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여성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곤의 여성화는 여성과 남성의 삶의 질 격차 확대와 관련하여 여성의 빈곤이 심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여 1990년대 국제 연합 문서를 통해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가족 구조 변화, 성별 임금 격차, 저임금 직업,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며, 한부모 가정, 고용, 성폭력, 교육, 기후 변화, 경제적 요인,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여성의 빈곤이 나타난다. 조건부 현금 지원, 소액 대출, 미국의 복지 개혁 등 정책을 통해 빈곤의 여성화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 경제학 - 인지 노동
- 여성주의 경제학 - 가계 내부 협상
가계 내부 협상은 가구 구성원 간의 자원 분배와 의사 결정 과정을 연구하는 경제학 분야이며, 공통 선호 모델, 이타적 독재자 모델, 협상 모델 등 다양한 이론적 관점이 존재하고, 협상력은 개인의 대안적 지위에 의해 결정된다. - 여성주의 용어 - 논바이너리
논바이너리는 남성/여성 이분법적 성별 구분을 넘어선 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젠더퀴어를 포함한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아우르며, 성별 중립적 대명사 사용, 사회적 인식 개선, 법적 인정 확대 등을 통해 점차 존중받고 있다. - 여성주의 용어 - 여성혐오
여성혐오는 여성이란 이유로 여성을 혐오하는 문화적 태도로, 성적 편견과 이데올로기의 중심이며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 억압의 기초로 작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여성애의 반대 개념이며, 미소지노이어 등의 개념으로 파생된다. - 빈곤 - 구걸
구걸은 가족이나 국가의 지원 없이 타인으로부터 물건이나 금전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행위로, 빈곤층과 연관되어 있으며, 불교에서는 수행의 한 형태, 이슬람에서는 노동 가능한 자의 금지, 역사적으로 빈곤과 연결, 현대에는 법으로 금지되지만 예외도 존재하며, 고수입 역편견과 달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 빈곤 - 밀레니엄 개발 목표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는 2000년 유엔에서 채택된 8개의 주요 목표와 21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된 국제 개발 목표로서, 절대 빈곤과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양성평등,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증진, 주요 질병 퇴치, 지속 가능한 환경 확보,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을 추구했으나, 목표 달성에 국가별 차이와 비판이 있었으며,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대체되었다.
빈곤의 여성화 |
---|
2. 역사
'빈곤의 여성화'라는 개념은 197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1990년대에 여러 유엔 문서를 통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7][4][5][120][121] 미국의 빈곤율 증가 추세에서 성별 격차가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한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빈곤의 여성화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부상했다.
'빈곤의 여성화'는 1970년대부터 사용된 개념으로, 1990년대 유엔 문서를 통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127] 미국의 빈곤율 변화에서 성별 패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발표된 후 사회 전반에 널리 알려졌다.
여성을 빈곤 위험에 빠뜨리는 주요 원인으로는 가족 구조 변화, 성별 임금 격차, 여성의 저임금 직업 종사, 일과 가정 양립 지원 부족, 공공 서비스 접근성 제약 등이 있다.[132] 빈곤의 여성화는 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특히 심각하며, 사회 계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133]
빈곤의 여성화는 여성과 남성의 빈곤율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한 사회에서 남성의 빈곤은 현저히 감소하고 여성의 빈곤은 소폭 감소하는 경우 빈곤의 여성화가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128][6][122]
3. 정의
빈곤의 여성화는 여성과 남성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한 사회에서 남성의 빈곤은 현저히 감소하고 여성의 빈곤은 소폭 감소하는 경우 빈곤의 여성화가 발생한다.[128]
메데이루스 M, 코스타 J(2008)는 빈곤의 여성화가 남성과 여성 사이의 삶의 질 격차 확대와 관련이 있으며, 동시에 남성과 여성의 가정 역할 격차도 다루고 있다고 설명한다.[129] 또한, 성차별이 빈곤을 결정하는 데 있어 그 역할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임금 차별 증가는 모든 유형의 가족에서 여성과 남성 모두의 빈곤을 악화시킨다. 이는 여성에 대한 편견과 빈곤 증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빈곤의 여성화로 이해된다.
이 개념은 여성과 남성 사이의 상당한 성별 임금 격차를 포함하여 여성의 빈곤에 기여하는 많은 사회적, 경제적 요인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용어는 미국에서 유래되었으며, 국제 현상으로서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25] 소득이 "빈곤선" 아래로 떨어지는 여성 가장 가구의 비율이 여성 빈곤의 척도로 폭넓게 채택됐다.[130]
Besell S(2010)에 따르면 빈곤의 소득 기반 척도에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131] 첫째, 소득이 소득 통제력과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 여성이 근로소득을 통제할 수도 있지만, 가난한 여성의 재정적 주권에 대한 한계는 잘 입증되어 있다. 단순히 소득에만 기초한 대책은 여성들이 소득을 얻지만 그 소득에 대한 통제력이 없을 때 빈곤의 범위와 본질을 은폐한다. 누가 수입을 통제하느냐 하는 문제는 여성에게 민감한 문제이지만, 남성의 입장과 행복과도 관련이 있다.[131] 개인에게 무거운 공동체적, 친족적 또는 씨족 기반의 의무를 부과하는 사회는 여성과 남성 모두의 개인 소득을 제한적으로 통제한다.[131]
둘째, 소득은 동등한 접근을 창출하고 동등한 이익을 발생시킨다는 가정이다.[131] 교육에 대한 접근은 그 점을 잘 보여준다. 재원 부족은 가난한 어린이들의 낮은 등록률이나 높은 중퇴율을 초래할 수 있지만,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과 '여학생들에 대한 정규 교육의 중요성'은 남성과 여성 등록률의 차이를 입증하는 데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131]
4. 원인
낮은 소득은 주요 원인이지만, 한부모 여성의 자녀 양육으로 인한 소득 부족,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소득 빈곤으로 인한 자녀 교육 및 영양 부족, 여성이 공식적인 고용을 얻을 때 직면하는 사회적 편견, 시간 빈곤 및 역량 박탈 등 여러 가지 상호 관련된 측면이 존재한다.[134]
빈곤은 경제적, 인구학적, 사회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차원적인 현상이다.[135]
구체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4. 1. 한부모 가정
한부모 가정은 소득과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여성 빈곤의 위험이 가장 높은 집단이다.[136] 전 세계적으로 한부모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 빈곤 비율을 높이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137] 한부모 가정의 여성들은 사회에서 가장 가난한 집단에 속하며, 자녀들 또한 또래에 비해 불리한 환경에 놓이는 경향이 있다.[138]
가족 구조의 변화, 특히 이혼은 여성 가장 가구 빈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남성이 이주 노동자가 되면 여성이 가정의 주요 돌봄 인력이 될 수밖에 없다.[132][139] 또한, 남편의 질병이나 사망과 같은 요인도 개발도상국에서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여성 가장 가구는 가구 내에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소득자가 적기 때문에 빈곤에 가장 취약하다.[140] 짐바브웨의 한 사례 연구에 따르면 과부가 가장인 가구의 소득은 남성 가장 가구의 절반 정도이며, 여성 가장 가구 소득은 남성 가장 가구 소득의 약 4분의 3 정도이다.[140] 한부모 가구는 삶의 필수 자원이 부족하여 빈곤 상태를 더욱 악화시킨다.[130] 이들은 건강 및 교육과 같은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하고 적절한 생활 수준을 달성할 기회를 얻지 못한다.[141]
