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헤르토헨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헤르토헨보스는 네덜란드 노르트브라반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공작의 숲'이라는 뜻을 지닌다. 1185년 브라반트 공작 헨리 1세에 의해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요새 도시이자 무역, 예술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15세기 르네상스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출생지이며, 현재까지도 중세 시대의 도시 방어 시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매년 카니발 축제가 열리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클럽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주도 - 헤이그
    헤이그는 네덜란드 정부의 중심지이자 "평화와 사법의 국제도시"로서, 국제사법재판소를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네덜란드의 주도 - 미델뷔르흐
    미델뷔르흐는 네덜란드 젤란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1217년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중세 시대 무역 중심지였고, 17세기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 노르트브라반트주의 도시 - 틸뷔르흐
    틸뷔르흐는 네덜란드 북브라반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에는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1809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과거 양모 산업 중심에서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물류 산업, 문화 시설, 교육 기관, 그리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갖춘 도시이다.
  • 노르트브라반트주의 도시 - 로센달
    로센달은 네덜란드 노르트브라반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 이탄 사업으로 성장했으나 80년 전쟁으로 쇠퇴했고, 현재는 지역 철도 허브이자 다양한 문화 행사와 브라비스 로센달 병원이 있는 곳이다.
  • 네덜란드의 도시 - 헤이그
    헤이그는 네덜란드 정부의 중심지이자 "평화와 사법의 국제도시"로서, 국제사법재판소를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네덜란드의 도시 - 미델뷔르흐
    미델뷔르흐는 네덜란드 젤란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1217년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중세 시대 무역 중심지였고, 17세기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스헤르토헨보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스헤르토헨보스 깃발
깃발
스헤르토헨보스 문장
문장
국가네덜란드
북브라반트주
자치체 유형도시 및 지방 자치체
면적91.26 km²
육지 면적84.45 km²
수역 면적6.81 km²
고도6 m
시간대CET
UTC 오프셋+1
서머타임 시간대CEST
서머타임 UTC 오프셋+2
우편 번호5200–5249
지역 번호073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브랜드 마크
인구 통계
총 인구160,783 (2022년 5월 기준)
인구 밀도1,761 명/km²
도시 인구154,205
수도권 인구355,230
메트로 지역 인구1,932,055
거주민보스헤나르
정치
정부 기관시의회
시장잭 미커스
시장 소속 정당VVD
로마자 표기법
프랑스어 표기보아-르-뒤크
독일어 표기헤르초겐부시
기타
상징용 분수
관련 인물히에로니무스 보스
박물관북브라반트 박물관
성당성 요한 대성당
시청스헤르토헨보스 시청
이미지 모음
도심 전경
도심 전경
보스헤 브룩에서 본 도시
보스헤 브룩에서 본 도시
비넨디에제 운하
비넨디에제 운하
용 분수
용 분수
히에로니무스 보스
히에로니무스 보스
북브라반트 박물관
북브라반트 박물관
성 요한 대성당
성 요한 대성당
스헤르토헨보스 시청
스헤르토헨보스 시청

2. 역사

1185년,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는 스헤르토헨보스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칙허장을 발표했다. 이 도시는 홀란트 백작령과 게르더른 백작령의 침략을 막기 위해 요새화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양모 무역과 예술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교구가 된 스헤르토헨보스는 80년 전쟁 동안에도 저항을 이어갔으나, 1629년 오라녜 공 프리드리히 헨드릭이 이끄는 군대에 항복하였다. 이후 네덜란드 공화국 하에서 자치권 없는 점령지로 취급되었다.

1792년에는 프랑스 혁명군의 침공을 받아 프랑스 제1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성립되면서 스헤르토헨보스는 노르트브라반트주의 주도로 지정되었다.

2. 1. 중세 시대

스헤르토헨보스라는 이름은 옛 네덜란드어 des Hertogen boschnl를 줄인 말로, '공작의 숲'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공작은 브라반트 공작 헨리 1세를 가리키며, 그의 가문은 인근 오르텐의 넓은 영지를 4세기 이상 소유하고 있었다.

헨리 1세는 1185년, 습지 가운데 숲이 우거진 모래 언덕에 새로운 도시를 세우고 도시 권리와 무역 특권을 부여했다. 이는 헬레홀란트의 침략으로부터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었으며, 처음부터 요새 도시로 계획되었다. 이 연도는 후대 역사가들이 제시한 것이며, 실제 기록상으로는 1196년에 처음 언급된다. 원래의 헌장은 소실되었다. 1203년, 헬레와 홀란트 연합군의 공격으로 도시는 파괴되었으나 곧 재건되었다. 당시 세워진 성벽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16세기 스헤르토헨보스


14세기 후반에는 도시가 크게 확장되면서 이를 보호하기 위해 더 큰 규모의 성벽이 건설되었다. 도시 해자 역할을 할 인공 수로를 파서 돔멜강과 아강의 물길을 끌어들였다. 스헤르토헨보스는 북부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히에로니무스 보스가 태어나 활동한 곳이기도 하다.

1520년 무렵까지 도시는 크게 번영하여, 당시 네덜란드 영토 내에서 유트레흐트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되었다. 또한 음악의 중심지로서, 제로니무스 클리바노와 같은 작곡가들이 이곳 교회에서 교육을 받았다. 마테우스 피펠라레는 성모 마리아 수녀회의 음악 감독을 지냈으며, 유명한 합스부르크 사본 제작자이자 작곡가인 피에르 알라미르도 스헤르토헨보스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중세 시대 동안 스헤르토헨보스는 양모 등을 거래하는 무역 도시이자 예술 도시로 번성했다.

