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레바퀴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레바퀴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일본군 점령지인 라바울을 고립시키기 위해 수행한 일련의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1943년 맥아더의 엘크턴 III 계획을 바탕으로 시작되었으며, 1944년까지 지속되었다. 수레바퀴 작전은 뉴기니와 솔로몬 제도의 여러 섬에서 11개의 상륙 작전을 포함하며, 라바울을 우회하고 일본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라바울의 일본군은 무력화되었고, 연합군의 태평양 전쟁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파푸아뉴기니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1943년 파푸아뉴기니 - 비스마르크해 해전
    비스마르크 해 해전은 1943년 3월, 연합군이 암호 해독으로 파악한 일본 수송 선단을 공격하여 격멸한 해전으로, 일본군의 뉴기니 전선 보급에 차질을 빚게 하고 태평양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 1943년 솔로몬 제도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1943년 솔로몬 제도 - 복수 작전
    복수 작전은 1943년 미국이 암호 해독으로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시찰 계획을 파악하고 P-38 전투기를 투입하여 야마모토가 탑승한 폭격기를 격추, 야마모토를 사망하게 한 군사 작전이다.
  • 파푸아뉴기니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이호 작전
    이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1943년 4월 초에 남태평양의 연합군 진격을 늦추기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지휘 하에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 지역의 연합군 기지를 공습한 공세 작전이다.
  • 파푸아뉴기니에서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비스마르크해 해전
    비스마르크 해 해전은 1943년 3월, 연합군이 암호 해독으로 파악한 일본 수송 선단을 공격하여 격멸한 해전으로, 일본군의 뉴기니 전선 보급에 차질을 빚게 하고 태평양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수레바퀴 작전
개요
명칭수레바퀴 작전
영어 명칭Operation Cartwheel
별칭수레바퀴 I-V 작전
목표라바울일본군 기지 무력화
뉴기니와 솔로몬 제도 탈환
시기1943년 6월 30일 - 1944년 11월
장소태평양 남서부
교전 세력
연합군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군일본 제국
지휘관
연합군더글러스 맥아더
윌리엄 홀시 주니어
일본군도요다 소에무
이마무라 히토시
전력
연합군병력 규모는 자료마다 상이함.
일본군병력 규모는 자료마다 상이함.
결과
내용연합군의 승리
영향라바울의 일본군 기지 봉쇄
일본군의 남방 자원 지대 접근 차단
작전 관련 전투 및 공세
작전 관련 전투뉴기니 전역
솔로몬 제도 전역
뉴브리튼 전역
주요 전투 및 공세나소 만 상륙
훈슈타인 만 전투
키리아키나 만 전투
라에
살라마우아
핀슈하펜
호킨스 산
아랄레-움부루
글로스터 곶
아라웨
사이도르
그린 제도
에미라우
참고
관련 항목태평양 전쟁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2월, 일본군은 당시 오스트레일리아위임통치령이었던 뉴기니 영토의 뉴브리튼 섬에 위치한 라바울을 점령했다.[1] 라바울은 곧 남태평양 지역에서 일본군의 가장 중요한 전진 기지로 기능했으며, 이는 연합군의 남서태평양 지역과 태평양 지역 양쪽 작전 수행에 있어 심각한 장애물로 작용했다.[1] 이에 따라 연합군은 라바울의 위협을 제거하고 해당 지역의 제공권 및 제해권을 확보하는 것을 태평양 전쟁의 주요 전략 목표 중 하나로 설정하게 되었다.

2. 1. 연합군의 초기 전략

미 해병대가 뉴브리튼 섬의 케이프 글로스터 해변을 점령하기 위해 LST에서 내려 깊이의 거친 물살을 헤쳐나가는 모습. 1943년 12월 26일.


