 여왕 디나르에 의해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다. 이 작은 공국의 종교 업무는 이제 조지아 정교회에서 공식적으로 관리했다. 1010년, 헤레티는 인접한 조지아 왕국 카헤티에 흡수되었다. 결국, 12세기 초에 이 땅은 다비드 4세 아래 조지아 왕국의 일부가 되어 조지아인화 과정을 마무리했다.[47]
모브세스 카간카트바치에 따르면, 기독교는 1세기 초부터 캅카스 알바니아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 지역의 첫 번째 기독교 교회는 타대오의 제자인 성 엘리세우스가 기스라는 곳에 세웠다.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직후 (서기 301년), 캅카스 알바니아의 왕 우르나이르는 초대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인 계몽자 그레고리에게 세례를 받기 위해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 갔다.[97][107]
바차간 3세 왕은 일부 국내 문제에서 교회에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시노드를 통해 캅카스 알바니아에 기독교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했다.[114] 서기 498년 (다른 자료에는 서기 488년) 아제르바이잔의 아그담 구에 위치한 알루엔 (아구엔) 정착지에서 알바니아 교회 회의가 열려 알바니아에서 기독교의 지위를 더욱 강화하는 법을 채택했다.
알바니아 교회 성직자들은 코카서스와 폰토스 지역에서 선교 활동에 참여했다. 682년, 총대주교인 이스라엘은 북캅카스 훈족의 통치자인 알프 일루에투어를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한 실패한 대표단을 이끌었다. 알바니아 교회는 성지에 여러 수도원을 유지했다.[115] 7세기에는 알바니아의 통치자 바라즈 그리고르와 "그의 백성"이 가르드만에서 헤라클리우스 황제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116]
705년 네르세스 바쿠르가 전복된 후, 캅카스 알바니아의 엘리트들은 590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아르메니아 총대주교를 통해 그들의 총대주교를 임명하는 전통을 재확립하기로 결정했다.[117] 이 사건은 일반적으로 캅카스 알바니아 교회의 폐지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내에서 가톨릭의 지위로 종교적 지위가 강등된 것으로 여겨진다.[118]
5. 문자와 언어
캅카스 알바니아의 파르티아어 이름은 아르드한(Ardhan)이었고, 중세 페르시아어로는 아란(آران)이었다.[153] 아랍어로는 아르-란(''ar-Rān'')이라고 불렀다.[153][154] 그러나 캅카스 알바니아 원주민들은 이 나라를 알바니아라고 부르지 않았다.[152]
'''아그 후안크'''(고전 아르메니아어: Աղուանք, 아르메니아어: Աղվանք)는 캅카스 알바니아를 가리키는 아르메니아어 이름이다. 아르메니아 작가들은 이 이름이 '우호적인'이라는 뜻을 가진 아르메니아어 단어 "아그 후"(≪Աղու≫)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 '아그 후안크'는 여러 의미를 가진 단어로, 아르메니아 자료에서는 아르메니아의 지역으로 쿠어 강과 아라스 강 사이의 지역을 가리키기도 한다.[155] 이 경우, 때때로 '아르메니안 아그 후안크' 또는 '하이-아그 후안크'라고 쓰기도 한다.[156][157][158]
캅카스 알바니아 지역의 아르메니아 역사가인 모브세스 카간카드바트시는 캅카스 알바니아의 첫 번째 통치자인 '아르란' 또는 '아르한'의 애칭에서 '아그반크'라는 이름이 유래했다고 설명한다. 그는 아란의 인자한 성품을 뜻하는 '아그 후'(아르메니아어로 상냥한, 순한, 다정한)라는 단어에서 이 이름이 나왔다고 말한다.[159] 칼란카튀크의 모세스와 다른 고대 자료들은 '아르란' 또는 '아르한'을 캅카스 알바니아의 전설적인 창시자, 또는 노아의 아들 야펫(자펫)의 아들인 알란으로 알려진 이란 부족의 이름으로 설명한다.[160] 아베스타의 번역가 자메스 다르메스테르는 '아르란'과 아이르야나 바에고를 비교하는데,[162] 그는 이 지역이 아라스 강-아라라트산 지역[161]에 있다고 생각했지만, 현대 이론에서는 이란 동부에 있다고 본다.
