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 협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른 협약은 문학, 학술, 예술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국제 조약이다. 1886년 파리에서 체결되었으며, 빅토르 위고가 주도한 국제 문학 예술 협회의 주장에 따라 프랑스의 저작자 권리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협약은 내국민 대우, 무방식주의, 본국주의를 기본 원칙으로 하며, 저작자에게 재산권과 저작인격권을 부여한다. 베른 협약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1996년에는 정보 기술과 인터넷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지식재산기구 저작권 조약이 채택되었다. 2022년 10월 현재 181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한국은 1996년에 가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6년 조약 -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조불 수호 통상 조약은 1886년 조선과 프랑스 간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으로, 프랑스 선교 활동 자유 인정, 통상 관계 확대, 프랑스인 재판권 및 특권 부여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조선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프랑스의 식민지화 및 선교 확장 의도가 배경에 있다.
베른 협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 보호를 위한 베른 협약 |
로마자 표기 | Munhakjeok mit misuljeok jeojakmul bohoreul wihan Beoreun Hyeopyak |
다른 이름 | 베른 조약 |
원어 이름 | Convention de Berne pour la protection des œuvres littéraires et artistiques |
유형 | 조약 |
서명일 | 1886년 9월 9일 |
서명 장소 | 베른, 스위스 |
발효일 | 1887년 12월 4일 |
기탁자 |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 사무총장 |
언어 | 프랑스어 (해석상 차이 발생 시 우선), 영어, 공식 번역어: 아랍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
위키소스 | s: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의 보호를 위한 베른 협약 |
내용 | 저작자 본인의 저작재산권 및 저작인격권의 국제적 보호 (저작인접권은 포함하지 않음) |
관련 조약 | 산업재산권 보호에 관한 파리 협약 만국 저작권 협약 WIPO 저작권 조약 TRIPS 협정 |
원문 링크 | WIPO 베른 협약 코넬 법대 베른 협약 WIPO 베른 협약 요약 WIPO Lex WIPO 베른 협약 문서 |
조약 개정 정보 | |
원조약 서명일 | 1886년 9월 9일 |
원조약 발효일 | 1887년 12월 4일 |
제1차 개정 서명일 | 1896년 5월 4일 |
제1차 개정 발효일 | 1897년 12월 9일 |
제2차 개정 서명일 | 1908년 11월 13일 |
제2차 개정 발효일 | 1910년 9월 9일 |
추가 의정서 서명일 | 1914년 3월 20일 |
추가 의정서 발효일 | 1915년 4월 20일 |
제3차 개정 서명일 | 1928년 6월 2일 |
제3차 개정 발효일 | 1931년 8월 1일 |
제4차 개정 서명일 | 1948년 6월 26일 |
제4차 개정 발효일 | 1951년 8월 1일 |
제5차 개정 서명일 | 1967년 7월 14일 |
제5차 개정 발효일 | 1970년 1월 29일 |
제6차 개정 서명일 | 1971년 7월 24일 |
제6차 개정 발효일 | 1974년 10월 10일 |
제7차 개정 서명일 | 1979년 9월 28일 |
제7차 개정 발효일 | 1984년 11월 19일 |
기타 정보 | |
가맹국 수 | 181개국 (2020년 10월 1일 기준) |
외무성 조약 정보 링크 | 베를린 개정 조약 1 베를린 개정 조약 2 로마 개정 조약 1 로마 개정 조약 2 로마 개정 조약 3 브뤼셀 개정 조약 1 브뤼셀 개정 조약 2 브뤼셀 개정 조약 3 파리 개정 조약 1 파리 개정 조약 2 |
지도 정보 | |
![]() |
2. 역사
베른 협약은 빅토르 위고[20]가 주도한 국제 문학 예술 협회(Association Littéraire et Artistique Internationale)[21]의 주장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는 프랑스의 "저작자 권리"(''droits d'auteur'')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경제적 문제만 다루는 앵글로색슨의 "저작권"(copyright) 개념과 대조된다.[22]
베른 협약 이전에는 국가 간 저작권 법규가 제대로 조정되지 않았다.[23] 예를 들어, 영국 국민이 영국에서 출판한 저작물은 영국에서는 저작권으로 보호받았지만, 프랑스에서는 누구든지 복사하여 판매할 수 있었다.
1883년 파리 산업재산권 보호 조약은 특허, 상표 및 산업 디자인에 대한 국제 통합의 틀을 마련했다.[25] 베른 협약은 파리 협약과 마찬가지로 행정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사무국을 설립했고, 1893년 두 사무국은 합병되어 베른에 국제 지적 재산권 보호 연합 사무국(BIRPI)이 되었다.[26]
베른 협약은 1886년 파리에서 완성되었고, 1908년 베를린에서 개정되었으며, 1914년 베른에서 완성되었고, 1928년 로마, 1948년 브뤼셀, 1967년 스톡홀름, 1971년 파리에서 개정되었고, 1979년에 수정되었다.[28]
2. 1. 협약 체결까지
19세기 들어 유럽 각국이 법으로 자국민의 저작물을 보호하면서, 외국에서의 무단 출판이 문제가 되었다. 각국은 양자조약을 맺어 저작권을 보호하려 했으나, 점차 다자조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9세기 중엽부터 국제적인 노력이 이어졌다. 문학·예술인들이 결성한 국제 저작권법 학회(ALAI)의 요청으로 1884년부터 해마다 베른에서 국제회의가 열렸다. 1886년 9월 6일부터 베른에서 회의가 열려 스위스, 독일, 라이베리아, 벨기에, 아이티, 에스파냐, 영국, 이탈리아, 튀니지, 프랑스 등 10개국 대표가 모였고, 9월 9일 협약에 서명했다.[30] 그중 라이베리아와 아이티를 제외한 여덟 나라가 비준, 1887년 12월 5일에 발효되었다.[31] 이때 영국 식민지인 남아프리카, 뉴질랜드, 인도, 캐나다, 호주 등에도 협약이 적용되었다.
