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 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 수는 n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을 분할하는 방법의 가짓수를 나타내는 수이다. 이는 집합의 분할, 동치 관계, 운율 구성, 투샤르 다항식 등과 관련이 있으며, 제2종 스털링 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벨 수는 벨 삼각형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점화식, 도빈스키 공식, 생성 함수 등을 통해 다양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벨 수는 소수 p에 대한 투샤르 합동식을 만족하며, 코시 적분 정리를 이용한 적분 표현도 가능하다. 벨 수는 로그 볼록 수열을 이루며, 중세 일본 수학에서 겐지코 놀이에 등장하는 등 역사적으로도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합론 - 집합의 분할
    집합의 분할은 주어진 집합을 서로소인 부분 집합들로 나누는 것이며, 동치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벨 수로 표현되며, 플레잉 카드를 나누는 것과 같은 예시가 있다.
  • 조합론 - 계승 (수학)
    계승은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곱한 값으로, 0의 계승은 1로 정의되며, 대칭군의 크기와 같다는 성질을 통해 기수로 확장될 수 있고, 다중 계승, 지수 계승 등으로 확장 및 응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벨 수
기본 정보
이름벨 수
다른 이름분할수, 지수적 수
영어 이름Bell number
일본어 이름ベル数 (베루스)
로마자 표기Beru-sū
수열
수열 종류정수열
기호Bₙ
OEISA000110
B₀1
B₁1
B₂2
B₃5
B₄15
B₅52
성질
의미크기 n의 집합을 분할하는 방법의 수
다른 이름분할수, 지수적 수
설명'n번째 벨 수는 크기 n의 집합을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이다. 벨 수는 조합론에서 등장하며, 컴퓨터 과학에서 집합 분할의 복잡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공식
점화식Bₙ₊₁ = Σₖ₌₀ⁿ (ⁿₖ) Bₖ
일반항Bₙ = (1/e) Σₖ₌₀^∞ (kⁿ/k!)
관련 항목
스털링 수스털링 수
파스칼 삼각형파스칼 삼각형
조합론조합론

2. 정의

n번째 벨 수(Bell number) ''B''''n''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된 집합분할하는 방법의 수이다. 이는 n개 원소 사이의 동치 관계의 수, n행의 시에서 가능한 각운 패턴의 수와도 같다.[11]

제2종 스털링 수 \textstyle\{{n\atop k}\}는 n개의 원소를 k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벨 수는 제2종 스털링 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B_n=\sum_{k=0}^n\left\{{n\atop k}\right\}

공집합은 분할이 정확히 하나이므로, B0 = 1이다. 3개의 원소 {a, b, c}를 가진 집합은 아래와 같이 5가지로 분할할 수 있으므로, B3 = 5이다.

:\{ \{a\}, \{b\}, \{c\} \},

:\{ \{a\}, \{b, c\} \},

:\{ \{b\}, \{a, c\} \},

:\{ \{c\}, \{a, b\} \},

:\{ \{a, b, c\} \}.

2. 1. 집합의 분할

''n''번째 '''벨 수'''(Bell number영어) ''B''''n''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된 집합분할하는 경우의 수이다.[11] 예를 들어, 3개의 원소 집합 {a, b, c}는 다음과 같이 5가지 방식으로 분할할 수 있으므로 ''B''3 = 5이다.

:,

:,

:,

:,

:.

이는 ''n''개의 원소 사이의 동치 관계의 수와 같다.[1] 집합의 분할은 일대일 대응을 통해 동치 관계에 대응된다. 이러한 관계는 이항 관계로, 반사 관계, 대칭 관계, 추이 관계를 만족한다. 분할에 해당하는 동치 관계는 두 원소가 같은 부분 집합에 속할 때 동치로 정의한다. 반대로, 모든 동치 관계는 동치류로의 분할에 해당한다.[1]

공집합의 분할은 정확히 하나이므로 ''B''0 = 1이다.

2. 2. 동치 관계

집합의 분할은 일대일 대응을 통해 동치 관계와 서로 대응된다. 이러한 관계는 이항 관계의 일종으로, 반사 관계, 대칭 관계, 추이 관계를 만족한다. 분할에 해당하는 동치 관계는 두 원소가 서로 같은 분할 부분 집합에 속할 때 동치라고 정의한다. 반대로, 모든 동치 관계는 동치류를 이용한 분할과 대응된다.[1] 따라서, 벨 수는 ''n''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에서 가능한 동치 관계의 개수와 같다.