2. 2. 종교 개혁과 80년 전쟁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스헤르토헨보스는 독립된 주교구가 되었다. 80년 전쟁이 발발하자, 스헤르토헨보스는 합스부르크(가톨릭) 측을 지지하며 도시 내 칼뱅파의 쿠데타 시도를 막아냈다. 네덜란드 공화국의 총독이었던 오라녜 공 모리스는 스헤르토헨보스를 점령하기 위해 여러 차례 포위 공격을 시도했다. 도시는 1601년과 1603년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7]

십이년 휴전 이후 전투가 재개되기 전, 도시의 요새는 크게 확장되었다. 주변의 넓은 늪지대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의 포위 공격이 어려워 '늪의 용'(moerasdraaknl)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난공불락의 요새로 여겨졌다.[9] 그러나 1629년, 모리스의 동생인 오라녜 공 프리드리히 헨드릭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함락되었다.[8] 프리드리히 헨드릭은 돔멜강과 아강의 물길을 돌리고 40km에 달하는 제방을 쌓아 주변 늪지대를 간척한 뒤, 풍차를 이용해 물을 퍼내는 방식으로 도시를 공략했다. 3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스헤르토헨보스는 결국 항복했다. 이 함락은 삼십년 전쟁 중 합스부르크 가문의 전략에 큰 타격을 주었다.

항복 이후 스헤르토헨보스는 브라반트 공국의 다른 지역과 분리되었으며, 네덜란드 공화국 하에서 정치적 자치권이 없는 총독령(Generality Lands)으로 관리되었다.

2. 3. 30년 전쟁과 프랑스 혁명

십이년 휴전 이후 80년 전쟁이 재개되기 전인 1618년 이후, 스헤르토헨보스의 요새는 크게 확장되었다. 주변이 늪지대였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의 포위 공격이 어려웠고, 함락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늪의 용"(Moerasdraaknl)이라는 별명을 얻었다.[9] 그러나 1629년, 네덜란드 공화국의 오라녜 공 프리드리히 헨드릭은 돔멜강과 아강의 물길을 돌리고 제방을 쌓아 간척지를 만든 뒤 풍차로 물을 퍼내는 방식으로 도시를 포위했다. 3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도시는 항복했으며, 이는 삼십년 전쟁 중 합스부르크 가문의 전략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 사건으로 스헤르토헨보스는 공국의 나머지 지역과 분리되었고, 네덜란드 공화국에 의해 자치권이 없는 점령지(총독령)로 취급되었다.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요새는 다시 확장되었다. 1672년 네덜란드의 '재앙의 해'(람프야르)에는 프랑스 루이 14세 군대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1794년, 샤를 피슈그루가 이끄는 프랑스 혁명군이 도시를 공격했다. 당시 도시 방어는 허술했고, 짧은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다. 피슈그루의 군대는 이후 네덜란드 공화국을 점령하고 종식시켰다. 1795년 수립된 바타비아 공화국 하에서는 가톨릭 신자와 브라반트 주민들이 동등한 권리를 얻게 되었다. 1806년부터는 홀란드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1810년에는 나폴레옹의 제1프랑스 제국에 편입되었다. 1814년에는 프로이센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1815년 네덜란드 연합왕국이 성립되면서 스헤르토헨보스는 북브라반트주의 주도가 되었다.

2. 4. 네덜란드 연합 왕국 시대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성립되면서 스헤르토헨보스는 노르트브라반트주의 주도가 되었다. 이 시기 도시 주변에는 새롭고 현대적인 요새들이 많이 건설되었다. 또한 도시에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Zuid-Willemsvaart|주이트빌럼스파르트nl'라는 새로운 운하가 건설되어 무역, 제조업, 산업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878년까지 성벽 밖에 건물을 짓는 것이 금지되면서 도시 내 인구 과밀 현상이 심각해졌고, 이는 네덜란드 왕국 내에서 가장 높은 영아 사망률을 기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19세기 말에는 매우 보수적인 시 정부가 노동자 수 증가와 교육 기관 설립을 피하고자 산업 투자를 막는 정책을 펼쳤다. 학생들은 무질서한 존재로 여겨졌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스헤르토헨보스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점차 감소하게 되었다.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이후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서유럽의 몇 안 되는 공식적인 나치 강제 수용소 단지 중 하나가 '스헤르토헨보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수용소는 1943년 1월부터 1944년 9월까지 운영되었으며, 독일인들에게는 헤르초겐부시(Herzogenbusch)로 알려졌다. 이 기간 동안 약 3만 명의 수감자가 이 단지에 수감되었고, 그중 약 1만 2천 명은 유대인이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이 수용소를 '캄프 뷔흐트(Kamp Vught)'라고 부르는데, 이는 강제 수용소가 실제로 스헤르토헨보스에서 남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뷔흐트 마을 근처의 황야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이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1940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군에 점령당했다. 1944년 9월 16일에는 영국 공군의 폭격으로 기차역이 피해를 입었다. 이후 피전 작전(Operation Pheasant)이 진행되어 1944년 10월 24일부터 27일 사이에 소장 로버트 녹스 로스(Robert Knox Ross)가 지휘하는 제53(웨일스) 보병 사단 소속 영국 육군 병사들에 의해 해방되었다. 이는 10월 23일부터 24일까지 제158 보병 여단의 이스트 랭커셔 연대 제1대대가 거둔 승리에 이은 것이었다.[10]

전쟁 후, 스헤르토헨보스도 네덜란드의 다른 많은 도시들처럼 현대화 과정을 겪었다. 초기에는 지리적 요인 덕분에 구시가지가 급격한 재건축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도시의 역사를 보존하려는 움직임이 힘을 얻었다. 1956년 시의회는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벽돌 건물인 '데 모리아안'(De Moriaan)을 철거하여 시장 광장으로의 교통 접근성을 개선하려 했으나, 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대신 1963년부터 건물을 복원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를 계기로 시 당국은 역사적 건물의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역사적인 요새 보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 지리

스헤르토헨보스는 네덜란드 남부 노르트브라반트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이 도시는 습지 가운데 솟아오른 모래 언덕 위에 세워졌다는 독특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초기부터 도시가 요새로서 기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시 주변으로는 돔멜강과 아강 등 여러 강이 흐르며, 과거에는 이 강물을 이용해 해자를 만들고 도시 방어 체계를 구축했다. 도시 지하에는 빈넨디제(Binnendieze)라 불리는 오래된 운하망이 존재한다.

이 지역의 기후는 연중 온화하고 강수량이 충분한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11] 도시 남쪽에는 과거 간척지였던 보스흐 브로크(Bossche Broek)라는 넓은 자연보호구역이 펼쳐져 있으며, 이곳은 나투라 2000 보호 지역의 일부로 지정되어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 공간이다.

