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중동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묶어 부르는 말로, 원래 이들 신문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사용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언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각 신문사들은 약칭 순서를 바꾸어 사용하기도 한다. 조중동은 보수적인 성향을 유지하며, 정치적 편향성, 오보, 왜곡 보도, 불법 행위 등으로 비판받아 왔다. 이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구독 거부, 광고 중단 운동, 뉴스 공급 중단, 절독 운동 등을 펼쳤으며, 대중문화에서도 풍자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대 신조어 - 유튜버
유튜버는 유튜브에 비디오를 제작 및 게시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도 불리며 MCN의 등장으로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향력 증가와 수익 창출에도 불구하고 시장 과점, 수익 불안정성, 영상 조작, 저작권 침해 등 문제점과 비판이 존재한다. - 2000년대 신조어 - 핑크 타이드
핑크 타이드는 21세기 초 라틴 아메리카에서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과 경제적 불평등 심화로 좌파 정부들이 연이어 등장한 정치적 흐름을 의미하며, 사회 복지 정책을 강조하는 좌파 지도자들의 집권과 함께 나타났다가 쇠퇴 후 재부상하기도 했다. - 신조어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 신조어 - 키덜트
키덜트는 1950년대 어린이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성인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으나, 21세기 엔터테인먼트 산업 성장과 함께 아이와 어른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형성되어 슈렉, 해리 포터, 마이 리틀 포니 등과 같은 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며 주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았고,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이후 어른을 위한 장난감 시장이 성장하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판매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였다. - 대한민국의 신문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대한민국의 신문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조중동 | |
---|---|
지도 정보 | |
명칭 | |
한글 | 조중동 |
한자 | 朝中東 |
로마자 표기 | Jojungdong |
영어 표기 | Chojoongdong |
개요 | |
설명 | 대한민국 주요 신문들을 일컫는 용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
비판적 시각 | 보수적 성향으로 비판받는다. 언론의 상업주의와 정치적 편향의 대표적인 예시로 여겨진다. 정부와 유착 관계 의혹이 제기되기도 한다. |
구독 점유율 | |
2008년 | 58% (일부 자료) |
2008년 6월 | 50%대로 하락 (일부 자료)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정연주 |
방송 진출 | 조선일보 (TV조선) |
2. 명칭
'''조중동'''은 원래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언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괄호 안에 설명을 덧붙이는 경우가 많았다.[25][26]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 당시, 이들 신문의 논조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각 신문 영문명의 앞글자를 따서 'CJD'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라고 부르며 비난하기도 했다.[27][28]
조중동은 광고와 1면 머리기사 등에서 다른 주요 신문들과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각 신문사는 기사에서 약칭의 순서를 바꾸어 사용하기도 하는데, 중앙일보는 '''중조동'''(中朝東)을 쓰며,[29] 동아일보는 '''동조중'''(東朝中)을 쓴다.[30] 조선일보는 2001년 3월 16일자 초판에서 '''조동중'''(朝·東·中)이라는 약칭을 사용하기도 했다.[31]
한편, 진보 성향의 언론사인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오마이뉴스를 묶어 '''한경오'''라고 부르기도 한다.[33][34][35]
3. 특징
3. 1. 광고
변호사 개업 광고와 외제차 광고는 다른 일간지에는 별로 없고 조중동에만 있다는 분석이 있다. 문한별 언론인권센터 대외협력위원장은 "조중동을 제외한 다른 신문들에는 이같은 외제차 광고가 없다. 왜 없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독자의 구매력에서 조중동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라고 비평했다.[36]
반대론자들은 조중동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재계와 손을 잡았다고 믿으며,[14][15] 이로 인해 기사가 자본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을 제기한다.