2. 3. 운율 구성

''n''번째 '''벨 수'''(Bell number영어) ''B''''n''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된 집합분할하는 방법의 가짓수이다. 이는 ''n''개의 원소 사이의 동치 관계의 수로 생각할 수 있으며, ''n''행의 시에서 가능한 각운 패턴의 수로도 여길 수 있다.[11]

벨 수는 ''n''행 또는 의 운율 구성의 수를 세기도 한다. 운율 구성은 어떤 행들이 서로 운율을 맞추는지를 설명하며, 따라서 일련의 행들을 운율을 맞추는 하위 집합으로 분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운율 구성은 일반적으로 각 행당 하나의 로마자로 된 시퀀스로 작성되며, 운율을 맞추는 행은 서로 같은 문자를 사용하고, 각 운율 집합의 첫 번째 행은 알파벳 순서대로 표기된다. 따라서 가능한 15가지 4행 운율 구성은 AAAA, AAAB, AABA, AABB, AABC, ABAA, ABAB, ABAC, ABBA, ABBB, ABBC, ABCA, ABCB, ABCC, ABCD이다.

2. 4. 투샤르 다항식

'''투샤르 다항식'''(Touchard polynomial영어) 또는 벨 다항식(Bell polynomial)은 다음과 같은 다항식열이다.[10]

:T_n(x)=\sum_{k=0}^n\left\{{n\atop k}\right\}x^k

여기서 \textstyle\{{n\atop k}\}는 제2종 스털링 수이다.

음계산법을 사용하면, 하강 포흐하머 기호가 이항형 다항식열을 이루므로 다음과 같은 선형 범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L\colon\mathbb Q[x]\to\mathbb Q[x]

:L\colon x^n\mapsto x^{\underline n}

여기서 x^{\underline n}은 하강 포흐하머 기호이다. 이 범함수의 역범함수

:L\colon\mathbb Q[x]\to\mathbb Q[x]

:L\colon x^{\underline n}\mapsto x^n

를 생각하면,

:L(x^n)=T_n(x)

가 된다.

벨 수는 투샤르 다항식의 x=1인 값이다.

:B_n=T_n(1)=\sum_{k=0}^n\left\{{n\atop k}\right\}

투샤르 다항식은 이항형 다항식열이다. 이에 대응하는 델타 작용소는 D\mapsto \exp D-1의 역함수인

:\log\left(1+\frac{d}{dx}\right)

이다.

3. 성질

벨 수는 여러 가지 중요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계산 및 응용이 가능하다.

벨 수는 투샤르 다항식(Touchard polynomial)의 x=1인 값이다. 투샤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_n(x)=\sum_{k=0}^n\left\{{n\atop k}\right\}x^k

여기서 \left\{{n\atop k}\right\}는 제2종 스털링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벨 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B_n=T_n(1)=\sum_{k=0}^n\left\{{n\atop k}\right\}

투샤르 다항식은 이항형 다항식열이며, 이에 대응하는 델타 작용소는 \log\left(1+\frac{d}{dx}\right)이다.

또한, 벨 수는 로그 볼록 수열을 이룬다. 이 수를 계승으로 나눈 값, 즉 ''B''''n''/''n''!은 로그 오목 수열을 이룬다.

3. 1. 점화식

벨 수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만족한다.[10]

:B_{n+1}=\sum_{k=0}^n \binom nkB_k

여기서 \binom nk이항 계수이다. 이 점화식은 ''n'' + 1개의 항목을 분할할 때, 첫 번째 항목이 포함된 집합을 제거하면 0에서 ''n''까지의 ''k''개의 원소를 가진 더 작은 집합의 분할이 남는다는 사실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때, ''k''개의 원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binom{n}{k}가지이고, 선택된 ''k''개의 원소를 분할하는 방법은 ''Bk''가지이다.

예를 들어, 3개의 요소 a, b, c를 그룹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5가지이다.

