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벤드인은 발트해 연안에 거주했던 베네티족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중세 시대에 발트해 남쪽 해안에 거주하던 슬라브족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 시기에는 오데르강 서쪽에 살던 슬라브족을 의미했으며, 동방 식민 운동으로 독일인들이 이주하면서 점차 독일 문화에 동화되었다. 오늘날 벤드인의 후예인 소르브인은 독일 동부에 거주하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19세기에는 텍사스에도 정착하여 텍사스 벤드 공동체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족의 역사 - 슬라브족의 왕
- 레흐족 - 카슈브인
카슈브인은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포모제인을 기원으로 하는 서슬라브계 소수민족으로, 독일인의 동방 식민 운동에도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폴란드와 독일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 폴란드 내 5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폴란드 정부의 보호 아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 레흐족 - 포모제인
포모제인은 6세기경에 형성되어 켈트족, 게르만족, 슬라브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12세기에는 폴란드, 덴마크, 신성 로마 제국의 침략을 받고 독일화 과정을 거치면서 동화된 서슬라브족 부족이다. - 서슬라브족 - 소르브인
소르브인은 6세기 또는 7세기부터 독일 동부 루사티아 지역에 거주하며 상소르브어와 하소르브어를 사용하는 서슬라브 민족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배를 받았으며 독일화와 나치 정권의 탄압을 겪었지만, 현재는 약 4만 명의 상소르브인과 1만 5천~2만 명의 하소르브인이 남아 특유의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서슬라브족 - 체코인
체코인은 체코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체코어를 사용하는 서슬라브계 민족으로,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을 통해 형성되었고, 슬라브 문화가 주류를 이루며, 대모라비아 공국부터 현대 체코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풍부한 문화적 유산을 남겼으나,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등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벤트인 | |
---|---|
개요 | |
이름 | Wends (영어) Wenden (독일어) Vendere (덴마크어) Vender (스웨덴어) Wendowie (폴란드어) |
지칭 대상 | 슬라브족 카슈브인 |
역사적 용어 | |
기원 | 게르만족이 슬라브족을 지칭하던 용어에서 유래 |
언어별 명칭 | |
영어 | Wends (윈즈) |
고대 영어 | Winedas (위네다스) |
고대 노르드어 | Vindr (빈드) |
독일어 | Wenden (벤덴) Winden (빈덴) |
덴마크어 | Vendere (벤데레) |
스웨덴어 | Vender (벤데르) |
폴란드어 | Wendowie (벤도비에) |
체코어 | Wendové (벤도베) |
핀란드어 | Venäjä (베내얘) |
에스토니아어 | Vene (베네) |
카렐리아어 | Veneä (베네애) |
2. 용어의 기원과 변천
"벤드"라는 용어는 로마 시대의 사람들인 베네티|베네티la, 베네디|베네디la에서 유래되었으며, Οὐενέδαι|우에네다이|grc로 불렸다.[5] 이들은 대 플리니우스와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발트해 연안에 거주한 것으로 언급된다. 게르만족은 당초 이를 고대 베네토인에게 사용했지만, 민족 이동 시대 이후 새롭게 동쪽 이웃이 된 슬라브족에게 전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중세 스칸디나비아인에게 "벤드인"은 발트해 남안에서 오는 슬라브인으로, 오보트리트족이나 루기아의 란인, 포메라니아인 등의 폴라브 제어를 사용하는 슬라브인을 언급할 때 사용되었다.
중세 신성 로마 제국 북부에 살았던, 또는 그 이전에 살았던 사람들, 특히 작센인에게 "벤드인"은 오데르강 유역 서쪽에 사는 슬라브인이었다. 그러나 폴라브계 슬라브 여러 부족이 거주하게 되자, 그 지역은 게르마니아 슬라비카(Germania Slavica)라고 불리게 되었고, "벤드인"은 북쪽에 거주하는 앞서 언급한 부족이나 남쪽에 거주하는 소르브족이나 밀체니인 등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남쪽에 사는 독일인은 북쪽에 사는 독일인이 사용한 "벤데인" 대신 "빈데인"을 그들과 접촉했던 폴라브인이나 바이에른 지방의 슬라브인, 슬로베니아인 등을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 빈디시 변경백이나 독일어로 슬로벤스카 비스트리차를 가리키는 "빈디슈 파이스토리츠"는 이러한 역사적인 용례를 증명하고 있다.