이 지역의 파르티아어 명칭은 ''아르단'' (중세 페르시아어: ''아란'')이었다.[3] 아랍어는 ''ar-Rān''이었다.[3][16] 그루지야어에서는 რანი (''라니'')로 알려졌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Ἀλβανία|알바니아grc라고 불렸다.[5] 그곳의 주민들을 무엇이라고 불렀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2]
아르메니아 중세 역사가인 모브세스 호레나치, 모브세스 카간카트바치, 코륜에 따르면, 캅카스 알바니아어(아르메니아어로는 아그바네렌, 이 언어의 고유한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는 아르메니아 문자를 만든 것으로도 알려진 아르메니아의 수도사, 신학자, 번역가인 메스로프 마슈토츠에 의해 만들어졌다.[34] 이 문자는 캅카스 알바니아인의 주요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우디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메스로프 마슈토츠의 제자인 코륜은 그의 저서 ''마슈토츠의 생애''에서 그의 스승이 어떻게 문자를 만들었는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그러자 알바니아인 벤자민이라는 나이 많은 남자가 그들을 방문했다. 그리고 그는 (마슈토츠) 알바니아 언어의 야만적인 표현을 조사하고 연구한 후, 평소의 신이 주신 예리한 정신으로 문자를 발명했으며, 그는 그리스도의 은혜를 통해 성공적으로 조직하고 정리했다.[35]
52개의 글자로 구성된 캅카스 알바니아 문자는 조지아 문자, 에티오피아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와 유사하며, 몇 개의 비문과 15세기의 아르메니아 필사본을 통해 전해졌다.[38] 이 필사본인 마테나다란 7117번은 일리야 아불라제에 의해 1937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아르메니아 문자,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시리아 문자, 조지아 문자, 콥트 문자와 함께 캅카스 알바니아 문자를 비교하여 제시하는 언어 매뉴얼이다. 이 문자의 제목은 ''"Ałuanicʿ girn ē"'' (Աղուանից գիրն Էhy, "이것들은 알바니아 문자이다"라는 의미)였다.
1996년, 조지아 국립 필사본 센터의 자자 알렉시제는 이집트 시나이산의 성 카테리나 수도원에서 조지아어 팔림세스트로 재사용된 양피지에 쓰인 텍스트를 발견했다. 2001년 알렉시제는 그 문자를 캅카스 알바니아어로, 텍스트를 아마도 6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독서집으로 식별했다. 그 안에서 발견된 많은 글자는 15세기 아르메니아 필사본에 나열된 알바니아 문자에 없었다.[39]
알 무캇다시, 이븐 하우칼, 알 이스타크리와 같은 무슬림 지리학자들은 10세기에 수도 바르다와 아란의 나머지 지역에서 아라니아어라고 부르는 언어가 여전히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3]
이 지역의 이란과의 접촉은 메디아 시대와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캅카스 알바니아의 아르사크 왕조 시대에, 파르티아어가 이 지역에 퍼졌다.[70] 아람 문자를 기반으로 한 제국 재무부의 행정 및 기록 보존을 위한 언어와 문학은 자연스럽게 파르티아어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투마노프에 따르면, "아르타크시드 왕조 시대처럼 헬레니즘 문화의 우세가 있었지만, 이제 "이란주의"가 우세해졌고, 이전처럼 그리스어가 아닌 파르티아어가 교양 있는 사람들의 언어가 되었다".[70]
사산 왕조가 건국되면서, 파르티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세 페르시아어가 사산 제국의 공용어가 되었다.[40] 이 시기에 페르시아어는 캅카스 알바니아어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 지역은 이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42] 블라디미르 미노르스키에 따르면, "이란 정착민들이 자캅카스, 특히 고개 근처에 있었던 것은 원주민들을 흡수하고 밀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샤르반, 라이잔, 바일라칸 등과 같은 이름은 이란 이민이 주로 길란 주와 카스피 해 남쪽 해안의 다른 지역에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43] 페르시아어와 이란 문화는 이슬람 시대에도 지속되었다.[44][45]