협약 행정을 맡은 사무국은 1893년 파리 산업재산권 보호 조약 사무국과 통합해, 베른에 국제 지적 재산권 보호 연합 사무국(BIRPI)을 세웠다.[26] 이 사무국은 1960년 제네바로 옮긴다.[27] 1967년에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되었고, 1974년에는 유엔 산하 기구가 되었다.[26]
2. 2. 체결 이후
베른 협약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8]연도 | 장소 | 주요 내용 |
---|---|---|
1896년 | 파리 | 유작도 보호 대상에 추가, 연합국 국민이 아니더라도 연합국 내에서 처음 발행하면 보호 대상에 포함 |
1908년 | 베를린 | 무형식주의 의무화, 보호 기간을 사후 50년으로 연장, 번역권 제한 조건 폐지 |
1914년 | 베른 | 비연합국이 연합국 저작자의 저작물을 충분히 보호하지 않으면 상대국의 저작물도 보호하지 않음 |
1928년 | 로마 | 구술 저작물 보호 명기, 저작 인격권 명기, 공동 저작물의 권리 보호 기간을 최종 사망자 기점으로 계산, 영화화권 규정 적정화 |
1948년 | 브뤼셀 | 응용미술(지리학, 지형학, 건축학, 기타 과학에 관한 지도, 도해, 약도, 모형)을 저작물 보호 대상으로 추가, 시사 보도를 위한 복제 조항을 국내법에 위임, 라디오 등 공중 전달권/매체 고정 허락 별도 필요, 낭독권 허락 명기, 가입국 간 분쟁 시 국제 사법 재판소 관할권 규정 |
1967년 | 스톡홀름 | 국제사무국 개편, 세계지식재산기구 설립, 미발행 저작물도 보호 대상에 포함, 연합국 거주자도 저작물 보호 대상에 포함, 매체 고정 요건 일부 완화, 저작 인격권 보호를 저작자 사후에도 영속, 영화 저작물 발행일로부터 50년, 응용미술과 사진 창작일로부터 25년으로 보호 기간 규정, 개발도상국 관련 부속서 추가 |
1971년 | 파리 | 개발도상국 관련 규정 마련 (1967년 스톡홀름판 수정, 개발도상국 위한 특별 조치 강구) |
1979년에는 조약 관리·운영 규정인 22조와 23조가 개정되었다.[28]
베른 협약은 1952년부터 세계저작권협약(UCC)과 함께 존재해왔다. 세계저작권협약은 베른 협약보다 저작권 보호 수준이 낮았다. 1994년 세계무역기구의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 협정(TRIPS)이 베른 협약을 기준으로 삼으면서, 대부분의 국가가 베른 협약에 가입하게 되어(미국 1988년, 러시아 1994년 가입) 베른 협약이 저작권 기본 조약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96년에는 인터넷 확산 등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른 협약의 특별 협정으로 세계지식재산기구 저작권 조약(WCT)이 체결되었다.[29]
2014년 기준으로 167개국이 베른 협약에 가입해 있다. 가입국이 늘면서 만장일치로 조약을 개정하기는 어려워졌다.
2. 3. 한국
대한민국은 1995년 TRIPS 협정 발효 후, 1996년 5월 21일 베른 협약 가입서를 기탁했으며, 8월 21일 조약 제1349호로 발효되었다.[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3년 1월 28일 협약에 가입했고, 4월 28일 발효되었다.[2]
3. 파리의정서 내용
의정서는 보호받는 권리 등을 규정한 부분(1~21조), 조직 구성과 가입, 개정 등에 관한 부분(22~38조), 개발도상국에 관한 부속서로 나뉜다.[6]
3. 1. 제1조~제21조
베른 협약은 저작권 보호를 위한 여러 기본 원칙과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내국민 대우, 무방식주의, 본국주의'''
베른 협약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6]
원칙 | 내용 |
---|---|
내국민 대우 | 외국인 저작자에게도 자국민과 동일한 권리를 부여한다. |
무방식주의 | 저작권 등록이나 저작권 기호(©) 표시 등 특정 절차 없이 저작물을 자동 보호한다. |
본국주의 | 저작물이 처음 발행된 국가(본국)의 법률을 기준으로 저작권 보호 여부를 판단한다. |
'''보호 대상 저작물'''
협약은 문학, 학술, 예술 범위에 속하는 모든 지적 창작물을 보호 대상으로 규정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예시가 포함된다.[8]
- 문서, 연술
- 연극, 악극, 무용
- 음악, 영화
- 미술, 건축, 사진
- 응용미술, 도형
'''저작자의 권리'''
베른 협약은 저작자에게 다음과 같은 권리를 보장한다.
