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판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빨판상어는 머리 등쪽에 흡반이 있어 고래, 거북, 상어 등 숙주에 부착하여 생활하는 어류이다. 숙주로부터 보호받고 기생충을 제거하며, 숙주의 식사 잔여물이나 배설물을 섭취하는 상호주의적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열대 해역에 주로 분포하며, 어린 개체는 흡반을 발달시켜 다른 동물에 부착한다. 빨판상어는 인간에 의해 거북 포획에 이용되기도 하며, 인간 사회에서 세력가에 아첨하여 이익을 얻는 사람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빨판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 | |
학명 | Echeneidae |
명명자 | Rafinesque, 1810 |
이명 | Echeneididae |
속 | Echeneis (Linnaeus, 1758) Phtheirichthys (Gill, 1862) Remora (Gill, 1862) |
일반 정보 | |
몸길이 | 30–110 cm |
화석 기록 | 후기 올리고세 – 현재 |
2. 특징
머리 등쪽에 엽전 모양의 큰 흡반이 있으며, 이는 앞쪽 등지느러미가 진화한 것이다. 이 흡반에는 20개 정도의 판 모양 가로 줄무늬(격벽)가 있어 매끄러운 표면에 잘 달라붙을 수 있다.
다음 분류 및 영명은 FishBase(2019)를 따른다.[21] 일본명은 혼무라(2020)를 따른다.[19]
빨판상어는 평생의 대부분을 고래, 거북, 상어, 가오리, 새치류, 바다거북과 같은 숙주 생물에 붙어서 생활한다. 숙주 위를 이동하며 외부 기생충과 피부 각질을 제거하고, 숙주로부터 보호를 받으며 아가미를 통해 지속적인 물의 흐름을 얻을 수 있어, 이 관계는 상호주의적 관계로 여겨지기도 한다.[7]
식성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일반적으로 숙주가 먹다 남은 음식 찌꺼기나 기생충을 먹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편리공생으로 보기도 한다.[20] 또한, 숙주의 배설물을 주로 먹는다는 분변 섭식 가설도 제기되었으나[8], 정확한 식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 분포
빨판상어는 전 세계의 따뜻한 바다에 분포하는 외양성 어류로, 주로 열대의 외양에 서식한다. 하지만 숙주인 대형 어류에 붙어 이동하기 때문에 온대 기후나 연안 해역에서도 드물게 발견된다. 대서양 중부에서는 보통 6월과 7월에 산란하며, 지중해에서는 8월과 9월에 산란한다. 어린 빨판상어는 약 1cm 길이가 되면 흡반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약 3cm 크기가 되면 원반이 완전히 형성되어 다른 동물에 붙을 수 있게 된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튀어나와 있으며, 부레는 없다.[9]
일부 빨판상어는 특정 숙주와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 흔히 상어, 쥐가오리, 고래, 거북, 듀공 등에 붙어 다니기 때문에 "상어빨판상어"나 "고래빨판상어"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몸집이 작은 빨판상어는 참치나 황새치 같은 물고기에 붙기도 하며, 아주 작은 종류는 큰 쥐가오리, 개복치, 황새치, 돛새치 등의 입이나 아가미 속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빨판상어는 이처럼 숙주에 붙어 이동하며 분포 범위를 넓히는데, 이는 편리공생의 한 형태인 포레시스(phoresis)로 여겨진다.[10]
4. 하위 속
5. 계통 분류
2016년 해링턴(Harrington) 등의 연구에 따른 전갱이류 내 계통 분류에서 빨판상어과는 전갱이목에 속하며, 날새기과 및 만새기과와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9] 다른 연구에서는 빨판상어과(''Echeneidae'')가 날새기과(Rachycentridae)와 만새기과(Coryphaenidae)의 자매군이라고 제시하기도 한다.[22]
빨판상어과 내부의 계통은 분자계통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22]
- Echeneinae 아과
- * 얼룩코반자메 (''Echeneis naucrates'')
- * 자매군
- ** 코반자메 (''Echeneis sp.'')
- ** ''Echeneis neucratoides''
- Remorinae 아과
- * 대형빨판상어 (''Remora remora'')
- * 흰빨판상어 (''Remora albescens'')
- * 마름코반자메 (''Remora osteochir'')
- * 자매군
- ** 검은빨판상어 (''Remorina albescens'')
- ** 긴빨판상어 (''Phtheirichthys lineatus'')
6. 인간과의 관계
빨판상어는 바다거북 어업에 이용되기도 한다. 살아있는 빨판상어 꼬리에 로프를 묶어 바다거북 근처에 풀어주면, 빨판상어는 곧장 바다거북에게 다가가 배에 달라붙는다. 이때 로프를 당기면 빨판상어와 함께 바다거북도 끌려오게 된다. 작은 바다거북은 이렇게 직접 잡지만, 큰 개체는 마지막에 작살을 사용하여 잡는다.
