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뇌는 뇌간의 일부로, 대뇌 반구와 중뇌 사이에 위치하며 시상, 시상하부, 시상상부, 시상밑부로 구성된다. 시상은 감각 및 운동 정보를 대뇌로 전달하고, 시상하부는 항상성 유지, 내분비계 및 자율신경계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의 지배를 받으며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고, 시상상부는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송과체를 포함한다. 사이뇌는 감각 정보 처리, 자율 신경계 및 내분비계 조절을 통해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발생생물학 - 탈피
탈피는 동물이 성장하며 외골격이나 피부를 벗는 과정으로, 곤충의 변태처럼 형태 변화를 수반하며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물발생생물학 - 교배
교배는 생물이 유성 생식을 통해 자손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동물은 종에 따라 다양한 전략으로 외부 또는 내부 수정을 하며, 가축은 인공 수정을 통해 품종을 개량하고, 곤충은 렉 교배와 같은 짝짓기 전략을, 식물과 균류는 수분이나 균사 접합을 통해 유성생식을, 원생생물은 짝짓기나 유성생식을 하며 유전적 다양성 유지와 진화에 기여한다. - 뇌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뇌 -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터키안에 위치한 콩알 크기의 기관으로, 전엽, 중엽, 후엽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고 기능 이상 시 질병을 유발하고 외배엽과 신경외배엽에서 발생한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사이뇌 | |
---|---|
개요 | |
명칭 | 간뇌 |
영어 명칭 | Diencephalon |
라틴어 명칭 | diencephalon |
약어 | DiE, IBr |
상위 구조 | 전뇌 |
구성 요소 | 시상 시상 하부 뇌하수체 송과체 유두체 |
위치 및 관계 | |
위치 | 뇌의 일부, 제3뇌실 주변 |
전구체 | 신경관에서 파생된 전뇌 |
![]() | |
![]() | |
기능 | |
주요 기능 | 시상: 감각 정보 중계 시상 하부: 항상성 유지, 자율신경계 조절, 호르몬 분비 조절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송과체: 멜라토닌 분비, 생체 리듬 조절 유두체: 기억 기능 |
관련 질병 | |
관련 질환 | 간뇌 손상으로 인한 다양한 신경계 질환 발생 가능 |
기타 | |
참고 문헌 | anatomy|url=https://www.britannica.com/science/interbrain|access-date=2021-05-07|website=Encyclopedia Britannica|language=en}} |
2. 구조
사이뇌는 시상, 시상하부, 뇌하수체 후엽, 시상상부, 시상밑부로 구성된다. 시상상부는 앞뇌실곁핵(실방핵)과 뒤뇌실곁핵(실방핵), 안쪽 및 가쪽 고삐핵, 시상 수질 선조(시상수조), 뒤맞교차(시상상부맞교차, 후교련), 송과체로 구성된다.[1]
사이뇌는 배아 신경관의 한 영역으로, 앞쪽 대뇌 구조를 형성하며 제3뇌실이라고 불리는 공간을 둘러싸고 있다.[1]
뇌는 대뇌, 뇌간, 소뇌로 구성되며, 간뇌는 뇌간의 일부이다. 간뇌는 대뇌 반구와 중뇌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대뇌 반구에 감싸인 형태로 하나의 간뇌가 있고, 두 개의 대뇌 반구는 하나의 간뇌에 연결되어 있다. 간뇌는 중뇌에 연결되어 있다.[1]
2. 1. 시상
시상은 사이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감각정보와 운동정보를 처리하여 대뇌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열, 냉, 통증, 압력 등의 감각 자극을 인지한다.[1]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의 중계 지점이다.[1] 시각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어 이 명칭이 붙었다.[1]2. 2. 시상하부
시상하부는 시상 밑에 위치하여 항상성 유지를 위한 중추로 작용한다.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며 망상계를 통해 다양한 감각수용기를 포함한 여러 부위로부터 정보를 받아 시상으로 보낸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체온 유지, 삼투압 유지, 음식 섭취 조절, 생식기능 조절 등이 있다.제3뇌실의 바닥을 시상하부라고 한다. 시상하부는 안구 운동과 청각 반응을 제어하는 중추를 가지고 있다. 간뇌는 자율 신경의 중추인 시상 하부,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체성 감각 등 대부분의 감각을 관장하는 시상 등으로 구분된다.