8세기 이후 벤드인이 사는 땅은 대부분 프랑크 왕과 그 계승자들의 무력 행사에 의해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12세기에는 벤드인의 땅은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12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정점을 맞이한 동방 식민에 의해 독일인이 벤드인의 땅에 정착했지만, 그것은 "벤드인"의 정의를 재편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때 벤드인은 제국 내에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을 가리키게 되었다. 그 한편으로 폴란드인이나 체코인 등 새로운 경계 동쪽에 사는 사람들은 그렇게 불리지 않았다.
슬라브인의 대부분은 독일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독일인과 혼혈되거나 문화와 언어를 받아들였다. 독일인과 거의 교류하지 않고 서슬라브어군을 계속 사용한 일부 지방의 공동체만이 여전히 벤드인이라고 불렸다.
벤드인은 현재 독일 동부 라우지츠 지방의 소르브인과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방의 카슈브인만 남았지만, 그들 역시 지금은 벤드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소르브인, 카슈브인으로 불리는 것이 적절하다.
3. 역사
슬라브족의 이동 과정에서 서슬라브족의 일부가 엘베 강과 오데르 강 사이 지역으로 이동해 왔다. 이들은 게르만족의 민족 이동 시대에 이 지역에 남아 있던 잔류 인구를 동화시켰다.[6]
벤드인은 '게르마니아 슬라비카'라고 불리는 지역에 도착했지만, 넓은 숲 지대가 부족 정착 지역을 분리하면서 다양한 소규모 부족으로 나뉘었다. 부족 이름은 지역 지명에서 파생되었으며, 헤벨리족(하벨 강에서 유래), 루야네스족(루기족에서 유래)처럼 게르만족의 전통을 따르기도 했다.
일부 부족은 더 큰 공작령과 같은 단위로 통합되었다. 예를 들어 오보트리테스족은 홀슈타인과 서부 메클렌부르크 부족이 통합하여 작센을 침략한 것으로 유명하다.
983년, 많은 벤드 부족은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대규모 봉기를 일으켰고, 이는 게르만화를 약 2세기 동안 지연시켰다.[8]
983년 이후, 벤드족은 독일, 덴마크, 폴란드 등 주변 세력으로부터 압력을 받았다. 1147년에는 오늘날 북동부 독일 지역에서 벤드 십자군이 일어났다.
1168년, 북방 십자군 시기에 덴마크는 아르코나를 점령하여 파괴하고 벤드족 신 스반테비트의 조각상을 부쉈다.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게르만 정착민들이 벤드족 지역으로 대규모 이주하여 이 지역의 문화를 슬라브 문화에서 게르만 문화로 변화시켰다. 동방 식민 운동으로 알려진 이러한 발전으로 폴라비아어는 니더작센 중앙 지역과 브란덴부르크에서 17세기 또는 18세기까지 사용되었다.[9][10]
3. 1. 초기 (500년–1000년)
슬라브족의 이동 과정에서 서슬라브족의 일부가 엘베 강과 오데르 강 사이 지역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해 왔다.[6] 이들은 게르만족의 민족 이동 시대에 이 지역에 남아 있던 잔류 인구를 동화시켰다.[6]
벤드인은 '게르마니아 슬라비카'라고 불리는 지역에 대규모 동질 집단으로 도착했지만, 넓은 숲 지대가 부족 정착 지역을 분리하면서 다양한 소규모 부족으로 나뉘었다. 부족 이름은 지역 지명에서 파생되었으며, 헤벨리족(하벨 강에서 유래), 루야네스족(루기족에서 유래)처럼 게르만족의 전통을 따르기도 했다.
일부 부족은 더 큰 공작령과 같은 단위로 통합되었다. 예를 들어 오보트리테스족은 홀슈타인과 서부 메클렌부르크 부족이 통합하여 작센을 침략한 것으로 유명한 강력한 공작의 지휘를 받았다. 루티치족은 오보트리테스족과 포메라니아 사이에 살았던 부족들의 동맹으로, 공작 아래 통합되지 않고 독립을 유지했으며, 지도자들은 레트라 사원에서 회의를 통해 결정했다.
983년, 많은 벤드 부족은 이전에 이교도 벤드 영토에 기독교 선교, 독일 식민지 및 독일 행정 기관(예: 노르트마르크, 빌룽거마르크)을 설립한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대규모 봉기를 일으켰다. 이 봉기는 성공적이었고, 벤드족은 게르만화를 약 2세기 동안 지연시켰다.[8]
3. 2. 쇠퇴기 (1000년–1200년)
983년 이후, 벤드족은 독일, 덴마크, 폴란드 등 주변 세력으로부터 점점 더 큰 압력을 받았다. 폴란드는 여러 차례 포메라니아를 침략했고, 덴마크는 발트해 해안을 자주 습격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과 그 변방 백작들은 변경 영토를 되찾으려 했다.