- '''재산권''': 저작물 이용에 대한 배타적 권리로, 복제, 실연, 방송, 번역, 개작 등을 포함한다.
- '''인격권''':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해 가지는 권리로, 저작자임을 주장할 권리와 저작물 훼손에 이의를 제기할 권리를 포함한다.
'''보호 기간'''
저작권 보호 기간은 일반적으로 저작자(공동 저작물의 경우 마지막 저작자) 사망 후 50년까지이다.[13] 단, 각국은 이보다 더 긴 보호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진 저작물은 제작 후 최소 25년, 영화 저작물은 최초 상영 후 50년(또는 제작 후 50년 이내 미상영 시 제작 후 50년)을 최소 보호 기간으로 규정한다.[13]
'''저작권 제한 (공정 사용)'''
베른 협약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저작권 제한, 즉 공정 사용을 허용한다.[14]
- 저작물의 통상적 이용과 충돌하지 않아야 한다.
- 저작자의 합법적 이익을 불합리하게 해치지 않아야 한다.
'''3단계 검정'''
베른 협약 제9조(2)는 회원국이 자체적인 저작권 예외를 마련할 수 있도록 '3단계 검정'을 제시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함을 의미한다.[17]
1. 특정한 특수한 경우로 제한
2. 저작물의 정상적인 이용을 저해하지 않음
3. 저작자의 정당한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지 않음
3. 2. 제22조~제38조
총회, 집행위원회, 국제사무국 등 베른 협약의 운영 구조와 가입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가입을 희망하는 국가는 가입서를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사무총장에게 기탁해야 한다.[30] 협약 해석 시에는 프랑스어본이 우선한다.[31]베른 협약의 첫 번째 버전은 1886년 9월 9일 벨기에, 프랑스, 독일, 아이티, 이탈리아, 라이베리아, 스페인, 스위스, 튀니지, 영국에 의해 체결되었고,[30] 이들은 1887년 9월 5일에 비준하였다.[31]
1989년 3월 1일, 미국은 1988년 베른 협약 이행법 제정과 상원의 비준 동의를 통해 베른 협약 당사국이 되었다.[35]
2022년 10월 현재, 베른 협약 당사국은 181개국이며, 여기에는 178개의 유엔 회원국과 쿡 제도, 바티칸 시국, 니우에가 포함된다.
3. 3. 부속서
개도국 특별 조항으로 번역권, 복제권 등에 관한 특권이 있다.[79]4. 베른 협약의 특징 및 쟁점
베른 협약 체결 과정에서 프랑스의 역할은 컸다.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저작권법은 영국의 앤법(1710년)이지만, 서적에 한정되었다. 프랑스 혁명 중 프랑스에서 저작권법(1791년, 1793년)이 제정되어 극장 저작물, 글, 작곡, 그림 및 도안이 보호 대상에 추가되었다. 이후 유럽 대륙 국가들은 프랑스 저작권법 개념을 부분 도입했다.[6]
19세기 유럽에서는 프랑스어 저작물이 프랑스 국외에서 대량 복제되어 역수입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벨기에 브뤼셀이 해적 행위 거점이었고, 프랑스 저작권자는 네덜란드, 스위스, 독일의 해적판으로 피해를 보았다. 영국 저작물도 미국에서 무단 유통되어 저작권자에게 인세가 지급되지 않았다. 1800~1860년대 미국은 "해적판 출판 시대"였다. 외국 저작물의 해적판을 불법으로 인정하지 않은 유럽·미국 국가들이 많아 프랑스와 영국 저작권자가 피해를 보았다.[6]
프랑스는 2국 간 조약을 체결하여 자국 저작권자의 해외 보호에 나섰다. 사르데냐(1843년), 영국(1851년) 등과 조약을 맺었으나, 문화 수입국에 맞춰 체결 내용이 정해져 보호 수준이 높았던 프랑스는 해외에서 프랑스 저작물 보호가 충분하지 않았다.[6]
일부 국가는 자국민이 외국에서 저작물 발행 시 국민 보호를 배제했다. 형식주의를 채택한 국가도 있었다. 번역권, 각색권을 인정하지 않거나, 형식주의로 인해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못한 국가도 있었다. 번역권 보호 기간이 짧거나, 상연권·연주권 유보 표시가 없으면 무단 상연·연주가 가능한 국가도 있었다. 신문 복제 자유가 인정되기도 했다. 각국 권리 보호 기간 차이로 국제적 통일 필요성이 있었다.[6]
1858년 브뤼셀에서 "문학 예술적 소유권 회의"가 비공식 개최되었다. 1878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프랑스 정부 호소에 따라 각국 학자, 예술가 등이 모여 저작권 회합을 열었다. 빅토르 위고를 명예 회장으로 한 국제 문예 협회(후의 국제 저작권법 학회(ALAI))가 창설되었다. 베른에 만국 공업 소유권 보호 동맹 등의 사무소가 있어 저작권 보호 동맹 조직도 베른에 설립하기로 협의되었다. 국제 조약 기초·체결 필요성을 프랑스 정부에 요청했다. 1883년 국제 문예 협회 회합에서 내국민 대우, 소급 효력을 담은 조약안이 채택되었다.[6]
이후 각국 정부 간 공식 외교 협의가 이루어졌다. 제1회(1884년), 제2회(1885년) 베른 공식 회의를 거쳐 제3회(1886년)에서 베른 협약 조문이 확정, 10개국이 조인했다. 1887년 12월 7일 베른 협약이 발효되었다. 원 서명국은 벨기에, 프랑스, 독일, 영국, 아이티,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튀니지, 라이베리아 10개국(라이베리아, 아이티는 서명만 함)이지만, 이탈리아, 스페인은 식민지에도 적용하고 영국도 식민지, 보호국을 포함해 세계 광역을 커버했다.[6] 러시아를 베른 협약에 포함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러시아는 문학적 소유권 관련 모든 조약을 배제했다.[6]
