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극의 열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극의 열흘은 1913년 멕시코에서 일어난 쿠데타 기간을 일컫는 말로,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의 축출과 암살로 멕시코 혁명이 전환점을 맞이한 사건이다. 1910년 멕시코 혁명으로 마데로가 집권했지만, 개혁 지연과 반대 세력의 반발, 미국의 내정 간섭 등으로 인해 정국이 불안정해졌다. 1913년 2월, 펠릭스 디아스의 반란을 틈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쿠데타를 일으켰고, 마데로 대통령과 부통령은 체포되어 암살당했다. 이 사건으로 멕시코시티는 큰 피해를 입었고, 우에르타의 독재 정권이 들어섰지만, 결국 혁명 세력의 반발로 붕괴되었다. 비극의 열흘은 멕시코 혁명에서 민주주의의 좌절과 폭력의 비극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3년 2월 - 다이쇼 정변
    다이쇼 정변은 1912년부터 1913년까지 일본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으로, 군부와 번벌의 영향력 확대에 반발하여 가쓰라 내각이 붕괴되고 헌정 옹호 운동으로 이어진 사건이다.
  • 1913년 2월 - 아모리 쇼
    아모리 쇼는 1913년 뉴욕에서 열린 국제 현대 미술 전시회로, 유럽의 전위적인 미술 사조를 미국에 소개하며 미국 미술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현대 미술에 대한 관심을 촉발했다.
비극의 열흘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데로에 대한 쿠데타 중 멕시코 시티 YMCA에 있는 펠릭스 디아스 추종 반군
마데로에 대한 쿠데타 중 멕시코 시티 YMCA에 있는 펠릭스 디아스 추종 반군
명칭비극의 열흘
원어 명칭 (스페인어)La Decena Trágica
개요
기간1913년 2월 9일 ~ 1913년 2월 19일
장소멕시코시티
원인멕시코 혁명
결과반군의 승리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과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 암살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대통령직을 장악
교전 세력
교전국 1(정부군)
마데로 지지자
교전국 2(반군)
포르피리오 디아스 지지자
레이에스 지지자
펠릭스 디아스 지지자
지원 세력
지휘관 및 지도자
정부군 지휘관라우로 비야르
앙헬 오르티스 모나스테리오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2월 9일-16일)
앙헬 가르시아 페냐
펠리페 앙헬레스
반군 지휘관펠릭스 디아스
베르나르도 레예스
마누엘 몬드라곤
아우렐리아노 블랑케트
그레고리오 루이스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2월 16일-19일)
헨리 레인 윌슨
피해 규모
정부군 사망자5,500명 사망
기타 정보
추가 정보빅토리아노 우에르타는 전투 중 마데로 지지에서 반(反)마데로로 전향

2. 배경

1910년 대통령 선거에서 부정 선거를 규탄하는 폭동이 일어난 후, 포르피리오 디아스는 1911년 5월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망명했다. 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가 임시 대통령을 맡았고, 1911년 11월 선거에서 프란시스코 마데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38]

그러나 마데로는 곧 지지를 잃고 비판에 직면했다. 보수파는 그가 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몰아낸 것을 용서하지 않았고, 한편 대규모 토지 소유 해체와 같은 정책을 마데로가 실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데로 지지자들은 그에게 실망했다.

마데로 임기 첫 해 동안 발생한 네 번의 반란은 다음과 같다.

발생 시기지역반란 주도 세력결과
1911년 11월모렐로스에밀리아노 사파타펠리페 앙헬레스 장군에 의해 억제되었지만 완전히 진압되지는 않음.
1912년 3월치와와 주파스쿠알 오로스코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이 처리했지만, 오로스코와 그의 콜로라도스(Colorados)는 여전히 도주 중.
1912년 12월누에보레온 주베르나르도 레예스진압, 레예스 장군은 멕시코시티에 투옥.
1912년 11월베라크루스 주펠릭스 디아스진압, 디아스 장군은 멕시코시티에 투옥.



디아스와 레예스 두 장군은 마데로 정권 전복을 계획하고 작전에 우에르타를 참여시키려 했지만, 그를 참여시킬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했다. 반란이 시작된 후에 우에르타는 비밀리에 계획에 가담했다. 미국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행정부의 대사인 헨리 레인 윌슨은 마데로 정권 타도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 1. 멕시코 혁명의 발발

멕시코 혁명은 1910년, 장기 집권하던 포르피리오 디아스 대통령의 부정 선거에 대한 항의로 시작되었다. 프란시스코 I. 마데로를 중심으로 한 혁명 세력은 디아스를 축출하고 민주적인 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다.[38]

멕시코 혁명의 성공으로 프란시스코 마데로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망명시키고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마데로는 크리오요 출신 대농장주(hacendados)의 아들이었고, 이로 인해 멕시코 혁명의 본 목적인 개혁은 지체되었으며 재정은 악화되었다. 이 때문에 혁명군 사이에서 불만이 커졌다.

혁명으로 쫓겨난 기득권 층에서도 불온한 움직임이 나타났다. 베르나르도 레이에스, 바스케스 고메스 등이 멕시코 혁명을 본따 반란을 일으켰고, 마데로 정부는 개혁 대신 반란 진압에 집중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희생된 멕시코 국민들의 원성도 높았다.

마데로 집권 1년 후, 정권은 점차 안정되는 듯 보였다. 1913년에는 마데로와 비슷한 개혁·이상주의적 성향을 가진 우드로 윌슨미국 대통령에 취임했다. 토지 개혁과 노동 권리 개혁도 점차 진행되어 마데로 정부는 혁명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멕시코 주요 언론은 여전히 대농장주와 크리오요의 조종 하에 혁명군에 대한 악담을 퍼뜨렸고, 유언비어까지 퍼뜨렸다. 여론은 마데로에게서 점점 멀어졌다. 주 멕시코 미국 대사인 헨리 레인 윌슨은 강경한 디아스 체제 추종자로, "멕시코는 독재만이 통제할 수 있다"는 말을 공공연히 했고, 본국에는 혁명군에 대한 비방을 진위 여부와 상관없이 보고하여 미 외무부의 경고를 받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펠릭스 디아스의 반란이 일어났다. 펠릭스 디아스는 마데로의 혁명군에 의해 실각당한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조카였다. 그의 반란은 곧 진압되었고 그는 멕시코시티의 감옥에 수감되었다.