일본군1942년 2월, 뉴브리튼 섬의 라바울을 호주군으로부터 점령하여 남태평양 지역의 주요 전진 기지로 활용했다. 라바울은 연합군의 두 주요 작전 지역 모두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1] 이에 대응하여 남서태평양 지역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호주와 뉴기니의 기지를 발판 삼아 라바울을 공략하기 위한 '''엘크턴 계획'''을 수립했다. 한편, 미국 해군 작전 참모 총장 어니스트 킹 제독 역시 해군 주도의 유사한 작전 계획을 제안했다.[1]

당시 미국 육군 참모총장 조지 마셜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의 주력을 나치 독일과의 유럽 전선에 집중시키고, 태평양 전선에서는 일본에 대한 공세를 제한적으로 유지하고자 했다. 이러한 전략적 목표 아래 마셜은 맥아더와 킹의 계획을 조율하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라바울 공략을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첫 번째 단계는 미국 해군의 지휘 아래 솔로몬 제도 남동부 지역을 확보하고, 나머지 두 단계는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미국 육군 주도로 진행하는 것이었다. 이 전략 계획은 미국 합동참모본부의 공식적인 승인을 받지는 못했지만, 사실상 연합군 작전의 기본 틀이 되었다. 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1단계: 툴라기(후에 과달카날로 변경)와 산타크루즈 제도 점령 (워치타워 작전) - 해군 지휘
  • 2단계: 뉴기니 북동부 해안과 중부 솔로몬 제도 점령 - 육군/맥아더 지휘
  • 3단계: 라바울 및 주변 일본군 기지 무력화 - 육군/맥아더 지휘[1]


치열했던 과달카날 전투가 연합군의 승리로 끝난 후, 1943년 2월 21일 연합군은 큰 저항 없이 러셀 제도를 점령했다(''클린슬레이트 작전''). 이에 일본군은 해상 병력을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증원을 시도했으나, 1943년 3월 2일부터 5일까지 벌어진 비스마르크 해 해전에서 맥아더 휘하 공군의 공격을 받아 막대한 손실을 입고 격퇴되었다.[1] 이 패배 이후, 일본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은 과달카날과 뉴기니의 연합군 비행장 및 선박에 대한 대규모 공습 작전인 이-고 작전을 직접 지휘했다. 그러나 이 작전 중이던 1943년 4월 18일, 야마모토 제독은 그의 죽음을 초래한 미군의 첩보 기반 매복 공격으로 전사하여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안겼다.[1]

2. 2. 엘크턴 III 계획과 수레바퀴 작전

Elkton III 계획, 1943년 3월.


1943년 2월 12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1944년 이전에 라바울을 점령하기 위한 수정 계획인 '엘크턴 III'(Elkton IIIeng) 계획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맥아더가 뉴기니 북동부와 뉴브리튼 섬 서부를 공격하고, 미국 해군 제독 윌리엄 F. 핼시 주니어 남태평양 지역 사령관이 솔로몬 제도 중부를 공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 계획은 당시 작전 지역에 투입된 병력 외에 추가로 7개 사단이 더 필요했기 때문에, 영국 측으로부터 병력 부담에 대한 반발을 샀다.

이에 연합 참모본부는 이미 작전 지역에 있거나 이동 중인 병력을 활용하는 조건으로 계획을 승인하되, 작전 실행은 60일 연기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이후 '엘크턴 III' 계획은 '수레바퀴 작전'(Operation Cartwheeleng)이라는 이름으로 구체화되었다.

당시 라바울일본군이 1942년 2월 점령한 이후 남태평양 지역의 주요 전진 기지로 활용되고 있었다.

맥아더는 이미 호주군을 지휘 하에 두고 있었음에도 라바울 직접 공격을 위해 5개 사단을 추가로 요청했다. 미국 통합참모본부는 1943년 3월 28일, 맥아더에게 새로 편성된 미 제6군을 증원하면서 라바울을 고립시키기 위한 다음 세 가지 공격을 지시했다.

# 뉴기니섬 동쪽 끝 북쪽에 있는 킬리위나 섬과 우드라크 섬에 항공 기지를 건설하는 크로니클 작전(Operation Chronicleeng).

# 뉴기니섬라에와 사라모아 공략(라에-사라모아 전투), 핀슈하펜 공략(핀슈하펜 전투), 마당 공략, 그리고 뉴브리튼 섬 서부의 글로스터 곶 공략(글로스터 곶 전투).

# 부건빌 섬 남부 공략.

이 지시에 따라 연합군은 라바울을 직접 공격하는 대신 주변 지역을 점령하여 고립시키는 방향으로 작전 계획을 수정하게 되었다.