아르메니아의 정치, 문화, 문명은 캅카스 알바니아(아르메니아어로 아그반크) 전체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83] 이는 서기 387년 페르시아와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아르메니아 왕국이 분할된 후, 아르차흐와 우티크의 아르메니아 지방이 아르메니아 왕국에서 분리되어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아그반크(아란)라는 단일 주로 포함되었기 때문이다.[84] 이 새로운 단위는 다음과 같은 지역을 포함했다. 쿠라 강과 대 코카서스 산맥 사이에 위치한 원래의 캅카스 알바니아, 카스피 해 연안에 거주하는 부족, 그리고 아르메니아에서 분리된 아르차흐와 우티크.[85][86][87]
7세기에 아나니아 시라카치 (때로는 모브세스 호레나치의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함)에 의해 편찬된 아르메니아 중세 아틀라스 아슈카라추이트는 아르차흐와 우티크를 아르메니아의 지방으로 분류한다. 이는 아르메니아 왕국에서 분리되어 캅카스 알바니아와 페르시아와 정치적으로 연합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다.[89] 시라카치는 아르차흐와 우티크가 아르메니아에서 "이제 분리"되어 "아그반크"에 포함되었다고 명시하며, 쿠라 강 북쪽에 위치한 옛 "엄밀한 의미의 아그반크"(Բուն Աղվանք)와 이 새로운 실체를 구별하려고 한다. 쿠라 강 북쪽의 원래 부족들보다 더 동질적이고 더 발달했기 때문에, 아르메니아 요소가 캅카스 알바니아의 정치 생활을 장악했고, 점진적으로 그 언어와 문화를 강요할 수 있었다.[90][91]
아르차흐와 우티크의 아르메니아 인구는 지방의 전체 정치, 사회, 문화 및 군사 구조와 마찬가지로 그 자리에 남아 있었다.[53][92] 5세기에 초기 중세 역사가 호레나치는 아르차흐와 우티크의 인구가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했으며, 쿠라 강이 그의 말대로 "아르메니아 언어의 경계"를 표시한다고 증언한다.[93][94][95] 이는 인구가 전적으로 아르메니아 민족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87][96] 387년 이후 캅카스 알바니아에 대해 알려진 것은 아르메니아 작가 모브세스 카간카트바치 (모브세스 다스쿠란치로도 알려짐)의 고대 아르메니아 텍스트 ''아그반크의 땅의 역사''에서 유래한다.[97] 이는 본질적으로 아르메니아의 아르차흐와 우티크 지방의 역사이다.[90] 카간카트바치는 호레나치를 반복하여 "아그반크"/"알바니아"라는 이름 자체가 아르메니아 기원이며, 아르메니아어 단어 "아구"(աղու, "친절한", "자비로운"을 의미)와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다.[98] 호레나치는 "아구"가 아르메니아 왕 볼로가세스 1세 (바가르쉬 1세)가 아르메니아와 접경한 북동부 지방의 총독으로 임명한 아란 공에게 주어진 별명이라고 말한다. 호레나치가 전하는 전설에 따르면, 아란은 아르메니아의 시우니크 주의 시우니드의 조상인 시삭의 후손이자 아르메니아인의 조상인 선조 하이크의 증손자였다.[99] 카간카트바치와 또 다른 아르메니아 작가 키라코스 간드자케치는 아란의 아르메니아 혈통을 확인하며, 아란샤히크를 "하이가지안 왕조"라고 부른다.[100]
카간카트바치의 ''역사''와 아르메니아 초기 중세 작가 아가탄겔로스의 역사적 텍스트에서, 아그반크 왕국의 봉건 제도는 정치적 용어를 포함하여 아르메니아식이었다.[103] 아르메니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아그반크의 귀족들은 나하라르(նախարար), 아자트(ազատ), 하자라페츠(հազարապետ), 마르즈페츠(մարզպետ), 시나칸(շինական) 등의 용어로 불렸다.[90][97]
카간카트바치의 ''역사''에 언급된 왕족들은 아르메니아의 귀족 계층을 정의하는 "가흐나마크"(직역: "왕좌 목록")라고 불리는 아르메니아 왕국의 관직 목록에 포함되었다.[104] 캅카스 알바니아의 왕족들은 또한 전쟁 시 아르메니아 왕 앞에서 주요 귀족 가문의 군사적 의무를 결정하는 "조라나마크"라고 불리는 아르메니아 왕국의 군대 목록에도 포함되었다.[90]
