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크로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크로싱은 2001년 3월 론 혼베이커가 고안한, 책을 공유하는 활동이다. BookCrossing.com 웹사이트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책을 등록하고 추적하며, 공공 장소에 책을 놓아 다른 사람들이 읽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019년에는 190만 명 이상의 회원과 1,300만 권이 넘는 책이 132개국에서 공유되었으며, 싱가포르는 북크로싱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북크로싱은 책에 대한 애정을 확산시키고 독서 문화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매년 컨벤션을 개최하기도 하지만, 책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작가의 인세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책 - 필사본
필사본은 손으로 베껴 쓴 책을 의미하며, 고본, 전사본, 사경 등으로 분류되고, 한국에서도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쳐 제작되었다. - 책 - 양피지
양피지는 양, 염소, 소 등의 가죽을 가공하여 만든 기록 매체로, 페르가몬에서 유래하여 파피루스를 대체해 중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종이와 인쇄술 발달로 쇠퇴하여 현재는 의례용이나 예술 작품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신조어 - 조중동
조중동은 대한민국 3대 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통칭하는 말로, 보수적 성향과 보도 행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사용되며, 과거 친일 행적 논란, 정치적 편향성, 오보 및 왜곡 보도 등으로 비판받는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는 신문들이다. - 신조어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북크로싱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도서 교환 웹사이트 |
출시일 | 2001년 4월 21일 |
사용 가능 언어 | 다국어 |
등록 | 예 |
상업 여부 | 아니요 |
웹사이트 | bookcrossing.com |
2. 역사
북크로싱(BookCrossing영어)이라는 아이디어는 2001년 3월 미국에서 론 혼베이커(Ron Hornbaker영어)에 의해 구상되었다.[1] 사업 파트너이자 공동 창립자인 브루스 페더슨(Bruce Pedersen영어)과 헤더 페더슨(Heather Pedersen영어)은[2] 혼베이커와 협력하여 2001년 4월 21일에 BookCrossing.com을 시작했다.[3]
2년 후 웹사이트는 113,000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했으며, 2004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연속극 ''이웃집 찰스'' 에피소드에서 언급될 정도로 유명해졌다.[4] 같은 해, 이 단어는 ''Concise Oxford Dictionary''에 새로운 단어로 등재되었지만,[5] 2017년 기준으로 콜린스 영어 사전만이 이 단어를 유지하고 있다.[6][7][8][9]
2012년 3월까지 회원 수는 100만 명을 넘어섰고, 등록된 도서 수는 850만 권을 초과했다. 2019년 11월까지 190만 명 이상의 회원과 1,300만 권이 넘는 도서가 132개국을 통해 이동했으며,[10] 그 중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지난 한 달 동안 25,000권 이상의 도서가 새롭게 "길에 풀려났"고, 80% 이상의 도서가 8개의 가장 활발한 국가(독일, 미국, 스페인,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네덜란드, 브라질)에서 풀려났으며, 30개국에서는 지난 3일 동안 도서가 풀려났다.[11]
2007년 7월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국립 도서관과 함께 시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가 내 2,000곳을 공식 북크로싱 존(OBCZ)과 유사한 '핫스팟'으로 지정하여 이 관행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12] 세계 최초의 공식 국제 북크로싱의 날은 2014년 4월 21일에 열렸다.
북크로싱은 2021년부터 특히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동유럽 국가에서도 소규모 도시와 대규모 도시에서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13]
2. 1. 초기 발전
북크로싱(BookCrossing)이라는 아이디어는 2001년 3월 미국에서 론 혼베이커(Ron Hornbaker)에 의해 구상되었다.[1] 사업 파트너이자 공동 창립자인 브루스 페더슨(Bruce Pedersen)과 헤더 페더슨(Heather Pedersen)은[2] 혼베이커와 협력하여 2001년 4월 21일에 BookCrossing.com을 시작했다.[3]2년 후 웹사이트는 113,000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했으며, 2004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연속극 ''이웃집 찰스'' 에피소드에서 언급될 정도로 유명해졌다.[4] 같은 해, 이 단어는 ''Concise Oxford Dictionary''에 새로운 단어로 등재되었지만,[5] 2017년 기준으로 콜린스 영어 사전만이 이 단어를 유지하고 있다.[6][7][8][9]
2007년 7월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국립 도서관과 함께 시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가 내 2,000곳을 공식 북크로싱 존(OBCZ)과 유사한 '핫스팟'으로 지정하여 이 관행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12] 세계 최초의 공식 국제 북크로싱의 날은 2014년 4월 21일에 열렸다.