3. 작전 수행

수레바퀴 작전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초기 구상과 미국 합동참모본부의 전략적 판단 하에 구체화되었다. 1943년 초, 맥아더는 라바울 직접 공략을 위해 5개 사단 증원을 요청했으나, 합참은 1943년 3월 28일 라바울을 직접 공격하는 대신 고립시키는 방향으로 작전 목표를 수정하고, 새로 편성된 제6 미국 육군을 증원하며 주요 거점 공략을 지시했다.

작전 수행을 위해 연합군은 지휘 체계를 구축했다. 토마스 블레이미 장군 휘하의 뉴기니 육군은 뉴기니 본토 동쪽으로의 진격을, 월터 크루거 장군 휘하의 제6 미국 육군은 키리위나, 우들라크, 케프 글로스터 등 주요 섬 점령을 담당했다. 이들 지상군은 조지 케니 중장이 이끄는 연합군 항공 부대와 아서 S. 카펜더 중장이 지휘하는 해군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

1943년 6월 30일, 연합군은 뉴브리튼 섬과 뉴조지아에 대한 동시 공격을 개시하며 본격적인 작전에 돌입했다. 뉴조지아 전역에서는 렌도바 섬을 먼저 확보하여 포병 진지를 구축하고 문다 비행장을 공략했으며, 뉴기니 방면에서는 호주군과 미군이 협력하여 라에-살라마우아 전투, 후온 반도 전역 등 주요 지역을 차례로 점령해 나갔다.

작전이 진행 중이던 1943년 8월,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제1차 퀘벡 회담(쿼드런트 회담)에서 연합군 수뇌부는 라바울을 직접 공격하는 대신 우회하여 고립시키고 무력화하는 것으로 최종 전략을 확정했다. 처음에는 카비엥을 대안으로 고려했으나 이마저도 우회하기로 결정되었다. 맥아더는 초기에 이 우회 전략에 반대했지만, 결과적으로 라바울을 무력화한다는 그의 기존 계획(엘크턴 계획) 목표는 달성되었고, 이후 사이도르 점령을 기점으로 뉴기니 북쪽 해안을 따라 필리핀의 민다나오까지 진격하는 새로운 계획(리노 계획)으로 나아갔다.

1944년까지 이어진 수레바퀴 작전은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이 예상되는 주요 거점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대신 적의 보급선과 통신망을 차단하여 고립시키는 이른바 '개구리 뜀뛰기 전술'의 효과를 성공적으로 입증한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3. 1. 주요 작전 목록

수레바퀴 작전 동안의 수많은 양륙 작전 지도


수레바퀴 작전은 당초 13개의 하위 작전을 계획하고 일정을 설정했으나, 라바울, 카비엥, 콜롬방가라에 대한 공격은 비용이 많이 들고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최종적으로 제외되었다. 대신 카비엥 공격은 라바울에서 약 188.29km 떨어진 그린 제도 점령으로 대체되어, 총 11개의 주요 작전이 실제로 수행되었다.[2][3]

수레바퀴 작전의 일환으로 실행된 주요 작전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각 작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전명 (암호명)날짜주요 목표 지역주요 참여 부대
크로니클 작전1943년 6월 30일우들라크 섬, 키리위나미 제112 기병 연대, 미 제158 RCT
토네일즈 작전1943년 6월 30일 시작뉴 조지아, 렌도바, 아룬델 섬 등미 제43 보병 사단, 미 해병 레이더 대대, 미 제169/172 RCT 등
벨라 라벨라 전투1943년 8월 15일벨라 라벨라미 제35 RCT, 미 제25 보병 사단, 뉴질랜드 제3 사단
포스터른 작전1943년 9월 5일라에, 뉴기니호주 제9 사단, 호주 제7 사단, 미 제503 공수 연대
굿타임 작전1943년 10월 27일트레저리 제도뉴질랜드 제8 여단
블리스풀 작전1943년 10월 28일초이셀 섬미 제2 해병 공수 대대
체리블로섬 작전1943년 11월 1일부겐빌 섬미 제3 해병 사단, 미 제37 보병 사단
덱스터리티 작전1943년 12월 15일 시작아라웨, 케프 글로스터, 사이도르미 제112 기병 연대, 미 제1 해병 사단, 미 제32 보병 사단
그린 제도 전투1944년 2월 15일그린 제도뉴질랜드 제3 사단
애드미럴티 제도 전역1944년 2월 29일애드미럴티 제도미 제1 기병 사단
에미라우 섬 상륙1944년 3월 20일에미라우 섬미 제4 해병 연대


