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란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란트는 고대 그리스어 '탈란톤'에서 유래된 무게 단위로,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고대 그리스, 로마 등 여러 문명에서 사용되었다. 원래는 금속의 무게를 재는 데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무게가 달랐다. 이후 통화 단위로도 사용되었으며, 특히 고대 그리스에서는 6,000 드라크마에 해당하는 은의 무게를 나타냈다. 신약성경의 '달란트 비유'에서 재능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되면서 'talent'(재능)의 어원이 되었고, 현대에는 개인의 재능이나 능력을 뜻하는 단어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주화 - 세스테르티우스
세스테르티우스는 고대 로마의 화폐 단위로, 은화로 처음 도입된 후 청동화폐로 재도입되어 소액 화폐로 사용되었으나, 후기에는 가치 하락으로 유통이 중단되었으며, 네로 황제 시대의 것은 예술적 가치가 높다. - 고대 로마의 주화 - 데나리우스
데나리우스는 기원전 211년 로마에서 발행된 은화로, 로마 공화정 및 제국 시대의 주요 통화였으며, 성경에도 등장하고 다양한 통화와 언어에 영향을 미쳤다. - 사용하지 않는 단위 - 척관법
척관법은 동아시아에서 길이, 면적, 부피, 질량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전통적인 단위계이며, 일본과 한국에서는 미터법으로 대체되었지만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 사용하지 않는 단위 - 측정 단위
측정 단위는 물리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준으로, 초기에는 인체 치수나 자연 현상을 기준으로 발전했으나 국제단위계(SI)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단위의 통일과 정확한 사용은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 질량의 단위 - 킬로그램
킬로그램은 질량의 SI 단위로, 2019년 5월 20일부터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재정의되어 더 이상 국제 킬로그램 원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 질량의 단위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는 원자 및 분자 질량 측정 단위로, 과거 amu로 불렸으나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을 기준으로 하는 통일 원자 질량 단위(u)로 정의되었고, 현재는 달톤(Da)과 함께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달란트 | |
---|---|
단위 정보 | |
종류 | 질량 단위 |
기원 | 고대 |
역사적 가치 | |
고대 그리스 | 약 26.0 kg에서 60 kg 사이의 다양한 값 |
아티카 | 26.0 kg |
에게해 에우보이아 섬 | 30.2 kg |
이집트 | 27 kg |
바빌로니아 | 30.2 kg |
헤브라이 | 30.2 kg |
성경에서의 언급 | |
구약성경 | 무거운 물건의 무게나 금 또는 은의 가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 |
신약성경 |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 (예: 달란트 비유) |
값 | |
금 | 약 8.5 g |
은 | 약 32.3 kg |
2. 명칭과 어원
달란트는 '저울' 또는 '무게를 재다'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탈란톤(τάλαντον)'에서 유래되었다.[7] 이 단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카카루(kakkaru)'에서 기원했는데,[4][5][6] 이는 '둥근 덩어리'를 의미하는 셈족어 어근 ''KKR''에서 파생된 것으로,[12] 금이나 은의 둥근 덩어리를 가리켰다.[13] 카카루는 히브리어 '키카르(כִּכָּר)',[7] 우가리트어 'kkr',[8] 페니키아어 'kkr',[9] 시리아어 'kakra'[10] 등으로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달란트(kakkaruakk[4][5])는 기원전 4천년 말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6] 기원전 3천년 말 아카드-수메르 시대에 표준화되었다. 1달란트는 60 미나로 나뉘며, 1미나는 다시 60 세겔로 나뉘는 메소포타미아의 육십진법 숫자 체계를 따랐다. 바빌로니아 달란트는 약 30.2kg이었다. 이 무게 단위는 이후 바빌로니아인, 수메르인, 페니키아인을 거쳐 히브리인들에게 계승되었다. 구약성경에는 티레의 히람 왕이 솔로몬 왕에게 금 120달란트를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15]
호메로스 시대에 복수형 단어 τάλανταgrc는 때때로 저울을 의미했으며,[19] 특히 제우스가 인간의 운명을 저울질하는 저울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항상 금의 척도로도 사용되었다.[20]
고대 그리스에서는 '''탈란톤'''(talanton), 고대 로마에서는 '''탈렌툼'''(talentum)이라고 불렸으며, 일본에서는 '''탤런트''' 또는 '''탈란트''' 등으로 표기했다.
원래 달란트는 1 암포라(대략 26 리터) 물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였으나, 시대와 장소에 따라 무게가 달랐다. 시대가 내려오면서 통화 단위로 사용되게 되었고, 고대 그리스에서는 6000 드라크마(은 26 킬로그램)에 해당했다. 또한, 금의 무게 단위로 사용되었으며, "사람의 무게 정도(대략 50킬로그램 정도)"로 여겨지지만, 정확히는 33킬로그램 정도라는 설도 있다.