마데로의 임기 1년 만에 4개의 반란이 발생했다. 모렐로스주에서 1911년 11월에 발생한 사파타의 반란은 펠리페 앙헬레스Felipe Ángeles|펠리페 앙헬레스영어 장군에 의해 억제되었지만 완전히 진압되지는 않았다. 치와와주에서는 1912년 3월에 파스쿠알 오로스코의 반란이 발생하여 빅토리아노 우에르타에게 패배했지만, 그를 지지하는 콜로라도스(적기파)는 세력을 유지했다. 누에보레온주에서 1912년 12월에 발생한 베르나르도 레예스 장군의 반란과 베라크루스주에서 1912년 11월에 발생한 펠릭스 디아스 장군의 반란은 궤멸되었고, 두 장군은 멕시코시티에서 투옥되었다.

디아스와 레예스 두 장군은 마데로 정권 전복을 계획하고 작전에 우에르타를 참여시키려 했지만,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못했다. 반란 시작 후, 우에르타는 비밀리에 계획에 가담했다. 미국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행정부의 대사인 헨리 레인 윌슨은 마데로 정권 타도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 2. 마데로의 집권과 개혁의 한계

프란시스코 마데로는 멕시코 혁명의 성공으로 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망명시키고 1911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에 취임했다.[4][38] 그러나 마데로는 크리오요 출신의 대지주 가문 배경을 가졌기에,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멕시코 혁명의 본 목적인 토지 개혁과 노동권 보장 등의 개혁이 지체되면서 재정은 악화일로를 걸었고 혁명 세력 내부의 불만이 고조되었다.[4]

마데로의 지지자들은 대규모 토지 분할과 같은 그들의 계획을 그가 실행하지 않자 실망했다. 보수 세력은 그가 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몰아낸 것을 용서하지 않았다. 마데로는 대통령 재임 첫 해 말에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나라는 상당 부분 불안정했고, 국고는 고갈되었으며, 마데로의 참모와 지지자들은 포르피리오 디아스 시대의 기술 관료인 ''과학자(Científicos)''보다 조금 덜 대담했을 뿐이었다.[4]

쫓겨난 기득권 세력은 다시 권력을 잡기 위해 반란을 일으키며 정국은 혼란에 빠졌다. 베르나르도 레예스, 바스케스 고메스 등이 멕시코 혁명을 본딴 반란을 일으켜 마데로 정부는 개혁을 진행시키지 못하고 반란 진압에 급급했다. 이 와중에 희생당한 멕시코 국민들의 원성 역시 높았다.

마데로 집권 1년에 접어들자 차차 정권은 안정에 들어가는 것처럼 보였다. 1913년, 마데로와 비슷한 개혁·이상주의적인 경향을 가진 우드로 윌슨미국 대통령에 취임했다. 차차 토지 개혁과 노동 권리 개혁 역시 진행되어 마데로 정부는 이대로 혁명을 끝마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여전히 멕시코의 주요 언론은 대농장주와 크리오요의 조종 하에 혁명군에 대한 악담을 퍼부었고 심지어는 유언비어마저 퍼뜨리기도 했다. 이에 따라 여론 역시 마데로에게서 점점 멀어지게 되었다. 또한 주 멕시코 미국 대사인 헨리 레인 윌슨은 강경한 디아스 체제 추종자로써 "멕시코는 독재만이 통제할 수 있다"는 말을 공공연히 하고 본국에는 혁명군에 대해 비방이라면 진위를 가리지 않고 보고해 미 외무부의 경고를 받기까지 했다.[5]

마데로의 임기 첫 해 동안 발생한 네 번의 반란은 다음과 같다.

발생 시기지역반란 주도 세력결과
1911년 11월모렐로스에밀리아노 사파타펠리페 앙헬레스 장군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완전히 진압되지는 않음.
1912년 3월치와와 주파스쿠알 오로스코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이 처리했지만, 오로스코와 그의 콜로라도스(Colorados)는 여전히 도주 중.
1912년 12월누에보레온베르나르도 레예스진압되었고, 레예스 장군은 멕시코 시티에 투옥.
1912년 11월베라크루스펠릭스 디아스진압되었고, 디아스 장군은 멕시코 시티에 투옥.



펠릭스 디아스의 반란은 곧 진압되었고 그는 멕시코시티의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는 마데로의 혁명군에 의해 실각당한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조카였다.

3. 비극의 열흘 전개

1910년 부정 선거 이후 멕시코에서 봉기가 일어나자, 포르피리오 디아스는 사임하고 1911년 5월 망명했다. 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의 짧은 과도 정부 하에 1911년 10월 선거가 치러졌고, 프란시스코 I. 마데로가 멕시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마데로는 멕시코 부유한 가문 출신으로 이전까지 선출직을 맡은 적이 없었지만, 멕시코의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그는 헌법적 민주주의, 법치주의, 삼권 분립에 헌신했다.[4]

몇 달 안에 마데로는 지지를 잃기 시작했고 비판을 받았다. 보수 세력은 마데로가 부유한 배경 출신임에도 그가 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몰아낸 것을 용서하지 않았다. 마데로의 지지자들은 대규모 토지 분할과 같은 그들의 계획을 그가 실행하지 않자 실망했다. 마데로는 대통령 재임 첫 해 말에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나라는 상당 부분 불안정했고, 국고는 고갈되었으며, 마데로의 참모와 지지자들은 포르피리오 디아스 시대의 기술 관료인 ''과학자(Científicos)''보다 조금 덜 대담했을 뿐이었다.