3. 1. 1. 크로니클 작전 (1943년 6월 30일)

크로니클 작전(Operation Chronicleeng)은 수레바퀴 작전의 초기 단계 중 하나로, 1943년 6월 30일에 실행되었다. 이 작전은 뉴기니 섬 동쪽 끝 북쪽에 위치한 우들라크 섬과 키리위나 섬을 점령하여 항공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라바울의 일본군 기지를 고립시키려는 연합군 전략의 일환이었다.

작전 지휘는 월터 크루거 장군 휘하의 제6 미국 육군이 맡았다. 우들라크 섬에는 제112 기병 연대가, 키리위나에는 제158 연대 전투단(RCT)이 투입되어 각 섬을 점령했다. 이 섬들의 확보는 연합군이 뉴기니와 뉴브리튼 섬 등에서 후속 작전을 펼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3. 1. 2. 뉴 조지아 전역 (1943년 6월 30일)



1943년 6월 30일, 윌리엄 할시 제독의 지휘 아래 연합군은 뉴 조지아 전역(작전명: 토네일즈 작전)을 개시했다. 이는 수레바퀴 작전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주 목표인 뉴 조지아 섬 공략에 앞서, 6월 30일 연합군은 뉴 조지아 남서쪽에 위치한 렌도바 섬에 먼저 상륙했다. 소수의 일본군 수비대가 저항했으나, 연합군은 비교적 쉽게 섬을 점령하고 이곳에 포병 진지를 구축했다. 이 진지는 뉴 조지아 섬의 주요 목표인 문다 비행장을 포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뉴 조지아 전역의 주요 작전 및 상륙은 다음과 같다.

날짜지역투입 부대
1943년 6월 21일뉴 조지아 세기 포인트제4 해병 레이더 대대
1943년 6월 30일뉴 조지아미 제43 보병 사단
1943년 6월 30일렌도바미 제169 및 제172 연대 전투단 (RCT)
1943년 7월 5일뉴 조지아 자나나미 제169 및 제172 연대 전투단 (RCT)
1943년 7월 5일바이로코 항구, 뉴 조지아제4 해병 레이더 대대
1943년 8월 27일아룬델 섬미 제172 연대 전투단 (RCT), 미 제43 보병 사단



문다 비행장을 방어하려는 일본군은 복잡하고 험준한 정글 지형을 이용하여 완강하게 저항했다. 이로 인해 연합군의 문다 지역 공략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치열한 전투 끝에 1943년 8월 5일 마침내 문다 비행장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뉴 조지아 전투). 이후 아룬델 섬 등 주변 지역도 순차적으로 확보되었다.

3. 1. 3. 벨라 라벨라 전투 (1943년 8월 15일)

벨라 라벨라 전투는 수레바퀴 작전의 일환으로 1943년 8월 15일에 개시되었다. 이 작전에는 미국 육군의 제35 연대전투단(RCT), 제25 보병 사단과 뉴질랜드 육군의 제3 사단이 투입되었다.

3. 1. 4. 포스터른 작전 (1943년 9월 5일)

수레바퀴 작전의 일부로 1943년 9월 5일에 개시된 작전이다. 뉴기니의 라에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살라마우-라에 전역의 일부이기도 하다.

작전에는 호주의 제9사단 및 제7사단, 그리고 미국의 제503 공수 보병 연대가 투입되었다.

