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시키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시키르어는 주로 러시아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튀르크어의 일종이다. 1989년에는 약 104만 7천 명이 바시키르어를 사용했으며, 2002년에는 137만 9천 명이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 바시키르어는 타타르어와 어휘의 94.9%가 유사하며, 킵차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바시키르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아랍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한 역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시키르 공화국 -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은 남부 우랄 지대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공화국으로, 산악 지대와 다양한 자연환경을 가지며 러시아인, 바시키르인, 타타르인이 거주하고 러시아어와 바시키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수도는 우파이다. - 바시키르 공화국 - 바시키르 국립대학교
바시키르 국립대학교는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에 위치하며 여러 도시에 분교를 두고 있고, 시인 무스타이 카림, 바이애슬론 선수 막심 추도프 등 유명 인사를 배출했다. - 에스토니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에스토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바시키르어 | |
---|---|
기본 정보 | |
![]() | |
자칭 | Башҡорт теле (바슈코르트 텔레) |
발음 | IPA: [bɑʂˈqʊ̞rt tɪ̞ˈlɪ̞] |
사용 국가 |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
사용자 | 바시키르인 |
추정 화자 수 | 750,000명 (2020년 추정) |
언어 분류 | |
어족 | 알타이어족(논쟁 중) |
어계 | 튀르크어족 |
어군 | 킵차크어군 |
하위 어군 | 킵차크-볼가 |
조상 언어 | 볼가 튀르크어 |
공용어 지정 | |
국가 | 바시키르 공화국 (러시아) |
문자 |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바시키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ba |
ISO 639-2 | bak |
ISO 639-3 | bak |
GlottoCode | bash1264 |
Linguasphere | 44-AAB-bg |
언어 활력 | |
상태 | 취약 (UNESCO 지정) |
관련 기관 | |
기관 | http://rihll.com/en/ |
2. 사용자
1989년 인구 조사에서 소비에트 연방의 바시키르어 사용자는 1,047,000명이었으며, 이중 26,737명이 바시키르어를 두 번째 언어로 사용했다. 대략 30만 명의 바시키르족들은 타타르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1]
2002년 인구 통계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내에서 1,379,000명의 화자가 바시키르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화자의 대부분은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 및 인접한 타타르 공화국, 우드무르트 공화국에 거주한다. 또한, 페름 지방, 첼랴빈스크주, 오렌부르크주, 스베르들로프스크주, 쿠르간주, 그리고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에도 화자가 존재한다.[1]
최근 바슈코르토스탄의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공화국 공무원 중 일부는 바시키르어로 문서를 작성할 수 없다고 한다.[1]
2. 1. 대한민국 내 바시키르어 사용자
주어진 자료에는 대한민국 내 바시키르어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 있지 않다.3. 다른 언어와의 관계
바시키르어 단어 중 일부는 핀어족이나 우고르어족에 기원을 두고 있으나 볼가르어의 방언이며, 킵차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현대 바시키르어는 타타르어와 유사하고, 단어의 일부가 킵차크어에서 유래되었다. 과거에는 바시키르어도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15세기에 바시키르인들은 1923년까지 바시키르어 대신 차가타이어(일부 연구자들에 의하면 고대타타르어)를 사용했다. 타타르어와 차가타이어는 모두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3. 1. 음운적 특징
바시키르어는 타타르어와 함께 킵차크 불가르어파(러시아어: кыпчакско-булгарская)에 속한다. 이 언어들은 94.9%의 유사한 어휘를 가지고 있으며,[4] 공통된 기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볼가 튀르크어라는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하지만 바시키르어는 타타르어와 여러 가지 중요한 면에서 다르다.
- 바시키르어는 타타르어(및 다른 튀르크어)의 및 대신 치경 마찰음 및 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바시키르어의 와 는 단어의 시작으로 올 수 없다.(예외는 있다: ҙур – "zur" '큰', 그리고 입자/접속사 ҙа – "za" 또는 ҙә – "zə" . 비슷한 특징을 가진 유일한 다른 튀르크어는 투르크멘어이다. 그러나 바시키르어에서 와 는 와 와 구별되는 두 개의 독립적인 음소인 반면, 투르크멘어에서 [θ]와 [ð]는 공통 튀르크어의 와 의 두 가지 주요 현현이다. 다시 말해, 바시키르어는 와 와 와 를 모두 가지고 있는 반면, 투르크멘어에는 와 음소가 없다.
