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토는 수렵 시대부터 시작되어 고대, 중세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 의류이다. 고대 로마의 토가, 비잔틴 시대의 파르다먼트움과 같은 단순한 형태에서 르네상스 시대의 권위를 상징하는 화려한 장식의 망토로 발전했다. 산업혁명 이후 오버코트의 등장으로 쇠퇴했지만, 예복용 오페라 케이프 등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가톨릭 성직자의 페라욜로, 아즈텍 귀족의 틸마틀리 등 특정 계급이나 직업을 나타내는 상징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숄, 케이프 형태로 남아있다. 망토는 또한 슈퍼히어로, 마법사 등 창작물 속 캐릭터의 개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트 - 더스터
    더스터는 자동차 여행 시대에 먼지로부터 옷을 보호하기 위해 입던 헐렁한 긴 코트였으나, 자동차 기술 발전으로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후 대중문화의 상징이 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코트 - 파카
    파카는 북극 원주민의 전통 의복에서 유래한 방수·방풍 기능의 방한 의류로, 다양한 소재와 충전재를 사용하며 군용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발전하여 아노락, 팔카 등 유사한 명칭으로도 불린다.
망토
개요
인버네스 케이프, 스코틀랜드 고지대 복장에서 흔함
인버네스 케이프, 스코틀랜드 고지대 복장에서 흔함.
종류외투
정의
설명소매가 없는 겉옷으로, 길이는 다양하며 코트에 부착되기도 함.

2. 역사

망토의 역사는 오래되었다. 그 시초는 인간이 수렵을 하고 가죽을 벗겨 모피 등을 방한도구로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 망토와 같은 의복은 세계 각지에 퍼져있다. 여기서는 유럽 지역의 망토 역사를 다룬다. 망토의 최초 사용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알려진 초기 사용 예로는 고대 로마 군복이 있다.[2]

이후 망토는 특히 후드와 결합된 샤페롱 형태로 중세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망토는 19세기 유럽에서처럼 여러 시대에 걸쳐 유행을 반복했다. 가톨릭 성직자들은 의식에 사용하지 않는 공식 행사에서 페라욜로라는 종류의 망토를 착용한다.[3] 캐스케이드는 망토 형태의 예복이다. 망토는 정교한 자수로 장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프랑스를 비롯한 여러 군대와 경찰 부대에서 망토는 우비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3] 가스 망토는 20세기 전쟁에서 사용된 부피가 큰 방독면을 착용한 사람에게 방수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부피가 큰 군복이었다.[3]

아즈텍 제국의 부유한 귀족과 정예 전사들은 상위 계급의 상징으로 사용된 틸마틀리라는 메소아메리카식 망토를 착용했다. 아즈텍에게는 옷감과 의복이 매우 중요했으며, 더욱 정교하고 화려한 틸마틀리는 고위 사제, 황제, 독수리 전사, 재규어 전사 등 엘리트 계급에게만 허용되었다.[3]

2. 1. 고대와 중세

인간이 실을 만들고, 직물을 직조해서 천을 생산하며 다양한 복식이 등장하였다. 그리스고대 로마에서 입었던 히마티온이나 파르라 등 네모 옷감을 몸에 감는 단순한 형태부터 토가처럼 어느 정도 재단옷감을 몸에 감은 형태도 있었다. 동로마 제국이었던 비잔틴 시대에 반원형 또는 사다리꼴로 옷감을 재단해 어깨에 걸쳐 반대쪽 어깨는 비워두는 망토가 등장했다. 특히 유명한 망토는 이탈리아 라베나의 산비탈레 성당모자이크화에 묘사된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그 황후 테오도라의 모습이다.[2] 두 사람이 입은 옷은 파르다먼트움이라 하는 망토로 보라색 천을 기본으로 했다. 그 망토 옷깃 주위는 보석을 달고, 옷자락 주위는 금사로 화려한 자수를 놓았다.

중세부터 르네상스에 걸쳐 망토는 당시 복식에 매우 중요했다. 특히 지배층에게 망토는 권위를 상징하였다. 더욱 길고, 더욱 화려한 장식을 달았다. 복식 형태는 주로 반원형이며 양어깨를 덮으며 걸쳐 입었다. 가슴 부위에 브로치을 달았다. 머리부터 걸쳐 입고 가슴 팍으로 두거나, 그대로 휩싸거나, 다른 한쪽의 어깨를 드러내고 몸에 감는 등 다채로운 방식으로 입었다. 르네상스기에 그려진 성모 마리아의 모습에서 당시 여성의 망토 착용 방법을 볼 수 있다.