마데로의 임기 첫 해 동안 네 번의 반란이 발생했다. 1911년 11월에 시작된 사파타의 모렐로스 반란은 펠리페 앙헬레스 장군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완전히 진압되지는 않았다. 1912년 3월에 시작된 파스쿠알 오로스코의 치와와 주 반란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이 처리했지만, 오로스코와 그의 ''콜로라도스(Colorados)''는 여전히 도주 중이었다. 1912년 12월 누에보레온에서 베르나르도 레예스 장군의 반란과 1912년 11월 베라크루스에서 펠릭스 디아스 장군의 반란은 진압되었고, 두 장군은 멕시코 시티에 투옥되었다.

레예스와 펠릭스 디아스 두 장군은 함께 마데로를 전복시키기 위한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고, 우에르타 장군을 끌어들이려 했지만, 그에게 합류할 충분한 동기를 제공하지 못했다. 반란이 시작되자, 우에르타는 비밀리에 음모에 가담했다.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 행정부의 대표인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은 마데로 행정부를 약화시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5]

수도에서는 마데로 전복에 대한 소문이 공공연하게 퍼졌지만, 열기는 미미했다. 마데로 제거를 적극적으로 지지한 인물 중 한 명은 마누엘 몬드라곤 장군이었다. 그는 포르피리오 디아스 정권 시절 포병 전문가로서 재산을 축적했으며, 횡령과 부패 혐의를 받고 있었다. 그는 부하 장교와 참모들의 지지를 얻어 틀랄판에 위치한 ''에스쿠엘라 밀리타르 데 아스피란테스''(사관 학교)의 사관 생도들에게 합류할 것을 설득했다. 사관 생도들은 반혁명을 지지하는 멕시코 사회의 보수적인 상류층 가문 출신인 교관 및 상위 지휘관들의 직접적인 명령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틀랄판 주둔군의 육군 보병 및 기병 부대와 합류했다.

1913년 2월 9일, 사관 생도들은 전차를 타고 시내로 들어섰고, 민간 교도소, 산티아고 틀라텔롤코 군사 감옥으로 이동하여 펠릭스 디아스 장군과 레예스 장군을 석방하였다. 석방된 레예스 장군은 말을 타고 사관 생도 일부와 군인 대열을 이끌고 오전 7시 30분에 국립 궁전에 도착했다.[8] 레예스는 자신이 환영받고 궁전이 자신에게 인도될 것이라고 확신했으나, 총격을 받고 말에서 떨어져 치명상을 입었다. 혼란스러운 총격전으로 많은 구경꾼들이 사망, 부상했다. 군 지휘관 빌라르 장군과 멕시코 전쟁 장관인 앙헬 가르시아 페냐도 부상당했다.[9]

마데로 대통령은 초기 교전지에서 3마일 떨어진 차풀테펙 성의 대통령 관저에 있었다. 그는 오전 8시경 쿠데타 소식을 접하고, 말을 타고 시내로 들어갔다. 그는 몇몇 시민과 군 장교들과 합류했는데, 그중에는 눈 상태로 인해 휴가 중이던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도 있었다. 우에르타는 마데로의 전쟁 장관이 되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마데로는 우에르타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우에르타는 마데로에게 자신의 도움을 제공했고, 빌라르 장군과 페냐 전쟁 장관이 부상당했기 때문에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졌다.[8] 우에르타는 수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대통령은 국립 궁전의 발코니로 나가 군중 앞에서 연설했고, 우에르타가 그의 옆에 서 있었다.

궁전에 대한 공격은 마데로 충성파인 라우로 빌라르 장군 덕분에 실패했다. 마데로는 차풀테펙 성을 떠나 인근 사관학교에서 온 사관 생도들을 이끌고 국립 궁전으로 향하다가 우에르타 장군과 마주쳤다. 빌라르 장군은 초기 교전에서 부상을 입었고, 마데로는 우에르타에게 궁전 경비대 지휘를 제안했다. 그러나 마데로는 우에르타를 완전히 신뢰하지 못했고, 펠리페 앙헬레스 장군과 상의하기 위해 쿠에르나바카로 떠났다.

이 무렵, 펠릭스 디아스 장군은 레예스의 사망 소식을 듣고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에게 연락했다. 펠릭스 디아스 장군은 레예스 장군보다 더 성공적이었다. 대통령 궁에서의 저항으로 인해 디아스는 대통령 궁에서 불과 몇 블록 떨어진 시내 무기고인 ''시우다델라''로 후퇴, 무기고를 장악하고 정부군에 포격을 가하기 시작했다.[10]

1913년 2월 멕시코 시티 전투 이후 멕시코 시티 베렘 교도소


그날 저녁, 마데로는 모렐로스 주의 수도인 쿠에르나바카로 가서 사파타의 세력에 맞서 싸우고 있던 앙헬레스 장군과 회담을 가졌다. 그는 앙헬레스 장군과 함께 무기, 탄약, 병력 일부를 실은 열차를 타고 그날 밤 돌아왔으며, 앙헬레스 장군이 수도군 지휘를 맡게 될 것이라는 합의가 있었다. 월요일 아침까지, 마데로는 1천 명의 병력을 확보했다.[11]

2월 10일, 양측은 공격 준비로 분주했지만 겉으로는 조용했다. 2월 11일 오전 10시경 우에르타는 조병창 포격을 시작했지만, 반란군은 강력하게 반격하여 국립궁전과 조병창 사이의 시내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우에르타는 로마 지구에서 펠릭스 디아스와 은밀히 회견했고, 쿠데타 지지로 돌아섰다. 코아우일라 주 지사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마데로에게 살티요로 도망갈 것을 제안했다.

2월 12일, 윌슨 대사는 유혈 사태의 책임이 마데로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스페인, 영국, 독일도 같은 의견이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일본 및 브라질, 칠레, 쿠바를 포함한 모든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대표는 정부가 그 권위를 유지하는 것은 정당하며, 외국 외교관이 내정에 개입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했다.

2월 15일, 윌슨은 스페인, 영국, 독일의 대신을 대사관에 초대했다. 스페인 대신은 국립궁전을 방문하여 대통령이 사임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통일된 의견이라고 전했다. 마데로는 외교관이 내정에 개입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같은 날 윌슨은 독일 대신과 함께 휴전 협상을 위해 국립궁전을 방문했다. 윌슨은 대사관원을 조병창으로 보내 일요일 휴전에 대해 디아스의 승인을 얻었다.