- 단어의 시작과 형태소의 시작에 위치한 는 로 바뀐다. 두 가지 특징의 예는 타타르어 сүз ''(süz)''와 바시키르어 һүҙ ''(hüz)''인데, 둘 다 "단어"를 의미한다.
- 공통 튀르크어 (타타르어 )는 바시키르어 로 바뀐다. 예를 들어, 터키어 ''ağaç'' , 타타르어 агач ''ağaç'' , 바시키르어 ағас – ''ağas'' 는 모두 "나무"를 의미한다.
- 타타르어의 단어 시작에 오는 는 표준 바시키르어에서 항상 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타타르어 җылы ''cılı'' 와 바시키르어 йылы – ''yılı'' 는 둘 다 "따뜻한"을 의미한다. 하지만 바시키르어의 동부 및 북부 방언은 > /~/ 변이를 보인다.
바시키르어 정서법은 더 명확하다. 와 는 자체 문자 '''Ҡ ҡ'''과 '''Ғ ғ'''으로 쓰이는 반면, 타타르어에서는 와 의 위치적 이음으로 취급되어 '''К к'''과 '''Г г'''로 쓰인다.
바시키르어의 순음 모음 조화는 명시적으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타타르어 тормышым ''tormışım''과 바시키르어 тормошом – ''tormoşom''은 둘 다 으로 발음되며 "내 삶"을 의미한다.[5]
4. 문자
바시키르인들은 10세기부터 이슬람교를 받아들여, 여러 세기 동안 문어로서 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쓰인 튀르키어를 사용했다.[5]
1923년에는 바시키르어를 위해 특별히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가 만들어졌다. 이와 함께 이전의 튀르크어의 영향을 벗어나 바시키르 문학어가 창조되었다. 처음에는 수정된 아랍 알파벳을 사용했으나, 1930년에 통일 튀르크 라틴 문자로, 1939년에는 개량된 키릴 문자 알파벳으로 대체되었다.[5]
현대 바시키르어 알파벳은 러시아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며, Ә ә, Ө ө, Ү ү, Ғ ғ, Ҡ ҡ, Ң ң, Ҙ ҙ, Ҫ ҫ, Һ һ 문자가 추가되었다.[5]
4. 1. 바시키르어 알파벳
1923년, 바시키르어는 고유한 쓰기 체계를 만들었다. 1930년에 라틴 문자를 사용했지만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기본 키릴 문자 이외에 바시키르어에서 쓰이는 문자는 Ә ә Ө ө Ү ү Ғ ғ Ҡ ҡ Ң ң Ҙ ҙ Ҫ ҫ Һ һru이다.[6]문자 | 발음 | 문자 | 발음 | 문자 | 발음 |
---|---|---|---|---|---|
Аа (а) | [a] | Бб (бэ) | [b] | Вв (вэ) | [v] |
Гг (гэ) | [ɡ] | Ғғ (ғы) | [ɣ] | Дд (дэ) | [d] |
Ҙҙ (ҙэ) | [ð] | Ее (йе) | [ɪ̞], [jɪ̞] | Ёё (йо) | [jʊ̞] |
Жж (жэ) | [ʐ] | Зз (зэ) | [z] | Ии (и) | [i] |
Йй (ҡыҫҡа и) | [j] | Кк (ка) | [k] | Ҡҡ (ҡы) | [q] |
Лл (эль) | [l] | Мм (эм) | [m] | Нн (эн) | [n] |
Ңң (эң) | [ŋ] | Оо (о) | [ʊ̞] | Өө (ө) | [ʏ̞] |
Пп (пэ) | [p] | Рр (эр) | [r] | Сс (эс) | [s] |
Ҫҫ (ҫэ) | [θ] | Тт (тэ) | [t] | Уу (у) | [u] |
Үү (ү) | [y] | Фф (эф) | [f] | Хх (ха) | [x] |
Һһ (һа) | [h] | Цц (цэ) | [ʦ] | Чч (чэ) | [ʨ] |
Шш (ша) | [ʂ] | Щщ (ща) | [ɕ] | Ъъ (ҡатылыҡ билдәһе) | [ʔ] |
Ыы (ы) | [ɯ] | Ьь (йомшаҡлыҡ билдәһе) | [ʲ] | Ээ (э) | [ɪ̞] |
Әә (ә) | [æ] | Юю (йу) | [ju] | Яя (йа) | [ja] |
colspan="2"|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비음 | м (m) | н (n) | ң (ñ) | ң (ñ) | ||||
파열음 | 무성음 | п (p) | colspan="2" | т (t) | к (k) | к (k) | ҡ (q) | ь/ъ (’) | |
유성음 | б (b) | colspan="2" | д (d) | г (g) | г (g) | | | |||
마찰음 | 무성음 | ф (f) | ҫ (ś) | с (s) | ш (ş) | х (x) | һ (h) | |
유성음 | б (b) | в (v) | ҙ (ź) | з (z) | ж (j) | ғ (ğ) | ||
전동음 | | | р (r) | | | | ||||||
접근음 | | | л (l) | й (y) | у/ү/в (w) | | |
5. 음운
바시키르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닿소리로 구성된다. 모음과 닿소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모음과 닿소리 부분을 참고하라.
