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서 (직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서는 도서관학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도서관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직업이다. 고대부터 시작된 사서의 역사는 시대별로 역할을 달리하며 발전해왔고, 현대에는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역할 변화를 겪고 있다. 사서는 자료 수집, 정리, 보존, 정보 제공, 정보 활용 교육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공공 도서관, 학술 도서관, 학교 도서관, 특수 도서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근무한다. 사서가 되기 위해서는 각 국가별로 요구되는 교육 과정과 자격을 갖춰야 하며, 전문 단체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권익을 보호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서 - 사서 교사
    사서 교사는 학교에서 독서 및 정보 활용 교육, 리터러시 개발, 도서관 관리 등을 수행하며 학생, 교사,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정보 접근을 촉진하는 교사이다.
  • 사서 - 이재경 (1822년)
    조선 말기 문신 이재경은 규장각 검서관을 지내다 1902년 고종의 기로소 입사 관련 은전으로 통정대부에 올랐다.
사서 (직업)
기본 정보
직업 종류전문직
관련 직업기록 보관인
큐레이터
지식 관리자
직업 개요
직업 명칭사서
유사 직업 명칭정보 전문가
정보 스페셜리스트
활동 분야공공 도서관
대학 도서관
특수 도서관
직무 내용정보 자원 관리 및 제공
이용자 교육
독서 진흥
필요 역량정보 검색 능력
분석 및 판단 능력
의사소통 능력
봉사 정신
관련 교육문헌정보학 학사 학위 (3년 또는 4년)
일부 국가에서는 석사 학위 또는 대학원 졸업장이 요구됨
특수 사서의 경우 관련 분야 학위 필요 (예: 법학 박사, MBA)
자격 정보 (대한민국 기준)
자격 명칭사서
영문 명칭Librarian
관련 분야교육, 교양
자격 종류국가 자격
등급/칭호사서
사서보
근거 법령도서관법
인정 기관문부 과학성 (평생 학습 정책국)
공식 웹사이트문부 과학성 공식 웹사이트

2. 정의

사서는 도서관학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도서관 고유 서비스에 종사하는 전문 직원을 의미한다. 이들은 시설 관리, 정보 시스템 관리 등 도서관 고유 업무 외에도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사서의 역사는 고대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인들은 회계 기록을 위해 서기들을 훈련시켰다. 고대 아시리아에서는 기원전 7세기 아슈르바니팔 왕이 니네베에 도서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사서직이 도입된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 고대 이집트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기원전 3세기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 도서관의 사서였던 칼리마코스는 소장된 책들을 주제별로 분류한 《피나케스》를 제작했다. 로마 시대에는 귀족들이 개인 도서관을 소유했고, 황제들은 공공 도서관을 설립했다.

중세 시대에는 주로 기독교 수도원이 도서관 제도를 유지하며, 필경사들이 양피지 코덱스를 보급하는 데 힘썼다. 이 시기에는 아나스타시우스 비블리오테카리우스가 그리스 고전을 번역하여 "사서"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중세 말기에는 대학교가 부활하면서 도서관이 다시 등장했고, 귀족이나 법학자들이 개인 도서관을 설립하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립 도서관이 더욱 발전했다. 특히 인쇄술의 발명은 책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1595년에는 최초의 도서관 카탈로그가 등장했다.

16세기 중반, 스위스의 학자 콘라트 게스너는 모든 지식을 담는다는 야심찬 《서지오테카 유니버셜리스》(Bibliotheca universalis)를 구상했다. 이는 근대적 의미의 보편적 지식 정보 구축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는 시도였다.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사서직에 대한 인식은 더욱 발전했다. 가브리엘 나우데는 사서직에 관한 최초의 모노그래프인 《도서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출판하여 도서관 운영과 사서의 역할을 체계화하려 했다. 나우데와 동시대 인물인 존 두리는 영국 최초의 도서관 이론가로, 사서의 자질과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기에는 도서관 설립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토마스 보들리 경은 옥스포드 대학교에 보들리 도서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기능의 도서관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18세기 프랑스 혁명은 사서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혁명 과정에서 사서들은 국민을 위한 책을 선택하고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사서의 사회적 역할과 책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사서의 역할은 더욱 전문화되었다. 사서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가 설립되고, 대학교에서도 관련 교육 과정이 개설되었다. 또한, 사서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협회가 생겨났으며, 사서 자격증 발급과 같은 인허가 절차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서라는 직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1870년대 영국에서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도서관에서 여성을 사서로 고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이는 당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현상이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사서 자격증 제도가 시행되면서 사서의 전문성이 법적으로 보장받게 되었다. 이는 도서관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사서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미국에서는 20세기 후반부터 사서가 되기 위해 도서관학 석사 학위가 필수적인 요건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사서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코로나19 범유행 시기 동안, 미국 내 도서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문을 닫거나 운영 방식을 대폭 변경해야 했다. 이로 인해 많은 도서관이 디지털 콘텐츠와 온라인 학습 자료 제공에 집중하며 서비스를 전환했다. 사서들은 코로나19 확진자 접촉자 추적을 지원하고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새로운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정보 과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사서 예비군이 결성되어 가짜 뉴스 및 허위 정보 확산에 맞서 싸웠다.

3. 역사

중세 시대에는 주로 기독교 수도원에서 도서관 제도를 유지했으며, 필경사들이 양피지 코덱스를 보급하는 데 힘썼다. 이 시기에는 아나스타시우스 비블리오테카리우스가 그리스 고전을 번역하여 "사서"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중세 말기에는 대학교가 부활하면서 도서관이 다시 등장했고, 귀족이나 법학자들이 개인 도서관을 설립하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립 도서관이 더욱 발전했다. 특히 인쇄술의 발명은 책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1595년에는 최초의 도서관 카탈로그가 등장했다.

16세기 중반, 스위스의 학자 콘라트 게스너는 모든 지식을 담는다는 야심찬 서지오테카 유니버셜리스(Bibliotheca universalis)를 구상했다.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사서직에 대한 인식은 더욱 발전했다. 가브리엘 나우데는 사서직에 관한 최초의 모노그래프인 《도서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출판하여 도서관 운영과 사서의 역할을 체계화하려 했다. 나우데와 동시대 인물인 존 두리는 영국 최초의 도서관 이론가로, 사서의 자질과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기에는 도서관 설립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토마스 보들리 경은 옥스포드 대학교에 보들리 도서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기능의 도서관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18세기 프랑스 혁명은 사서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혁명 과정에서 사서들은 국민을 위한 책을 선택하고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사서의 역할은 더욱 전문화되었다. 사서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가 설립되고, 대학교에서도 관련 교육 과정이 개설되었다. 또한, 사서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협회가 생겨났으며, 사서 자격증 발급과 같은 인허가 절차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서라는 직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1870년대 영국에서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도서관에서 여성을 사서로 고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사서 자격증 제도가 시행되면서 사서의 전문성이 법적으로 보장받게 되었다. 이는 도서관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사서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20세기 후반부터 미국에서는 사서가 되기 위해 도서관학 석사 학위가 필수적인 요건으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19 범유행 시기 동안, 미국 내 도서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문을 닫거나 운영 방식을 대폭 변경해야 했다. 이로 인해 많은 도서관이 디지털 콘텐츠와 온라인 학습 자료 제공에 집중하며 서비스를 전환했다. 일부 사서들은 코로나19 확진자 접촉자 추적을 지원하고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새로운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정보 과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사서 예비군이 결성되어 가짜 뉴스 및 허위 정보 확산에 맞서 싸웠다.

