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환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명환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투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서울청구초등학교, 충암중학교, 충암고등학교를 거쳐 1996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배영수, 손민한과 함께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투수로 평가받았다. OB 베어스, 두산 베어스를 거쳐 2007년 LG 트윈스로 이적했으나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2013년 NC 다이노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4년에는 통산 1,400탈삼진을 달성하기도 했다. 2011년 은퇴 후 고양 다이노스 투수 보조코치, 성남 블루팬더스 투수 코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도핑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출전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 - 권광민
권광민은 2008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시카고 컵스, 질롱 코리아, 스코어본 하이에나들을 거쳐 2022년 한화 이글스에 재입단하여 1군 무대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 - 김동규 (야구 선수)
김동규는 2023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했으며, 서울청구초등학교, 영남중학교, 성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23년과 2024년 두 시즌 동안 6경기에 출전한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 대불대학교 동문 - 김진수 (야구인)
김진수는 1998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두산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은퇴 후에는 배터리 코치로 활동한 전 KBO 리그 포수 출신 야구 선수이다. - 대불대학교 동문 - 서인국
서인국은 《슈퍼스타K 1》 우승 이후 가수로 데뷔하여 배우로 활동하며, 드라마와 앨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도핑 위반 선수 - 김재환 (야구 선수)
김재환은 두산 베어스 소속의 프로 야구 외야수로, 2008년 포수로 입단하여 외야수로 전향 후 장타력을 바탕으로 주전으로 활약하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고,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금지약물 복용 징계와 메이저 리그 진출 실패 후 FA 재계약을 맺었다. - 대한민국의 도핑 위반 선수 - 최진행
최진행은 2004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2020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중심 타자로 활약했으나 부상, 부진, 도핑 징계 등을 겪었고, 2018년에는 주장을 역임했으며, 방출 후에는 유소년 야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박명환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박명환 |
영어 표기 | 해당 정보 없음 |
소속 구단 | 해당 정보 없음 |
등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 | |
출신지 | 서울특별시 |
생년월일 | 1977년 6월 7일 () |
사망일 | 해당 정보 없음 |
신장 | 186 |
체중 | 92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투수 |
프로 입단 연도 | 1995년 |
드래프트 순위 | 고졸 우선 지명 |
첫 출장 | 1996년 4월 16일 |
마지막 출장 | 2015년 9월 24일 |
연봉 | 해당 정보 없음 |
대표팀 | 대한민국 |
경력 | |
선수 경력 | 충암고등학교 OB 베어스/두산 베어스 (1996년 - 2006년) LG 트윈스 (2007년 - 2012년) NC 다이노스 (2014년 - 2015년) |
코치 경력 | NC 다이노스 (2016년) 성남 블루팬더스 (2017년 - 2018년) |
수상 경력 | |
올림픽 | 해당 정보 없음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06년 |
선출 국가 | 해당 정보 없음 |
선출 년도 | 해당 정보 없음 |
득표율 | 해당 정보 없음 |
선출 방법 | 해당 정보 없음 |
한국 인물 정보 | |
이름 | 박명환 |
로마자 표기 | Bak Myeong-hwan |
한글 | 박명환 |
한자 | 朴明桓 |
가타카나 | 박・미ョン환 |
알파벳 표기 (본인 표기) | Park, Myung Hwan |
야구 선수 정보 (한국어) | |
선수명 (원어) | Park Myung-Hwan |
소속 구단 | 대구고등학교 |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생년월일 | 1977년 6월 7일 () |
사망일 | 해당 정보 없음 |
신장 | 186 |
체중 | 92 |
수비 위치 | 투수코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입단 연도 | 1996년 |
드래프트 순위 | 1996년 고졸우선지명(OB 베어스) |
첫 출장 (KBO) | KBO / 1996년 4월 16일 전주 대 쌍방울전 선발 |
마지막 경기 (KBO) | KBO / 2015년 9월 3일 마산 대 두산전 구원 |
획득 타이틀 | 200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04년 KBO 평균자책점, 탈삼진 1위 |
계약금 | 해당 정보 없음 |
연봉 | 해당 정보 없음 |
선수 경력 | OB 베어스 (1996년 ~ 1998년) 두산 베어스 (1999년 ~ 2006년) LG 트윈스 (2007년 ~ 2012년) NC 다이노스 (2014년 ~ 2015년) |
코치 경력 | 고양 다이노스 투수 보조코치 (2016년) 성남 블루팬더스 투수코치 (2016년 ~ 2018년) 경남대학교 투수코치 대구고등학교 투수코치 |
기타 경력 | 크리에이터 (2020년 ~ 현재)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06년 |
아시안 게임 | 2002년 부산 |
메달 틀 | }} |
메달 스포츠 | 남자 야구 |
메달 경기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해당 정보 없음 |
메달 경기 (아시안 게임) | 해당 정보 없음 |
2. 선수 시절
1995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충암고등학교 소속으로 6경기에 등판, 42.2이닝 동안 4자책점, 50탈삼진, 평균자책점 0.84를 기록하며 팀 우승을 이끌고 최우수 선수상을 받았다. 이 대회 호투로 서울 지역 고교 최대어로 부상했고,[2] 고려대학교 진학 대신 OB 베어스에 입단했다.