3. 1. 위치 및 지형

2014년 3월 기준 스헤르토헨보스(’s-Hertogenbosch)의 네덜란드 지형도


도시 성벽


헤르토헨보스 요새


스헤르토헨보스는 브라반트 공작 헨리 1세가 습지 한가운데 있는 숲이 우거진 모래 언덕 위에 건설한 도시다. 이러한 독특한 지리적 위치는 도시 건설 초기부터 헬레홀란트의 침략으로부터 공작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요새로서의 기능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도시가 확장되면서 14세기 후반에는 기존 정착지를 보호하기 위해 더 큰 규모의 성벽이 건설되었다. 이때 돔멜강과 아강의 물길을 도시 주변으로 돌려 해자로 사용하기 위한 인공 수로가 파였다. 또한 옛 도시 아래에는 운하망인 빈넨디제(Binnendieze)가 숨겨져 있는데, 과거에는 총 길이가 22km에 달했다. 중세 시대에는 이 수로가 도시를 관통하는 돔멜 강 본류였으나, 도시 공간이 부족해지면서 사람들이 강 위에 집과 도로를 짓기 시작하여 현재의 지하 수로 형태가 되었다.

많은 강이 흘러드는 광활한 늪 한가운데 자리 잡은 모래 언덕이라는 지형적 특징은 스헤르토헨보스의 강력한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자연적 방어 조건 덕분에 15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건설된 광범위하고 거의 완벽하게 보존된 도시 방어 시설을 갖출 수 있었다. 특히 성벽은 도시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여러 강이 도시로 합류하는 지형적 특성은 일반적인 직교 형태의 도시 계획과는 다른, 독특한 거리 구조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3. 2. 기후

이 지역의 기후는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가 적고 연중 강우량이 충분하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Cfb(해양성 기후)에 해당한다.[11]

스헤르토헨보스의 기후[1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최고 기온 (°C)약 3.9°C약 3.9°C약 9.4°C약 13.3°C약 17.8°C약 20.6°C약 22.2°C약 21.7°C약 18.9°C약 13.9°C약 8.3°C약 6.1°C약 13.3°C
평균 최저 기온 (°C)약 -0.6°C약 -1.7°C약 1.7°C약 3.9°C약 7.2°C약 10.0°C약 12.8°C약 12.2°C약 10.0°C약 6.7°C약 3.3°C약 2.2°C약 5.6°C
평균 강수량 (mm)약 6.86cm약 5.08cm약 7.87cm약 3.05cm약 4.83cm약 5.84cm약 8.89cm약 8.13cm약 7.11cm약 5.08cm약 4.83cm약 6.10cm약 73.41cm
평균 강수일수 (일)8.86.35.84.06.06.77.88.78.27.05.48.883.5


3. 3. 인구

스헤르토헨보스의 역사적 인구
연도인구
137414,526
143812,973
146410,507
147310,579
148013,185
149615,552
152618,571
156017,500
160018,000
16659,000
174712,574
179512,841



1520년까지 이 도시는 번영하여 유트레흐트 다음으로 현재 네덜란드 영토에서 두 번째로 큰 인구 밀집 지역이 되었다.

3. 4. 자연 환경



성 야곱 대성당, 보스흐 브로크, 스헤르토헨보스 전경


도시 남쪽에는 도시 중심부와 성벽이 보스흐 브로크(Bossche Broek)와 맞닿아 있다. 보스흐 브로크는 과거의 간척지였으나 완전히 건조시키지는 못했다. 1995년에는 돔멜 강의 제방이 무너지면서 많은 양의 물이 간척지로 흘러 들어왔고, 이로 인해 주요 네덜란드 고속도로인 A2가 침수되어 통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러한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비상시에 초과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지역을 재정비했다. 2006년에는 더 높은 제방과 수문을 설치하여 비상 상황 발생 시 간척지와 인근 지역 일부를 통제된 방식으로 침수시킬 수 있도록 대비했다.

현재 보스흐 브로크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면적은 약 22ha에 달하고 뷔흐트(Vught)까지 이어진다. 이곳은 모어푸텐(Moerputten) 및 플라이멘스 벤(Vlijmens Ven)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과 함께 나투라 2000 보호 지역을 형성한다. 이 지역에는 희귀종인 희귀 큰푸른부전나비(scarce large blue)와 유럽종개(European weather loach)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모어푸텐에는 19세기에 건설된 600m 길이의 철도 교량인 모어푸텐 다리(Moerputten Bridge)가 있는데, 이는 뛰어난 기술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보스흐 브로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도시 중심부와 매우 가깝다는 점이다.

4. 문화

스헤르토헨보스의 전형적인 거리


스헤르토헨보스는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도시이다. 주요 행사로는 '블러바드' 극장 축제, '듀크타운 재즈', '듀크타운 힙합', 국제 성악 콩쿠르, 노벰버 뮤직(현대 음악 축제) 등이 있다. 과거에는 투르 드 프랑스(1996년)와 투르 드 프랑스 훼미닌(1997년)을 개최했으며, 인근 로스말렌 마을에서는 유니세프 오픈(이전 오르디나 오픈) 그래스 코트 테니스 토너먼트가 열린다. 도시에는 350개가 넘는 레스토랑, 펍, 카페가 자리하고 있다.

예술 분야에서는 국제적인 세라믹 레지던시 프로그램인 유럽 세라믹 워크 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실내악, 즉흥 음악, 실험 음악을 위한 음악 공연장인 데 툰잘과 대중음악 공연장 W2 등이 있다.

또한, 보스 볼이라는 독특한 지역 음식이 유명하다. 이는 휘핑크림으로 속을 채우고 겉을 초콜릿으로 코팅한 큰 프로피테롤이다.

이 지역에서는 Maaslands (Brabants)|마슬란트어nld라는 언어가 사용되는데, 스헤르토헨보스에서 쓰이는 변종은 'Bosch'라고 불린다. 이는 브라반트 방언의 일종으로 일상적인 네덜란드어와 매우 유사하다.[14]

4. 1. 카니발 축제

2007년 시청에서 오에텔돈크 시장 톤 롬바우츠와 카니발 왕자


농부 니리스와 헨드린 조각상


스헤르토헨보스('s-Hertogenbosch)는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카니발 축제 중 하나로 유명하다. 기록에 따르면 이미 1385년부터 카니발 행사가 개최되었으며[15], 15세기 이 도시 출신의 종교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스도 카니발을 소재로 한 작품을 남겼다. 당시 카니발은 사순절 단식에 앞서 춤과 노래로 축하하는 3일간의 연회였다.