3. 1. 고대

수메르인들은 기원전 3000년경에 회계 기록을 위해 서기들을 훈련시켰다. 고대 아시리아에서는 기원전 7세기 아슈르바니팔 왕이 니네베에 도서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사서직이 도입된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 고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기원전 3세기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 도서관의 사서였던 칼리마코스는 소장된 책들을 주제별로 분류한 《피나케스》를 제작했다. 로마 시대에는 귀족들이 개인 도서관을 소유했고, 황제들은 공공 도서관을 설립했다.

3. 2. 중세와 르네상스

중세 시대에는 주로 기독교 수도원이 도서관 제도를 유지하며, 필경사들이 양피지 코덱스를 보급하는 데 힘썼다. 이 시기에는 아나스타시우스 비블리오테카리우스가 그리스 고전을 번역하여 "사서"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중세 말기에는 대학교가 부활하면서 도서관이 다시 등장했고, 귀족이나 법학자들이 개인 도서관을 설립하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립 도서관이 더욱 발전했다. 특히 인쇄술의 발명은 책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1595년에는 최초의 도서관 카탈로그가 등장했다.

3. 3. 계몽 시대

16세기 중반, 스위스의 학자 콘라트 게스너는 모든 지식을 담는다는 야심찬 서지오테카 유니버셜리스(Bibliotheca universalis)를 구상했다. 이는 근대적 의미의 보편적 지식 정보 구축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는 시도였다.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사서직에 대한 인식은 더욱 발전했다. 가브리엘 나우데는 사서직에 관한 최초의 모노그래프인 《도서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출판하여 도서관 운영과 사서의 역할을 체계화하려 했다. 나우데와 동시대 인물인 존 두리는 영국 최초의 도서관 이론가로, 사서의 자질과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기에는 도서관 설립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토마스 보들리 경은 옥스포드 대학교에 보들리 도서관을 설립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기능의 도서관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18세기 프랑스 혁명은 사서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혁명 과정에서 사서들은 국민을 위한 책을 선택하고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사서의 사회적 역할과 책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3. 4. 현대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사서의 역할은 더욱 전문화되었다. 사서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가 설립되고, 대학교에서도 관련 교육 과정이 개설되었다. 또한, 사서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협회가 생겨났으며, 사서 자격증 발급과 같은 인허가 절차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서라는 직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1870년대 영국에서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도서관에서 여성을 사서로 고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이는 당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현상이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사서 자격증 제도가 시행되면서 사서의 전문성이 법적으로 보장받게 되었다. 이는 도서관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사서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미국에서는 20세기 후반부터 사서가 되기 위해 도서관학 석사 학위가 필수적인 요건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사서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3. 5. COVID-19 팬데믹 시기 (미국)

코로나19 범유행 시기 동안, 미국 내 도서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문을 닫거나 운영 방식을 대폭 변경해야 했다. 이로 인해 많은 도서관이 디지털 콘텐츠와 온라인 학습 자료 제공에 집중하며 서비스를 전환했다.

사서들의 역할도 변화했다. 일부 사서들은 코로나19 확진자 접촉자 추적을 지원하고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새로운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정보 과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사서 예비군이 결성되어 가짜 뉴스 및 허위 정보 확산에 맞서 싸웠다.

4. 역할 및 책임

사서는 자료 수집, 정리, 보관 및 제공을 담당하며, 참고 조사(레퍼런스)를 수행한다. 또한, 다른 도서관과의 연계 및 협력, 전자 도서관 개발 및 전자 정보 발신 등 전산 시스템을 운영한다. 정보 활용 능력 교육, 컴퓨터 교육, 공공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책, 전자 자료, 잡지, 신문, 시청각 자료, 지도, 원고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유지 관리한다. 인터넷 기반 및 디지털 자료 관리도 사서의 중요한 역할이다.

사서는 책, 자료 및 정보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추가 책임을 수행한다. 관심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지역 사회 단체를 안내하며, 독서 자문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검토 및 관리, 평생 학습 계획 수립, 독서 클럽 촉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자 정보 자원 관리, 도서관 서비스 및 컬렉션 평가, 컬렉션 구축 및 유지 관리, 패스파인더 제작, 보조금 작성, 컬렉션 디지털화 등의 업무도 수행한다. 참고 질문에 응답하고, 예술 및 문화 활동을 제공하며, 디지털 활동을 시작하고, 도서관 서비스를 홍보하고 옹호하며, 구직자 및 지역 사업체를 지원하는 역할도 한다.

사서는 다양한 이용자들과 소통하며 봉사하는 과정에서 업무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등 취약 계층과의 교류는 사서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들은 종종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가지고 있으며, 사서는 이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해결하려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서는 감정적으로 격앙된 분위기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이차 외상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로 이어질 수 있다. 이차 외상 스트레스는 타인의 고통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으로, 사서의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1. 직무 및 위치

자료 개발 사서는 책, 전자 자료, 기타 자료를 선택하고 관리하며, 예산 책정, 주문, 평가, 폐기 업무를 수행한다. 전자 자료 사서는 데이터베이스, 전자 저널, 전자책 등 전자 자료를 관리한다. 학교 사서는 학교 도서관을 운영하고, 교사 및 학생을 위한 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교육 사서는 정보 활용 능력을 교육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미디어 전문가는 정보 분석, 비판적 사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하고, 학교 도서관 자료를 구매한다.

아웃리치 사서는 도서관 서비스를 소외 계층에게 제공하며,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공공 서비스 사서는 대출, 참고 자료, 정보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등을 담당하며, 참고 데스크에서 이용자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참고/연구 사서는 연구자에게 정보 탐색, 자료 제공, 연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사서는 도서관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며,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기술 서비스 사서는 도서관 자료를 주문하고 처리하며, 분류, 목록 작성, 장비 관리를 수행한다. 청소년 서비스 사서와 어린이 사서는 각각 청소년 및 어린이를 위한 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4. 2. 추가 책임

사서는 책, 자료 및 정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로서, 추가적인 책임과 역할을 수행한다.

사서의 추가적인 책임은 다음과 같다.

  • 관심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 지역 사회 단체를 안내한다.
  • 독서 자문을 제공한다.
  •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하고 관리한다.
  • 평생 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 독서 클럽을 촉진한다.
  •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 전자 정보 자원을 관리한다.
  • 도서관 서비스 및 컬렉션을 평가한다.
  • 컬렉션을 구축하고 유지 관리한다.
  • 패스파인더를 제작한다.
  • 보조금을 작성한다.
  • 컬렉션을 디지털화한다.
  • 참고 질문에 응답한다.
  • 예술 및 문화 활동을 제공한다.
  • 디지털 활동을 시작한다.
  • 도서관 서비스를 홍보하고 옹호한다.
  • 구직자 및 지역 사업체를 지원한다.

4. 3. 사서와 업무 관련 스트레스

사서는 다양한 이용자들과 소통하며 봉사하는 과정에서 업무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등 취약 계층과의 교류는 사서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들은 종종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가지고 있으며, 사서는 이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해결하려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서는 감정적으로 격앙된 분위기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이차 외상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로 이어질 수 있다. 이차 외상 스트레스는 타인의 고통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으로, 사서의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사서 역할의 변화

사서는 정보 기술의 발전, 경제 변화, 교육 환경의 변화, 그리고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에 따라 그 역할이 진화해 왔다.