2012년 3월까지 회원 수는 100만 명을 넘어섰고, 등록된 도서 수는 850만 권을 초과했다. 2019년 11월까지 190만 명 이상의 회원과 1,300만 권이 넘는 도서가 132개국을 통해 이동했으며,[10] 그 중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지난 한 달 동안 25,000권 이상의 도서가 새롭게 "길에 풀려났"고, 80% 이상의 도서가 8개의 가장 활발한 국가(독일, 미국, 스페인,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네덜란드, 브라질)에서 풀려났으며, 30개국에서는 지난 3일 동안 도서가 풀려났다.[11] 북크로싱은 2021년부터 특히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동유럽 국가에서도 소규모 도시와 대규모 도시에서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13]
2. 2. 글로벌 확산
북크로싱은 2001년 3월 미국에서 론 혼베이커(Ron Hornbaker)가 고안하였으며, 사업 파트너이자 공동 창립자인 브루스 페더슨(Bruce Pedersen)과 헤더 페더슨(Heather Pedersen)과 협력하여 2001년 4월 21일에 BookCrossing.com을 시작했다.[1][2][3]2004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연속극 ''이웃집 찰스'' 에피소드에서 언급될 정도로 유명해졌으며,[4] 같은 해 ''Concise Oxford Dictionary''에 새로운 단어로 등재되었다.[5] 2017년 기준으로 콜린스 영어 사전만이 이 단어를 유지하고 있다.[6][7][8][9]
2019년 11월까지 190만 명 이상의 회원과 1,300만 권이 넘는 도서가 132개국을 통해 이동했으며,[10] 그 중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지난 한 달 동안 25,000권 이상의 도서가 새롭게 풀려났다.[11] 80% 이상의 도서가 독일, 미국, 스페인, 이탈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네덜란드, 브라질에서 풀려났다.[11]
2007년 7월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국립 도서관과 함께 시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국가 내 2,000곳을 공식 북크로싱 존(OBCZ)과 유사한 '핫스팟'으로 지정하여 이 관행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12] 세계 최초의 공식 국제 북크로싱의 날은 2014년 4월 21일에 열렸다.
북크로싱은 2021년부터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동유럽 국가에서도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다.[13]
2. 3. 한국에서의 전개
2003년경부터 일본에서의 등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쿄도메구로구에 있는 서점 COW BOOKS가 북크로싱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미디어에서도 이 활동이 다루어지게 되어 조금씩 참가자가 증가했다.[13]2007년 9월에는 히로시마현에서 북크로싱 재팬 운영팀이 발족하여 그 활동이 점차 확산되었다.
3. 주요 활동 내용
공식적으로 책을 "내놓고" 싶어하는 사람은, 공공 장소에 두든 친구에게 전달하든, BookCrossing.com 웹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16] 하지만 책을 "찾거나" 기록할 때는 익명으로 남을 수도 있다. BookCrossing.com 사용자는 "사냥"을 갈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원은 웹사이트에서 최근에 "내놓은" 책 목록을 보고, 그 책이 놓인 장소로 가서 책을 "찾는다".
책은 또한 특정 커피숍, 카페, 레스토랑 및 기타 공공 장소에 위치한 "공식 북크로싱 존"(OBCZ)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의 목적은 해당 지역의 현재 회원들이 공공과 공유할 책을 놓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북크로싱을 홍보하고 더 많은 회원을 창출한다.[17]
북크로싱은 다 읽은 책에 '''BCID'''(Book Crossing ID)라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여 전 세계를 여행하게 하는 것이다.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2014년 10월 현재 약 131만 명의 회원이 약 1천50만 권의 책을 등록하여 132개국을 여행하고 있다. 또한, 일본의 등록자 수는 2014년 10월 6일 현재 약 3550명이다.
북크로싱 웹사이트는 2005년 웹비상을 수상했다.