원래 가톨릭교회 교구였던 스헤르토헨보스는 1629년 프레데릭 헨드릭 군대에 함락된 후 가톨릭 신앙과 함께 카니발 개최가 금지되었으나, 시민들은 비밀리에 축제를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1792년 프랑스 혁명군의 침공으로 가톨릭 신앙을 되찾으면서 카니발 행사가 부활했고, 리에주에서 온 유리 세공사들의 영향으로 "거리 카니발" 전통도 생겨났다.

그러나 19세기 들어 노동 계급 중심으로 카니발이 점차 과격하고 폭력적으로 변하자 부르주아 계층의 반대가 심해졌다. 1881년에는 스헤르토헨보스의 주교 고트샬크(Monsignor A. Godschalk)가 시민들에게 카니발 중지를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이전부터 사순절 화요일의 전통 축제가 과도함으로 이어진다며 금지하려 했다.

이에 폭력적인 카니발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1881년부터 1883년 사이에 모여 새로운 형태의 카니발을 구상했다. 이들은 카니발 기간 동안 스헤르토헨보스를 '오에텔돈크(Oeteldonknl)'라는 가상의 마을로 만들기로 합의했다. '오에텔돈크'라는 이름은 도시 주변의 습지(donk)와 그곳에 사는 개구리(oetel)에서 유래했다는 설과[15], 카니발을 반대했던 주교의 출신지 덴 둥언(Den Dungen)의 흔한 성씨 '판 덴 오에텔라르(Van den Oetelaar)'를 풍자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15] 오에텔돈크에서는 모든 주민이 농부 또는 소녀/젊은 여성을 의미하는 '뒤르스커(durskenl)'가 되어 계급 차이가 사라진다.[16]

1882년, 첫 번째 가상 시장으로 '피르 판 덴 무겐허이펠 탓 덴 밥버드(Peer vaan den Muggenheuvel tot den Bobberdnl)'가 임명되었고, 오에텔돈크의 전통을 지키기 위한 '더 오에텔돈크스허 클럽(De Oeteldonksche Clubnl)'이 결성되어 현재까지 카니발을 기획하고 있다. 1883년부터는 시장 외에 오에텔돈크의 군주인 '아마데이로 왕자(H.R.H. Prince Amadeiro Ricosto di Carnavallo, Prince Amadeironl)'와 가상의 행정 장관들이 임명되기 시작했다(원본 소스에 따라 25세 또는 26세로 언급됨). 매년 카니발 일요일 오전 11시 11분, 실제 스헤르토헨보스 시장은 오에텔돈크 시장에게 권한을 넘기고, 오에텔돈크 시장은 중앙역에서 아마데이로 왕자를 맞이하여 시청까지 행진한다.

카니발 기간 동안 시민들은 전통적인 농부 복장인 '보어러키엘(boerenkielnl)'을 입는다. 이 옷에는 매년 축제 주제에 맞는 패치를 꿰매 달 수 있으며, 전통적인 농부용 머릿수건과 오에텔돈크의 상징색인 빨강, 흰색, 노랑 스카프를 함께 착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복장 전통은 네덜란드 다른 지역의 카니발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다. 거리는 오에텔돈크의 상징색으로 장식되고 축제 음악이 끊이지 않는다.

상징설명
삼색기오에텔돈크의 국기. 빨강, 흰색, 노랑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부 니리스와 헨드린 조각상카니발 기간 동안 시 중심부 마르크트(Marktnl) 광장에 세워진다. 윤년에는 니리스 옆에 헨드린 조각상이 세워진다.
개구리습지의 마스코트이자 오에텔돈크의 중요한 상징이다.[15]


4. 2. 예술

스헤르토헨보스는 북부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히에로니무스 보스가 태어나고 활동했던 곳이다. 도시의 히에로니무스 보스 아트센터(Jheronimus Bosch Art Center)는 그의 작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며, 그가 실제 그림을 그렸던 집은 마르크트 광장에서 방문할 수 있다.

16세기 초반, 도시는 경제적으로 번영하며 중요한 음악 중심지로도 발돋움했다. 제로니무스 클리바노와 같은 작곡가들이 이곳 교회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고, 마테우스 피펠라레는 성모 마리아 수녀회에서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또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유명한 필사본 제작자이자 작곡가였던 피에르 알라미르도 스헤르토헨보스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현대에도 노벰버 뮤직(현대 음악 축제)과 같은 행사가 열리며, 실내악, 즉흥 음악, 실험 음악을 위한 공연장 데 툰잘과 대중음악 공연장 W2가 운영되고 있다.

노르트브라반트 박물관(Noordbrabants Museum)


현대 예술 분야에서는 유럽 세라믹 워크 센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91년에 시작된 이 센터는 국제적인 세라믹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전 세계의 예술가, 디자이너, 건축가들이 세라믹 매체를 탐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스헤르토헨보스에는 다양한 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다. 노르트브라반트 박물관(Noordbrabants Museum)은 빈센트 반 고흐가 브라반트 지역에서 활동하며 남긴 작품들을 전시하는 주립 박물관이다. 덴 보스 디자인 박물관(Design Museum Den Bosch)은 현대 미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그 밖에도 스완 형제의 집(Swan Brothers' House), 슬라허 박물관(Museum Slager), 네덜란드 국립 카니발 박물관인 오에텔돈크스 게민테뮤제윰(Oeteldonks gemintemuzejum) 등이 있다.

4. 3. 음식

스헤르토헨보스에는 보스 볼(Bossche bol|보스 볼nld)이라는 독특한 음식이 있다. 이는 12세기부터 이 도시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테니스 공보다 약간 큰 대형 프로피테롤(슈크림)이다. 속은 휘핑크림으로 채워져 있고 겉은 초콜릿으로 코팅되어 있다.

