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본위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본위제는 금과 은을 모두 법정 통화로 인정하고, 금이나 은을 조폐국에 납입하면 소액의 수수료로 금화나 은화로 주조해주는 제도이다. 고대 리디아에서 금-은 합금 주화가 사용된 것이 시초이며, 중세 유럽에서 금과 은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려워 복본위제를 채택했다. 그러나 금과 은의 시장 가격과 법정 가격의 차이로 인해 그레샴의 법칙이 발생하여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19세기 영국은 금본위제로 전환했고, 미국은 1873년 주조법으로 복본위제를 폐지했다. 조선과 일본에서도 복본위제를 시행했으나, 금은비 변동과 통화 유출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속주의 - 은본위제
은본위제는 화폐 가치를 은에 고정하는 통화 제도로,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수천 년간 사용되었으나 19세기 말 금본위제로 전환되며 20세기 초 대부분 국가에서 사라졌다. - 금속주의 - 실물화폐
실물화폐는 사용자가 가치를 직접 인식하는 화폐로서, 귀금속이나 곡물 등 사회적으로 중요한 재화를 소재로 하여 물물교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무역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 미국의 역사 (1865-1918) - 존스타운 홍수
1889년 5월 31일, 폭우로 펜실베이니아주 존스타운 상류의 사우스 포크 댐이 붕괴되어 발생한 존스타운 홍수는 2,209명의 사망자와 막대한 재산 피해를 초래하며 존스타운 시내와 주변 마을을 파괴했고, 미국 적십자사의 대규모 구호 활동을 이끌어냈으며 댐 건설 및 유지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 미국의 역사 (1865-1918) - 앤드루 존슨
가난한 환경에서 독학으로 정치 경력을 쌓아 대통령이 된 앤드루 존슨은 남북전쟁 이후 온건한 재건 정책으로 의회와 갈등을 겪고 탄핵 소추를 받았으나 부결되었으며, 이후 상원의원으로 활동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복본위제 | |
---|---|
개요 | |
정의 | 금과 은, 두 종류의 금속을 화폐의 본위로 하는 통화 제도 |
유형 | 병행본위제 복본위제 |
최초의 복본위제 | Croeseids (기원전 550년경) |
역사 | |
기원 | 금과 은의 교환 비율을 법적으로 고정하려는 시도에서 시작 |
19세기 |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논의됨 금본위제와 경쟁 |
주요 옹호 국가 | 미국 프랑스 |
주요 옹호론자 | 헨리 클레이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
쇠퇴 | 20세기 초, 금본위제로 대체됨 |
작동 원리 | |
법정 평가 비율 | 금과 은의 가치를 정부가 정한 비율로 고정 |
그레셤의 법칙 | 평가 절하된 화폐(악화)가 유통되고, 평가 절상된 화폐(양화)는 퇴장하는 현상 발생 가능 |
장점 (주장) | |
통화량 안정 | 금과 은의 공급량 변화에 따라 통화량 자동 조절 |
경제 성장 촉진 | 통화량 증가로 인한 투자 및 소비 활성화 |
국제 무역 활성화 | 환율 안정으로 인한 무역 거래 촉진 |
단점 (주장) | |
그레셤의 법칙 문제 |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여 제도 불안정 초래 가능 |
평가 비율 설정의 어려움 | 시장 가격 변동에 따른 지속적인 조정 필요 |
투기 조장 가능성 | 금과 은의 가격 변동을 이용한 투기 행위 발생 가능 |
주요 쟁점 | |
그레셤의 법칙의 영향 | 복본위제 존폐에 대한 주요 논쟁거리 |
정부 개입의 필요성 | 시장 가격 변화에 대한 정부의 적절한 대응 방안 |
국제 협력의 중요성 | 국제적인 통화 제도와의 조화 필요 |
현대적 시각 | |
역사적 중요성 | 초기 통화 제도 연구에 기여 |
대안적 통화 제도 | 암호화폐 등 새로운 통화 제도 연구에 참고 자료 |
같이 보기 | |
관련 개념 | 금본위제 은본위제 본위화폐 변동환율제 고정환율제 |