250px


2월 16일, 블랑켓 장군의 군대가 수도에 도착했지만, 그는 싸우려 하지 않았다. 이날은 휴전하여, 길거리의 시체를 매장하고, 비전투원을 위험 지대에서 피난시켰다. 윌슨이 미국 국무부에 보낸 보고서에는 "우에르타가 특별한 사자를 보냈다. 우에르타는 오늘밤 사태를 종결하기 위한 대책을 취할 생각"이라고 적혀 있다.

2월 18일 정오, 마데로 대통령의 동생 구스타보 A. 마데로가 체포되었다. 마데로 대통령 본인의 체포는 약 1시간 후에 일어났다. 그날 밤 미국 대사관에서 디아스, 우에르타, 윌슨은 회담했다. 우에르타가 임시 대통령에 취임한 후, 10월에 선거를 실시하고, 그 때 디아스를 지지하기로 했다. 그날 밤, 구스타보 A. 마데로는 총살당했다.

쿠데타 지도자들은, 체제 변화의 합법성을 꾸미기 위해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의 사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두 사람은 사임을 승인했지만, 쿠데타 측에게 그들이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위협이었다. 우에르타는 윌슨 대사에게 처분을 상담했지만, 대사는 "멕시코의 복지를 위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하라"고 답했다.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는 철도로 베라크루스로 가서, 쿠바의 포함에 탑승하여 외국으로 망명할 예정이었지만, 시간이 되어도 그들은 역에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 날, 우에르타는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가 멕시코시티의 중앙 형무소로 보내졌다고 발표했다.

3. 1. 쿠데타의 시작 (1913년 2월 9일)

1913년 2월 9일, 마누엘 몬드라곤 장군에게 매수된 사관생도 600명이 노면 전차를 타고 멕시코시티에 진입했다. 이들은 이미 반란군에 매수된 멕시코시티 감옥으로 가 펠릭스 디아스 등 반란군 계열 수감자들을 석방하고, 산티아고 군사 감옥에서 베르나르도 레예스 장군을 석방했다.[43] 레예스 장군은 그레고리오 루이스 장군과 합류해 대통령궁으로 진격했으나, 라우로 비야르 장군이 이끄는 정부군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레예스 장군은 전사했다.[43]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은 차풀테펙 성에서 급히 멕시코시티로 돌아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을 수도 방위 사령관에 임명했다. 그러나 우에르타는 이미 반란군과 내통하고 있었다.[43] 펠릭스 디아스 장군은 레예스의 사망 소식을 듣고 헨리 레인 윌슨 미국 대사에게 연락했다. 이후 디아스는 대통령궁에서 몇 블록 떨어진 시내 무기고인 '시우다델라'로 후퇴하여 정부군에 대한 포격을 시작했다.[10]

같은 날 저녁, 마데로는 모렐로스 주의 주도인 쿠에르나바카로 가서 펠리페 앙헬레스 장군과 회담했다. 마데로와 앙헬레스는 철도를 통해 무기와 탄약을 싣고 수도로 돌아왔으며, 다음 날 아침까지 1000명의 병력을 확보했다.[40]

250px

3. 2. 멕시코시티 전투 (2월 10일 ~ 17일)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는 연방군의 피해를 늘리려는 작전을 펼쳤다. 그는 에밀리아노 사파타에게서 데려온 펠리페 앙헬레스 장군을 시우다델라 북서쪽에 배치했는데, 이곳은 시야를 가리는 지형이었고 여러 국가의 대사관과 민가가 밀집해 있었다. 이는 연방군의 포격으로 멕시코시티를 파괴하고 그 책임을 마데로에게 돌리기 위한 의도였다.[44]

2월 10일, 양측은 공격 준비로 분주했지만 겉으로는 조용했다. 이들의 대치로 인한 공포 분위기로 시민들은 외출을 자제했다.

2월 11일 오전 10시, 우에르타의 연방군이 포격을 시작했고, 반란군도 이에 대응하여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민가와 상가들이 큰 피해를 입었고, 많은 멕시코시티 시민들이 목숨을 잃었다. 미국 대사 헨리 윌슨은 본국에 "혁명 정부는 이미 무너졌으니 협상을 위한 군대를 보내 달라"고 요청했다.

다음날에도 포격전은 계속되었고 시민들의 피해도 늘어났다. 윌슨 대사는 타국 외교관들에게 마데로에게 등을 돌리도록 설득하려 했다. 유럽 국가들은 관심을 보였지만, 브라질, 칠레 등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불개입 원칙을 내세웠다. 우에르타는 반란군에 우호적인 윌슨 대사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작전을 세웠다.[44]

우에르타는 시우다델라 요새에서 개방형 지형인 남쪽 공격은 늦추고, 공격이 어렵고 시야가 좋지 않은 북쪽에서만 포격을 명령했다. 때때로 돌격 명령을 내렸지만, 그 목표 지점은 공격이 어려운 지형이었다.[44]

2월 16일, 우에르타는 차량 18대 분량의 군수품을 반란군에게 공급했다. 이 장면이 루벤 모렐로스 대령에게 발각되어 추궁당했지만, 그는 반란군이 보급품 부족으로 시내에서 난동을 부릴까 봐 공급했다고 강변했다. 그는 대통령을 포옹하며 "당신은 우에르타의 품 속에서만 안전합니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45]

2월 17일, 구스타보 마데로는 우에르타에게 술을 먹이고 무장 해제를 시켜 프란시스코 마데로에게 체포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마데로는 여전히 우에르타를 믿는다며 권총을 돌려주었다. 같은 날, 블랑케트의 군대 4,000명이 우에르타 군대에 합류했고, 우에르타는 즉각 대통령궁 경비를 그들에게 맡겼다.

