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역사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 영화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한 영화 장르이다. 역사 영화는 다양한 시대와 문화를 배경으로 제작되며,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의 역사를 다룬다. 역사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거나, 픽션을 가미하여 제작되며,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거나, 역사 속 인물의 삶을 조명한다. 이러한 영화들은 역사적 사실과 허구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문제, 역사적 사건의 재해석,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 영화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 역사 영화 - 군함도 (영화)
    군함도(영화)는 일제강점기 군함도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리는 조선인들의 탈출을 그린 영화로, 2017년 개봉하여 흥행과 역사 왜곡 논란을 겪었다.
  • 영화 장르 - 다큐멘터리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는 현실 기록에 중점을 두고 사실 자료에 기반하여 제작되며, 저널리즘, 옹호, 개인적 표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영화 장르이다.
  • 영화 장르 - 장편 영화
    장편 영화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주요 영화를 의미하며, 상영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상, 35mm 필름 1,600미터 이상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규정된다.
역사 영화

2. 역사 영화의 정의와 특징

이 절의 추가 편집이 필요합니다.

[아이콘
20px
]

3. 역사 영화의 제작과 윤리

4. 세계의 역사 영화

4. 1. 아시아

4. 1. 1. 한국사

4. 1. 2. 동아시아사 (일본, 중국, 몽골)

4. 1. 3. 동남아시아사


  • 킹 나레수안 5부작(16~17세기 태국 아유타야 왕조의 왕 나레수안의 생애를 그린 영화)
  • 안나와 왕 (19세기 태국의 라마 4세와 궁정 교사가 된 영국 여성 안나 레오노웬스의 에피소드를 모델로 한 이야기)
  • 호세 리잘 (19세기 필리핀의 독립 운동가 호세 리잘의 생애를 그린 영화)
  • 추 냐 딘 (19세기 인도네시아에서 독립을 위한 아체 전쟁을 지도한 여성 추 냐 딘의 반생을 그린 영화)
  • 소년 의용병 (태평양 전쟁이 시작될 무렵의 태국군 소년 의용병을 그린 영화)
  • 메르데카 17805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에 참가한 구 일본군의 이야기)
  • 황새의 노래 (베트남 전쟁에 종군한 사람들의 증언을 엮어 다큐멘터리와 드라마를 결합하여 그린 영화)
  • 킬링 필드 (크메르 루주에 의한 캄보디아 대량 학살을 그린 영화)

4. 1. 4. 남아시아사


  • 테즈카 오사무의 붓다(석가족의 왕자 고타마 싯다르타의 승려로서의 생애를 그린 불교 스토리)
  • 파드마바트: 여신의 탄생(알라딘 할지의 정복에 저항하는 메와르 왕국)
  • 위대한 무굴 제국(무굴 제국 제3대 황제 아크바르 시대가 무대)
  • 체스를 두는 사람(1856년, 영국 동인도 회사에 의해 인도 북부의 아우드 왕국이 식민지화되는 시대가 무대)
  • 마니카르니카: 쟌시의 여왕(인도 대반란에서 싸운 락슈미 바이의 생애를 그린다)
  • 간디(마하트마 간디의 생애를 그린다)
  • 마더 테레사(마더 테레사의 생애를 그린다)
  • 여도적 풀란(도적에서 정치가가 된 풀란 데비의 생애를 그린다)

4. 1. 5. 중앙아시아사

4. 1. 6.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사

4. 2. 유럽


  • 떠돌이 극단의 기록 (제2차 세계 대전 ~ 그리스 내전까지의 그리스를 그림)
  • Z (1963년에 군사 정권 하에서 일어난 자유주의자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암살 사건을 모델로 한 영화)