2. 역사적 배경
복본위제는 금과 은의 가치 비율, 즉 금은비가를 법적으로 고정하여 두 금속을 모두 본위화폐로 사용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금화와 은화가 본위화폐로 지정되므로 금은복본위제라고도 불린다. 이 제도 아래에서는 금화와 은화가 함께 유통되며, 정부는 법정비가에 따라 금과 은의 교환을 보장한다.[64]
1873년 프랑스는 복본위제를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금은비가가 법정되어 있어도 시장비가와 법정비가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면 문제가 생겼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은의 가치가 법정 가치보다 낮아지면, '그레샴의 법칙'에 따라 금화는 사라지고 은화만 유통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금은복본위제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은본위제와 같아지는 결과를 초래했다.[6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과 은 모두 무제한 강제통용력을 인정하면서도, 금에는 자유주조를 허용하고 은에는 제한하는 파행본위제도가 등장했다. 1865년 라틴 통화 동맹(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 등)과 1893년 미국 등에서 파행본위제가 시행되었다.[64]
역사적으로 은본위제가 먼저 등장했고, 이후 금은복본위제가 나타났다. 그러나 복본위제는 점차 붕괴되어 불완전복본위제 또는 파행본위제로 변화했고, 결국 금본위제로 이행되었다.[64] 금은 복본위제에서는 금화와 은화 모두 무제한 법정 통화로 사용되며, 금 또는 은 지금(地金)을 조폐국에 가져가면 소액의 수수료를 내고 금화나 은화로 주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정 환율 제도에서는 금 또는 은의 시세 변동에 따라 그레샴의 법칙이 작용하여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많았다.[32]
금과 은을 모두 본위 화폐로 사용하면, 금은비 고정은 생산 가격과 시장 가격을 무시하는 것이 된다. 법정 금은비와 시장 가격의 균형이 무너지면, 시장 가격이 높은 쪽의 화폐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았다. [33][34]
중세 유럽에서는 안정적인 금화 또는 은화 공급이 어려워 금은복본위제를 채택할 수밖에 없었고, 균형이 무너질 때마다 화폐 개주를 통해 균형을 유지해야 했다. 1816년 영국이 금본위제로 전환하면서 다른 유럽 국가들도 라틴 통화 동맹을 거쳐 금본위제로 전환했다.
1886년 영국에서는 금은 가치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고, 1887년 알프레드 마셜은 금과 은의 관계를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금은 합본위제를 제안했지만 실행되지는 않았다.[35][36]
2. 1. 고대 사회
기원전 7세기경부터 소아시아, 특히 리디아와 이오니아 지역에서는 금과 은의 자연 혼합물(금 약 54%, 은 약 44%)인 금-은 합금(electrum)으로 만든 주화를 사용했다.[1] 리디아의 왕 크로이소스는 표준화된 순도를 가진 최초의 금화인 크로이세드를 발행했다.[1] 헤로도토스는 리디아인들이 금화와 은화를 사용하고, 소매로 상품을 판매한 최초의 사람들이라고 언급했다.[1]
크로이소스는 크로이세드 금화와 은화를 발행하여 금과 은의 가치 비율을 확립하고 복본위제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

아케메네스 제국에서는 다리우스 1세 때부터 사르디스에서 크로세이드 주조를 대체하여 금화(다릭)와 은화(시글로이)를 발행했다.[12] 금 다릭은 고대 세계 전역에서 국제 통화가 되었지만, 시글로이의 유통은 소아시아로 매우 제한되었다.[13] 아케메네스 제국은 금과 은의 중량 환율을 1:13으로 고정하는 등 고대 복본위제 시스템을 발전시켰다.[11]
2. 2. 중세 및 근대 유럽