공공 도서관의 사서는 지역 사회 이사회 또는 도서관 위원회의 감독을 받으며,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 도서관에서 봉사한다. 공공 도서관은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며, 독서 문화 진흥, 평생 교육, 지역 사회 문화 활동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

대학교,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의 학술 도서관은 교육과 연구의 중요한 부분이다. 학술 도서관은 학생, 교수 및 연구원에게 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습, 연구 및 지적 활동을 지원한다. 이들은 방대한 양의 학술 자료, 학술 저널, 전자 데이터베이스, 서적 등을 소장하고 있다. 더불어, 도서관은 자료 이용 교육, 참고 자료 서비스, 문헌 검색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술 도서관은 종종 특정 분야에 특화된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학술 도서관은 새로운 정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디지털 자료 접근성을 높이고, 온라인 자료 검색 및 이용 환경을 개선하는 데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자료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자책, 온라인 저널 등 디지털 자료의 수집 및 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술 도서관은 단순한 자료 보관소를 넘어, 지식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연구 및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학교 도서관 사서는 공립 또는 사립 학교의 학생, 교사, 그리고 교육 과정을 지원한다. 이들은 도서관의 장서 관리, 자료 검색 지원, 독서 지도, 그리고 학교 교육 과정에 필요한 자료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학교 도서관은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과 독서 습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한다. 특히, 디지털 자료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자료 검색 및 활용 교육도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학교 도서관 사서는 학교의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헌신하며,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수 도서관은 특정 집단이나 조직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된 도서관이다. 이들은 뉴스, 법률, 의학, 신학, 교도소, 기업, 박물관 등 특수한 분야나 목적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특수 도서관은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뉴스 도서관은 신문사나 방송국에 설치되어, 기사, 사진, 영상 등 뉴스 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기자들의 자료 검색을 지원한다. 법률 도서관은 법원, 변호사 사무실, 법학 연구소 등에 설치되어, 판례, 법령, 법률 서적 등 법률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의학 도서관은 병원, 의과대학, 제약 회사 등에 설치되어, 의학 논문, 의학 서적, 임상 자료 등 의학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신학 도서관은 신학대학, 교회, 종교 단체 등에 설치되어, 성경, 신학 서적, 종교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교도소 도서관은 수감자들의 교양 함양과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일반 서적, 교양 서적, 학습 자료 등을 제공한다. 기업 도서관은 기업의 연구 개발, 마케팅, 경영 전략 등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박물관 도서관은 박물관의 소장품, 전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한다. 이 외에도,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등에서도 특수 도서관을 운영하며,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6. 근무 환경

사서는 근무하는 기관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일한다.

대학교,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의 학술 도서관은 학생, 교수 및 연구원에게 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습, 연구 및 지적 활동을 지원한다. 방대한 양의 학술 자료, 학술 저널, 전자 데이터베이스, 서적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자료 이용 교육, 참고 자료 서비스, 문헌 검색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술 도서관은 새로운 정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디지털 자료 접근성을 높이고, 온라인 자료 검색 및 이용 환경을 개선하는 데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책, 온라인 저널 등 디지털 자료의 수집 및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교 도서관 사서는 공립 또는 사립 학교의 학생, 교사, 그리고 교육 과정을 지원한다. 도서관의 장서 관리, 자료 검색 지원, 독서 지도, 그리고 학교 교육 과정에 필요한 자료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학교 도서관은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과 독서 습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한다. 특히, 디지털 자료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자료 검색 및 활용 교육도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특수 도서관은 특정 집단이나 조직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된 도서관으로, 뉴스, 법률, 의학, 신학, 교도소, 기업, 박물관 등 특수한 분야나 목적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특수 도서관은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을 지원한다. 뉴스 도서관은 신문사나 방송국에 설치되어, 기사, 사진, 영상 등 뉴스 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기자들의 자료 검색을 지원한다. 법률 도서관은 법원, 변호사 사무실, 법학 연구소 등에 설치되어, 판례, 법령, 법률 서적 등 법률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의학 도서관은 병원, 의과대학, 제약 회사 등에 설치되어, 의학 논문, 의학 서적, 임상 자료 등 의학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신학 도서관은 신학대학, 교회, 종교 단체 등에 설치되어, 성경, 신학 서적, 종교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교도소 도서관은 수감자들의 교양 함양과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일반 서적, 교양 서적, 학습 자료 등을 제공한다. 기업 도서관은 기업의 연구 개발, 마케팅, 경영 전략 등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박물관 도서관은 박물관의 소장품, 전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한다. 이 외에도,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등에서도 특수 도서관을 운영한다.

6. 1. 공공 도서관

공공 도서관 사서는 지역 사회 이사회 또는 도서관 위원회의 감독을 받으며,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 도서관에서 봉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공공 도서관이 국민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지식 정보 격차를 줄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본다. 공공 도서관은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며, 독서 문화 진흥, 평생 교육, 지역 사회 문화 활동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

6. 2. 학술 도서관

대학교,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의 학술 도서관은 교육과 연구의 중요한 부분이다. 학술 도서관은 학생, 교수 및 연구원에게 자료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습, 연구 및 지적 활동을 지원한다. 이들은 방대한 양의 학술 자료, 학술 저널, 전자 데이터베이스, 서적 등을 소장하고 있다. 더불어, 도서관은 자료 이용 교육, 참고 자료 서비스, 문헌 검색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술 도서관은 종종 특정 분야에 특화된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를 지원하기도 한다. 또한, 학술 도서관은 새로운 정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디지털 자료 접근성을 높이고, 온라인 자료 검색 및 이용 환경을 개선하는 데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자료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자책, 온라인 저널 등 디지털 자료의 수집 및 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술 도서관은 단순한 자료 보관소를 넘어, 지식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연구 및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6. 3. 학교 도서관

학교 도서관 사서는 공립 또는 사립 학교의 학생, 교사, 그리고 교육 과정을 지원한다. 이들은 도서관의 장서 관리, 자료 검색 지원, 독서 지도, 그리고 학교 교육 과정에 필요한 자료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학교 도서관은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과 독서 습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한다. 특히, 디지털 자료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자료 검색 및 활용 교육도 중요한 업무가 되었다. 학교 도서관 사서는 학교의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헌신하며,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6. 4. 특수 도서관

특수 도서관은 특정 집단이나 조직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된 도서관이다. 이들은 뉴스, 법률, 의학, 신학, 교도소, 기업, 박물관 등 특수한 분야나 목적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특수 도서관은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수 도서관은 일반 공공 도서관과는 달리, 특정 이용자 집단의 제한된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뉴스 도서관은 신문사나 방송국에 설치되어, 기사, 사진, 영상 등 뉴스 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기자들의 자료 검색을 지원한다. 법률 도서관은 법원, 변호사 사무실, 법학 연구소 등에 설치되어, 판례, 법령, 법률 서적 등 법률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의학 도서관은 병원, 의과대학, 제약 회사 등에 설치되어, 의학 논문, 의학 서적, 임상 자료 등 의학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신학 도서관은 신학대학, 교회, 종교 단체 등에 설치되어, 성경, 신학 서적, 종교 관련 자료를 제공한다. 교도소 도서관은 수감자들의 교양 함양과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일반 서적, 교양 서적, 학습 자료 등을 제공한다. 기업 도서관은 기업의 연구 개발, 마케팅, 경영 전략 등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박물관 도서관은 박물관의 소장품, 전시,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한다. 이 외에도,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등에서도 특수 도서관을 운영하며,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7. 교육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사서가 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미국도서관협회(ALA)가 인증하는 도서관학 석사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 호주에서는 호주 도서관 및 정보 협회(ALIA)에서 사서 자격증을 인증한다.

7. 1. 유럽

영국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서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도서관 정보 전문가 협회(CILIP,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독일에서는 특정 분야의 박사 학위 취득 후 사서학 관련 추가 훈련을 받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프랑스는 국립 고문서 학교(École nationale des chartes)나 국립 정보 도서관학 고등 전문 학교(ENSSIB,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sciences de l'information et des bibliothèques) 등에서 전문 사서를 양성한다.

7. 2. 북미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일반적으로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가 인증하는 도서관학 석사 학위를 취득해야 사서로 활동할 수 있다.