3. 2. 1면 머리기사
조중동은 다른 주요 아침 신문들과는 다른 기사를 1면 머리기사로 내보내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일례로 2009년 9월 24일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는 집시법의 야간 집회 금지 조항을 헌법불합치로 판결하였고, 다음 날인 9월 25일 다른 주요 일간지들은 헌법불합치 판결을 주요 기사로 소개했으나, 조선일보는 '''한(韓) “새로운 관계를 만들자”/ 일(日) “역사 직시할 용기있다”'''를, 중앙일보는 '''넘치는 달러로 자원 싹쓸이/ 중국, 상반기만 72조원 투입'''을, 동아일보는 '''서울대 정교수 ‘좁은 문(門)’/ 승진대상자 38%만 통과'''를 주요 기사로 소개했다.[37]
4. 점유율
2006년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조중동 3개 신문사 점유율은 63%이고 발행부수상으로는 7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조중동에 대해 여론 시장의 독과점이라는 비판이 있다.[38] 그러나 2008년 6월, 촛불 집회에 대한 보도 태도에 대한 반발이 시작된 이후인 2008년에는 점유율이 5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40]
조중동의 발행부수는 다음과 같다.[41]
조사시기 | 조선일보 발행부수 (단위:만 부) | 중앙일보 발행부수 (단위:만 부) | 동아일보 발행부수 (단위:만 부) | 조사기관 |
---|---|---|---|---|
2002년 | 238 | 205 | 205 | ABC협회 |
2005년 6월 | 203 | 183 | 180 | 기자협회보 |
2008년 4월 | 206 | 163 | 153 | 언론노조 |
2011년[42] | 180 (유가부수 135) | 130 (유가부수 94) | 120 (유가부수 75) | ABC협회 |
5. 비판
조중동(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은 과도한 영향력과 권력 행사, 과거사 문제, 왜곡 보도, 정치적 편향성 등으로 인해 비판받는다.[43] 이들 신문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조중동을 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조중동 없는 아름다운 세상'과 같은 단체가 활동하기도 한다.[8]
조중동 비판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단, 중앙일보는 일제강점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9]과 1987년 민주화 이전 권위주의 정권 협력[10]에서 비롯된다.
5. 1. 정치적 편향성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조중동)는 보수 정당 및 정부에 우호적이고 진보 정당 및 정부에는 비판적인 논조를 유지한다는 비판을 받는다.[8][9][10] 이러한 비판은 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지적한다.- 보수 정부 편향: 이명박 정부 시절 위키리크스의 부정적 폭로 기사를 검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1] PD수첩의 2008년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 보도에 대한 법원의 무죄 판결을 보도하면서도, 해당 방송분에 허위 정보가 포함되었다는 점을 강조했다.[12][13]
- 재계 유착 의혹: 조중동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재계와 손을 잡았으며,[14][15] 이로 인해 기사가 자본에 편향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 SNS 여론 조작 의혹: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트위터 등 SNS에서 여론 조작을 시도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6]
이 외에도 보수 정부 광고 집중, 정치적 비보도, 이중잣대, 대결주의 조장,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한 추측 보도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5. 1. 1. 보수 정부 광고 집중
이명박 정부 시절,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는 언론재단의 국정감사 자료에서 2008년 1월부터 8월 말까지 11개 중앙 일간지의 정부 광고 수주액 순위에서 각각 1, 2, 3위를 차지했다.[44]이에 대해 민주당 최문순 의원(전 문화방송 사장)은 보수 신문에 광고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며, 국민 세금이 사실상 청와대가 지목한 언론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것은 국민들의 뜻을 왜곡하고 언론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44]
5. 1. 2. 정치적 비보도
조중동이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 확보를 위해 주요 사건을 고의로 싣지 않거나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2009년 2월 4일 자 조중동에는 '''제2롯데월드''' 공청회, '''IMF 경제성장률 전망''', '''국회예산처 보고서'''에 관한 기사가 실리지 않았다.[45]
- 2009년 3월 17일 자 조중동에는 '''신영철 대법관 재판개입''' 기사가 1면에 실리지 않았다.[46]
- 2009년 10월 18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그리고 문화일보에서는 '''전경을 제외한 정부청사에서 미국산 쇠고기 구매율 0%''' 내용에 대하여 다른 언론과 달리 보도하지 않았다.[47]
- 2009년 10월 21일 국경없는기자회에서 발표한 '''세계언론자유지수에서 대한민국은 2008년보다 22단계 하락한 69위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조중동은 노무현 정권 시절 언론자유지수가 하락할 때는 크게 보도하면서도 2009년의 순위 하락에 대해서는 다른 언론들과 달리 이를 보도하지 않았다.[48]