1068년에서 1069년 사이에 독일 원정대가 벤드족의 주요 이교 사원 중 하나인 레트라를 점령하여 파괴했다. 이후 벤드족의 종교 중심지는 아르코나로 옮겨졌다. 1124년과 1128년에는 포메라니아인과 일부 루티치족이 세례를 받았다. 1147년에는 오늘날 북동부 독일 지역에서 벤드 십자군이 일어났다.
1168년, 북방 십자군 시기에 덴마크는 주교 압살론과 국왕 발데마르 1세가 이끄는 십자군을 조직하여 루기아의 벤드족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다. 십자군은 벤드족 사원 요새인 아르코나를 점령하여 파괴하고 벤드족 신 스반테비트의 조각상을 부쉈다. 루기아 벤드족의 항복으로 마지막 독립적인 이교도 벤드족은 주변 기독교 봉건 세력에 의해 패배했다.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게르만 정착민들이 대규모로 벤드족 지역으로 이주하여 이 지역의 문화를 슬라브 문화에서 게르만 문화로 변화시켰다. 지역 공작과 수도원은 전쟁으로 황폐화된 농지를 재정착시키고, 서유럽에서 개발된 철 기반 농업 도구를 사용하여 광대한 삼림 지대와 무거운 토지에서 새로운 농지를 개간하기 위해 정착민들을 초대했다. 동시에, 법적으로 시행되는 시장, 계약 및 재산권을 도입하여 독일 도시법에 따라 많은 새로운 도시가 건설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동방 식민 운동으로 알려졌다.
폴라비아어는 니더작센 중앙 지역과 브란덴부르크에서 17세기 또는 18세기까지 사용되었다.[9][10] 독일 인구는 대부분의 벤드족을 동화시켰는데, 이는 그들이 소르브인을 제외하고는 소수 민족으로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독의 많은 지명과 일부 성씨는 오늘날에도 벤드족 기원을 보여준다. 또한, 메클렌부르크 공작, 뤼겐 공작 및 포메라니아 공작은 벤드족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
4. 벤드족의 유산
1356년 금인칙서(독일-로마 제국의 헌법적 기초 중 하나)는 제31조에서 독일-로마 제국이 "관습, 생활 방식, 언어 면에서 뚜렷한 다양한 국가"를 가진 다민족 실체임을 명시적으로 인정했다.[12] 이를 위해 "유명한 선제후의 아들, 상속자 및 후계자... 그들은 자연스럽게 독일어를 습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일곱 살부터 이탈리아어와 슬라브어(즉, 벤드어) 문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규정했다.[13]
벤드인은 수 세기 동안 독일 정착민들과 공존했으며 점차 독일어 문화에 동화되었다. 슬라브인의 대부분은 독일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독일인과 혼혈되거나 문화와 언어를 받아들였다. 독일인과 거의 교류하지 않고 서슬라브어군을 계속 사용한 일부 지방의 공동체만이 여전히 벤드인이라고 불렸다.
1540년부터 1973년에 걸쳐 스웨덴 왕의 공식 칭호는 "스베아인, 예트인(Geats) 및 벤드인의 왕"(Svears, Götes och Wendes Konungsv)이었다. 현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는 오랜 전통을 바꿔 왕실 칭호에 "스웨덴 국왕"(Sveriges Konungsv)을 선택했다.
중세 이후 덴마크 및 덴마크-노르웨이 국왕은 "벤드인과 고트인의 왕" 칭호를 사용했지만 1972년에 폐지되었다.
"벤드인"이라는 단어는 역사 속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된다.
- 프랑크족은 슬라브에 관한 문헌에서 오데르강과 엘베강 사이에 사는 폴라브인이라고 불리는 민족의 대부분을 벤드인 또는 소르브인으로 간주했다.
-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에서의 슬로베니아인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호칭이었다. 슬로베니아어와 슬로베니아인이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면서 "빈디쉬", "빈데", "벤데"는 멸칭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전의 포메라니아와 구 동독에 사는 서슬라브인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독일어 명칭.
- 1400년경의 독일 문서에서는 슬로바키아인에게도 사용되었다.