빈곤한 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은 정서적 불안정과 어머니와의 관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143] 한부모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즉 결혼 상태(이혼 또는 사별), 교육, 인종 등은 빈곤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44] 빈곤층 어머니들은 대부분 대학 학위가 없으며, 생계를 위해 일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144]
4. 2. 고용
전 세계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취업 기회가 제한적이다.[147] 고용은 재정적 독립성을 확립하게 한다.[149] 또한 고용은 가정 내 안전, 존중 및 협상력 강화 등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149] 여성 고용이 크게 성장했지만, 일자리의 질은 여전히 불평등하며 성별 격차가 크다.[149]
고용에는 공식 고용과 비공식 고용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공식 고용은 정부 규제를 받으며 근로자는 임금과 특정 권리를 보장받는다. 반면 비공식 고용은 등록되지 않은 소규모 기업에서 이루어지며, 여성 고용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150] 비공식 돌봄 노동은 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오래, 더 열심히 일하는 경향이 있어 여성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는 여성이 다른 직업을 갖거나 직책을 변경하고, 일할 수 있는 시간과 일을 포기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151]
4. 3. 성폭력
미국에서 증가하고 있는 성폭력의 형태는 인신매매이다.[153] 빈곤은 더 많은 사람들을 거리로 내몰아 인신매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154] 빈곤층, 외국인, 사회적 빈곤층 등 불이익을 받는 여성들은 인신매매에 고용되기 쉽다.[153] 켈시 투미엘의 논문에 언급된 많은 법률들이 최근 이 현상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인신매매는 미국에서 불법 마약 거래량을 능가할 것으로 예측된다.[153] 이러한 성폭력 범죄의 피해자인 여성들은 권력 남용, 조직적인 범죄, 그리고 그들을 보호하기 위한 불충분한 법률로 인해 그런 삶을 탈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155] 현재 인신매매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은 아프리카 노예 매매 때보다 더 많다.[155] 인신매매의 "브랜딩"은 저자 탐마이(Tam Mai)의 주장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킨다. 이것은 대중의 주장과 개입을 허용한다. 탐마이의 기사에 따르면 빈곤을 줄임으로써 거리의 인신매매가 감소할 수 있다고 한다.[156]
4. 4. 교육
여성과 소녀들은 개발도상국에서 기초 교육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있다.[157] 이는 이러한 국가의 강력한 성차별과 사회적 위계질서에 기인한다.[157] 개발도상국 여학생의 약 4분의 1이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158] 이것은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여성의 능력을 방해한다. 여성 교육을 활성화하면 가계 빈곤이 줄어든다.[158] 고등 교육은 여성의 빈곤을 감소시키는 주요 열쇠이다.[159]
개발도상국에서 교육에 등록한 제한된 수의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중퇴율이 높다.[160] 이는 높은 강간 및 성폭행 발생률, 원치 않는 임신,[161] 남성 우선 교육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여성들은 청소, 요리, 아이들을 돌보는 것을 포함하여 가정 기술을 배우는 동안 남성들은 교육을 받을 것이다.[162] 성적을 위한 여성의 성 제공 등으로 대표되는 직업적 부정행위에 대한 주장의 수준이 매우 높다. 학생과 강사의 성희롱 때문에 여성 고등교육의 불평등이 크다.[163]
4. 5. 기후 변화
여성은 남성보다 빈곤할 가능성이 높고, 빈곤 아동을 돌볼 책임이 더 크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더 취약하다.[164] 세계 빈곤층의 상당수가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64] 개발도상국 농촌 여성들은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집단 중 하나이다.[164] 빈곤과 기후 변화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농업과 같이 기후에 민감한 생계에 의존하는 빈곤층은 기후 변화에 더욱 취약하다.[166] 이들은 더 나은 주택, 가뭄에 강한 농작물과 같이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다.[166]
자연재해와 극한 기상 현상 발생 시, 가난한 여성은 남성보다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더 크다.[164] 가정이 식량 부족을 겪을 때 여성이 음식을 먹지 않고 자녀가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는 증거도 있다.[165]
사람들이 기후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는 사회적 지위, 권력, 빈곤, 자원에 대한 접근과 통제에 따라 달라진다.[166] 여성은 세계 빈곤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후 변화로 위협받는 천연 자원에 생계를 더 의존하며, 제한된 이동성과 자원 및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불평등한 접근성으로 인해 기후 변화에 더 취약하다.[166]
4. 6. 경제적 요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소득이 적을 뿐만 아니라, 리타 울프존(Reeta Wolfzon)이 만든 용어인 "페모노믹스(Femonomics)"[170] 또는 "돈의 성별(Gender of Money)"[171][172]이라고 불리는 경제적 불평등에 직면한다.[169] "전통적인"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은 오늘날 세계의 많은 문화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성이 경제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완전히 깨닫지 못하게 한다.[173]
여성은 생식과 관련된 건강 문제/접근 문제를 가지고 있어 의료 비용과 위험을 증가시킨다.[174][175][176] 여성은 남성보다 평균 5년 더 오래 사는 경향이 있어,[177] 배우자의 사망은 여성 노년 빈곤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여성은 재정적으로 문맹일 가능성이 더 높아 돈을 관리하는 방법을 아는 데 더 어려움을 겪는다.[178]
4. 7. 건강
빈곤한 여성들은 의료 서비스와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건강 불평등을 경험한다.[180] 사회의 성 불평등은 여성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고, 건강, 영양, 그리고 심각한 질병의 위험에 처하게 만든다.[182] 생식 건강을 포함하여 좋은 건강을 유지하고,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며, 적절한 주거 환경을 갖는 것은 빈곤 여성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181]
빈곤에 처한 여성들은 성폭력과 HIV/AIDS에 더 취약하다. 이들은 영향력 있는 사람들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할 능력이 떨어져 성적 학대를 당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HIV 감염은 여성과 소녀들에게 사회적 낙인과 위험을 가중시킨다.[182] 영양실조와 기생충 감염 같은 질병은 산모를 약화시키고 위험한 환경을 조성하여 가난한 여성의 성, 출산 및 산모 관리를 더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183] 한국에서 건강 악화는 가정 빈곤의 주요 요인이다.[184]
5. 빈곤의 형태
메데이루스와 코스타(2008)는 빈곤의 여성화가 남성과 여성 사이의 삶의 질 격차 확대와 관련이 있으며, 동시에 남성과 여성의 가정 역할 격차도 다루고 있다고 설명한다.[129] 이들은 성차별이 빈곤을 결정하는 데 있어 그 역할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임금 차별 증가는 모든 유형의 가족에서 여성과 남성의 빈곤을 악화시킨다. 이는 여성에 대한 편견과 빈곤의 증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빈곤의 여성화로 이해된다.[8]
