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 헤이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 헤이우드는 미국의 노동운동가로, 1869년 유타 준주 솔트레이크 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서부광부연맹(WFM)에서 활동하며 1905년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결성에 참여했고,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기도 했다. 로렌스 섬유 파업을 지원하고 미국 사회당에서 활동했지만, IWW의 급진적인 성향으로 인해 제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간첩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소비에트 러시아로 망명하여 레닌 정부의 노동자문관으로 일했다. 그는 인종을 초월한 노동자 연합과 산업별 노동조합을 주장했으며, 저서로 《산업사회주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디칼리스트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생디칼리스트 - 닐로 밸래리
    닐로 밸래리는 핀란드 출신의 노동운동가로, 미국에서 생디칼리슴을 접하고 IWW에서 활동했으며, 핀란드 사회주의노동자당과 핀란드 공산당에서 활동하다가 핀란드 노동자좌파집단을 결성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지원, 핀란드 노동조합연맹 가맹, 선원노조 지도자 활동을 했으며, 수오멘 요우첸 호 보존에 기여하다가 1967년에 사망했다.
  • 미국 사회당 당원 - 데이비드 델린저
    데이비드 델린저는 미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양심적 병역 거부, 시민권 운동 참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펼쳤으며, 시카고 7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비폭력 저항과 사회 정의를 위해 헌신하다 2004년에 사망했다.
  • 미국 사회당 당원 - 칼 샌드버그
    칼 샌드버그는 다양한 직업을 거치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한 미국의 시인, 작가, 언론인이자 민속 음악가로, 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시, 퓰리처상을 수상한 『옥수수 껍질』, 에이브러햄 링컨 전기, 그리고 미국 민속 음악을 소개한 『미국의 노래자루』 등을 통해 미국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가 - 헨리 포드
    헨리 포드는 포드 자동차 회사를 설립하고 모델 T 자동차를 대량 생산하여 자동차 산업과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포디즘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키고 혁신적인 경영 방식을 도입했지만, 반유대주의적 언행과 노동조합 탄압으로 논란을 일으킨 미국의 기업인이다.
  •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가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빌 헤이우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헤이우드 {{circa}} 1913
헤이우드 1913
본명윌리엄 리처드 헤이우드
출생일1869년 2월 4일
출생지유타주솔트레이크 시
사망일1928년 5월 18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안장지붉은 광장 묘지, 모스크바
국적미국인
직업노동 지도자 및 활동가
배우자네바다 제인 마이너(1889년 결혼, 1920년 사별)
자녀번 (1890년 출생)
헨리에타 (1897년 출생)
부모윌리엄 더들리
엘리자베스
Wm. D Haywood
Wm. D Haywood
경력
소속 정당미국 사회당(1913년까지)
미국 공산당(1920년부터)
주요 활동콜로라도 노동 전쟁
로렌스 섬유 파업
관련 활동노동 운동
소속 단체서부 광부 연맹(발기인)
세계산업노동자연맹(위원)
활동 이념산업별 노동조합
산업 노동자 세계 연맹 사무총장
3대 사무총장 임기 시작1918년 2월
3대 사무총장 임기 종료1918년 12월
3대 사무총장 이전프레드 하디 (대행)
3대 사무총장 이후피터 스톤
5대 사무총장 임기 시작1915년 1월
5대 사무총장 임기 종료1917년 9월
5대 사무총장 이전빈센트 세인트 존
5대 사무총장 이후프레드 하디 (대행)
기타
관련 웹사이트윌리엄 "빅 빌" 헤이우드에 대한 새로운 시각

2. 생애

빌 헤이우드는 1869년 유타 준주 솔트레이크 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조랑말로 특급우편을 배달하는 집배원이었는데, 헤이우드가 3세 때 폐렴으로 사망했다.[69] 9세 때 헤이우드는 칼로 새총을 깎다가 오른쪽 눈을 다쳐 영구적으로 실명했다. 그는 손상된 눈을 의안으로 교체하지 않았고, 사진을 찍을 때 왼쪽 옆모습을 보이기 위해 머리를 돌리곤 했다.[7] 같은 해, 헤이우드는 광산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정규 교육은 제대로 받은 적이 없다. 잠깐동안 카우보이자영농 생활을 하기도 했지만 1896년 광업으로 복귀했다.[64] 1886년 헤이마켓 사건과 1894년 풀만 파업과 같은 주요 사건들은 헤이우드의 노동 운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9]

1896년, 서부광부연맹(WFM) 총재 에드 보이스가 아이다호의 은광에서 연설했는데, 헤이우드는 이 광산에서 일하고 있었다.[69] 보이스의 연설에 감화된 헤이우드는 WFM 조합원으로 가입하여 미국 노동 운동에 참여했다. 헤이우드는 가입한 즉시 WFM의 열성분자가 되었으며, 1900년에는 총집행위 위원이 된다. 1902년에는 WFM 회계간사가 되었는데, 이는 총재 찰스 모이어 바로 다음가는 2인자 자리였다.

1904년 말,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혁명적 노조 결성을 위한 모임이 열렸고, 이 모임에서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창립의 바탕이 된 선언문이 작성되어 전국으로 배포되었다.[71] 1905년 6월 27일, 시카고 브랜드홀에서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창립 대회가 열렸다.[72] 헤이우드는 이 대회에서 "노동자 동지 여러분, 이것은 노동계급의 대륙회의입니다. 우리는 자본주의의 노예의 굴레로부터 노동계급을 해방시키기 위한 목적의 노동계급 운동 하에 노동자들을 단결시키기 위해 여기에 모였습니다."라는 연설로 개회를 선언했다.[72]

재판 피고들인 찰스 모이어, 빌 헤이우드, 조지 프티본의 사진 (1907년).