고대 그리스 · 마케도니아사
고대 로마사
영국 · 아일랜드사
프랑스사

  • 선량한 왕 다고베르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실존 왕, 다고베르 1세를 모델로 한 영화)
  • 잔 다르크 (잔 다르크의 생애를 그림)
  • 노스트라다무스 (16세기 예언자, 노스트라다무스의 생애를 그림)
  • 클레브의 여인 (마담 드 라파예트가 쓴 동명의 16세기 앙리 2세 시대를 무대로 한 연애 소설 『클레브의 여인』의 영화화)
  • 마고 여왕 (16세기 말 성 바르텔레미 축일의 학살과 실존 여왕 마고를 그림)
  • 삼총사 (루이 13세 시대를 그린 알렉상드르 뒤마 페르의 소설 영화화)
  • 가면의 남자 (루이 14세가 주인공)
  • 궁정 요리사 바텔 (17세기 요리사 프랑수아 바텔)
  • 왕은 춤춘다 (17세기 작곡가 장바티스트 륄리의 생애)
  • 모리에르 사랑은 희극 (17세기 극작가 몰리에르의 생애)
  • 여배우 마르키즈 (17세기 여배우 마르키즈 뒤 파르크의 생애)
  • 보마르셰 피가로의 탄생 (18세기 극작가 피에르 보마르셰의 생애)
  • 난넬 모차르트: 슬픔의 여정 (프랑스를 여행하는 모차르트의 누이 난넬의 비련)
  • 제보당의 야수 (18세기, 실존했던 제보당의 야수를 바탕으로 한 미스터리 픽션)
  • 베르사유의 장미 (동명의 이케다 리요코의 극화를 원작으로 한 프랑스 혁명을 무대로 한 창작 드라마)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의 생애)
  • 당통 (프랑스 혁명의 중심 인물인 조르주 당통과 막시밀리안 로베스피에르의 대립과 두 사람의 그 이후의 운명을 그림)
  • 그레이스와 공작 (단두대에서 처형되는 오를레앙 공과 그레이스 엘리엇의 비극)
  • 퀼스 (18세기 작가 사드 후작의 만년)
  • 나폴레옹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주인공)
  • 워털루 (워털루 전투를 그림)
  •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원작의 동명 대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나폴레옹 몰락 후 프랑스 사회의 배경을 그리고 있다.)
  • 적과 흑 (스탕달의 동명 소설 영화화. 프랑스 복고 왕정의 프랑스에서 나폴레옹을 숭배하고, 출세를 목표로 하는 청년을 그림)
  • 연하의 남자 (작가 조르주 상드와 시인 알프레드 드 뮈세의 사랑과 갈등)
  • 쇼팽, 사랑과 슬픔의 선율 (작가 조르주 상드프레데리크 쇼팽의 사랑과 갈등)
  • 아델의 이야기 (빅토르 위고의 차녀 아델의 광기에 이르는 사랑)
  • 에밀 졸라의 생애 (에밀 졸라의 생애)
  • 오피서 앤 스파이 (드레퓌스 사건을 그림)
  • 카미유 클로델 (조각가 오귀스트 로댕카미유 클로델의 광기에 이르는 사랑)
  • 모딜리아니 진실의 사랑 (1920년대 파리를 무대로, 아메데오 모딜리아니파블로 피카소 등 예술가들의 교류를 그린 전기 영화)
  • 노란 별의 아이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던 비시 정권 시대의 프랑스, 1942년의 벨로드롬 디베르 검거 사건을 그림)
  • 피델의 잘못 (1970년대 구미에서 반체제 운동이 높아진 시대 배경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부모와 보수적인 아이의 대비를 그린 픽션)

네덜란드사

  • 워리어 (프리슬란트 왕국의 왕 레드보트가 주인공)
  • 제독의 함대 (영란 전쟁에서 네덜란드 함대를 이끈 미힐 데 로이테르가 주인공)
  • 안네의 일기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을 피해 은신처에 숨어 지낸 안네 프랑크일기를 영화화)

독일 · 오스트리아사

  • 마지막 계곡 (30년 전쟁 중의 독일을 무대로 함)
  • 신성 로마, 운명의 날 오스만 제국의 진격 (제2차 빈 포위를 그림)
  •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죽음의 수수께끼를, 그 재능에 질투한 살리에리의 회상이라는 형태로 그린 창작극의 영화화)
  • 돈 조반니 천재 극작가와 모차르트의 만남 (모차르트의 오페라 대본 작가 로렌초 다 폰테)
  • 괴테의 사랑 ~ 그대에게 바치는 '젊은 베르테르의 고뇌' ~ (젊은 시절의 괴테)
  • 회의는 춤춘다 (1814년의 빈 회의를 무대로 한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비련)
  • 불멸의 연인/베토벤 (베토벤의 사후에 발견된 "불멸의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의 수수께끼를 둘러싸고 그의 생애를 그림)
  • 브라더스 그림 (19세기 초 프랑스 점령 하의 독일을 무대로 그림 형제가 주인공)
  • 클라라 슈만 사랑의 협주곡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과 그의 부인 클라라 슈만의 사랑과 갈등을 그림)
  • 루트비히 (바이에른 왕 루트비히 2세의 생애)
  • 마지막 춤 (오스트리아 제국루돌프 황태자의 자살 사건 (마이얼링 사건))
  • 루 살로메 (니체와 교류가 있던 여성 철학자 루 살로메)
  • 클림트 (세기말 빈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 말러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와 그의 부인 알마 말러의 사랑과 갈등을 그림)
  • 로자 룩셈부르크 (20세기 초의 혁명 운동가 로자 룩셈부르크를 그림)
  • 푸른 가시 (1927년 베를린에서 일어난 "슈테글리츠 학교의 비극")
  • 지옥에 떨어진 용사들 (제3제국의 융성과 함께 붕괴되어 가는 철강 재벌 일가의 비극)
  • 히틀러 암살, 13분의 오산 (1939년에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을 일으킨 게오르크 엘저를 그림)
  • 백장미의 기도 소피 숄, 최후의 날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비폭력적인 반나치 운동 "백장미"의 조피 숄을 그림)
  • 몰락 (1945년 4월의 베를린 시가전을 배경으로, 아돌프 히틀러의 총통 지하 벙커에서의 최후의 날들을 그림)
  • 뉘른베르크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 군사 재판 중, 나치 정권 하의 에른스트 야닝 등 4명의 법률가가 관련된 2개의 재판을 그림)
  • 우리는 희망이라는 이름의 열차를 탔다 (1956년의 동독에서 서독으로 탈출한 고등학생들의 실화의 영화화)
  • 얼굴 없는 히틀러들 (홀로코스트를 독일인 자신이 심판한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1963년에 시작되기까지를 그림)
  • 한나 아렌트 (아이히만 재판을 방청한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출판하기 전후의 이야기)
  • 터널 (1961년에 만들어진 베를린 장벽 아래에 터널을 파고, 동독에서 서독으로 많은 사람들을 탈출시킨 실화의 영화화)
  • 타인의 삶 (80년대의 동독을 그림)
  • 굿바이 레닌! (동서독 통합 후에 서민들에게 일어난 희비극을 가족상과 함께 그림)

