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은 17세기 중반, 경제적 갈등과 정치적 긴장 고조로 인해 발발한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공화국 간의 해상 전쟁이다. 잉글랜드는 네덜란드의 상업적 지배에 대한 불만과 항해법 통과를 통해 네덜란드 무역을 견제했고, 찰스 1세 처형 이후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전쟁 초기에는 네덜란드가 우위를 점했으나, 잉글랜드 해군의 전술 개선과 해상 봉쇄로 인해 전세가 역전되었다. 1654년 웨스트민스터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네덜란드는 잉글랜드 항해법을 인정하고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오라녜 가문의 네덜란드 총독직 승계를 제한하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이 전쟁은 잉글랜드의 해상 강국으로의 부상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양국 간의 상업적 경쟁이 지속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시기 | 1652년–1654년 |
장소 | 영국 해협, 북해, 페르시아만, 지중해, 아이리시해, 카리브해, 인도양 |
결과 | 웨스트민스터 조약 (1654년) 체결 |
교전 세력1 | 네덜란드 공화국 |
교전 세력2 | 잉글랜드 연방 |
지휘관 | |
네덜란드 공화국 | 아드리아안 파우 요한 데 비트 마르턴 트롬프 비테 데 비트 미힐 데 뢰위터르 요한 반 갈렌 |
잉글랜드 연방 | 올리버 크롬웰 로버트 블레이크 조지 애스큐 헨리 애플턴 조지 멍크 |
병력 규모 | |
1653년 네덜란드 공화국 | 1653년: 군함 154척 |
포 정보 | 14–18문: 5척 22–28문: 92척 30–38문: 42척 40–46문: 14척 54문: 1척 |
사상자 규모 | |
잉글랜드 공화국 | 사망자 2500명, 군함 10척 침몰, 군함 7척 나포 |
네덜란드 공화국 | 사망자 3000명, 군함 33척 침몰, 군함 18척 나포 |
2. 배경
16세기에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공화국은 스페인에 맞서 80년 전쟁에서 네덜란드를 지원했다. 그러나 1604년 잉글랜드와 스페인 간의 별도 평화 조약은 이러한 관계를 악화시켰다. 그럼에도 1625년 잉글랜드-네덜란드 조약은 1640년까지 유효하여 두 나라 간의 공식적인 우호 관계의 기반이 되었고, 잉글랜드의 찰스 1세의 네덜란드 정책의 기초를 형성했다.[1]
1648년 30년 전쟁 말 스페인 세력이 약화되자 포르투갈 제국과 일부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및 광물 자원이 강대국의 손에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이어진 제국 쟁탈전은 이전 동맹국들을 충돌하게 만들었고, 스페인과 평화를 맺은 네덜란드는 빠르게 잉글랜드를 대체하여 이베리아 반도와의 지배적인 무역국이 되었다. 이는 1590년 이후 꾸준히 커져온 네덜란드 무역에 대한 잉글랜드의 분노를 더했다. 네덜란드는 1625년 조약을 갱신하고자 했지만, 1639년의 시도는 응답을 받지 못했고, 따라서 조약은 만료되었다.[2]
17세기 중반에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큰 상선단을 건설했고, 다른 모든 국가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배를 보유했다. 해상 상업을 기반으로 하는 그들의 경제는 유럽 무역, 특히 북해와 발트해에서 그들에게 지배적인 지위를 부여했다. 또한 그들은 포르투갈의 영토와 동인도 및 브라질의 무역 기지를 대부분 정복하여 향신료 무역에서 엄청난 이익을 얻게 되었다. 그들은 심지어 아직 작은 북아메리카 식민지와의 잉글랜드 무역에 상당한 영향력을 얻고 있었다.[3]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연방의 경제적 격차는 네덜란드 시스템이 자유 무역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그들의 제품이 더 경쟁력이 있었기 때문에 증가했다. 세 왕국 전쟁 동안, 국가원수는 공식적으로 중립을 유지했는데, 이는 의회파와 왕당파 모두와 불편한 관계를 갖게 했다.[5]