  • {a}, {b}, {c}
  • {a}, {b, c}
  • {b}, {a, c}
  • {c}, {a, b}
  • {a, b, c}


따라서 B3 = 5이다. 마찬가지로 B2 = 2, B1 = 1이며, B0공집합을 그룹화하는 방법으로 생각하여 B0 = 1로 정의한다.

3. 2. 도빈스키 공식

'''도빈스키 공식'''(Dobiński’s formula영어)[12]은 벨 수를 무한 급수로 표현하는 공식이다.

:B_n=\frac1e\sum_{k=0}^\infty \frac{k^n}{k!}

이에 따라, n번째 벨 수는 기댓값이 1인 푸아송 분포

:\Pr(x=k)=\frac1e\frac1{k!}

n번째 모멘트이다.

이 공식은 지수 생성 함수를 지수 함수의 테일러 급수를 사용하여 전개한 다음, 동일한 지수를 가진 항을 수집하여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음계산법으로도 유도할 수 있다.[10]

3. 3. 생성 함수

벨 수의 지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10]

:\sum_{n=0}^\infty B_n\frac{x^n}{n!} = \exp(\exp(x)-1)

이는 음계산법을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10] 또는 해석적 조합론을 사용하여 집합 분할을 항아리 문제로 설명하고, 지수 생성 함수를 조합론적 클래스 표기법에서 유도할 수 있다. 이항 계수를 사용한 벨 수의 재귀 관계를 통해 지수 생성 함수가 미분 방정식 B'(x) = e^{x}B(x)를 만족함을 보이고, 이 방정식을 풀어 생성 함수를 구할 수도 있다.

3. 4. 합동식

벨 수는 특정 소수 ''p''에 대해 주기성을 갖는 다음의 합동식을 만족한다. 이를 투샤르 합동식이라 한다.[1]

:B_{p+n} \equiv B_n+B_{n+1} \pmod p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다.[2]

:B_{p^m+n} \equiv mB_n+B_{n+1} \pmod p.

투샤르 합동식으로 인해 벨 수는 모든 소수 ''p''에 대해 모듈로 ''p''로 주기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p'' = 2일 때, 벨 수는 홀수-홀수-짝수 패턴을 주기가 3으로 반복한다. 임의의 소수 ''p''에 대한 이 반복의 주기는 다음 수의 약수여야 한다.

:\frac{p^p-1}{p-1}

그리고 모든 소수 p \leq 101 p = 113, 163, 167 또는 173에 대해 정확히 이 수이다.[3]

벨 수의 모듈로 ''n''에 대한 주기는 다음과 같다.[4]

: 1, 3, 13, 12, 781, 39, 137257, 24, 39, 2343, 28531167061, 156, ...

3. 5. 적분 표현

코시 적분 정리를 사용하여 지수 생성 함수를 통해 투샤르 다항식과 벨 수를 선적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 T_n(x) = \frac{n!}{2 \pi i} \oint_{\gamma} \frac{\exp(x(\exp(z)-1))}{z^{n+1}} \, dz

: B_n = T_n(1) = \frac{n!}{2 \pi i} \oint_{\gamma} \frac{\exp(\exp(z)-1))}{z^{n+1}} \, dz

여기서 \gamma는 원점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한 번 도는 임의의 폐곡선이다. 코시 적분 공식을 지수 생성 함수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복소 적분 표현을 얻을 수 있다.

: B_n = \frac{n!}{2 \pi i e} \int_{\gamma} \frac{e^{e^z}}{z^{n+1}} \, dz.

그런 다음 최급강하법을 표준적으로 적용하여 일부 점근적 표현을 도출할 수 있다.[5]

3. 6. 로그 오목성

벨 수는 로그 볼록 수열을 이룬다. 이 수를 계승으로 나눈 값, 즉 ''B''''n''/''n''!은 로그 오목 수열을 이룬다.

4. 계산

벨 수는 파스칼의 삼각형과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벨 수 1을 세로로 나열하고, ''x''의 값은 ''x''의 왼쪽 숫자와 그 위에 있는 숫자를 더해 계산한다. ''y''의 값은 한 칸 위 행의 오른쪽 끝 숫자와 같이 쓴다. ''z''는 ''x''처럼 왼쪽 이웃 숫자와 대각선 왼쪽 위 숫자를 더한다. 가장 왼쪽 숫자를 제외하고는 마찬가지로 계산하며, 왼쪽 숫자는 ''y''처럼 삼각형 빗변 위 숫자를 복사한다. n번째 행의 오른쪽 끝 숫자가 n번째 벨 수이다.

