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수 작전은 1943년 4월, 미국이 일본 제국 해군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시찰 계획을 암호 해독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격추하기 위해 실행한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암호 해독에 성공한 미국이 야마모토의 이동 경로와 시간을 파악하여, P-38 전투기를 투입하여 야마모토가 탑승한 폭격기를 격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작전 결과 야마모토가 사망했으며, 이 사건은 일본군에 큰 충격을 주었고, 미국 내에서는 사기를 진작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 작전의 성공은 암호 해독 능력의 중요성을 부각시켰으며, 정보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적 암살 - 2020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미국군이 이라크 바그다드 국제공항에서 이란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과 이라크의 아부 마흐디 알무한디스 부사령관을 포함한 10명을 살해한 사건으로, 이란-미국 관계 악화 및 국제법 위반 논란을 야기했다. - 솔로몬 제도 전역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1943년 솔로몬 제도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1943년 솔로몬 제도 - 수레바퀴 작전
수레바퀴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남태평양 라바울의 일본군을 무력화하기 위해 계획한 군사 작전으로, 여러 하위 작전을 통해 뉴기니와 솔로몬 제도의 요충지를 점령하여 라바울을 고립시켰다.
복수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투 정보 | |
명칭 | 복수 작전 (Operation Vengeance) |
해군갑 사건 | 해군갑 사건 (海軍甲事件, Kaigun Kō Jiken) |
시기 | 1943년 4월 18일 |
장소 | 테리토리 오브 뉴기니, 부건빌섬 팡구나 근처 |
결과 | 미국의 승리,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 전사 |
교전 세력 | |
교전 1 | 미국 |
교전 2 | 일본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미국 | 윌리엄 홀시 주니어 존 W. 미첼 |
일본 제국 | 야마모토 이소로쿠 우가키 마토메 |
참전 부대 | |
미국 | 13 공군 |
미국 하위 부대 | 347 전투 비행단 339 전투 비행대 |
일본 제국 | 11 항공 함대 |
일본 제국 하위 부대 | 26 항공 전대 204 해군 항공대 705 해군 항공대 |
전력 | |
미국 | P-38G 전투기 18대 |
일본 제국 | G4M1 폭격기 2대, A6M3 전투기 6대 |
피해 규모 | |
미국 | P-38G 전투기 1대 손실, 조종사 1명 사망 |
일본 제국 | 폭격기 2대 파괴, 전투기 1대 손상, 20명 사망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 포함) |
관련 전투 | |
관련 전투 | 솔로몬 제도 전역 |
추가 정보 | |
![]() |
2. 배경
일본 제국 해군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는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방면의 전선 시찰을 계획했다. 이 시찰은 1943년 4월 7일 시작된 이호 작전에 참여한 일본 공군 부대를 격려하고, 과달카날 전역에서의 패배와 이후 케 작전으로 인한 철수로 저하된 일본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35]
일본 제국 해군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는 1943년 4월 7일부터 시작된 이호 작전에 참여한 일본 공군 부대를 시찰하고, 과달카날 전역 패배 이후 저하된 일본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섬 전선 시찰을 계획했다. 그는 트럭 섬의 기함 무사시를 떠나 라바울 기지에서 작전을 지휘하고 있었으며, 시찰 계획은 부건빌 섬과 쇼트랜드 섬 인근 바라레 섬 기지를 방문하는 것이었다. 당시 해당 지역은 일본 해군의 제해권 아래에 있었고, 미군의 항공 활동은 고고도 정찰기(P-38) 정도에 그쳐 일본 측은 위협을 거의 느끼지 못했다. 이 시찰 계획은 함대 사령부에서 관련 부대에 암호 전문으로 전달되었다.[35]
미군은 일본군의 암호 해독에 성공하여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사령장관이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전선 시찰에 나선다는 첩보를 입수했다. 야마모토는 이-고 작전에 참여한 항공 부대를 격려하고, 과달카날 전역 패배 이후 저하된 일본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1943년 4월 18일 라바울을 출발하여 부건빌 섬 등을 방문할 예정이었다. 이 정보는 즉시 미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제독에게 보고되었다.[35]
야마모토는 "이호 작전"을 직접 지휘하기 위해 트럭 섬의 기함 무사시를 떠나 라바울 기지에 머물고 있었다. 시찰 일정은 라바울을 출발하여 부건빌 섬의 부인 기지를 거쳐 쇼트랜드 섬 근처에 있는 발라라에 섬 기지로 가는 것이었다. 당시 일본 해군은 해당 지역의 제해권을 장악하고 있다고 판단했으며, 고고도 정찰 비행을 하는 미군의 P-38 외에는 별다른 위협이 없다고 여겨 위기감은 거의 없었다. 이 시찰 계획은 함대 사령부를 통해 관련 부대에 암호 전문으로 전달되었다.[35]
그러나 일본 측이 알지 못하는 사이, 미군 정보부는 이미 일본군의 암호 해독에 성공한 상태였다. 야마모토의 시찰 계획이 담긴 암호 전문 역시 즉시 해독되었고, 그의 이동 경로와 예정 시각은 미군에게 파악되었다. 이 중요한 정보는 즉시 미국 해군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제독에게 보고되었다.