1642년 8월 제1차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한 후, 의회파와 왕당파는 상대방과 무역하는 네덜란드 선박에 대한 금수 조치를 취했다. 잉글랜드 항구의 대다수가 의회에 의해 점령되었고 왕당파 해군은 약했기 때문에 네덜란드 선박은 거의 압수되지 않았지만, 1644년부터 1646년까지 그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상당한 긴장을 유발했다.[6] 1649년 1월 찰스 1세 처형은 잉글랜드 연방의 형성을 가져왔고, 이는 국내 및 일부 식민지에서 왕당파와 계속 싸웠으며, 잉글랜드 해군의 확대로 이어졌다.[3]
1650년 10월, 왕당파 식민지를 진압하고 왕당파가 잉글랜드를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한 법의 일부로, 의회는 외국 선박이 허가 없이 아메리카의 잉글랜드 플랜테이션을 방문하거나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 법은 급하게 제정된 임시 전쟁 조치였으며, 모든 국가를 포함하도록 일반적인 용어로 제정되었지만, 주로 네덜란드를 겨냥했으며, 다음 해에 신중하게 준비된 항해법에 의해 대체되었다.[11]
2. 1. 잉글랜드와 네덜란드의 관계 변화
16세기에 잉글랜드와 네덜란드는 합스부르크가의 야망에 대항하여 군사 동맹을 맺었다. 1588년의 아르마다 해전에서는 양국이 협력하여 스페인 무적함대(아르마다)와 싸웠다. 80년 전쟁(1568년-1648년)에서 잉글랜드는 자금과 군대를 보내 네덜란드(북부 네덜란드)를 지원했다. 네덜란드 정부 내에는 전쟁에서의 상호 협력을 보다 확실하게 조율하기 위해 잉글랜드 측 대표자가 상주하고 있었을 정도이다.- -----
네덜란드 황금 시대를 상징하는 건축물
]]
1648년에 종결된 30년 전쟁(1618년-1648년) 이후 스페인의 국력 약화로 인해 많은 포르투갈 제국 영토 및 스페인 제국 영토 식민지와 거기에서 생산되는 광물 자원은 사실상 누구에게나 손에 넣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잉글랜드의 제국 영토 진출은 과거 동맹국 네덜란드를 분쟁 속으로 끌어들였다. 네덜란드에서도 스페인과의 강화가 성립되었기 때문에 급속히 이베리아 반도 지역이 주요 무역 상대국으로 기존의 잉글랜드를 대체했으며, 1590년 이래 네덜란드 무역에 얽힌 잉글랜드 측의 유감도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었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다른 모든 나라의 함선 수를 합한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상업 함대를 건설했으며, 이는 주로 해상 상거래에 기반한 것이었다. 네덜란드는 자바 섬에서 일본에 이르는 해역의 무역과 통상로를 독점하여 막대한 중간 이익을 본국에 가져다주었을 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 간의 해상 운송에도 손을 뻗어 특히 북해 무역·발트해 무역에서 지배적인 지위에 있었다.[128] 게다가 네덜란드는 구 포르투갈령의 많은 지역을 정복하여 동인도 제도(현, 인도네시아) 및 브라질에서 그 교역의 대부분을 지배하고 막대한 수익을 가져다주는 향신료 거래의 권한을 쥐었다.[128] 그리고 네덜란드는 당시 아직 작은 존재에 불과했던 영국령 북미 식민지와 잉글랜드 사이의 무역에도 중대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128]
- -----
청교도 혁명과 그에 이어진 잉글랜드 내전의 결과, 참수된 스튜어트 왕가의 왕
]]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사이의 통상 무역 또는 항해에서의 불균형은 확대되었다. 그 이유는 첫째, 잉글랜드에서의 통상 항해 시스템이 물품세 및 관세에 기반한 반면, 네덜란드의 통상 항해 시스템은 이러한 간접세에 의존하지 않는 자유 무역을 원칙으로 했기 때문이다.[129] 따라서 네덜란드 제품은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었고, 잉글랜드 제품보다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졌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의 양모업자는 영어를 사용하는 미국의 항구에서는 대규모 거래를 할 수 있었지만, 5,000포대 중 4,000포대가 팔리지 않아 미국 항구를 떠나야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네덜란드 배는 불과 1,000포대만 팔리지 않은 채 미국 항구를 출항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잉글랜드의 전통적인 시장이었던 발트해, 독일, 러시아,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도 그 무역은 쇠퇴해 갔다.[129]