4. 4. 언어

사용 언어는 Maaslands|마슬란트어nl이다. 스헤르토헨보스에서 사용되는 변종은 ''Bosch''라고 불리며, 이는 중앙 북부 브라반트 방언 중 하나로 분류되지만, 다른 분류 체계에서는 동부 브라반트 방언으로 보기도 한다. 이 방언은 일상적인 네덜란드어와 매우 유사하다.[14]

4. 5. 종교

스헤르토헨보스에서 로마 가톨릭교는 가장 우세한 종교로, 인구의 43.3%가 가톨릭 신자라고 밝히고 있다.[25] 그러나 실제 미사 참석률은 이보다 훨씬 낮다. 시내 중심부에는 성 요한 대성당, 성 카타리나 교회, 그리고 기차역 근처의 프란체스코 수도원 교회 등 세 개의 교회가 여전히 가톨릭 교회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힌탐의 성 안나 교회, 엠펠의 성 란돌린 교회, 마스포트의 성 윌리브로르트 교회, 로스마렌의 성 람베르트 교회 등이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되는 작은 교회들이다.

개신교 신자의 비율은 과거 20%에서 약 4.1%로 감소했다.[25] 개신교 공동체는 주로 대교회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동방 정교회는 스헤르토헨보스에서 비교적 새로운 종교 공동체이며, 성 카타리나 교회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이 교회에서는 2021년부터 다시 가톨릭 예배도 거행되고 있다.

이슬람교 신자는 인구의 5%를 차지하며,[25] 모로코계 공동체는 아라흐마 모스크를, 터키계 공동체는 오르한 가지 모스크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무종교 인구가 44.8%로 가장 많으며, 기타 기독교 교파(2.1%), 불교(0.4%), 힌두교(0.3%) 등 다양한 종교 공동체가 존재한다.[25]

5. 경제

스헤르토헨보스 시는 산업, 교육, 행정 및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노르트브라반트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며,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의 활동 기반이자 지역 고용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13]

5. 1. 산업 및 기업

19세기에 새로운 운하인 '주이트빌럼 운하(Zuid-Willemsvaart)'가 건설되면서 무역, 제조업, 산업이 성장했다. 그러나 19세기 말, 매우 보수적인 시 정부는 노동자 증가와 교육 기관 설립을 막기 위해 산업 투자를 의도적으로 저지했다. 이러한 정책은 도시의 상대적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현재 스헤르토헨보스는 산업, 교육, 행정 및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노르트브라반트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며, 하이네켄, 에픽 시스템즈, 타이코 인터내셔널, SAP 등 여러 국내외 기업들의 본거지이다. 또한 예론 보스 병원은 4,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며 지역 최대 고용주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13]

5. 2. 교통

헤르토헨보스 역(’s-Hertogenbosch railway station)


즈이트빌럼스 운하(Zuid-Willemsvaart)는 도시 북쪽 마스강(Meuse)에서 시작하여 헬몬드(Helmond)와 베르트(Weert)를 거쳐 마스트리흐트(Maastricht)까지 이어진다. 스헤르토헨보스에서는 도시 남동쪽을 관통하는데, 이 경로 때문에 과거 요새의 성채(bastion)가 분리되기도 했다. 또한 이 경로 때문에 CEMT 2등급보다 큰 선박은 운하를 통과하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동쪽에 8km 길이의 막시마 운하(Máxima Canal)가 건설되었다. 이 운하는 마스강과 즈이트빌럼스 운하를 잇는 지름길 역할을 하며, CEMT 4등급 선박까지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 도시 서쪽에 남아 있는 즈이트빌럼스 운하 구간에는 스헤르토헨보스의 산업 항구가 있으며, 도심에는 마리나가 있다.

도로 교통은 네덜란드의 중요한 남북 교통축인 A2 고속도로가 도시를 통과한다. 이 도로는 1942년 디제 다리(Dieze Bridge) 개통으로 연결되었으며, 1961년부터 우트레흐트(Utrecht)와 스헤르토헨보스 구간은 2차선 2개 차로로 확장되었다. 1970년에는 A2 고속도로가 도시 동쪽으로 우회하도록 변경되었고, 1989년에는 통제구간 고속도로(controlled-access highway)가 되었다. 1996년에는 스헤르토헨보스와 아인트호벤(Eindhoven) 사이 구간도 통제구간 고속도로로 바뀌었다. 마스트리흐트 구간의 교통 문제는 2016년 빌럼 알렉산더르 국왕 터널(Koning Willem-Alexandertunnel) 개통으로 개선되었다. 동서 방향으로는 A59 고속도로가 도시를 통과한다. 스헤르토헨보스와 틸뷔르흐(Tilburg)를 잇는 A65 고속도로는 지역 고속도로이지만, 완전한 통제구간 고속도로는 아니다.

헤르토헨보스 역(’s-Hertogenbosch railway station)은 암스테르담과 아인트호벤 인근의 네덜란드 산업 및 기술 중심지를 연결하는 우트레흐트-복스텔 철도 구간에 있어 중요하다. 이 때문에 남북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10분 간격으로 자주 출발한다. 틸뷔르흐-나이메헌 철도(Tilburg–Nijmegen railway) 노선에서는 열차 배차 간격이 더 긴 편이다. 헤르토헨보스 역은 도시와 대부분의 교외 지역을 운행하는 아리바(Arriva) 버스 노선의 주요 환승 지점이기도 하다. 시 경계 내에는 헤르토헨보스 오스트 역(’s-Hertogenbosch Oost railway station)과 로스말렌 역(Rosmalen railway station)이 있으며, 뷔흐트 역(Vught railway station)은 로스말렌 역보다 오히려 시 중심에 더 가깝다.