7. 3. 오세아니아

호주에서는 호주 도서관 및 정보 협회(ALIA)에서 사서 자격증을 인증한다.

8. 기술

사서는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한다. 온라인 공공 접근 카탈로그(OPAC)로의 전환, MARC 표준 개발, 가상 참고 서비스 제공 (웹 기반 채팅, 인스턴트 메시징, 이메일) 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화 이니셔티브를 통해 새로운 정보 형식(전자 저널, 전자책)에 적응하고, 정보 활용 능력 및 기술 수업을 제공하며, 3D 프린터 도입을 시도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미국에서는 1876년 미국 도서관 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가 창립되어 사서들의 전문성 신장을 돕고 있다. ALA는 미국에서 가장 큰 도서관 관련 단체이며, 특수 도서관 협회(Special Libraries Association, SLA), 청소년 도서관 서비스 협회(Young Adult Library Services Association, YALSA), 대학 및 연구 도서관 협회(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ACRL), 공공 도서관 협회(Public Library Association, PLA) 등 다양한 하위 단체를 거느리고 있다. 북미 미술 도서관 학회(Art Libraries Society of North America, ARLIS/NA) 또한 미국의 사서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캐나다에는 캐나다 도서관 협회(Canadian Library Association)가 존재했으나, 현재는 해체되었다.

영국에서는 사서의 직업적 지위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이 이루어졌다. 도서관 및 정보 전문가 협회(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CILIP)는 이 분야의 주요 단체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과 자격 관리를 담당한다. CILIP은 사서 자격증을 발급하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서들의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또한, CILIP은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정책 연구 및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CILIP은 사서들의 권익 보호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도서관 관련 법규 및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국제적인 사서 관련 활동으로는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이 있다. IFLA는 전 세계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을 대표하는 주요 국제 기구이다. IFLA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증진하며, 정보 접근과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옹호한다. IFLA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전문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서관 발전을 지원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IFLA와의 협력을 통해 도서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사서는 사회 변화를 위한 정보 접근성을 옹호하며, 진보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서들 사이에서 연대와 협력을 강조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보 격차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9. 전문 단체

영국에서는 사서의 전문성 향상과 직업적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서관 및 정보 전문가 협회(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CILIP)가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과 자격 관리를 담당하며, 자격증 발급, 교육 프로그램 제공, 정책 연구 등을 수행한다. CILIP은 사서들의 권익 보호에도 힘쓰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이 전 세계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을 대표하며,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지원하고 국제 협력을 증진한다. IFLA는 정보 접근과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옹호하고, 도서관의 중요성을 알리며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서관 발전을 지원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며, 대한민국 역시 IFLA와의 협력을 통해 도서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사서는 사회 변화를 위한 정보 접근성을 옹호하며, 진보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서들 사이에서 연대와 협력을 강조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보 격차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9. 1. 미국

미국에서는 1876년에 미국 도서관 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가 창립되어 도서관 사서들의 전문성 신장을 돕고 있다. ALA는 미국에서 가장 큰 도서관 관련 단체이며, 특수 도서관 협회(Special Libraries Association, SLA), 청소년 도서관 서비스 협회(Young Adult Library Services Association, YALSA), 대학 및 연구 도서관 협회(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ACRL), 공공 도서관 협회(Public Library Association, PLA) 등 다양한 하위 단체를 거느리고 있다. 북미 미술 도서관 학회(Art Libraries Society of North America, ARLIS/NA) 또한 미국의 사서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9.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도서관 협회(Canadian Library Association)가 존재했으나, 현재는 캐나다 도서관 협회는 해체되었다.

9. 3. 영국

영국에서는 사서의 직업적 지위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노력이 이루어졌다. 도서관 및 정보 전문가 협회(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CILIP)는 이 분야의 주요 단체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과 자격 관리를 담당한다. CILIP은 사서 자격증을 발급하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서들의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또한, CILIP은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정책 연구 및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CILIP은 사서들의 권익 보호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도서관 관련 법규 및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영국 사서들은 전문성을 인정받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9. 4. 국제

사서와 관련된 국제적인 활동으로는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이 있다. IFLA는 전 세계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표하는 주요 국제 기구이다. IFLA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증진하며, 정보 접근과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옹호한다. IFLA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도서관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전문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IFLA는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서관 발전을 지원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한국에서도 IFLA와의 협력을 통해 도서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은 전 세계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을 대표하는 중요한 국제 기구이다. IFLA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증진하며, 정보 접근과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옹호한다. IFLA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전문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서관 발전을 지원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국 역시 IFLA와의 협력을 통해 도서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국제적인 사서 관련 활동으로는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이 있다. IFLA는 전 세계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 전문가들을 대표하는 주요 국제 기구이다. IFLA는 도서관 및 정보 서비스의 발전을 지원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증진하며, 정보 접근과 지식의 자유로운 유통을 옹호한다. IFLA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알리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전문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도서관 발전을 지원하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IFLA와의 협력을 통해 도서관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9. 5. 기타

사서는 사회 변화를 위한 정보 접근성을 옹호하며, 진보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서들 사이에서 연대와 협력을 강조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보 격차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10. 성별과 사서직

본 섹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10. 1. 미국

미국의 사서직은 여성의 비율이 매우 높은 직업군 중 하나이다. 하지만 다른 직업과 마찬가지로, 사서직에서도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가 존재하여,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성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도서관협회(ALA) 내에서는 여성 지위 위원회(COSWL)가 활동하며, 여성주의 태스크 포스(FTF) 역시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1. 대중 문화

사서는 대중매체에서 종종 고정관념에 갇힌 모습으로 묘사된다. 조용하고, 재미없고, 구식이며, 사회성이 부족한 인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묘사는 사서라는 직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으며, 사서의 실제 역할과 동떨어진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12.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를 위한 사서직

사서는 도서관 정보학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도서관의 고유한 서비스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을 뜻한다. 사서는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열람, 그리고 이용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서관 시설 관리, 정보 시스템 관리 등 도서관 고유 업무 외에도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대 로마에서는 공공 도서관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도서관 관리자는 *도서관 총재* (praefectus bibliothecae)라고 불렸으며, 사서 (bibliothecarius)와 도서관 직원 (a bibliotheca)이 그를 보좌했다. 이러한 직책은 공무원의 일종으로, 로마 사회에서 지식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로마의 도서관은 학문 연구와 지식 공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고대 중국에서는 주나라 시대(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에 문서와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하는 기관이 존재했다. 특히 춘추전국시대에는 각 제후국들이 경쟁적으로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국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 시기의 사서들은 현실 정치에 대한 조언과 비판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노자(기원전 6세기 추정)는 그의 저서 《도덕경》에서 "수장실지사(守藏室之史)"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자료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사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의 사서 자격은 「도서관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주로 공공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한다. 사서가 되기 위해서는 자격 요건을 갖춰야 한다.

사서보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자, 중등교육학교 졸업자, 고등전문학교 3학년 수료자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고, 사서보 강습을 수료하면 얻을 수 있다. 사서 자격 취득에는 연령 제한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사서를 채용하고 있다.

1906년 제정된 도서관령은 사서에 대한 규정을 처음으로 명시했으며, 공립 도서관 직원의 대우에 대한 조항을 포함했다. 이후 1933년 개정된 도서관령은 "상당 수의 사서"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사서 자격 검정 시험 제도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1950년에는 「도서관법」이 제정되면서 사서를 전문적인 직업으로 규정하고, 자격 요건을 명확히 했다.

국립 대학에서는 1963년 국가 공무원 채용 시험에 도서관학 구분이 설치되었다. 2004년 국립 대학 법인화 이후에는 국립 대학 법인 등 직원 채용 시험에 "도서" 구분이 설치되어 사서를 채용하고 있다.