2. 2. 근대

산업혁명 이후, 여러 가지 이름을 붙인 망토가 나왔다. 니스데일(Nithsdale영어)은 후드가 달린 긴 망토인데, 니스데일 백작 부인(en)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런던 탑에 갇힌 남편을 탈출시키기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네모진 옷감 윗부분에 개더를 대고 끈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드를 붙인 킨세일 클록(Kinsale cloak영어) 등도 남아 있다.[2]

소매가 달린 오버코트의 등장으로 망토는 보기 힘들어졌지만, 예장용으로는 오페라 케이프를 볼 수 있다. 오페라 등의 공연을 보러 갈 때 드레스 위에 걸치는 망토인데, 드레스에 따라서는 소매 달린 코트를 입을 수 없기 때문에 이용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케이프가 달린 오버코트가 남성들 사이에서 일반적이었다. 예를 들어, 여러 겹의 케이프가 달린 알스터 코트(Ulster coat)와 예복, 평상복 모두에 사용되었던 인버네스 코트(Inverness coat)가 있다.[10] 알스터 코트는 1920년대에 케이프가 사라졌고, 인버네스 코트는 현재는 거의 사라졌지만 스팀펑크 패션에서 제한적으로 부활한 적이 있다.

오늘날에는 망토를 보기 어렵지만, 형태나 케이프 형태로 남아있다.

2. 3. 현대

산업혁명 이후, 여러 가지 이름을 붙인 망토가 나왔다. 니스데일(Nithsdale영어)은 후드가 달리고 인화성이 있는 긴 망토인데, 니스데일 백작 부인(en)의 이름에서 따왔다. 니스데일 백작 부인은 이 망토를 사용하여 남편을 런던 탑에서 탈출시켰다. 또, 네모진 옷감 윗부분에 개더를 대고 끈으로 조절할 수 있는 후드를 붙인 킨세일 클록(Kinsale cloak영어) 등도 현재까지 남아 있다.

시간이 더 흐르면서 소매가 달린 오버코트가 등장하여 망토는 보기 힘들어졌지만, 예장용 망토인 오페라 케이프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오페라 케이프는 이름처럼 멋을 내고 오페라 등의 연극을 보러 갈 때 착용하는 망토인데, 안에 입는 드레스에 따라 소매가 있는 코트를 입을 수 없을 때 이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망토를 보기 어렵지만, 형태의 망토나 케이프는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케이프는 중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샤페롱(en:Chaperon (headgear)) (두건의 일종)과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에도 19세기 유럽 등지에서 주기적으로 유행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케이프가 달린 오버코트가 남성들 사이에서 일반적이었다. 예를 들어, 여러 겹의 천으로 된 케이프가 달린 알스터 코트(Ulster coat)와 예복, 평상복 모두에 사용되었던 인버니스 코트(Inverness coat)가 있다.[10] 알스터 코트는 1920년대에 케이프가 사라졌고, 인버니스 코트는 현재는 사라졌지만 (스팀펑크 패션에서 제한적으로 부활한 적이 있다).

3. 용도

패션에서 "망토"는 보통 짧은 옷을, "망토"는 긴 옷을 가리키지만, 때로는 두 용어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어깨 망토는 "'''케이프릿'''(capelet)"이라고도 불린다. 패션 망토는 앞면을 거의 가리지 않는다. 우의로서의 망토는 비를 막기 위해 입는 길고 헐렁한 옷이다.[4]

현대에는 미용실에서 머리 손질 시 옷을 보호하기 위해 케이프가 흔히 사용된다. 머리카락이 옷에 붙는 것을 막고, 염색약 등 화학 물질로부터 옷을 보호한다.[8] 건강검진 시 불필요한 노출을 막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9]

3. 1. 예복 및 의례용

여성이 이브닝드레스와 함께 케이프를 코디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 길이는 어깨까지, 허리까지, 발끝까지 등 다양하다. 짧은 케이프는 모피 또는 모피 장식을 한 것이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모피를 사용한 패션이 용인되지 않고 있으며, 화려한 안감과 장식을 더한 다른 고가의 케이프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자주 사용되는 직물은 벨벳, 실크, 새틴이다. 미국 육군의 예복에서는 트렌치코트 대신 케이프가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4]