- 2009년 11월 6일 '''박정희가 만주군에 지원하기 위해 보냈던 혈서'''가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던 가운데 다른 신문사, 방송사 등 언론들은 이를 1면 또는 내부 지면에 보도하였지만 조중동은 이를 보도하지 않았다.[49]
일부 비평가들은 조중동(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신문들이 보수적인 이명박 정부에 불리한 뉴스를 검열하는 보수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한다. 정운현은 세 신문이 위키리크스 관련 기사, 즉 이명박 대통령의 행정부 영향력 아래 부정적인 문제를 폭로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사들을 검열했다고 비난했다.[11] 또한 MBC의 PD수첩과 2008년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에 대한 방송분에 대한 법원의 무죄 판결을 보도했지만, 해당 방송분에 허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에는 동의했다.[12][13]
5. 1. 3. 이중잣대 (말 바꾸기)
2005년 12월 ~ 2006년 1월, 조중동은 사학법 논란에 대해 정부에 종교계의 목소리를 경청하라고 주문했다. 반면 2008년 촛불 집회 당시에는 종교는 정치에 끼어들면 안 된다는 논리를 폈는데, 이는 이중잣대라는 지적이 있었다.[50]노무현의 대선 언론고문을 지낸 서동구가 KBS 사장으로 임명되었을 때(2003년)에는 정치적 중립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반면 이명박의 대선 언론특보를 지낸 김인규가 KBS 사장으로 임명되었을 때(2009년)에는 찬성하는 논조를 보여 이중잣대라는 지적이 있었다.[51]
5. 1. 4. 대결주의 조장
남북 정상 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NLL에 관한 왜곡 기사를 내보내며 대결주의를 조장했다는 비판이 있다.[52]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조중동)가 한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들, 특히 트위터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부정적인 루머의 위험성에 관한 기사를 동시에 게재한 것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었다.[16]5. 1. 5. 천안함 사건 추측 보도
조중동은 천안함 침몰 사건을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인한 침몰로 보는 기사 논조를 보였는데, 일부 단체는 이를 소설 쓰기라고 비난하였다.[53][54] 2010년 4월 22일 조선일보는 '인간어뢰가 조종하는 어뢰에 의한 폭발 가능성'을 보도했다.[55] LA타임스는 조선일보의 인간 어뢰에 의한 자살 공격 기사에 대해 "제임스 본드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것"이라고 평했다.[56][57] 한편, 민·군 합동조사단은 인양된 천안함의 절단면 조사와 수거한 알루미늄 파편 및 고성능폭약(RDX) 분석 결과, 기뢰가 아닌 어뢰 공격으로 침몰했다는 결론을 내렸다.[58]5. 2. 오보 및 왜곡 보도
조중동은 사실 관계를 왜곡하거나 허위 사실을 보도하여 문제가 된 사례가 많다.[8][9][10] 일부 비평가들은 조중동이 이명박 정부에 불리한 뉴스를 검열하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고 비판한다.[11]5. 2. 1. 체벌 금지에 대한 보도
2010년 진보 성향의 곽노현 교육감이 당선된 이후 서울시교육청은 2010년 11월 1일 모든 학교에 대해 체벌을 금지하도록 했다. 조중동은 이에 대해 일제히 비판을 제기하며 각종 교권침해, 폭력사건을 집중 보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교육 전문가들 중에는 체벌이 장기적으로 더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체벌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 많았으며, 체벌 금지가 모든 교권침해 사례의 원인인 것처럼 무리하게 보도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59]조중동이 보도한 체벌 금지로 인한 폐해 사례에는 체벌이 금지되지 않은 지역(충청도, 전라도 등)이나, 체벌 금지 조치 이전인 2006년의 사례가 나오는 등 체벌 금지와 관련 없는 사례가 오보로 보도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조중동이 "체벌이 금지된 이후로 교권 침해가 부쩍 늘었다"고 주장한 것과 달리, 통계에 의하면 서울 시내 고등학교에서 교사에게 폭행과 폭언을 했다가 징계받은 학생 수는 체벌 금지가 시작된 2010년 2학기엔 오히려 줄었다. 한국교총이 조사한 학생, 학부모에 의한 부당행위 건수도 체벌 금지 시행 이후 폭발적으로 늘었다기보다는 이전부터 꾸준했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미디어비평》은 "복합적인 원인을 무시하고 정치적인 입장에서 체벌 금지가 모든 사태의 원인인 양 몰아가는 일부 언론의 보도 태도는 교육 현장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렸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59]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2011년 7월 12일 보도에서 영국이 노터치 정책을 포기함으로써 체벌을 다시 허용하기로 한 것처럼 보도했지만 이는 오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일보의 경우 기사 제목에서 "13년 만에 학생 체벌 허용"이라고 표현했으며, 사설에서도 "영국 정부가 학생 체벌을 전면 금지한 노터치 정책을 도입한 지 13년 만에 폐기하기로 한 것은 한국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진보 교육감들의 체벌 전면 금지 정책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혼란을 줄일 반면 교사이다"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겨레 신문에 의하면 영국에서 노터치와 체벌은 엄격히 구분되는 개념으로, 노터치 정책은 성추행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어 1998년에 도입한 것이지만 여러 부작용이 있어서 이를 폐기한 것일 뿐 체벌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훈육지침을 보면 여전히 "물리력을 체벌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겨레 신문은 해당 기사를 쓴 기자들과 통화를 한 결과 기자들도 실수를 인정했다고 보도했다.[60]