30년 전쟁 종결 이후, 17세기 중엽의 네덜란드의 통상 및 항해상의 우위는 네덜란드의 관점에서 보면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쟁취한 80년 전쟁의 종결이기도 했다. 전쟁의 종식은 스페인에 의해 네덜란드의 항구 및 네덜란드 선박으로부터의 통상 정지 명령이 해제되는 것을 의미했다.[130] 이는 네덜란드의 화물 운송 요금과 해상 보험 요율의 급격하고 영구적인 하락을 가져왔고, 네덜란드 제품의 가격 하락에 반영되었다. 게다가 스페인-네덜란드 관계의 정상화로 양국 간의 무역은 곧 재개되었다. 한편 잉글랜드는 스페인과의 무역이 아직 제한되어 있었다. 1651년, 잉글랜드는 경제적으로 불황 상태에 빠졌다.[131]
네덜란드 통상의 유리함의 세 번째 이유는 청교도 혁명 발발에 따른 잉글랜드 내전(1642년-1651년)이었다.[132] 1649년, 올리버 크롬웰이 이끄는 의회파는 군주제를 타도하고, 국왕 찰스 1세를 참수형에 처했다. 잉글랜드인들은 네덜란드인이 자국의 내전으로 이익을 얻고 있는 것을 비난했다.[132]
2. 2. 경제적 불균형과 갈등 심화
17세기 중반, 네덜란드 공화국은 다른 모든 유럽 국가들의 함대를 합친 것보다 더 큰 상업 함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이는 해상 상거래를 기반으로 한 경제 덕분이었다. 네덜란드는 자바에서 일본에 이르는 해상 무역로를 독점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었으며, 유럽 국가 간 해상 운송, 특히 북해와 발트해 무역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또한 동인도 제도(현재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에서 포르투갈 영토 대부분을 정복하여 향신료 무역을 장악했고, 잉글랜드와 북아메리카 식민지 간의 무역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28]잉글랜드와 네덜란드 간의 무역 및 해운 불균형은 심화되었다. 잉글랜드의 무역 시스템은 관세와 운임에 의존한 반면, 네덜란드는 자유 무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품 가격이 더 저렴하고 경쟁력이 있었다. 예를 들어, 1651년 잉글랜드의 양모 무역상은 미국 항구에서 수천 자루의 양모를 팔지 못하고 돌아와야 했지만, 네덜란드 선박은 훨씬 적은 양의 미판매 양모만을 남기고 떠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는 발트해, 독일, 스칸디나비아 등 전통 시장에서 무역이 쇠퇴했다.[129]
30년 전쟁(1618-1648)의 종결, 즉 네덜란드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80년 전쟁(1568-1648)의 종결은 네덜란드 해운과 통상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스페인에 의한 네덜란드 해안 봉쇄가 해제되면서 운송 요금과 보험료가 하락하여 네덜란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더욱 높아졌다.[130] 스페인과의 관계 정상화로 양국 간 무역이 즉시 재개된 반면, 잉글랜드는 여전히 스페인과의 무역에 제한을 받았다. 1651년경 잉글랜드는 경기 침체를 겪었다.[131]
청교도 혁명으로 발발한 잉글랜드 내전(1642-1651) 또한 네덜란드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1649년 찰스 1세가 처형되고, 1651년까지 잉글랜드 의회는 국내외 왕당파와 전쟁을 치르면서 잉글랜드의 무역과 해운은 큰 혼란을 겪었다. 1650년 8월 1일, 의회는 무역위원회를 설립하여 상업적 상황을 연구했다. 같은 해 10월, 의회는 외국 선박이 허가 없이 잉글랜드령 아메리카 식민지를 방문하거나 무역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 법은 네덜란드를 겨냥한 것이었으며, 다음 해에 더 신중하게 준비된 항해법으로 대체되었다.[132] 당시 잉글랜드 상인들은 네덜란드 선박의 저렴한 운임 때문에 자국 상품 운송에 네덜란드 선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잉글랜드 선원들은 일자리를 찾아 네덜란드로 떠나는 상황이었다.[133] 잉글랜드는 네덜란드가 잉글랜드 내전의 혼란을 틈타 이익을 취한다고 비난했다.