북유럽사
이탈리아사

  • 바르바로사: 제국의 야망 (프리드리히 1세의 침공과 싸우는 롬바르디아 동맹의 알베르토 다 주사노를 그림)
  • 브라더 선, 시스터 문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젊은 날을 그림)
  • 화려한 정열 (미켈란젤로가 주인공)
  • 볼지아가의 독약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생애를 그림)
  • 카라바조 (16~17세기 화가 카라바조의 생애를 그림)
  • 산고양이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대의 귀족의 몰락을 그림)
  • 여름의 폭풍 (1866년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배경)
  • 1900년 (20세기 초두 ~ 제2차 세계 대전 종결까지의 이탈리아 사회를 그림)
  • 푸치니의 애인 (푸치니의 아내가 애인이라는 의혹을 받은 하녀가 자살한 도리아 만프레디 사건을 그림)
  • 사랑의 승리를 무솔리니를 사랑한 여자 (무솔리니의 아이를 낳은 이다 달세르의 생애를 그림)
  • 블랙 셔츠/독재자 무솔리니를 노려라!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파르티잔에게 쫓기는 무솔리니의 마지막 날들을 그림)
  • 시칠리아의 검은 안개 (제2차 세계 대전 중부터 종전 후 시칠리아 섬에서 활동한 산적 살바토레 줄리아노 암살의 수수께끼를 그림)
  • 검은 사막 (ENI 총수 엔리코 마테이의 생애를 그림)
  • 폰타나 광장 이탈리아의 음모 (1969년 폰타나 광장 폭탄 테러 사건을 그림)
  • 일 디보 (1970~90년대에 이탈리아 총리를 역임하고 수많은 범죄를 저지른 줄리오 안드레오티가 주인공)

스페인 · 포르투갈사

  • 논, 혹은 지배의 헛된 영광 (기원전 2세기~16세기 후반의 각 시대의 포르투갈의 역사를 그림)
  • 엘 시드 (레콩키스타와 엘 시드의 생애를 그림)
  • 불타는 안달루시아 (12세기의 철학자 이븐 루시드를 그림)
  • 후아나 여왕 (대항해 시대의 여왕 후아나의 생애를 그림)
  • 알라트리스테 (1568년-1648년의 80년 전쟁과 1618년-1648년의 30년 전쟁에서의 로크루아 전투를 그림)
  • 고야, 유령의 초상 (화가 프란시스코 데 고야의 시선을 통해 종교 재판을 그림)
  • 나비의 혀 (1936년-1939년의 스페인 내전을 그림)
  • 살바도르의 아침 (1970년대 스페인의 반체제 활동가 살바도르 푸치 안티크를 그림)