학교도서관법에 따르면,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와 학교사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서교사는 교원 자격을 가진 자로서,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서교사 연수를 수료한 후 임명된다. 학교사서는 교원이 아닌 학교도서관 전임 직원으로, 2015년 학교도서관법 개정을 통해 법제화되었다.

전문 도서관의 사서는 설치 주체에 따라 배치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사서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과정은 대학교 문헌정보학 또는 도서관 관련 학과 졸업, 혹은 사서 강습 과정을 이수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사서 양성 과정에 대한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 과정(커리큘럼)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또한, 사서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습이 필수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더불어, 사서 자격증 취득자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반면, 실제 사서 채용 규모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불균형 문제도 심각하다.

사서 자격을 취득한 자를 자치단체의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인사 제도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많은 지자체에서 일반 직원이 사서 자격을 취득하면 단기간 인사 이동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촉탁 직원, 비상근 직원, 파견 사원 등 불안정한 고용 형태의 사서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대학 도서관에서도 나타나 파견 사원 고용이나 업무 위탁의 경향이 있다. 사서의 상위직 승진 제도가 미비하여, 관리직으로 등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인사 제도 문제는 사서들의 고용 불안정을 야기하고, 전문성 발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도서관 사서의 노동 환경은 여러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비정규직 고용이 증가하고, 사서의 직접 고용은 감소하는 추세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악화와 더불어, 도서관 운영의 효율성을 명분으로 도입된 지정 관리자 제도의 영향도 크다. 지정 관리자 제도는 민간 위탁 형태로 운영되면서, 사서들의 고용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고용 조건의 저하를 야기한다.

미국에서는 사서가 되기 위한 일반적인 자격 요건으로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의 인증을 받은 문헌정보학 석사 학위(Mast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LIS)를 요구한다.

영국에서는 도서관·정보 전문직 협회(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CILIP)가 사서 자격을 인정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사서 양성을 위해 국립 고문서 학교(École nationale des chartes)와 국립 정보 도서관학 고등 전문 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sciences de l'information et des bibliothèques)에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서 자격을 인정하며, 자격 등급은 크게 준사서, 2급 정사서, 1급 정사서로 나뉜다.

인터넷의 보급은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고, 이는 도서관의 역할에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 예를 들어 희귀 자료나 특수한 형태의 데이터는 여전히 도서관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데 사서의 전문성이 더욱 중요해졌다.

13. 일본의 사서



일본의 사서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다.

=== 역사 ===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 서양 ===

고대 로마에서는 공공 도서관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도서관의 관리자는 '''도서관 총재''' (praefectus bibliothecae)라고 불렸으며, 사서 (bibliothecarius)와 도서관 직원 (a bibliotheca)이 그를 보좌했다. 이러한 직책은 공무원의 일종으로, 로마 사회에서 지식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로마의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곳을 넘어, 학문 연구와 지식 공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 동양 ===

고대 중국에서는 이미 주나라 시대(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에 문서와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하는 기관이 존재했다. 이러한 기관은 단순한 기록 보관소를 넘어, 정치,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춘추전국 시대에는 각 제후국들이 경쟁적으로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국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 시기의 사서들은 단순히 과거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현실 정치에 대한 조언과 비판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노자(기원전 6세기 추정)는 그의 저서 《도덕경》에서 "수장실지사(守藏室之史)"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자료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사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 사서의 중요성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이다. 사서는 단순히 기록을 보관하는 역할을 넘어, 지식과 정보의 전달자이자, 때로는 권력에 대한 견제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 일본의 사서 자격 요건 ===

일본의 사서 자격은 「도서관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주로 공공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한다. 사서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사서보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자, 중등교육학교 졸업자, 고등전문학교 3학년 수료자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고, 사서보 강습을 수료하면 얻을 수 있다. 사서 자격 취득에는 연령 제한이 없다.

=== 관종별 사서 역사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 국립 도서관의 사서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제국도서관에서 사서장(후에 사서관)을 비롯한 사서 등 직원의 규정을 정하였다. 대한민국 국회가 수립된 이후에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설립되었으며, 여기서 사서를 채용하였다.

=== 공공 도서관의 사서 ===

1906년 제정된 도서관령은 사서에 대한 규정을 처음으로 명시했으며, 공립 도서관 직원의 대우에 대한 조항을 포함했다. 이후 1933년 개정된 도서관령은 "상당 수의 사서"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사서 자격 검정 시험 제도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1950년에는 「도서관법」이 제정되면서 사서를 전문적인 직업으로 규정하고, 자격 요건을 명확히 했다. 이는 사서의 전문성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도서관 운영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공립 도서관의 사서 충원 및 운영 방식은 자치단체별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 문제, 인력 부족, 외부 위탁 및 지정 관리자 제도의 확산 등 여러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공공 부문의 비정규직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고 있으며, 사서 직군의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외부 위탁 및 지정 관리자 제도는 효율성을 추구하는 측면이 있지만, 전문성 저하 및 고용 불안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대학 도서관의 사서 ===

국립 대학에서는 과거 문부 사무관(후에 문부과학 사무관)이 배치되었으나, 1963년 국가 공무원 채용 시험에 도서관학 구분이 설치되었다. 2004년 국립 대학 법인화 이후에는 국립 대학 법인 등 직원 채용 시험에 "도서" 구분이 설치되어 사서를 채용하고 있다. 공립 대학 및 사립 대학의 경우, 설치 주체의 경영 방침에 따라 사서 배치 방식이 상이하다. 대학 도서관의 관장직은 대부분 교원 중에서 선임된다.

=== 학교 도서관의 사서 ===

학교도서관법에 따르면,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와 학교사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서교사는 교원 자격을 가진 자로서,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서교사 연수를 수료한 후 임명된다. 학교사서는 교원이 아닌 학교도서관 전임 직원으로, 2015년 학교도서관법 개정을 통해 법제화되었다.

=== 전문 도서관의 사서 ===

전문 도서관의 사서는 설치 주체에 따라 배치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국회도서관과 같은 국가기관이나 대학도서관과 같은 교육기관에 소속된 사서는 해당 기관의 운영 방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반면, 기업이나 연구소에 소속된 사서는 해당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정보 자원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기관의 연구 및 개발 활동을 지원하며, 전문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 사서 관련 과제 ===

문서의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에서 제시된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내용을 작성해드리겠다.

=== 사서 양성 제도 문제 ===

사서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과정은 크게 대학교에서 문헌정보학 또는 도서관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방법과, 사서 강습 과정을 이수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사서 양성 과정에 대한 문제점 역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 과정(커리큘럼)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학교 및 강습 기관에 따라 교육의 질과 내용의 편차가 발생하고, 이는 사서의 전문성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사서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습이 필수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론 교육만으로는 실제 도서관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능력을 충분히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인 역량 강화가 미흡하다는 비판이 있다.

더불어, 사서 자격증 취득자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반면, 실제 사서 채용 규모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불균형 문제도 심각하다. 이는 사서 취업 경쟁을 심화시키고, 젊은 사서 지망생들의 고용 불안정성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사서 양성 제도의 전반적인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 인사 제도 문제 ===

사서 자격을 취득한 자를 자치단체의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인사 제도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많은 지자체에서 일반 직원이 사서 자격을 취득하면 단기간 인사 이동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촉탁 직원, 비상근 직원, 파견 사원 등 불안정한 고용 형태의 사서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대학 도서관에서도 나타나 파견 사원 고용이나 업무 위탁의 경향이 있다. 사서의 상위직 승진 제도가 미비하여, 관리직으로 등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인사 제도 문제는 사서들의 고용 불안정을 야기하고, 전문성 발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노동 환경 문제 ===

도서관 사서의 노동 환경은 여러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비정규직 고용이 증가하고, 사서의 직접 고용은 감소하는 추세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악화와 더불어, 도서관 운영의 효율성을 명분으로 도입된 지정 관리자 제도의 영향도 크다. 지정 관리자 제도는 민간 위탁 형태로 운영되면서, 사서들의 고용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고용 조건의 저하를 야기한다. 이러한 노동 환경의 악화는 사서들의 직무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전문성 유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각국의 사서 ===

요청하신 정보에 부합하는 `summary`와 `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각국의 사서"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 작성을 진행할 수 없다. 정보가 제공된다면, 위에서 제시된 모든 지침을 준수하여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다.