3. 1. 책 등록 (Register)
공식적으로 책을 "내놓고" 싶어하는 사람은, 공공 장소에 두든 친구에게 전달하든, BookCrossing.com 웹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16] 하지만 책을 "찾거나" 기록할 때는 익명으로 남을 수도 있다. BookCrossing.com 사용자는 "사냥"을 갈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원은 웹사이트에서 최근에 "내놓은" 책 목록을 보고, 그 책이 놓인 장소로 가서 책을 "찾는다".책은 또한 특정 커피숍, 카페, 레스토랑 및 기타 공공 장소에 위치한 "공식 북크로싱 존"(OBCZ)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의 목적은 해당 지역의 현재 회원들이 공공과 공유할 책을 놓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북크로싱을 홍보하고 더 많은 회원을 창출한다.[17]
책의 최초 소유자가 회원 등록과 책 등록(책에 대한 감상 등 포함)을 하고 BCID를 취득, 그 BCID를 다운로드한 라벨에 기입하여 책에 붙인다.
다음으로 책을 손에 넣은 사람은 회원 등록을 하고, 책에 대한 감상(저널) 등을 HP에 기록한다.
3. 2. 책 놓아주기 (Release)
공식적으로 책을 "내놓고" 싶어하는 사람은, 공공 장소에 두든 친구에게 전달하든, BookCrossing.com 웹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16] 하지만 책을 "찾거나" 기록할 때는 익명으로 남을 수도 있다. BookCrossing.com 사용자는 "사냥"을 갈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원은 웹사이트에서 최근에 "내놓은" 책 목록을 보고, 그 책이 놓인 장소로 가서 책을 "찾는다".
책은 또한 특정 커피숍, 카페, 레스토랑 및 기타 공공 장소에 위치한 "공식 북크로싱 존"(OBCZ)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의 목적은 해당 지역의 현재 회원들이 공공과 공유할 책을 놓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북크로싱을 홍보하고 더 많은 회원을 창출한다.[17]
혹은 직접 친구에게 책을 건네준다.
책의 릴리스 정보(책의 릴리스 장소와 시간)를 HP의 릴리스 노트에 기입하면 다른 회원이 책의 소재지를 검색할 수 있다.
3. 3. 책 찾기 및 기록 (Read)
공식적으로 책을 "내놓고" 싶어하는 사람은, 공공 장소에 두든 친구에게 전달하든, BookCrossing.com 웹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16] 하지만 책을 "찾거나" 기록할 때는 익명으로 남을 수도 있다. BookCrossing.com 사용자는 "사냥"을 갈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원은 웹사이트에서 최근에 "내놓은" 책 목록을 보고, 그 책이 놓인 장소로 가서 책을 "찾는다".
책은 또한 특정 커피숍, 카페, 레스토랑 및 기타 공공 장소에 위치한 "공식 북크로싱 존"(OBCZ)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의 목적은 해당 지역의 현재 회원들이 공공과 공유할 책을 놓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북크로싱을 홍보하고 더 많은 회원을 창출한다.[17]
4. 북크로싱의 목적과 의의
북크로싱은 책을 단순히 여기저기에 두고 방치하는 활동이 아니며, 책을 읽는 것을 더욱 가볍고 가깝게 즐기도록 유도한다. 또한 책에 대한 애정을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크로싱은 책을 읽는 것을 더욱 가볍고 가깝게 즐기며, 책에 대한 애정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책을 여기저기에 두고 방치하는 것이 아니며, 책을 사지 않는 활동도 아니다.
4. 1. 책에 대한 애정 확산
북크로싱은 책을 단순히 여기저기에 두고 방치하는 활동이 아니며, 책을 읽는 것을 더욱 가볍고 가깝게 즐기도록 유도한다. 또한 책에 대한 애정을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4. 2. 독서 문화 활성화
북크로싱은 책을 읽는 것을 더욱 가볍고 가깝게 즐기며, 책에 대한 애정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책을 여기저기에 두고 방치하는 것이 아니며, 책을 사지 않는 활동도 아니다.4. 3. 사회적 연결 강화
5. 컨벤션
매년 4월에는 북크로싱 기념 컨벤션이 열리며,[18] 북크로싱 회원들은 조직된 문학 관련 행사를 즐기고 함께 책을 풀어놓는다. 컨벤션 장소는 매년 변경된다.