5. 2. 2. 복지에 대한 왜곡 보도
2011년 대한민국 국회에서 복지 논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을 때, 조중동은 복지를 '망국적 포퓰리즘'이라며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해외 국가들의 재정 위기 사례를 언급하며, 이러한 위기가 과도한 복지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는 사실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스 재정 위기: 조중동은 2011년 그리스 재정 위기의 원인이 '과도한 복지'에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는 그리스 재정 위기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그리스 재정 위기의 원인으로 다음을 제시했다.[61]
그리스 재정 위기의 주요 원인 |
---|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 |
관광 등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 경제 충격에 취약한 산업 구조 |
연금 등 공공 지출 과다 |
GDP의 25%에 달하는 지하 경제 |
강유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하 경제 규모가 매우 커서, 사람들이 경제 활동을 해도 세금으로 이어지지 않아 세금 확보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 보고서는 "현재 유럽 재정 위기는 경제 여건이 다른 회원국에 단일 통화 정책을 적용하는 등 구조적 문제점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2010년 남유럽 금융 위기 당시 조선일보가 "유럽 각국은 순환 대출과 교차 투자를 통해 얽혀 있어 그리스 문제는 더 이상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보도하며 복지와 연관 짓지 않았던 것과 대조적이다.[61]
- 일본 신용등급 강등: 2011년 초 일본의 신용등급 강등에 대해서도 조중동은 과도한 복지 때문이라고 보도했다.[62]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보도가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국내 전문가들은 1990년대 거품 붕괴 이후 이루어진 대규모 토목 사업을 통한 경기 부양과 감세 조치를 재정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았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장기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재정 지출 확대와 감세 정책이 일본 재정 악화의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도 "일본의 재정 적자가 급속히 확대된 것은 거품 붕괴 이후 재정 지출 확대와 감세 조치를 반복하는 가운데 성장 둔화 및 디플레이션 장기화로 세수가 감소한 것이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박종규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은 "토목 건설 위주의 재정 지출 확대와 감세 정책, 사회보험 지출 증가가 얽혀 재정 악화를 가져왔다"며 "'복지 퍼주기'가 재정 악화를 몰고 왔다는 논리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63]
5. 2. 3. 콜트악기 허위 보도 사건
Colt영어악기 폐업 책임을 노조에 전가하는 허위 보도를 하여 법원으로부터 정정 보도 및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다.[64]동아일보는 2008년 8월 2일 "7년 파업의 눈물"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콜트악기 노동자들의 강경 투쟁 때문에 직원 120여 명이 평생 직장을 잃고 모두 거리로 나앉게 됐다"는 회사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면서, "노조의 파업으로 생산성이 떨어져 수출 납기를 맞추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자 해외 바이어들이 고개를 돌렸다"고 노조에 폐업 책임을 돌렸다. 노조는 이에 반발해 정정 보도와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64]
서울고등법원은 2010년 6월 동아일보에 정정보도 게재와 함께 위자료 500만원 지급 판결을 내렸고, 2011년 9월 판결이 확정되었다. 법원은 판결문에서 "콜트악기의 폐업에는 원고의 파업으로 압축해서 표현하고 있는 노사 문제뿐만 아니라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이라는 경영상의 판단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보이는데도, 콜트악기의 폐업이 순전히 노조의 잦은 파업 때문이라는 기사는 허위라고 보는 게 맞다"고 밝혔다. 또한 "기사를 작성한 기자는 사용자의 진술을 들었으나 노조에 사실 관계 확인을 하지 않았다"면서, "기자가 확인할 수 있었던 콜트악기 및 관련 회사들의 자산 상황과 매출, 당기순이익 등 경영 상태에 대한 자료들만이라도 객관적으로 인용했더라면 이 기사에 나타난 오류는 쉽게 피할 수 있었을 거라고 보이는 등의 사정에 비춰볼 때, 피고가 이 기사의 내용을 진실이라고 믿을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힘으로써, 기자가 최소한의 객관적 사실 확인조차 하지 않고 악의적으로 기사를 작성했음을 인정했다.[64]