동유럽사

  • 보흐단 흐멜니츠키 (17세기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흐멜니츠키 봉기를 그린 영화)
  • 약탈의 땅 (17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불가리아에서 벌어진 종교 탄압을 소재로 한 영화)
  • 양철북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시대. 무대가 되는 단치히는 현재 폴란드령 그단스크)
  • 카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에서 일어난 카틴 숲 학살 사건을 그린 영화)
  • 결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에서 일어난 예드바브네 학살 사건 등 유대인 학살 사건을 그린 영화)
  • 네레트바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에서 벌어진 네레트바 전투를 그린 영화)
  • 위닝 티켓 - 머나먼 부다페스트 - (헝가리 봉기를 배경으로 한 휴먼 드라마)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프라하의 봄과 체코 사건을 배경으로 한 멜로 영화)
  • 바웬사, 희망의 인간 (폴란드의 '연대' 지도자 바웬사를 주인공으로 1970년부터 1989년까지의 폴란드 민주화 운동을 그린 영화)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13세기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추드 호 전투를 묘사)
  • 오르다: 황금 군단의 마법사 (14세기 킵차크 칸국의 칸 지위를 둘러싼 암투와 성 알렉세이의 고난을 묘사)
  • 이반 뇌제 (15세기의 차르이반 4세를 묘사)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의 성상 화가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생애를 묘사)
  • 연애 소설 (예카테리나 2세의 일생을 묘사)
  • 전쟁과 평화 (나폴레옹 전쟁 시기의 러시아를 묘사)
  • 전함 포템킨 (1905년에 일어난 전함 포템킨의 반란을 바탕으로 제작)
  •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 (로마노프 왕조의 비극을 영화화)
  • 10월 (1917년 3월부터 11월까지의 러시아 혁명을 묘사)
  • 태양에 탄 (스탈린에 의한 대숙청 시대를 배경으로 함)
  • 영화 기술자는 보고 있었다 (스탈린을 섬긴 영화 기술자 알렉산드르 간신을 모델로 한 스탈린 독재 시대를 묘사한 영화)
  • 가가린 세계를 바꾼 108분 (세계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을 달성한 유리 가가린을 묘사)

4. 2. 1. 고대 그리스 · 마케도니아사

4. 2. 2. 고대 로마사

4. 2. 3. 영국 · 아일랜드사


  • 「킹 아서」(King Arthur)」(아서 왕 전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베켓」(Becket)」(토마스 베켓이 주인공)
  • 브레이브하트(Braveheart)」(스코틀랜드의 윌리엄 월리스가 주인공)
  • 헨리 5세(Henry V)」(헨리 5세를 주인공으로 한 셰익스피어 희곡의 영화화)
  • 「리처드 3세(Richard III)」(리처드 3세를 주인공으로 한 셰익스피어 희곡의 영화화)
  • 사계절의 사나이(A Man for All Seasons)」(헨리 8세와 토마스 모어를 바탕으로 한 희곡의 영화화)
  • 천일의 앤(The Other Boleyn Girl)」(헨리 8세와 앤 불린&메리 불린 자매)
  • 「레이디 제인(Lady Jane)」(9일간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제인 그레이가 주인공)
  • 엘리자베스(Elizabeth)」(엘리자베스 1세가 주인공)
  • 「메리, 여왕의 딸(Mary, Queen of Scots)」(스코틀랜드 여왕 메리가 주인공)
  • 「무적함대(The Private Life of Henry VIII)」(16세기 후반, 영국과 스페인의 싸움)
  • 셰익스피어 인 러브(Shakespeare in Love)」(셰익스피어를 주인공으로 한 창작 드라마)
  • 「크롬웰(Cromwell)」(올리버 크롬웰과 청교도 혁명)
  • 리버틴(The Libertine)」(17세기, 찰스 2세의 총신 로체스터 백작)
  • 롭 로이(Rob Roy)」(로버트 로이 맥그리거가 주인공)
  •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The Favourite)」(18세기 초, 영국 여왕 앤과 시녀장 사라 제닝스)
  • 「공작 부인: 세기의 스캔들(The Duchess)」(18세기 후반, 데본셔 공작 부인)
  • 「더 매드니스 오브 조지(The Madness of King George)」(18세기 후반, 영국 국왕 조지 3세)
  • 「피터루(Peterloo)」(1819년의 피터루 학살을 그림)
  • 「미스 오스틴(Becoming Jane)」(19세기 초, 소설가 제인 오스틴)
  • 「브라이트 스타(Bright Star)」(19세기 초, 시인 존 키츠)
  • 「어메이징 그레이스(Amazing Grace)」(19세기 초, 노예 무역 폐지의 정치인 윌리엄 윌버포스)
  • 「빅토리아 여왕(Victoria & Abdul)」(19세기 초,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결혼)
  • 「카발케이드(Cavalcade)」(보어 전쟁부터 제1차 세계 대전 후까지)
  • 노라(Nora)」(아일랜드 작가 제임스 조이스와 그의 아내 노라의 사랑과 갈등)
  •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20세기, 아일랜드 독립 전쟁아일랜드 내전)
  • 마이클 콜린스(Michael Collins)」(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지도자 마이클 콜린스)
  • 디 아워스(The Hours)」(1925-1941년, 작가 버지니아 울프)
  • 지미스 홀(Jimmy's Hall)」(1932년, 미국에서 아일랜드로 귀국한 전 활동가 지미 그래턴)
  • 킹스 스피치(The King's Speech)」(1930년대, 영국 국왕 조지 6세)
  • 이미테이션 게임(The Imitation Game)」(1940년대, 수학자 앨런 튜링)
  • 「노웨어 보이(Nowhere Boy)」(1950년대, 리버풀에서의 존 레논의 젊은 시절)
  • 블러디 선데이(Bloody Sunday)」(1972년 북아일랜드 데리에서 일어난 영국군의 시민 학살 사건 "피의 일요일 사건"을 그림)
  • 철의 여인(The Iron Lady)」(마거릿 대처 수상의, 1982년의 포클랜드 전쟁에 이르기까지의 17일간을 회상을 곁들여 그리는 전기 영화)