제2종 스털링 수를 이용해 벨 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n''번째 벨 수 ''B''''n''은 제2종 스털링 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제2종 스털링 수 \textstyle\{{n\atop k}\}n개 원소로 된 집합을 k개 조각으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이며, 벨 수는 이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11]

:B_n=\sum_{k=0}^n\left\{{n\atop k}\right\}

벨 수는 투샤르 다항식(또는 벨 다항식)에서 x=1을 대입한 값과 같다.

:B_n=T_n(1)=\sum_{k=0}^n\left\{{n\atop k}\right\}

4. 1. 벨 삼각형 (에이트킨 배열, 피어스 삼각형)

벨 수로 구성된 우측 대각선 수열을 갖는 삼각 배열


벨 수는 벨 삼각형(에이트킨 배열 또는 피어스 삼각형이라고도 함)을 생성하여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이 삼각형은 알렉산더 에이트켄과 찰스 샌더스 퍼스의 이름을 땄다.[3] 벨 삼각형은 파스칼의 삼각형과 유사한 방식으로 계산된다.

벨 삼각형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숫자 1로 시작하여 단독 행에 넣는다. ( x_{0,1} = 1 )

# 이전 행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요소를 가장 왼쪽에 있는 숫자로 사용하여 새 행을 시작한다. (x_{i,1} \leftarrow x_{i-1, r}, 여기서 ''r''은 (''i''-1)번째 행의 마지막 요소)

# 왼쪽 열에 없는 숫자는 왼쪽 숫자와 왼쪽 위의 숫자, 즉 계산하려는 숫자의 대각선 위와 왼쪽에 있는 숫자를 더하여 구한다. ( x_{i,j} \leftarrow x_{i,j-1} + x_{i-1,j-1} )

# 이전 행보다 숫자가 하나 더 많은 새 행이 있을 때까지 3단계를 반복한다( j = r + 1 이 될 때까지 3단계 수행).

# 주어진 행의 왼쪽에 있는 숫자는 해당 행의 ''벨 수''이다. (B_i \leftarrow x_{i,1})

다음은 이 규칙으로 구성된 삼각형의 처음 다섯 행이다.



\begin{array}{l}

1 \\

1 & 2 \\

2 & 3 & 5 \\

5 & 7 & 10 & 15 \\

15 & 20 & 27 & 37 & 52

\end{array}



벨 수는 삼각형의 왼쪽과 오른쪽에 모두 나타난다.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을 첫 행에 쓴다.

# 다음 행은 이전 행의 가장 오른쪽 숫자로 시작한다.

# 해당 칸의 왼쪽 숫자와 왼쪽 대각선 위에 있는 숫자를 더한 값을 쓴다.

# 행의 숫자가 이전 행보다 하나 더 많아질 때까지 반복한다.

# 각 행의 가장 왼쪽 숫자가 해당 행의 벨 수이다.

4. 2. 제2종 스털링 수와의 관계

''n''번째 벨 수 ''B''''n''은 제2종 스털링 수의 합으로 표현된다. 제2종 스털링 수 \textstyle\{{n\atop k}\}n개의 원소로 구성된 집합을 k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이다. 따라서 벨 수는 다음과 같이 제2종 스털링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11]

:B_n=\sum_{k=0}^n\left\{{n\atop k}\right\}

벨 수는 투샤르 다항식(또는 벨 다항식)에서 x=1을 대입한 값과 같다. 투샤르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_n(x)=\sum_{k=0}^n\left\{{n\atop k}\right\}x^k

따라서, 벨 수는 투샤르 다항식에 1을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B_n=T_n(1)=\sum_{k=0}^n\left\{{n\atop k}\right\}

5. 역사

벨 수는 중세 일본의 겐지코(源氏香일본어) 놀이에서 처음 등장한다.[11] 겐지코 놀이는 5개의 향 가운데 어떤 것들이 같은 냄새를 가지는지 구별하는 놀이인데, 가능한 해는 총 B_5=52가지이다. 이 52가지의 해는 겐지몬(源氏紋일본어)이라는 문양으로 나타내어져, 겐지모노가타리의 각 장 표지에 표시되었다.[11]

52개의 겐지몬. 원래 겐지몬은 채색되어 있지 않으며, 색깔은 대응하는 집합의 분할을 구체적으로 보이기 위해 첨가하였다.