5. 2. 4. 김정남의 천안함 발언 날조
조선일보는 2012년 1월 17일자 1면에서 김정남이 일본 도쿄신문의 고미 요지 편집위원과 지난 7년 동안 주고받은 전자우편 대화록을 월간조선이 입수했다며 이를 토대로 김정남의 발언을 보도했다. 이 기사에서 조선일보는 "(김정남이)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해서는 “북조선 입장에서는 서해 5도 지역이 교전지역이라는 이미지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핵, 선군정치 모두 정당성이 부여되는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 천안함 사건의 진상에 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와중에 나온 이러한 보도는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결정적 증거의 하나로 받아들여졌고, 실제로 동아일보는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을 토대로 한 18일치 사설에서 "국내 종북(從北)좌파 세력은 북한 권력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김정남의 이런 폭로를 듣고도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는 증거가 없다”고 계속 주장할 것인가."라고 쓰기도 했다.[65][66] 하지만 이 기사가 나간 이후 김정남과 전자우편을 주고 받은 당사자인 고미 요지 편집위원은 자신이 김정남으로부터 받은 이메일의 어디에도 천안함에 관한 발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결국 조선일보는 천안함 사건에 관해 그것이 북한의 필요에 의해 이루어진 일이라고 김정남이 주장했다는 보도는 오보였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사설을 썼던 동아일보는 오류를 바로잡지 않고 있다.[67][68]5. 2. 5. 쌍용역 왜곡 보도
동아일보는 2013년 12월 26일 "하루 승객 15명인 역에 역무원 17명"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쌍룡역에 대해 "2010년 한 해 철도 운송수입이 1400만원에 그쳤다. 반면에 같은 해 이 역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 지급된 인건비는 11.39억원으로 역 수입의 81.3배였다."라고 보도하며, 이러한 역을 구조조정하지 못하는 이유를 강성 노조 탓으로 돌렸다.[69] TV조선 역시 같은 제목으로 보도했다.하지만 노컷뉴스 취재 결과 이들 보도는 사실과 달랐다. 철도청통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쌍룡역의 2010년 수입은 1400만원이 아니라 96.15억원(95.96억원의 화물 수입과 1900만원의 여객 수입을 합한 금액)이었다. 동아일보의 기사는 100억원에 가까운 화물 수입은 누락시킨 채 여객 운송 수입만을 쌍룡역의 수입인 것처럼 보도한 것이었다. 또한 2014년 현재 15명이 근무 중이지만 3조 2교대로 운영되므로 실제 투입 인원은 5명이라는 사실도 누락시켰다.[70]
5. 3. 불법 행위
조중동은 전교조 명단 공개, 신문고시 위반 등 여러 불법 행위를 저지른 사례가 있다.5. 3. 1. 전교조 명단 공개
2010년 4월 법원은 전교조 가입 교사들의 명단을 공개한 조전혁 의원에 대한 명단공개 금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명단을 공개하지 말라고 결정했지만, 조전혁 의원은 이를 무시하고 명단을 공개했다. 동아일보의 인터넷 사이트인 동아닷컴도 이러한 불법적인 명단 공개에 동참했다.[71] 전교조 소속 교사들은 조전혁 의원과 동아일보사에 대해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2011년 7월 26일 조전혁 의원은 일인당 100000KRW씩 모두 3.4억원을, 동아일보사는 일인당 80000KRW씩 모두 2.7억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71]5. 3. 2. 신문고시 위반
민주언론시민연합은 2008년 5월 서울지역 지국 중 40곳을 대상으로 신문고시 위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중앙일보와 동아일보의 위반율은 100%, 조선일보는 97.5%에 달했다고 발표했다.[72] 신문판매고시는 신문구독자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연간 유료신문 대금(18만원)의 20%(36000KRW)를 초과하는 액수의 공짜신문이나 경품을 제공하는 행위를 불공정거래행위로 규정하고 있다.5. 4. 기타 비판
조중동 3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들 신문이 지나치게 큰 영향력과 권력을 행사한다고 비판하며, 이들 신문을 없애는 것만으로도 중대한 긍정적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믿는다. "조중동 없는 아름다운 세상"이라는 이름의 반 신문 운동 단체가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8] 주요 신문들은 사기업이자 서로 경쟁 관계에 있지만, 반대자들은 이들을 하나의 거대한 준정부 기관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비판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과의 협력(중앙일보는 일제강점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9]뿐만 아니라 1987년 민주화 이전 국내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10]에서 비롯된다.6. 반대 운동