아르메니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알바니아" 성직자들은 성직자 계층을 위해 전적으로 아르메니아 교회 용어(카톨리코스/կաթողիկոս, 바르다페트/վարդապետ, 사르가바그/սարգավագ 등)를 사용했다.[90][105] ''역사''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지명도 아르메니아로 식별할 수 있다. 대부분의 도시, 마을, 산, 강 이름은 형태학적으로 독특한 아르메니아어일 뿐만 아니라, 정확히 동일한 지명이 역사적 아르메니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었고,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는 도시의 경우 뿌리 케르트("도시") (다스타케르트, 흐나라케르트와 비교 - 티그라나케르트 또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현대 스테파나케르트와 비교), 마을의 경우 쉔과 칸(마을) (카라쉔 또는 듀타칸 등) 등이 포함된다.[106]
분할 이후, 캅카스 알바니아의 수도는 쿠라 강 동쪽 강둑의 영토(아르메니아인들은 "알바니아 고유"라고 함)에서 옛 아르메니아 지방인 우티크에 위치한 파르타브로 옮겨졌다. 이어서 알바니아 왕국의 종교 지도자(카톨리코스)의 자리도 쿠라 강 북쪽 영토에서 파르타브로 옮겨졌다.[97]
알바니아 왕국은 4세기 초에 아르메니아 복음 전파자 성 그레고리 루사보리치에 의해 기독교로 개종되었으며, 그는 서기 301년에 아르메니아를 최초의 기독교 국가로 세례했다.[107] 330년경, 성 그레고리의 손자인 성 그리고리스는 아르메니아 동부 지방의 종교 지도자로, 아그반크 왕국의 주교로 지명되었다. 그리고리스의 유해가 안치된 영묘인 아마라스 수도원은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가장 오래된 기념물로 남아 있다. 아마라스는 성 그레고리가 시작하여 성 그리고리스가 완성했다.[108]
전통에 따르면, 아마라스 수도원은 역사적 아르메니아에서 최초의 아르메니아 학교를 수용했으며,[109] 이는 5세기 초에 아르메니아 문자를 발명한 성 메스로프 마슈토츠에 의해 개설되었다. 성 메스로프 마슈토츠는 아르차흐와 우티크에서 복음을 전파하는 데 열정적으로 활동했다. 모브세스 카간카트바치의 ''역사''는 성 마슈토츠의 선교에 4개의 장을 할애하며, 그를 "계몽자"와 "성인"으로 지칭한다(제1권의 27, 28, 29장 및 제2권의 3장).[110] 전반적으로, 성 메스로프는 알바니아 왕국을 세 번 방문했으며, 아르차흐와 우티크의 아르메니아 땅뿐만 아니라 쿠라 강 북쪽의 영토도 순회했다.[110]
카간카트바치의 ''역사''는 아르메니아의 영향이 아그반크 교회에 미치는 영향을 묘사하는데, 이 교회의 관할 구역은 아르차흐와 우티크에서 "원래", "아르메니아 이전" 캅카스 알바니아의 쿠라 강 북쪽 지역까지 확장되었다.[111] 이로 인해 아르메니아어가 알바니아어를 교회와 국가의 언어로 점진적으로 대체했다(그리고 처음부터 단일 "알바니아" 언어가 있었는지 의문스럽다. 왜냐하면 알바니아/아그반크의 인구는 26개의 서로 다른 부족으로 구성되었다고 묘사되었기 때문이다).[111] 같은 7세기에, 아르메니아 시인 다브타크 케르토그는 ''그랜드 프린스 주안셰르의 죽음에 대한 비가''를 쓰는데, 각 구절은 알파벳 순서로 아르메니아 문자의 문자로 시작한다.[112][113]
참조
[1]
서적
Transcaucasian Boundaries
Taylor & Francis
[2]
논문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3]
간행물
Arran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4]
서적
U.S. Army Special Forces Language Visual Training Materials - ARMENIAN + Defense Language Institutue (DLI) Selected Aspects of the New Independent States Religion/Culture Volume I: Country Area Studies--Ukraine, Belarus, Georgia, Armenia
https://books.google[...]
[5]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6]
서적
Albania Caucasica: Ethnos, Storia, Territorio Attraverso Le Fonti Greche, Latine E Armene
Mimesis
[7]
논문
“The Case of the Caucasian Albanians: Ethnohistory and Ethnic Politics.”
http://www.jstor.org[...]
[8]
서적
Պատմութիւն Հայոց
[9]
간행물
About the Ancient Caucasian Albania
[10]
간행물
On question of the boundaries of ancient Albania.