3. 1. 5. 트레저리 제도 전투 (1943년 10월 27일)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로, '''굿타임 작전'''(Operation Goodtime영어)이라는 암호명으로 1943년 10월 27일에 시작되었다.[2][3] 이 작전은 뉴질랜드 제8여단이 트레저리 제도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3. 1. 6. 초이셀 공격 (1943년 10월 28일)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인 '''블리스풀 작전'''은 1943년 10월 28일에 시작되었다. 이 작전은 초이셀 섬을 목표로 하였으며, 미국의 제2 해병 공수 대대가 투입되었다.

3. 1. 7. 부겐빌 전역 (1943년 11월 1일)

부겐빌 전역은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인 '''체리블로섬 작전'''(Operation Cherryblossom영어)으로 수행되었다. 이 작전은 미국 합동참모본부가 1943년 3월 28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라바울을 고립시키기 위해 지시한 세 가지 주요 공격 목표 중 하나로, 부건빌 섬 남부를 공략하는 것이었다. 작전은 1943년 11월 1일에 개시되었으며, 미국의 제3 해병 사단과 제37 보병 사단이 주력 부대로 투입되었다.

3. 1. 8. 덱스터리티 작전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로, 뉴브리튼 섬의 주요 거점 확보를 목표로 하였다. 월터 크루거 장군이 지휘하는 제6 미국 육군이 주도했으며, 세부 작전은 다음과 같다.

  • 아라웨, 뉴브리튼: 1943년 12월 15일, 제112 기병 (미국)이 상륙하여 점령했다.
  • 케프 글로스터, 뉴브리튼: 1943년 12월 26일, 제1 해병 사단 (미국)이 상륙하여 점령했다.
  • 사이도르, 뉴기니: 1944년 1월 2일, 제32 보병 사단 (미국)이 상륙했다.

3. 1. 9. 그린 제도 전투 (1944년 2월 15일)

그린 제도 전투는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로, 1944년 2월 15일에 시작되었다. 이 작전은 당초 계획되었던 카비엥 공격을 대체하여 실시되었으며, 라바울로부터 약 188.29km 거리에 위치한 그린 제도를 목표로 했다.[2][3] 작전 수행은 뉴질랜드 제3 사단이 담당했다.

3. 1. 10. 애드미럴티 제도 전역 (1944년 2월 29일)

애드미럴티 제도 전역은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로, 1944년 2월 29일 미국 육군 제1 기병 사단이 애드미럴티 제도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3. 1. 11. 에미라우 섬 상륙 (1944년 3월 20일)

에미라우 섬 상륙은 수레바퀴 작전의 하위 작전 중 하나로, 1944년 3월 20일에 미국의 제4 해병 연대가 에미라우 섬에 상륙한 작전이다.

3. 2. 일본군의 저항과 연합군의 전략



일본군은 1942년 2월 라바울을 점령하여 남태평양 지역의 주요 전진 기지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연합군은 수레바퀴 작전을 계획했다.

작전 초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라바울을 직접 공략하기 위해 5개 사단의 추가 병력을 요청했다. 당시 맥아더는 호주군 병력도 지휘 하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1943년 3월 28일, 라바울을 직접 공격하는 대신 고립시키는 방향으로 작전 목표를 설정하고 맥아더에게 새로 편성된 제6 미국 육군을 증원하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공격 방향을 지시했다.

# 뉴기니섬 동쪽 끝 북쪽에 위치한 키리위나와 우들라크에 항공 기지를 건설한다(크로니클 작전).

# 뉴기니섬의 라에, 살라마우아 지역을 공략하고(살라마우아-라에 전역), 이어 핀슈하펜과 마당 지역을 점령하며, 뉴브리튼섬 서부의 글로스터 곶을 확보한다.

# 부건빌 섬 남부 지역을 공략한다.

작전 수행을 위해 연합군은 역할을 분담했다. 토마스 블레이미 장군이 지휘하는 뉴기니군은 뉴기니 본토 동쪽으로의 진격을 담당했고, 월터 크루거 육군 중장 휘하의 제6 미국 육군은 키리위나, 우들라크, 글로스터 곶 점령 임무를 맡았다. 이들 지상군은 조지 케니 중장이 이끄는 연합군 항공 부대와 아서 S. 카펜더 해군 중장이 지휘하는 해군 부대의 지원을 받았다.