이 개념은 성별 임금 격차를 포함하여 여성의 빈곤에 기여하는 많은 사회적, 경제적 요소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빈곤은 단순히 소득 부족뿐만 아니라, 의사 결정 능력, 자산, 시간, 건강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Bessell S(2010)에 따르면 소득 기반 빈곤 척도에는 두 가지 가정이 있다.[12] 첫째, 소득을 소득 통제 능력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1] 여성이 소득을 얻더라도 그 소득에 대한 통제력이 없을 때, 소득 기반 측정은 빈곤의 정도와 본질을 은폐할 수 있다.[1] 둘째, 소득이 동등한 접근과 이익을 창출한다는 가정이다.[1] 교육 접근성은 이 점을 잘 보여준다. 재정 자원 부족은 낮은 등록률이나 높은 중퇴율을 초래할 수 있지만,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과 '여학생에 대한 정규 교육의 중요성'은 남녀 등록률 차이를 설명하는 데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1]
5. 1. 의사 결정 능력
의사 결정력은 집안 내 여성의 협상 위치에 중심이 된다. 이는 여성과 남성이 전체 가구 단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어떻게 하는지를 의미한다.[188] 가족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결정할 때, 여성과 남성은 종종 매우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다. 가구 구성원 중 누가 의사 결정에 가장 큰 힘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요소는 문화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극심한 성 불평등이 존재한다.[188]가구의 남성은 대개 여성의 건강, 친구나 가족을 방문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가계 지출을 결정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건강을 위한 선택을 하는 능력은 여성과 아이들의 건강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가계 지출이 어떻게 결정되는가는 여성과 아이들의 교육, 건강, 그리고 복지에 영향을 미친다. 여성의 이동의 자유는 자녀들의 요구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가정 내 성차별은 종종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가부장적 편견에 뿌리를 두고 있다. 가계 협상력의 주요 결정 요인은 소득과 자산의 통제, 연령, 교육 접근성 및 수준을 포함한다. 여성의 의사결정력이 높아지면 자녀와 가족의 복지가 전반적으로 혜택을 받게 된다.[151] 더 큰 교육을 받는 여성들은 또한 자녀들의 생존, 영양 섭취, 그리고 학교 출석을 걱정할 가능성이 더 높다.[151]
5. 2. 소득 격차
소득 부족은 여성 빈곤의 주요 원인이다. 소득 부족은 여성들이 자원을 얻고, 그 금전적 자원을 사회 경제적 지위로 전환하는 것을 막는다.[189] 높은 소득은 더 많은 직무 기술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직무 기술을 습득하는 것 또한 소득을 높인다. 여성은 남성보다 소득이 적고 공적 부조 혜택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71] 기본적인 교육과 건강 관리를 받지 못하며, 이는 결국 여성의 더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능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72]베셀(Besell S) (2010)에 따르면 빈곤의 소득 기반 척도의 기저에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131] 첫째, 소득이 소득 통제력과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131] 여성이 근로 소득을 통제할 수도 있지만, 가난한 여성의 재정적 주권에 대한 한계는 잘 입증되어 있다. 단순히 소득에만 기초한 대책은 여성들이 소득을 얻지만 그 소득에 대한 통제력이 없을 때의 빈곤의 범위와 본질을 은폐한다. 누가 수입을 통제하느냐 하는 문제는 여성에게 민감한 문제이지만, 남성의 입장과 행복과도 관련이 있다.[131] 개인에게 무거운 공동체적, 친족적 또는 씨족 기반의 의무를 부과하는 사회는 여성과 남성 모두의 개인 소득을 제한적으로 통제한다.[131]
둘째, 소득은 동등한 접근을 창출하고 동등한 이익을 발생시킨다는 가정이다.[131] 교육에 대한 접근은 그 점을 잘 보여준다. 재원 부족은 가난한 어린이들의 낮은 등록률이나 높은 중퇴율을 초래할 수 있지만,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과 '여학생들에 대한 정규 교육의 중요성'은 남성과 여성 등록률의 차이를 입증하는데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131]
5. 3. 자산 부족
마사 누스바움은 한 사람의 중심적 기능 능력은 부동산과 동산의 재산을 모두 보유함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여러 나라에서 여성들은 법에 따라 완전히 동등하지 않다. 이것은 여성들이 남성과 같은 재산권, 계약을 맺을 권리, 결사의 자유, 이동성, 그리고 종교의 자유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181]자산은 주로 남편이 소유하거나 가계 생산이나 소비에 사용되며, 이 중 어느 것도 대출 상환을 하는 여성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출금 상환을 위해 여성은 통상 임금노동자로 더 열심히 일해야 하는 '탈권' 과정을 거쳐야 하는 한편, 국내 차원에서도 갈수록 늘어나는 성별 자원 분열을 겪어야 한다.[190] 여성의 빈곤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교육 및 건강을 포함한 토지, 노동, 인적 자본 자산 및 다양한 수준의 참여, 법적 권리 및 보호와 같은 사회적 자본 자산에 대한 접근과 통제 측면에서 제한된 기회, 능력 및 권한이다.[191]
5. 4. 시간 빈곤
시간은 빈곤의 중요한 요소인데, 이는 개인에게 불평등하게 분배되는 필수적인 자원이기 때문이다.[168] 특히 다른 자원이 부족할 때 더욱 그렇다.[168] 성 역할과 책임의 차이로 인해 여성은 남성보다 시간 빈곤을 더 심하게 경험한다.[168] 여성은 주로 가사 노동과 같은 무보수 활동에, 남성은 생산적인 유급 활동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가 시간이 제한적이며 생산 및 재생산 노동을 합쳐 더 많은 시간을 일한다.[168]시간 빈곤은 충분한 휴식과 수면 시간 부족으로 이어진다.[168] 유급 또는 무급 노동 시간이 길어질수록 휴식이나 여가 활동에 쓸 수 있는 시간은 줄어들어, 충분한 휴식과 수면 부족은 '시간 빈곤' 상태를 야기한다.[168] 가정과 경제에서 여성과 남성의 시간 배분은 시간 빈곤 담론의 주요 젠더 문제이다.[192] 능력 접근법에 따르면, 사람들의 복지를 조사할 때는 소득뿐만 아니라 생계 유지를 위한 시간 관리 방식도 고려해야 한다.[193] 시간 빈곤은 휴식, 수면, 여가, 사회 생활 참여를 방해하여 개인의 행복에 심각한 제약이 된다.[193]
5. 5. 능력 상실
여성은 교육, 보건, 사회적 자산 등 다양한 측면에서 능력을 상실하며, 이는 빈곤 심화로 이어진다.[194]소득 기반 빈곤 측정에는 두 가지 가정이 있다.[131] 첫째, 소득을 통제 능력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131] 가난한 여성의 재정적 주권에 대한 한계는 잘 알려져 있다. 단순히 소득에만 기초한 대책은 여성이 소득은 얻지만 통제력이 없을 때 빈곤의 범위와 본질을 은폐한다.[131] 소득 통제 문제는 여성에게 민감하지만, 남성의 입장과 행복과도 관련이 있다.[131] 무거운 공동체적, 친족적 의무를 부과하는 사회는 여성과 남성 모두 개인 소득에 대한 제한적인 통제를 갖게 한다.[131]
둘째, 소득은 동등한 접근과 이익을 창출한다는 가정이다.[131] 교육 접근성은 이 점을 잘 보여준다. 재원 부족은 가난한 어린이들의 낮은 등록률이나 높은 중퇴율을 초래할 수 있지만,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과 '여학생에 대한 정규 교육의 중요성'은 남녀 등록률 차이를 설명하는 데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131]
지난 25년 동안, 페미니스트 연구는 젠더 빈곤을 포괄하기 위해 보다 전체적인 개념 프레임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194] 여기에는 교육과 보건 결핍과 같은 요인을 식별하는 '능력'과 '인간 개발' 프레임워크, 물질적 자산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산도 나타내는 '생계' 틀, 빈곤층의 소외를 강조하는 '사회적 배제' 관점, 자존감, 존엄성, 선택권, 권력과 같은 빈곤의 주관적 차원을 강조하는 틀이 포함된다.[77]
5. 6. 건강 박탈
