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힐 더 라위터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힐 더 라위터르는 17세기 네덜란드의 해군 제독이다. 11세부터 선원 생활을 시작하여 해적 감시, 포르투갈 독립 전쟁 참전, 무역선 선장 등을 거쳤다.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등 주요 해전에 참여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특히 메드웨이 기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1676년 아우구스타 해전에서 전사했으며, 네덜란드 해군과 국민들에게 존경받는 인물로, 여러 기념물과 영화, 지명 등으로 그의 업적이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군인 - 외젠 뒤부아
외젠 뒤부아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따라 인류와 유인원의 중간 고리를 찾고자 자바 원인을 발견하여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고생물학자이다. - 네덜란드의 군인 - 헨드리퀴스 콜레인
헨드리퀴스 콜레인은 네덜란드의 반혁명당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총 5차례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대공황 시기 경제 위기에 대응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점령 하에서 독일의 지도력 수용을 주장했다. - 1676년 사망 -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는 1645년부터 1676년까지 러시아 차르로 재위하며 중앙 집권화 강화, 영토 확장, 종교 개혁을 시도했으나 농노제 강화, 전쟁, 종교 분열 등의 문제도 겪었다. - 1676년 사망 - 상가희
상가희는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가는 시기에 활동하며 청나라의 중국 통일에 기여했으나, 광주대도살에 책임이 있고 병자호란에 참전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군인이다. - 1607년 출생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1607년 출생 - 이치히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이치히메는 다테 마사무네의 아들 다테 다다무네와 약혼했으나 요절하여 혼인하지 못했다.
미힐 더 라위터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미힐 아드리아enszoon |
별칭 | Bestevaêr (베스테바에르) |
출생 | 1607년 3월 24일 |
출생지 | 네덜란드 공화국 플리싱언 |
사망 | 1676년 4월 29일 |
사망지 | 시칠리아 시라쿠사 인근 스페인 제국 (현재 이탈리아) |
안장 장소 | 암스테르담 니우어케르크 |
군사 정보 | |
소속 | 네덜란드 공화국 |
군 종류 | 네덜란드 해군 |
복무 기간 | 1637년 – 1676년 |
최종 계급 | 해군 중장 제독 |
참전 전쟁 | 80년 전쟁 클레베 공략 베르헌 op Zoom 공성전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 포르투갈 복원 전쟁 상 빈센트 곶 해전 제1차 앵글로-네덜란드 전쟁 플리머스 해전 켄티쉬 녹 해전 던저니스 해전 포틀랜드 해전 가바드 해전 스헤베닝언 해전 제2차 북방 전쟁 단치히 공성전 니보르 해전 제2차 앵글로-네덜란드 전쟁 서아프리카 원정 (1664-1665) 바베이도스 해전 뉴펀들랜드 습격 4일 해전 성 야고보의 날 해전 메드웨이 강 습격 랜드가드 요새 해전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솔베이 해전 제1차 스호네벨트 해전 제2차 스호네벨트 해전 텍셀 해전 마르티니크 침공 스트롬볼리 해전 아우구스타 해전 |
수상 | 성 미카엘 훈장 |
가족 | 엔헬 데 라위터르(아들) |
2. 생애
미힐 더 라위터르는 플리싱언에서 맥주 운반인의 아들로 태어나 11세부터 선원으로 근무했다. 1637년 선장으로 임명된 뒤 해적 감시 임무를 수행했고, 1641년 포르투갈 독립 전쟁에 네덜란드 해군 소장으로 참전하여 포르투갈 해군을 지원했다. 1642년부터 1652년까지 모로코, 서인도 제도 등에서 네덜란드 해상 무역선의 선장으로 활동했다.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과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 네덜란드 함대를 이끌고 4일 해전, 메드웨이 기습 등에서 잉글랜드 해군에 맞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2] 프랑스-네덜란드 전쟁에도 참전하여 솔베이 해전, 텍셀 해전 등에서 잉글랜드-프랑스 연합 함대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1676년 4월 29일 시칠리아 아우구스타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네덜란드-스페인 연합 해군 소속으로 참전, 전투 중 프랑스 해군의 공격을 받고 전사했다.
