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셰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셰르는 이란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페르시아 만 함대 본부로 건설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엘람 시대부터 거주가 시작되었으며, 네스토리우스파의 거점으로도 사용되었다. 18세기에는 영국 동인도 회사와 영국 해군 기지가 주둔했고, 19세기에는 페르시아의 중요한 상업 항구로 발전했으나, 영국-페르시아 전쟁으로 영국군에 점령되었다. 현재는 이란 해군 기지가 있으며, 어업과 열전력 발전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부셰르 원자력 발전소는 국제적인 논란의 중심에 있으며, 2011년부터 전력 생산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항구 도시 - 차바하르
차바하르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한 온화한 기후의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무역항으로 기능했으며 현대에는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인도와 협력하여 중앙아시아 및 아프가니스탄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다. - 이란의 항구 도시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페르시아만의 항구 도시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페르시아만의 항구 도시 - 쿠웨이트시티
쿠웨이트시티는 쿠웨이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석유 산업과 금융 시장을 기반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아랍 문화와 현대적인 도시 풍경이 공존하는 곳이다. - 셀레우코스 제국의 식민지 - 안타키아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에 위치한 안타키아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이자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중심지였으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며 지진 피해 복구를 노력 중이다. - 셀레우코스 제국의 식민지 - 아다나
아다나는 8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튀르키예 남부의 고대 도시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이며, 풍부한 역사 유적과 문화를 간직한 관광 명소이다.
부셰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부셰르 |
로마자 표기 | Būshehr |
기타 명칭 | 아부셰르 아부쉐르 반다르 아부 셰르 부셰르 부시르 부세르 부샤르 |
별칭 | 반다르 부셰르, 반다르-에-부셰르 |
위치 | 이란 부셰르주 부셰르군 |
시장 | 호세인 헤이다리 |
기후 | 반건조 기후(BSh) |
고도 | 18m |
행정 구역 | |
국가 | 이란 |
주 | 부셰르주 |
군 | 부셰르군 |
구 | 중앙구 (부셰르군) |
인구 | |
2016년 총 인구 | 223504 명 |
광역 도시권 인구 | 398581 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이란 표준시(IRST) |
UTC 오프셋 | +3:30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공식 웹사이트 (페르시아어) |
2. 역사
부셰르는 고대 엘람 문명 시기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곳으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세력이 확장되던 거점이기도 했다. 1736년 아프샤르 왕조의 나디르 샤에 의해 건설되기 전에는 레이샤풀이라고 불렸다. 19세기에는 무역항으로 중요했지만, 영국-페르시아 전쟁으로 영국군에 점령되기도 하였다.
2. 1. 고대 및 중세
기원전 3000년경 이 곳 남쪽에 엘람인들이 처음으로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5세기에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세력의 확장 거점이었다. 고대 그리스 문헌에는 네아르코스(기원전 300년 사망)의 원정 이후부터 알려졌던 도시 메삼브리아로 등장하며, 이는 레이샤르와 동일 지역으로 추정된다.[4]2. 2. 근세
1734년, 아프샤르 왕조의 나디르 샤가 부셰르를 페르시아 만 함대의 본부로 건설하면서 도시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3] 1737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이곳에 무역 사무소를 설치했으나, 1753년에 철수했다.[3] 1763년 잔드 왕조의 카림 칸이 영국 동인도 회사에 기지와 무역 사무소 설치 권한을 부여했다.[5] 18세기 말에는 영국 해군 기지가 설치되었다.[5]2. 3. 근현대
19세기에 부셰르는 페르시아의 중요한 상업항으로 발전했지만, 영국-페르시아 전쟁(1856년-1857년) 때 영국군에 점령되었고 1856년 11월 9일에 항복했다.1915년에는 독일의 점령 시도를 막기 위해 영국군이 다시 점령했다. 현재 부셰르에는 이란 해군 기지가 있다.
20세기 이전에 부셰르에는 아프리카계 주민들이 많이 거주했다. 이들의 문화적 영향은 남아있지만, 언어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는다.[2]
3. 인구
2016년 인구 조사 결과 부셰르의 인구는 63,820가구에 223,504명이었다.[7] 2011년에는 52,204가구에 195,222명,[6] 2006년에는 25,158가구에 161,674명이었다.[5]
언어 | 비율 |
---|---|
혼합 | 50% |
부셰리 방언 | 25% |
테헤란 페르시아어 | 15% |
아랍어 | 2.23% |
코로시 발루치 방언 | 0.05% |
4. 기후
부셰르는 열대 반건조 기후(쾨펜: ''BSh'')를 보이며, 강수 패턴은 지중해성 기후와 유사하지만, 요구되는 강수량 측면에서 고온 기후의 기준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이러한 기후로 분류되기에는 너무 덥고 건조한 기간이 너무 길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0°C | 32°C | 38°C | 42.5°C | 47°C | 48.6°C | 50°C | 47°C | 46°C | 41°C | 34.5°C | 32°C | 50°C |
평균 최고 기온 (°C) | 18.6°C | 20.2°C | 24.2°C | 29.6°C | 34.5°C | 36.4°C | 37.8°C | 38.1°C | 36.6°C | 32.9°C | 26.6°C | 21°C | 29.7°C |
평균 기온 (°C) | 14.5°C | 15.8°C | 19.3°C | 24.3°C | 29°C | 31.4°C | 33.1°C | 33.3°C | 30.8°C | 26.9°C | 21.3°C | 16.5°C | 24.7°C |
평균 최저 기온 (°C) | 10.3°C | 11.4°C | 14.4°C | 18.9°C | 23.6°C | 26.3°C | 28.4°C | 28.4°C | 25.1°C | 20.9°C | 16°C | 12°C | 19.6°C |
최저 기온 기록 (°C) | -1°C | 2.5°C | 5°C | 8°C | 14°C | 18°C | 21°C | 22°C | 17°C | 12°C | 5°C | 2°C | -1°C |
강수량 (mm) | 78.5mm | 31.8mm | 22.4mm | 8.6mm | 2.6mm | 0mm | 0mm | 0.3mm | 0mm | 5.7mm | 39.4mm | 78.7mm | 268mm |
평균 강수일수 (≥ 1mm) | 5.9 | 3.4 | 3.1 | 1.7 | 0.4 | 0.0 | 0.0 | 0.0 | 0.0 | 0.5 | 2.7 | 5.3 | 22.0 |
평균 상대 습도 (%) | 75 | 72 | 66 | 60 | 56 | 58 | 61 | 65 | 65 | 66 | 66 | 73 | 65 |
평균 일조 시간 | 199.1 | 195.4 | 217.4 | 232.0 | 292.5 | 329.7 | 314.0 | 320.9 | 293.8 | 279.0 | 227.3 | 193.5 | 3094.6 |
5. 산업
주요 산업은 어업과 열전력 발전이며, 내륙 지역에서는 쉬라 포도 재배, 금속 가공, 융단을 비롯한 방직, 시멘트, 비료 생산 등이 이루어진다.[1]
6. 교통
부셰르 공항이 도시의 항공 교통을 담당한다.