- 핀란드의 역사학자 마티 클린게는 스칸디나비아인의 문헌에서 사용된 "벤드" 또는 "반달"이라는 단어가, 극히 드물게 포메라니아에서 핀란드에 걸치는 발트해 동해안에 사는 핀란드인을 포함한 거주자 모두를 지칭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 일부 문헌에서는 8세기 말경의 초기 게르만 민족 이동에 이어 일어난 슬라브 민족 이동으로 로마의 이탈리아인, 게르만인 그리고 슬라브인이 합류하는 아드리아해 연안부의 벤드인 정착지가 베네치아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4. 1. 문화적 영향
중앙 독일과 북부 독일의 많은 지명은 슬라브어 기원을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슬라브어 어미에는 -itz, -itzsch, -ow 등이 있으며, 델리치, 로클리츠와 같은 도시 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라이프치히, 베를린과 같은 주요 도시 이름도 벤드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5]오늘날 유일하게 남은 벤드인 기원의 소수 민족인 소르브인은 전통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도모비나를 통해 문화적 자기 결정권을 누리고 있다. 작센의 세 번째 총리를 지낸 스타니슬라프 틸리히(2008–2017)는 소르브인 출신으로, 소수 민족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독일 연방주의 수반이 되었다.[5]
메클렌부르크 가문이나 뤼겐, 포메라니아 등의 지명도 벤드에서 유래한다.[20]
4. 2. 소르브인
현대의 소르브인은 벤드족의 유일한 후예로 여겨지며,[5] 현재 독일 동부 루사티아 지역에 거주하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은 독일 내 소수 민족으로서 도모비나를 통해 문화적 자기 결정권을 누리고 있다. 작센의 세 번째 총리 스타니슬라프 틸리히 (2008–2017)는 소르브인 출신으로, 소수 민족 배경을 가진 독일 연방주의 첫 번째 수반이었다.4. 3. 텍사스 벤드
19세기 중반, 일부 소르브인들은 더 큰 자유를 찾아 루사티아를 떠나 벤 네비스[14]를 타고 미국 텍사스 중부 지역, 주로 서빈에 정착했다. 이들은 와르다, 기딩스, 오스틴, 휴스턴, 페더, 스위스 알프, 포트 아서, 만하임, 코퍼라스 코브, 버논, 왈부르크, 더 그로브, 비숍, 리오그란데 계곡으로 확장하며 성공했다.[15]이들은 루터교 미주리 시노드(Missouri Synod영어)의 초기 회원이 되었다. 텍사스의 유명한 벤드인 거주지는 리 카운티였으며, 그곳에 있는 성 바울 루터 교회는 전형적인 벤드인의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설교단이 실내 발코니에 있다.

전통, 원칙, 교육에 대한 강한 강조는 오늘날 벤드 개척자의 후손인 가족에게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오늘날, 수천 명의 텍사스인과 다른 미국인(자신의 배경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음)이 벤드의 유산을 주장할 수 있다.[15]
5. 기타 용례
역사적으로 '벤트인'이라는 용어는 슬로베니아인, 슬로바키아인 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16]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어 사용자는 슬로베니아인을 지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Wenden"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슬로베니아어를 지칭하는 "slowenisch"와 슬로베니아인을 지칭하는 "Slowenen"이 확산되면서 "windisch"와 "Winde" 또는 "Wende"라는 단어는 경멸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1400년경 이전 독일어 텍스트에서는 슬로바키아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ho Are the Wends?
http://texaswendish.[...]
2010-01
[2]
웹사이트
History of Migration
https://www.wendishh[...]
[3]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MIT Press
[4]
서적
Foreword to the Past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Museum
http://texaswendish.[...]
2015-01-29
[6]
논문
The beginnings of Slavic settlement east of the river Elbe
https://doi.org/10.1[...]
2004
[7]
문서
Istorija Armenii Mojseja Horenskogo, II izd. Per. N. O. Emina, M., 1893, s.55-56.
[8]
웹사이트
Venderne og Danmark
http://static.sdu.dk[...]
[9]
문서
Word Prosodic Systems in the Languages of Europe
Walter de Gruyter
[10]
웹사이트
Lekhitic languages
http://www.britannic[...]
2013-03-09
[11]
웹사이트
Kungl. Maj:ts kungörelse med anledning av konung Gustaf VI Adolfs frånfälle
https://lagen.nu/197[...]
Lagen.nu
[12]
문서
Charles IV, Golden Bull of 1356 (full text English translation)
http://avalon.law.ya[...]
Yale
[13]
문서
Charles IV, Golden Bull of 1356 (full text English translation)
http://avalon.law.ya[...]
Yale
[14]
웹사이트
Ben Nevis, Wends and German Texans
http://www.texasesca[...]
[15]
웹사이트
Who Are the Wends?
http://texaswendish.[...]
2010-01
[16]
백과사전
Slavonia
http://www.enciklope[...]
Miroslav Krleža Lexicographical Institute
2021-12-15
[17]
간행물
The name "Slavonia"
https://hrcak.srce.h[...]
Institute for Migration and Ethnic Studies
[18]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9]
서적
Pre- and Proto-historic Finns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Polabian language
http://www.britann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