5. 1. 모음
바시키르어에는 9개의 고유 모음과 3~4개의 차용 모음(주로 러시아어 차용어)이 있다.[6]음성적으로 고유 모음은 다음과 같다(키릴 문자는 ⟨⟩안의 일반적인 라틴어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다).[7]
러시아어 차용어에는 , , 및 가 있으며, 이는 고유 모음과 동일하게 '''ы, е/э, о, а'''로 표기된다.[6]
5. 2. 닿소리
colspan="2" | | 양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м ⟨m⟩ | н ⟨n⟩ | ң ⟨ñ⟩ | |||||
파열음 | 무성음 | п ⟨p⟩ | т ⟨t⟩ | к ⟨k⟩ | ҡ ⟨q⟩ | |||
유성음 | б ⟨b⟩ | д ⟨d⟩ | г ⟨g⟩ | |||||
마찰음 | 무성음 | ҫ ⟨ś⟩ | с ⟨s⟩ | ш ⟨ş⟩ | х ⟨x⟩ | һ ⟨h⟩ | ||
유성음 | ҙ ⟨ź⟩ | з ⟨z⟩ | ж ⟨j⟩ | ғ ⟨ğ⟩ | ||||
전동음 | р ⟨r⟩ | |||||||
접근음 | л ⟨l⟩ | й ⟨y⟩ | у/ү/в ⟨w⟩ |
6. 문법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바시키르어는 교착어이며, SOV 어순을 따른다.[6][9] 바시키르어 어휘는 대부분 튀르크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러시아어, 아랍어, 페르시아어에서 빌려온 단어들도 많다.[5]
러시아어 | 아랍어 | 페르시아어 | ||||||
---|---|---|---|---|---|---|---|---|
바시키르어 | 어원 | 번역 | ||||||
минут (minut) | "минута" (minuta)에서 | 분 | ваҡыт (vaqıt) | وَقْت|와크트ar에서 | 시간 | дуç (duś) | دوست|도스트fa에서 | 친구 |
өçтәл (öśtəl) | "стол" (stol)에서 | 테이블, 책상 | вәғәҙә (vəğəźə) | وَعْدَ|와아다ar에서 | 약속 | һәр (hər) | هر|하르fa에서 | 매 |
сыр (sır) | "сыр" (syr)에서 | 치즈 | йәннәт (yənnət) | جَنَّة|잔나ar에서 | 낙원 | көмбәҙ (kömbəź) | گنبد|곤바드fa에서 | 돔 |
바시키르어에서 명사는 복수 접미사와 격변화를 통해 굴절되며, 대명사 역시 격변화를 한다.[5]
6. 1. 명사 굴절
바시키르어에서 명사는 복수 접미사와 격변화를 통해 굴절된다. 복수 접미사는 앞에 오는 문자에 따라 달라지며, 자음과 모음에 따라 여러 형태가 존재한다.[5]접미사 자음 | |||
---|---|---|---|
-лар, -ләр | и (iy)를 제외한 모든 모음 뒤 | баҡса (baqsa), "정원" | сәскә (səskə), "꽃" |
-тар, -тәр | 대부분 경자음 뒤 – б (b), д (d), г (g), ф (f), х (x), һ (h), к (k), ҡ (q), п (p), с (s), ш (ş), ç (ś), т (t) | дуç (duś), "친구" | төç (töś), "색상" |
-ҙар, -ҙәр | 근사음 및 일부 기타 – ҙ (ź), и (iy), р (r), у/ү (w), й (y) 뒤 | тау (taw), "산" | өй (öy), "집" |
-дар, -дәр | 비음 및 일부 기타 – ж (j), л (l), м (m), н (n), ң (ñ), з (z) 뒤 | һан (han), "숫자" | көн (kön), "날" |
모음의 경우 "а" (뒷 모음 "а" (a), "ы" (ı), "о" (o), "у" (u) 뒤에 옴)와 "ә" (앞 모음 "ә" (ə), "е" (e), "и" (i), "ө" (ö), "ү" (ü) 뒤에 옴)의 2가지 구분법이 있다. "һыу" (hıw, "물") 또는 "ҡом" (qom, "모래")과 같이 복수 형태로 사용될 가능성이 낮은 명사도 존재한다.[5]
격변화는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탈격의 6가지 격에 따라 이루어지며, 각 격은 특정한 접미사를 통해 표시된다. 격 접미사는 명사의 끝 자음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5]