[11]
간행물
Aghuank
"Bazmavep"
[12]
문서
The History of Aluank
[13]
웹사이트
Moses Kalankatuatsi. History of country of Aluank. Chapter IV
http://www.vostlit.i[...]
Vostlit.info
2012-05-06
[14]
웹사이트
Darmesteter's translation and notes
http://www.avesta.or[...]
Avesta.org
2012-05-06
[15]
서적
Vendidad
Oxford University Press
[16]
간행물
Caucasica IV
[17]
문서
Armenian "Geography"
http://vehi.net/isto[...]
[18]
서적
Artsakh History
Scientific Council of the Institute of History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Republic of Armenia
[19]
간행물
"The Albanian Chronicle of Mxit'ar Goš"
[20]
문서
[21]
서적
«Հայաստանը ըստ «Աշխարհացույցի»
Armenian Academy of Sciences
[22]
서적
A History of Sharvan and Darband in the 10th-11th Centuries
[23]
백과사전
Albania
http://www.iranica.c[...]
[24]
문서
al-A'laq Al-Nafisah
Dar al-Kutub al-ʻIlmiyah
[25]
웹사이트
Caucasian Albanian Script. The Significance of Decipherment by Dr. Zaza Alexidze
http://www.azer.com/[...]
Azer.com
2012-05-06
[26]
학술지
[27]
간행물
What Happened in Soviet Armenia?
[28]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Востока
http://www.kulichki.[...]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29]
웹사이트
Udis
http://www.vehi.net/[...]
vehi.net
[30]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1]
논문
Some Remarks on the Caucasian Albanian Palimpsests
[32]
서적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и культуре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3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ib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서적
History of the Land of Aluank
Matenadaran (Institute of Ancient Manuscripts)
[35]
웹사이트
The life of Mashtots'
http://www.vehi.net/[...]
[36]
서적
The Modern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oviet History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37]
웹사이트
The Albanian Script: The Process How Its Secrets Were Revealed
http://azer.com/aiwe[...]
[38]
서적
Rewriting Caucasian History: The Medieval Armenian Adaptation of the Georgian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Discovery and Decipherment of Caucasian Albanian Writing
http://www.science.o[...]
Science.org.ge
[40]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Middle Persian [Sassanian Pahlava] and Parthian were doubtlessly similar enough to be mutually intelligible
https://www.google.c[...]
[41]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John Wiley and Sons
[42]
서적
The value of the Past: Myths, Identity and Politics in Transcaucasia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43]
서적
A History of Sharvan and Darband in the 10th–11th Centuries
Cambridge
[44]
서적
Masalek va Mamalek
Majmueyeh Enteshārat Adabi o Tarikho Moqufāt Doctor Afshar
[45]
서적
История Востока. В 6 т. Т. 2. Восток в средние века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46]
간행물
What Happened in Soviet Armenia?
[47]
웹사이트
Caucasian Albania
http://www.pravenc.r[...]
The Eastern Orthodox Encyclopædia
[48]
웹사이트
ACHAEMENID RULE IN Caucasus
http://www.iranica.c[...]
2006-01-09
[49]
문서
[50]
서적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и культуре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IV в
[51]
문서
Azerbaijan
[52]
서적
Armenia and Karabagh: The Struggle for Unity
Minority Rights Group Publications
[53]
웹사이트
Istorija Vostoka. V 6 t. T. 2, Vostok v srednije veka
http://www.kulichki.[...]
«Vostochnaya Literatura»
[54]
문서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55]
웹사이트
Caspians
http://www.iranica.c[...]
[56]
서적
Rome and Caucasian Albania (google book in Italian)
https://books.google[...]
Mimesis
2012-05-06
[57]
웹사이트
Императорский Рим в лицах
http://www.ancientco[...]
Ancientcoins.narod.ru
2009-03-16
[58]
웹사이트
Какие монеты употребляли на рынках Азербайджана
http://www.irs-az.co[...]
Irs-az.com
2009-03-16
[59]
웹사이트
Страбон о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http://www.irs-az.co[...]
Irs-az.com
2009-03-17
[60]
문서
К вопросу об источниках Страбона в описании древней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61]
웹사이트
Plutarch, The Parallel Lives. Pompey, 35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2-05-06
[62]
웹사이트
Plutarch, The Parallel Lives: Pompey, 36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2-05-06
[63]
서적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и культуре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IV в
[64]
서적
The Caucasian Knot
Zed Books
[65]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11, chapter 14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2-05-06
[66]
웹사이트
Tes palai kai tes nyn oikoumenes periegesis, sive, Dionysii geographia : emendata & locupletata, additione scil. geographiae hodiernae : Graeco carmine pariter donatae : cum 16 tabulis geographicis
https://archive.org/[...]
