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케팔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애마로, 검은 털과 흰 별 모양의 이마를 가진 사나운 말로 묘사된다. 기원전 344년, 12세의 알렉산드로스는 부케팔로스를 길들였으며, 이후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드로스와 함께 수많은 전투에 참여했다. 부케팔로스는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 기원전 326년에 사망했으며, 알렉산더는 부케팔로스를 기리기 위해 도시를 건설했다.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관련된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케팔로스 | |
---|---|
기본 정보 | |
![]() | |
종 | 말 |
성별 | 수컷 |
출생 | 기원전 355년경 |
사망 | 기원전 326년 6월 (30세) |
사망 장소 | 펜타포타미아, 마케도니아 제국 (현재의 파키스탄) |
매장지 | 부케팔라 |
소유주 | 알렉산드로스 3세 |
이름 정보 | |
다른 이름 | 부케팔라스 |
어원 | + (소머리) |
의미 | 황소 머리 |
활동 정보 | |
직업 | 군마 |
활동 기간 | 기원전 344년 – 기원전 326년 |
2. 부케팔로스 길들이기
플루타르코스의 《플루타르크 영웅전》에 따르면, 기원전 344년 12살[13]의 알렉산드로스가 부케팔로스를 길들인 일화가 전해진다.[14] 테살리아 출신의 말 상인 필로니쿠스는 필리포스 2세에게 부케팔로스를 13달란트에 팔려고 했으나, 아무도 사나운 말을 길들일 수 없어 필리포스 2세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이 말을 길들이지 못하면 말 값을 대신 지불하겠다고 약속하고 부케팔로스를 길들여 보겠다고 나섰다.
알렉산드로스는 부케팔로스에게 부드럽게 다가가 태양 쪽으로 향하게 돌려세웠다. 부케팔로스가 자신의 그림자를 보지 못하게 한 것인데, 이는 그림자가 부케팔로스를 흥분시킨 원인이었기 때문이다. 알렉산드로스는 펄럭이는 망토를 벗고 말 등에 올라타 공터를 한 바퀴 돈 뒤, 부케팔로스를 성공적으로 길들였다.
플루타르코스는 이 사건에 감동한 필리포스 2세가 아들에게 "오 나의 아들아, 네게 맞는 왕국은 너 스스로 찾아라, 마케도니아는 네게 너무 작은 것 같구나."라고 말했다고 전한다.[14]
3. 알렉산드로스와 부케팔로스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애마이자 군마로서, 이수스 전투 등 수많은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와 함께했다.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모자이크 그림을 비롯한 여러 예술 작품들에서 알렉산드로스는 부케팔로스를 탄 모습으로 묘사되곤 한다. 알렉산드로스는 부케팔로스를 자신의 분신처럼 아꼈으며, 이는 그가 영웅으로 숭배한 아킬레우스가 자신의 말들을 각별히 여긴 것과도 연결된다.[6]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 따르면, 부케팔로스는 테살리아의 말 산지인 펠라스기티스산에서 필리포스 2세에게 바쳐졌지만, 사나운 말이라 아무도 길들일 수 없었다. 훗날 알렉산드로스 3세가 되는 젊은 알렉산드로스 왕자는 부케팔로스가 자신의 그림자에 두려워한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아버지와 내기를 하여 말의 시선을 태양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진정시키고 훌륭하게 길들였다.
기원전 326년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부케팔로스는 30세의 나이로 죽음을 맞이했다. 일설에는 노령이나 피로가 아닌, 전투 중 입은 치명상으로 사망했다고도 한다.[7] 알렉산드로스는 부케팔로스를 기리기 위해 젤룸 강 서쪽에 알렉산드리아 부케팔로스라는 도시를 건설했다. 현재 파키스탄의 잘랄푸르 샤리프가 부케팔로스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추정된다.[8]
3. 1. 전설
부케팔로스는 큰 검은 말로, 이마의 별(말의 이마에 있는 털 무늬)이 소의 뿔 모양을 하고 있어서 "부케팔로스(황소의 머리)"라고 불렸다. 수말이었다고 전해지지만, 암말이었다는 설도 있다. 또한 전설에서는 별이 아니라 뿔이 있었다고도 한다. 가짜 칼리스테네스의 『마케도니아인 알렉산드로스의 생애』 계통 전설은 Man-eater|맨이터영어 즉, 인육을 먹는 말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알렉산드로스 로망스에 따르면, 부케팔로스는 사람을 먹으며, 부케팔로스를 길들일 수 있다면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고 신탁되었다고 한다.[3] 알렉산드로스는 부케팔로스와 함께 4두 전차로 고대 올림픽에 출전하여, 알렉산드로스를 모욕하고 도전해 온 니콜라오스를 쳐 죽이고 우승했다고 전해진다.[3] 시리아어 계통 전설에서는 알렉산드로스가 죽었을 때 부케팔로스는 30세였다고 한다.[3]
마르코 폴로가 구술하고 루스티켈로 다 피사가 저술한 『동방견문록』을 헨리 율이 1871년에 영어로 번역한 The Travels of Marco Polo|더 트래블 오브 마르코 폴로영어 1권 29장에는 바라샨국(현재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 주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기록이 있다. 『동방견문록』의 영어 번역본 외의 이탈리아어·프랑스어 번역본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및 다리우스 3세의 딸. 이탈리아어·영문판)의 자손이라고 기술된 말은 발이 빠르며, 편자 없이 산을 달린다고 한다. 다만, 부케팔로스나 그 전설에 대한 기술은 없다.[4] 그곳에 과거 부케팔로스의 자손으로 여겨지는 외뿔 말을 국왕의 백부가 사육하고 있었지만, 국왕에게 넘겨주지 않았기 때문에 살해당했고, 백모는 이를 원망하여 해당 말들을 모두 죽였다는 기술이 있다.[4]