가난한 여성들은 물질적 결핍과 정신적 스트레스, 높은 수준의 위험 행동, 건강하지 못한 생활 조건,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제한된 접근성 때문에 만성 질환에 더 취약하다.[195] 여성은 남성보다 영양 상태가 좋지 않고, 신체적 폭력과 성적 학대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빈곤한 상황에서 질병에 더 취약하다.빈곤에 처한 여성들은 의료 서비스와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낮다.[180] 사회의 성 불평등은 여성들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방해하고, 따라서 여성들이 건강, 영양, 그리고 심각한 질병의 위험에 처하게 한다. 빈곤한 여성들은 또한 성폭력과 HIV/AIDS의 위험에 더 취약한데, 이는 자신을 성적으로 학대할 수 있는 영향력 있는 사람들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할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HIV 감염은 여성과 소녀들에게 오명과 사회적 위험을 가중시킨다.[182] 영양실조와 기생충 감염 위험과 같은 다른 질병은 산모를 약화시키고 위험한 환경을 조성하여 가난한 여성의 성, 출산 및 산모 관리를 더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183]
6. 지역별 여성 빈곤
개발도상국에서 여성 빈곤율은 특히 높다. 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여성의 경제적 기회와 역량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80] 많은 개발도상국은 여성이 공식적인 고용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사회적, 문화적 규범을 가지고 있다.[80] 특히 아시아, 북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는 문화적, 사회적 규범으로 인해 여성은 가구 내에서 경제적 협상력뿐만 아니라 집 밖에서 많은 노동 생산성을 가질 수 없다.[80] 이러한 사회적 불평등은 여성의 역량, 특히 고용을 박탈하여 여성의 빈곤 위험을 높인다.[81]
6. 1. 동아시아
대한민국과 중국은 경제가 크게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빈곤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90] 경제 성장이 여성에게 더 많은 공식적인 고용 기회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비공식 고용이 늘어나면서 여성에게 불균형적으로 안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90]대한민국의 경우, 여성의 낮은 임금이 한국의 경제 성장을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저렴한 수출품이 주로 여성들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90]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여성들은 대부분 비공식적인 고용 기회를 가졌는데, 이는 여성들의 재정적 안정과 안전한 작업 환경을 보장하지 못했다.[90] 동아시아 여성들은 고용 기회는 더 많았지만, 수출 산업에서 직업이 분리되면서 빈곤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었다.[90]
중국은 오랫동안 성차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성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지도자들은 여성들이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만들어냈다. 그 결과, 중국 여성들은 보건 서비스, 고용 기회, 그리고 경제와 사회에 대한 중요한 기여를 인정받게 되었다.[80]
6. 2. 아프리카
아프리카 여성들은 재산권 부족, 신용 접근성 부족, 교육 및 기술 부족, 건강 문제, 젠더 기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 부족, 정치적 권력 부족 등으로 인해 남성과 경제적 평등을 이루는 데 상당한 장벽에 직면하고 있다.[91] 여성은 남성보다 50% 더 긴 노동 시간을 가지지만,[91] 남성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임금을 받고, 공식적인 급여가 있는 일자리의 40%만을 차지한다.[92] 이러한 긴 노동 시간은 장작 수집, 물 긷기, 육아, 노인 돌봄, 가사 노동 등 여성에게 부과되는 무급 노동에 대한 문화적 기대에서 기인할 수 있다.[92][93]여성은 교육 부족으로 인해 취업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몬테네그로와 파트리노스에 따르면, 초, 중, 고등학교를 1년 더 다니면 각각 미래 임금이 17.5%, 12.7%, 21.3% 증가할 수 있다.[94] 불행하게도, 조혼, 조기 임신, 문화적 규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여학생 중 21%만이 고등 교육을 마친다.[95] 아프리카 여성은 공식적인 재산권이 없기 때문에 토지의 15%만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들이 남성 가족 구성원이나 파트너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만들고, 은행 및 대출과 같은 금융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 재산을 활용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96] 경제적 권력이 적기 때문에 여성은 일반적으로 젠더 기반 폭력과 HIV/AIDS의 위험에 더 취약하다.[97]
6. 3. 모로코
모로코의 여성 인구, 특히 농촌 지역의 여성들은 모로코 빈곤의 주된 피해자이다. 모로코 여성은 이 나라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사회 집단이며, 모로코 가구의 6분의 1이 편모 가구로, 이는 이 나라에서 가장 빈곤한 가구에 해당한다. 여성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게 하는 사회 경제적, 법적 제약을 가장 크게 받는다.[17]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여성들이 경제적으로 가족을 부양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로코의 법 조항은 여성의 경제적 생산성 참여를 억제하고 있다. 모로코 가족법 제114조는 "모든 인간은 자신의 능력으로 자신의 필요를 충족할 책임이 있으며, 남편이 아내의 필요를 돌봐야 하는 아내는 예외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모로코의 가부장적 사회 구조는 모든 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다고 규정한다. 여성은 법 앞에서 교육 및 고용의 기회 균등, 자원 접근에서 제외된다. 그 결과, 모로코의 여성 인구는 역량 박탈로 고통받고 있다. 어린 소녀들은 가정 내의 제한된 재정 자원과 가사 노동의 부담으로 인해 종종 교육 기회에서 배제된다.[17]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로코 여성은 고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여성의 노동 참여율의 양적 증가는 노동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동반하지 못했다. 모로코 농촌 여성의 노동은 여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무급으로 이루어진다. 여성은 가사 노동 부담에 무급 노동이 더해져 빈곤 위험이 높아진다. 이러한 가사 노동과 집 밖에서의 노동의 균형은 농촌 여성에게 부담을 준다. 여성의 사회 경제적 배제는 특정 고용 기술을 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역량을 박탈하기 때문에, 빈곤 취약성이 높아진다. 여성의 낮은 교육 수준은 사회에서 그들이 가질 수 있는 제한적인 고용 선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실업의 영향을 받지만, 여성은 남성보다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더 높다. 모로코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경제 불황이 여성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17]
6. 4. 영국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영국에서 빈곤선 이하 여성에 대한 조사 결과, 1960년대에 빈곤층 여성의 비율이 상당히 증가했다. 1970년대에는 그 비율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1979년에서 1984년 사이에 감소했다.[98][99] 1960년대에 빈곤선 이하 여성의 증가는 단독 가구 여성의 증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백인 여성보다 흑인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작용했다.[98][99]6. 5.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44센트의 임금을 받는다.[100] 이러한 성별 임금 격차는 도미니카 공화국 여성들 사이에서 높은 수준의 식량 불안정으로 이어진다. 빈곤층은 안전하지 않은 성행위와 약물 남용과 같은 위험한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행동은 여성이 HIV 및 기타 질병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킨다. 도미니카 공화국에는 HIV 양성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낙인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성은 일자리를 구할 때 건강 검진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 검진 결과 HIV 양성 반응이 나오면 고용될 가능성이 낮다.[100]6. 6. 미국