1886년 서명, 1887년 발효된 원조약(베른)에는 내국민 대우가 포함되었으나, 저작권 보호 기간은 본국 저작권법을 초과할 수 없었고, 번역 저작물 보호 기간은 10년이었다. 형식주의, 무형식주의 규정은 없었다.[6] 이후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개정 | 주요 내용 |
---|---|---|
1896 | 제1회 (파리) | 유작 보호, 연합국 국민이 아니더라도 연합국 내 최초 발행 시 보호[6] |
1908 | 제2회 (베를린) | 무형식주의 의무화, 보호 기간 사후 50년 연장, 번역권 제한 조건 폐지[6] |
1914 | 추가 의정서 | 비연합국이 연합국 저작자 저작물 미보호 시 상대국 저작물 미보호 (미국 겨냥)[6] |
1928 | 제3회 (로마) | 구술 저작물 보호, 저작 인격권 명기, 공동 저작물 권리 보호 기간, 영화화권 규정[6] |
1948 | 제4회 (브뤼셀) | 응용미술 보호, 시사 보도 복제 조항, 공중 전달권·매체 고정 허락, 낭독권, 국제 사법 재판소 관할권[6] |
1967 | 제5회 (스톡홀름) | 미발행 저작물 보호, 연합국 거주자 보호, 매체 고정 요건 완화, 저작 인격권 보호, 영화 저작물·응용미술·사진 보호 기간, 개발도상국 부속서 (미발효)[6] |
1971 | 제6회 (파리) | 개발도상국 특별 조치, 제5회 스톡홀름판 계승[6] |
1979년 조약 관리·운영 규정 수정 외, 저작권 보호 실질 법률은 제6회 파리 개정판이 최종이다.[6]
4. 1. 주요 특징
베른 협약은 저작권 보호에 관한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협약이다. 1971년 파리 개정판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는다.[48]- 내국민 대우: 베른 협약 가입국은 다른 가입국 국민의 저작물에 대해 자국민의 저작물과 동등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내국민 대우의 원칙'이라고 한다.[48] 예를 들어, 한국은 베른 협약 가입국이므로, 프랑스 국민의 저작물에 대해서도 한국 국민의 저작물과 동일하게 한국 저작권법에 따른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 단, 저작권 보호 기간에 대해서는 상호주의가 적용되어, 저작물의 본국에서 정한 보호 기간을 초과하여 보호할 필요는 없다.
- 무방식주의: 저작권은 저작물을 창작한 시점에 자동으로 발생하며, 저작권 등록이나 저작권 표시(©) 등 별도의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를 '무방식주의'라고 한다.[48] 한국 저작권법도 무방식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창작과 동시에 저작권이 발생한다.
- 저작인격권 보호: 저작자는 저작물에 대한 인격적 권리인 저작인격권을 가진다. 저작인격권에는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 등이 포함된다. 베른 협약은 저작인격권이 저작권(재산권) 이전 후에도 저작자에게 남아있으며, 적어도 저작권(재산권)이 소멸할 때까지 보호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 저작권법 역시 저작인격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는 저작자 사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보호된다.
- 소급효: 베른 협약은 협약 체결 이전에 창작된 저작물에 대해서도 소급하여 보호를 제공한다. 즉, 과거에 만들어진 저작물이라도 베른 협약의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다.
- 저작권 보호 기간: 베른 협약은 저작권 보호 기간을 원칙적으로 저작자 사후 50년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각국은 이보다 더 긴 보호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국 저작권법은 저작자 사후 70년까지 저작권을 보호한다. 예외적으로, 익명 또는 가명 저작물의 경우 공표 후 50년, 영상 저작물은 공표 후 50년(미발표 시 창작 후 50년), 사진 및 응용미술 저작물은 창작 후 25년 이상 보호하도록 규정되어 있다.[48]
이러한 베른 협약의 주요 특징들은 한국 저작권법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한국은 국제적인 저작권 보호 체계의 일원으로서 저작권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2. 국제적인 저작물의 준거법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저작물에 대해 어느 나라의 저작권법을 적용할 것인가(준거법)는 20세기 전반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계속 논의되는 문제이다.예를 들어, 독일 작가의 소설이 일본에서 판매되면 일본 저작권법으로 보호하고, 반대로 일본 작가의 만화가 독일에서 판매되면 독일 저작권법으로 보호한다. 이는 베른 협약 5조 2항에 따른 것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 및 보호 방법 등은 저작물이 이용된 국가(이용 행위지)의 법률을 따른다는 속지주의 원칙에 기반한다. 그러나 인터넷 등의 발달로 인해 이용 행위지를 명확히 정의하기 어려워지면서, 전통적인 속지주의 해석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허권은 각 국가별로 등록 및 보호가 이루어지므로 준거법 판단이 비교적 단순하다. 그러나 저작권은 무방식주의를 채택하여 저작물 등록 없이 자동적으로 저작권이 발생하므로, 국제적인 저작권 침해 발생 시 어느 나라 법률을 적용할지가 문제가 된다.