1639년 다운스 해전에서 스페인 함대에 승리한 후 네덜란드 해군력은 자신감을 얻었지만,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이후 해군력이 감소했다. 많은 선박이 매각되었고, 1652년 제1차 영란전쟁 발발 당시 네덜란드 해군은 79척밖에 남지 않았으며, 그나마 수리 상태도 좋지 않았다. 반면, 잉글랜드 연방 해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승리하며 강력하고 효율적인 해군을 보유하게 되었고, 1649년부터 1651년 사이에 해군을 확장하고 개선했다. 잉글랜드는 네덜란드보다 더 크고 강력한 함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더 먼 거리에서 적함을 타격하고 더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었다.[134]
2. 3. 정치적 긴장 고조
잉글랜드 내전 동안, 네덜란드의 스타트허우더 프레데리크 헨드릭은 찰스 1세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119] 이는 의회파가 주도한 잉글랜드 연방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찰스 1세 처형(1649년) 이후, 잉글랜드는 공화정을 수립하고 올리버 크롬웰을 중심으로 왕당파 세력을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잉글랜드와 네덜란드는 정치적, 종교적(개신교)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갈등이 심화되었다.[120]1647년 프레데리크 헨드릭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빌럼 2세가 스타트허우더직을 계승한 후, 빌럼 2세는 오라녜 가문의 권력 확대를 꾀하며 잉글랜드 왕당파를 지원하려 했다. 이는 네덜란드 내 공화파와의 갈등을 야기했다.[39] 1650년 빌럼 2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오라녜 가문의 영향력은 약화되고, 네덜란드는 무총독 시대를 맞이하며 공화정이 강화되었다.[119]
1651년 잉글랜드는 네덜란드와의 동맹을 모색하기 위해 올리버 세인트 존을 대표로 하는 사절단을 헤이그에 파견했다.[114] 잉글랜드는 두 공화국의 연합을 제안했으나, 네덜란드는 이를 거부하고 자유 무역 협정을 제안했다. 협상은 항해법 문제와 왕당파 지원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었고, 결국 결렬되었다.[55]
3. 정치적 긴장
16세기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공화국은 합스부르크 가의 야망에 맞서 군사 동맹을 맺었다.[128] 1588년 무적함대 격퇴에 협력했고, 팔십년 전쟁에서 잉글랜드는 네덜란드를 지원했다.[128] 30년 전쟁 이후 스페인이 약해지자, 잉글랜드와 네덜란드는 식민지 자원을 두고 경쟁하게 되었다.[128] 네덜란드는 이베리아 반도 지역의 주요 무역 상대로 잉글랜드를 대체했고, 1590년 이래의 무역 불만도 쌓여갔다.[128]
17세기 중반 네덜란드는 유럽 최대 상업 함대를 보유하여 해상 무역을 독점하며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128] 유럽 국가 간 해상 운송, 북해 및 발트해 무역을 지배했고, 동인도 제도와 브라질의 포르투갈령 대부분을 정복하여 향신료 거래를 장악했다.[128] 또한, 잉글랜드령 북미 식민지와 잉글랜드 간 무역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28]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간 무역 불균형은 심화되었다. 네덜란드는 자유무역을 기반으로 상품 경쟁력이 높았고, 잉글랜드의 전통 시장에서도 네덜란드의 무역이 성장했다.[129] 30년 전쟁 종결은 네덜란드 해운의 봉쇄 해제와 운임 하락을 가져와 네덜란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더욱 높였다.[130] 스페인과의 관계 정상화로 양국 무역이 재개된 반면, 잉글랜드는 여전히 스페인과의 무역에 제한을 받았다.[131] 1651년경 잉글랜드는 경기 침체를 겪었다.[131]
청교도 혁명 발발에 따른 잉글랜드 내전은 네덜란드 통상에 유리하게 작용했다.[132] 1649년 의회는 찰스 1세를 처형하고, 1651년까지 왕당파와 전쟁을 치렀다.[132] 잉글랜드 의회는 무역위원회를 설립하고, 왕당파 식민지와의 무역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했다.[132] 이는 네덜란드를 겨냥한 항해법의 전신이었다.[132] 잉글랜드인들은 네덜란드가 잉글랜드 내전의 혼란을 이용한다고 비난했다.[133]