한국에서는 마태오 복음서의
또한, 이 "달란트의 비유"에서 "그 '능력에 따라' 달란트를 맡겼다"고 여겨지면서, 영어 talent(재능, 능력)의 어원이 되었다.
3. 역사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와의 무역을 통해 달란트 단위를 받아들였다. 호메로스 시대의 달란트는 황소 한 마리의 가치에 해당하는 금의 양으로, 약 8.5g으로 추정된다.[21] 아킬레우스는 달리기 경주에서 황소를 상품으로 걸었는데, 이는 황소 한 마리가 1달란트의 가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22] 아테네를 중심으로 사용된 아티카 달란트는 약 25.8kg에서 26.2kg 사이였으며, 60미나 또는 6,000 드라크마에 해당했다.[23][24][25] 아이기나 섬에서 사용된 아이기나 달란트는 약 37kg으로, 아티카 달란트보다 더 무거웠다.[28][29]
고대 로마에서는 '''탈렌툼'''(talentum)이라고 불렸으며, 고대 그리스의 탈란톤과 마찬가지로 무게와 화폐 단위로 사용되었다.
후기 히브리 고대(서기 500년경)의 달란트(ככר|kikkarhe, 아람어: )는 당시 사용되던 가장 큰 무게 단위였다.[30] 예루살렘 탈무드에 따르면, 모세 시대의 달란트는 로마 시대 달란트의 두 배였으며, 로마 시대 달란트는 100 로마 파운드(만) 또는 60만(maneh)에 해당했다.[30] 제2성전 시대 말기의 표준 달란트는 60만으로 구성되었다.[34][31]
3. 1. 메소포타미아와 고대 근동
달란트(kakkaruakk[4][5])는 기원전 4천년 말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6] 기원전 3천년 말 아카드-수메르 시대에 표준화되었다. 1달란트는 60 미나로 나뉘며, 1미나는 다시 60 세겔로 나뉜다. 이는 메소포타미아의 육십진법 숫자 체계를 따른 것이다. 바빌로니아 달란트는 약 30.2kg이었고, 미나는 약 504g, 세겔은 약 8.4g이었다.
이 무게 단위는 이후 바빌로니아인, 수메르인, 페니키아인을 거쳐 히브리인들에게 계승되었다. 구약성경에는 티레의 히람 왕이 솔로몬 왕에게 금 120달란트를 보냈다는 기록과[15] 성전 촛대(메노라)를 만드는 데 순금 한 달란트가 필요했다는 내용이 있다.[16]
3. 2. 고대 그리스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와의 무역을 통해 달란트 단위를 받아들였다. 호메로스 시대의 달란트는 황소 한 마리의 가치에 해당하는 금의 양으로, 약 8.5g으로 추정된다.[21] 아킬레우스는 달리기 경주에서 두 번째 상품으로 황소를, 세 번째 상품으로 금 반 달란트를 걸었는데, 이는 황소 한 마리가 1달란트의 가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22]
아테네를 중심으로 사용된 아티카 달란트는 약 25.8kg에서 26.2kg 사이였으며, 60미나 또는 6,000 드라크마에 해당했다.[23][24][25] 이는 숙련된 노동자의 9년 치 임금[26] 또는 삼단노선 선원 한 달 치 급여에 해당하는 가치였다.[27]
아이기나 섬에서 사용된 아이기나 달란트는 약 37kg으로, 아티카 달란트보다 더 무거웠다.[28][29]
3. 3. 고대 로마
고대 로마에서는 '''탈렌툼'''(talentum)이라고 불렸으며, 고대 그리스의 탈란톤과 마찬가지로 무게와 화폐 단위로 사용되었다.
3. 4. 후기 히브리 고대
후기 히브리 고대(서기 500년경)의 달란트(ככר|kikkarhe, 아람어: )는 당시 사용되던 가장 큰 무게 단위였다.[30] 예루살렘 탈무드에 따르면, 모세 시대의 달란트는 로마 시대 달란트의 두 배였으며, 로마 시대 달란트는 100 로마 파운드(만) 또는 60만(maneh)에 해당했다.[30] 1만은 25 셀라(sela)의 무게를 가졌다.[31] 각 셀라는 티루스 주화의 성경적 셰켈, 즉 '성소의 셰켈'을 지칭하며, 4개의 지방 데나리우스(denarii) 또는 주즈(zuz)에 해당했다.[31] 25셀라는 100데나리우스와 같다.[31][32][33]
제2성전 시대 말기의 표준 달란트는 60만으로 구성되었다.[34][31] 탈무드 학자들에 따르면 60만의 달란트(총 60만은 1,500셀라 또는 6,000데나리우스와 같으며, 데나리우스는 히브리어로 주즈라고도 한다)[35]는 25셀라당 150 디르함의 무게를 가졌다.[31] 당시 각 디르함의 무게는 3.20그램으로 추정되었으며,[36] 각 셀라 또는 '성소의 셰켈'은 20.16그램이었다. 60만 달란트(또는 1,500셀라)의 총합은 약 28.8kg에 이르렀다.