중세 유럽에서는 자국 내 금, 은 공급이 불안정했기 때문에 복본위제를 채택할 수밖에 없었고, 금은비의 균형이 무너질 때마다 화폐 개주를 통해 균형을 유지하려 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아이작 뉴턴이 1717년에 금은비를 1:15.21로 설정했는데,[37][38] 이때 1기니 금화는 은화 21실링과 등가였다.[39] 그러나 이는 당시 시세보다 금의 가치를 높게 평가한 것이어서 은화 유출과 금화 유통 독점을 초래했다.[39] 1774년에는 은화 사용을 25파운드로 제한했고,[40] 1816년 금본위제를 채택하면서 복본위제에서 벗어났다.[41][42]2. 3. 프랑스
1785년 프랑스는 금은 비율을 1:15.5로 설정했으나, 실제로는 금화의 자유 주조를 인정하지 않고 감량 조정을 통해 금은비를 유지했다.[44]1803년 프랑스 화폐법은 20 프랑 금화는 200/31g (6.45g) (품위 900/1000, 순금 180/31g: 5.81g), 1 프랑 은화는 5g (품위 900/1000, 순은 4.5g)으로 설정하여 금은 비율을 1:15.5로 하는 복본위제를 확립했다.[45] 이때 처음으로 금화와 은화 모두 자유 주조를 인정하고 무제한 법정 통화 자격을 부여했다.[44]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로 금 공급이 증가하면서 은에 대한 금의 가치가 하락했고, 이에 나폴레옹 3세는 은화 5프랑을 대체하기 위해 금화 5프랑을 도입했지만, 1803년 법에 따른 복본위제는 유지했다.
1864년 금 가격 하락으로 국내 소액 은화를 유보하기 위해 미국을 따라 금화는 종전과 같이, 은화는 중량은 종전과 같고 품위가 835/1000으로 낮춰져 정위 화폐가 되었다. 1865년 결성된 라틴 통화 동맹은 금은비 1:15.5를 유지하려 했으나, 은 가격 하락과 그에 따른 세계적인 금본위제 전환으로 1873년 사실상 금본위제가 되었고, 1874년 은화 자유 주조 제한, 1878년 자유 주조 폐지로 복본위제는 완전히 포기되고 금본위제가 시행되었다.
2. 4. 미국
1792년 주조법은 금은비를 1:15로 정하고 복본위제를 채택했다.[46] 1834년 주조법에서는 금화 중량을 줄여 금은비를 1:16으로 변경했다.[46]1853년에는 은화 가치 하락에 대응하여 소액 은화 중량을 줄여 훼손 및 해외 유출을 방지하고, 사실상 복본위제에서 이탈했다.[47] 1873년 금본위제를 채택하며 복본위제를 폐지했다.[50][51]
19세기 후반, '자유 은화' 운동 등 복본위제 부활을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격화되었다.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은 1896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황금 십자가 연설'을 통해 금본위제를 비판하고 복본위제를 주장했으나,[29]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했다.
3. 한국(조선)의 복본위제
에도 시대에, 금과 은은 각각 별도의 화폐 단위로 취급되었고 변동 환율이 적용되었다. 게이초 14년(1609년) 어정상장에서는 게이초 금 1량 (4.76몬메: 17.56g, 품위 44/50.7, 순금 15.41g, 순은 2.35g)과 게이초 은 50몬메(186.51g) (품위 800/1000, 순은 149.21g)의 가치를 동일하게 규정하여, 공식적인 금은비는 1:9.53이었다.[54][55][56]
겐로쿠 8년(1695년) 개주에서는 은에 비해 금의 품위가 낮아져 은고금안 현상이 발생했다. 막부는 이를 억제하고자 1700년 어정상장을 개정하여 겐로쿠 금 1량 (4.76몬메: 17.56g, 품위 44/76.7, 순금 10.19g, 순은 7.57g)과 겐로쿠 은 60몬메(223.81g) (품위 640/1000, 순은 143.24g)의 가치를 동일하게 규정하여 공식적인 금은비는 1:13.32가 되었다.[54][55] 그러나 시세는 막부의 의도대로 되지 않아 금은비는 대략 1:11 전후로 변동했다.[57]
메이와 2년(1765년) 주조된 5몬메 은은 겐분 코반에 대해 12장의 고정 상장제를 의도한 것으로, 사실상 금은 복본위제(금은비 1:11.48)였다. 하지만 코반의 화폐 단위와 관련지었다는 점에서는 금본위제를 목표로 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비율은 시세보다 은의 가치가 높게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악화인 5몬메 은은 시장에서 기피되어 유통되지 않았다. 1772년 주조된 난료 2슈 은은 겐분 은보다 액면가 대비 순은 함량이 약 27% 적어 코반에 대한 사실상의 보조 화폐(정위 화폐)였다.[58]