=== 미국 ===

미국에서는 사서가 되기 위한 일반적인 자격 요건으로 미국도서관협회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의 인증을 받은 문헌정보학 석사 학위(Mast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LIS)를 요구한다. 하지만, 주별로 사서의 설치율과 관련된 정보는 상이하다.

=== 영국 ===

영국에서는 도서관·정보 전문직 협회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CILIP)가 사서 자격을 인정하고 있다. CILIP은 영국의 사서 및 정보 전문가들을 위한 주요 전문 기관으로, 다양한 자격 제도를 운영하며, 이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CILIP에서 요구하는 교육 과정 이수 및 자격 시험 통과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CILIP 자격을 취득한 사서는 영국 내 공공 도서관, 대학 도서관, 국립 도서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전문적인 사서로 활동할 수 있다.

=== 프랑스 ===

프랑스에서는 사서 양성을 위해 국립 고문서 학교 (École nationale des chartes)와 국립 정보 도서관학 고등 전문 학교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sciences de l'information et des bibliothèques)에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서 자격을 인정하며, 자격 등급은 크게 준사서, 2급 정사서, 1급 정사서로 나뉜다. 각 등급별 자격 요건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인터넷 시대의 사서 ===

인터넷의 보급은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고, 이는 도서관의 역할에 변화를 가져왔다. 방대한 정보가 온라인상에서 자유롭게 유통되면서, 과거 도서관이 독점하던 정보 제공 기능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 예를 들어 희귀 자료나 특수한 형태의 데이터는 여전히 도서관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데 사서의 전문성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오늘날의 도서관은 단순히 자료를 보관하는 공간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도의 전문성을 가진 사서들이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구축하고 제공하는 공간으로 진화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이용자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역 사회의 지식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13. 1. 일반적 정의

사서는 도서관 정보학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도서관의 고유한 서비스에 종사하는 전문 인력을 뜻한다. 사서는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열람, 그리고 이용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서관 시설 관리, 정보 시스템 관리 등 도서관 고유 업무 외에도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는 단순히 자료를 관리하는 것을 넘어,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3. 2. 역사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필요한 `summary` 와 `source`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에 맞춰 내용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13. 2. 1. 서양

고대 로마에서는 공공 도서관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도서관의 관리자는 *도서관 총재* (praefectus bibliothecae)라고 불렸으며, 사서 (bibliothecarius)와 도서관 직원 (a bibliotheca)이 그를 보좌했다. 이러한 직책은 공무원의 일종으로, 로마 사회에서 지식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로마의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곳을 넘어, 학문 연구와 지식 공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3. 2. 2. 동양

고대 중국에서는 이미 주나라 시대(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에 문서와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하는 기관이 존재했다. 이러한 기관은 단순한 기록 보관소를 넘어, 정치,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춘추전국시대에는 각 제후국들이 경쟁적으로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국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 시기의 사서들은 단순히 과거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현실 정치에 대한 조언과 비판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노자(기원전 6세기 추정)는 그의 저서 《도덕경》에서 "수장실지사(守藏室之史)"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는 자료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사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당시 사회에서 사서의 중요성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이다. 사서는 단순히 기록을 보관하는 역할을 넘어, 지식과 정보의 전달자이자, 때로는 권력에 대한 견제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13. 3. 일본의 사서 자격 요건

일본의 사서 자격은 「도서관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주로 공공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한다. 사서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사서보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자, 중등교육학교 졸업자, 고등전문학교 3학년 수료자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고, 사서보 강습을 수료하면 얻을 수 있다. 사서 자격 취득에는 연령 제한이 없다.

13. 4. 관종별 사서 역사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13. 4. 1. 국립 도서관의 사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제국도서관에서 사서장(후에 사서관)을 비롯한 사서 등 직원의 규정을 정하였다. 대한민국 국회가 수립된 이후에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설립되었으며, 여기서 사서를 채용하였다.

13. 4. 2. 공공 도서관의 사서

1906년 제정된 도서관령은 사서에 대한 규정을 처음으로 명시했으며, 공립 도서관 직원의 대우에 대한 조항을 포함했다. 이후 1933년 개정된 도서관령은 "상당 수의 사서"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사서 자격 검정 시험 제도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1950년에는 「도서관법」이 제정되면서 사서를 전문적인 직업으로 규정하고, 자격 요건을 명확히 했다. 이는 사서의 전문성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도서관 운영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공립 도서관의 사서 충원 및 운영 방식은 자치단체별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 문제, 인력 부족, 외부 위탁 및 지정 관리자 제도의 확산 등 여러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공공 부문의 비정규직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고 있으며, 사서 직군의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외부 위탁 및 지정 관리자 제도는 효율성을 추구하는 측면이 있지만, 전문성 저하 및 고용 불안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13. 4. 3. 대학 도서관의 사서

국립 대학에서는 과거 문부 사무관(후에 문부과학 사무관)이 배치되었으나, 1963년 국가 공무원 채용 시험에 도서관학 구분이 설치되었다. 2004년 국립 대학 법인화 이후에는 국립 대학 법인 등 직원 채용 시험에 "도서" 구분이 설치되어 사서를 채용하고 있다. 공립 대학 및 사립 대학의 경우, 설치 주체의 경영 방침에 따라 사서 배치 방식이 상이하다. 대학 도서관의 관장직은 대부분 교원 중에서 선임된다.

13. 4. 4. 학교 도서관의 사서

학교도서관의 사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학교도서관법에 따르면, 학교도서관에는 사서교사와 학교사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서교사는 교원 자격을 가진 자로서,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사서교사 연수를 수료한 후 임명된다. 학교사서는 교원이 아닌 학교도서관 전임 직원으로, 2015년 학교도서관법 개정을 통해 법제화되었다.

13. 4. 5. 전문 도서관의 사서

전문 도서관의 사서는 설치 주체에 따라 배치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국회도서관과 같은 국가기관이나 대학도서관과 같은 교육기관에 소속된 사서는 해당 기관의 운영 방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반면, 기업이나 연구소에 소속된 사서는 해당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정보 자원 관리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은 기관의 연구 및 개발 활동을 지원하며, 전문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13. 5. 사서 관련 과제

문서의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에서 제시된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내용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13. 5. 1. 사서 양성 제도 문제

사서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과정은 크게 대학교에서 문헌정보학 또는 도서관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방법과, 사서 강습 과정을 이수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사서 양성 과정에 대한 문제점 역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 과정(커리큘럼)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학교 및 강습 기관에 따라 교육의 질과 내용의 편차가 발생하고, 이는 사서의 전문성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사서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습이 필수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론 교육만으로는 실제 도서관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능력을 충분히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인 역량 강화가 미흡하다는 비판이 있다.