1905년 12월 30일, 전 아이다호 주지사 프랭크 스투넨버그가 아이다호주, 콜드웰 자택 앞에서 폭탄 테러로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헤이우드는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으나, 1907년 무죄를 선고받았다.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1912년 1월 11일 방직공장 노동자들이 임금 삭감에 항의하여 로렌스 섬유 파업을 시작했고, 헤이우드는 이 파업을 주도했다.

헤이우드는 오랫동안 미국 사회당의 열성 당원이었다. 마르크스주의 성향을 보였으며, 19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유진 데브스의 선거운동에 참여하여 데브스와 함께 열차를 타고 전국을 돌아다녔다.[68] 1910년에는 국제사회주의 운동 조직 제2인터내셔널에 미국 사회당 대표로 참가했다.[68] 1912년, 헤이우드는 사회당 전국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헤이우드와 IWW의 급진성은, 의회 정치를 지향하는 사회당 온건파와 갈등을 빚었고 결국 헤이우드는 사회당에서 제명되었다.

1913년 패터슨 실크 파업 지도자 패트릭 L. 퀸란, 카를로 트레스카, 엘리자베스 걸리 플린, 아돌프 레시그, 헤이우드의 사진


1913년 헤이우드는 패터슨 실크 파업에 참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은 미국 연방정부가 IWW를 탄압할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102] 헤이우드는 간첩 혐의로 재판을 받았고, 1921년, 상고를 위한 보석 기간 중에 잠적하여 소비에트 러시아로 도피했다.[103]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건너간 헤이우드는 레닌볼셰비키 정부의 노동자문관이 되었으며,[69] 1923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또 쿠즈바스 자율산업단지의 개발에도 참여했다.[104] 1928년 5월 18일, 헤이우드는 모스크바의 병원에서 죽었다. 사인은 알코올 중독과 당뇨로 인한 뇌졸중이었다.[109][110]

2. 1. 어린 시절

윌리엄 더들리 헤이우드는 1869년 유타 준주 솔트레이크 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조랑말로 특급우편을 배달하는 집배원이었는데, 헤이우드가 3세 때 폐렴으로 죽었다.[69] 어머니 엘리자베스는 성공회 신자였다.[6]

9세 때 헤이우드는 칼로 새총을 깎다가 오른쪽 눈을 다쳐 영구적으로 실명했다. 그는 손상된 눈을 의안으로 교체하지 않았고, 사진을 찍을 때 왼쪽 옆모습을 보이기 위해 머리를 돌리곤 했다.[7] 삼촌 리처드가 헤이우드가 농장에서 견습 노동자로 일하도록 주선했는데, 헤이우드는 이 직업을 싫어하여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윌리엄 리처드에서 윌리엄 더들리로 변경했다.[7]

같은 해, 헤이우드는 광산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정규 교육은 제대로 받은 적이 없다. 잠깐동안 카우보이자영농 생활을 하기도 했지만 1896년 광업으로 복귀했다.[64] 1886년 헤이마켓 사건과 1894년 풀만 파업과 같은 주요 사건들은 헤이우드의 노동 운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9]

2. 2. 서부광부연맹(WFM) 활동

1896년, 서부광부연맹(WFM) 총재 에드 보이스가 아이다호의 은광에서 연설했는데, 헤이우드는 이 광산에서 일하고 있었다.[69] 보이스의 연설에 감화된 헤이우드는 WFM 조합원으로 가입함으로써 미국 노동사의 물결에 첫 발을 담그게 된다.

헤이우드는 가입한 즉시 WFM의 열성분자가 되었으며, 1900년에는 총집행위 위원이 된다. 1902년에는 WFM 회계간사가 되었는데, 이는 총재 찰스 모이어 바로 다음가는 2인자 자리였다. 같은 해, WFM은 크리플크리크 광산지구를 둘러싸고 몇 년 간 지속된 콜로라도 노동전쟁에 개입했다. 이 분쟁의 결과 노조 조합원과 비조합원을 막론하고 33명의 노동자가 숨졌다.[69] WFM은 가혹한 노동환경과 쥐꼬리만한 임금에 고통받는 다른 노동자들에게 조합의 이익이 확대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파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투쟁들은 실패했고, 그 결과 헤이우드는 노동계급의 노동쟁의에 대한 더욱 넓은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산업 라인에 따라 조직되는 단일거대노조의 개념을 생각하게 되었다.[64]

2. 3.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결성

1904년 말,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혁명적 노조 결성을 위한 모임이 열렸다.[71] 이 모임에서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창립의 바탕이 된 선언문이 작성되어 전국으로 배포되었다.[71]

세계산업노동자연맹 스티커 "도둑!"


1905년 6월 27일 오전 10시, 시카고 브랜드홀에서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창립 대회가 열렸다.[72] 헤이우드는 이 대회에서 "노동자 동지 여러분, 이것은 노동계급의 대륙회의입니다. 우리는 자본주의의 노예의 굴레로부터 노동계급을 해방시키기 위한 목적의 노동계급 운동 하에 노동자들을 단결시키기 위해 여기에 모였습니다."라는 연설로 개회를 선언했다.[72] 그는 이 조직의 목표가 자본가와는 관계없이 생산 및 분배의 기계를 통제하는 경제력을 노동계급이 소유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회에는 미국 전역의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광부, 노동조합 운동가 등 다양한 단체에서 선발된 대표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72] 미국 사회당 당수 유진 데브스, 전미광산노동자연합의 노동조직가 메리 해리스 "마더" 존스, 헤이마켓 사건으로 남편을 잃은 루시 파슨스 등도 연사로 참여했다.[72][11] IWW는 창립 이후 노동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2. 4. 살인 혐의 재판