일본 판례는 등록국법 또는 보호국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학계에서는 베른 협약 5조 2항에 근거하여 보호국법이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보호국법"의 해석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학설들이 존재한다.
- 보호국법 = 법정지법 동일시: 저작권 침해 소송이 제기된 국가의 법률을 준거법으로 본다.
- 보호국법 ≠ 법정지법 구별: 저작권자의 국적, 주소 등 다른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베른 협약 5조 2항의 문구만으로는 보호국법이나 법정지법을 도출하는 것에 이론적 약점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국가 간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어느 나라 법원이 어느 범위까지 금지나 배상을 명할 수 있는지도 여러 학설이 존재하는 문제이다.
4. 3. 국제 분쟁 사례와 해결 수단
국제적으로 저작권 분쟁이 발생했을 때, 어느 나라의 법률을 적용할 것인지는 20세기 전반부터 계속 논의되어 온 문제이다. 예를 들어, 독일 작가의 소설이 일본에서 판매되면 일본 저작권법으로 보호하고, 반대로 일본 작가의 만화가 독일에서 판매되면 독일 저작권법으로 보호한다. 이는 베른 협약 제5조 (2)에 따른 것으로, 저작권 보호 범위와 방법은 저작물이 이용되는 국가(이용 행위지)의 법률에 따르는 '속지주의' 원칙에 기반한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로 '이용 행위지' 개념이 모호해지면서, 전통적인 베른 협약의 속지주의와 TRIPS 협정 등 신기술에 대응한 속지주의가 같은 전제 조건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저작권은 특허권과 달리 무방식주의를 채택하여 저작물을 등록하지 않아도 저작권이 자동 발생한다. 이 때문에 국제적인 저작권 침해가 발생했을 때 어느 나라의 저작권법으로 판단할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 일본 판례는 등록국법 또는 보호국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학설에서는 보호국법이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보호국법' 해석에 따라 법정지법(소송을 제기한 국가의 법률)과 동일시하는 설과 구별하는 설로 나뉜다. 또한, 국가 간 분쟁에서 어느 나라 법원이 어디까지 금지나 배상을 명할 수 있는지도 복잡한 문제이다.
실제 분쟁 사례로 "구글 북스 소송"이 있다. 구글이 전 세계 도서를 무단으로 디지털 스캔하여 인터넷에 공개하자, 2005년 미국 저작권 보호 단체 등이 미국에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법원이 미국 저작권법에 따라 합의를 중재하면서, 구글의 전자책 시장 독점이 강화되고 미국 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제기되었다.[49] 이에 프랑스와 독일 정부가 미국 법원에 합의안 기각을 요청하는 의견서를 제출하기도 했다.[50][51][52]
베른 협약은 국가 간 분쟁에 대비하여 제33조를 통해 분쟁 당사국이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사건을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ICJ가 지적 재산권 전문가를 반드시 배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각국이 사적 분쟁을 ICJ에 위탁하는 것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기 때문에, 30년이 넘도록 저작권 관련 분쟁이 ICJ에 위탁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TRIPS 협정은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해결 기구에 분쟁 해결을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TRIPS 협정은 금지 명령, 손해 배상, 잠정 조치, 국경 조치 등 구체적인 구제 방법에 관한 규정(제44조 - 제60조)을 마련하고 있다. 실제로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에 23건, 2001년부터 2007년 사이에 3건의 지적 재산권 관련 분쟁이 WTO 분쟁 해결 기구에 제기되었다.
5. 베른 협약의 한계와 미래 전망
1979년 이후 베른 협약의 실질적인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된 이유는 가입국 증가로 인한 만장일치 개정의 어려움과, 개발도상국 증가에 따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이해관계 충돌 때문이다.[37][38] 이러한 대립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는 베른 협약을 직접 개정하는 대신, 저작권 보호 수준을 높이고자 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베른 협약과 별도의 조약을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 결과, "베른 협약의 2층 부분"이라고 불리는 세계지식재산기구 저작권 조약(WCT)이 1996년에 체결되어 2002년에 발효되었으며, 특히 디지털 저작물의 보호를 강화했다.[29]
이후, 포괄적인 국제 조약보다는 지역 협정이나 양자 조약 내에 저작권 보호를 명시하는 사례가 급증했다. 특히 선진국들은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다자간 조약보다 개별 조약을 통해 무역, 관세, 인권 등 저작권과 관련된 종합적인 관점에서 자국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려 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이러한 개별 협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대표적인 국가 및 지역이다.