2. 1. 초기 생애

미힐 더 라위터르는 1607년 3월 24일 플리싱언 (젤란트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드리안 미힐스존은 선원이었다.[2] 더 라위터르는 밧줄 공장에서 일하다 11세에 보트스웨인 견습생으로 바다에 보내졌다.[2]
1622년, 스페인과의 80년 전쟁 중에는 모리스 판 나사우 휘하 네덜란드 육군 포병으로 베르겐 옵 좀 구원에 참전했다.[2] 이후 네덜란드 상선대에 합류하여 30세에 상선 선장이 되었다.[2] 그는 사략 활동을 하며 "습격하다"를 의미하는 ''ruyten'' 또는 ''ruiten''에서 유래한 "더 라위터르"라는 별명을 얻었다.[2]
1631년 3월 16일, 농부의 딸 마이크 벨더르와 결혼했으나, 그해 말 아내와 딸을 모두 잃었다.[2] 1636년 여름에는 부르거의 딸 네엘트제 엥겔스와 재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2]
1637년 선장으로 임명된 후, 됭케르크에서 활동하는 됭케르크 약탈자를 사냥하는 임무를 맡았다.[2] 1641년 포르투갈 독립 전쟁 당시, 젤란트 해군은 필립 4세에 대항하여 포르투갈을 지원하기 위해 함대를 편성했고, 더 라위터르는 26문의 대포를 탑재한 상선 ''하제''의 선장이자 소장으로 임명되었다.[1][2] 그는 1641년 11월 4일의 해전에서 스페인 함대와 싸웠으나, 큰 피해를 입고 귀국했다.[2]
함대가 해산된 후, 더 라위터르는 상선 업무로 돌아가 모로코, 브라질, 서인도 제도로 여러 차례 무역 항해를 했다.[2] 1650년, 두 번째 아내가 사망했고, 1652년 1월 8일 안나 판 겔더와 결혼했다.[2]
2. 2.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1652년 ~ 1654년)
마르턴 트롬프가 지휘하던 네덜란드 해군은 잉글랜드 해군과의 해전에서 큰 공훈을 세웠으며, 특히 1653년 7월 31일에 일어난 스헤베닝언 해전에서는 전략적 승리를 기록했다. 1653년 마르턴 트롬프가 전사한 이후에는 네덜란드 해군 중장으로 임명되었다.1652년부터 1654년까지의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동안, 데 라위터르는 늘어나는 네덜란드 함대에 하급 기함 장교 또는 준제독(commandeur)으로 합류하기로 동의했다. 이 계급은 준제독과 대략적으로 비슷하며, 사적으로 자금을 지원받은 군함인 제란트의 "지휘관 선박" 함대를 지휘했다. 데 라위터르는 최고 사령관인 마르턴 트롬프 중장 해군 제독 밑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했다.
1652년 8월, 약 60척의 네덜란드 상선이 10척의 군함의 호위를 받으며 네덜란드를 떠나 지중해로 향했다. 이 호송대는 스페인령 네덜란드 해안에서 데 라위터르가 지휘하는 20척에서 30척 사이의 추가 호위를 받았다. 그 후의 전투에 참여한 네덜란드 전투함의 정확한 수는 불분명하지만, 데 라위터르는 네덜란드 해군의 5개 제독부에서 온 21척의 군함, 2척의 대형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군함, 6척의 화공선을 이끌고 항해했다. 1652년 8월 16일 오후, 해상 장군 조지 에스큐가 지휘하는 영국 함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데 라위터르는 반격을 가하여 호송대를 보호하지 않은 채 공격을 가한 영국 군함을 포위했다. 그 후의 혼전은 밤까지 이어졌다. 데 라위터르는 이 플리머스 해전에서 승리하여 호송대를 구했고, 네덜란드 국민에게 즉각적인 해군 영웅이 되었다. 그는 또한 이 전쟁 동안 함대 사령관으로 켄티시 노크 해전과 가바드 해전에서 싸웠다.