3. 암호 해독
1943년 4월 14일, 코드명 "매직"으로 알려진 미 해군 정보 당국은 야마모토의 시찰 계획이 담긴 일본군의 암호 통신 NTF131755를 감청하여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일본 측은 당시 미군이 자국의 암호 해독에 성공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이 메시지는 일본 해군 암호 JN-25D로 암호화되어 있었으며, 태평양 함대 함대 무선 부대를 포함한 여러 "매직" 기지에서 포착되었다. 해군 암호 해독가들, 그중에는 훗날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이 되는 존 폴 스티븐스도 포함되어 있었는데,[44][1] 이들이 암호를 해독하여 야마모토의 정확한 이동 경로, 시간, 탑승 및 호위 항공기 종류와 수 등 세부 정보를 파악했다.
해독된 정보에 따르면 야마모토는 4월 18일, 라바울에서 출발하여 부건빌 섬 인근 발랄레이 비행장으로 이동할 예정이었다. 그는 참모진과 함께 2대의 미쓰비시 G4M 베티 중폭격기(제705항공대 소속)에 탑승하고, 6대의 미쓰비시 A6M 제로 전투기(제204항공단 소속)의 호위를 받으며 일본 표준시 기준 오전 6시에 라바울을 이륙하여 오전 8시에 발랄레이에 도착할 계획이었다.
또한, 미국 육군 군사 정보국(MIS) 소속의 니세이(2세 일본계 미국인) 번역가들도 정보 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MIS 기술 상사 해럴드 후데나가 야마모토의 여정을 나타내는 무선 메시지를 번역했으며,[2] 처음에는 일본군이 이토록 중요한 정보를 부주의하게 노출했을 리 없다는 회의론도 있었으나, 알래스카와 하와이의 다른 MIS 언어학자들이 동일한 메시지를 가로채 번역하면서 정보의 정확성이 확인되었다.[3]
이 결정적인 정보는 즉시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제독에게 보고되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해군 장관 프랭크 녹스에게 "야마모토를 제거하라"는 직접적인 지시를 내렸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이에 대한 공식 기록은 없으며 출처마다 의견이 엇갈린다.[45][46][4][5] 녹스 장관은 최종 결정을 니미츠 제독에게 위임했고,[46][5] 니미츠 제독은 남태평양 지역 사령관인 윌리엄 F. 할시 주니어 제독과 상의한 후 4월 17일 야마모토 제거 작전을 승인했다. 미군 지휘부는 진주만 공격을 계획한 야마모토의 제거가 일본군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릴 것이며, 그의 후임자는 상대적으로 덜 유능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47] 니미츠는 야마모토가 매우 시간에 정확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항속 거리가 긴 과달카날의 육군기 P-38이라면 도중 요격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작전 승인 과정에서 야마모토 살해가 일본 내 반미 감정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작전 실행 시 미군이 일본군 암호를 해독했다는 사실이 드러날 위험성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지휘부는 정보의 출처를 철저히 비밀에 부치면 암호 해독 능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작전 실행을 최종 결정했다.[47]
4. 작전 실행 (복수 작전)
니미츠 제독은 참모들과 회의를 열어 야마모토 암살 여부를 신중히 검토했다. 유능한 적장을 제거하는 것이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으나[36], 진주만 공격을 계획한 상징적 인물인 야마모토를 제거하면 일본군의 사기를 크게 꺾을 수 있고, 그를 대체할 만한 유능한 후임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결국 니미츠는 암살을 결정하고, 프랭크 녹스 해군장관과 루스벨트 대통령의 최종 승인을 받아 남태평양 방면군 사령관 윌리엄 홀시 제독에게 작전 실행을 명령했다. 작전명은 진주만 공격에 대한 보복의 의미를 담아 '복수 작전(Operation Vengeanceeng)'으로 명명되었다.