3. 3. 마데로의 체포와 암살 (2월 18일 ~ 19일)

1913년 2월 18일,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는 멕시코 상원 의원들과 만나 의견을 물었다. 대부분 이전의 기득권층이자 크리오요였던 상원 의원들은 혁명을 반대했고 마데로 역시 좋아하지 않았다. 이들은 우에르타의 쿠데타에 찬성했다. 같은 날 정오, 우에르타는 구스타보 A. 마데로와 점심 식사를 하던 중 구스타보를 체포하고 쿠데타를 선포했다. 곧 우에르타가 이끄는 반란군은 각료 회의를 열고 있던 마데로와 그 측근들을 체포했다. 반란군은 처음에는 와하카에 주둔하는 마누엘 리베라 장군의 반란이라며 모시고 오라는 명을 받았다고 거짓말을 했으나, 마데로가 믿지 않자 우에르타의 반란군이라고 시인했다.[44]

헨리 레인 윌슨과 우에르타는 "대사관 협약(Pacto de la Embajada)"을 맺었다. 주요 내용은 우에르타를 대통령으로 하는 디아스 체제로의 회귀였다.

이들은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의 사임서를 받아내고 외무장관 페드로 라스쿠라인을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곧 대사관 협약에 따라 우에르타가 대통령에 올랐고, 그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내각이 구성되면서 우에르타의 반란과 비극의 열흘이 끝을 맺게 되었다.[45]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는 다른 감옥으로 이송된다고 전해졌고, 차로 이송되었지만 레쿰베리 감옥 벽 근처에서 암살되었다. 암살자는 연방군의 프란시스코 카르데나스와 라파엘 피미엔타였다.[40]

4. 쿠데타의 주역들

쿠데타는 여러 인물들의 복잡한 이해관계, 협력, 배신 속에서 진행되었다. 쿠데타 주역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포르피리오 디아스 정권 시절 군 장성이자 프란시스코 I. 마데로 정부의 수도 방위 사령관이었다. 마데로의 신임을 পুরোপুরি 받지는 못했지만, 쿠데타 당시 궁전 경비대 지휘를 맡았다. 이후 펠릭스 디아스와 비밀리에 만나 쿠데타를 모의, 마데로를 배신하고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13][18]

  • '''펠릭스 디아스'''와 '''베르나르도 레예스''':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조카 펠릭스 디아스와 베르나르도 레예스는 과거 반란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쿠데타군의 도움으로 석방되었다. 레예스는 국립궁전 진격 중 사망했지만,[8] 펠릭스 디아스는 빅토리아노 우에르타와 함께 쿠데타를 주도했다.[10]

  • '''헨리 레인 윌슨''': 멕시코 주재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은 마데로 정부를 불신하며 쿠데타를 적극 지원했다.[5] 대사관 협약을 통해 우에르타를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고,[18] 마데로 살해 후에도 조사를 요구하지 않고 오히려 마데로를 비판하며 쿠데타를 옹호했다.[11]

4. 1.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포르피리오 디아스 정권 시절 군 장성이었으며, 프란시스코 I. 마데로 정부에서 수도 방위 사령관을 맡았다. 마데로는 우에르타를 완전히 신뢰하지는 않았지만, 쿠데타 발생 당시 부상당한 라우로 빌라르 장군을 대신하여 그에게 궁전 경비대 지휘를 맡겼다.[8]

1913년 2월 11일, 우에르타는 멕시코 시티의 로마 구역에 있는 한 사저에서 펠릭스 디아스를 만나 쿠데타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이 시점에서 우에르타는 충성심의 변화를 공개하지 않았다.[13] 그는 이후 대통령이 지휘하는 정예 기동 경찰인 제18 루랄레스 군단을 병기창 근처의 노출된 위치로 보내 반군의 기관총 사격으로 인해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이것이 고의적인 배신이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마데로에게 충성하는 군대를 상당히 약화시켰다.[13]

2월 18일, 구스타보 A. 마데로가 체포된 후, 우에르타는 펠릭스 디아스와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과 함께 미국 대사관에서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대사관 협약이 체결되었고, 우에르타는 임시 대통령이 되기로 합의했다.[18] 그는 1913년 2월 20일에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그의 통치 합법성을 위해 마데로 외무부 장관 페드로 라스쿠라인을 통해 권력을 이양받는 형식을 취했다.[13]

2월 20일 저녁, 우에르타는 펠릭스 디아스가 있던 시우다델라 병영을 포격하도록 지시했다. 18군단의 300명의 루랄레스(기마 경찰)가 공격했지만 기관총 사격으로 67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것이 전술적 실수인지, 마데로에게 충성하는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의도적인 조치인지는 불분명하다.[13]

결국 우에르타는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이 되었고, 그의 집권은 멕시코 혁명을 더욱 급진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4. 2. 펠릭스 디아스와 베르나르도 레예스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조카인 펠릭스 디아스와 베르나르도 레예스는 과거 반란 혐의로 멕시코 시티에 투옥되었다. 1913년 2월 9일, 쿠데타군은 멕시코시티의 형무소 앞에 집결하여 펠릭스 디아스의 석방을 요구했고, 짧은 협의 끝에 디아스는 석방되었다.[7] 이후 쿠데타군은 산티아고 트라텔롤코 군사 형무소로 이동하여 레예스를 석방시켰다. 레예스는 말을 타고 사관생도와 병사들을 이끌고 국립궁전으로 향했지만, 총격을 받고 낙마하여 사망했다.[8]

레예스의 사망 소식을 들은 펠릭스 디아스는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에게 연락했다. 이후 디아스는 대통령궁에서 몇 블록 떨어진 시내 무기고인 시우다델라로 후퇴하여 방어 거점을 확보하고, 빅토리아노 우에르타와 함께 쿠데타를 주도했다.[10]

4. 3. 헨리 레인 윌슨

헨리 레인 윌슨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 행정부의 대표로서 멕시코 주재 미국 대사였다. 그는 프란시스코 I. 마데로 행정부를 약화시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5] 마데로 전복에 대한 소문이 무성한 가운데, 마데로 제거를 적극적으로 지지한 인물 중 한 명이 바로 윌슨 대사였다.