4. 2. 4. 프랑스사


  • 선량한 왕 다고베르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실존 왕, 다고베르 1세를 모델로 한 영화)
  • 잔 다르크 (잔 다르크의 생애를 그림)
  • 노스트라다무스 (16세기 예언자, 노스트라다무스의 생애를 그림)
  • 클레브의 여인 (마담 드 라파예트가 쓴 동명의 16세기 앙리 2세 시대를 무대로 한 연애 소설 『클레브의 여인』의 영화화)
  • 마고 여왕 (16세기 말 성 바르텔레미 축일의 학살과 실존 여왕 마고를 그림)
  • 삼총사 (루이 13세 시대를 그린 알렉상드르 뒤마 페르의 소설 영화화)
  • 가면의 남자 (루이 14세가 주인공)
  • 궁정 요리사 바텔 (17세기 요리사 프랑수아 바텔)
  • 왕은 춤춘다 (17세기 작곡가 장바티스트 륄리의 생애)
  • 모리에르 사랑은 희극 (17세기 극작가 몰리에르의 생애)
  • 여배우 마르키즈 (17세기 여배우 마르키즈 뒤 파르크의 생애)
  • 보마르셰 피가로의 탄생 (18세기 극작가 피에르 보마르셰의 생애)
  • 난넬 모차르트: 슬픔의 여정 (프랑스를 여행하는 모차르트의 누이 난넬의 비련)
  • 제보당의 야수 (18세기, 실존했던 제보당의 야수를 바탕으로 한 미스터리 픽션)
  • 베르사유의 장미 (동명의 이케다 리요코의 극화를 원작으로 한 프랑스 혁명을 무대로 한 창작 드라마)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의 생애)
  • 당통 (프랑스 혁명의 중심 인물인 조르주 당통과 막시밀리안 로베스피에르의 대립과 두 사람의 그 이후의 운명을 그림)
  • 그레이스와 공작 (단두대에서 처형되는 오를레앙 공과 그레이스 엘리엇의 비극)
  • 퀼스 (18세기 작가 사드 후작의 만년)
  • 나폴레옹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주인공)
  • 워털루 (워털루 전투를 그림)
  •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원작의 동명 대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나폴레옹 몰락 후 프랑스 사회의 배경을 그리고 있다.)
  • 적과 흑 (스탕달의 동명 소설 영화화. 프랑스 복고 왕정의 프랑스에서 나폴레옹을 숭배하고, 출세를 목표로 하는 청년을 그림)
  • 연하의 남자 (작가 조르주 상드와 시인 알프레드 드 뮈세의 사랑과 갈등)
  • 쇼팽, 사랑과 슬픔의 선율 (작가 조르주 상드프레데리크 쇼팽의 사랑과 갈등)
  • 아델의 이야기 (빅토르 위고의 차녀 아델의 광기에 이르는 사랑)
  • 에밀 졸라의 생애 (에밀 졸라의 생애)
  • 오피서 앤 스파이 (드레퓌스 사건을 그림)
  • 카미유 클로델 (조각가 오귀스트 로댕카미유 클로델의 광기에 이르는 사랑)
  • 모딜리아니 진실의 사랑 (1920년대 파리를 무대로, 아메데오 모딜리아니파블로 피카소 등 예술가들의 교류를 그린 전기 영화)
  • 노란 별의 아이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던 비시 정권 시대의 프랑스, 1942년의 벨로드롬 디베르 검거 사건을 그림)
  • 피델의 잘못 (1970년대 구미에서 반체제 운동이 높아진 시대 배경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부모와 보수적인 아이의 대비를 그린 픽션)

4. 2. 5. 네덜란드사


  • 워리어 (프리슬란트 왕국의 왕 레드보트가 주인공)
  • 제독의 함대 (영란 전쟁에서 네덜란드 함대를 이끈 미힐 데 로이테르가 주인공)
  • 안네의 일기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을 피해 은신처에 숨어 지낸 안네 프랑크일기를 영화화)