199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고졸 우선 지명을 받고 OB 베어스에 입단,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시속 150km가 넘는 빠른 공과 슬라이더를 구사하는 파워 피처였지만,[3] 프로 초창기에는 변화구 컨트롤에 문제가 있었다. 1996년부터 3년 연속 폭투 1위를 기록했고, 한 시즌에 21개나 기록하기도 했다.[3] 등번호는 27번이었다. 2000년대 초반 배영수(삼성 라이온즈), 손민한(롯데 자이언츠)과 함께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투수로 꼽혔다.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도핑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실격 처리되었다. 이후 IBAF(국제 야구 연맹)으로부터 2년간 국제 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2006년 FA 자격을 얻었으나, 어깨 부상 우려로 두산 베어스와 협상이 결렬되었다. 일본 프로 야구 진출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2006년 시즌 후 FA를 선언, 4년 40억원에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두산 베어스는 보상 선수로 신재웅을 지명했다. 2007년 10승 6패를 기록했지만, 2008년부터 부상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2008년 4월 24일 한화전에서 4.1이닝 7피안타 5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된 후 어깨 통증으로 2군에 내려갔고,[4] 6월 11일 조브 클리닉에서 어깨 수술을 받았다.[5]
2009년 5월 17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389일 만에 1군 복귀, 4이닝 3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지만,[6] 허벅지 통증으로 다시 2군으로 내려가며 시즌을 마감했다.
2010년 4월 24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통산 100승을 거뒀지만,[7] 어깨 부상 재발로 4승 6패, 평균자책점 6점대로 부진했다. LG 트윈스의 연봉제 도입으로 연봉이 90% 삭감된 5000만원에 계약했다. 이는 KBO 리그 역대 최대 삭감폭이다. 2011년에는 재활로 1군에 오르지 못했고, 2012년 방출되었다.
2013년 김병곤 트레이너와 재활 후 NC 다이노스 공개 입단 테스트를 거쳐 연봉 5000만원에 계약하며 복귀했다.[8] 2014년 6월 4일 1,425일 만에 1군에 올라 박헌도를 삼진 처리하며 통산 1,400탈삼진을 기록했다.[9] 2015년에는 2010년 이후 첫 승리 투수가 되었지만, 그 해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서울 출신으로 서울청구초등학교와 충암중학교를 거쳐 충암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충암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95년 제25회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총 6경기에 등판해 42.2이닝 동안 4자책점, 50탈삼진, 평균자책점 0.84를 기록하면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고 최우수 선수상도 수상했다. 이 대회에서 호투하면서 서울 지역 고교 최대어로 부상하게 되었고,[2] 당초 고려대학교에 진학하려던 계획을 수정하여 OB 베어스에 입단하게 되었다.2. 2. OB 베어스 & 두산 베어스 시절
199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고졸 우선 지명을 받고 OB 베어스에 입단했다. 시속 150km가 넘는 빠른 공과 위력적인 슬라이더를 구사하는 파워 피처였지만,[3] 프로 데뷔 초창기에는 변화구 컨트롤에 문제가 있었다. 이는 1996년부터 3년 동안 연속으로 폭투 1위를 한 기록이 증명하며, 많은 때는 한 시즌에 21개나 하기도 했다.[3] 등번호는 27번을 사용했다.2000년대 초반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배영수, 롯데 자이언츠의 손민한과 함께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투수로 꼽혔다.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도핑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실격 처리되었다. 이후 IBAF(국제 야구 연맹)으로부터 2007년 이후 2년간 국제 경기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2006년 오프 시즌에 자유 계약 자격을 얻었으나, 던지는 어깨에 대한 불안과 잦은 부상으로 인해 소속 구단인 두산 베어스는 잔류 협상에 소극적으로 대응했고, 결국 결렬되었다. 이후 일본 프로 야구계 진출을 시도하여 여러 구단과 협상했지만, 만족스러운 조건을 제시받지 못하고 포기했다.