2016년에는 여성의 14.0%, 남성의 11.3%가 빈곤선 이하에 있었다.[101] 2016년 빈곤선은 1인 가구의 경우 12228USD, 자녀 2명을 둔 4인 가족의 경우 24339USD였다.[1]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소득이 적은 사람들에게 재정 지원을 제공한다. 2015년에는 여성의 23.2%가 재정 지원을 받았고, 남성은 19.3%가 받았다.[102] 메디케이드, SNAP, 주택 지원, SSI, TANF/GA 등 모든 정부 프로그램에서 여성에게 더 많은 재정 지원이 제공된다. 2013년에는 여성에게 아동 양육비의 86%가 지급되었다.[103]
6. 7. 인도
인도 여성들은 부적절한 음식, 주거, 교육, 건강 관리, 위생과 같은 문제, 즉 인간적 빈곤에 직면한다.[104] 1991년 이후 세계화와 국제 통화 기금의 구조 조정 프로그램 도입으로 빈곤이 심화되었고, 이는 여성의 교육 기회와 빈곤의 덫에서 벗어날 기회를 감소시켰다.[104]인도 헌법은 모든 시민의 평등한 권리를 명시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성 감별 낙태와 같은 차별이 존재한다.[105] 특히, 여아는 가족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여겨져 성 감별 낙태가 더욱 조장된다.[106]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외모와 가정 내 역할에 크게 의존하며, 부적절한 행동은 사회적 지위 하락으로 이어진다.[107] 물, 식량, 고용을 둘러싼 여성 간의 경쟁은 특히 도시 빈민가에서 두드러진다.[105]
인도 여성들은 주로 가사를 책임지며, 집 밖에서 일하는 것은 낮은 지위를 상징하기도 한다.[104],[107] 여성의 수입은 남편에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아, 가족은 딸의 취업을 장려하지 않는다.[109]
여성들은 동등한 임금을 받거나 능력을 인정받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잉여 노동력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05]
의료 서비스는 특히 노년 여성에게 접근하기 어렵다. 공공 진료소는 과밀하고 인력이 부족하며, 민간 진료소는 비용이 많이 든다.[110][111] 여성은 남성보다 질병에 취약하지만, 의료 서비스 이용은 남성보다 적다.[64] 여성들은 종종 자신의 증상을 가볍게 여기거나, 의료 제공자가 남성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있다.[105][64] 전국 가족 건강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50% 이상이 빈혈을 겪고 있다.[112]
빈곤은 여성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이며, 빈곤한 여성은 남성이 먹는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하기 어렵다.[64]
인도 정부는 여성 교육 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졸업률은 남학생 62%, 여학생 40%였다.[105] 십 대 소녀들은 주로 가사를 배우며, 수학이나 과학 교육은 받지 못한다.[105]
7. 정책
빈곤의 여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는 조건부 현금 지원, 소액 대출, 복지 개혁 등이 있다. 빈곤한 가정을 위한 재정 지원 프로그램은 여성을 가구 유지와 자녀 양육의 책임자로 간주하기 때문에, 여성이 재정 지원 관리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185][64] 이러한 프로그램은 모든 여성이 동일한 사회적 지위와 필요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64]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개발 NGO의 증가는 여성이 가정을 유지하고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책임을 동시에 짊어지게 만들어, 개발도상국 여성들의 빈곤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186][65]
빈곤의 여성화를 분석하려면 빈곤 측정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득만이 여성 빈곤의 유일한 척도라고 가정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다차원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검토하려면 성 평등을 고려한 정책 입안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정확한 지표가 먼저 있어야 한다.[11]
GDI는 인간 개발 지수를 수명 (여성과 남성의 기대 수명), 교육 또는 지식, 적절한 생활 수준[19]의 세 가지 방식으로 조정한다.
GEM는 여성이 차지하는 정부 의석 수, 여성이 차지하는 관리직 비율, 여성의 직업 분담, 여성 대 남성 소득 비율 추정[19]을 통해 여성의 정치적 및 소득 기회를 측정한다.
HPI는 다차원적이며 소득에 기반하지 않은 접근 방식이다. 생존, 지식, 적절한 생활 수준, 사회 참여의 네 가지 측면을 고려한다.
7. 1. 조건부 현금 지원
조건부 현금 지원(CCT) 프로그램은 빈곤 가정, 특히 한부모 가정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185][64]- 여성의 부담 가중: 빈곤 가정 지원 프로그램은 주로 여성을 가구 유지와 자녀 양육의 책임자로 간주하기 때문에, 재정 지원 관리에 대한 부담이 여성에게 집중될 수 있다.[185][64]
- 획일적인 여성관: 모든 여성이 동일한 사회적 지위와 필요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향이 있어, 개별 여성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할 수 있다.[185][64]
- 소득 창출 기회 제한: 조건부 현금 지원 프로그램은 여성에게 자녀의 건강 및 교육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고, 추가적인 프로그램 활동을 요구함으로써 더 높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직업이나 교육 기회를 추구할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187][66]
- 개발 NGO의 영향: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개발 NGO의 증가는 여성이 가정을 유지하고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책임을 동시에 짊어지게 만들어, 개발도상국 여성들의 빈곤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186][65]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조건부 현금 지원은 가난한 여성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현재 및 세대 간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능한 정책 수단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한부모 가정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7. 2. 소액 대출
소액 대출은 개발도상국 여성들이 튼튼한 재정 기반이 없어 생존에 필요한 자원과 연계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빈곤 완화를 목표로 설계된 도구이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의 빈곤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잠재적인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83]7. 3. 미국의 복지 개혁
2001년 미국의 복지 개혁에 따라, 연방 법률은 복지 수혜자가 혜택을 받으려면 교육 또는 직업 학교에 참여하고 시간제 근무를 하도록 요구했다. 대학생 수혜자는 가능한 한 빨리 일할 수 있도록 3년 안에 학위를 취득해야 했다.[113] Mojisola Tiamiyu와 Shelley Mitchell은 고용 촉진을 위해 보육 서비스 시행을 제안했다. 자녀가 있는 여성들은 가족을 부양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저임금 또는 시간제 일자리를 갖는 경우가 많다.[113] 미국에서는 한 부모 가정이 증가하여 4가구 중 1가구가 한 부모가 이끌고 있으며,[113] 한 부모 가정에서 생활하는 아동은 빈곤해질 가능성이 최대 4배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빈곤의 여성화).[114]참조
[1]
논문
Feminization of Poverty: Causes and Implication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2]
논문
Entrepreneurship and the fight against poverty in US cities
2021
[3]
웹사이트
Beijing +5 - Women 2000: Gender Equality, Development and Peace for the 21st Century Twenty-third special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5-9 June 2000
http://www.un.org/wo[...]