Londini : E Typographaeo Mariae Matthews, impensis W. Churchill
2012-05-06
[67]
문서
Римская надпись I в. н.э. и легион XII фульмината
[68]
문서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69]
문서
Albania (Caucasus)
[70]
웹사이트
The Arsacids
http://www.iranicaon[...]
[7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72]
문서
[73]
웹사이트
Aneran
http://www.iranica.c[...]
2007-11-16
[7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The list of provinces given in the inscription of Ka'be-ye Zardusht defines the extent of the empire under Shapur
https://www.britanni[...]
2013-09-03
[75]
서적
Eastern Turkey: An Architectural & Archaeological Survey, Volume I
https://books.google[...]
Pindar Press
1989-12-31
[76]
웹사이트
Armenian Architecture - VirtualANI - The Church of Tigran Honents
http://virtualani.or[...]
[77]
웹사이트
Church of Saint Gregory of Tigran Honents in Ani
https://turkisharcha[...]
2023-12-10
[78]
웹사이트
Movses Kalankatuatsi. ''History of Albania''. Book 2, Chapter VI
http://www.vostlit.i[...]
Vostlit.info
2012-05-06
[79]
웹사이트
Moses Kalankatuatsi. ''History of country of Aluank.'' Chapter XVII. About the tribe of Mihran, hailing from the family of Khosrow the Sasanian, who became the ruler of the country of Aluank
http://www.vostlit.i[...]
Vostlit.info
2012-05-06
[8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1991
[81]
웹사이트
ḴOSROW II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8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Otto Harrasowitz
1992
[83]
웹사이트
Chapter "History" in article "Azerbaij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dition
2023-06-29
[84]
서적
Armenia: a Historical Atl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85]
간행물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Scholars Press
1982
[86]
서적
Armenia: a Historical Atl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87]
문서
Армянская География VII в
СПб.
1877
[8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ib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3
[89]
서적
Armenia: a Historical Atl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90]
간행물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Scholars Press
1982
[91]
간행물
The Kingdom of Artsakh
Chico, CA
1983
[92]
서적
Armenia and Karabagh: The Struggle for Unity
Minority Rights Group Publications
1991
[93]
서적
History of the Armenia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94]
문서
[95]
서적
Small Nations and Great Powers
2001
[96]
서적
Memory wars. Myths, identity and politics in Transcaucasia
Academkniga, Moscow
2003
[97]
서적
The History of the Caucasian Albanians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1961
[98]
서적
History of the Armenia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99]
서적
History of the Land of Aluank
Matenadaran (Institute of Ancient Manuscripts), Yerevan
1984
[100]
간행물
Kirakos Gandzaketsi’s history of the Armenians
New York
1986
[101]
뉴스
The Rebirth of Armenia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4-03
[102]
서적
Georgia, Armenia and Azerbaijan
Lonely Planet
2008-05-01
[103]
문서
История Армении
[104]
서적
Armenia in the Period of Justinian: The Political Conditions based on the [[Naxarar|Naxarar System]]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Lisbon
1970
[105]
문서
«Дионисий Фракийский и армянские толкователи»
Пг.
1915
[106]
서적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Eastern Province of Armenia. 5th-7th Centuries
Yerevan
1981
[107]
서적
History of the Land of Aluank
Matenadaran (Institute of Ancient Manuscripts)
1984
[108]
서적
History of the Armenia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109]
간행물
The Rebirth of Armenia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4-03
[110]
문서
History of the Land of Aluank
[111]
서적
The Caucasian Knot: The History and Geo-Politics of Nagorno-Karabagh
Zed Books
1994
[112]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2-12
[113]
서적
History of the Land of Aluank
Matenadaran (Institute of Ancient Manuscripts)
1984
[114]
간행물
On Christianity in Dagestan
2001
[115]
웹사이트
Movses Kalankatuatsi. History of Albania. Book 2, Chapter LII
https://web.archive.[...]