2008년 한미 쇠고기 협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조선, 중앙, 동아 3사(조중동)가 협상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촛불 집회에는 부정적인 보도를 하자 이에 대한 반발로 구독 거부 운동이 크게 확산되었다.[79] 이와 함께 조중동과는 대조적인 성향의 경향, 한겨레 등 타 신문사의 자발적 구독자 수는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79] 또한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에는 독자들의 응원 광고가 이어지기도 하였다.[80][81]
조중동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들 신문이 지나치게 큰 영향력과 권력을 행사한다고 비판하며, 이들 신문을 없애는 것만으로도 중대한 긍정적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믿는다.[8] ("조중동 없는 아름다운 세상"이라는 이름의 반 신문 운동 단체가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8] 이러한 비판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과의 협력(단, 중앙일보는 일제강점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9]뿐만 아니라 1987년 민주화 이전 국내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10]에서 비롯된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광우병 촛불 시위 당시 조중동은 시장 개방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며 촛불집회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도했다. 이러한 반대 여론은 일시적으로 불매운동을 자극했다.[17] 시위대는 주요 신문사 건물들을 공격하고 파손했으며, 일부 신문사들은 직원들이 괴롭힘을 당했다고 주장했다.[18][19]
2009년 9월 23일 민주노총, 미디어행동, 언소주는 '조중동 절독운동'을 함께 전개하기로 선언하였다.[90]
6. 1. 광고 중단 운동
일부 누리꾼들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 광고를 게재하는 광고주를 상대로 광고를 철수할 것을 주장하는 광고 중단 운동을 벌였다.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이 이 운동을 주도했다.[82] 누리꾼들은 매일 이들 신문에 실린 광고 목록을 인터넷에 올리고, 광고주에게 항의 전화나 고객센터를 통해 항의하거나, 인터넷 회사인 경우 회원 탈퇴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광고주를 압박했다. 이러한 압박으로 인해 몇몇 광고주들은 광고를 내지 않거나 잠정 보류하겠다고 밝혔고,[83] 실제로 일부 광고주가 광고를 철회하기도 하였다.[84]검찰은 이러한 행위가 업무방해에 해당한다며 법적 대응을 시사했으나,[85] 정당한 소비자 운동이라는 반론도 있어 논란이 되었다. 2009년 2월 19일, 법원은 광고 중단 운동을 벌인 누리꾼들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 카페 개설자에게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운영자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고, 다른 누리꾼들에게는 벌금형 등을 선고했다.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 측은 판결에 불복하며 항소했다.[86] 2009년 12월 18일 2심 재판에서는 언소주 대표에게 1심과 같이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광고 중단 협박에 적극 참여한 14명에게는 100만~3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하고 이 중 3명에 대해서는 선고를 유예했다. 가담 정도가 약했던 피고인 9명에게는 무죄가 선고됐다.[87]
6. 2. 다음 뉴스 공급 중단
2008년 7월 1일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는 포털사이트 다음에 뉴스 콘텐츠 전송을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이는 다음 아고라 등에서 벌어지는 광고 불매 운동에 대한 항의 성격으로, 조중동 측은 광고 불매 운동이 불법이며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다음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88] 2011년 1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다음에 뉴스 공급을 재개했다.[89]6. 3. 절독 운동
2009년 9월 23일 민주노총, 미디어행동, 언소주는 '조중동 절독운동'을 함께 전개하기로 선언하였다.[90]7. 대중 문화
개그콘서트의 코너 '방송과의 전쟁'에서 조중동 종편 방송국을 조직폭력배들의 구역 다툼으로 풍자하였다.[91] [22]
참조
[1]
서적
Language Policy and Political Economy: English in a Global Contex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06
[2]
뉴스
http://news.naver.co[...]
2003-12-10
[3]
뉴스
Media war
http://www.asiamedia[...]
2009-01-07
[4]
서적
Who Owns the World's Media?: Media Concentration and Ownership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5]
뉴스
http://www.journalis[...]
2008-07-02
[6]
뉴스
http://news.khan.co.[...]
2008-06-30
[7]
뉴스
TV Chosun to Start Broadcasting Thursday
http://english.chosu[...]