1905년 12월 30일, 전 아이다호 주지사 프랭크 스투넨버그가 아이다호주, 콜드웰 자택 앞에서 폭탄 테러로 사망했다. 스투넨버그는 주지사 재임 시절 서부광부연맹(WFM)과 여러 차례 충돌했었다. 한때 WFM 회장 찰스 모이어의 경호원 역할을 했던 전 WFM 회원[73] 해리 오차드가 범죄 혐의로 체포되었고, 그의 호텔 방에서 증거가 발견되었다.[74] 핑커톤 소속 유명 사립탐정 제임스 맥파를랜드가 수사를 맡게 되었는데, 그는 몰리 맥과이어스에 노동 첩자로 침투하여 조직을 파괴하는데 기여한 인물이다.[75]

맥파를랜드는 재판도 하기 전에 오차드를 보이시 교도소의 사형수로 보내 식량을 제한하고 지속적인 감시를 받도록 했다. 수사 준비를 마친 후, 맥파를랜드는 오차드와 함께 "호화로운 점심" 식사를 하고 여송연을 피웠다.[76] 탐정은 오차드에게 WFM 지도부를 고발해야만 교수형을 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77] 맥파를랜드는 교수형 위협 외에도, 오차드가 협조하면 음식, 여송연, 더 나은 대우, 석방 가능성, 심지어 금전적 보상까지 약속했다.[78] 탐정은 오차드로부터 64페이지에 달하는 자백을 받았는데, 거기서 용의자는 일련의 범죄와 최소 17건의 모살에 대한 책임을 인정했다.[79]

맥파를랜드는 오차드의 위증 자백서를 이용해 WFM 지도부가 스투넨버그 모살 당시 그 현장에 있었다는 누명을 뒤집어씌웠다.[80] 그리고 주 경계를 넘어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헤이우드, 모이어, 조지 프티본 3인을 체포했다.[69] 1906년 2월 17일, 맥파를랜드는 3인을 특수 열차에 태워 덴버 시법원이 개입하기 전에 아이다호로 빼돌렸다.[81] 노조 조직가들은 이 과정을 납치 계획으로 간주했다.[80] 이 유괴행위는 너무 터무니없어서 WFM과 사이가 좋지 않은 미국노총(AFL) 총재 새뮤얼 곰퍼스가 자기 조직에 변호를 위한 기금 모금을 지시했을 정도였다.[82] 대법원에 청원한 인신보호는 기각되었고, 조지프 맥케나 대법관만이 반대했다.[83]

헤이우드의 재판은 1907년 5월 9일에 아이다호 보이시에서 시작되었으며, 시카고의 유명한 변호사 클래런스 대로가 그를 변호했다. 정부는 자백한 폭탄 테러범인 오차드의 증언만으로 헤이우드와 다른 피고인들을 얽어맬 수 있었는데,[84] 오차드의 얼룩진 과거와 인정된 폭력적 행적은 대로가 재판 중에 능숙하게 이용했지만, 오차드의 반대 심문을 직접 이끌지는 않았다.[69] 재판 과정에서 오차드는 자신이 광산소유주협회의 유급 정보원 역할을 했다고 시인했으며,[85] 사실상 양쪽에서 일한 셈이었다. 그는 또한 핑커톤 탐정에게서 돈을 받은 것을 인정했으며, 모이어나 헤이우드를 만나기 전에도 광산 분쟁 중에 폭발을 일으킨 적이 있었다.[86]

대로의 최종 변론[69] 이후, 배심원단은 1907년 7월 28일에 평의에 들어갔다. 9시간의 심의 끝에, 배심원단은 7월 29일에 돌아와 헤이우드에게 무죄를 선고했다.[4] 뒤이은 프티본의 재판에서 대로는 오차드에 대한 강력한 변호를 이끌어냈으며, 이후 덴버의 오린 힐튼에게 변호를 넘겼다.[87] 두 번째 배심원단이 프티본에게 무죄를 선고하자 모이어에 대한 혐의는 철회되었다.

이 사건으로 헤이우드는 급진적 이념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유진 데브스는 헤이우드를 “노동계의 링컨”이라고 불렀다.[88] 그의 파란만장한 과거와 외모에 자본주의에 대한 직설적인 발언들은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다. 그는 자주 "자본가는 심장이 없다. 대신 돈지갑에 작살질을 하면 피를 흘리게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89] 또 한번은 연설 모두발언에서 "오늘밤 저는 계급투쟁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며, 법조인마저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꾸밈없이 이야기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90] 그러나 헤이우드의 과장스러운 언동은 위험하기도 했다. 신문들은 그의 말들을 인용하면서 파업에 참여한 IWW 조합원 전체에 대한 체포를 정당화했다. 헤이우드가 자주 하던 말로는 "강탈(Confiscate)이라! 그것은 좋은 것이다! 나는 이 낱말이 좋다. 이 낱말은 자본가를 벗겨먹음을, 그에게서 무언가를 빼앗아 온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그러나 이 빼앗음을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있어야 한다"라는 말도 있었다.[91]

2. 5. 로렌스 섬유 파업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1912년 1월 11일 방직공장 노동자들이 임금 삭감에 항의하여 로렌스 섬유 파업을 시작했다. 일주일 만에 2만 명의 노동자가 파업에 참여했다. IWW는 이미 로렌스 현지에서 활동하며 파업 지도부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관계자들은 경찰을 불렀고, 파업은 급격히 폭력사태로 치달았다. 현지 IWW 지도자 조지프 에토르와 아르투로 지오바니티가 파업에 참여한 여공 안나 로피조에 대한 모살 혐의로 구금되었다.[92] 그러나 그녀가 경찰 발포에 의해 사망했음을[93] 확인한 목격자가 열아홉 명이나 있었다.[94]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헤이우드를 비롯한 조직가들이 로렌스로 내려가서 파업을 맡기로 했다.