다운스 해전 승리로 자신감을 얻은 네덜란드 해군은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규모가 감소했다.[134] 많은 선박이 매각되었고, 제1차 영란 전쟁 발발 당시 네덜란드 해군은 79척만 보유했으며, 수리 상태도 좋지 않았다.[134] 반면, 잉글랜드 연방 해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승리하며 강력하고 효율적으로 성장했다.[134] 로버트 블레이크는 포르투갈 함대를 격파하고 왕당파 요새를 공략했다.[134] 잉글랜드 해군은 1650년 법으로 상선에 세금을 부과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1649년부터 1651년 사이에 해군을 확장, 개선했다.[134] 잉글랜드는 네덜란드 최대 선박보다 화력이 뛰어난 선박을 18척이나 보유했다.[134]
3. 1. 헤이그 특사 파견과 협상 결렬
1651년 항해법 통과로 영국과 네덜란드 간의 상업적 긴장이 고조되었다.[30] 이 법은 네덜란드의 대(對)영국 식민지 무역을 영국 선박으로 제한하고, 영국 항구로 들어오는 모든 화물 운송에 영국 선박 사용을 강제했다.[3] 네덜란드는 이를 자국 경제에 대한 종속으로 간주하고 반발했다.[31][32] 1651년, 140척의 네덜란드 상선이 나포되었고, 1652년 1월에만 30척이 영국 항구로 끌려갔다.[3] 네덜란드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 의회는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다.[3]잉글랜드 내전 동안 네덜란드 총독 프레데리크 헨리는 잉글랜드의 찰스 1세에게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33] 그러나 연방의회는 중립을 유지하며 양측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피했다.[34] 프레데리크 헨리 사후, 그의 아들 빌럼 2세는 총독 권한 확대를 시도하며 영국 왕당파를 지원하려 했으나, 공화주의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37][39]
1650년 11월 빌럼 2세의 사망은 네덜란드 내 권력 구도를 변화시켰다.[43] 빌럼 2세는 찰스 2세 망명자를 지원하기 위해 군사적 행동도 불사하려 했으나, 암스테르담 장악 시도 실패 직후 사망했다.[43][44] 그 결과, 홀란트 주를 중심으로 공화주의 운동이 강화되었고, 제1차 총독 부재 시대가 시작되었다.[45]
한편, 잉글랜드에서는 라트민 전투, 드라호다 포위전, 던바 전투 등에서 의회파가 승리하면서 군부의 영향력이 커졌다.[41] 로버트 블레이크는 왕당파 함대를 격파하고 실리 제도, 맨 섬, 채널 제도 등을 점령했다.[58][62]
우스터 전투 승리에 고무된 잉글랜드 의회는 1651년 10월 항해법을 통과시켰다.[4] 이는 잉글랜드와 상품 원산지 국가 선박 외에는 잉글랜드로의 상품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였다.[4] 몽크 장군은 "네덜란드는 너무 많은 무역을 하고 있고, 잉글랜드는 그것을 빼앗을 결심을 했다"라고 언급했다.[63] 1652년 초, 조지 에이슈는 왕당파 식민지 바베이도스와 무역하던 네덜란드 선박 27척을 나포했다.[64] 1651년 10월부터 1652년 7월 사이에 100척 이상의 네덜란드 선박이 잉글랜드 사략선에 의해 나포되었다. 네덜란드 연방 의회는 1652년 3월 3일, 150척의 상선을 무장하여 군함으로 개조하기로 결정했다.[64] 홀란드 주는 이 조치가 방어적 의도임을 강조했지만, 잉글랜드는 이를 도발로 간주했다.[64]
4. 전쟁의 발발
1652년, 잉글랜드 의회는 네덜란드에 전쟁을 선포했다. 잉글랜드는 전쟁을 준비했지만, 양국 모두 완벽하게 준비된 상태는 아니었다. 1652년 5월 29일, 도버 해협 근처 도버에서 네덜란드 해군 중장 마르턴 트롬프와 잉글랜드 해군 제독 로버트 블레이크가 우연히 마주쳤다. 올리버 크롬웰의 칙령에 따라 북해나 해협의 모든 외국 함대는 경례를 위해 깃발을 내려야 했다. 트롬프가 깃발을 내리지 않자 블레이크가 발포했고, 도버 해전이 벌어졌다. 트롬프는 선박 2척을 잃었지만, 호송대는 안전하게 지켰다.[65][66]
홀란트 주는 전쟁을 막기 위해 대(大) 펜서너리 아드리안 파우를 런던으로 보냈지만, 잉글랜드의 과도한 요구에 실패했다. 1652년 7월 10일, 잉글랜드 의회는 전쟁을 선포했다. 네덜란드 외교관들은 위기를 직감했고, 네덜란드 오라니스트들은 전쟁을 통해 권력을 잡을 수 있다고 예상하며 전쟁을 반겼다.