1943년 6월 30일, 연합군은 뉴브리튼섬과 뉴조지아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며 작전을 본격화했다. 뉴조지아 상륙에 앞서 남서쪽의 렌도바 섬을 먼저 점령했는데, 소수의 일본군 저항을 극복하고 비교적 순조롭게 확보했다. 연합군은 렌도바 섬에 포병 진지를 구축하고 뉴조지아의 주요 목표인 문다 비행장을 향해 포격을 가했다. 윌리엄 홀시 제독의 지휘 아래 뉴조지아 본섬 상륙이 이루어졌으나, 일본군은 문다 비행장을 지키기 위해 복잡한 지형을 이용하며 완강하게 저항했다. 이로 인해 공략은 쉽지 않았지만, 연합군은 8월 5일 문다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뉴조지아 전역).

한편, 뉴기니 방면에서는 호주군이 뉴브리튼 섬 공략을 진행하는 동시에, 동부 뉴기니 해안을 따라 진격하여 포트모르즈비를 위협하던 부나-라에 지역의 일본군을 몰아냈다. 이후 동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후온반도를 점령하고 마당 지역에 상륙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뉴기니 전역).

작전이 진행 중이던 1943년 8월, 캐나다 퀘벡 시에서 열린 제1차 퀘벡 회담(쿼드런트 회담)에서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와 논의한 끝에 라바울을 직접 점령하는 대신 우회하여 고립시키는 것으로 최종 전략을 확정했다. 처음에는 카비엥을 대신 공격할 계획이었으나, 이 역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우회하기로 결정되었다. 맥아더는 초기에 이러한 우회 전략에 반대했지만, 결과적으로 라바울을 무력화한다는 그의 기존 계획(엘크턴 계획) 목표는 달성되었고, 이후 사이도르 상륙 작전 점령을 기점으로 뉴기니 북쪽 해안을 따라 필리핀의 민다나오까지 진격하는 새로운 계획(리노 계획)으로 나아갔다.

1944년까지 이어진 수레바퀴 작전은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이 예상되는 주요 거점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대신 적의 보급선과 통신망을 차단하여 고립시키는 전략이 매우 효과적임을 증명했다.

4. 라바울 무력화

일본군은 1942년 2월 라바울을 점령하여 남태평양의 주요 전선 기지로 활용했다. 연합군은 '수레바퀴 작전'을 통해 라바울을 직접 점령하는 대신, 주변 지역을 확보하여 라바울을 고립시키고 무력화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1943년 초, 더글러스 맥아더 사령관은 라바울 직접 공격을 위해 5개 사단 증원을 요청했으나, 미국 통합참모본부는 1943년 3월 28일 라바울 고립을 위한 3단계 작전을 지시하고 새로 편성된 미 제6군을 증원했다. 작전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

# 뉴기니섬 동쪽 끝 북쪽에 있는 킬리위나 섬, 우드라크 섬에 항공 기지 건설(크로니클 작전( Operation Chronicleeng )).

# 뉴기니섬의 라에, 사라모아 확보(라에-사라모아 전투), 핀슈하펜 확보(핀슈하펜 전투), 마당 확보, 뉴브리튼 섬 서부의 글로스터 곶 확보(글로스터 곶 전투).

# 부건빌 섬 남부 확보.

1943년 6월 30일, 연합군은 뉴브리튼 섬 및 뉴조지아 섬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윌리엄 할시 제독의 지휘 아래, 연합군은 먼저 뉴조지아 섬 남서쪽의 렌도바 섬을 점령하고 이곳에 포진지를 구축하여 뉴조지아 섬의 문다 비행장을 포격했다. 일본군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 격렬히 저항했으나, 연합군은 8월 5일 문다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뉴조지아 섬 전투).