이후 수 주에 걸쳐 헤이우드는 파업의 여러 전술적 결정사항들을 지휘 또는 승인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전술은 파업 노동자들의 굶주린 아이들을 뉴욕주, 버몬트주로 보내서 동정을 유발하자는 것이었다. 유럽의 노동자들이 장기 파업에서 이 전술을 사용했음을 알게 된 헤이우드는 미국 노동사 최초로 도박을 걸어보기로 결정했다. 1912년 2월 10일, “로렌스 파업 아동들”의 첫 그룹이 뉴욕으로 가는 열차에 올랐다. 아이들은 맨해튼에 무사히 도착했고 7주에 걸쳐 뉴욕에 머물렀다.

아이들이 안전하고 적절한 대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로렌스 시 및 그 외 지자체 공무원들은 아동을 노사분규에 동원했다는 점에 충격을 받았다. 언론지상에서 이 어린이 엑소더스는 비난의 대상이 되었지만, 동시에 대중들 사이에 로렌스 시의 상황이 좋지 못하다는 인식을 널리 퍼뜨릴 수 있었다.

2월 24일, 파업노동자들이 또다시 아이들을 보내려는 것을 경찰이 덮쳤다. 혼전이 벌어졌고, 여자와 아이들은 강제로 분리되었다. 경찰은 사람들에게 몽둥이 찜질을 가했고, 파업노동자 및 그 자식들 수십 명이 체포되었다. 국가적 분노가 일었다. 《뉴욕 월드》 지는 “로렌스 시 당국은 눈이 멀었으며 공장주들은 미쳤음이 틀림없다”고 썼다.[96] 《뉴욕 트리뷴》 지는 경찰의 대응을 “파업을 철회시키기 위한 협상이 가능했던 상황에서 그 무능을 드러내준 멍청한 짓”이라고 했다.[96] 사태는 미국 의회로 올라갔고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귀에까지 닿게 되었다.

전 국민적 압박으로 인해 공장주들은 노동자들에게 협조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3월 12일, 공장주들이 파업노동자들의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것에 동의함으로써 파업은 공식적으로 종료된다. 그러나 헤이우드와 IWW가 로렌스 시에서 할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파업이 끝나기는 했지만 에토르와 지오바니티가 억울하게 감옥에 갇혀 있었다. 헤이우드는 시 당국에게 “감옥문을 열지 않으면 공장문을 닫게 될 것이다”며 다시 파업이 있을 수 있다고 협박했다. 여러 법률지원과 9월 30일에 실시된 하루짜리 파업에도 불구, 기소는 취하되지 않았다.

헤이우드는 파업 기금을 유용했다는 혐의로 피소되었다. 이는 헤이우드가 로렌스 시로 돌아오지 못하게 만들려는 수작이었고, 그 결과 헤이우드는 보스턴 커먼에서 체포당한다. 에토르와 지오바니티는 11월 26일 무혐의로 풀려났다. 두 사람의 석방은 대규모의 대중적 지지가 뒷받침된 결과로 생각된다.[97]

2. 6. 미국 사회당 활동

헤이우드는 오랫동안 미국 사회당의 열성 당원이었다. 마르크스주의 성향을 보였으며, 19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유진 데브스의 선거운동에 참여하여 데브스와 함께 열차를 타고 전국을 돌아다녔다.[68] 1910년에는 국제사회주의 운동 조직 제2인터내셔널에 미국 사회당 대표로 참가했다.[68] 1912년, 헤이우드는 사회당 전국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임금 제도 철폐와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하는 헤이우드와 IWW의 급진성은, 의회 정치를 지향하는 사회당 온건파와 갈등을 빚었다. 헤이우드와 IWW는 직접행동과 파업을 선호했으며, 이는 종종 폭력 사태로 이어졌다.[98] 헤이우드가 뉴욕 시 공청회에서 노동자들의 투표권 행사를 지지한 적이 없으며 직접 행동을 선호한다고 밝히자, 사회당 뉴욕주당 집행위원회는 전국집행위에 헤이우드의 퇴진을 요구했다.[99] 1913년 2월, 헤이우드 제명안은 2대 1이 넘는 비율로 통과되었다.[99] 당내 투쟁에서 패배한 헤이우드는 사회당의 모든 당직을 내려놓고 IWW의 수천 조합원과 그 지지자들에게 합류했다.[98]

2. 7. 기타 노동운동



1913년 헤이우드는 페터슨 실크 파업에 참여했으며, 파업 도중 약 1,850명의 다른 파업 참가자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오랜 대치와 모금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업은 1913년 7월 28일에 실패로 끝났다.[36]

2. 8. 간첩 혐의 재판과 소비에트 러시아 망명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은 미국 연방정부가 IWW(세계산업노동자)를 탄압할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102] 1917년 9월 5일, 법무부는 1917년 간첩법을 적용하여 전국의 IWW 지부 48개소에 들이닥쳤다.[98]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IWW 조합원 165명이 체포되었다.[102]

1918년 4월, 헤이우드 외 100명에 대한 재판이 시작되었다. 재판은 5개월간 계속되었으며, 이는 당대 최장기간 지속된 형사재판이었다. 헤이우드 본인이 증언한 시간은 단 3일뿐이었다.[102] 피고 101명 전원에게 유죄가 확정되었고, 헤이우드 외 14명에게는 징역 20년형이 선고되었다.