펠릭스 디아스 장군이 베르나르도 레예스 장군의 사망 소식을 듣고 윌슨 대사에게 연락했다. 윌슨 대사는 마데로 대통령이 반란군에게 즉시 항복하지 않음으로써 유혈 사태의 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영국, 스페인, 독일 공사들과 상의했는데, 이들이 멕시코에서 가장 큰 이해관계를 대표했기 때문이었다. 반면 오스트리아일본 공사관, 그리고 브라질, 칠레, 쿠바를 포함한 모든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대표들은 헌법 정부가 권위를 유지하는 것이 정당하며, 국내 분쟁에서 헌법 정부에 반대하여 외국 외교관이 간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견해를 보였다.

2월 13일, 윌슨 대사는 마데로의 외무부 장관인 페드로 라스쿠라인에게 마데로가 사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2월 15일, 윌슨 대사는 영국, 독일, 스페인 공사를 대사관으로 소환하여 마데로에게 사임을 직접 건의하는 문제를 고려했다. 스페인 공사가 국립 궁전을 방문하여 마데로 대통령에게 이러한 외교관들의 만장일치 의견을 알렸으나, 마데로는 외교관이 국내 문제에 간섭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월 18일, 구스타보 A. 마데로가 체포되고, 마데로 대통령 본인도 체포되었다. 그날 밤 미국 대사관에서 펠릭스 디아스,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윌슨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회담했다. 이들은 대사관 협약이라고 알려진 계획에 합의했는데, 우에르타가 임시 대통령이 되고 10월에 선거를 실시하여 디아스를 지지하기로 했다.

쿠데타 지도자들은 체제 변화의 합법성을 위해 마데로와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의 사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우에르타는 윌슨 대사에게 처분을 상담했지만, 윌슨 대사는 "멕시코의 복지를 위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하라"고 답했다.[11]

마데로가 살해된 직후, 윌슨 대사는 조사를 요구하지 않았다. 대신, 윌슨 대사는 마데로와 그의 가족을 비판했다. 그는 마데로의 전복을 일관되게 예언했다고 자랑했다. 헌법상의 대통령이 포로로 잡혀있는 상황에서, 외국 외교관이 두 반군 장군의 회의를 주재하고 새로운 대통령의 세부 사항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윌슨 대사는 마데로가 제거되는 것이 멕시코의 이익을 위해 필요했다고 답했다.[11]

5. 비극의 열흘 이후

마데로의 혁명은 개혁의 더딤과 반대 세력 진압 실패로 인해 "비극의 열흘"이라는 유혈 사태로 막을 내렸다.[46] 구스타보 마데로는 체포 직후 온몸에 총알을 맞고 칼에 찔려 살해되었고, 아돌포 바소 대령은 총살되었다. 마데로는 망명 제안을 받았으나 프란시스코 카르데나스에 의해 부통령 수아레스와 함께 총살당했다. 이들의 죽음은 "교전 중 사망"으로 발표되었다.

비극의 열흘로 멕시코시티의 많은 건물과 대사관이 파괴되었고, 5,000여 명의 시민이 목숨을 잃었다. 시신은 처리할 틈도 없이 불태워졌다. 수도, 전기, 식량이 끊겨 멕시코시티 시민들은 열흘 동안 굶주림과 공포에 시달렸다.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의도적으로 시민들에게 발포한 것도 피해를 키웠다. 우에르타는 무의미한 죽음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 마데로 정부에 대한 시민들의 원망을 키우려 했다.

우에르타의 반란으로 포르피리오 디아스 식의 독재 체제가 들어섰지만, 멕시코 곳곳에는 여전히 군대가 남아 있었고[46] 국민들은 체제 변화를 경험했기에 자유와 권리를 더욱 갈망하게 되었다. 이러한 열망으로 인해 우에르타 체제는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알바로 오브레곤, 프란시스코 비야(판초 비야) 등의 도전을 받았고 곧 무너졌다.

이 사건은 사진가와 사진 기자들이 많은 수도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이 기간의 사진이 많이 남아있다.[28][29] 이 사진들은 단순한 기록을 넘어 특별한 종류의 다큐멘터리 자료로 간주되어야 한다.[30] 여기에는 전투원뿐만 아니라 민간인들의 모습도 담겨 있다.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에 기증된 개인 소유 앨범에서 발견된 43장의 사진 디지털 컬렉션은 풍부한 시각 자료를 제공한다.[1] 멕시코 역사가 엔리케 크라우스의 기념 출판물은 특히 비극의 열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1]

비극의 열흘은 영국 뉴스 매체에서도 ব্যাপকভাবে 다루어졌는데, 멕시코는 "상업적 또는 비공식적인 영국 제국에 중요한 지역"이었기 때문이다.[32] 영국은 멕시코 혁명이 "영국 재정적 이익과 지정학적 영향력"에 위험이 된다고 보아 대체로 반대했다.[33] 영국은 멕시코 혁명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불안감을 느꼈고, 멕시코인들이 인종적, 문화적으로 열등하여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발전시킬 수 없다고 생각했다. 영국 뉴스 매체는 멕시코인들에 대해 노골적인 인종 차별적 태도를 보였는데, ''맨체스터 가디언''은 마데로를 "비멕시코인"이라고 묘사하며, 멕시코인이 "복권, 투우, 술, 담배"를 좋아하는 고정관념을 깨는 것에 대해 고심했다.[35]

5. 1. 우에르타 정권의 등장과 몰락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는 대사관 협약을 통해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을 축출하고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 이 협약은 반란군 지도자 펠릭스 디아스, 마데로 군대의 사령관 우에르타, 그리고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 간에 체결되었다. 우에르타는 10월에 선거를 실시하여 디아스를 대통령으로 지지하기로 약속했다.[5]

우에르타는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헌법적 절차를 준수하여 자신의 통치에 합법성을 부여하려 했다. 마데로와 부통령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가 사임하자, 마데로의 외무부 장관 페드로 라스쿠라인이 45분간 대통령직을 맡았다. 라스쿠라인은 우에르타를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하고 사임했고, 헌법에 따라 우에르타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러나 우에르타의 독재적인 통치는 전국적인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코아우일라주 주지사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우에르타를 거부하고 반란을 일으켜 북부 연합을 결성했다. 멕시코 혁명의 주요 인물인 판초 비야, 에밀리아노 사파타 등도 우에르타에 맞서 싸웠다. 이들은 헌법주의 군대로 뭉쳐 멕시코 혁명의 최종 승리자가 되었다.[36]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는 레쿰베리 교도소 벽 근처에서 암살당했다.[23] 이 암살 사건은 마데로를 순교자로 만들었고, 멕시코 국민들의 혁명 의지를 더욱 고취시켰다.[36] 결국 우에르타 정권은 붕괴되었고, 비극의 열흘은 멕시코 대통령을 전복하는 데 성공한 마지막 쿠데타가 되었다.