전쟁 초기, 잉글랜드는 네덜란드 호송대를 공격했다. 블레이크는 북해에서 네덜란드 어업과 발트해 무역을 방해했고, 에이스큐는 해협을 경비했다. 1652년 7월 12일, 에이스큐는 네덜란드 호송대를 공격하여 상선 7척을 나포하고 3척을 파괴했다. 트롬프는 에이스큐를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1652년 8월 26일 플리머스 해전에서 미힐 데 로이터르가 지휘하는 네덜란드 호송대가 에이스큐의 공격을 막아내고 탈출했다. 에이스큐는 지휘권을 박탈당했고, 데 로이터르는 첫 독립 지휘에서 명성을 얻었다.[67][68]
트롬프는 해임되고 비테 데 위트가 지휘권을 이어받았다. 1652년 10월 8일 켄티시 노크 해전에서 네덜란드는 잉글랜드를 공격했지만, 큰 피해를 보고 격퇴되었다.[69][70] 잉글랜드는 병력을 분산했고, 12월 던지스 해전에서 트롬프에게 패배했다. 1653년 3월 리보르노 해전에서 잉글랜드 지중해 함대는 큰 피해를 보았다.[71] 네덜란드는 해협, 북해, 지중해를 효과적으로 통제했고, 잉글랜드 선박은 항구에 봉쇄되었다. 올리버 크롬웰은 네덜란드와 비밀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1653년 2월, 아드리안 파우는 평화 의사를 전달했지만, 협상은 1년 가까이 진전되지 않았다.[72][73]
1653년 포틀랜드 해전에서 잉글랜드는 네덜란드를 격파하고 해협에서 몰아냈다.[75] 1653년 3월, 로버트 블레이크는 함대 전술을 담은 항해 및 전투 지침을 작성했다.[77] 1653년 6월 개버드 해전에서 잉글랜드는 장거리 포격전으로 네덜란드를 격파하고 봉쇄를 유지했다.[78]
1653년 3월, 홀란트 주는 평화 제안서를 보냈지만, 잉글랜드 의회의 해산 등으로 협상은 지지부진했다.[80] 1653년 12월, 국가 평의회는 협상 재개를 요청했고, 1654년 5월 크롬웰은 네덜란드 사절을 접수했다.[81] 요한 데 비트는 평화 협상을 위해 사절을 파견했고, 크롬웰은 항해법 폐지를 거부하며 네덜란드 공화국이 오라녜 가문의 지배를 받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2]
크롬웰은 네덜란드와의 정치적 연합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했고,[83] 스페인과의 전쟁을 계획하며 네덜란드와의 갈등을 피하고자 했다.[84] 크롬웰은 스페인에 대항하는 군사 동맹과 항해법 폐지를 제안했지만, 네덜란드는 이를 거부했다.[85] 크롬웰은 27개 조항을 제안했지만, 네덜란드는 왕당파 추방과 덴마크 포기 조항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86] 결국 25개 조항이 평화의 기초가 되었다.
잉글랜드 해군은 북해 장악을 시도했고, 6월 개버드 해전에서 네덜란드를 격파하고 네덜란드 해안을 봉쇄하여 네덜란드 경제를 마비시켰다.[87][88] 8월 스헤베닝겐 해전에서 네덜란드는 잉글랜드 봉쇄 돌파를 시도했지만, 큰 피해를 보고 마르턴 트롬프가 사망했다.[89] 잉글랜드는 봉쇄를 포기해야 했다.[90] 트롬프의 죽음은 네덜란드 사기를 저하시켰고, 잉글랜드에서도 전쟁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이 높아졌다. 9월, 비테 데 위트 휘하의 네덜란드 함대는 동인도에서 온 귀중한 상품을 운송하며 해상 노선 재개통을 보여주었다.
덴마크와의 동맹으로 네덜란드는 발트해 지역에서 잉글랜드 무역을 종식시켰다.[91] 지중해와 동인도에서도 네덜란드가 우위를 점했다. 잉글랜드는 네덜란드의 통상 약탈로 인해 많은 상선을 잃었다.[91]
네덜란드는 잉글랜드보다 3배나 큰 상선대를 보유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1,000~1,700척의 선박을 잃었다.[92] 이는 네덜란드 상선의 8%에 해당하며, 잉글랜드 상선대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였다.[92] 네덜란드는 강제 징병 금지로 인해 함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고,[93] 네덜란드령 브라질을 재정복하려는 포르투갈을 막을 수 없었다.[94] 홀란트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해운 사업이 중단되고 실업자가 증가했다.[95] 결국 네덜란드는 크롬웰의 조건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96]
1654년 3월, 평화 협상이 재개되었고, 크롬웰은 오렌지 공의 정부 임명 제외를 요구했다.[97] 네덜란드는 이를 수용했고, 1654년 4월 15일 웨스트민스터 조약이 체결되었다.