작전 수행에는 장거리 비행 능력이 필수적이었다. 과달카날섬의 쿠쿰 비행장(헨더슨 비행장)에서 목표 지점인 부건빌 섬 상공까지는 직선거리로 약 약 643.74km였지만, 일본군 레이더 탐지를 피하기 위해 솔로몬 제도 남서쪽으로 크게 우회하는 경로(약 약 965.60km)를 택해야 했다. 왕복 약 1609.34km가 넘는 이 거리는 당시 주력이던 F4F 와일드캣이나 F4U 콜세어 전투기로는 비행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보조 연료 탱크를 장착하여 항속거리를 늘린 P-38G 라이트닝 전투기가 투입되었다. 비행 지휘는 339 전투비행대대 사령관인 에이스 조종사 존 W. 미첼 소령이 맡았다. 미첼은 기존 비행 계획이 야마모토 요격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직접 비행 경로와 시간을 다시 계산했고, 09:35에 부건빌 상공에서 야마모토 일행을 요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48] 일본군의 탐지를 피하기 위해 P-38 편대는 전파 침묵을 유지하며 해수면 위 약 15.24m 이하의 초저고도로 비행했다.
1943년 4월 18일 오전 7시 25분, 작전에 투입된 P-38 전투기들이 과달카날섬의 쿠쿰 비행장에서 이륙했다. 한편, 라바울에서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야마모토 장관과 참모진이 예정대로 1식 육상 공격기 2기에 나누어 탑승했고, 호위기인 제로센 6기(자료에 따라 9기에서 3기 회항)와 함께 오전 6시 5분경 이륙했다.[38]
오전 9시 34분, 미첼 소령이 이끄는 P-38 편대는 계산대로 부건빌 섬 남쪽 상공의 요격 지점에 도착하여 하강 중인 야마모토 일행을 발견했다. P-38기들은 즉시 보조 연료 탱크를 버리고 상승하며 공격에 나섰다. 미첼은 "킬러 비행"으로 지정된 토머스 G. 랜피어 대위와 렉스 T. 바버 중위에게 공격을 명령했다. 랜피어는 일본 호위기들과 교전에 들어갔고, 바버는 야마모토가 탑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선두의 1식 육상 공격기를 향해 급강하했다. 바버는 1식 육상 공격기의 후미로 접근하여 우측 엔진과 동체 후미, 꼬리날개에 사격을 가했다. 이어 좌측 엔진마저 피격당하자 폭격기는 검은 연기를 심하게 내뿜으며 급격히 좌선회했고, 정글 속으로 추락했다. 이것이 야마모토 장관이 탑승한 1번기였다.
바버는 곧이어 우가키 마토메 중장 등 참모진이 탑승한 2번기를 발견하고 공격했다. 2번기는 이미 다른 P-38기(베스비 F. 홈즈 중위)의 공격으로 손상을 입은 상태였으며, 바버의 추가 공격을 받고 해상에 불시착했다. 우가키 중장을 포함한 3명은 불시착 후 구조되어 목숨을 건졌다. 교전 과정에서 미군 측은 레이먼드 K. 하인 중위가 실종되는 손실을 입었다. 연료 부족으로 P-38 편대는 교전을 중단하고 기지로 귀환했다. 헨더슨 비행장에 착륙하기 직전, 랜피어는 암호 해독 사실 노출 위험을 무릅쓰고 "저 개자식은 백악관에서 어떤 평화 조건도 지시하지 못할 것"이라고 무선으로 보고하며 자신이 야마모토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이 작전으로 일본 제국 해군의 최고 지휘관인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사망했으며, 이는 태평양 전쟁의 향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4. 1. 작전 참여 병력
작전에 참여한 양측의 병력은 다음과 같다.
'''일본'''
'''미국'''
미군은 과달카날섬에서 부건빌 섬까지의 장거리 비행(왕복 약 약 1609.34km)이 필요했기 때문에, 당시 과달카날에 배치된 F4F 와일드캣이나 F4U 콜세어로는 작전 수행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보조 연료 탱크를 장착하여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P-38G 라이트닝이 투입되었다. 이 임무는 제347 전투비행단 소속 339 전투비행대대에 배정되었으나, 실제 참여한 18명의 조종사 중 10명은 347 비행단의 다른 두 비행대대에서 차출되었다.