스헤베닝언 해전에서 트롬프가 사망하면서 전쟁이 끝났다. 데 라위터르는 요한 데 비트가 최고 사령관을 맡으라는 확고한 제안을 거절했는데, 그 이유는 스스로 '부적합'하다고 생각했고, 더 높은 선임인 비테 데 위트와 요한 에베르트센과의 갈등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2. 3.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1665년~1667년)
1665년, 미힐 더 라위터르는 네덜란드 함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1666년 6월 1일부터 4일까지 벌어진 4일 해전에서 잉글랜드 해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8월 4일부터 5일까지 이어진 세인트 제임스 날 해전에서는 잉글랜드 해군에 패배하였다.[2]1667년 6월에는 잉글랜드의 채텀을 공격한 메드웨이 기습을 감행하여 템스강 하구를 봉쇄함으로써 잉글랜드에 큰 타격을 입혔다.[2] 이 사건을 계기로 잉글랜드와 네덜란드는 브레다에서 평화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2] 브레다 조약은 제2차 영란 전쟁을 종결시켰으나, 네덜란드 식민지에서 영국 상인 배제, 영국이 점령한 옛 네덜란드 식민지 뉴네덜란드 문제, 영국의 항해법 시행 등 두 나라 간의 오랜 경쟁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지는 못했다.[5]
2. 4.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년 ~ 1678년)
프랑스-네덜란드 전쟁이 진행 중이던 1672년 5월 28일에 벌어진 솔베이 해전과 1673년 8월 21일에 벌어진 텍셀 해전에서 잉글랜드-프랑스 연합 해군을 연달아 물리쳐 잉글랜드 군대의 네덜란드 침공을 막아냈다.[3] 1676년 4월 29일 지중해에 있는 시칠리아의 아우구스타에서 벌어진 해전에서 네덜란드-스페인 연합 해군 소속으로 참전하여 전투를 벌이던 중 프랑스 해군의 공격을 받고 전사했다.[3]스트롬볼리 해전 이후 데 라위터르는 스페인 함대와 합류하여 연합 함대 지휘권을 스페인 제독 돈 프란시스코 데 라 세르다에게 넘겼다. 메시나를 공격하기 위해 동맹군은 프랑스 함대를 격파해야 했고, 아우구스타를 공격하여 프랑스 군함이 메시나 항구를 떠나도록 강요하기로 결정했다. 1676년 4월 22일, 아우구스타 북쪽에서 양측 함대가 만났다. 데 라위터르는 선두 함대를 지휘했고, 스페인 함선은 중앙을 형성했으며, 다른 네덜란드 함대는 후미에 배치되었다. 프랑스 전열함 29척, 네덜란드 군함 13척(모두 전투에 적합한 것은 아님)과 네덜란드군을 지원하는 10~14척의 스페인 군함, 프리깃함 및 화공선이 있었으며, 프랑스 함대는 화력과 병력에서 우위에 있었다.
전투는 주로 두 선두 함대 사이의 치열한 싸움으로 구성되었으며, 스페인 중앙 함대는 프랑스 중앙 함대와 장거리에서 유지했고, 후미 함대의 일부 선박도 서로 교전했다. 스페인 중앙 함대의 비활성화로 인해 뒤켄의 중앙 함대 선두 함선이 수적으로 열세인 데 라위터르의 선두 함대를 공격했지만, 네덜란드군은 이를 견뎌냈다. 데 라위터르는 뒤켄의 함선에 승선할 의도로 공격했지만, 프랑스 함선 2척이 제독을 지원하기 위해 오면서 저지당했다. 전투가 끝날 무렵, 데 라위터르는 자신의 항해술과 네덜란드 후미 함대의 지원을 통해 함대를 빼낼 수 있었다.
네덜란드 함대가 전투에서 물러나는 과정에서 더 라위터르는 다리에 포탄을 맞아 치명상을 입었고, 일주일 후 시라쿠사에서 사망했다.
3. 유산
미힐 더 라위터르는 네덜란드 해군의 영웅으로, 해상 강국으로서의 네덜란드의 지위를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플리싱언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네덜란드 해군의 여러 함선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라위터르는 헝가리 데브레첸에도 동상이 세워졌는데, 이는 그가 스페인 갤리선에서 노예 생활을 하던 26명의 헝가리 개신교 목사들을 석방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더 라위터르는 한국의 이순신 장군과 비견될 만한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두 사람 모두 해군 지휘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자국을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지켜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4. 같이 보기
- 영국-네덜란드 전쟁
-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 마르턴 트롬프
- 코르넬리스 트롬프
참조
[1]
서적
Man of War. Sir Robert Holmes and the Restoration Navy
London
1969
[2]
웹사이트
History: History and Development > Settlement of Bridgetown
https://web.archive.[...]
The Ministry of Community Development & Culture, Barbados
2011-03-17
[3]
웹사이트
History of St. john's
https://web.archive.[...]
[4]
뉴스
Marinierskazerne definitief niet naar Vlissingen, Zeeuwen willen compensatie
https://www.hartvann[...]
[5]
서적
オランダ名海将列伝: 日本語訳: The Great Dutch Admirals
Kindle版
2024-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