2. 3. LG 트윈스 시절
2006년 시즌 후 일본 진출을 노렸으나 무산되었고, FA를 선언하여 4년 40억원의 조건으로 LG 트윈스에 이적했다. 이 때 두산 베어스는 보상 선수로 투수 신재웅을 지명했다.2007년 이적 첫 해에는 10승 6패를 기록하여 자리잡는 듯했으나, 2008년부터 내리막길을 급격히 걷기 시작했다. 2008년 4월 24일 한화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4.1이닝 동안 7피안타 5실점을 기록하면서 패전 투수가 되었다. 그 경기 후 어깨 통증을 호소하였고 2군에 내려가게 되었다.[4] 2008년 6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조브 클리닉에서 관절경 검사와 어깨 수술을 받았다.[5]
2009년 5월 17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389일만에 1군으로 등판해서, 4이닝 3피안타 2실점을 기록하였다.[6] 그러나 이후 허벅지 통증으로 다시 2군으로 내려가면서 2009년에는 단 4경기만 나오고 1패만 기록하여 또다시 시즌을 접었다.
2010년 4월 24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역대 22번째로 통산 100승을 거두었다.[7] 그러나 이후 어깨 부상 재발 등으로 부진하여 중간에 시즌을 마감했고 4승 6패, 6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게다가 LG 트윈스의 새로운 연봉제 방식이 도입되면서 무려 90%나 삭감된 5000만원에 계약하였다. 이는 역대 KBO 리그 최대 연봉 삭감이다. 2011년에는 재활로 1군에 올라오지 못했고, 결국 2012년에 방출되었다.
이적 첫 해에는 연패를 끊는 투수로서 기대에 부응하는 활약을 보였지만, 이듬해 다시 부상이 재발하여 시즌 초반부터 0승 3패, 평균자책점 8.61로 부진을 겪은 끝에 어깨 수술을 받고 시즌 아웃되었다. 마찬가지로 성적 부진으로 중간에 해고된 제이미 브라운과 함께 팀의 최하위 추락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
재기를 노린 2009년에도 부상에 시달리며 1군 등판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었고 2년 연속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2010년에는 3년 만에 승리를 포함하여 4승을 거두었지만, 또다시 부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하여 완전한 부활에는 실패했다. 이처럼 기대를 계속 저버린 탓에, 2011년 연봉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장기 계약으로 맺었던 금액(5억원)의 10분의 1인 5000만원으로 삭감되었다.
2011년 이후 2년 연속 1군 등판이 없었고, 2012년 시즌을 끝으로 퇴단했다.
2. 4. NC 다이노스 시절
2013년 LG 트윈스의 트레이너였던 김병곤 밑에서 재활을 계속하였다. 같은 해 공개 입단 테스트를 자청했고, 10월 5일 연봉 5000만원에 NC 다이노스와 계약하면서 2년여 만에 복귀했다.[8] 2014년 6월 4일에는 1,425일 만에 1군 마운드에 올라 박헌도를 상대로 탈삼진을 기록하며 역대 5번째 개인 통산 1,400탈삼진을 기록하였다.[9] 2015년에는 2010년 이후 첫 승리 투수가 되었지만, 그 해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3. 은퇴 이후
2015년 11월 9일에 은퇴하면서 고양 다이노스 투수 보조코치로 임명됐다.[11] 2016년 말을 끝으로 퇴임했고,[1] 2018년에는 경기도 챌린지 리그 성남 블루팬더스의 투수 코치를 맡았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이후 김병지와 함께 인터넷 방송을 시작했다.
4. 논란
WBC 도중 국제 야구 연맹(IBAF)이 주관한 도핑 테스트에서 금지 약물 중 하나인 노르안드로스텐디아올이 검출되었다. 그 결과 엔트리에서 제외되었고, 2년간 국제 대회 참가 자격이 정지되었다.[14] 당시 박명환은 오랫동안 어깨 통증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약물을 복용했고, 이것이 결국 문제가 되었다.
5. 기타
갑상선 질환을 앓았던 박명환은 2005년 시즌에 민간요법으로 차가운 양배추를 모자 안에 넣고 등판하기도 했다. 현재는 이러한 행위가 정식으로 규칙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통산 폭투는 119개로, 이는 KBO 최다 기록이다.