3. 2. 직업 및 신분별

영국에서는 슈트를 입을 때 하트 (주로 중절모자)와 망토를 착용하는 것이 정통으로 여겨진다.[11] 망토, 인버네스 코트, 클로크, 로브 등은 예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미의 간호학교나 대학 간호학부 학생들은 대모식 때 망토를 착용한다.[11] 1960년대까지 구미 간호사들은 방한복으로 망토를 착용하기도 했다. 망토 디자인은 표지가 감색, 안감이 빨강인 경우가 많으며, 길이는 무릎 정도부터 발목까지 가릴 만큼 긴 것도 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부터 전후에 걸쳐 구제 중학교, 구제 고등학교, 대학 학생들이 방한복으로 망토를 착용했다. 백선모, 굽이 높은 나막신에 흑망토 차림은 밴 컬러 구제 고교생의 상징이었다. 현재는 학생들이 망토를 착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1980년대 오사카부의 시텐노우지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방한복으로 망토를 채용하기도 했다. 졸업식에 착용되는 대학 예복을 망토라고 부르기도 한다.

포르투갈 대학생들은 신입생 환영 행사나 졸업 축하 행사에서 대학 제복인 슈트 위에 망토를 착용한다.

가톨릭교회 성직자들은 의식 외 공식 행사에서 페라욜로라는 망토를 착용한다.[2] 망토는 프랑스를 비롯한 여러 군대와 경찰 부대에서 우의로 사용된다. 가스 망토는 20세기 전쟁에서 사용된 방독면 착용 병사에게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군복이었다.

아즈텍 제국의 부유한 귀족과 정예 전사들은 상위 계급의 상징으로 틸마틀리라는 메소아메리카식 망토를 착용했다. 정교하고 화려한 틸마틀리는 고위 사제, 황제, 독수리 전사, 재규어 전사 등 엘리트 계급에게만 허용되었다.[3]

정장을 입은 여성들은 망토를 패션 아이템이나 날씨로부터 자신 또는 고급 드레스 원단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짧은 망토는 보통 모피로 만들거나 장식했지만, 현대에는 모피 대신 다른 고급 소재가 사용된다. 벨벳, 실크, 새틴이 주로 사용된다. 망토는 미국 육군 장교 정복에서 트렌치코트 대신 허용된다.[4]

3. 3. 보호용

구미의 간호학교나 대학 간호학부 학생이 대모식 때에 망토를 착용하는 일이 있다.[11] 1960년대까지 구미의 간호사들이 방한복으로 착용하기도 했다. 망토의 디자인은 표지가 감색, 안감이 빨강인 경우가 많다. 길이는 무릎 정도 오는 것부터 발목 (복사뼈)까지 가릴 만큼 긴 것도 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부터 전후에 걸쳐, 구제 중학교나 구제 고등학교, 대학학생이 방한복으로 착용하기도 했다. 백선모, 굽이 높은 나막신에 흑망토 차림은 밴 컬러 구제 고교생의 상징으로 여겨져 구제 고등학교의 기념상 등에서 볼 수 있다. 현재는 학생이 망토를 착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1980년대의 한 시기에 오사카부의 시텐노우지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방한복으로 채용되기도 했다. 졸업식에 착용되는 대학 예복을 망토라고 부르기도 한다.

포르투갈의 대학생들은 신입생 환영 행사나 졸업 축하 행사에서 대학 제복인 슈트 위에 망토를 착용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케이프(cape)가 미용실에서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 시 의류를 보호하는 용도로 흔히 사용된다. 머리카락이 잘리는 것을 막고, 스타일링에 사용되는 화학 물질로부터 옷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8] 또한, 건강검진 시 불필요한 노출을 피하기 위해 케이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9]

4. 종류

망토는 형태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형태별로는 이브닝 케이프, 인버네스 케이프, 오페라 케이프, 서큘러 케이프, 탈마, 트라이앵글 케이프, 팔라틴, 펠리린 등이 있다. 용도별로는 패션 망토, 우의, 미용실 케이프 등이 있다.