지지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헤이우드는 유죄 선고를 뒤집을 수 없었다. 1921년, 헤이우드는 상고를 위한 보석 기간 중에 잠적하여 소비에트 러시아로 도피했다.[103] IWW 관계자들은 헤이우드의 도피에 대해 “헤이우드가 정말 도망쳤다면 그는 노동운동에 있어 할복(곧 정치적 자살)을 저지른 것이다. IWW 및 IWW의 모든 지지자들은 그와 절연할 것”임을 선언했다.[103] 백만장자 지지자 윌리엄 브로스 로이드가 대납해 준 15000USD 상당의 보석금은 헤이우드의 도피로 인해 그대로 몰수되었다.[103]

2. 9. 소비에트 러시아에서의 여생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건너간 헤이우드는 레닌볼셰비키 정부의 노동자문관이 되었으며,[69] 1923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 또 쿠즈바스 자율산업단지의 개발에도 참여했다.[104] 모스크바에 있는 헤이우드의 작은 아파트를 방문한 여러 사람들은 헤이우드가 외롭고 우울해 보였으며 미국으로 돌아가고 싶어했다고 회상했다.[105][106][107] 1926년 헤이우드는 러시아 여자와 결혼했으나 부부는 서로의 모국어를 배우려 하지 않고 수화로 의사소통했다.[108]

Plaque on a brick wall with inscription: William D. Haywood/Вильям Д. Хейвуд, 1869-02-04–1928-05-18
크레믈린 벽에 붙은 헤이우드의 매장 명판


1928년 5월 18일, 헤이우드는 모스크바의 병원에서 죽었다. 사인은 알코올 중독과 당뇨로 인한 뇌졸중이었다.[109][110] 시신을 화장해 뼛가루의 절반은 크렘린 벽에 매장했고 나머지 절반은 유골함에 담아 시카고로 보내 헤이마켓 희생자 위령비 근처에 매장했다.[69]

3. 헤이우드의 노동 철학

빌 헤이우드는 미국노동총연맹(AFL)의 직종별 노동조합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특히 AFL 총재 새뮤얼 곰퍼스헤이마켓 사건 희생자들을 구명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113] 곰퍼스는 노동자들이 각자의 기술에 따라 나뉘어야 한다는 직종별 노동조합을 지지했고,[65] AFL은 비숙련 노동자를 조직하는 것을 경시했다.[114]

헤이우드는 산업별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1888년 기관차 화부들이 직종별로 조직되어 파업을 멈추지 않아 기업주들이 철도 엔지니어들의 파업을 분쇄하는 것을 도운 사건을 통해 이를 확신하게 되었다.[116] 그는 모든 노동자를 하나의 노조 아래 조직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헤이우드는 노동계급의 일원으로서 노동자들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고, 고용주들의 오만에 분노했다.[124] 그는 정부가 광부들의 전술과 열망을 꺾기 위해 자주 기업의 편을 드는 것을 관찰했다.[13] 그는 존 D. 록펠러가 "콜로라도 사람들이 투표로 행사할 수 있는 권력보다 골프채로 더 많은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고 불평한 것에 대해, 상황이 불공정해 보였고 게임의 규칙을 바꾸지 않고는 노동자들이 지속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을 것으로 보았다. 점점 그의 산업별 노조주의는 혁명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54][55]

시카고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한 헤이우드 (1917)


헤이우드는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을 "어떤 사람이 일하지 않고 달러를 갖고 있다면, 다른 사람은 그가 얻지 못한 달러를 위해 일한 것이다."라는 단순한 관찰로 요약했다.[13] 그는 마르크스의 업적을 존경했지만, "나는 마르크스의 자본을 읽어본 적은 없지만, 자본의 흔적은 온몸에 있다."라고 말하며 유머러스하게 언급했다.[58]

헤이우드는 모든 인종을 초월해 노동자들이 같은 노조 아래 조직화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IWW에 대한 그의 생각은 "흑인과 백인을 모두 받아들일 정도로 크고, 모든 국가의 국적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크다. 국경선을 지워버릴 정도로 강한 조직이 될 것이다."였다.[147]

3. 1. 산업별 노동조합

헤이우드는 미국노동총연맹(AFL)의 직종별 노동조합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는 AFL 노조 간부들이 노동자들의 투쟁을 충분히 지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특히 AFL 총재 새뮤얼 곰퍼스헤이마켓 사건 희생자들을 구명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113] 곰퍼스는 노동자들이 각자의 기술에 따라 나뉘어야 한다는 직종별 노동조합을 지지했고,[65] AFL은 비숙련 노동자를 조직하는 것을 경시했다.[114]

헤이우드는 1888년 기관차 화부들이 직종별로 조직되어 파업을 멈추지 않아 기업주들이 철도 엔지니어들의 파업을 분쇄하는 것을 도운 사건을 통해 산업별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확신하게 되었다.[116] 유진 데브스는 전미철도노조(ARU)를 설립하여 철도산업의 모든 노동자를 하나의 노조로 조직하려 했다.[117] 1894년 ARU의 풀먼사 파업은 산업별 노동조합의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정부의 개입으로 파업은 분쇄되었다.[118] 헤이우드는 AFL이 ARU를 돕지 않은 것을 "배반행위"라고 비판했다.[120]

1903-05년 크리플크리크 파업에서 서부광부연맹(WFM)의 파업이 실패하자, 헤이우드는 산업별 노동조합 원칙은 옳지만 노동자들의 연대가 부족하여 실패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WFM 광부들은 노조의 혜택을 제분소 노동자들에게까지 확대하려 했지만, 철도노동자들이 직종별로 조직되어 파업을 지원하지 않아 실패했다.[114] 헤이우드는 모든 노동자를 하나의 노조 아래 조직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WFM은 AFL을 "미국노동총분열"이라고 비꼬아 불렀다.[121]

헤이우드는 노동계급의 일원으로서 노동자들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고, 고용주들의 오만에 분노했다.[124] 그는 산업별 노동조합을 통해 노동자들이 자본에 맞서 단결해야 한다고 믿었다.