4. 예술 작품 속 부케팔로스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관련된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자주 등장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가 | 작품명 및 설명 |
---|---|
존 스틸 | 조각상, 알렉산더가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는 모습 |
도메니코 마리아 카누티 | 17세기 작품, 알렉산드로스와 부케팔로스 |
벤자민 로버트 헤이든 |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는 알렉산드로스, 1826년 작 |
(미상) |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 폼페이 유적에서 발견된 이수스 전투에서 전투 중인 알렉산드로스와 부케팔로스 묘사 |
프란체스코 프리마티초 | 프레스코화, 알렉산드로스,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다 (16세기 중반) |
(미상) | 1696년 목판화 삽화, 알렉산드로스 왕자가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는 모습 |
샤를르 르브룅 | 상아 부조 「가우가멜라 전투」(18세기, 부분). 중앙에 부케팔로스를 타고 싸우는 알렉산드로스 3세 묘사. 스페인 마드리드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 |
(미상) | 18세기 후반 자기 작품, 부케팔로스를 탄 알렉산드로스 3세가 적의 왕과 싸우는 장면 |
앙드레 카스테냐 | 그림, 부케팔로스의 굴복 (1898-1899년). 알렉산드로스 왕자가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는 모습 묘사. |
프랑수아 솜머 | 소묘, 부케팔로스의 굴복 (19세기). 알렉산드로스 왕자가 부케팔로스를 길들이는 모습 묘사. |
참조
[1]
뉴스
The Bucephalus
https://www.worldhis[...]
2011-10-06
[2]
서적
Byzantium and Renaissances. Dialogue of Cultures, Heritage of Antiquity, Tradition and Modernity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Warsaw Press
2012
[3]
문서
The primary (actually secondary) accounts are two: [[Plutarch]]'s ''Life of Alexander'', 6, and [[Arrian]]'s ''[[Anabasis Alexandri]]'' V.19.
[4]
문서
"{{cite Plutarch|Alexander|6}}"
[5]
문서
Anderson 1930:3 and 17ff.
[6]
문서
Homer, ''The Iliad'', Book XXIII.
[7]
문서
Rolf Winkes, "Boukephalas", ''Miscellanea Mediterranea'' (''Archaeologia Transatlantica XVIII'') Providence [[2000 in literature|2000]], pp. 101–107.
[8]
문서
"[[Michael Wood (historian)|Michael Wood]], \"In the footsteps of Alexander the Great\"."
[9]
문서
Andrew Runni Anderson, "Bucephalas and His Legend"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51'''.1 (1930:1–21).
[10]
문서
"{{Cite wikisource|title=The Travels of Marco Polo/Book 1/Chapter 29|author=The Travels of Marco Polo|wslanguage=en}}"
[11]
문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페가소스]], 나무로 만들어진 [[트로이 목마]], 로마 황제 [[칼리굴라]]가 가장 아끼는 말인 [[인키타투스]] 제외
[12]
문서
The primary (actually secondary) accounts are two: [[Plutarch]]'s ''Life of Alexander'', 6, and [[Arrian]]'s ''[[Anabasis Alexandri]]'' V.19.
[13]
문서
13살이라는 설도 있다.
[14]
문서
"[[Arthur Hugh Clough]] (editor), [[John Dryden]] (translator), ''Plutarch's 'Lives''', vol. II, [[Modern Library]], [[2001 in literature|2001]]. {{ISBN|0-375-75677-9}}"
[15]
문서
Rolf Winkes, "Boukephalas", ''Miscellanea Mediterranea'' (''Archaeologia Transatlantica XVIII'') Providence [[2000 in literature|2000]], pp. 101–107.
[16]
문서
"[[Michael Wood (historian)|Michael Wood]], \"In the footsteps of Alexander the Great\"."
[17]
문서
Andrew Runni Anderson, "Bucephalas and His Legend"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51'''.1 (193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