4. 1. 형태별

이브닝 케이프는 여성 정장 위에 걸치는 케이프로, 이브닝 파티에 입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인버네스 케이프는 스코틀랜드의 케이프로, 인버네스 코트와 함께 입는다. 코트와 케이프를 함께 입는 것을 이중으로 겹쳐 입는다고도 한다.[5] 오페라 케이프는 여성 정장 위에 걸치는 케이프로, 오페라 관람에 입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서큘러 케이프는 원형 천의 중앙을 오려낸 케이프이다. 탈마는 19세기에 남녀 모두 사용했던 어깨걸이로, 프랑스 배우 프랑수아 조제프 탈마에서 유래하였다. 트라이앵글 케이프는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천의 모서리를 등 뒤로 늘어뜨린 케이프이다. 팔라틴은 레이스(원래는 모피)로 만든 여성용 작은 어깨걸이로, 17세기 독일의 팔라틴 공녀에서 유래하였다. 펠리린은 여성용 긴 길이의 어깨걸이로, 원래는 순례자(펠리린)가 사용했다.

4. 2. 용도별

패션에서 "망토"는 보통 짧은 옷을, "망토"는 긴 옷을 가리키지만, 두 용어는 때때로 긴 덮개에 대해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어깨 망토는 '''케이프릿'''(capelet)이라고도 불린다. 패션 망토는 앞면을 거의 가리지 않는다. 우의에서 망토는 비를 막기 위해 입는 길고 헐렁한 보호용 의류이다.

정장을 입은 여성들은 망토를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하거나, 코트가 드레스를 망치거나 가릴 수 있는 경우 날씨나 고급 드레스 원단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망토는 짧은 길이(어깨 위 또는 허리)이거나 긴 망토일 수 있다. 짧은 망토는 보통 모피로 만들거나 장식했지만, 현대에는 모피가 덜 사용되므로 다른 고급 소재가 대체되며, 고급 안감과 트림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단은 벨벳, 실크, 새틴이다. 망토는 미국 육군 장교의 메스 드레스(정장 예복)에서 트렌치코트 대신 사용할 수 있다.[4]

케이프가 달린 오버코트는 빅토리아 시대 남성들에게 인기 있었으며, 일부 케이프가 달린 울스터는 여러 겹의 케이프를 특징으로 했고, 인버네스 코트(정장용 저녁 코트와 평상복)에는 케이프가 있었다.[5] 인버네스 코트는 더 이상 흔하게 입지 않지만 (스팀펑크 패션에서 제한적으로 부활했지만), 울스터는 1920년대에 케이프가 사라졌다.

현대에는 케이프(cape)가 미용실에서 머리 스타일링 서비스 시 의류를 보호하는 용도로 흔히 사용된다. 머리카락이 잘리는 것을 막고, 스타일링에 사용되는 화학 물질로부터 옷을 보호한다.

; 이브닝 케이프

: 여성의 정장 위에 걸치는 케이프. 이브닝 파티에 입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 인버네스 케이프

: 스코틀랜드의 케이프로, 인버네스 코트와 함께 입는다. 코트와 케이프를 함께 입는 것을 이중으로 겹쳐 입는다고도 한다.

; 오페라 케이프

: 여성의 정장 위에 걸치는 케이프. 오페라 관람에 입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 서큘러 케이프

: 원형 천의 중앙을 오려낸 케이프.

; 탈마

: 19세기에 남녀 모두 사용했던 어깨걸이. 프랑스 배우 프랑수아 조제프 탈마에서 유래했다.

; 트라이앵글 케이프

: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천의 모서리를 등 뒤로 늘어뜨린 케이프.

; 팔라틴

: 레이스(원래는 모피)로 만든 여성용 작은 어깨걸이. 17세기 독일의 팔라틴 공녀에서 유래했다.

; 펠리린

: 여성용 긴 길이의 어깨걸이. 원래는 순례자(펠리린)가 사용했다.

4. 3. 기타


  • 이브닝 케이프: 여성 정장 위에 걸치는 케이프로, 이브닝 파티에 입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 인버네스 케이프: 스코틀랜드의 케이프로, 인버네스 코트와 함께 입는다. 코트와 케이프를 함께 입는 것을 이중으로 겹쳐 입는다고도 한다.
  • 오페라 케이프: 여성 정장 위에 걸치는 케이프로, 오페라 관람에 입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 서큘러 케이프: 원형 천의 중앙을 오려낸 케이프이다.
  • 탈마: 19세기에 남녀 모두 사용했던 어깨걸이이다. 프랑스 배우 프랑수아 조제프 탈마에서 유래했다.
  • 트라이앵글 케이프: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천의 모서리를 등 뒤로 늘어뜨린 케이프이다.
  • 팔라틴: 레이스(원래는 모피)로 만든 여성용 작은 어깨걸이이다. 17세기 독일의 팔라틴 공녀에서 유래했다.
  • 펠리린: 여성용 긴 길이의 어깨걸이이다. 원래는 순례자(펠리린)가 사용했다.