Vostlit.info
2012-05-06
[116]
문서
[117]
문서
The History of the Country of Albania
[118]
웹사이트
Udis
http://www.vehi.net/[...]
vehi.net
[119]
문서
Caucasian Knot
[120]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
[121]
서적
"Войны памяти. Мифы, идентичность и политика в Закавказье"
http://www.vehi.net/[...]
"Академкнига"
2003
[122]
서적
Highlanders: A Journey to the Caucasus in Quest of Memory
Farrar, Straus and Giroux
2001
[123]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
[124]
서적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https://archive.org/[...]
2004
[125]
서적
Small nations and great powers
Routledge
2000-12-01
[126]
서적
Nationalism, politics, and the practice of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2-23
[127]
문서
Kennan Institute for Advanced Russian Studie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lavic Studies
1996
[128]
서적
Ethnicity and ethnic conflict in the post-communist world
Palgrave Macmillan
2002-05-03
[129]
웹사이트
В.А. Шнирельман, "Войны памяти. Мифы, идентичность и политика в Закавказье", М., ИКЦ, "Академкнига", 2003
http://www.vehi.net/[...]
[130]
서적
Highlanders: A Journey to the Caucasus in Quest of Memory
Farrar, Straus and Giroux
2001
[131]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
[132]
서적
Brief History of the Aghuank Region: (Patmut'iwn Hamarot Aghuanits Erkri)
Mazda Publishers
2009-07
[133]
간행물
Rewriting History: Recent Azeri Alterations of Primary Sources Dealing with Karabakh
1992,1993
[134]
문서
[135]
서적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2004
[136]
서적
Armenia: A Historical Atl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137]
서적
Black Garden: Armenia and Azerbaijan Through Peace and War
2004
[138]
뉴스
Глава 10. Урекаванк. Непредсказуемое прошлое
http://news.bbc.co.u[...]
2005-07-11
[139]
뉴스
Фарида Мамедова: «Разрушив захоронение «Агадеде», армяне в очередной раз пытаются посягнуть на историю Азербайджана»
http://www.day.az/pr[...]
Day.Az daily
2006-01-06
[140]
문서
"Concerning the events in Karabakh and Sumgait"
1989-05-13
[141]
서적
Highlanders: A Journey to the Caucasus in Quest of Memory
Farrar, Straus and Giroux
2001
[142]
웹사이트
Tragedy on the Araxes
http://www.archaeolo[...]
Archaeology.org
2006-06-30
[143]
웹사이트
A copy of the letter
http://www.archaeolo[...]
Archaeology.org
[144]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
[145]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0
[146]
웹사이트
Georgia, Azerbaijan Debate Control of Ancient Monastery's Territory
https://web.archive.[...]
Eurasia.net
2011-01-31
[147]
뉴스
Ancient monastery starts modern-day feud in Caucasus
Middle East Times
2007-05-03
[148]
웹사이트
Monastery Divides Georgia and Azerbaijan
http://www.iwpr.net/[...]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2007-03-29
[149]
뉴스
Border Dispute Breaks Harmony between Azerbaijan and Georgia
https://web.archive.[...]
The Georgian Times
2007-04-12
[150]
웹사이트
Monastery Divides Georgia and Azerbaijan
http://www.iwpr.net/[...]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2007-03-29
[151]
문서
Albanía
[152]
논문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1982
[153]
웹사이트
Arran
http://www.iranica.c[...]
[154]
논문
Caucasica IV
1953
[155]
서적
History of Armenia
1786
[156]
문서
About the Ancient Caucasian Albania
1864
[157]
문서
On question of the boundaries of ancient Albania
1937
[158]
문서
Aghuank
Bazmavep
1970
[159]
문서
The History of Aluank
[160]
웹사이트
Moses Kalankatuatsi. History of country of Aluank. Chapter IV.
http://www.vostlit.i[...]
[161]
서적
Vendidad
Oxford University Press
1880
[162]
웹사이트
Darmesteter's translation and notes
http://www.avesta.or[...]
[163]
문서
Armenian "Geography" («Աշխարհացոյց»)
http://vehi.net/isto[...]
[164]
웹인용
Encyclopedia Iranica. C. E. Bosworth. Arran
https://web.archive.[...]