근대 일본에서는 메이지 4년 5월 10일 (1871년 6월 17일) 신화 조례 제정으로 유럽을 따라 1엔 금화(1 2/3g) (품위 900/1000, 순금 1.5g)를 원화로 하는 금본위제를 채택했다. 그러나 청을 비롯한 주변 국가들은 모두 은본위제를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에, 양은과 동일한 가치의 1엔 은화 (416그레인: 26.96g) (품위 900/1000, 순은 374.4그레인: 24.26g) 발행을 병행해야 했다. 당시 개항장에서 통용되던 은화 100엔 대 금화 101엔의 금은비는 1:16.01이었지만,[59] 국제 시세에 비해 금의 가치가 낮게 책정되어 금화의 국외 유출이 심각했다.
이에 메이지 8년(1875년) 미국의 무역 달러 은화와 동일한 무역 은 (420그레인:27.22g) (품위 900/1000, 순은 378그레인:24.49g)을 새로 발행하고, 이듬해 금은비를 금화 100엔 대 은화 100엔으로 조정하여 실질적인 금은 복본위제를 시행했다. 메이지 11년(1878년) 5월 27일 오쿠라 경 오쿠마 시게노부의 건의로 금은 복본위제를 정식 채택, 이전까지 개항장에서만 통용이 허용되던 1엔 은화 및 무역 은에 일본 국내에서도 강제 통용력을 부여하여 무제한 사용을 허용했다. 이로써 은화도 사실상 본위 화폐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60][61]
그러나 서남 전쟁으로 인한 불환 지폐 남발과 그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금화와 은화 모두 국외로 유출되거나 퇴장되어, 본위 화폐는 명목상의 존재로 전락했다. 마츠카타 마사요시는 이를 우려하여 일시적인 은본위제 도입을 통해 통화 안정을 꾀했고, 메이지 18년(1885년) 은본위제 기반 태환 지폐인 일본 은행권을 발행하여 일본은 일시적으로 실질적인 은본위제가 되었다. 이후 메이지 30년(1897년) 화폐법 제정으로 금본위제로 복귀했으나, 금 평가는 절반으로 낮아져 순금 0.75g을 1엔으로 정하고, 품위는 900/1000을 유지했다.[62]
4. 문제점 및 한계
복본위제는 법으로 정한 금과 은의 교환 비율(법정 금은비)과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과 은의 교환 비율(시장 금은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그레셤의 법칙', 즉 "악화(가치가 낮은 화폐)가 양화(가치가 높은 화폐)를 구축한다"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64] 예를 들어 법정 금은비가 1:10인데 시장 금은비가 1:20이라면, 사람들은 은을 화폐로 주조하여 법정 가격으로 금화와 교환한 후, 금화를 녹여 금 자체로 만들어 시장에 팔아 이익을 얻으려 할 것이다. 결국 금화는 사라지고 은화만 유통되는 상황이 발생한다.[33][34]
이러한 문제는 금 또는 은의 생산량 변화, 국제 정세 변화 등 외부 요인에 의해 금은비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는 통화 제도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실제로 19세기 후반, 금 생산량 증가와 은 가격 하락으로 인해 복본위제 유지가 어려워졌고, 결국 많은 국가들이 금본위제로 전환하게 되었다.[32] 1992년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1873년의 복본위제 폐지가 미국의 장기적인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31]
중세 유럽에서는 안정적인 금화 또는 은화 공급이 어려워 복본위제를 채택할 수밖에 없었고, 금은비의 균형이 무너질 때마다 개주를 통해 균형을 유지해야 했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reek and Roman Coin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
간행물
Reciprocity, Bi-metallism, and Land-Tenure Reform
https://catalog.hath[...]