5. 창작물에서의 망토

망토는 캐릭터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연출적으로 뛰어난 의상으로서 현대의 창작 작품(공연 예술,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남성이 착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성 캐릭터도 종종 착용한다.

배트맨과 로빈


망토는 미국 만화책 장르의 슈퍼히어로를 상징하는 소품이다.[6] 만화가들은 정지된 이미지에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망토를 자주 사용한다. 슈퍼맨처럼 단순히 의상의 장식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배트맨, 슈라우드, 클록 앤 대거의 망토, 닥터 스트레인지의 망토처럼 활용적인 목적을 가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배트맨은 활강을 하고, 슈라우드는 다크포스 차원으로 이동하며, 클록은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초자연적인 캐릭터인 스폰은 살아있는 공생 의상의 일부인 망토를 가지고 있는데, 이 망토는 스폰의 정신적인 명령에 따라 형태를 바꾸어 공격자를 놀라게 하거나 혼란스럽게 만들거나 심지어 죽이기까지 한다. 반면에 ''커비'' 시리즈의 메타나이트는 날개를 망토로 위장한다. ''왓치맨'', ''인크레더블'',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와 같은 일부 미디어에서는 망토의 잠재적인 치명적인 위험성을 언급하기도 한다.[7]

5. 1. 착용 캐릭터 경향

망토는 캐릭터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연출적으로 뛰어난 의상으로서 현대의 창작 작품(공연 예술,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안에서 수많은 착용예가 있다. 남성이 몸에 걸친 것은 많지만, 여성이라도 좀처럼 볼 수 없을 정도로 희귀한 것은 아니다.[12]

  • 전통적 캐릭터: 국왕이나 귀족·기사 등, 신분이 높은 인간이 몸에 걸친 경우가 많다. 또, 사실상으로는 망토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지역을 무대로 하는 작품에서 그 세계에서 특별한 한 사람 등 연출자측이 특히 캐릭터성을 강조하고 싶은 사람에게, 굳이 망토를 걸쳐 입게 하는 일도 있다.
  • 여행자: 방한벌로서 착용되는 것 외에 판타지 작품에서는, 마법사나 여행자 등의 망토에는 투명화 등 특수한 능력이 주어지는 일이 있다.
  • 괴도: 괴도 루팡 등이 변장하기 위한 소도구로서 사용하는 일이 있다.
  • 마법사: 로브 대신에 착용되는 경우가 많다.
  • 초인: 슈퍼맨이나 배트맨 등의 초인적 히어로가, 기호적 아이템으로서 착용한 일이 있다. 또, 히어로 이외에도 사람의 지혜를 초월한 힘을 가진 캐릭터가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악역 등에서 경우가 많은 캐릭터로서는, 뱀파이어 (그 중에서도 특히 드라큘라를 모티프로 한 고전적인 타입) 등에 착용을 볼 수 있으며, 이중 비행 능력을 가진 캐릭터는 몸을 가리지 않고, 등에 늘어뜨리듯이 착용한 것이 많다. 수퍼꼬마 퍼맨 등을 시작으로 한 일본의 작품에서는, 하늘을 나는 기능을 가진 망토도 많다. 또, 뱀파이어나 악마의 경우, 사악한 정체를 노골적으로 나타냈을 때의 그들의 망토는 박쥐의 날개 주머니 형태의 날개로 바뀌는 일이 많다. 이 외 RPG 등에서 장비품으로서 등장하는 것이 많다.


망토는 미국 만화책 장르의 슈퍼히어로를 상징하는 소품이다.[6] 만화가들은 정지된 이미지에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망토를 자주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 슈퍼맨처럼 단순히 의상의 장식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다른 경우에는, 배트맨, 슈라우드, 클록 앤 대거의 망토, 그리고 닥터 스트레인지의 망토처럼 활용적인 목적을 가진다. 예를 들어, 활강(배트맨), 다크포스 차원으로 이동(슈라우드), 혹은 순간이동 개시(클록) 등이다. 초자연적인 캐릭터인 스폰은 그의 살아있는 공생 의상의 일부인 망토를 가지고 있는데, 이 망토는 스폰의 정신적인 명령에 따라 형태를 바꾸어 공격자를 놀라게 하거나 혼란스럽게 만들거나 심지어 죽이기까지 한다. 반면에 ''커비'' 시리즈의 메타나이트는 그의 날개를 망토로 위장한다. ''왓치맨'', ''인크레더블'',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와 같은 일부 미디어에서는 망토의 잠재적인 치명적인 위험성을 언급한다.[7]