2018-11-25
[4]
간행물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the report of the Second Committee (A/50/617/Add.6) – Women in development
United Nations
1996-02-09
[5]
간행물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the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of the Whole of the Twenty-third Special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A/S-23/10/Rev.1) – Further actions and initiatives to implement the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for Action
United Nations
2000-11-16
[6]
논문
Is There a 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7]
웹사이트
What Do We Mean by "Feminization of Poverty"?
https://ipcig.org/si[...]
2022-07-02
[8]
웹사이트
"Women's work" and the gender pay gap: How discrimination, societal norms, and other forces affect women's occupational choices—and their pay
https://www.epi.org/[...]
2024-05-02
[9]
웹사이트
Challeng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Women in Poverty in the Central Coast Region of Ventura and Santa Barbara Counties.
http://www.femst.ucs[...]
2018-05-01
[10]
서적
Poor women in rich countries: the feminization of poverty over the life 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1]
논문
What does feminization of poverty mean? It isn't just lack of income
1999-01
[12]
서적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Gender and Poverty: Concepts, Research, Policy
Edward Elgar
[13]
웹사이트
Poverty – IWPR
http://www.iwpr.org/[...]
2017-01-30
[14]
논문
Determinants of Spells of Poverty Following Divorce
[15]
논문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WOMEN'S HUMAN RIGHTS
http://www.cpahq.org[...]
2018-03-19
[16]
논문
Feminization and juvenilization of poverty: trends, relative risks, causes, and consequences
1999-08
[17]
논문
Women and poverty in Morocco: the many faces of social exclusion
2001-11
[18]
논문
Poverty and productivity in female-headed households in Zimbabwe
http://econpapers.re[...]
2012-09-14
[19]
논문
Re-think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aggregate gender indices
http://eprints.lse.a[...]
2019-02-01
[20]
논문
Labor Force Participation, Regional Location, and Economic Well-Being of Single Mothers in Russia
http://econpapers.re[...]
2012-09-14
[21]
논문
Getting into Poverty Without a Husband, and Getting Out, With or Without
[22]
논문
Understanding the Lives and Challenged of Women in Poverty after TANF
2016
[23]
논문
Feminist Political Discourses: Radical Versus Liberal Approaches to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Comparable Worth
[24]
논문
Double Victims: Poor Women and AIDS
[25]
웹사이트
The World's Women 2015
https://unstats.un.o[...]
2015
[26]
논문
Unpa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Poverty: Theory, Evidence and Policy
http://gala.gre.ac.u[...]
2019-02-01
[27]
논문
Poverty, Welfare, and the Livelihood Strategies of Nonmetropolitan Single Mothers
[28]
논문
'I'm poor, I'm single, I'm a mom, and I deserve respect': Advocating in Schools As and With Mothers in Poverty
[29]
논문
The mental health benefits of work: do they apply to poor single mothers?
[30]
논문
Women, culture, and development: a study of human capabilities
Clarendon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Creating capabilities: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https://books.googl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32]
논문
Work-life imbalance: informal care and paid employment in the UK
http://eprints.white[...]
2019-02-01
[33]
논문
"Opting out?" The effect of children on women's em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2008-01
[34]
논문
America's modern day slavery: Public perceptions of human trafficking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35]
서적
Trafficking in Human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https://archive.org/[...]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36]
논문
Power, law, and culture: Service providers' perspectives of th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erpetuation of the human sex trafficking industry within the United Stat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7]
서적
Human trafficking as a brand within the framework of human rights: Cas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caemica Press
2017
[38]
웹사이트
Global Issues: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https://www.peacecor[...]
2018-11-28
[39]
학술지
Girls' and women's education within Unesco and the World Bank, 1945–2000
http://www.eric.ed.g[...]
2012-09-14
[40]
웹사이트
Millions of girls remain out of school
https://www.un.org/a[...]
2015-04
[41]
학술지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 in sub-Saharan Africa
[42]
학술지
Sex, grades and power in higher education in Ghana and Tanzania.
2011-03
[43]
학술지
A Stranger Silence Still: The Need for Feminist Social Research on Climate Change.
[44]
웹사이트
Linking Climate and Inequality
https://www.imf.org/[...]
2024-05-06
[45]
학술지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ction and Poverty Reduction
2024-01-13
[46]
서적
Overview of linkages between gender and climate change
http://www.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8-03-25
[47]
학술지
Virtue and vulnerability: Discourses on women, gender and climate change.
[48]
서적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Gender and Poverty: Concepts, Research, Policy
Edward Elgar
[49]
웹사이트
Who is poor in this country and why (webinar recording)
https://www.financia[...]
2013-03-13
[50]
웹사이트
Profile: Reeta Wolfsohn, CMSW
https://www.financia[...]
[51]
학술지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Center for Financial Social Work
http://www.socialjus[...]
2013-11-15
[52]
학술지
Practitioner profile: An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http://newprairiepre[...]
2014
[53]
학술지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Role of Microfinance in Poverty Reduction
https://digitalcommo[...]
2018-03-28
[54]
학술지
Women and medicare: An unfinished agenda
http://www.asaging.o[...]
2015-06-04
[55]
웹사이트
The affordable care act: speaking to women's unique health needs
http://www.hhs.gov/h[...]
2013-08-08
[56]
학술지
Health care costs are a barrier to care for many women
http://hrms.urban.or[...]
2015-01-07
[57]
학술지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2013
https://stacks.cdc.g[...]
2014-12
[58]
학술지
How Financially Literate Are Women? An Overview and New Insights
http://mea.mpisoc.mp[...]
[59]
학술지
Income, Assets, and Poverty: Older Wom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2009
[60]
학술지
Income characteristics of rural older women and implications for health status
1999-01
[61]
서적
Global Tens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World Economy
Routledge
[62]
학술지
Using the theory of gender and power to examine experiences of partner violence, sexual negotiation, and risk of HIV/AIDS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women in Southern India
2007-12
[63]
학술지
A Causality Between Health and Poverty: An Empirical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Korean Society
[64]
학술지
Re-think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Aggregate Gender Indices
http://personal.lse.[...]
2006-07
[65]
학술지
Addressing World Poverty through Women and Girls: A feminized solution?
http://eprints.lse.a[...]
2016
[66]
학술지
Challenges and Changes in Gendered Poverty: The Feminization, De-Feminization, and Re-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http://eprints.lse.a[...]
2018-10-23
[67]
웹사이트
Inequality in the household -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7: Gender equality
https://www.unicef.o[...]
2017-01-31
[68]
학술지
Critical Overview of Patriarchy, Its Interferences With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Risks for Mental Health
2023-06-10
[69]
웹사이트
Crime Prevention & Criminal Justice Module 9 Key Issues: Topic 1 - Gender-based discrimination and women in conflict with the law
https://www.unodc.or[...]
2024-05-06
[70]
간행물
Women and Children: The Double Dividend of Gender Equality
UNICEF
2007
[71]
뉴스
Women still earn less than men. 6 leaders explain what's needed to close the gap
https://www.cnn.com/[...]