작전 지휘는 339 비행대대 사령관인 존 W. 미첼 소령이 맡았다. 더 정확한 항해를 위해 미첼은 해병대 루터 S. 무어 중령이 제공한 해군 나침반을 자신의 P-38에 장착했다. 모든 P-38 전투기는 1문의 20mm 기관포와 4정의 .50구경(12.7mm) 기관총으로 무장했으며, 날개 아래에 165gal 용량의 보조 연료 탱크 2개를 장착했다. 뉴기니에서 긴급 공수된 330gal 대용량 탱크가 각 전투기에 1개씩 지급되어 기존 165gal 탱크 하나를 대체했다. 이로 인해 기체 한쪽에 약 약 453.59kg의 무게가 더 실렸지만, 무게 중심에 가깝게 위치하여 심각한 성능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미군 편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역할 | 조종사 |
---|---|
킬러 비행 | 토머스 G. 랜피어 주니어 대위, 렉스 T. 바버 중위, 베스비 F. 홈즈 중위, 레이먼드 K. 하인 중위 (†) |
상단 엄호 및 예비 | 존 미첼 소령 (지휘관), 윌리엄 스미스 중위, 고든 휘태커 중위, 로저 에임스 중위, 루이스 키텔 대위, 로렌스 그레브너 중위, 더그 캐닝 중위, 델턴 괴르케 중위, 줄리어스 제이콥슨 중위, 엘든 스트래턴 중위, 앨버트 롱 중위, 에버렛 앵글린 중위 |
(† 표시는 작전 중 실종)
조종사들에게는 정보 출처를 숨기기 위해 호주 해안 감시원이 라바울에서 중요한 고위 장교가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을 목격했다는 거짓 정보가 전달되었다. 일부 기록에는 조종사들이 목표가 야마모토라는 사실을 몰랐다고 되어 있으나[6], 미처 제독이 조종사들에게 직접 야마모토를 격추하는 임무임을 밝혀 사기를 높였다는 기록도 있다.[6]
5. 야마모토의 죽음과 그 이후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사령장관은 1943년 4월 18일 P-38 전투기의 공격으로 탑승 중이던 1식 육상공격기와 함께 추락하여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작전 다음 날인 4월 19일, 부인 북쪽 정글에서 육군 기술 장교 하마스나 츠요시가 이끄는 일본 수색 구조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초기 회수팀 보고에 따르면, 야마모토는 비행기 잔해에서 떨어진 채 흰 장갑을 낀 손으로 카타나 자루를 쥐고 나무 아래 의자에 똑바로 앉아 있는 모습이었다고 한다. 하마스나는 야마모토가 깊은 생각에 잠긴 듯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그러나 이후 제6사단 제23연대 소속으로 수습을 담당했던 하마스나 미쓰히데 육군 소위는 야마모토의 유해가 좌석과 함께 기체 밖으로 내던져진 상태였으며, 동행했던 군의관장이 땅을 기어가다 절명한 흔적이 있었다고 다르게 증언했다.
부검 결과, 야마모토에게는 두 발의 총상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왼쪽 어깨 뒤쪽을 관통했고, 다른 하나는 왼쪽 아래턱으로 들어가 오른쪽 눈 위로 빠져나간 상처였다. 시신을 검사한 일본 해군 군의관은 머리 부상이 직접적인 사인이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일본 대중에게는 숨겨졌으며, 전기 작가 아와가 히로유키에 따르면 이는 "상부의 명령에 따라" 의료 보고서가 변경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야마모토의 유해를 처음 검시했던 육군 군의관 니나가와 지카히로 중위는 검시 조서에 총상이 없었다고 기록했으며, 그의 동생인 의학 박사 니나가와 지카마사는 야마모토가 추락 후 생존해 있다가 전신 타박상이나 내장 파열 등으로 사망했으며, 공식 발표된 총상은 사후에 조작된 것이라는 견해를 보이기도 했다.[43]
일본 내에서 야마모토의 죽음은 '해군 갑(甲) 사건'(海軍甲事件)으로 불리며 극비에 부쳐졌고, 5월 21일에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발표 내용은 제독이 4월 최전선에서 작전을 지휘하던 중 "적과 교전하여 전사했다"는 것이었다.[9] 이는 일본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군의 사기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야마모토의 후임으로 고가 미네이치 대장이 연합함대 사령장관에 임명되었고, 그는 5월 17일 야마모토의 유골과 함께 전함 무사시를 타고 트럭 섬을 출발, 콩고, 하루나, 히요, 토네, 치쿠마 등의 호위를 받으며 5월 21일 도쿄 만에 도착했다. 야마모토의 국장은 1943년 6월 5일에 거행되었다. 당시 총리였던 도조 히데키는 야마모토의 전사 소식에 "그대 가니 몸에 사무치는 책무의 무게여, 그러나 멈추지 않으리라, 이기어 멈추리라"라는 시를 읊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미국은 야마모토 격추 사실을 즉각 공개하지 않았다. 이는 일본군의 암호를 해독하여 작전을 성공시켰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한 조치였다. Associated Press 특파원 노먼 로지가 5월 11일 상세 기사를 보냈으나 군 검열에 막혔고, 미국 대중은 일본의 공식 발표가 있었던 5월 21일에야 야마모토의 사망을 알게 되었다.[9] 미국 정부는 정보 출처를 연안 감시원으로 위장했으며[40], 작전에 참여한 조종사들에게도 함구령을 내렸다.[41] 또한 같은 날 부건빌 섬의 카히리 비행장을 공습하여 야마모토기 격추가 일상적인 공습의 일부인 것처럼 보이게 했다.[39] 미국 언론에서는 한때 야마모토가 전황 불리를 비관하여 할복한 것을 일본 정부가 은폐하려 한다는 추측성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11][12] 루스벨트 대통령은 5월 21일 기자들에게 일본의 발표 소식을 전해 듣고 "맙소사!"(Gosh!eng)라고 말했다고 인용되었다.[10]