장소 | 연도 |
---|---|
바헤닝언, 네덜란드 | 2025 |
탐페레, 핀란드 | 2024 |
팔커크, 스코틀랜드 | 2023 |
탐페레, 핀란드 | 2021 (취소됨) |
골드코스트, 호주 | 2020 (취소됨) |
마인츠, 독일 | 2019 |
보르도, 프랑스 | 2018 |
오슬로, 노르웨이 | 2017 |
아테네, 그리스 | 2016 |
옥스퍼드, 영국 | 2015 |
멜버른, 호주 | 2014 |
예테보리, 스웨덴 | 2013 |
더블린, 아일랜드 | 2012 |
워싱턴 D.C., 미국 | 2011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2010 |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 2009 |
런던, 영국 | 2008 |
찰스턴, 사우스캐롤라이나, 미국 | 2007 |
토론토, 캐나다 | 2006 |
포트워스, 텍사스, 미국 | 2005 |
세인트루이스, 미주리, 미국 | 2004 |
많은 비공식 컨벤션 또는 "언컨벤션"이 연중 다른 장소와 시간에 열리며,[19] 컨벤션을 위해 해외 여행을 할 수 없는 북크로싱 회원들이 모여 책에 대한 애정을 공유하기 더 쉬워진다.
6. 논란과 비판
2003년, 점성가이자 소설가인 제시카 아담스는 북크로싱이 책을 "가치 절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북크로싱이 책 판매량 감소로 이어져 작가에게 지급되는 인세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20] 하지만 대부분의 북크로싱 회원들은 이 주장에 반박한다. 이들은 북크로싱 웹사이트가 독자들에게 이전에 읽어보지 못한 작가와 장르를 소개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취미로 삼거나 다시 시작하도록 장려하며, 어떤 회원들은 즐겁게 읽은 책을 북크로싱을 통해 배포하기 위해 추가로 구매한다고 주장한다.[21]
2005년 3월, 출판사 하퍼 프레스의 전무이사 캐롤라인 마틴은 연설에서 "북크로싱이 확산되는 현상은 책 출판 업계 전체에 잠재적인 냅스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22] 북크로싱 회원들은 냅스터와의 연관성에 대해 반박하며, 음악 파일 공유는 오디오 파일을 무수히 복제하는 반면, 북크로싱은 책을 복제하지 않으며 (또한 출판사의 허가 없이 책을 자유롭게 판매하거나 기증할 수 있으므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저작권, 즉 지적 재산은 여전히 창작자 또는 출판사에 있다) 라고 주장했다.
북크로싱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북크로싱의 설립자 론 혼베이커는 사람들이 이러한 비교를 할지 궁금해했다.[23]
6. 1. 가치 절하 및 인세 감소 논란
2003년, 점성가이자 소설가인 제시카 아담스는 북크로싱이 책을 "가치 절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북크로싱이 책 판매량 감소로 이어져 작가에게 지급되는 인세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20] 하지만 대부분의 북크로싱 회원들은 이 주장에 반박한다. 이들은 북크로싱 웹사이트가 독자들에게 이전에 읽어보지 못한 작가와 장르를 소개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취미로 삼거나 다시 시작하도록 장려하며, 어떤 회원들은 즐겁게 읽은 책을 북크로싱을 통해 배포하기 위해 추가로 구매한다고 주장한다.[21]2005년 3월, 출판사 하퍼 프레스의 전무이사 캐롤라인 마틴은 연설에서 "북크로싱이 확산되는 현상은 책 출판 업계 전체에 잠재적인 냅스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22] 북크로싱 회원들은 냅스터와의 연관성에 대해 반박하며, 음악 파일 공유는 오디오 파일을 무수히 복제하는 반면, 북크로싱은 책을 복제하지 않으며 (또한 출판사의 허가 없이 책을 자유롭게 판매하거나 기증할 수 있으므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저작권, 즉 지적 재산은 여전히 창작자 또는 출판사에 있다) 라고 주장했다.