2022-07-01
[72]
논문
Poverty as Capability Deprivation
[73]
학술지
Exploring the "feminis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women's work and home-based enterprise in slums of the Global South
http://eprints.lse.a[...]
2019-02-01
[74]
학술지
Gender equality and poverty in Ghana: Implications for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2007
[75]
서적
Mainstreaming Unpaid Work: Time-use Data in Developing Policies
Oxford Academic
[76]
서적
Gender,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Economics as if All People Mattered
Routledge
[77]
학술지
The 'Feminisation of Poverty' and the 'Feminisation' of Anti-Poverty Programmes: Room for Revision?
[78]
웹사이트
Chronic diseases and health promotion. Part Two. The urgent need for ac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12-21
[79]
학술지
Race, Sex, and the Neglected Risks for Women and Girls in Sub-Saharan Africa.
[80]
뉴스
More Than 100 Million Women Are Missing
http://www.nybooks.c[...]
1990-12-20
[81]
서적
Development as Freedom
Oxford Univ. Press
1999
[82]
학술지
Measuring socio-economic GENDER inequality: toward an alternative to the UNDP 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2000-01
[83]
학술지
Towards a gendered human poverty measure
1999-01
[84]
학술지
Interpreting Gender in Islam
[85]
서적
Status of Muslim Civil Right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cair.com[...]
Council on American-Islamic Relations (CAIR)
[86]
웹사이트
Webb v. City of Philadelphia - Amicus Brief
https://www.aclu.org[...]
[87]
학술지
Discrimination against Jewish Women in (Jewish Law) and in Israel
https://hull-reposit[...]
2016-12-02
[88]
학술지
Religious Affiliation and Work–Family Conflict Among Women and Men
2017-09-09
[89]
웹사이트
Gender and Extreme Poverty
https://2012-2017.us[...]
USAID
[90]
웹사이트
Combating Poverty and Inequality: Structural Change, Social Policy and Politics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UNRISD)
[91]
웹사이트
African Women in politics: Miles to go before parity is achieved
https://www.un.org/a[...]
2019-04-08
[92]
웹사이트
Women's Economic Empowerment in Sub-Saharan Africa
https://www.bsr.org/[...]
2017-03
[93]
백과사전
Sage Publications, Inc.
[94]
학술지
Comparable Estimates of Returns to Schooling around the World
http://www-wds.world[...]
2014-09
[95]
서적
Annual Results Report: 2017 Education
UNICEF
[96]
서적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Women in Agricultur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97]
학술지
Exploring an Inextricable Relationship between Feminization of Poverty and Feminization of HIV/AIDS in Zimbabwe
2014-07
[98]
학술지
The feminization of poverty
1986-06
[99]
학술지
A feminization of poverty in Great Britain?
1992-03
[100]
학술지
Factors contributing to food insecurity among women living with HIV in the Dominican Republic: A qualitative study
2017-07-25
[101]
웹사이트
Table 3. People in Poverty by Selected Characteristics: 2015 and 2016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7-09-12
[102]
웹사이트
Dynamics of Economic Well-Being: Participation in Government Programs, 2009–2012: Who Gets Assistanc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5
[103]
웹사이트
Custodial Mothers and Fathers and Their Child Support: 2013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6-01
[104]
학술지
Women in Poverty: Canada and India
2003-02-15
[105]
서적
We Are Poor but So Many: The Story of Self-Employed Women in Indi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12-15
[106]
저널
Falling Sex Ratio and Health Deprivation of Women in India: An Interface between Resource, Culture and Gender
2013-12
[107]
저널
Status, Caste, and the Time Allocation of Women in Rural India
http://www.isid.ac.i[...]
2019-06-24
[108]
서적
Women, Health and Public Services in India: Why Are States Different?
Routledge
2016
[109]
저널
Gender Disparities in Educational Trajectories in India: Do Females Become More Robust at Higher Levels?
2011-03
[110]
저널
Understanding Government Failure in Public Health Services
2017-10-06
[111]
저널
Access to health care among poor elderly women in India: how far do policies respond to women's realities?
2009-11
[112]
저널
Sex Differentials in Childhood Feeding, Health Care, and Nutritional Status in India
http://scholarspace.[...]
2019-09-24
[113]
저널
Welfare Reform: Can Higher Education Reduce the Feminization of Poverty?
2001
[114]
웹사이트
A League Table of Child Poverty in Rich Nations
http://www.unicef-ir[...]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2018-05-01
[115]
웹사이트
【論文】貧困下におかれた女性の支援―自治体の取り組みのあり方―(木下 武徳)
https://www.jichiken[...]
2022-04-22
[116]
논문
Feminization of Poverty: Causes and Implication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117]
저널
Entrepreneurship and the fight against poverty in US cities
[118]
웹사이트
Beijing +5 - Women 2000: Gender Equality, Development and Peace for the 21st Century Twenty-third special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5-9 June 2000
http://www.un.org/wo[...]
2018-11-25
[119]
서적
Poor women in rich countries: the feminization of poverty over the life 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20]
간행물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the report of the Second Committee (A/50/617/Add.6) – Women in development
United Nations
1996-02-09
[121]
간행물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the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of the Whole of the Twenty-third Special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A/S-23/10/Rev.1) – Further actions and initiatives to implement the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for Action
United Nations
2000-11-16
[122]
저널
Is There a 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2008
[123]
저널
No Poverty
http://dx.doi.org/10[...]
2020
[124]
서적
Follow-up to the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and to the twenty-third special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entitled “Women 2000: gender equality, development and pea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dx.doi.org/10[...]
UN
2014-12-31
[125]
서적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10-22
[126]
저널
Re‐think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Aggregate Gender Indices
http://dx.doi.org/10[...]
2006-07
[127]
웹인용
Resolutions adopted on the reports of the Second Committee
http://dx.doi.org/10[...]
2021-04-07
[128]
저널
Is There a 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http://dx.doi.org/10[...]
2008-01
[129]
저널
Is There a 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http://dx.doi.org/10[...]
2008-01
[130]
저널
What Does Feminization of Poverty Mean? It Isn't Just Lack of Income
http://dx.doi.org/10[...]
1999-01
[131]
저널
Methodologies for Gender-sensitive and Pro-poor Poverty Measures
http://dx.doi.org/10[...]
[132]
저널
Determinants of Spells of Poverty Following Divorce
http://www.tandfonli[...]
1992-10
[133]
웹인용
briefing-papers-no249-eighteen-women-arrested-in-bahrain-july-14-1986
http://dx.doi.org/10[...]
2021-04-16
[134]
저널
FEMINIZATION AND JUVENILIZATION OF POVERTY: Trends, Relative Risks, Causes, and Consequences
https://www.annualre[...]
2021-04-16
[135]
저널
Women and Poverty in Morocco: The Many Faces of Social Exclusion
http://dx.doi.org/10[...]
2001-11
[136]
저널
Poverty and productivity in female-headed households in Zimbabwe
http://dx.doi.org/10[...]
2007-11
[137]
저널
Re‐think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Aggregate Gender Indices
http://dx.doi.org/10[...]