영국 정보 당국과 윈스턴 처칠 총리는 연합군의 암호 해독 능력이 노출될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야마모토를 제거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미국이 암호 해독을 통해 야마모토를 격추했다는 작전의 전모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인 1945년 9월 10일에야 미국 언론 보도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13]
일본 해군은 암호 체계를 갱신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암호가 해독되었다고 쉽게 판단하지 못했다. 하지만 2008년 기밀 해제된 미군 사료에 따르면, 야마모토의 시찰 일정은 갱신 전의 구형 난수표를 사용하여 전송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42][39]
5. 1. 격추 공로 논쟁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항공기를 격추한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논란은 작전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미군은 처음에 토머스 랜피어 대위에게 격추 공로를 인정했다. 랜피어는 보고서에서 호위기인 제로기들과 교전하기 위해 방향을 틀어 한 대의 날개를 쏜 후, 두 대의 베티 폭격기를 향해 선회하면서 기체를 뒤집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선두 폭격기가 아래에서 원을 그리며 도는 것을 보고 접근하여 발사했고, 폭격기의 오른쪽 날개를 파괴하여 정글에 추락시켰다고 보고했다. 또한 렉스 바버 중위가 다른 폭격기를 격추하는 것을 보았다고 덧붙였다.[22][23][24][25][26]그러나 당시 과달카날에는 공식적인 심문 절차가 없었으며, 랜피어의 격추 주장을 공식적으로 목격한 조종사도 없었다. 베스비 F. 홈즈 중위는 자신이 바다에 추락한 베티 폭격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고, 이로 인해 미 정보국은 총 세 대의 폭격기가 격추된 것으로 추정했다. 임무에 참여했던 다른 많은 조종사들은 미 육군의 공식 발표에 회의적이었다.[22][23][24][25][26]
6개월 후, 작전에 대한 승인되지 않은 세부 정보가 언론에 유출되었다. 1943년 10월, 타임지는 '복수 작전'에 대한 기사를 게재하며 랜피어의 이름을 언급했다. 이는 심각한 보안 위반으로 간주되어 존 미첼 소령의 명예 훈장 수훈 후보 자격이 해군 십자 훈장으로 강등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해군 십자 훈장은 격추 비행대의 모든 조종사에게 수여되었다.[22][23][24][25][26]
전쟁 후, 야마모토를 호위했던 일본 제로기 조종사 야나기야 겐지의 증언이 나오면서 논란은 더욱 가중되었다. 야나기야는 자신이 P-38 한 대를 심하게 손상시켰지만 격추는 주장하지 않았으며, 호위하던 일본 전투기 중 격추된 것은 없었고 손상된 기체도 단 한 대뿐이었다고 진술했다. 이는 랜피어가 제로기를 격추했다는 주장과 모순되었다. 또한 일본 군사 기록은 그날 두 대의 미쓰비시 G4M 폭격기만 격추되었음을 확인했다. 야나기야는 야마모토의 베티 폭격기가 P-38의 공격을 받아 뒤에서 격추된 후 20~30초 뒤에 추락하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했는데, 이는 바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다.[22][23][24][25][26] 야마모토 추락 현장에 대한 여러 차례의 지상 조사 결과 역시 탄환 궤적이 폭격기 바로 뒤에서 발사되었다는 바버의 주장을 지지했다.[22][23][24][25][26]
결국 미군은 랜피어와 바버에게 정글에 추락한 야마모토 탑승기 격추 공로를 절반씩 공식적으로 인정했고, 바버와 홈즈에게는 바다에 추락한 다른 폭격기 격추 공로를 절반씩 인정했다.[22][23][24][25][26] 이후 바버는 공군 기록 수정 위원회에 자신의 공로를 단독으로 인정해달라고 청원했다. 1991년 9월, 공군 역사 사무소는 위원회에 랜피어와 바버의 주장에 "불확실성이 충분히 존재"하여 둘 다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조언했고, 위원회는 의견이 나뉘었다. 최종적으로 공군 장관 도널드 라이스는 공유된 공로를 유지하라고 판결했다. 바버는 미국 제9 순회 항소 법원에 판결 재검토를 요청했으나 법원은 개입하지 않았다. 1985년 사건을 검토했던 군사 역사가 다니엘 L. 홀먼은 2024년 새로운 증거 검토 후 "야마모토 비행기를 격추한 공로는 정말 렉스 바버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확신하게 되었다고 말했다.[22][23][24][25][26]
2006년 5월, 에어 포스 매거진은 작전에 참여했던 더그 캐닝의 편지를 게재했다. 캐닝은 랜피어가 여러 보고서와 기사를 통해 자신의 공로를 주장했으며, 바버는 랜피어가 단독 격추를 주장하는 원고를 보여주기 전까지는 공동 공로를 받아들일 의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캐닝은 야나기야의 증언과 당시 P-38G 기종에 에일러론 부스트가 없어 랜피어가 주장한 급격한 선회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했다는 점을 들어 바버의 주장에 더 무게를 실었다. 이후 공군은 랜피어의 제로기 격추 주장을 무효화하여 그의 공인 격추 기록은 5대에서 4대로 줄어들었다.[22][23][24][25][26]