2011-11-30
[8]
웹사이트
Beautiful World Without Chosun Ilbo
http://www.joase.org[...]
[9]
웹사이트
http://www.pressian.[...]
2008-06-09
[10]
서적
Samsung, Media Empire and Family: A Power Web
https://books.google[...]
2016-02-26
[11]
뉴스
http://www.ohmynews.[...]
2011-09-19
[12]
뉴스
http://www.mediaus.c[...]
2011-09-04
[13]
뉴스
http://www.vop.co.kr[...]
2010-12-18
[14]
웹사이트
http://www.hani.co.k[...]
2005-07-29
[15]
웹사이트
http://www.mediaus.c[...]
[16]
뉴스
http://www.mediatoda[...]
2011-11-14
[17]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18]
뉴스
Chosun Ilbo Attacked as Street Violence Escalates
http://english.chosu[...]
2008-06-27
[19]
뉴스
South Korea: Journalist Assaulted in Demonstration
http://www.newssafet[...]
[20]
웹사이트
dailyseop
http://www.dailyseop[...]
[21]
웹사이트
http://kr.news.yahoo[...]
2019-07
[22]
뉴스
http://www.obsnews.c[...]
2012-03-26
[23]
뉴스인용
[정연주칼럼] 한국신문의조폭적행태(2)
http://legacy.www.ha[...]
[24]
뉴스
조중동서 중앙 분리 글쎄요
https://news.naver.c[...]
2003-12-10
[25]
뉴스
국회 `언론문건 파문' 공방
https://news.naver.c[...]
2001-02-14
[26]
뉴스
정치권 홈페이지 세무조사 공방…게시판 의견 봇물
https://news.naver.c[...]
2001-06-28
[27]
뉴스
(현장) 참석인원 늘어나 폴리스라인 계속 후퇴
http://www.viewsnnew[...]
2008-05-17
[28]
뉴스
"야, 이게 나라냐?"
http://www.pressian.[...]
2008-06-05
[29]
뉴스인용
네티즌 '중조동'에 '웃음'
http://www.dcnews.in[...]
디시뉴스
2008-06-20
[30]
뉴스인용
동아일보 “우리는 동조중”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4-07-28
[31]
뉴스
'조동중' 신조어 몇시간만에 폐기
http://www.ohmynews.[...]
2001-03-15
[32]
뉴스
한겨레 9월 7일 기사
http://www.hani.co.k[...]
[33]
웹사이트
http://www.journalis[...]
[34]
웹사이트
http://sisapress.com[...]
[35]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36]
뉴스
다른 신문에는 없고 조중동에만 있는 것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6-10-09
[37]
뉴스
조중동, 헌재 결정에 '불만'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9-25
[38]
뉴스인용
“촛불 시위는 신자유주의를 가로막고 선 의미”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8-06-05
[39]
뉴스
발행부수 점유율 조중동 75% 이상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6-10-19
[40]
뉴스인용
조·중·동 신문시장 점유율 50%대로 떨어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6-30
[41]
뉴스인용
조중동 ‘부수 조작’ 현재진행형?
http://www.sisain.co[...]
시사IN
2008-07-22
[42]
웹사이트
http://www.mediatoda[...]
[43]
뉴스인용
"조·중·동 왜곡 보도를 한 눈에"… '리얼 조중동'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6-09
[44]
뉴스
靑, 정부광고 직접관여 신문 길들이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10-14
[45]
뉴스
조중동이 동시에 침묵한 3가지 사안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09-02-04
[46]
뉴스
조중동만 신영철 재판개입 '마이웨이'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03-17
[47]
뉴스인용
전경만 먹인 미국 쇠고기, 조선·동아 ‘쉬쉬’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10-17
[48]
뉴스인용
조중동, MB정권은 '69등' 해도 괜찮은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10-21
[49]
뉴스인용
조중동은 외면한 '박정희 혈서'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9-11-06
[50]
뉴스
조·중·동, 사학법 논란 땐 '종교계 목소리 들으라'더니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7-03
[51]
뉴스
참여정부땐 “부적격” MB정부에선 “큰기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11-25
[52]
뉴스
또 다시 NLL 왜곡이 우려되는 조중동
http://www.pdjournal[...]
PD저널
2009-02-02
[53]
뉴스인용
합조단 조사 앞지르는 보수언론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0-05-08
[54]
뉴스인용
이번엔 '파편'으로 '소설' 쓰기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0-05-08
[55]
뉴스인용
"北 인간어뢰 조심하라" 해군 올초 통보받았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5-08
[56]
뉴스
LA타임스
http://www.latimes.c[...]