2006-07
[138]
저널
Labor Force Participation, Regional Location, and Economic Well-Being of Single Mothers in Russia
http://dx.doi.org/10[...]
2010-04-27
[139]
서적
Build Your Values into the Brand
http://dx.doi.org/10[...]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140]
저널
FEMINIST POLITICAL DISCOURSES:
http://dx.doi.org/10[...]
1987-12
[141]
저널
Double Victims: Poor Women and AIDS
http://dx.doi.org/10[...]
1991-04-10
[142]
서적
Poverty
http://dx.doi.org/10[...]
UN
2015-12-07
[143]
저널
Unpa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Poverty: Theory, Evidence and Policy
http://dx.doi.org/10[...]
2015-03-23
[144]
저널
Poverty, Welfare, and the Livelihood Strategies of Nonmetropolitan Single Mothers*
https://onlinelibrar[...]
2004
[145]
저널
'I'm poor, I'm single, I'm a mom, and I deserve respect': Advocating in Schools As and With Mothers in Poverty
2001
[146]
저널
The mental health benefits of work: do they apply to poor single mothers?
http://dx.doi.org/10[...]
2009-04-15
[147]
서적
Women, culture, and development : a study of human capabilities
https://www.worldcat[...]
Clarendon Press
1995
[148]
서적
Creating capabilities :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https://www.worldcat[...]
2011
[149]
서적
Reaping the double dividend of gender equality
http://dx.doi.org/10[...]
UN
2007-12-31
[150]
서적
Reaping the double dividend of gender equality
http://dx.doi.org/10[...]
UN
2007-12-31
[151]
저널
Work – life imbalance: Informal care and paid employment in the UK
http://dx.doi.org/10[...]
2008-04
[152]
저널
“Opting out?” The effect of children on women's em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http://dx.doi.org/10[...]
2008-01
[153]
서적
Introduction and History
http://dx.doi.org/10[...]
SAGE Publications, Inc
2018
[154]
저널
Trafficking in human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http://dx.doi.org/10[...]
2008-09-01
[155]
저널
Sex Trafficking within the United States
http://dx.doi.org/10[...]
Springer-Verlag
[156]
웹인용
Labor Trafficking in the United States: Limited Victim Relief for Undocumented Immigrants
http://dx.doi.org/10[...]
2021-05-02
[157]
저널
Girls’ and women’s education within Unesco and the World Bank, 1945–2000
http://dx.doi.org/10[...]
2010-07
[158]
서적
Promoting Gender Equality through Education in India
http://dx.doi.org/10[...]
BONFRING
2018-02-08
[159]
서적
The Failure of Welfare Reform to Reduce Child Poverty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18
[160]
저널
Millions of girls remain out of school
http://dx.doi.org/10[...]
2016-04-30
[161]
저널
Millions of girls remain out of school
http://dx.doi.org/10[...]
2016-04-30
[162]
저널
Education and Training: Advantaging the Level of Women’s Legislative Participation in Kenya
http://dx.doi.org/10[...]
2017-10-25
[163]
저널
Sex, grades and power in higher education in Ghana and Tanzania
http://dx.doi.org/10[...]
2011-03
[164]
저널
A Stranger Silence Still: The Need for Feminist Social Research on Climate Change
http://dx.doi.org/10[...]
2009-10
[165]
저널
A Stranger Silence Still: The Need for Feminist Social Research on Climate Change
http://dx.doi.org/10[...]
2009-10
[166]
서적
Systems linkages between climate change migration and security
http://dx.doi.org/10[...]
UN
2011-04-06
[167]
저널
Virtue and vulnerability: Discourses on women, gender and climate change
http://dx.doi.org/10[...]
2011-05
[168]
저널
Gender, Time Poverty and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Evidence From Guatemala
http://dx.doi.org/10[...]
[169]
저널
Practitioner Profile: An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http://dx.doi.org/10[...]
2014-08-02
[170]
저널
Temple, Rt Hon. Sir Richard, (8 March 1826–15 March 1902), politician and country gentleman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171]
저널
Practitioner Profile: An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http://dx.doi.org/10[...]
2014-08-02
[172]
저널
Practitioner Profile: An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http://dx.doi.org/10[...]
2014-08-02
[173]
서적
Financial Inclusion and Poverty Reduction: Has Microfinance Been Helpful to Poor People?
http://dx.doi.org/10[...]
WORLD SCIENTIFIC
2019-05
[174]
저널
The Unfinished Agenda: Women in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http://dx.doi.org/10[...]
1989
[175]
저널
The Affordable Care Act: Addressing the Unique Health Needs of Women
http://dx.doi.org/10[...]
2013-10
[176]
저널
Practitioner Profile: An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http://dx.doi.org/10[...]
2014-08-02
[177]
저널
Practitioner Profile: An Interview with Reeta Wolfsohn, CMSW
http://dx.doi.org/10[...]
2014-08-02
[178]
서적
Financial Inclusion and Poverty Reduction: Has Microfinance Been Helpful to Poor People?
http://dx.doi.org/10[...]
WORLD SCIENTIFIC
2019-05
[179]
저널
The Unfinished Agenda: Women in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http://dx.doi.org/10[...]
1989
[180]
저널
Income Characteristics of Rural Older Women and Implications for Health Status
http://dx.doi.org/10[...]
1999-01-01
[181]
서적
Emotions and Women's Capabilities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1995-11-30
[182]
저널
Using the Theory of Gender and Power to Examine Experiences of Partner Violence, Sexual Negotiation, and Risk of HIV/AIDS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Women in Southern India
http://dx.doi.org/10[...]
2007-12-31
[183]
저널
Race, Sex, and the Neglected Risks for Women and Girls in Sub-Saharan Africa
http://dx.doi.org/10[...]
2008-10
[184]
저널
A Causality Between Health and Poverty: An Empirical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Korean Society
http://dx.doi.org/10[...]
2010-02-26
[185]
저널
Re‐think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Aggregate Gender Indices
http://dx.doi.org/10[...]
2006-07
[186]
저널
Women, girls and world poverty: empowerment, equality or essentialism?
http://dx.doi.org/10[...]
2016-01
[187]
저널
Challenges and Changes in Gendered Poverty: The Feminization, De-Feminization, and Re-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http://dx.doi.org/10[...]
2018-10-23
[188]
서적
Equality in the household
http://dx.doi.org/10[...]
UN
2007-12-31
[189]
서적
Entitlements and Deprivation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1983-01-20
[190]
저널
Exploring the “feminisation of poverty” in relation to women’s work and home-based enterprise in slums of the Global South
http://dx.doi.org/10[...]
2014-09-02
[191]
저널
Gender equality and poverty in Ghana: implications for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http://dx.doi.org/10[...]
2007-02-14
[192]
서적
Time Poverty: A Contributor to Women’s Poverty?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6
[193]
저널
Gender,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http://dx.doi.org/10[...]
2015-07-24
[194]
저널
The ‘Feminisation of Poverty’ and the ‘Feminisation’ of Anti-Poverty Programmes: Room for Revision?
http://dx.doi.org/10[...]
2008-02
[195]
웹인용
Commission calls for urgent action against chronic diseases
http://dx.doi.org/10[...]
2021-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