4. 신약성경에서의 달란트
달란트는 신약성경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예수의 달란트 비유(마태오 복음서 25:14-30)는 주인이 종들에게 각기 다른 액수의 달란트를 맡기고, 그 활용에 따라 상과 벌을 주는 이야기이다.[37] 이 비유에서 달란트는 재능이나 능력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13세기 후반 영어의 'talent'(재능)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38][39] 루가 복음에는 미나와 관련된 다른 비유가 포함되어 있다.[40]
용서받지 못하는 종의 비유에서도 달란트가 등장하는데,[42] 만 달란트의 빚을 탕감받은 종이 백 데나리온의 빚을 진 다른 종을 용서하지 않는 내용이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달란트는 히브리어로 ''미나'' (''마네'')라고 불리며, 무게는 백 데나리온과 같다고 한다.[41]
요한계시록 16장 21절에서는 달란트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큰 우박의 무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사람들에게 하늘로부터 큰 우박이 내려왔는데, 각 돌의 무게가 한 달란트쯤 되었다." (KJV) 다양한 번역본에서 이 무게에 대해 다른 정의를 제공하는데, 신국제역 (NIV)에서는 각주에 "75 또는 100파운드"라고 적혀 있고, 새로운 삶 번역 (NLT)에서는 본문에 "무게가 75파운드나 된다"라고, 영어 표준역 (ESV)에서는 "각각 약 100파운드"라고 적혀 있다.
참조
[1]
문서
auri eborisque talenta
Vergil, ''Aeneid'' 11.333
[2]
서적
Greek and Roman technology
[3]
웹사이트
III. Measures of Weight:
http://www.jewishenc[...]
[4]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Akkadian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5]
웹사이트
Search Entry
http://www.assyrianl[...]
[6]
문서
tribute, load
https://www.assyrian[...]
Biblical Aramaic
[7]
웹사이트
Melachim1 (1 Kings) 9 :: Septuagint (LXX)
https://www.bluelett[...]
2020-07-28
[8]
간행물
Commodity Prices at Ugarit
http://www.jstor.org[...]
1979
[9]
서적
Phoenician-Punic Dictionary
[10]
웹사이트
Search Entry ܟܲܟܪܵܐ
https://www.assyrian[...]
2020-11-22
[11]
서적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https://biblehub.com[...]
[12]
서적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HALOT)
[13]
서적
A Dictionary of the Ugaritic Language in the Alphabetic Tradition
[14]
논문
Early Iron Age balance weights at Lefkandi, Euboea
[15]
웹사이트
1 Kings 9:14 Interlinear: And Hiram sendeth to the king a hundred and twenty talents of gold.
https://biblehub.com[...]
2020-07-28
[16]
웹사이트
Exodus 25:39 Interlinear: of a talent of pure gold he doth make it, with all these vessels.
https://biblehub.com[...]
2020-07-28
[17]
문서
2 Kings 5.23
[18]
서적
The Origin of Metallic Currency and Weight Standards
https://www.gutenber[...]
[19]
문서
libra
[20]
사전
τάλαντον
https://logeion.uchi[...]
Greek Lexicon
[21]
서적
Athens, Its History and Coinage Before the Persian Invasion
[22]
서적
The Iliad
https://www.perseus.[...]
[23]
서적
An Island Polity, the Archaeology of Exploitation in Melo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24]
문서
[25]
문서
[26]
웹사이트
The Economy of Ancient Greece
https://eh.net/encyc[...]
[27]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28]
문서
[2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Coinage 700–300 B.C.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1918
[30]
문서
Jerusalem Talmud
[31]
서적
Sefer Naḥalat Yosef
Makhon Nir David
1997
[32]
문서
[33]
서적
Sefer [[Mishneh Torah]] - HaYad Ha-Chazakah (Maimonides' Code of Jewish Law)
Pe'er HaTorah
1974
[34]
문서
Jerusalem Talmud
[35]
서적
The Mishnah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Arikhat Shūlḥan - Yilqūṭ Ḥayyīm
Benei Barak
2012
[37]
성경
[38]
서적
A concis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39]
웹사이트
talent (n)
http://www.etymonlin[...]
2022-06-07
[40]
성경
[41]
서적
Treatise on Weights and Measures (Syriac Version)
Chicago University Press
1935
[42]
성경
[43]
성경
[44]
성경
[45]
웹사이트
《두란노 비전성경사전》
http://www.holybib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