동시에 호주 뉴기니 부대와 월터 크루거 중장이 지휘하는 미 제6군은 조지 케니 소장의 항공 부대와 아서 S. 카펜터 중장의 함대 지원을 받으며 뉴브리튼 섬, 킬리위나 섬, 우드라크 섬, 글로스터 곶 등을 확보해 나갔다(글로스터 곶 전투). 뉴기니 부대는 동부 뉴기니 해안을 따라 진격하여 일본군을 몰아내고 폰 반도와 마당까지 점령했다(동부 뉴기니 전투).

이러한 연합군의 압박 속에서 일본 해군은 1943년 12월, 트루크에 기지를 둔 항공모함에서 수백 대의 비행기를 보내 라바울을 구원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 작전은 미국과 호주 폭격기의 반격에 부딪혀 실패로 돌아갔고, 오히려 대체 불가능한 항공모함 소속 항공기 200~300대와 숙련된 조종사들을 잃는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일본 해군 항공모함 항공대의 이러한 약화는 몇 달 후 미국 해군이 마리아나 전역을 개시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1944년 2월까지 '수레바퀴 작전'의 대부분이 완료되면서 라바울은 연합군 항공기의 끊임없는 폭격에 노출되었다. 연합군은 라바울에서 불과 수백 마일 떨어진 육상 기지에서 발진하여 지속적으로 공습을 가했고, 결국 라바울은 남은 전쟁 기간 동안 전투기나 폭격기를 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일본군은 손실된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2월 19일 120대의 비행기를 트루크로 대피시켰다. 라바울에 남아있던 귀중한 항공 정비사들은 2월 21일 선박 'Kokai Maru'를 타고 탈출하려 했으나, 이 배마저 연합군 폭격기에 의해 격침되었다.[4]

연합군은 라바울에 더 이상 일본군 항공기가 없음을 확인한 후, 2월 말부터 아드미럴티 제도 전역을 실시하여 라바울을 더욱 효과적으로 고립시켰다. 식량과 의약품 보급이 완전히 끊긴 상황에서도 라바울의 일본군은 항복을 거부했고, 이곳은 사실상 죽음의 덫으로 변했다. 이 작전 과정은 일본군의 주요 거점을 직접 공격하는 대신 보급로를 차단하여 무력화시키는 연합군의 '개구리 뛰기 전술'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5. 결과 및 영향

수레바퀴 작전은 연합군이 남태평양의 주요 일본군 기지인 라바울을 직접 공략하는 대신, 주변 지역을 점령하여 라바울을 전략적으로 고립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43년 3월 28일, 미국 통합참모본부는 더글러스 맥아더 사령관에게 뉴기니섬 동쪽의 킬리위나 섬과 우드라크 섬에 항공 기지를 건설하고(크로니클 작전), 뉴기니섬라에, 사라모아, 핀슈하펜, 마당 및 뉴브리튼 섬 서부의 글로스터 곶을 공략하며, 부건빌 섬 남부를 공략하여 라바울을 포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1943년 6월 30일부터 시작된 연합군의 공세는 뉴조지아 섬 전투, 라에-사라모아 전투, 핀슈하펜 전투, 글로스터 곶 전투, 동부 뉴기니 전투 등 여러 전선에서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뉴조지아 섬의 문다 비행장 점령과 뉴기니섬 동부 해안 확보는 라바울을 향한 일본군의 보급 및 증원 경로를 차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44년까지 이어진 수레바퀴 작전은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이 예상되는 핵심 거점을 우회하고, 대신 주변의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여 적의 보급선을 끊고 고립시키는 전략의 유효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남태평양의 중요 거점이었던 라바울은 사실상 무력화되었으며, 이는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의 전쟁 수행 능력을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나아가 연합군이 태평양 전선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5. 1. 관련 역사 자료

참조

[1] 웹사이트 Operations Against the Japanese on Arundel and Sagekarsa Islands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1
[2] 웹사이트 Raiders of the Green Islands https://www.usni.org[...] 2021-04-14
[3] 웹사이트 HyperWar: US Army in WWII: CARTWHEEL--The Reduction of Rabaul https://www.ibiblio.[...] 2021-04-14
[4] 웹사이트 IJN Salvage and Repair Tug NAGAURA: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Combinedfleet.com 2021-04-13
[5] 웹인용 Operations Against the Japanese on Arundel and Sagekarsa Islands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