랜피어는 1987년 사망할 때까지 자신이 야마모토를 격추했다고 계속 주장했으며, 바버 역시 2001년 사망할 때까지 랜피어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22][23][24][25][26] 임무에 참여했던 또 다른 조종사 줄리어스 제이콥슨 중위는 1997년에 "우리 중 15명이 살아남았는데, 누가 효과적인 사격을 했는지, 누가 상관하겠는가?"라고 말했으며, 도널드 라이스 전 공군 장관은 1993년에 "역사가, 전투기 조종사, 그리고 이 특별한 임무의 기록을 연구한 우리 모두는 1943년 그날의 정확한 사건에 대해 영원히 추측할 것입니다. 팀 전체에 영광이 있습니다."라고 언급하며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임을 시사했다.[22][23][24][25][26]
6. 사건의 영향 및 평가
미국 해군 정보부는 암호명 "매직" 작전을 통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전선 시찰 일정이 담긴 일본 해군 암호 JN-25D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1] 이 해독 정보에는 야마모토의 이동 시간과 장소, 그를 수송하고 호위할 항공기의 종류와 수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해당 정보는 태평양 함대 함대 무선 부대 등 여러 기지에서 포착되었으며, 니세이(2세 일본계 미국인)가 주축이 된 미국 육군 군사 정보국(MIS) 소속 해럴드 푸데나 상사의 번역[2]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정보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3]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직접 야마모토 제거를 지시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4][5]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은 체스터 W. 니미츠 제독에게 최종 결정을 위임했다.[5] 니미츠 제독은 남태평양 사령관 윌리엄 F. 할시 주니어 제독과 상의한 후 1943년 4월 17일 작전을 최종 승인했다. 작전 실행 결정 과정에서 미국의 암호 해독 능력이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정보 출처를 비밀에 부치기로 하고 작전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작전명은 '복수'(Vengeance)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진주만 공격에 대한 보복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사망은 태평양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일본 해군의 상징적인 인물이자 최고 사령관의 갑작스러운 부재는 일본군 전체의 사기 저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사건은 전쟁에서 암호 해독을 통한 정보 획득, 즉 정보전의 중요성을 극명하게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되었다.
6. 1. 한국의 관점
야마모토 이소로쿠는 진주만 공격을 입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36] 그의 전선 시찰 일정 정보가 미국 측에 입수되자, 체스터 니미츠 제독은 참모들과 회의를 열어 야마모토 사살 여부를 검토했다.[36]검토 결과, 진주만 공격의 주모자이자 일본 내에서 인망이 높았던 야마모토가 사망하면 일본군의 사기가 크게 저하될 것이며, 그보다 뛰어난 인물이 후임이 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니미츠는 야마모토 사살을 결정하고, 남태평양 방면군 사령관 윌리엄 홀시 제독에게 작전 실행을 명령했다. 작전은 장거리 비행을 요구했지만, 야마모토가 시간을 엄수하는 성향을 고려하여 항속거리가 긴 P-38 라이트닝 전투기를 이용해 비행 경로 중간에서 요격하기로 계획했다.
야마모토와 같은 거물급 인사를 암살하는 것은 일본 내 반미 감정을 자극하고 오히려 전의를 고양시킬 수 있다는 정치적 위험 부담이 있었다. 따라서 니미츠는 작전 실행 전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승인을 얻은 후 최종 명령을 내렸다.
7. 유산
야마모토의 추락 현장과 시신은 공격 다음 날인 4월 19일, 육군 기술 장교 츠요시 하마수나가 이끄는 일본 수색 구조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추락 지점은 파푸아뉴기니 부인의 옛 호주 순찰 기지이자 가톨릭 선교 기지 북쪽 정글이었다. 회수대는 야마모토가 비행기 잔해에서 튕겨져 나와, 흰 장갑을 낀 손으로 카타나 자루를 쥔 채 나무 아래 의자에 똑바로 앉아 있었다고 보고했다. 하마수나는 야마모토가 즉시 식별 가능했으며 깊은 생각에 잠긴 듯 보였다고 말했다. 사후 검사 결과 왼쪽 어깨 뒤와 왼쪽 아래턱에서 오른쪽 눈 위로 관통한 두 발의 총상이 확인되었으며, 일본 해군 의사는 머리 부상이 치명상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자세한 사망 경위는 일본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고, 전기 작가 아와가 히로유키에 따르면 상부 지시에 따라 의료 보고서가 은폐되었다.