네덜란드 전역에서 자전거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헤르토헨보스 역시 이에 발맞춰 노력해왔다. 도시 전역에 상당한 규모의 자전거 도로가 건설되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2011년에는 피에츠스타트(Fietsstad) 2011, 즉 '2011년 네덜란드 최고의 자전거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 다만, 관련 보고서에서는 이 상이 도시의 더 많은 노력을 촉구하는 의미도 있음을 시사했다. 네덜란드 자전거 이용자 연합(Fietsersbond)의 후고 반 데어 스테인호벤(Hugo van der Steenhoven)은 "지난 몇 년간 스헤르토헨보스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 열정, 창의력, 그리고 자금을 투입했다. 네덜란드 다른 지역에 비해 자전거 이용률이 낮았던 도시에서 이룬 큰 성과이다"라고 평가했다.[22]

6. 교육

스헤르토헨보스에는 다양한 수준의 교육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응용과학대학교와 같은 고등 교육 기관과 김나지움을 포함한 여러 중등 교육 기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6. 1. 고등 교육

스헤르토헨보스에는 네덜란드어로 Hogeschoolnl이라 불리는 여러 전문대학이 있다. 약 3,5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HAS 응용과학대학교는 농업 및 식품 기술 교육에 중점을 둔다. 아반스 응용과학대학교는 스헤르토헨보스와 인근 도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1812년에 설립된 예술 아카데미인 AKV 성 요스트는 현재 아반스 응용과학대학교의 일부이다.[23] 폰티스 응용과학대학교 역시 이 도시에서 일부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스헤르토헨보스 중심부 마리엔부르크 캠퍼스에는 헤로니무스 데이터 과학 아카데미(Jheronimus Academy of Data Science, JADS)가 있다. 이곳은 아인트호벤 공과대학교와 틸뷔르흐 대학교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데이터 과학 분야의 석사(MSc) 및 박사(PhD) 과정을 제공한다.[24]

6. 2. 중등 교육

중등 교육에서는 시립 김나지움(City Gymnasium)이라는 김나지움이 있는데, 이는 도시의 라틴 학교에서 유래했다. 이 학교는 문법 학교와 비슷하며 그 기원을 1274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같은 유형의 교육과 다른 모든 유형의 중등 교육은 다음 기관들에서 제공한다.

  • 헤르토헨보스 예술 및 디자인 아카데미
  • 아반스 응용과학대학교
  • 브레데 보스체 학교
  • 디에스 피어슨 칼리지
  • HAS 응용과학대학교
  • 빌럼 1세 칼리지
  • 헤르토헨보스 시립 김나지움
  • 스토아스 응용과학대학교

7. 스포츠

스헤르토헨보스는 여러 스포츠 클럽의 연고지이며 다양한 스포츠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네덜란드 프로 축구 클럽 FC 덴 보스와 필드 하키 클럽 HC 헤르토헨보스가 이 도시를 연고지로 하고 있다.[21] 또한, 1990년부터 매년 ATP 투어 및 WTA 투어의 로스말렌 그래스 코트 챔피언십(개최 당시 명칭 톱셰프 오픈) 테니스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21]

7. 1. 축구

스헤르토헨보스에는 프로 축구 클럽인 FC 덴 보스가 있다. 이 클럽은 1967년에 BVV(Bossche Voetbal Verenigingnl)와 Wilhelmina의 프로팀을 통합하여 창단되었다. 두 클럽은 현재도 아마추어 축구 클럽으로 활동하고 있다. FC 덴 보스의 전신 격인 BVV는 1948년 네덜란드 전국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우승을 기념하여 홈구장인 데 플리르트 경기장이 건설되었으며, 초기에는 3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였으나 현재는 8,500명 규모로 축소되었다. FC 덴 보스는 네덜란드의 유명 축구 선수인 루트 판 니스텔로이가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한 첫 번째 클럽으로도 알려져 있다.

7. 2. 필드하키

스헤르토헨보스는 필드하키에서 더욱 성공적인 도시로 알려져 있다. 최고 클럽인 HC 덴 보스의 연고지이며, 특히 여자팀은 네덜란드 필드하키 리그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HC 덴 보스는 스헤르토헨보스에 위치한 홈구장을 사용한다.

7. 3. 농구

스헤르토헨보스에는 프로 농구 클럽인 뉴 히어로즈 덴 보스가 있으며, 이 클럽은 매우 성공적인 팀으로 평가받는다.

7. 4. 기타

스헤르토헨보스에는 여러 스포츠 클럽과 행사가 있다. 프로 축구 클럽으로는 FC 덴 보스가 있으며, 1967년 BVV(Bossche Voetbal Vereniging)와 Wilhelmina의 프로팀을 계승하여 창단되었다. BVV는 1948년 전국 챔피언십 우승 경력이 있다. FC 덴 보스의 홈구장은 데 플리르트 경기장으로, 한때 3만 명을 수용했으나 현재는 8,500명 규모로 줄었다. 네덜란드 국가대표 축구 선수였던 루트 판 니스텔로이가 프로 경력을 시작한 팀이기도 하다.

필드하키 분야에서는 HC 헤르토헨보스가 강세를 보이며, 특히 여자팀은 네덜란드 필드하키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프로 농구 클럽인 뉴 히어로즈 덴 보스 역시 성공적인 팀으로 알려져 있다. 럭비 클럽으로는 1974년에 창단된 '더 듀크스'(The Dukes)가 있다. 이 클럽은 도시 성벽 아래 아름다운 곳에 위치하며, 공간 제약으로 인해 인조잔디 구장을 사용하고 일부 시설은 지하에 있다. 더 듀크스는 네덜란드에서 유소년 회원이 가장 많은 럭비 클럽 중 하나이며, 2008년에는 전국 럭비 챔피언에 올랐다.[21]

국제 스포츠 행사도 개최된다. 매년 윔블던 챔피언십 2주 전에는 ATP 투어와 WTA 투어에 속하는 그래스 코트 테니스 대회인 로스말렌 그래스 코트 챔피언십(1990년 시작 당시 명칭은 톱셰프 오픈)이 열린다. 또한, 2019년 6월에는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와 세계 장애인 양궁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들은 파레이드(Parade) 광장과 더 듀크스 럭비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모든 결승전은 약 700년 된 성 요한 대성당 아래의 유서 깊은 파레이드 광장에서 치러졌다.