3. 2. 혁명적 노동조합주의

헤이우드는 노동자 계급의 일원으로서 성장했으며,[13] 노동자에 대한 그의 존경심은 진심이었다.[13] 그는 "명령을 내리는 것 외에는 노동자에게 말을 걸어본 적이 없는" 고용주들의 오만에 빠르게 분노했다.[13] 그는 정부가 광부들의 전술과 열망을 꺾기 위해 자주 기업의 편을 드는 것을 관찰했다.[13] 헤이우드는 코르달렌의 잔혹한 상황을 계급 투쟁의 발현으로 여겼다. 1901년 광부들은 WFM 컨벤션에서 "사회적, 경제적 조건의 완전한 혁명"만이 "노동 계급의 유일한 구원"이라는 데 동의했다.[52]

WFM의 1903~1904년 콜로라도 투쟁에서 다시 계엄령이 시행되면서, 콜로라도 주지사가 제공한 광산 운영자의 강경 진압 부대와 노동자들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해주는 두 가지 선언이 주 방위군에 의해 발표되고 기록되었다. 노조 변호사들이 불법적으로 투옥된 파업 노동자들을 석방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을 때, 보좌관 셔먼 벨은 "인신 보호 영장은 엿이나 먹어라, 우리는 부검을 해줄 것이다."라고 선언했다.[13] 미국 헌법을 상기시키자, 벨의 부하 장교 중 한 명은 냉정하게 "헌법 따위는 집어치워라. 우리는 헌법대로 할 생각이 없다."라고 선언했다.[13]

벨 장군은 파업이 벌어지고 있던 크리플 크릭의 석탄 광산 중 한 곳의 관리자였다.[53] 헤이우드가 보기에 군인들이 고용주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그는 그러한 상황을 전에 본 적이 있었다.[13]

헤이우드는 존 D. 록펠러가 "콜로라도 사람들이 투표로 행사할 수 있는 권력보다 골프채로 더 많은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고 불평했다.[54] 헤이우드에게는 상황이 불공정해 보였고, 게임의 규칙을 바꾸지 않고는 노동자들이 지속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을 것으로 보였다. 점점 그의 산업별 노조주의는 혁명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55]

WFM 시절 데브스를 만난 헤이우드는 전직 철도 지도자의 새로운 열정인 사회주의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13] 헤이우드는 다음과 같은 믿음에 동의했고, 보이스와 함께 WFM의 새로운 모토를 만들었다.

> 노동은 모든 부를 생산하고, 모든 부는 그 생산자에게 속한다.[13]

1905년 헤이우드는 더 좌파적인 사회주의자들, 헤이마켓 전통의 노동 무정부주의자들, 그리고 다른 투쟁적인 노조원들과 함께 IWW를 움직이게 하는 혁명적 산업별 노조주의 개념을 고안했다. 헤이우드는 이 철학을 "노동복을 입은 사회주의"라고 불렀다.[12]

헤이우드는 산업 관계 위원회와 사유 재산의 신성함에 대한 논쟁을 벌이면서 자신의 마르크스주의적 뿌리를 드러냈고, 그는 자본가의 재산은 단지 "무보수 노동, 잉여 가치"를 나타낼 뿐이라고 답했다.[59] 헤이우드는 카를 마르크스의 방대한 저작물을 "어떤 사람이 일하지 않고 달러를 갖고 있다면, 다른 사람은 그가 얻지 못한 달러를 위해 일한 것이다."라는 단순한 관찰로 요약했다.[13] 헤이우드는 마르크스의 업적을 존경했지만, 그것을 경건하지 않은 유머로 언급했다. 위험한 광산 작업과 경찰 및 민병대와의 수많은 주먹 싸움으로 인한 그의 상처를 인정하면서, 그는 "나는 마르크스의 자본을 읽어본 적은 없지만, 자본의 흔적은 온몸에 있다."라고 말하는 것을 좋아했다.[58]

헤이우드는 직접 행동을 선호했다. 보이세 살인 재판 이후 그는 다음과 같이 믿게 되었다.

> 사회주의 정당과 사회주의 노동당이 이러한 절박한 정치 투쟁에서 I.W.W.와 그렇게 드물게 힘을 합친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다.[56]

헤이우드는 직접 행동을 계속 옹호했지만, 사회주의자들이 선호하는 정치적 행동을 변화를 위한 또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그리고 그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질 때만 옹호했다. 1913년 10월 사회주의 정당 회의에서 헤이우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동부 섬유 산업에서 대다수가 정치적 대표성이 없는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연설할 때는 산업 투표만 옹호한다. 그러나 서부의 미국 노동자들에게 연설할 때는 산업 투표와 정치 투표를 모두 옹호한다.[57]

"산업 투표"는 IWW의 직접 행동 방식 (파업, 속도 늦추기 등)을 의미했다.