4. 1. 전쟁의 직접적 원인
1651년 항해법은 잉글랜드 식민지와의 무역을 잉글랜드 선박으로 제한하여, 네덜란드의 중계 무역에 큰 타격을 주었다.[30][3][31][32] 1651년부터 1652년까지 잉글랜드 해군과 사략선은 수백 척의 네덜란드 상선을 나포하며 네덜란드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했다.[3] 연방의회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 의회는 네덜란드 선박 나포를 억제할 의향을 보이지 않았다.[3]잉글랜드 내전 동안, 네덜란드 총독 프레데리크 헨리는 잉글랜드의 찰스 1세에게 상당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나,[33][34] 연방의회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33][34] 프레데리크 헨리 사후, 그의 아들 빌럼 2세는 찰스 1세가 처형된 후 영국 왕당파를 지원하려 했으나, 1650년 11월에 사망했다.[37][38][39][43]
1651년 1월, 잉글랜드 국가 평의회는 네덜란드와의 동맹을 위한 대사관을 헤이그에 파견했으나,[49] 잉글랜드 대표단은 네덜란드의 적대감을 확인하고 돌아왔다.[52] 우스터 전투 이후 잉글랜드 의회 내 강경파가 득세하면서 네덜란드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53]
이러한 상황에서 1652년 5월 29일 도버 해협에서 발생한 도버 해전은 양국 함대 간의 충돌로, 전쟁 발발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65][66]
4. 2. 양국의 해군력 비교
80년 전쟁에서 네덜란드 함대는 스페인 함대에 맞서는 전투, 상선 호송, 어선 보호, 됭케르크의 사략선 대응이라는 세 가지 임무를 수행했다.[13] 이 중 상선 호송과 어선 보호에는 전투력보다 많은 수의 소형 군함이 필요했다.[14] 1639년 다운스 해전에서 스페인 함대에 승리하고 1648년 평화 조약을 맺은 후,[15] 주요 군함의 필요성은 줄었지만, 지중해, 동인도, 카리브해로의 호송을 위해 소형 군함은 여전히 필요했다. 재정난을 겪던 네덜란드 제독청은 함대, 특히 주요 군함의 노후화를 방치했다.[16]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직전, 네덜란드 공화국은 자치 제독청 함선, "이사 함선"(directieschepen),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함선, 고용된 상선 등 네 가지 방식으로 군함을 조달했다.[17],[18],[20],[21] 그러나 동인도 회사 선장들은 해군 규율에 익숙하지 않았고, 이사 함선과 고용된 상선 지휘관의 자질은 천차만별이었다.[20],[19]
1648년 이후 제독청은 마르턴 트롬프 제독의 기함 Aemilia를 포함한 많은 대형 함선을 매각했다. 트롬프는 Brederode로 기함을 옮겨야 했다. 1652년까지 네덜란드 제독청은 79척의 함선만 보유했고,[3] 이 중 상당수는 상태가 좋지 않아 50척 미만이 항해 가능했다.[22] 이 함선들은 화력 면에서 가장 큰 영국 1급 및 2급 함선보다 열등했다.[23] 네덜란드 해군의 수적 부족은 상선을 무장시켜 보충했다.

반면, 영연방 시대의 영국 해군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전쟁에서 크롬웰 군대를 지원하고, 라인강의 루퍼트 공의 왕당파 함대를 리스본에 봉쇄하며, 상업을 보호하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었다.[25]
영국 함대는 네덜란드 함대보다 1급과 2급의 더 큰 함선을 보유했지만, 프리깃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영국 함대는 주요 작전 수행을 위해 설계되었고, 호송 호위나 사략선과의 전투는 부차적이었다.[26] 1급 및 2급 함선에는 ''Resolution'', ''Sovereign'' 등 노후 함선과 ''Richard'', ''Dunbar'' 등 영연방 시대에 건조된 함선이 포함되었다.[27] 1649년에서 1651년 사이에 영국 함대에는 트롬프의 새 기함 ''브레데로데''보다 화력이 뛰어난 함선 18척이 포함되었다.[28] 영국 함선은 전열 전투를 위해 건조되어 다른 유럽 해군 함선보다 무겁게 무장했으며, 대포를 위한 자유 현측과 악천후 속에서 하부 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희생했다.[29] 영국 함선은 더 먼 거리에서 사격하고 명중시킬 수 있었으며, 사슬탄보다 원탄 사용을 선호했다.