7. 교육
페르시아만 대학교, 부셰르 의과대학교, 이스라믹 자유 대학교 부셰르 캠퍼스, 이란 원자력 에너지 대학교 등이 있다.
8. 부셰르 원자력 발전소
부셰르 원자력 발전소는 이란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로, 이란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건설되었다. 부셰르에서 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1975년 서독의 지멘스가 건설을 시작했으나, 이란 혁명과 이란-이라크 전쟁 등으로 중단되었다가 1995년 러시아와의 계약을 통해 재개되었다.
8. 1. 건설 과정
1975년 이란 정부와 서독 정부는 400억달러에서 600억달러를 투입하여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이에 따라 서독의 지멘스가 원자로 2기를 건설하기 시작했다.그러나 1979년 1월 이란 이슬람 혁명이 발생하면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은 중단되었다. 당시 원자로 1기는 50%, 다른 원자로 1기는 85% 정도 완성된 상태였다. 지멘스는 이란 정부가 4.5억달러 상당의 부채를 지불하지 않았고, 전체 계약 금액 중 25억달러만 받았다고 주장하며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했다. 이란 정부는 지멘스에 건설 재개를 요구했지만, 지멘스는 이를 거부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란-이라크 전쟁 중이던 1985년 2월부터 1988년까지 이라크 공군의 공습을 받아 원자로 시설이 크게 파괴되었다.
1995년, 이란과 러시아는 7억달러에서 12억달러 규모의 경수로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재개했다. 이 계약에 따라 이란은 사용이 끝난 핵연료봉을 러시아에 반환하여 재처리하는 조건으로 러시아로부터 핵연료봉을 공급받게 되었다.
8. 2. 국제적 논란
부셰르 원자력 발전소는 이란 핵 개발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논란의 중심에 있다. 특히 미국은 이란이 부셰르 원전을 통해 핵무기를 개발할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17]2004년 8월, 미국의 군비 담당 고위 관리였던 존 볼턴 국무차관은 "이란이 3년 안에 핵무기를 소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7] 미국은 이란이 핵연료봉 재처리를 통해 플루토늄을 추출하여 핵무기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8. 3. 운영 현황
부셰르 원자력 발전소는 이란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건설되어 2011년 9월 3일부터 이란 국가 전력망에 전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15] 1975년 서독의 지멘스가 건설을 시작했으나, 이란 혁명과 이란-이라크 전쟁 등으로 중단되었다가 1995년 러시아와의 계약을 통해 재개되었다. 이 계약은 사용 후 핵연료봉을 러시아에 반환하여 재처리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2011년 9월 12일에 공식적으로 가동을 시작했다.참조
[1]
지도
Bushehr, Bushehr County
https://www.openstre[...]
2024-08-25
[2]
Geonet
[3]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Bushehr province centered on Bushehr city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 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24
[4]
웹사이트
Language distribution: Bushehr Province
http://iranatlas.net[...]
2023-01-31
[5]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Bushehr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6]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Bushehr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7]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Bushehr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8]
웹사이트
Highest record temperature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9]
웹사이트
Average Maximum temperature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10]
웹사이트
Monthly Total Precipitation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11]
웹사이트
Average relative humidity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12]
웹사이트
No. Of days with precipit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1 mm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13]
웹사이트
Monthly total sunshine hours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14]
웹사이트
Bushehr - Iran Nuclear Reactor
http://www.globalsec[...]
[15]
뉴스
Iranian nuclear power station 'begins generating electricity'
https://www.theguard[...]
2011-09-04
[16]
웹사이트
http://www.mongabay.[...]
[17]
웹사이트
https://www.washingt[...]
[18]
웹인용
Highest record temperature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19]
웹인용
Average Maximum temperature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20]
웹인용
Monthly Total Precipitation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21]
웹인용
Average relative humidity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22]
웹인용
No. Of days with precipit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1 mm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23]
웹인용
Monthly total sunshine hours in Bushehr by Month 1951–2010
http://www.chbmet.ir[...]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5-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