5. 2. 멕시코 혁명의 심화

프란시스코 I. 마데로의 암살은 멕시코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혁명의 불길을 더욱 거세게 타오르게 했다. 마데로 암살은 그를 즉시 순교자로 만들었다.[36] "순교자 마데로는 멕시코의 정신에 민주주의의 사도 마데로보다 더 큰 의미를 지녔다."[36]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코아우일라 주지사는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를 거부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찬탈로 정권을 잡은 정부를 전복하기 위해 북부 연합을 결성했고, 멕시코시티에서의 쿠데타는 봉기를 촉발시켜 멕시코 혁명의 최종 승리자인 헌법주의 군대로 뭉쳐졌다.

6. 역사적 평가와 의의

비극의 열흘은 멕시코 혁명 과정에서 민주주의가 좌절되고 폭력이 난무했던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프란시스코 I. 마데로의 죽음은 민주주의를 향한 멕시코 국민들의 열망을 짓밟은 폭력적인 행위로 비판받는다.[5]

마데로는 헌법적 민주주의, 법치주의, 삼권 분립에 헌신했지만, 취임 후 몇 달 만에 지지를 잃고 비판에 직면했다. 보수 세력은 마데로가 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몰아낸 것을 용서하지 않았고, 마데로의 지지자들은 대규모 토지 분할과 같은 개혁이 실행되지 않자 실망했다.

비극의 열흘 동안 국립 궁전 근처의 Rurales


헨리 레인 윌슨 미국 대사는 마데로 행정부를 약화시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5] 그는 마데로에게 항복을 종용하고, 영국, 스페인, 독일 공사들과 협력하여 헌법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일본, 브라질, 칠레, 쿠바 공사들은 헌법 정부의 정당성을 지지하며 외국 외교관의 간섭에 반대했다. 윌슨 대사는 대사관 협약으로 알려진 새 정부 구성에 깊숙이 개입하며 멕시코 내정에 간섭했고,[11] 마데로의 죽음에 대한 책임마저 마데로와 그의 가족에게 돌리는 발언을 하여,[11] 멕시코-미국 관계를 크게 악화시켰다.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가 암살된 레쿰베리 감옥


마데로와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는 사임 후 안전을 약속받았지만, 레쿰베리 교도소로 이송되던 중 암살당했다.[23] 암살자들은 연방군 장교 프란시스코 카르데나스와 라파엘 피미엔타였다. 이들이 독자적으로 행동했는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의 명령을 받았는지, 윌슨 대사가 연루되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우에르타가 명령했고 윌슨이 알고 있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23]

비극의 열흘은 마데로를 순교자로 만들었고,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우에르타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켜 헌법주의 군대를 결성했다. 이는 멕시코 대통령을 전복하는 데 성공한 마지막 쿠데타였다.

6. 1. 민주주의의 좌절과 폭력의 비극

프란시스코 I. 마데로의 죽음은 민주주의를 향한 멕시코 국민들의 열망을 짓밟은 폭력적인 행위로 비판받는다. 비극의 열흘은 멕시코 혁명 과정에서 민주주의가 좌절되고 폭력이 난무했던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마데로는 헌법적 민주주의, 법치주의, 삼권 분립에 헌신했지만, 취임 후 몇 달 만에 지지를 잃고 비판에 직면했다. 보수 세력은 마데로가 포르피리오 디아스를 몰아낸 것을 용서하지 않았고, 마데로의 지지자들은 대규모 토지 분할과 같은 개혁이 실행되지 않자 실망했다.

마데로 임기 첫 해 동안 네 번의 반란이 일어났고, 베르나르도 레예스와 펠릭스 디아스 장군의 반란은 진압되었지만, 이들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과 함께 마데로를 전복시키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 헨리 레인 윌슨 미국 대사는 마데로 행정부를 약화시키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5]

1913년 2월 9일, 반란군은 펠릭스 디아스와 레예스 장군을 석방하고 국립 궁전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 과정에서 레예스는 사망하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마데로는 빅토리아노 우에르타를 수도군 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우에르타는 배신하고 펠릭스 디아스와 결탁했다.[8]

멕시코 시티의 시우다델 구역에 있는 민간인과 군인 펠리시스타스(펠릭스 디아스 지지자).


반군은 ''시우다델라'' 무기고를 장악하고 멕시코 시내에 포격을 가했고, 민간인들은 십자포화에 갇혔다. 우에르타는 펠릭스 디아스를 만나 쿠데타 지지를 선언하고, 마데로에게 충성하는 군대를 약화시켰다.[13]

헨리 레인 윌슨 대사는 마데로에게 항복을 종용하고, 영국, 스페인, 독일 공사들과 협력하여 헌법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일본, 브라질, 칠레, 쿠바 공사들은 헌법 정부의 정당성을 지지하며 외국 외교관의 간섭에 반대했다.