더불어, 사서 자격증 취득자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반면, 실제 사서 채용 규모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불균형 문제도 심각하다. 이는 사서 취업 경쟁을 심화시키고, 젊은 사서 지망생들의 고용 불안정성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사서 양성 제도의 전반적인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13. 5. 2. 인사 제도 문제

사서 자격을 취득한 자를 자치단체의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인사 제도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많은 지자체에서 일반 직원이 사서 자격을 취득하면 단기간 인사 이동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촉탁 직원, 비상근 직원, 파견 사원 등 불안정한 고용 형태의 사서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대학 도서관에서도 나타나 파견 사원 고용이나 업무 위탁의 경향이 있다. 사서의 상위직 승진 제도가 미비하여, 관리직으로 등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인사 제도 문제는 사서들의 고용 불안정을 야기하고, 전문성 발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13. 5. 3. 노동 환경 문제

도서관 사서의 노동 환경은 여러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비정규직 고용이 증가하고, 사서의 직접 고용은 감소하는 추세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악화와 더불어, 도서관 운영의 효율성을 명분으로 도입된 지정 관리자 제도의 영향도 크다. 지정 관리자 제도는 민간 위탁 형태로 운영되면서, 사서들의 고용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고용 조건의 저하를 야기한다. 이러한 노동 환경의 악화는 사서들의 직무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전문성 유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3. 6. 각국의 사서

요청하신 정보에 부합하는 `summary`와 `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각국의 사서"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 작성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정보가 제공된다면, 위에서 제시된 모든 지침을 준수하여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13. 6. 1. 미국

미국에서는 사서가 되기 위한 일반적인 자격 요건으로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의 인증을 받은 문헌정보학 석사 학위(Mast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LIS)를 요구한다. 하지만, 주별로 사서의 설치율과 관련된 정보는 상이하다.

13. 6. 2. 영국

영국에서는 도서관·정보 전문직 협회(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CILIP)가 사서 자격을 인정하고 있다. CILIP은 영국의 사서 및 정보 전문가들을 위한 주요 전문 기관으로, 다양한 자격 제도를 운영하며, 이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CILIP에서 요구하는 교육 과정 이수 및 자격 시험 통과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CILIP 자격을 취득한 사서는 영국 내 공공 도서관, 대학 도서관, 국립 도서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전문적인 사서로 활동할 수 있다.

13. 6. 3.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사서 양성을 위해 국립 고문서 학교(École nationale des chartes)와 국립 정보 도서관학 고등 전문 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sciences de l'information et des bibliothèques)에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13. 6. 4.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서 자격을 인정하며, 자격 등급은 크게 준사서, 2급 정사서, 1급 정사서로 나뉜다. 각 등급별 자격 요건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13. 7. 인터넷 시대의 사서