대규모 승무원 필요성은 함대 규모의 제약 요인이었다. 영국은 더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강제 징집을 통해 네덜란드보다 더 많은 완전한 승무원을 유지할 수 있었다.[24]
5. 주요 해전과 전투
도버 해전은 1652년 5월 29일에 발발하여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로버트 블레이크가 이끄는 잉글랜드 함대가 마르턴 트롬프가 이끄는 네덜란드 함대와 충돌하여 잉글랜드가 승리했다.[66]
플리머스 해전은 1652년 8월 26일에 벌어졌다. 미힐 더 레이테르 제독이 이끄는 네덜란드 함대가 준제독과 동등한 계급인 '사령관'이 지휘하는 잉글랜드 함대를 격파하고 첫 독립 지휘에서 명성을 얻었다.[67][68]
켄티시 노크 해전은 1652년 10월 8일에 템스 강 어귀 근처에서 벌어졌다. 네덜란드 함대가 잉글랜드 함대를 공격했으나, 많은 사상자를 내고 격퇴되었다.[69][70]
던지니스 해전은 1652년 12월에 벌어졌다. 마르턴 트롬프 제독이 이끄는 네덜란드 함대가 잉글랜드 함대를 격파했다.[71]
리보르노 해전은 1653년 3월에 지중해에서 벌어졌으며, 네덜란드가 승리했다.[71]
포틀랜드 해전은 1653년 2월 28일에 시작되어 3일간 벌어졌다. 잉글랜드 함대가 네덜란드 함대를 격파하고 해협에서 몰아냈다.[75]
개버드 해전은 1653년 6월에 벌어졌다. 잉글랜드 함대가 네덜란드 함대를 격파하고 북해 해상 봉쇄를 시작했다.[87][88]
스헤베닝겐 해전은 1653년 8월에 벌어진 전쟁의 마지막 대규모 해전이었다. 잉글랜드가 전술적으로 승리했지만, 마르턴 트롬프 제독이 전사했다.[89] 네덜란드 함대는 텍셀로 퇴각했고, 잉글랜드는 봉쇄를 포기해야 했다.[90]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1654년 웨스트민스터 조약으로 전쟁은 종결되었다. 이 조약에서 네덜란드는 잉글랜드의 항해법을 인정하고, 암보이나 학살에 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99] 또한, 오라녜 가문의 빌럼 3세가 네덜란드 총독직을 맡지 못하도록 하는 비밀 조항(배제령)이 포함되었다.[102][103]
네덜란드가 가혹한 평화 조건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올리버 크롬웰의 관대함과 더불어, 전쟁으로 인한 영국의 경제적 피해 및 해상 경제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었다.[98]
6. 1. 전쟁의 장기적 영향
잉글랜드는 평화 조약으로 약간의 이득을 얻었지만, 네덜란드에 어떤 양보도 강요하지 못했고, 네덜란드 공화국의 강력한 상업적 지위는 대체로 유지되었다. 결국 두 국가 간의 경쟁은 해결되지 않았다.[105] 특히 새로 등장한 해외 식민지에서 네덜란드와 잉글랜드 무역 회사 간의 적대 행위는 계속되었으며, 이들 회사는 자체적으로 군함과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잉글랜드는 네덜란드로부터 압수한 새로운 배를 이용하여 네덜란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선대를 운용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플라이보트(flyboat)를 더 많이 건조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네덜란드 역시 전열함의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주요 조선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이는 켄티쉬 노크, 가바드 및 스헤베닝겐 해전에서 분명히 드러났다. 이후 해군성은 이 60척의 새로운 배를 판매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했다. 1665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네덜란드는 이전보다 훨씬 더 잘 준비되어 있었다.[105]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웹사이트
August 1650: An Act for the Advancing and Regulating of the Trade of this Commonwealth
http://www.british-h[...]
[11]
서적
History of Domestic and Foreign Commerce of the United States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2]
서적
An historical and chronological deduction of the origin of commerce
https://books.google[...]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The First Modern Economy. Success, Failure, and Perseverance of the Dutch Economy, 1500-1815
Cambridge U.P.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England Under the Stuart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12
[96]
서적
Anglo-Dutch Relations, 1654-166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60
[97]
웹사이트
Acte van Seclusie, een gesouffleerd Cromwell Initiatief?
https://web.archive.[...]
[98]
서적
[99]
서적
A History of British India
https://archive.org/[...]
Longman, Green & Co
[100]
서적
England's Quest of Eastern Trade
Taylor & Francis
[101]
학술지
art. IV The Dominion of the Seas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문서
[107]
서적
佐藤(1998)
[108]
웹사이트
First Anglo-Dutch War (1652-1654)
http://www.historyof[...]
2000-12-11
[109]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3
1972
[110]
서적
Israel
1995
[111]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3
1972
[112]
서적
Israel
1995
[113]
서적
Israel
1995
[114]
서적
Israel
1995
[115]
서적
Israel
1995
[116]
서적
Israel
1995
[117]
문서
[118]
서적
Israel
1995
[119]
서적
佐藤
1998
[120]
문서
[121]
서적
岩井
1998
[122]
서적
岩井
1998
[123]
웹사이트
ミヒール・アドリアンスゾーン "デ・ロイテル"(Michiel Adriaenszoon de Ruyter 1607-1676) その3
http://matsumat.web.[...]
[124]
문서
[125]
서적
Kennedy
1976
[126]
문서
[127]
웹사이트
イギリス・オランダ戦争
https://kotobank.jp/[...]
[128]
서적
Israel
1995
[129]
서적
Israel
1995
[130]
서적
Israel
1995
[131]
서적
Israel
1995
[132]
웹사이트
Chapter III - The Commercial Policy of England Toward the American Colonies: the Acts of Trade
https://www.questia.[...]
2016-06-25
[133]
서적
An historical and chronological deduction of the origin of commerce
https://books.google[...]
1764
[134]
서적
Israel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