북크로싱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북크로싱의 설립자 론 혼베이커는 사람들이 이러한 비교를 할지 궁금해했다.[23]
6. 2. 냅스터 위기 비유 논란
2003년, 점성가이자 소설가인 제시카 아담스는 북크로싱이 책을 "가치 절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비판했다. 북크로싱이 책 판매량 감소로 이어져 작가에게 지급되는 인세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20] 하지만 대부분의 북크로싱 회원들은 이 주장에 반박한다. 이들은 북크로싱 웹사이트가 독자들에게 이전에 읽어보지 못한 작가와 장르를 소개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취미로 삼거나 다시 시작하도록 장려하며, 어떤 회원들은 즐겁게 읽은 책을 북크로싱을 통해 배포하기 위해 추가로 구매한다고 주장한다.[21]2005년 3월, 출판사 하퍼 프레스의 전무이사 캐롤라인 마틴은 연설에서 "북크로싱이 확산되는 현상은 책 출판 업계 전체에 잠재적인 냅스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22] 북크로싱 회원들은 냅스터와의 연관성에 대해 반박하며, 음악 파일 공유는 오디오 파일을 무수히 복제하는 반면, 북크로싱은 책을 복제하지 않으며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북크로싱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 북크로싱의 설립자 론 혼베이커는 사람들이 이러한 비교를 할지 궁금해했다.[23]
7. 저명한 북크로서
- 리처드 바크[24]
- R. J. 엘러리[25]
- 짐 호킨스[26]
참조
[1]
뉴스
Site Says 'If you Love a Book, Set it Free'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2-09-11
[2]
웹사이트
BookCrossing.com Management
http://www.bookcross[...]
[3]
웹사이트
BookCrossing.com FAQs
http://www.bookcross[...]
2016-01-18
[4]
웹사이트
tv show neighbours promotes bookcrossing
http://www.bookcross[...]
2008-04-04
[5]
서적
Concis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Bookcrossing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7]
웹사이트
Definitions, Meanings, & Spanish Translations | Lexico.com
https://www.lexico.c[...]
[8]
웹사이트
bookcrossing definition from Macmillan Dictionary: Free British English English Dictionary Online with Thesaurus
http://www.macmillan[...]
[9]
웹사이트
bookcrossing - Did you spell it correctly. Alternative spellings in the British English Dictionary - Cambridge Dictionary
http://dictionary.ca[...]
[10]
웹사이트
About Book Crossing Popularity
http://www.bookcross[...]
2019-11-08
[11]
웹사이트
Hunt for books
https://www.bookcros[...]
2019-11-08
[12]
웹사이트
Singapore is First BookCrossing Country in the World
http://www.channelne[...]
2008-03-28
[13]
웹사이트
У Чернівцях організували буккросинг, проте вандали вже встигли понищити одну зі скриньок - chernivtsi-future.com.ua
https://chernivtsi-f[...]
2021-12-14
[14]
웹사이트
9th Annual Webby Awards: BookCrossing.com Named Best Community Website and Best Social/Networking Website in the People's Voice Awards
http://www.bookcross[...]
2008-03-28
[15]
웹사이트
Sony Radio Academy Awards
http://www.radioawar[...]
2008-03-28
[16]
뉴스
Free Culture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8-03-28
[17]
웹사이트
Readers are Leaving a Trail of Free Books All Over the Place
http://www.seattlepi[...]
2008-03-27
[18]
웹사이트
BookCrossing - Conventions
http://www.bookcross[...]
2010-12-02
[19]
웹사이트
About BookCrossing Unconventions
http://uncon2010bost[...]
2010-12-02
[20]
뉴스
If Authors Love Books, then they Should Set Them Free
http://www.scotsman.[...]
Scotland On Sunday
2008-12-30
[21]
웹사이트
BookCrossing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bookcross[...]
2010-11-18
[22]
뉴스
A Novel Idea Has Led to Best-Sellers Turning up in the Strangest of Place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8-03-27
[23]
뉴스
Finders Keepe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3-27
[24]
웹사이트
BookCrossing Authors
http://www.texaswren[...]
[25]
Youtube
What is BookCrossing?
https://www.youtube.[...]
2010-02-11
[26]
웹사이트
JimOnTheRadio's Bookshelf
http://www.bookcro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