인터넷의 보급은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고, 이는 도서관의 역할에 변화를 가져왔다. 방대한 정보가 온라인상에서 자유롭게 유통되면서, 과거 도서관이 독점하던 정보 제공 기능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 예를 들어 희귀 자료나 특수한 형태의 데이터는 여전히 도서관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데 사서의 전문성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오늘날의 도서관은 단순히 자료를 보관하는 공간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도의 전문성을 가진 사서들이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구축하고 제공하는 공간으로 진화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이용자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역 사회의 지식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Readings in library history R.R. Bowker 1972
[2] 서적 Libraries and librarianship in the West: a brief history McGraw-Hill 1974
[3] 서적 The President, the Professor, and the College Library H.W. Wilson 1963
[4] 서적 History of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Scarecrow Press 1984
[5] 간행물 The professionalization of librarianship 1983
[6] 간행물 The Professionalization of Everyone? 1964
[7] 간행물 'They have had to come down to the women for help!' Numerical femi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library employment in England, 1871–1974 2007-03-01
[8] 간행물 'Eminently Suited to Girls and Women': The Numerical Feminization of Public Librarianship in England 1914–31 2014-08-01
[9] 뉴스 UK library budgets fall by £25m in a year https://www.theguard[...] 2016-12-09
[10] 웹사이트 LJ Survey: U.S. Public Libraries Mostly Closed, But No Consensus on Who Works and Where https://www.libraryj[...] 2020-10-29
[11] 웹사이트 ALA Executive Board Recommends Closing Libraries to Public https://americanlibr[...] 2020-10-29
[12] 웹사이트 Libraries Are Dealing With New Demand For Books And Services During The Pandemic https://www.npr.org/[...] 2020-06-16
[13] 웹사이트 Public Libraries Respond to COVID-19: Survey of Response & Activities http://www.ala.org/p[...] 2020-03-23
[14] 웹사이트 Pandemic Forces Programs to Move Online https://americanlibr[...] 2020-06-01
[15] 웹사이트 Digital Escape Rooms and Other Online Programming https://americanlibr[...] 2020-10-29
[16] 간행물 Federal Funding For State And Local Contact Tracing Efforts Is An Urgent Priority, And A Bargain https://www.healthaf[...] 2020-05-11
[17] 웹사이트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ttps://www.cdc.gov/[...] 2020-02-11
[18] 웹사이트 Librarians Recruited as COVID-19 Hunters https://americanlibr[...] 2020-10-29
[19] 웹사이트 Contact Tracing and Libraries – MBLC Blog https://mblc.state.m[...] 2020-10-29
[20] 웹사이트 As States Seek COVID Detectives, Librarians Are Among The Candidates https://www.kunc.org[...] 2020-05-12
[21] 웹사이트 Other (Pandemic) Duties as Assigned https://americanlibr[...] 2020-10-29
[22] 웹사이트 What's Lost in a Furlough https://americanlibr[...] 2020-10-29
[23] 웹사이트 LibGuides: Librarian Reserve Corps: Home https://librarianres[...] 2021-11-04
[24] 웹사이트 Librarian Volunteers Help WHO Make Sense of COVID Information https://www.libraryj[...] 2021-11-04
[25] 간행물 The Librarian Reserve Corps: An Emergency Response https://pubmed.ncbi.[...] 2021-11-04
[26] 웹사이트 Librarian Reserve Corps Fighting COVID-19's Infodemic https://blog.springs[...] 2020-05-15
[27] 웹사이트 Librarian Reserve Corps -- Doody's Collection Development Monthly https://dcdm.doody.c[...] 2021-11-04
[28] 간행물 Librarian Reserve Corps: Literature indexing and metadata enhancement (LIME) observations from a year in the field https://www.johila.o[...] 2021-05-14
[29] 웹사이트 Battling the Infodemic: LJ's 2021 Librarians of the Year https://www.libraryj[...] 2021-11-04
[30] 웹사이트 Library https://www.britanni[...] 2021-03-14
[31] 웹사이트 Librarian https://www.etymonli[...] 2021-03-14
[32] 서적 Effective School Librarianship: Successful Professional Practices from Librarians Around the World Apple Academic Press 2018
[33] 서적 The Image and Role of the Librarian Routledge 2003-06-27
[34] 간행물 The Enhanced and Changing Role of the Specialist Librarian 2003-03-01
[35] 웹사이트 Become a Librarian! http://www.becomeali[...] Central Jersey Regional Library Cooperative 2008-09-01
[36] 서적 Careers in a Library https://archive.org/[...] Lerner Publications Company 1978
[37] 간행물 For Ethical Reference, Pare the Paraprofessionals 2002-10
[38] 웹사이트 YALSA http://www.ala.org/a[...] 2011-04-01
[39] 문서 "''The librarian's Internet survival guide: strategies for the high-tech reference desk''" Information Today
[40] 간행물 Public Librarian Job Stressors and Burnout Predictors https://doi.org/10.1[...] 2020-05-18
[41] 간행물 The Emotional Labour of Public Library Work https://journal.lib.[...] 2021-05-16
[42] 간행물 Health sciences librarians, patient contac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2015
[43] 웹사이트 School librarians: The beginning of an era https://www.sundayne[...] 2023-07-04
[44] 간행물 The changing roles, responsibilities and skills of subject and learning support librarians in the Southern African Customs Union region https://journals.sag[...] 2014-10-01
[45] 웹사이트 Public Library Association http://www.pla.org/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8-09-01
[46] 서적 Introduction to Public Librarianship New York, Neal-Schuman
[47] 서적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ies Unlimited
[48] 웹사이트 Special Libraries Association http://www.sla.org/ 2008-09-01
[49] 웹사이트 The American Association of Law Libraries http://www.aallnet.o[...] 2008-09-01
[50] 웹사이트 Art Libraries Society of North America http://www.arlisna.o[...] 2008-09-01
[51] 웹사이트 Medical Library Association http://www.mlanet.or[...] 2008-09-01
[52] 웹사이트 Visual Resources Association –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Image Media Professionals http://www.vraweb.or[...] 2008-09-01
[53] 서적 Libraries and librarianship : sixty years of challenge and change, 1945-2005 Scarecrow Press 2007
[54]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Terminal Professional Degree for Academic Librarians https://www.ala.org/[...] 2021-10-28
[55] 웹사이트 Becoming a Library Assistant or Technician http://www.ala.org/e[...] 2014-09-18
[56] 웹사이트 Society of Archivists http://www.archives.[...] 2008-09-01
[57] 웹사이트 United States Bureau of Labour Statistics: Librarians http://www.bls.gov/o[...] 2011-10-10
[58] 웹사이트 Human Resources and Skills Development: 4142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s http://www5.hrsdc.gc[...] 2011-10-10
[59] 웹사이트 Human Resources and Skills Development: 4141 Secondary School Teacher http://www5.hrsdc.gc[...] 2011-10-10
[60] 간행물 A Question of Degrees for Academic Librarians 2008-09
[61] 웹사이트 Librarian http://www.alia.org.[...] 2008-09-01
[62] 웹사이트 Teacher-Librarian http://www.alia.org.[...] 2008-09-01
[63] 간행물 Public access computing and Internet access in public libraries: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e-government and emergency situations 2006-09-04
[64] 간행물 Innovation in the every day life of libraries https://docs.lib.pur[...] 2019-09-24
[65] 간행물 Cybrarian: The Librarian of Future Digital Library http://www.ijidt.com[...] 2021-04-29
[66] 서적 Information Consulting
[67] 웹사이트 MARC Format Documentation Overview (Network Development and MARC Standards Office,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17-12-29
[68] 웹사이트 Virtual Reference Shelf https://www.loc.gov/[...] 2017-12-29
[69] 간행물 The UJI Online Robot: An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2003
[70] 웹사이트 3D Systems Presents 100 Libraries & Museums Participating in MakerLab Club with New Cube 3D Printers http://3dprint.com/5[...] 2015-03-30
[71] 웹사이트 Young Adult Library Services Association (YALSA) http://www.ala.org/y[...] 2011-09-01
[72] 웹사이트 ACRL http://www.acrl.org/ ACRL 2010-04-24
[73] 웹사이트 Homepage https://www.ala.org/[...] 2022-05-04
[74] 웹사이트 Art Libraries Society of North America http://www.arlisna.o[...] Arlisna.org 2010-04-24
[75] 웹사이트 The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http://www.cilip.org[...] CILIP 2010-04-24
[76]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site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http://www.ifla.org/ IFLA 2010-04-24
[77] 웹사이트 Information for Social Change Journal (ISC) http://www.libr.org/[...] Libr.org 2010-04-24
[78] 웹사이트 Progressive Librarians Guild - Home http://progressiveli[...] 2012-07-23
[79] 웹사이트 Union Library Workers http://unionlibraryw[...] 2012-07-23
[80] 웹사이트 Progressive Librarian {{!}} Archive http://progressiveli[...] 2012-07-23
[81] 웹사이트 Welcome to SRRT http://www.libr.org/[...] libr.org 2010-04-24
[82] 웹사이트 AALL, Social Responsibilities SIS Home Page http://www.aallnet.o[...] Aallnet.org 2010-04-24
[83] 웹사이트 The American Association of Law Libraries http://www.aallnet.o[...] Aallnet.org 2010-04-24
[84] 논문 A Commitment to Human Rights Let's Honor the Qualities Required of a Librarian Dedicated to Human Rights https://scholarcommo[...] 2007-07-01
[85] 웹사이트 Library Workers: Facts & Figures Fact Sheet 2016 http://dpeaflcio.org[...] 2016-10-25
[86] 웹사이트 Library Workers: Facts & Figures Fact Sheet 2016 http://dpeaflcio.org[...] 2016-10-25
[87] 웹사이트 Library Professionals: Facts, Figures, and Union Membership https://www.dpeaflci[...] 2020-10-25
[88] 간행물 “The Chimera of Professionalism.” Library Journal 1980-10
[89] 서적 The Role of Women in Librarianship, 1876-1976: The Entry, Advancement, and Struggle for Equalization in One Profession Oryx Press 1979
[90] 문서
[91] 웹사이트 Theresa West Elmendorf (1855-1932) https://heritage.wis[...] 2008-12-12
[92] 웹사이트 Madam PResident https://www.library.[...] 2013-05-06
[93] 논문 President's Address: The Public Library: A Leaven'd and Prepared Choice https://www.jstor.or[...] 1912-07
[94] 웹사이트 Senate Confirms Carla Hayden as 14th Librarian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16-08-25
[95] 논문 Library Feminism and Library Women's History: Activism and Scholarship, Equity and Culture https://www.jstor.or[...] 2000
[96] 서적 Reclaiming the American library past: writing the women in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97] 웹사이트 ALA Feminist Task Force http://libr.org/ftf/ 2014-02-27
[98] 웹사이트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Committee on the Status of Women in Librarianship http://www.ala.org/o[...] ala.org 2006-07-26
[99] 문서
[100] 서적 Keeping the Faith: The Public Library's Commitment to Adult Education, 1950 ... https://books.google[...]
[101] 웹사이트 LLAMA Women Administrators Discussion Group http://www.ala.org/l[...] 2012-03-23
[102] 웹사이트 ACRL Women & Gender Studies Section http://www.libr.org/[...] 2014-02-27
[103] 웹사이트 B.2 Intellectual Freedom (Old Number 53) http://www.ala.org/a[...] 2010-08-04
[104] 웹사이트 B.2 Intellectual Freedom (Old Number 53) http://www.ala.org/a[...] 2010-08-04
[105] 서적 The Librarian Stereotype: Deconstructing Perceptions and Presentations of Information Work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Press 2014
[106] 논문 Boomers to Millennials: Generational Stereotypes at Work in Academic Librarianship 2018-11-01
[107] 논문 Are the deaf a disabled group, or a linguistic minority? Issues for librarians in Victoria's public libraries
[108] 웹사이트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olicy. http://www.ala.org/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4-06-06
[109]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folda.net[...] 2022-05-04
[110] 간행물 Achievement: From a lack of knowledge to an appreciation of Deaf history https://archive.ifla[...] 2001-08
[111] 논문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Deaf People 2nd Edition https://www.ifla.org[...] 2000
[112] 논문 Deaf-Advocacy at Queens Borough PL 1995-06
[113] 논문 The Deaf Collection at the Gallaudet University Library 1998
[114] 논문 Have you heard about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Deaf & Hard of Hearing?
[115] 서적 図書・図書館史 樹村房
[116] 웹사이트 司書について 1.司書になるためには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17] 웹사이트 司書について 3.図書館職員になるためには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18] 웹사이트 司書について: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18-11-29
[119] 웹사이트 作家業は司書続けるため 非正規で働き執筆、佐原ひかりさんに聞く: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11-05
[120] 웹사이트 諸外国の公共図書館に関する調査報告書 アメリカの公共図書館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9-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