일본에서 야마모토의 죽음은 "해군 갑(甲) 사건"(海軍甲事件)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은 미국에는 사기 진작 효과를 가져왔지만, 일본에는 큰 충격을 주었다. 일본 정부는 5월 21일에야 야마모토 제독이 4월 최전선에서 작전을 지휘하던 중 "적과 교전하여 전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9]
남태평양 지역의 AP통신 특파원 노먼 로지는 사건의 전말을 파악하고 5월 11일 상세 기사를 송고했으나, 미군 검열 당국에 의해 보도가 금지되었다. 미국 정부는 작전에 대해 함구했고, 미국 대중 역시 일본의 공식 발표가 있고 나서야 야마모토의 사망 사실을 알게 되었다.[9] 일본의 발표 이후 미국 언론에서는 야마모토가 백악관에서 미국에 평화 조건을 지시하겠다는 공언이 실현 불가능해졌다는 논평이 나왔다.[9] 루스벨트 대통령은 5월 21일 기자들에게 일본 발표 소식을 듣고 "맙소사!"(Gosh!)라고 반응한 것으로 알려졌다.[10] 며칠간 미국 언론에는 일본이 전황 불리를 비관한 야마모토의 할복을 은폐하려 한다는 추측성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11][12] 이후 5월 31일 자 타임지는 일본 발표와 함께, 괌의 란피어와 P-38 조종사들이 부건빌 상공에서 일본 폭격기 3대를 격추한 후 "어떤 일본 거물"을 죽였는지 궁금해하며 귀환했다는 내용을 별도 기사로 다루었다. 그러나 일본 측은 이 보도에서 특별한 점을 파악하지 못했다.[13]
한편, 영국 정보 당국은 이 작전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진주만 공격을 직접 겪지 않았기에 야마모토 개인에 대한 감정이 미국과 달랐고, 연합군의 암호 해독 능력이 노출될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제독 한 명을 암살할 가치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윈스턴 처칠 총리는 작전 승인 결정에 대해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미국 대중은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 9월 10일에야 AP통신 보도를 통해 작전이 암호 해독에 기반했다는 사실을 포함한 전말을 알게 되었다.[13] 당시 미 정보부는 일본 정보 장교들에 대한 심문을 진행 중이었기에, 암호 해독 사실 공개가 그들에게 수치심을 안겨 자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여 비밀 유지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13]
야마모토가 탑승했던 제705 항공대 소속 ''323''기(미쓰비시 G4M)의 잔해는 팡구나 마을에서 약 약 14.48km 떨어진 정글(남위 6도 47.165분, 동경 155도 33.137분)에 남아 있다.[16][14] 추락 지점은 가장 가까운 도로에서 도보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다.[15]
기체 잔해는 기념품 수집가들에 의해 심하게 훼손되었으나, 동체 일부는 여전히 현장에 남아 있다. 이 지역은 사유지이며, 과거 토지 소유권 분쟁으로 접근이 어려웠다.[16] 하지만 2015년 기준, 사전 협의를 통해 방문객의 접근이 가능하다.[17]
날개 일부는 제거되어 일본 나가오카에 있는 야마모토 이소로쿠 가족 박물관에 영구 대여 형태로 전시 중이며, 항공기 문 하나는 파푸아뉴기니 국립 박물관 및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15]
참조
[1]
간행물
After Stevens
https://www.newyorke[...]
2010-03-15
[2]
서적
Nisei Linguists: Japanese Americans in the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 During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6
[3]
웹사이트
Northern Solomons Campaign
http://www.goforbrok[...]
Go For Broke National Education Center
[4]
웹사이트
Killing a Peacock: A Case Study of the Targeted Killing of Admiral Isoroku Yamamoto
https://apps.dtic.mi[...]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15-03-24
[5]
서적
U.S. Navy codebreakers, linguists, and intelligence officers against Japan, 1910–1941 : a biographical dictionary
Rowman & Littlefield
2015
[6]
서적
Admiral Bill Halsey: A Naval Lif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7]
서적
Yamamoto Isoroku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2
[8]
논문
Magic and Lightning
Air Force Association
2006-03
[9]
뉴스
Japanese Admiral Killed in Combat
https://timesmachine[...]
1943-05-21
[10]
뉴스
'Gosh!' Says Roosevelt on Death of Yamamoto
https://timesmachine[...]