LA타임스
2010-04-26
[57]
뉴스인용
인간 어뢰? 제임스 본드가 웃을 일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2010-04-29
[58]
뉴스
천안함, 어뢰에 침몰..20일 발표
https://news.naver.c[...]
아사히
2010-05-15
[59]
뉴스
교권 추락’ 체벌만이 해법?
http://news.kbs.co.k[...]
KBS
2011-07
[60]
뉴스
중앙·동아 “영국, 체벌 허용” 보도는 오보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7-15
[61]
뉴스
복지에 갇힌 ‘그리스 보도’
http://news.kbs.co.k[...]
KBS
2011-07
[62]
뉴스
[복지강국이 앓고 있다]<4>복지 퍼주다 신용등급 강등 일본의 굴욕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1-29
[63]
뉴스
일본 신용도 추락이 ‘복지 퍼주기’ 탓?… ‘원죄’는 토건 올인·감세조치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1-01-28
[64]
뉴스
동아일보는 취재의 기본을 지켜라”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9
[65]
뉴스
천안함은 북한 도발? "김정남 조선일보 보도는 거짓"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01-19
[66]
뉴스
<사설>‘천안함 北 소행’ 김정남도 인정했는데…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1-18
[67]
뉴스
조선일보 ‘김정남 천안함 언급’ 보도, 김정남 이메일엔 없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1-19
[68]
뉴스
<바로잡습니다> 日기자의 김정남 관련 책에 '천안함' 언급 없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1-19
[69]
뉴스
하루 승객 15명인 驛에 역무원 17명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12-26
[70]
뉴스
'하루승객은 15명, 역무원은 17명' 쌍용역 기사의 진실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4-01-28
[71]
뉴스
'전교조 명단 공개' 조전혁 의원 3억 배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7-26
[72]
뉴스
조선일보 ‘딱걸린 현장’…상품권에 무료구독까지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08-06-12
[73]
뉴스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4-29
[74]
뉴스
조중동 저항, 불신 키우네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1-02-14
[75]
웹사이트
[일요시사] ‘끼리끼리’ 아모레퍼시픽 황금 혼맥도
https://www.ilyosisa[...]
2024-09-25
[76]
뉴스인용
현금 주며 구독 권유
https://news.naver.c[...]
MBC
2009-09-15
[77]
뉴스인용
신문고시 위반 포상금 94%가 조·중·동 관련
http://news.nate.com[...]
한국일보
2009-10-05
[78]
뉴스
“조중동, 그게 어디 신문입니까?”
http://media.daum.ne[...]
미디어오늘
2006-03-25
[79]
뉴스인용
촛불들의 '경향·한겨레 구독운동', 들불처럼 번져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6-05
[80]
뉴스
동조중 광고압박, 한겨레 경향에도 악영향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8-06-25
[81]
뉴스
“경향·한겨레 도약하려면 왜곡된 신문시장 구조부터 바꿔야”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8-07-11
[82]
뉴스인용
광고주 항의 전화, 매출 감소 약발 최고?
http://www.dailyseop[...]
데일리 서프라이즈
2008-06-07
[83]
뉴스인용
르까프-신선설농탕-목우촌, "보수 언론 광고 자제하겠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8-06-06
[84]
뉴스인용
<조중동> 광고기업들, 잇따라 '광고중단 선언'
http://www.viewsnnew[...]
뷰스엔뉴스
2008-06-12
[85]
뉴스인용
진보신당, 2MB와 조중동의 홍위병으로 전락한 대검찰청
http://news.cnbnews.[...]
CNB뉴스
2008-06-21
[86]
뉴스
법원 "조중동 광고중단운동 유죄"
http://kr.srd.yahoo.[...]
파이낸셜뉴스
2009-02-19
[87]
뉴스
기업광고 중단 협박은 정당성 없는 불법행위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12-18
[88]
뉴스
다음에서 조중동 뉴스 없어진다고?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8-07-01
[89]
뉴스
인터넷포털 다음, 조선· 중앙일보 기사 서비스 재개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11-07
[90]
뉴스
민주노총, 조선일보에 '맞짱' 선언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09-09-23
[91]
뉴스인용
개콘 '방송과의 전쟁', 깨알풍자로 인기 예감
http://www.obsnews.c[...]
OBS뉴스
2012-05-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