3. 3. 인종을 초월한 노동자 연합

헤이우드는 모든 인종을 초월해 노동자들이 같은 노조 아래 조직화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IWW에 대한 헤이우드의 생각은 "흑인과 백인을 모두 받아들일 정도로 크고, 모든 국가의 국적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크다. 국경선을 지워버릴 정도로 강한 조직이 될 것이다."였다.[147]

1912년, 헤이우드는 루이지애나주의 산림노동자 형제단 대회에서 연설했다. 당시 루이지애나에서는 서로 다른 인종끼리 만나는 것은 불법이었다.[66] 헤이우드는 백인 노동자들이 흑인 노동자들을 대회 자리에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그대들은 같은 공장에서 함께 일합니다. 때로는 흑인 한 명과 백인 한 명이 나무 한 그루를 함께 베기도 합니다. 그대들은 지금 그대들이 노동하는 환경을 논하기 위해 대회를 열고 있습니다. 왜 이 문제에 대해 분별을 갖지 못하고 흑인들을 대회에 부르지 않는 것입니까? 만일 그것이 불법이라면, 지금이야말로 그 법을 어겨야 할 때인 것입니다.[66]

인종간 회합을 금지하는 법을 무시하고 노조 대회는 흑인 노동자들을 초청했고, 이날 대회에서 산림노동자 형제단은 IWW 가맹을 투표로 결정했다.[66]

4. 저서


  • Industrial Socialism영어 (한국어: 산업 사회주의) 프랭크 본 공저. 시카고: 찰스 H. 커 & Co., 1911.
  • The General Strike.영어 (한국어: 총파업) 시카고: 찰스 H. 커 & Co., 미상 [1911]. 1911년 3월 16일 연설.
  • Speech of William D. Haywood on the Case of Ettor and Giovannitti, 1912.영어 (한국어: 윌리엄 D. 헤이우드의 에토르와 조반니티 사건에 대한 연설, 1912.)
  • Bill Haywood Remembers the 1913 Paterson Strike영어 (한국어: 빌 헤이우드가 기억하는 1913년 패터슨 파업)
  • The I.W.W.: Its History, Structure & Methods.영어 (한국어: 세계산업노동자: 역사, 구조, 방법) 시카고: 세계산업노동자, 1917.
  • With Drops of Blood the History of the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Has Been Written.영어 (한국어: 피의 방울로 세계산업노동자들의 역사가 쓰여졌다.) 미상 (시카고): 세계산업노동자, 미상 (1919).
  • Raids! Raids!! Raids!!!영어 (한국어: 급습! 급습!! 급습!!!) 미상 (시카고): 세계산업노동자, 미상 (1919년 12월).
  • Bill Haywood's Book: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영어 (한국어: 빌 헤이우드의 책: 빅 빌 헤이우드의 자서전) 뉴욕: 인터내셔널 퍼블리셔스, 1929. ''빅 빌 헤이우드의 자서전''으로 재발행.