Macmillan & Co.
1880
[3]
간행물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
[4]
간행물
A Model of Bimetallism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Research Department
[5]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6]
간행물
A Financial History of Western Europe
Allen & Unwin
1984
[7]
간행물
Economic History Review
1995
[8]
간행물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990
[9]
간행물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1996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1]
서적
DARIC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4]
웹사이트
The Argentine Currency Board and the Search for Macroeconomic Stability, 1880–1935
https://www.nber.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문서
Silver Money, Chapter IV Bimetallism in France and the Latin Monetary Union
[16]
문서
op. cit
[17]
문서
Coins in History
[18]
문서
Gold Coin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19]
문서
op. cit
[20]
문서
Bimetallism
2006
[21]
문서
A Mad, Bad & Dangerous People?
2008
[22]
문서
Victorian Years
Ernest Benn
1961
[23]
문서
British Imperialism
2016
[24]
웹인용
The Law of the Dollar
https://www.jstor.or[...]
1937-11
[25]
문서
the Growth of the United States
Penguin
1955
[26]
문서
The American Union
Penguin
1950
[27]
문서
the Growth of the United States
Penguin
1955
[28]
문서
the Growth of the United States
Penguin
1955
[29]
문서
the Growth of the United States
Penguin
1955
[30]
문서
The American Union
Penguin
1950
[31]
문서
Money Mischief
Harcourt Brace Jovanovich
1992
[32]
문서
三上(1996)p38-39.
[33]
문서
堀江(1927)p87-88.
[34]
문서
三上(1996)p38-39.
[35]
문서
堀江(1927)p350-358.
[36]
서적
三上(1996)p40-41.
[37]
간행물
On the Value of Gold and Silver in European Currencies and the Consequences on the World-wide Gold- and Silver-Trade
1717-09-21
[38]
간행물
By The King, A Proclamation Declaring the Rates at which Gold shall be current in Payments reproduced in the numismatic chronicle and journal of the Royal Numismatic Society, Vol V., April 1842 – January 1843.
[39]
논문
Newton and the Gold Standard
1935-01-01
[40]
서적
Bimetallism
2006
[41]
서적
堀江(1927)p103.
[42]
서적
三上(1996)p242-244.
[43]
서적
堀江(1927)p404-420.
[44]
서적
堀江(1927)p420-432.
[45]
서적
Silver Money, Chapter IV Bimetallism in France and the Latin Monetary Union
[46]
논문
The Law of the Dollar
1937-11
[47]
논문
1853: The End of Bimetallism in the United States
1973
[48]
웹사이트
幕末ゴールドラッシュ -安政の五カ国条約と金貨流出-
https://www.imes.boj[...]
[49]
웹사이트
Arrows Coinage & The Mint Act of 1853
[50]
서적
Fractional Money: A History of Small Coins and Fractional Paper Currency of the United States
John Wiley & Sons, Inc.
1930
[51]
서적
貨幣商組合(1998)p149-150.
[52]
서적
堀江(1927)p459-465.
[53]
서적
堀江(1927)p450-465.
[54]
서적
青山(1982)p119.
[55]
서적
石原(2003)p123.
[56]
서적
久光(1976)p84-92.
[57]
문서
江戸時代の日本では幕府は貿易や金銀貨の輸出入を制限したが効果は薄く、かなりの金銀貨が国外へ流出した。
[58]
서적
三上(1996)p239-244.
[59]
서적
久光(1976)p186-189.
[60]
서적
青山(1982)p182-183.
[61]
서적
久光(1976)p193.
[62]
서적
久光(1976)p198-203.
[63]
웹인용
복본위제와 그레샴의 법칙
https://eiec.kdi.re.[...]
KDI 경제정보센터
2009
[64]
문서
복본위제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