1943-05-22
[11]
뉴스
Yamamoto Suicide Is Bellaire's Guess
https://www.newspape[...]
1943-05-21
[12]
뉴스
Tokyo Propaganda Exploits Yamamoto
https://www.nytimes.[...]
1943-05-24
[13]
뉴스
Have you heard? The greatest threat to America's key strategic advantage in the Pacific was Americans themselves
https://link.gale.co[...]
2017-01
[14]
웹사이트
Bougainville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6-01-05
[15]
웹사이트
G4M1 Model 11 Betty Manufacture Number 2656 Tail T1-323
http://www.pacificwr[...]
Pacific Wrecks
2016-01-05
[16]
웹사이트
Yamamoto's Aircraft Wreck
http://tonywheeler.c[...]
Tony Wheeler’s Travels
2016-01-05
[17]
웹사이트
Historic WWII crash site opened to tourists in Bougainville for first time in more than five year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1-05
[18]
문서
Glines
[19]
간행물
The Man Who Shot down Yamamoto
[20]
간행물
Who Shot Down Yamamoto?
http://www.airforcem[...]
2016-12-13
[21]
뉴스
Rex T. Barber, Pilot Who Downed Yamamoto, Dies at 84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20-05-27
[22]
문서
'Solis, Gary: Targeted Killing and the Law of Armed Conflict,'
https://digital-comm[...]
2021-09-26
[23]
문서
'Zimmerman, Dwight John: Operation Vengeance The Mission to Kill Admiral Yamamoto,'
https://www.defensem[...]
2021-09-26
[24]
문서
'Hyder, Victor D., Lieutenant Commander, U.S. Navy: Decapitation Operations: Criteria for Targeting Enemy Leadership'
http://citeseerx.ist[...]
2021-09-26
[25]
문서
'Zengel, Patricia: Assassination and the Law of Armed Conflict,'
https://digitalcommo[...]
2021-09-26
[26]
문서
'Kittel, Brian S. (possible relative of mission pilot Louis Kittel): The Evolution of Tactics: A Moral Look at the Decision to Target Admiral Isoroku Yamamoto, Commander in Chief of Japan’s Combined Fleet'
https://wou.edu/hist[...]
2021-09-26
[27]
뉴스
'King, Laura: Marking a foe for death, living with the consequences: Exactly what rules apply?'
https://www.latimes.[...]
2021-09-26
[28]
문서
'Press conference transcript: Senior State Department Officials on the Situation in Iraq,'
https://2017-2021.st[...]
2021-09-26
[29]
문서
'Ian W. Toll: Before Soleimani, there was Yamamoto. But the history is very different.'
https://www.washingt[...]
2020-09-26
[30]
문서
'Michael O’Hanlon (Senior Fellow and Director of Research for Brookings Foreign Policy), quoted in: Around the halls: Experts react to the killing of Iranian commander Qassem Soleimani,'
https://www.brooking[...]
2021-09-26
[31]
문서
'Rich Lowry|Lowry, Rich: Where Does Admiral Yamamoto Go to Get His Apology?'
https://www.national[...]
2020-09-26
[32]
뉴스
As Tensions With Iran Escalated, Trump Opted for Most Extreme Measure
https://www.nytimes.[...]
2020-01-04
[33]
문서
内3機戦闘前に引きかえす。零戦隊第二小隊の三番機を務めた柳谷謙治飛行兵長は元々6機だったと主張している
[34]
문서
内2機は途中で引きかえす。
[35]
서적
吉村昭『戦史の証言者たち』文藝春秋35-36頁
[36]
서적
日本軍航空機総覧
新人物往来社
[37]
간행물
週刊文春2010年12・19日夏季特大号
[38]
서적
戦史の証言者たち
文藝春秋
[39]
서적
秘密のファイル CIAの対日工作(上)
新潮社
2003
[40]
서적
太平洋戦争暗号作戦(下)
[41]
문서
2003
[42]
뉴스
山本長官機撃墜、米に暗号筒抜け 古い乱数表を使う
https://archive.ph/l[...]
共同通信
2008-09-27
[43]
서적
山本五十六の最期 - 検死カルテに見る戦死の周辺
光人社
1986
[44]
웹인용
After Stevens
http://www.newyorker[...]
2022-05-10
[45]
웹인용
Killing a Peacock: A Case Study of the Targeted Killing of Admiral Isoroku Yamamoto
https://web.archive.[...]
2022-05-10
[46]
서적
U.S. Navy codebreakers, linguists, and intelligence officers against Japan, 1910-1941 : a biographical dictionary
Lanham, MD
2015-12-16
[47]
문서
Generated from: Sfn
[48]
서적
Attack on Yamamoto
http://archive.org/d[...]
New York : Orion Book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