19세기 《겐지모노가타리》 삽화. 왼쪽 상단에 6장 〈스에쓰무하나〉()에 대응하는 겐지몬이 표시돼 있다.


번호제목집합의 분할
1기리쓰보13, 2, 45
2하하키기1, 2, 3, 4, 5
3우쓰세미1, 2, 3, 45
4유가오1, 2, 34, 5
5와카무라사키1, 23, 45
6스에쓰무하나1234, 5
7모미지 노 가1, 235, 4
8하나 노 엔1, 2, 35, 4
9아오이12, 3, 4, 5
10사사키123, 45
11하나 치루 사토1, 24, 35
12스마134, 25
13아카시1, 23, 4, 5
14미오쓰쿠시1, 245, 3
15요모규123, 4, 5
16세키야1, 234, 5
17에아와세13, 25, 4
18마쓰카제12, 34, 5
19우스구모1, 2345
20아사가오134, 2, 5
21오토메13, 2, 4, 5
22다마카즈라12, 345
23하쓰네13, 24, 5
24고초14, 235
25호타루124, 3, 5
26도코나쓰1, 2, 345
27가가리비1, 24, 3, 5
28노와키12, 3, 45
29미유키13, 245
30후지바카마14, 2, 3, 5
31마키바시라15, 24, 3
32우메가에1235, 4
33후지 노 우라바1, 25, 34
34와카나 노 조125, 34
35와카나 노 게124, 35 (분할은 42와 같지만, 겐지몬이 다름)
36가시와기135, 2, 4
37요코부에145, 2, 3
38스즈무시15, 2, 34
39유기리14, 2, 35
40미노리14, 25, 3
41마보로시15, 2, 3, 4
42니오노미야124, 35 (분할은 35와 같지만, 겐지몬이 다름)
43고바이1, 25, 3, 4
44다케가와15, 234
45하시히메1345, 2
46시가모토14, 23, 5
47아게마키145, 23
48사와라비12, 35, 4
49야도리기1245, 3
50아즈마야125, 3, 4
51우키후네15, 23, 4
52가게로135, 24
53데나라이12345
54유메 노 우키하시(물결 모양, 집합 분할과 관계없음)



이후 1877년에 폴란드의 구스타브 도빈스키(Gustaw Dobińskipl)가 도빈스키 공식을 발표하였고,[12] 벨 삼각형은 찰스 샌더스 퍼스(1880년)[13], 알렉산더 에잇컨(Alexander C. Aitken영어)(1933년)[14]이 거론하였다.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노트에서[15] 투샤르 다항식과 벨 수에 대해 연구하였으나 출판하지는 않았다.[16]

에릭 템플 벨(Eric Temple Bell영어)은 1934년부터 이 수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17] 벨은 이 수들을 "지수적 수"(exponential number영어)라고 불렀으나, 이후 벨을 기려 "벨 수"라고 불리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Naive set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New York-Heidelberg
[2] 문서
[3] OEIS
[4] 저널 Some formulas for Bell numbers http://www.doiserbia[...] 2018
[5] 서적 Complex Analysis http://www.math.calt[...] 2012-09-02
[6] 웹사이트 The Moser-Wyman expansion of the Bell numbers http://www.austinmoh[...] 1994-07
[7] OEIS
[8] 문서
[9] 문서
[10] 서적 Combinatorics: The Rota Way http://www.math.tam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1] 저널 The Bells: versatile numbers that can count partitions of a set, primes and even rhymes
[12] 저널 Summirung der Reihe \textstyle\sum\frac{n^m}{n!} für ''m'' = 1, 2, 3, 4, 5, … http://www.archive.o[...] 1877
[13] 저널 On the algebra of logic 1880
[14] 저널 A problem in combinations 1933
[15] 서적 1957
[16] 저널 Ramanujan reaches his hand from his grave to snatch your theorems from you http://www.asiapacif[...] 2011-04
[17] 저널 Exponential polynomials
[18] 저널 Sur les cycles des substitu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