2010-09-15
[165]
논문
"The Albanian Chronicle of Mxit'ar Goš"
1958
[166]
문서
[167]
서적
Հայաստանը ըստ «Աշխարհացույցի»
Armenian Academy of Sciences
1963
[168]
서적
A History of Sharvan and Darband in the 10th-11th Centuries
1958
[169]
서적
al-A'laq Al-Nafisah
Dar al-Kutub al-ʻIlmiyah
1998
[170]
웹사이트
ACHAEMENID RULE IN Caucasus
2006-01-09
[171]
웹사이트
Albania
http://www.iranica.c[...]
[172]
서적
[173]
서적
Armenia: A Historical Atl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174]
서적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и культуре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IV в
1959
[175]
문서
Azerbaijan
[176]
서적
Armenia and Karabagh: The Struggle for Unity
Minority Rights Group Publications
[177]
웹사이트
Istorija Vostoka. V 6 t. T. 2, Vostok v srednije veka
http://www.kulichki.[...]
«Vostochnaya Literatura»
[178]
논문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179]
간행물
Caspians
http://www.iranica.c[...]
[180]
서적
Armenia: A Historcial Atl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1]
웹인용
Rome and Caucasian Albania (google book in Italian)
https://web.archive.[...]
2010-09-15
[182]
웹인용
Императорский Рим в лицах
https://web.archive.[...]
Ancientcoins.narod.ru
2010-09-16
[183]
웹인용
Какие монеты употребляли на рынках Азербайджана
https://web.archive.[...]
Irs-az.com
2010-09-16
[184]
웹인용
Страбон о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https://web.archive.[...]
Irs-az.com
2010-09-16
[185]
논문
К вопросу об источниках Страбона в описании древней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186]
웹사이트
Plutarch, The Parallel Lives. Pompey, 35
http://penelope.uchi[...]
[187]
웹사이트
"Pompey"
http://penelope.uchi[...]
[188]
서적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и культуре кавказской Албании IV в
[189]
서적
The Caucasian Knot
Zed Books
[190]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11, chapter 14.
http://www.perseus.t[...]
[191]
논문
Римская надпись I в. н.э. и легион XII фульмината
[192]
서적
Всемирная история. Энциклопедия, том 2
[193]
웹인용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s.v. "Albania, Caucasus".'
https://web.archive.[...]
2010-09-15
[194]
간행물
The Arsacids
http://www.iranica.c[...]
[19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
문서
[197]
웹인용
'Gignoux. "Aneran". ''Encyclopaedia Iranica'': "The high priest Kirder, thirty years later, gave in his inscriptions a more explicit list of the provinces of Aneran, including Armenia, Georgia, Albania, and Balasagan, together with Syria and Asia Minor."'
https://web.archive.[...]
2010-09-15
[198]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The list of provinces given in the inscription of Ka''be-ye Zardusht defines the extent of the empire under Shapur'
http://www.britannic[...]
[199]
웹사이트
History of Albania. Book 1, Chapter XV
http://www.vostlit.i[...]
[200]
웹사이트
History of Albania. Book 2, Chapter VI
http://www.vostlit.i[...]
[201]
웹인용
'Encyclopedia Iranica. C. E. Bosworth, s.v. "Arran"'
https://web.archive.[...]
2010-09-15
[202]
웹사이트
History of country of Aluank. Chapter XVII. About the tribe of Mihran, hailing from the family of Khosrow the Sasanian, who became the ruler of the country of Aluank
http://www.vostlit.i[...]
[20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20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Otto Harrasowitz
[205]
웹인용
Movses Kalankatuatsi. History of Albania. Book 2, Chapter LII
https://web.archive.[...]
2010-09-15
[206]
문서
The History of the Country of Albania
[207]
웹사이트
Udis
http://www.vehi.net/[...]
[208]
서적
Caucasian Knot
[209]
논문
What Happened in Soviet Armenia?
[210]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Востока
http://www.kulichki.[...]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211]
웹사이트
Udis
http://www.vehi.net/[...]
[212]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3]
간행물
What Happened in Soviet Armenia?
1988-07-01
[214]
웹사이트
Caucasian Albania
http://www.pravenc.r[...]
[215]
서적
The Modern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oviet History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216]
서적
Rewriting Caucasian History: The Medieval Armenian Adaptation of the Georgian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217]
문서
The History of Aluank
[218]
웹사이트
Koriun, Ch. 16
http://www.vehi.net/[...]
[219]
웹사이트
Caucasian Albanian Script. The Significance of Decipherment by Dr. Zaza Alexidze.
http://www.az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