베른 협약은 1886년 최초 발효 이후 1971년까지 7차례 개정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실질적인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37] 이는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광범위한 도입 이전에 규칙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2018년, 샘 리켓슨(Sam Ricketson) 교수는 추가적인 개정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꿈꾸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9]
법학자인 레베카 기블린(Rebecca Giblin)은 베른 회원국들에게 남아 있는 하나의 개혁 방안은 "정문을 뜯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회원국들은 자국 저자에게만 적용하는 한 베른 협약에서 금지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국내 저작권법을 합법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 디지털 환경 변화에 발맞춰 저작권법을 지속적으로 개정해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저작권 보호와 이용 활성화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5. 1. 한계
1979년 이후 베른 협약의 실질적인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된 이유는 가입국 증가로 인한 만장일치 개정의 어려움과, 개발도상국 증가에 따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이해관계 충돌 때문이다.[37][38] 이러한 대립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는 베른 협약을 직접 개정하는 대신, 저작권 보호 수준을 높이고자 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베른 협약과 별도의 조약을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그 결과, "베른 협약의 2층 부분"이라고 불리는 세계지식재산기구 저작권 조약(WCT)이 1996년에 체결되어 2002년에 발효되었다. WCT는 특히 디지털 저작물의 보호를 강화했다.[29]
이후, 포괄적인 국제 조약보다는 지역 협정이나 양자 조약 내에 저작권 보호를 명시하는 사례가 급증했다. 특히 선진국들은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다자간 조약보다 개별 조약을 통해 무역, 관세, 인권 등 저작권과 관련된 종합적인 관점에서 자국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려 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이러한 개별 협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대표적인 국가 및 지역이다.
5. 2. 미래 전망
베른 협약은 1886년 최초 발효 이후 1971년까지 7차례 개정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실질적인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37] 이는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광범위한 도입 이전에 규칙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기간의 공백은 각 회원국에게 실질적인 변경에 대한 거부권을 부여하는 조약의 특성 때문이다. 수많은 회원국과 그들의 다양한 발전 수준으로 인해 디지털 세계의 현실을 반영하도록 협약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38]2018년, 샘 리켓슨(Sam Ricketson) 교수는 추가적인 개정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꿈꾸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9] 베른 회원국들은 베른 협약이 그 원칙과 일치하지 않는 조약을 금지하기 때문에 디지털 세계의 현실을 다루는 새로운 저작권 조약을 쉽게 만들 수도 없다.[40]
법학자인 레베카 기블린(Rebecca Giblin)은 베른 회원국들에게 남아 있는 하나의 개혁 방안은 "정문을 뜯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회원국들은 자국 저자에게만 적용하는 한 베른 협약에서 금지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국내 저작권법을 합법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블린은 또한 이러한 조치는 저자에게 순이익이 되는 경우에만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41]
한국의 경우, 디지털 환경 변화에 발맞춰 저작권법을 지속적으로 개정해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저작권 보호와 이용 활성화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예를 들어, 저작권 침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는 한편, 공정한 이용을 확대하여 창작 활동을 장려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6. 각국의 베른 협약 가입 현황
2022년 10월 현재, 베른 협약 당사국은 181개국이며, 여기에는 178개의 유엔 회원국과 쿡 제도, 바티칸 시국, 니우에가 포함된다.[6]
베른 협약의 첫 번째 버전은 1886년 9월 9일 벨기에, 프랑스, 독일, 아이티, 이탈리아, 라이베리아, 스페인, 스위스, 튀니지, 그리고 영국에 의해 체결되었다.[30] 이들은 1887년 9월 5일에 이를 비준했다.[31]
7. 각국의 베른 협약 가입과 이행
유럽 연합(EU) 회원국들은 2019년을 기준으로 모두 베른 협약에 가입했다.[30][31] EU 회원국들은 저작권 관련 지침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어, 베른 협약과 EU 지침은 서로 돕는 관계에 있다.
미국은 1988년 11월 16일에 베른 협약에 가입했고, 1989년 3월 1일부터 미국에서 협약이 발효되었다.[32][31] 미국은 초기에는 저작인격권 문제, 저작권 작품 등록 및 필수 저작권 고지 사항 제거 등 미국 저작권법의 큰 변화가 필요했기 때문에 협약 가입을 거부했다. 그래서 미국은 1910년에 부에노스아이레스 협약(BAC)을, 1952년에 세계 저작권 협약(UCC)을 비준했다.
1989년 3월 1일, 미국은 1988년 베른 협약 이행법을 제정하고 상원의 조언과 동의를 얻어 베른 협약 당사국이 되었다.[35] 이로 인해 세계 저작권 협약은 거의 쓸모없게 되었다.[36] 2000년 니카라과의 가입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협약 회원국은 모두 베른 협약 회원국이 되어, 부에노스아이레스 협약도 사실상 사용 중지됨되었다.
미국이 베른 협약에 가입한 것은 원조약 발효 후 100년 이상 지난 1988년이며, 국내 시행은 1989년 3월 1일부터였다.[46][47] 미국은 1885년 제2차, 1886년 제3차 베른 공식 회의에 참석했지만, 몬로주의 때문에 원조약에 가입하지 않았다.
1908년 제2차 베를린 개정에서 베른 협약은 형식주의를 채택하지 않게 되어, 형식주의를 유지하던 미국은 가입 장벽이 높아졌다. 1910년,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 19개국은 베른 협약 조건을 완화한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을 채택했다. 이 조약을 기반으로 1952년 세계 저작권 조약(UCC)이 채택되었고, 미국도 UCC 원가입국이 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저작권법 보호 수준은 낮아 오랫동안 비판받았다.[74][75]
1976년 저작권 개정법 (1976년 제정, 1978년 1월 1일 시행)으로 미국은 베른 협약 비준을 위한 국내 체제를 마련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 이 개정으로 발표되지 않은 저작물도 연방법에 의한 보호를 받게 되었고, 미국 저작권청(USCO)에 대한 저작물 등록도 임의가 되었다.[76] 1988년 베른 협약 이행법[77] 제정으로 형식주의에서 비형식주의로의 전환을 완료했고, 1989년 3월 1일부터 미국에서도 베른 협약이 적용되었다.