이러한 어업 방식은 인도양 전역, 특히 잠비아나 모잠비크 주변의 동아프리카 연안[23], 그리고 케이프타운과 토레스 해협 근처의 북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서 기록되었다.[24][25] 유사한 어업 방식은 일본이나 미국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서양 문헌에서 이처럼 '물고기를 이용한 어업'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두 번째 항해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레오 위너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인도로 착각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해당 기록이 실제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것이 아니라 동인도에 관한 기술을 바탕으로 콜럼버스가 꾸며낸 이야기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26]
한편, 빨판상어의 습성은 인간 사회를 묘사하는 비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빨판상어는 자신보다 큰 대상에 달라붙어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때로는 그 대상이 먹다 남긴 것을 얻어먹기도 한다. 이러한 습성에 빗대어, 현실 사회에서 권력이나 인기를 가진 사람에게 아첨하며 그 명성을 이용하거나 이익을 얻으려는 사람을 경멸하는 의미로 '빨판상어 같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한국 표현으로는 '금붕어 똥', '바지가랑이 잡고 늘어진다', '호랑이 위세를 빌리는 여우' (호가호위) 등이 있다.
또한, 대규모 상업 시설, 유원지, 공공 시설처럼 많은 사람을 모으는 곳 근처에서 영업하며 고객을 끌어들이는 상술을 '빨판상어 상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An early fossil remora (Echeneoidea) reveals the evolutionary assembly of the adhesion disc
[2]
저널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null
[3]
웹사이트
2019-11-16
[4]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web.archive.[...]
Wiley
2019-11-16
[5]
웹사이트
Sharksucker fish's strange disc explained
https://web.archive.[...]
Natural History Museum
2013-01-28
[6]
서적
The Illustrated World Encyclopedia of Marine Fish & Sea Creatures
Lorenz Books
[7]
뉴스
How does the Remora develop its sucker?
http://www.nhm.ac.uk[...]
2012-11-30
[8]
저널
Echeneid-sirenian associations, with information on sharksucker diet
[9]
웹사이트
2019-08-01
[10]
저널
Mechanics of Remora Removal by Dolphin Spinning
2007-06-11
[11]
서적
Environmental Physiology of Animal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3-12
[12]
저널
Energetic cost of active branchial ventilation in the sharksucker, ''Echeneis naucrates''
http://jeb.biologist[...]
1983-03-01
[13]
저널
Tetrodotoxin sensitivity of muscle action potentials in pufferfishes and related fishes
[14]
저널
On the Use of the Sucking-Fish for Catching Fish and Turtles: Studies in ''Echeneis'' or ''Remora'', II., Part 1.
https://zenodo.org/r[...]
[15]
저널
On the Use of the Sucking-Fish for Catching Fish and Turtles: Studies in ''Echeneis'' or ''Remora'', II., Part 2
https://zenodo.org/r[...]
[16]
서적
Narrative of the Voyage of H.M.S. Rattlesnake, Commanded By the Late Captain Owen Stanley, R.N., F.R.S. etc. During the Years 1846–1850
http://www.gutenberg[...]
Lords Commissioners of the Admiralty
1852
[17]
저널
Once more the sucking-fish
https://zenodo.org/r[...]
[18]
서적
Natural History
[19]
서적
日本産魚類全種目録 これまでに記録された日本産魚類全種の現在の標準和名と学名
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
[20]
문서
null
[21]
웹사이트
Echeneidae
https://www.fishbase[...]
[22]
저널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remoras and their relatives
http://si-pddr.si.ed[...]
University of Miami-Rosenstiel School of Marine and Atmospheric Science
[23]
저널
On the Use of the Sucking-Fish for Catching Fish and Turtles: Studies in ''Echeneis'' or ''Remora'', II., Part 1.
http://links.jstor.o[...]
[24]
저널
On the Use of the Sucking-Fish for Catching Fish and Turtles: Studies in ''Echeneis'' or ''Remora'', II., Part 2
http://links.jstor.o[...]
[25]
서적
Narrative of the Voyage of H.M.S. Rattlesnake
[26]
저널
Once more the sucking-fish
http://links.jstor.o[...]
[27]
웹인용
family: Echeneidae
http://www.fishbase.[...]
2006-01-01
[28]
저널인용
Echeneid-sirenian associations, with information on sharksucker diet
[29]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of carangimorph fishes reveals flatfish asymmetry arose in a blink of the evolutionary eye
2016-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