8. 자매 도시

9. 주요 인물

스헤르토헨보스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하거나 활동의 기반이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스가 이곳 출신이며, 세계적인 인문학자 데지데리우스 에라스무스도 유년 시절 이곳에서 교육을 받았다. 또한 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들인 클레멘스 농 파파와 피에르 드 라 뤼가 이곳에서 활동했으며,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네덜란드 대표 판사를 지낸 법학자 베르트 뢰링(Bert Röling)과 전 축구 선수 아놀드 숄텐(Arnold Scholten) 역시 스헤르토헨보스와 관련이 깊다. 이 외에도 예술, 정치, 스포츠 등 여러 분야의 인물들이 스헤르토헨보스와 인연을 맺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각 분야별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1. 예술 및 문화

히에로니무스 보스, 1550년경 사후 초상화


스헤르토헨보스는 많은 예술가와 문화계 인물을 배출하거나 관련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르네상스 시대의 유명한 종교 화가히에로니무스 보스(약 1450년–1516년)는 스헤르토헨보스 출신으로, 초기 네덜란드 회화 화파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쾌락의 정원》 등이 있다.

'''주요 출신 인물'''

  • 후베르트 게르하르트(Hubert Gerhard, 약 1540년–1620년): 네덜란드 조각가.
  • 아브라함 판 디펜벡(Abraham van Diepenbeeck, 1596년–1675년): 플랑드르 화파의 네덜란드 화가.[28][29]
  • 테오도르 판 툴던(Theodoor van Thulden, 1606년–1669년): 제단화와 초상화의 화가이자 판화가.
  • 퀴리누스 판 아멜스포르트(Quirinus van Amelsfoort, 1760년–1820년): 풍속화, 역사화, 초상화를 그린 네덜란드 화가.
  • 카렐 슬뤼터만(Karel Sluijterman, 1863년–1931년): 네덜란드 건축가, 가구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삽화가, 도예가, 제본 디자이너이자 교수.
  • 안톤 시스터만스(Anton Sistermans, 1865년–1926년): 네덜란드 바리톤, 가곡과 오라토리오 가수.
  • 소피 판 데르 도스 더 빌레보이스(Sophie van der Does de Willebois, 1891년–1961년): 네덜란드 도예가.
  • 찰스 볼시우스(Charles Bolsius, 1907년–1983년): 화가이자 목공예가.
  • 빌럼 판 덴 호우트(Willem van den Hout, 1915년–1985년): 아동 도서 시리즈인 밥 에버스의 네덜란드 작가.
  • 요스 판 벨드호벤(Jos van Veldhoven, 1952년생): 네덜란드 합창 지휘자.
  • 레온 더 윈터(Leon de Winter, 1954년생): 작가이자 칼럼니스트.[30]
  • 오스카 판 딜렌(Oscar van Dillen, 1958년생): 네덜란드 작곡가, 지휘자, 연주가.


'''관련 인물'''

  • 데지데리우스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인문학자. 유년 시절 스헤르토헨보스에서 교육받았다.
  • 클레멘스 농 파파(Clemens non Papa): 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 스헤르토헨보스의 마리아 수도원에서 근무했다.
  • 피에르 드 라 뤼(Pierre de la Rue): 플랑드르 악파의 작곡가. 스헤르토헨보스 대성당에서 근무했다.
  • 키키 라머스(Kiki Lamers): 화가. 스헤르토헨보스 왕립 예술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 알렉스 아드리아안센스(Alex Andriessen): 아트 디렉터. 스헤르토헨보스 왕립 예술 아카데미를 졸업했다.

9. 2. 정치 및 공공

얀 더 케이(Jan de Quay), 1962년

  • 요한 박스 판 헤렌탈스(Johan Bax van Herenthals) (1637~1678): 1676년부터 1678년까지 네덜란드령 케이프 식민지 총독을 지냈다.
  • 라우렌스 스톰 판스 그라번산데(Laurens Storm van 's Gravesande) (1704~1775): 에세키보와 데메라라의 총독이었다.[27]
  • 페트루스 요세푸스 요하네스 소피아 마리에 판 데르 두스 드 빌르보이스(Petrus Josephus Johannus Sophia Marie van der Does de Willebois) (1843~1937): 네덜란드의 귀족(Jonkheer), 정치인이자 스헤르토헨보스 시장을 역임했다.
  • 크리스티안 코르넬리센(Christiaan Cornelissen) (1864~1942): 네덜란드의 신디칼리스트 작가, 경제학자이자 노동 조합원이었다.
  • 헨크 스네플리엣(Henk Sneevliet) (1883~1942): 네덜란드 및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활동한 네덜란드 공산주의자였다.
  • 프란스 테일링스(Frans Teulings) (1891~1966):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였다.
  • 피터 고드프리드 마리아 반 메우웬(Pieter Godfried Maria van Meeuwen) (1899~1982): 네덜란드의 판사이자 정치인이었다.
  • 얀 더 케이(Jan de Quay) (1901~1985): 정치인이자 심리학자였으며, 1959년부터 1963년까지 네덜란드 총리를 지냈다.
  • 베르트 뢰링(Bert Röling) (1906~1985):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전쟁학의 창시자이다.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 재판)에서 네덜란드 대표 판사로 활동했다.
  • 루이스 판 더 라르(Louis van de Laar) (1921~2004):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역사가였다.
  • 브람 스테머딩크(Bram Stemerdink) (1936년생): 은퇴한 네덜란드 정치인이자 육군 장교이다.
  • 돈 버거스(Don Burgers) (1932~2006): 네덜란드 정치인으로,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스헤르토헨보스 시장을 지냈다.
  • 마르코 크룬(Marco Kroon) (1970년생): 네덜란드 육군 특수부대 코르프스 코만도트로펜 소속 군인이다.
  • 마티스 반 밀텐버그(Matthijs van Miltenburg) (1972년생): 정치인으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지방 의원을 지냈고,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유럽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9. 3. 스포츠