4. 2. 6. 독일 · 오스트리아사


  • 마지막 계곡 (30년 전쟁 중의 독일을 무대로 함)
  • 신성 로마, 운명의 날 오스만 제국의 진격 (제2차 빈 포위를 그림)
  •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죽음의 수수께끼를, 그 재능에 질투한 살리에리의 회상이라는 형태로 그린 창작극의 영화화)
  • 돈 조반니 천재 극작가와 모차르트의 만남 (모차르트의 오페라 대본 작가 로렌초 다 폰테)
  • 괴테의 사랑 ~ 그대에게 바치는 '젊은 베르테르의 고뇌' ~ (젊은 시절의 괴테)
  • 회의는 춤춘다 (1814년의 빈 회의를 무대로 한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비련)
  • 불멸의 연인/베토벤 (베토벤의 사후에 발견된 "불멸의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의 수수께끼를 둘러싸고 그의 생애를 그림)
  • 브라더스 그림 (19세기 초 프랑스 점령 하의 독일을 무대로 그림 형제가 주인공)
  • 클라라 슈만 사랑의 협주곡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과 그의 부인 클라라 슈만의 사랑과 갈등을 그림)
  • 루트비히 (바이에른 왕 루트비히 2세의 생애)
  • 마지막 춤 (오스트리아 제국루돌프 황태자의 자살 사건 (마이얼링 사건))
  • 루 살로메 (니체와 교류가 있던 여성 철학자 루 살로메)
  • 클림트 (세기말 빈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 말러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와 그의 부인 알마 말러의 사랑과 갈등을 그림)
  • 로자 룩셈부르크 (20세기 초의 혁명 운동가 로자 룩셈부르크를 그림)
  • 푸른 가시 (1927년 베를린에서 일어난 "슈테글리츠 학교의 비극")
  • 지옥에 떨어진 용사들 (제3제국의 융성과 함께 붕괴되어 가는 철강 재벌 일가의 비극)
  • 히틀러 암살, 13분의 오산 (1939년에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을 일으킨 게오르크 엘저를 그림)
  • 백장미의 기도 소피 숄, 최후의 날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비폭력적인 반나치 운동 "백장미"의 조피 숄을 그림)
  • 몰락 (1945년 4월의 베를린 시가전을 배경으로, 아돌프 히틀러의 총통 지하 벙커에서의 최후의 날들을 그림)
  • 뉘른베르크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 군사 재판 중, 나치 정권 하의 에른스트 야닝 등 4명의 법률가가 관련된 2개의 재판을 그림)
  • 우리는 희망이라는 이름의 열차를 탔다 (1956년의 동독에서 서독으로 탈출한 고등학생들의 실화의 영화화)
  • 얼굴 없는 히틀러들 (홀로코스트를 독일인 자신이 심판한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이 1963년에 시작되기까지를 그림)
  • 한나 아렌트 (아이히만 재판을 방청한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출판하기 전후의 이야기)
  • 터널 (1961년에 만들어진 베를린 장벽 아래에 터널을 파고, 동독에서 서독으로 많은 사람들을 탈출시킨 실화의 영화화)
  • 타인의 삶 (80년대의 동독을 그림)
  • 굿바이 레닌! (동서독 통합 후에 서민들에게 일어난 희비극을 가족상과 함께 그림)

4. 2. 7. 북유럽사

4. 2. 8. 이탈리아사


  • 바르바로사: 제국의 야망(프리드리히 1세의 침공과 싸우는 롬바르디아 동맹의 알베르토 다 주사노를 그림)
  • 브라더 선, 시스터 문(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젊은 날을 그림)
  • 화려한 정열(미켈란젤로가 주인공)
  • 볼지아가의 독약(루크레치아 보르자의 생애를 그림)
  • 카라바조(16~17세기 화가 카라바조의 생애를 그림)
  • 산고양이(19세기 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대의 귀족의 몰락을 그림)
  • 여름의 폭풍(1866년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배경)
  • 1900년(20세기 초두 ~ 제2차 세계 대전 종결까지의 이탈리아 사회를 그림)
  • 푸치니의 애인(푸치니의 아내가 애인이라는 의혹을 받은 하녀가 자살한 도리아 만프레디 사건을 그림)
  • 사랑의 승리를 무솔리니를 사랑한 여자(무솔리니의 아이를 낳은 이다 달세르의 생애를 그림)
  • 블랙 셔츠/독재자 무솔리니를 노려라!(제2차 세계 대전 말기, 파르티잔에게 쫓기는 무솔리니의 마지막 날들을 그림)
  • 시칠리아의 검은 안개(제2차 세계 대전 중부터 종전 후 시칠리아 섬에서 활동한 산적 살바토레 줄리아노 암살의 수수께끼를 그림)
  • 검은 사막(ENI 총수 엔리코 마테이의 생애를 그림)
  • 폰타나 광장 이탈리아의 음모(1969년 폰타나 광장 폭탄 테러 사건을 그림)
  • 일 디보(1970~90년대에 이탈리아 총리를 역임하고 수많은 범죄를 저지른 줄리오 안드레오티가 주인공)