5. 2. 기능적 묘사

망토는 캐릭터의 개성을 강조하는 연출 효과가 뛰어난 의상으로, 현대 창작 작품(공연 예술,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자주 등장한다. 남성이 주로 착용하지만, 여성 캐릭터도 종종 망토를 착용한다.

  • 전통적 캐릭터: 국왕, 귀족, 기사 등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주로 착용한다. 또한, 실제 역사에서는 망토가 없었던 시대나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도, 특별한 인물임을 강조하기 위해 망토를 착용시키기도 한다.
  • 여행자: 방한복으로 착용되며, 판타지 작품에서는 마법사나 여행자 등이 착용하는 망토에 투명화 등 특수한 능력이 부여되기도 한다.[12]
  • 괴도: 괴도 루팡 등이 변장 도구로 사용한다.
  • 마법사: 로브 대신 망토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 초인: 슈퍼맨, 배트맨 등 초인적인 히어로들이 상징적인 아이템으로 착용한다. 히어로 외에도 초인적인 힘을 가진 캐릭터, 특히 뱀파이어(특히 드라큘라를 모티프로 한 고전적인 타입) 같은 악역 캐릭터도 망토를 착용한다. 비행 능력을 가진 캐릭터는 망토를 몸에 두르지 않고 등에 늘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일본 작품에서는 수퍼꼬마 퍼맨처럼 하늘을 나는 기능을 가진 망토도 등장한다. 뱀파이어나 악마의 경우, 악한 본성을 드러낼 때 망토가 박쥐의 날개 주머니 형태의 날개로 변하기도 한다. RPG 등 게임에서 장비품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망토는 미국 만화의 슈퍼히어로를 상징하는 소품이다.[6] 만화가들은 정지된 이미지에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망토를 사용한다. 슈퍼맨처럼 단순한 장식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배트맨의 활강, 슈라우드의 다크포스 차원 이동, 클록의 순간이동처럼 기능적인 목적을 가진 경우도 있다. 초자연적인 캐릭터인 스폰의 망토는 살아있는 공생 의상의 일부로, 스폰의 정신적인 명령에 따라 형태를 바꾸어 공격자를 공격하거나 혼란에 빠뜨리고, 심지어 죽이기도 한다. 반면 ''커비'' 시리즈의 메타나이트는 날개를 망토로 위장한다. ''왓치맨'', ''인크레더블'',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같은 작품에서는 망토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언급하기도 한다.[7] 영화 ''인크레더블''에서 에드나 모드가 망토 착용의 위험성에 대해 연설한 이후 슈퍼히어로 팬덤에서 망토는 덜 유행하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Costume and Fashion: Historic and Modern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3-07-24
[2] 웹사이트 Battles, Batman, and Liberace: A Cultural History of Capes https://www.atlasobs[...] 2024-10-11
[3] 웹사이트 Ancient Aztec clothing http://www.aztec-his[...] 2021-04-18
[4] 웹사이트 This Old Thing? T&C Reviews: The History of Capes https://www.townandc[...] 2024-10-11
[5] 웹사이트 Cloak Line Drawings. Fashion and Costume History 1 http://www.fashion-e[...] Fashion-era.com 2012-04-17
[6] 잡지 Marvel, DC Among Last Bastion for Supersized Paydays https://www.hollywoo[...] 2022-10-27
[7] 웹사이트 Cape Facts – Capes.com https://capes.com/bl[...] 2024-10-11
[8] 웹사이트 Salon Capes http://www.capesbysh[...] 2015-05-10
[9] 웹사이트 【Q&A】学校における児童生徒の健康診断について https://www.city.nag[...] 長岡京市教育委員会 2024-05-25
[10] 웹사이트 Cloak Line Drawings. Fashion and Costume History 1 http://www.fashion-e[...] Fashion-era.com 2012-04-17
[11] 웹인용 「빌어, 그리고 맹세한다」-캠퍼스 라이프 http://www.seibo-c.a[...] 성모 대학 2010-04-18
[12] 문서 델토라 퀘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