접미사 | 자음 변화 ("복수" 표 참조) | 복수 접미사 뒤 | 예시 | |
---|---|---|---|---|
주격 | colspan="4" | | |||
소유격 | -нең | "н" (n), "д" (d), "т" (t) 및 "ҙ" (ź) | -ҙең | телдең (teldeñ), "언어의" |
-ның | -ҙың | баштың (baştıñ), "머리의" | ||
-ноң | -ҙың | тоҙҙоң (toźźoñ), "소금의" | ||
-нөң | -ҙең | төштөң (töştöñ), "꿈의" | ||
여격 | -гә | rowspan="4" | | -гә | телгә (telgə), "(~에게) 언어" |
-кә | төшкә (töşkə), "(~에게) 꿈" | |||
-ға | -ға | тоҙға (toźğa), "(~에게) 소금" | ||
-ҡа | башҡа (başqa), "(~에게) 머리" | |||
대격 | -не | "н" (n), "д" (d), "т" (t) 및 "ҙ" (ź) | -ҙе | телде (telde), "언어" |
-ны | -ҙы | башты (baştı), "머리" | ||
-но | -ҙы | тоҙҙо (toźźo), "소금" | ||
-нө | -ҙе | төштө (töştö), "꿈" | ||
처격 | -лә | "л" (l), "д" (d), "т" (t) 및 "ҙ" (ź) | -ҙә | телдә (teldə), "언어 안에서" |
-ла | -ҙа | башта (başta), "머리 안에서" | ||
탈격 | -нән | "н" (n), "д" (d), "т" (t) 및 "ҙ" (ź) | -ҙән | телдән (teldən), "언어로부터" |
-нан | -ҙан | баштан (baştan), "머리로부터" |
대명사 역시 격변화를 하며,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인다.[5]
7. 역사적 배경
바시키르인의 조상은 핀우고르족으로 여겨지지만, 그들은 상당히 초기부터 불가르어를 수용했다. 몽골의 정복 이후에는 조치 울루스의 여러 부족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던 킵차크 튀르크어가 보급되었고, 바시키르인도 타타르어를 기록 언어로 사용했다. 15세기 이후에는 바시키르인 사이의 기록 언어는 차가타이어가 되었다.
바시키르어는 오랫동안 정서법을 갖지 못하고 인접한 타타르어의 강한 영향 아래 있었지만, 1923년에는 아라비아 문자를 사용한 최초의 바시키르어 정서법이 제정되었고, 타타르어로부터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30년에는 라틴 문자, 1938년에는 키릴 문자에 의한 정서법으로 바뀌었다.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Education ESL
2008
[2]
웹사이트
Bashkir
[3]
웹사이트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unesdoc.unes[...]
2010
[4]
뉴스
Братья навек: татарский и башкирский языки совпадают на 95 процентов
https://milliard.tat[...]
Миллиард Татар
[5]
간행물
Bashkirskiy jazyk
https://ia902703.us.[...]
Bashkirsiy Gosudarstvennyy Universitet RB
2022
[6]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archive.org/[...]
Routledge
[7]
서적
Bashkir Manual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8]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archive.org/[...]
Routledge
[9]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Bashkir Language
http://www.transpare[...]
Transparent Language
2011-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