1913년 2월 18일, 구스타보 A. 마데로가 체포된 후, 마데로 대통령도 체포되었다. 헨리 레인 윌슨 대사의 초청으로 미국 대사관에서 열린 회담에서 우에르타, 펠릭스 디아스, 윌슨 대사는 대사관 협약을 통해 마데로를 축출하고 우에르타를 임시 대통령으로 세우기로 합의했다. 그날 밤, 구스타보 A. 마데로는 살해되었다.[20]

마데로와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는 사임 후 안전을 약속받았지만, 페드로 라스쿠라인의 압력으로 사임서는 즉시 마데로의 적들에게 전달되었다.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는 쿠바로 망명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레쿰베리 교도소로 이송되던 중 암살당했다.[23]

암살자들은 연방군 장교 프란시스코 카르데나스와 라파엘 피미엔타였다. 이들이 독자적으로 행동했는지, 우에르타의 명령을 받았는지, 윌슨 대사가 연루되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우에르타가 명령했고 윌슨이 알고 있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23]

6. 2. 멕시코-미국 관계의 악화

헨리 레인 윌슨 대사는 마데로 대통령이 반란군에게 즉시 항복하지 않아 유혈 사태를 초래했다고 비난하며 사임을 요구했다.[16] 그는 마데로 체포 후 빅토리아노 우에르타와 펠릭스 디아스의 회담을 주선, 대사관 협약으로 알려진 새 정부 구성에 깊숙이 개입하며 멕시코 내정에 간섭했다.[11]

윌슨 대사는 마데로의 죽음에 대한 책임마저 마데로와 그의 가족에게 돌리는 발언을 하여,[11] 미국의 멕시코 내정 간섭이라는 비판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러한 그의 행동은 멕시코-미국 관계를 크게 악화시켰다.

6. 3. 멕시코 혁명의 전환점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 임기 초,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장군 등은 여러 반란을 진압했지만, 마데로 전복 음모는 계속되었다. 1913년 2월 9일, 사관 생도들은 펠릭스 디아스와 베르나르도 레예스를 석방하고 국립 궁전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레예스는 사망했다.[9] 마데로는 차풀테펙 성에서 우에르타를 수도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8]

펠릭스 디아스는 시내 무기고 ''시우다델라''로 후퇴, 국립 궁전을 포격했다.[10] 마데로는 쿠에르나바카에서 펠리페 앙헬레스와 회담, 병력을 확보했다.[11] 한편, 헨리 레인 윌슨 미국 대사는 마데로 체포를 예고하며 반군과 회담을 주선했다.[5]

구스타보 A. 마데로는 감브리누스 식당에서 체포되었고, 마데로 대통령도 체포되었다. 대사관 협약에 따라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임시 대통령이 되기로 합의했다. 구스타보 A. 마데로는 살해되었고,[9] 우에르타는 태프트 대통령에게 정부 전복을 알렸다.[20]

마데로와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은 사임을 강요받고 망명 약속을 받았으나, 라스쿠라인의 압력으로 사임서는 즉시 반군에게 전달되었다. 마데로와 피노 수아레스는 레쿰베리 감옥 근처에서 암살되었다.[40]

비극의 열흘은 마데로를 순교자로 만들었고,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우에르타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켜 헌법주의 군대를 결성했다. 이는 멕시코 대통령을 전복하는 데 성공한 마지막 쿠데타였다.

참조

[1] 웹사이트 Album, Mexican Revolution http://digitalcollec[...]
[2] 간행물 Henry Lane Wilson
[3] 간행물 Decena Trágica
[4] 서적 The Mexican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5] 서적 The Secret War in Mexico: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the Mexican R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6] 문서 Fondo Cassasola, Inv. 37276. SINAFO-Fototeca Nacional del INAH. Reproduced in Mraz, Photographing the Revolution, p. 124, image 6-1.
[7] 서적 In Plain Sight: Felix A. Sommerfeld, Spymaster in Mexico, 1908 to 1914 Henselstone Verlag LLC 2012
[8] 서적 In Plain Sight: Felix A. Sommerfeld, Spymaster in Mexico, 1908 to 1914 Henselstone Verlag LLC 2012
[9] 서적 Francisco I. Madero, Apostle of Democrac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5
[10] 서적 Madero Vivo Clio
[11] 보고서 Confidential report to Pres. Woodrow Wilson by William Bayard Hale published in the book Blood Below the Border 1982
[12] 서적 Madero Vivo
[13] 서적 Disorder and Progress - Bandits, Police, and Mexican Development
[14] 서적 Madero Vivo
[15] 서적 Madero Vivo
[16] 서적 Huerta: A Political Biograph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72
[17] 서적 Huerta
[18] 서적 Huerta
[19] 문서 Fondo Casasola, Inv. 37311. SINAFO-Fototeca Nacional del INAH. Reproduced in Mraz, Photographing the Mexican Revolution, p. 135, image 6-10.
[20] 서적 Telegram to Taft quoted in Ross, Francisco I. Madero
[21] 서적 Francisco I. Madero
[22] 서적 The Secret War in Mexico
[23] 서적 The Secret War in Mexico
[24] 서적 Revolution! Mexico 1910–20
[25] 서적 Madero Vivo
[26] 서적 Revolution! Mexico 1910–20
[27] 문서 Francisco Cárdenas. Un hombre que cambió la historia Impresos ABC 1993
[28] 서적 Photographing the Mexican Revolution: Commitments, Testimonies, Ico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2
[29] 문서 La Decena Trágica, los fotógrafos
[30] 논문 Death and Disruption in the Photography of the Decena Trágica 2014-01-01
[31] 서적 Madero Vivo
[32] 학술지 The Evolution of History and the Informal Empire: La Decena Trágica in the British Press https://online.ucpre[...] 2007-01-01
[33] 학술지 The Evolution of History and the Informal Empire: La Decena Trágica in the British Press
[34] 학술지 The Evolution of History and the Informal Empire: La Decena Trágica in the British Press
[35] 학술지 The Evolution of History and the Informal Empire: La Decena Trágica in the British Press
[36] 서적 La Revolución: Mexico's Great Revolution as Memory, Myth, and History University of Texas Press
[37] 웹사이트 Album, Mexican Revolution http://digitalcollec[...]
[38] 서적 The Mexican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간행물 Photographing the Mexican Revolution SINAFO-Fototeca Nacional del INAH
[40] 서적 Blood Below the Border
[41] 간행물 Photographing the Mexican Revolution SINAFO-Fototeca Nacional del INAH
[42] 서적 Revolution! Mexico 1910–20 Panther
[43] 서적 멕시코 혁명사 한길사
[44] 문서
[45] 서적 멕시코 혁명사 한길사
[4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