4. 2. 9. 스페인 · 포르투갈사


  • 논, 혹은 지배의 헛된 영광 (기원전 2세기~16세기 후반의 각 시대의 포르투갈의 역사를 그림)
  • 엘 시드 (레콩키스타와 엘 시드의 생애를 그림)
  • 불타는 안달루시아 (12세기의 철학자 이븐 루시드를 그림)
  • 후아나 여왕 (대항해 시대의 여왕 후아나의 생애를 그림)
  • 알라트리스테 (1568년-1648년의 80년 전쟁과 1618년-1648년의 30년 전쟁에서의 로크루아 전투를 그림)
  • 고야, 유령의 초상 (화가 프란시스코 데 고야의 시선을 통해 종교 재판을 그림)
  • 나비의 혀 (1936년-1939년의 스페인 내전을 그림)
  • 살바도르의 아침 (1970년대 스페인의 반체제 활동가 살바도르 푸치 안티크를 그림)

4. 2. 10. 동유럽사


  • 보흐단 흐멜니츠키 (17세기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흐멜니츠키 봉기를 그린 영화)
  • 약탈의 땅 (17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불가리아에서 벌어진 종교 탄압을 소재로 한 영화)
  • 양철북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시대. 무대가 되는 단치히는 현재 폴란드령 그단스크)
  • 카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에서 일어난 카틴 숲 학살 사건을 그린 영화)
  • 결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에서 일어난 예드바브네 학살 사건 등 유대인 학살 사건을 그린 영화)
  • 네레트바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에서 벌어진 네레트바 전투를 그린 영화)
  • 위닝 티켓 - 머나먼 부다페스트 - (헝가리 봉기를 배경으로 한 휴먼 드라마)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프라하의 봄과 체코 사건을 배경으로 한 멜로 영화)
  • 바웬사, 희망의 인간 (폴란드의 '연대' 지도자 바웬사를 주인공으로 1970년부터 1989년까지의 폴란드 민주화 운동을 그린 영화)

4. 2. 11. 러시아사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13세기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추드 호 전투를 묘사)
  • 오르다: 황금 군단의 마법사(14세기 킵차크 칸국의 칸 지위를 둘러싼 암투와 성 알렉세이의 고난을 묘사)
  • 이반 뇌제(15세기의 차르이반 4세를 묘사)
  • 안드레이 루블료프(15세기의 성상 화가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생애를 묘사)
  • 연애 소설(예카테리나 2세의 일생을 묘사)
  • 전쟁과 평화(나폴레옹 전쟁 시기의 러시아를 묘사)
  • 전함 포템킨(1905년에 일어난 전함 포템킨의 반란을 바탕으로 제작)
  •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로마노프 왕조의 비극을 영화화)
  • 10월(1917년 3월부터 11월까지의 러시아 혁명을 묘사)
  • 태양에 탄(스탈린에 의한 대숙청 시대를 배경으로 함)
  • 영화 기술자는 보고 있었다(스탈린을 섬긴 영화 기술자 알렉산드르 간신을 모델로 한 스탈린 독재 시대를 묘사한 영화)
  • 가가린 세계를 바꾼 108분(세계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을 달성한 유리 가가린을 묘사)