하이즈 판 호이먼(Gijs van Heumen), 1986년


미인트예 도너스(Mijntje Donners), 2004년


스헤르토헨보스 출신이거나 관련 있는 주요 스포츠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앙리 스멀더스(Henri Smulders) (1863–1933): 요트 선수. 1900년 하계 올림픽 요트 단체전 은메달리스트이다.
  • 셰프 판 룬(Sjef van Run) (1904–1973): 네덜란드 축구 선수. PSV 아인트호번 소속으로 359경기에 출전했다.
  • 윔 판 호이먼(Wim van Heumen) (1928–1992): 필드하키 코치.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시의원을 겸임하기도 했다.
  • 하이즈 판 호이먼(Gijs van Heumen) (1952년생): 은퇴한 필드하키 코치. 윔 판 호이먼의 아들이다.
  • 체스 샤펜돈크(Cees Schapendonk) (1955년생): 전직 축구 스트라이커. 선수 시절 510경기 이상 출전했다.
  • 소피 폰 바일러(Sophie von Weiler) (1958년생): 은퇴한 네덜란드 필드하키 포워드.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놀드 숄텐(Arnold Scholten) (1962년생): 은퇴한 축구 미드필더. 선수 시절 440경기 이상 출전했다.
  • 마르셀 브란즈(Marcel Brands) (1962년생): 전직 프로 축구 선수. 에버턴 FC의 축구단장을 역임했다.
  • 프레드 판 데르 호른(Fred van der Hoorn) (1963년생): 네덜란드 전직 축구 선수. 선수 시절 500경기 이상 출전했다.
  • 마논 볼레그라프(Manon Bollegraf) (1964년생): 전직 프로 여자 테니스 선수.
  • 안네마리에 페르스타펜(Annemarie Verstappen) (1965년생): 전직 여자 자유형 수영 선수.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 미인트예 도너스(Mijntje Donners) (1974년생): 필드하키 선수. 네덜란드 여자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34경기에 출전했으며, 세 번의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앤서니 럴링(Anthony Lurling) (1977년생): 네덜란드 전직 축구 선수. 선수 시절 587경기에 출전했다.
  • 헤르트얀 데릭스(Geert-Jan Derikx) (1980년생) & 롭 데릭스(Rob Derikx) (1982년생) 형제: 필드하키 선수.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단체전 은메달을 획득했다.
  • 마이켈 셰퍼스(Maikel Scheffers) (1982년생): 휠체어 테니스 선수. 200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앤디 소우어(Andy Souwer) (1982년생): 네덜란드 웰터급 슛복싱 선수이자 종합격투기 선수.
  • 마르테 고데리에(Maartje Goderie) (1984년생): 네덜란드 필드하키 선수. 2008년 하계 올림픽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두 번의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칼리엔 디르크세 판 덴 호이펠(Carlien Dirkse van den Heuvel) (1987년생): 네덜란드 필드하키 선수. 2012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과 2016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다.
  • 마리아네 보스(Marianne Vos) (1987년생): 네덜란드 사이클 선수. 사이클로크로스, 도로 자전거, 트랙 자전거, 산악 자전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케니 판 갈렌(Kenny van Gaalen) (1988년생): 네덜란드 사이드카 크로스 선수.
  • 툰 그리베(Toon Greebe) (1988년생): 네덜란드 다트 선수.
  • 앙리 판 오프스탈(Henri van Opstal) (1989년생): 네덜란드 킥복서.
  • 로빈 판 로스말렌(Robin van Roosmalen) (1989년생): 네덜란드 킥복서이자 종합격투기 선수.
  • 패트릭 판 아홀트(Patrick van Aanholt) (1990년생): 네덜란드 프로 축구 선수. 현재까지 280경기 이상 출전했다.
  • 미켈 판 데르 하이덴(Michiel van der Heijden) (1992년생): 네덜란드 산악 자전거 선수이자 사이클로크로스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Samenstelling van het college http://www.s-hertoge[...] Gemeente 's-Hertogenbosch 2014-04-12
[2] 데이터참조 Dutch municipality total area
[3] 웹사이트 Postcodetool for 5211HH http://www.ahn.nl/po[...] Het Waterschapshuis 2014-04-15
[4] 웹사이트 Bevolkingsontwikkeling; regio per maand https://opendata.cbs[...] Statistics Netherlands 2022-07-14
[5] 데이터참조 Dutch municipality population urbanmetro
[6] 서적 De grenzeloze regio https://books.google[...] Sdu uitgevers 2007
[7] 서적 Philosophers of War: The Evolution of History's Greatest Military Thinkers https://books.google[...] ABC-CLIO
[8] 서적 Historical records of The Buffs, East Kent Regiment (3rd Foot) formerly designated the Holland Regiment and Prince George of Denmark's Regiment https://openlibrary.[...] Gale & Polden
[9] 웹사이트 The Siege of the Swamp Dragon https://www.bada.org[...] British Antique Dealers' Association 2023-04-25
[10] 뉴스 Rory Bremner salutes his East Lancashire war hero dad http://www.lancashir[...] 2009-11-06
[11]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for Gemert-Bakel (closest city on record) http://www.weatherba[...]
[12] 웹사이트 Weatherbase.com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3-06-03
[13] 웹사이트 Over Ons https://www.jeroenbo[...] Jeroen Bosch Ziekenhuis 2020-09-26
[14] 서적 Oost-Brabants Sdu Uitgevers
[15] 웹사이트 Oeteldonk – Oetelpedia http://www.oetelpedi[...] Oetelpedia.nl 2010-11-17
[16] 웹사이트 De stichting van Oeteldonk en de decennia daarna (1882-1945) https://www.oeteldon[...] Oeteldonksche Club van 1882 2020-06-28
[17] 웹사이트 'De Moriaan' before and after renovation http://www.teletijd.[...]
[18] 이미지 De Lakenmarkt van 's-Hertogenbosch https://archive.org/[...]
[19] 웹사이트 Kruithuis inner court http://www.teletijd.[...]
[20] 웹사이트 The Worlds Ugliest Buildings – AOL Real Estate http://realestate.ao[...] Realestate.aol.com
[21] 웹사이트 Geschiedenis van The Dukes https://www.dukesrug[...]
[22] 뉴스 Den Bosch fietsstad van 2011 https://nos.nl/artik[...] NOS 2011-11-17
[23] 웹사이트 AKV|St.Joost http://www.akvstjoos[...]
[24] 웹사이트 JADS http://www.jads.nl/e[...]
[25] 웹사이트 Kerkelijkheid en kerkbezoek, 2010/2013 https://www.cbs.nl/n[...] Centraal Bureau voor de Statistiek 2014-10-02
[26] 백과사전
[27] 뉴스 Laurens Storm van 's Gravesande: Guyana's greatest governor? https://www.stabroek[...]
[28] 백과사전
[29] 백과사전
[30] 웹사이트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20-02-10
[31] 웹사이트 Weatherbase.com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