베른 협약은 미국 내에서 직접적인 효력이 없고,[78] 미국 저작권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행된다. 예를 들어,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려면 미국 법전 제17편 [https://uscode.house.gov/view.xhtml?req=granuleid:USC-prelim-title17-section411&num=0&edition=prelim 제411조]에 따라 저작물을 미리 등록해야 한다.
중국은 1992년에 베른 협약에 가입했지만, 국내법적으로는 형식주의를 유지하고, 베른 협약의 보호 대상 저작물에만 형식주의 배제를 적용하는 이중 운영을 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이 많은 아프리카에서는 아프리카 지적재산권기구(OAPI)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1962년,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 12개국에서 OAPI의 전신이 되는 협정이 체결되었다. 1977년 방기에서 OAPI 회의가 개최되어 가입국이 16개국으로 확대되었다. 2002년에는 TRIPS 협정(1994년 서명·1995년 발효)의 내용을 반영한 방기협정(Bangui Agreement)이 발효되었다. 방기협정은 저작권 보호 기간을 사후 70년으로 설정하고, 저작재산권, 저작인격권, 저작인접권, 추급권도 규정한다.
OAPI가 프랑코포니 중심인 반면, 영어권 국가들은 아프리카 광역 지적재산권기구(ARIPO)에 가입하고 있다. OAPI는 저작권을 포함하지만, ARIPO는 산업재산권을 주로 다룬다는 차이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IPO -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http://www.wipo.int/[...]
[2]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https://www.law.corn[...]
Cornell Law School
[3]
웹사이트
Summary of the Berne Convention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4]
웹사이트
WIPO Lex
https://wipolex.wipo[...]
2021-09-01
[5]
서적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Status October 1, 2020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6]
서적
Circular 38A: International Copyright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http://copyright.gov[...]
U.S. Copyright Office
2015-03-05
[7]
웹사이트
Borderless Publications, the Berne Convention, and U.S. Copyright Formalities
https://www.mediains[...]
The Media Institute
2018-05-18
[8]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http://www.wipo.int/[...]
2018-05-23
[9]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http://www.wipo.int/[...]
2018-05-23
[10]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http://www.wipo.int/[...]
2018-05-23
[11]
논문
Country of Origin and Internet Publication : Applying the Berne Convention in the Digital Age
http://eprints.qut.e[...]
[12]
웹사이트
Various articles on Berne Convention and internet publication
Multiple URLs provid[...]
[13]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Article 7
http://zvon.org/law/[...]
[14]
서적
Concise European Copyright Law
Wolters Kluwer
[15]
논문
Toward an International Fair Use Doctrine
https://heinonline.o[...]
2018-08-03
[16]
논문
Opting Out of the Interne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Copyright, Safe Harbors, and International Law
President and Trustees of Notre Dame University in South Bend, Indiana
[17]
법률
United States – Section 110(5) of the U.S. Copyright Act
[18]
논문
[19]
웹사이트
There Can Be No 'Balance' In The Entirely Unbalanced System Of Copyright
https://www.techdirt[...]
Techdirt
2012-03-01
[20]
웹사이트
Quick Berne Convention Overview
https://copyright.la[...]
2015-04-04
[21]
서적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Law
Edward Elger Pub
[22]
서적
The Copyright Wars: Three Centuries of Trans-Atlantic Batt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opyright
http://www.iprightso[...]
[24]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and the Berne Convention
https://books.google[...]
Sampson Low, Marston & Co.
2010-08-29
[25]
웹사이트
Summary of the 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 (1883)
http://www.wipo.int/[...]
2018-06-30
[26]
웹사이트
WIPO - A Brief History
http://www.wipo.int/[...]
2018-06-12
[27]
서적
Patents, Profits & Power: How Intellectual Property Rules the Global Economy
Kogan Page
[28]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https://web.archive.[...]
2018-06-12
[29]
웹사이트
WIPO Copyright Treaty
http://www.wipo.int/[...]
2018-06-12
[30]
서적
Report of the Delegate of the United States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Revision of the Berne Copyright Convention, Held at Berlin, Germany, 14 October to 14 November 1908
Library of Congress
[31]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Total Contracting Parties : 173)
http://www.wipo.int/[...]
WIPO
2017-04-04
[32]
웹사이트
Treaties in Force – A List of Treaties and Other International Agreements of the United States in Force on January 1, 2016
https://2009-2017.st[...]
[33]
웹사이트
WIPO's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Paris Text 1971)"
http://zvon.org/law/[...]
[34]
법률
Brazilian's Federal Decree No. 75699
http://www.lexml.gov[...]
1975-05-06
[35]
뉴스
Senate Approves Joining Copyright Convention
https://www.nytimes.[...]
1988-10-21
[36]
서적
The Copyright Handbook: What Every Writer Needs to Know
Nolo Press
[37]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https://www.wipo.int[...]