4. 3. 아메리카

4. 3. 1. 앵글로 아메리카사


  • 뉴 월드 (포카혼타스)
  • 크루시블 (1692년에 일어난 세일럼 마녀 재판을 그림)
  • 패트리어트 (미국 독립 전쟁을 그린다)
  • 국가의 탄생 (노예 반란을 일으킨 흑인 노예 냇 터너)
  • 알라모 (알라모 전투를 그린다)
  • 아미스타드 (아미스타드호 사건을 그린다)
  • 노예 12년 (1841년 워싱턴 D.C.에서 납치되어 노예로 팔린 자유 흑인솔로몬 노섭)
  • 해리엇 (도망 노예에서 노예 해방 운동가가 된 흑인 여성 해리엇 터브먼)
  • 7인의 무법자 (흑인 노예 해방을 목적으로 무장 봉기를 일으킨 백인 존 브라운)
  • 글로리 (남북 전쟁 중 북군에서 결성된 최초의 흑인 연대를 무대로, 지도자인 백인 대령과 흑인 지원병의 교류를 그린다)
  • 갱스 오브 뉴욕 (19세기 뉴욕 시내 슬럼가의 갱 간 항쟁, 뉴욕 징병 폭동을 그린다)
  •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이 암살되기까지 최후의 4개월을 그린다)
  • 늑대와 함께 춤을 (남북 전쟁 시기, 다코타 요새의 백인 병사와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교류를 그린다)
  • 솔저 블루 (샌드크리크 학살을 그린다)
  • 브로큰 애로우 (아파치 족 족장 코치스/Cochise영어와 우정을 쌓은 백인 톰 제퍼즈/Tom Jeffords영어를 그린다)
  • 작은 거인 (리틀 빅혼 전투를 그린다)
  • 제러니모 (아파치 족의 군사 저항 운동의 전사 제러니모)
  • 굿모닝 바빌론! (그리피스 감독의 영화 「관용」(1916년)의 제작을 그린다)
  • 레즈 (러시아 혁명의 르포 "세계를 뒤흔든 10일"을 저술한 미국인 저널리스트 존 리드의 생애를 그린다)
  • 사형대의 멜로디 (1920년에 일어난 억울한 사건 "사코와 반제티 사건"을 그린다)
  • 언터처블 (금주법 시대, 알 카포네)
  • 줄리아 (릴리언 헬먼의 회고록을 영화화. 제2차 세계 대전 전야, 독일에서 반나치 운동을 하는 친구 줄리아와의 우정을 그린다)
  • 사랑과 슬픔의 아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계 미국인이 매너자 수용소에 갇힌 실화를 그린다)
  • 아버지의 깃발 (이오지마의 성조기의 피사체가 된 병사들의 그 후 등을 그린다)
  • 오펜하이머 (원자 폭탄 개발 계획 「맨해튼 계획」을 주도하고, 전후에는 수소 폭탄 개발을 반대하여 매카시즘의 표적이 된 로버트 오펜하이머)
  • 굿 나잇 앤 굿 럭 (매카시즘에 맞선 뉴스 캐스터 에드워드 R. 머로와 CBS의 프로그램 스태프를 그린다)
  • 13 데이즈 (쿠바 미사일 위기를 그린다)
  • 카포티 (1959년에 일어난 살인 사건을 바탕으로 작가 커포티가 "냉혈"을 쓰기까지를 그린다)
  • JFK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을 그린다)
  • 미시시피 버닝 (1964년 미시시피 주에서 시민 운동가 행방 불명 사건부터, 당시 미국 남부에서의 흑인 차별의 실태를 그린다)
  • 말콤 X (흑인 해방 운동 지도자 말콤 X의 생애를 그린다)
  • 글로리/셀마 (킹 목사 등에 의한 1965년의 "셀마 행진"을 그린다)
  • 팬서 (흑인 해방의 정치 조직 블랙 팬서 당의 결성을 그린다)
  • 우드스톡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이 무대)
  • 도어스 (60년대 말에 활동한 도어스의 보컬 짐 모리슨의 생애를 그린다)
  • 아폴로 13 (아폴로 13호의 사고를 그린다)
  • 닉슨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반생을 그린다)
  • 아르고 (1979년부터 1980년에 걸쳐 발생한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을 그린다)
  • 프론트 러너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게리 하트 (정치가)/Gary Hart영어가 여성 스캔들로 철수하기까지를 그린다)
  • 부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반생을 그린다)

4. 3. 2. 라틴 아메리카사


  • 1492 콜럼버스(15세기 말 ~ 16세기의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항해와 그 후의 식민지 경영을 그린다)
  • 아포칼립토(마야 문명의 인신 공희)
  • 미션(18세기 중엽의 파라나 강 상류 유역이 무대)
  • 리버레이터: 남미 해방자 시몬 볼리바르(19세기 초, 남미 제국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으로 이끈 시몬 볼리바르의 일생을 그린다)
  • 워커(19세기 니카라과의 독재자가 된 미국인 윌리엄 워커의 생애를 그린 영화)
  • 혁명아 사파타(멕시코 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인 에밀리아노 사파타의 생애를 그린 영화)
  • 싸우는 판초 비야(멕시코 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인 판초 비야가 주인공)
  • 에비타(아르헨티나 대통령 부인 에바 페론의 생애를 그린 영화)
  • 더러운 마음(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계 브라질인 사이에서 일어난 승리조, 패배조의 항쟁을 그린 영화)
  •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아르헨티나 출신 혁명가 체 게바라의 젊은 시절 남미 방랑을 그린 영화)
  • 체 2부작(체 게바라가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쿠바 혁명을 완수하기까지, 그리고 볼리비아에서의 혁명 운동으로 죽음에 이르기까지를 그린 영화)
  • 계엄령(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도시 게릴라 투파마로스에 의한 "죽음의 부대"의 공작원 유괴와 처형을 그린 영화)
  • 산티아고에 비가 내린다(1973년 칠레 쿠데타를 그린 영화)
  • 오피셜 스토리(군사 정권 하의 1970년대 아르헨티나의 인권 문제를 그린 영화)
  • 언더 파이어(니카라과 내전을 그린 영화)
  • 살바도르/머나먼 날들(엘살바도르 내전을 그린 영화)
  • 지하의 민(볼리비아 현대사를 산 남자의 생애를 그린 영화)

4. 4. 오세아니아

맨발의 1500마일은 호주에서 백인에 대한 동화 정책이 시행된 "도난 세대"의 원주민의 비극을 그린다. 제2차 세계 대전 전야의 오스트레일리아가 무대인 오스트레일리아가 있다. 씬 레드 라인솔로몬 제도 과달카날에서의 미일전(과달카날 전투)을 그린다.

5. 역사 영화 관련 논쟁

6. 역사 영화의 미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