참조

[1] 웹사이트 New Perspectives on the West: William "Big Bill" Haywood https://www.pbs.org/[...] 2001
[2] 서적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Crown Publishers 1972
[3]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arperCollins 2009
[4] 뉴스 "Not guilty" jury of his peers say https://news.google.[...] 1907-07-29
[5] 웹사이트 The Trial of Bill Haywood http://www.law.umkc.[...]
[6] 서적 Bill Haywood's Book: The Autobiography of William D. Haywood https://books.google[...] Pickle Partners 2018-12
[7]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International Publishers 2020
[8]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International Publishers 1966
[9]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International Publishers 1966
[10] 간행물 The IWW: its History, Structure and Methods. http://www.iww.org/c[...] IWW Publishing Bureau 1917
[1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2]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3] 서적 Roughneck: The Life and Times of Big Bill Haywood https://archive.org/[...] W. W. Norton and Company 1983
[14]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International Publishers 2020
[15] 간행물 "This fabric under which we have lived" (editorial) American Bar Association Journal 1968-05
[16] 문서 Pettibone v. Nichols U.S. 1906
[17] 문서 Pettibone v. Nichols U.S.
[18] 문서 U.S.
[19] 웹사이트 FindLaw's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and opinions https://caselaw.find[...]
[20] 웹사이트 State of Colorado Abstract of Votes Cast 1906 https://www.sos.stat[...] Secretary of State of Colorado 1906
[21] Google books Clarence Darrow: Attorney for the Damned
[22] 서적 Bread and Roses: Mills, Migrants, and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Dream. Viking-Penguin 2005
[23] 서적 Bread and Roses
[24] 서적 Bread and Roses
[25] 서적 Bread and Roses
[26] 간행물 "The I.W.W., a study in American syndicalism," Studies in History, Economics and Public Law 1919
[27] 서적 The IWW: Its First Seventy Years 1905–1975.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1976
[28]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29] 서적 When Baseball Met Big Bill Haywood: The Battle for Manchester, New Hampshire, 1912-1916. McFarland & Company 2018
[30] 서적 Bread and Roses
[31] 서적 Bread and Roses
[32] 뉴스 10,000 Hail Ettor and Comrades Free; Enthusiastically Pledge Fealty to 'One Religion, Working Class Solidarity.' https://www.nytimes.[...] 1912-11-27
[33] 간행물 Revolutionary Tendencies in American Labor – Part 2 The American Labor Movement: A New Beginning. Resurgence.
[34] 간행물 "The IWW: Its First 100 Years," http://www.iww.org/c[...]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2005-03
[35] 간행물 "Result of Referendum D, 1912: Vote Closed February 26 [1913]," Cleveland Socialist 1913-03-15
[36] 서적 Transnational Perspectives on Modern Irish History Taylor & Francis 2014
[37] 문서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38] 뉴스 Haywood in Russia as Sentence Begins. https://www.nytimes.[...] 1921-04-22
[39] 웹사이트 The Autonomous Industrial Colony "Kuzbass" http://flag.blackene[...] Flag.blackened.net 2013-06-04
[40] 서적 Dreiser Looks At Russia Horace Liveright 1928
[41] 서적 Legendary Labor Leaders. Oliver Press 1998
[42] 논문 Religion and Radical Labor Unionism: American States in 1920s 1988
[43] 뉴스 'Big Bill' Haywood Weds. https://www.nytimes.[...] 1927-01-14
[44] 뉴스 'Big Bill' Haywood Dies in Moscow. https://www.nytimes.[...] 1928-05-19
[45] 서적 The Reader's Companion to American History. Houghton Mifflin Books 1991
[46] 문서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47] 문서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48] 문서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49]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Labor 1966
[50]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929
[51] 문서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52] 서적 All That Glitters: Class, Conflict, and Community in Cripple Creek.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53] 문서 All That Glitters
[54] 문서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55] 문서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56] 문서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57] 서적 American Labor Unions https://archive.org/[...] Henry Holt 1914
[58] 서적 Big Trouble: A Murder in a Small Western Town Sets Off a Struggle for the Soul of America. Simon and Schuster 1997
[59] 문서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60] 문서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61] 간행물 From Statehouse to Bull Pen: Idaho Populism and the Coeur d'Alene Troubles of 1890s. 1967-01
[62] 서적 The Armies of Labor: A Chronicle of the Organized Wage-Earners https://www.gutenber[...] Yale University Press 1919
[63] 문서 Bill Haywood's Book International Publishers 1929
[64] 웹사이트 "New Perspectives on the West – William \"Big Bill\" Haywood," http://www.pbs.org/w[...] PBS Interactive 2001
[65] 서적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Crown Publishers 1972
[66]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arperCollins 2009
[67] 문서 Roughneck
[68] 문서 Revolutionary Tendencies in American Labor – Part 2 Resurgence
[69] 웹사이트 The Trial of Bill Haywood, http://www.law.umkc.[...] Famous Trials 1998
[70]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International Publishers 1966
[71] 웹사이트 The IWW: its History, Structure and Methods. http://www.iww.org/c[...] IWW Publishing Bureau 2011-01-17
[72]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73]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74] 서적 Roughneck: The Life and Times of Big Bill Haywood W.W. Norton 1983
[75] 서적 Roughneck
[76] 서적 Roughneck
[77] 서적 Roughneck
[78] 서적 Roughneck
[79] 서적 Roughneck
[80] 서적 Roughneck
[81] 서적 Roughneck
[82] 서적 Roughneck
[83] 서적 Roughneck
[84] 서적 Roughneck
[85] 서적 Roughneck
[86] 서적 Roughneck
[87] Google books Clarence Darrow: Attorney for the Damned
[88] 서적 Bread and Roses: Mills, Migrants, and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Dream Viking-Penguin 2005
[89] 서적 Bread and Roses
[90] 서적 Bread and Roses
[91] 서적 Bread and Roses
[92] 서적 The IWW: Its First Seventy Years 1905–1975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1976
[93] 서적 Roughneck
[94]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95] 서적 Bread and Roses
[96] 서적 Bread and Roses
[97] 뉴스 10,000 Hail Ettor and Comrades Free; Enthusiastically Pledge Fealty to 'One Religion, Working Class Solidarity.' http://query.nytimes[...] 1912-11-27
[98] 웹사이트 The IWW: Its First 100 Years, http://www.iww.org/c[...]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 2005-03
[99] 간행물 Result of Referendum D, 1912: Vote Closed February 26 [1913] Cleveland Socialist 1913-03-15
[100] 웹사이트 The Samuel Gompers Papers http://www.gompers.u[...]
[101] 웹인용 The Many Facets of Mabel Dodge Luhan http://mabeldodgeluh[...] The Mabel Dodge Luhan House: Historic Inn and Conference Center
[102]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03] 뉴스 Haywood in Russia as Sentence Begins, http://query.nytimes[...] 1921-04-22
[104] 웹인용 The Autonomous Industrial Colony "Kuzbass" http://flag.blackene[...] Flag.blackened.net
[105] 서적 Dreiser Looks At Russia Horace Liveright 1928
[106] 서적 Legendary Labor Leaders Oliver Press 1998
[107] 논문 Religion and Radical Labor Unionism: American States in 1920s 1988
[108] 뉴스 Big Bill Haywood Weds. Can't Speak Russian and Russian Wife Can't Speak English,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1927-01-14
[109] 뉴스 'Soviet State Funeral Is Likely for IWW Leader, Who Was Fugitive From Here. Nihilist to Some, Martyr to Others, He Knew Many Jails From Steunenberg Trial Onward,'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1928-05-19
[110] 서적 The Reader's Companion to American History Houghton Mifflin Books 1991
[111] 서적 Roughneck
[112] 서적 Roughneck
[113]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14] 서적 Roughneck
[115] 서적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116] 서적 Roughneck
[117] 서적 Roughneck
[118] 서적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119]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Labor 1966
[120]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929
[121] 서적 Roughneck
[122] 서적 A Pictorial History of American Labor
[123]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International Publishers 1929
[124] 서적 Roughneck
[125] 서적 Roughneck
[126] 서적 Roughneck
[127] 서적 Roughneck
[128] 서적 Roughneck
[129] 서적 Roughneck
[130] 서적 Roughneck
[131] 서적 Roughneck
[132] 서적 All That Glitters: Class, Conflict, and Community in Cripple Creek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133] 서적 Roughneck
[134] 서적 Roughneck
[135] 서적 All That Glitters
[136] 서적 Roughneck
[137] 서적 Roughneck
[138]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39]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40]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41] 서적 American Labor Unions: By a Member. http://www.boondocks[...] Henry Holt and Company 1914
[142] 서적 Roughneck
[143] 서적 Big Trouble: A Murder in a Small Western Town Sets Off a Struggle for the Soul of America Simon and Schuster 1997
[144]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45] 서적 The Autobiography of Big Bill Haywood
[146] 간행물 From Statehouse to Bull Pen: Idaho Populism and the Coeur d'Alene Troubles of 1890s. Pacific Northwest Quarterly 1967-01
[147] 서적 The Armies of Labor: A Chronicle of the Organized Wage-Earners. http://www.gutenberg[...] Yale University Press 1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