5. 1. 별명
2005년 여름,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더위에 민감했던 박명환은 더위를 이기기 위해 모자 안에 양배추를 쓰고 경기에 등판했다.[12] 이 사건은 언론에 보도되어 큰 화제를 모았고, '박배추'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13] 일본에서도 이 사건이 보도되면서 '''"양배추 사나이"'''라는 별명으로 화제가 되었다.5. 2. 등번호
6. 출신 학교
7. 주요 기록
- 1995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최우수 선수
-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대표
- 2006년 WBC 대표
연도 | 팀 | 경기 | 승리 | 패전 | 방어율 | 세이브 | 이닝 | 피안타 | 실점 | 자책점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탈삼진율 | WHIP | |||
---|---|---|---|---|---|---|---|---|---|---|---|---|---|---|---|---|---|---|
1996 | OB | 28 | 7 | 12 | 3.84 | 0 | 185.1 | 149 | 86 | 79 | 18 | 87 | 139 | 6.76 | 1.27 | |||
1997 | 26 | 8 | 12 | 3.96 | 0 | 154.2 | 138 | 74 | 68 | 8 | 82 | 126 | 7.35 | 1.43 | ||||
1998 | 31 | 14 | 11 | 3.22 | 0 | 187.0 | 159 | 75 | 67 | 8 | 120 | 181 | 8.71 | 1.49 | ||||
1999 | 두산 | 7 | 1 | 1 | 4.96 | 1 | 16.1 | 13 | 9 | 9 | 0 | 13 | 20 | 11.18 | 1.61 | |||
2000 | 6 | 1 | 0 | 3.09 | 0 | 11.2 | 6 | 4 | 4 | 3 | 7 | 19 | 15.27 | 1.16 | ||||
2001 | 38 | 8 | 5 | 4.29 | 7 | 77.2 | 76 | 41 | 37 | 6 | 34 | 77 | 8.98 | 1.42 | ||||
2002 | 30 | 14 | 10 | 3.44 | 0 | 185.2 | 173 | 78 | 71 | 12 | 75 | 169 | 8.21 | 1.34 | ||||
2003 | 19 | 5 | 10 | 5.19 | 0 | 100.2 | 113 | 65 | 58 | 13 | 49 | 76 | 6.83 | 1.62 | ||||
2004 | 26 | 12 | 3 | 2.50 | 0 | 158.2 | 130 | 50 | 44 | 4 | 59 | 162 | 9.22 | 1.19 | ||||
2005 | 20 | 11 | 3 | 2.96 | 0 | 112.1 | 81 | 40 | 37 | 4 | 59 | 113 | 9.08 | 1.25 | ||||
2006 | 28 | 7 | 7 | 3.46 | 1 | 122.1 | 90 | 52 | 47 | 6 | 50 | 132 | 9.73 | 1.15 | ||||
2007 | LG | 27 | 10 | 6 | 3.19 | 0 | 155.1 | 133 | 59 | 55 | 11 | 76 | 117 | 6.79 | 1.35 | |||
2008 | 5 | 0 | 3 | 8.61 | 0 | 23.0 | 32 | 22 | 22 | 1 | 21 | 16 | 6.26 | 2.30 | ||||
2009 | 4 | 0 | 0 | 6.19 | 0 | 16.0 | 14 | 12 | 11 | 2 | 9 | 6 | 3.38 | 1.44 | ||||
2010 | 15 | 4 | 6 | 6.63 | 0 | 76.0 | 94 | 62 | 59 | 17 | 34 | 46 | 5.45 | 1.65 | ||||
2011 | 1군 출장 없음 | |||||||||||||||||
2012 | ||||||||||||||||||
2014 | NC | 5 | 0 | 2 | 7.20 | 0 | 5.0 | 7 | 5 | 4 | 1 | 9 | 7 | 12.60 | 3.00 | |||
2015 | 11 | 1 | 0 | 4.85 | 0 | 26.0 | 15 | 14 | 14 | 6 | 8 | 15 | 5.19 | 1.58 | ||||
통산: 19년 | 326 | 103 | 93 | 3.81 | 9 | 1613.2 | 1421 | 748 | 683 | 120 | 797 | 1444 | 7.93 | 1.35 |
-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8. 통산 기록
도
이
리
전
률
자
책
발
투
봉
이
브
드
닝
안
타
홈
런
넷
4
삼
진
맞
크
투
점
책
자
수
H
I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