[38]
학술지
The International Framework for the Protection of Authors: Bendable Boundaries and Immovable Obstacles
https://web.archive.[...]
2019-07-29
[39]
학술지
The International Framework for the Protection of Authors: Bendable Boundaries and Immovable Obstacles
https://web.archive.[...]
2019-07-29
[40]
간행물
Berne Convention, Article 20.
[41]
서적
A Future of International Copyright? Berne and the Front Door Ou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ftp://ftp.wipo.int/p[...]
WIPO
2019-08-20
[43]
웹사이트
Dates of entry into force/adoption {{!}}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https://www.wipo.int[...]
WIPO
2019-08-20
[44]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revisions, and the evolution of its limitations and exceptions to copyright
https://www.keionlin[...]
Knowledge Ecology International
2019-08-23
[45]
웹사이트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as amended on September 28, 1979) (Authentic text)
https://wipolex.wipo[...]
WIPO
2019-08-22
[46]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Total Contracting Parties : 177)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47]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Paris Act (1971) (Total Contracting Parties : 187)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48]
웹사이트
Summary of the Bern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1886)
https://www.wipo.int[...]
WIPO
2019-08-23
[49]
웹사이트
Authors Guild v. Google
https://www.authorsg[...]
The Authors Guild
2019-02-05
[50]
웹사이트
Germany: Google book deal violates copyright law
https://www.reuters.[...]
로이터 통신
2019-07-01
[51]
웹사이트
Germany calls on US court to reject Google book settlement
https://www.dw.com/e[...]
DW.com
2019-07-01
[52]
웹사이트
Judge slaps down Google's digital library settlement
https://www.reuters.[...]
로이터 통신
2019-07-01
[53]
일반
[54]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Paris Additional Act (1896) (Total Contracting Parties : 17)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55]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Berlin Act (1908) (Total Contracting Parties : 38)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56]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Berne Additional Protocol (1914) (Total Contracting Parties : 28)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57]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Rome Act (1928) (Total Contracting Parties : 44)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58]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Brussels Act (1948) (Total Contracting Parties : 49)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59]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Berne Convention > Stockholm Act (1967) (Total Contracting Parties : 21)
https://www.wipo.int[...]
WIPO
2019-08-22
[60]
일반
[61]
웹사이트
Overview: the TRIPS Agreement
https://www.wto.org/[...]
WTO
2019-08-29
[62]
웹사이트
Universal Copyright Convention, with Appendix Declaration relating to Article XVII and Resolution concerning Article XI. Geneva, 6 September 1952.
http://www.unesco.or[...]
UNESCO
2019-08-26
[63]
웹사이트
Protocol 1 annexed to the Universal Copyright Convention as revised on 24 July 1971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that Convention to work of stateless persons and refugees. Paris, 24 July 1971.
http://www.unesco.or[...]
UNESCO
2019-08-26
[64]
웹사이트
Members and Observers
https://www.wto.org/[...]
2019-08-30
[65]
웹사이트
백서·통계·간행물 > 백서 > 학제백년사 > 3 저작권 제도
https://www.mext.go.[...]
문부과학성
2019-08-28
[66]
웹사이트
외무성: 조약 데이터 검색
http://www3.mofa.go.[...]
외무성
2014-11-03
[67]
웹사이트
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 보호 수정 「베른」 조약 추가 의정서
https://www.mofa.go.[...]
외무성
2019-08-26
[68]
웹사이트
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 보호 수정 「베른」 조약 추가 의정서
https://www.mofa.go.[...]
외무성
2019-08-26
[69]
웹사이트
1886년 9월 9일 문학적 및 미술적 저작물 보호에 관한 「베른」 조약을 1908년 11월 13일 「베를린」 에서, 1928년 6월 2일 「로마」 에서 개정한 것
https://www.mofa.go.[...]
외무성
2019-08-26
[70]
웹사이트
1948년 브뤼셀에서 개정된 저작권에 관한 베른 조약
https://www.mofa.go.[...]
외무성
2019-08-26
[71]
웹사이트
一九七一年にパリで改正された著作権に関するベルヌ条約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08-26
[72]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pyright Conventions {{!}} Circular 38c
https://copyright.go[...]
アメリカ合衆国著作権局
1977-05
[73]
웹사이트
IP Regional Treaties > Contracting Parties/Signatories > Buenos Aires Convention (Total Contracting Parties: 21)
https://wipolex.wipo[...]
WIPO
2019-04-18
[74]
웹사이트
Copyright, Compromise and Legislative History
https://repository.l[...]
1987-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제공됨. 월일은 임의로 설정
[75]
웹사이트
We helped bring U.S. copyright law into line with the rest of the world. - SOME SUCCESS STORIES
https://www.authorsg[...]
全米作家協会
2019-04-05
[76]
웹사이트
17 USC 408: Copyright registration in general
http://uscode.house.[...]
The Office of the Law Revision Counsel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9-03-31
[77]
웹사이트
H.R. 4262 (100th): Berne Convention Implementation Act of 1988
https://www.govtrack[...]
GovTrack
2019-08-29
[78]
웹사이트
§104. Subject matter of copyright: National origin
https://uscode.house[...]
The Office of the Law Revision Counsel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9-08-30
[79]
웹사이트
베른협약해설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http://www.arko.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