'''사이뇌'''는 시상하부에 의해 뇌하수체를 지배하여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면역 등도 제어한다. 사이뇌의 체온 조절 기능에 작용하여 발열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에는 IL-1과 TNF가 있다. 이것들은 염증 시 직접 사이뇌에 작용함으로써 생체의 체온을 상승시켜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2. 3.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뇌하수체전엽과 뇌하수체후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핵에서 합성된 신경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하며, 뇌하수체 전엽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을 분비하여 다른 기관에서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조절은 시상하부의 신경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사이뇌는 시상하부에 의해 뇌하수체를 지배하여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을 제어하고, 면역 등도 제어한다.[1]2. 4. 시상상부
시상 위쪽에 위치하며, 다음 구조로 구성된다.[1]- 전 및 후 실방핵[1]
- 내측 및 외측 고삐핵[1]
- 시상수질선[1]
- 후교련[1]
- 송과체: 사이뇌 뒤쪽에 위치해 있으며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작은 기관이다.[1]
2. 5. 시상밑부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와 함께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2. 6. 부착
시각신경(CN II)은 시력과 시각을 담당하는 감각(구심성) 신경이다. 시각신경은 눈에서 두개골의 시신경관을 통해 뻗어나가 사이뇌에 부착된다. 망막 자체는 배아 사이뇌의 일부인 눈술잔에서 파생된다.3. 기능
시상은 간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감각 정보와 운동 정보를 처리하여 대뇌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시상하부는 시상 밑에 위치하여 항상성 유지를 위한 중추로 작용한다. 시상하부는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며 망상계를 통해 다양한 감각수용기를 포함한 여러 부위로부터 정보를 받아 시상으로 보낸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체온 유지, 삼투압 유지, 음식 섭취 조절, 생식기능 조절 등이 있다. 솔방울샘(송과선)은 사이뇌 뒤쪽에 위치해 있으며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작은 기관이다.
사이뇌는 배아 신경관의 한 영역으로, 시상, 시상하부, 뇌하수체 뒤쪽, 송과체를 포함한 앞쪽 대뇌 구조를 형성하며, 제3뇌실이라고 불리는 공간을 둘러싸고 있다. 시상은 척수와 숨뇌, 대뇌 사이의 감각 및 운동 충격을 중계하고, 열, 냉, 통증, 압력 등의 감각 자극을 인지한다. 제3뇌실의 바닥은 시상하부로, 안구 운동과 청각 반응을 제어하는 중추를 가지고 있다.
사람은 대뇌가 가장 발달했기 때문에 사이뇌도 최대이며, 대뇌 반구의 거의 모든 입력과 출력을 하위 중추와 중계하는 신호의 교차점이다.[1]
3. 1. 감각 정보 처리
시상은 간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감각 정보와 운동 정보를 처리하여 대뇌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사이뇌는 시상, 시상하부, 뇌하수체의 뒤쪽, 송과체를 포함한 앞쪽 대뇌 구조를 형성한다. 사이뇌는 제3뇌실이라고 불리는 공간을 둘러싸고 있다.[1] 시상은 척수와 숨뇌, 대뇌 사이의 감각 및 운동 충격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열, 냉, 통증, 압력 등의 감각 자극을 인지한다.[1] 제3뇌실의 바닥을 시상하부라고 한다. 시상하부는 안구 운동과 청각 반응을 제어하는 중추를 가지고 있다.[1]사이뇌는 대뇌 반구의 거의 모든 입력과 출력을 하위 중추와 중계하는 신호의 교차점이다. 사람은 대뇌가 가장 발달했기 때문에, 사이뇌도 최대이다.[1] 시상은 후각을 제외한 모든 감각의 중계 지점이다. 시각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어 이 명칭이 붙었다.[1]
3. 2. 자율 신경계 조절
사이뇌는 자율 신경이나 호르몬 등을 통해 내장 전체를 제어한다.[1] 시상하부에 있는 자율 신경 핵에 의해 자율 신경인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을 제어한다.[1] 교감 신경은 먹이를 잡는 투쟁 반응이나 적에게서 도망치는 도주 반응 등을 제어하고, 부교감 신경은 소화나 수면 등의 이완 반응 등을 제어한다.[1]3. 3. 내분비계 조절
시상하부는 시상 밑에 위치하여 항상성 유지를 위한 중추로 작용한다. 시상하부는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며 망상계를 통해 다양한 감각수용기를 포함한 여러 부위로부터 정보를 받아 시상으로 보낸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체온 유지, 삼투압 유지, 음식 섭취 조절, 생식기능 조절 등이 있다.뇌하수체는 뇌하수체전엽과 뇌하수체후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핵에서 합성된 신경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하며 뇌하수체 전엽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을 분비하여 다른 기관에서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한다.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조절은 시상하부의 신경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사이뇌는 시상하부에 의해 뇌하수체를 지배하여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면역 등도 제어한다. 사이뇌의 체온 조절 기능에 작용하여 발열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에는 IL-1과 TNF가 있다. 이것들은 염증 시 직접 사이뇌에 작용함으로써 생체의 체온을 상승시켜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3. 4. 항상성 유지
시상하부는 시상 밑에 위치하여 항상성 유지를 위한 중추로 작용한다. 시상하부는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며 망상계를 통해 다양한 감각수용기를 포함한 여러 부위로부터 정보를 받아 시상으로 보낸다.[1]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체온 유지, 삼투압 유지, 음식 섭취 조절, 생식기능 조절 등이 있다.[1] 제3뇌실의 바닥을 시상하부라고 한다.[1] 시상하부는 뇌하수체를 지배하여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을 제어하고, 면역 등도 제어한다.[1] 사이뇌의 체온 조절 기능에 작용하여 발열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에는 IL-1과 TNF가 있다.[1] 이것들은 염증 시 직접 사이뇌에 작용함으로써 생체의 체온을 상승시켜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1]3. 5. 기타 기능
사이뇌는 사람에서 가장 크게 발달했는데, 이는 대뇌 반구가 하위 중추와 주고받는 거의 모든 입출력 신호를 사이뇌에서 중계하기 때문이다.[1]참조
[1]
웹사이트
Interbrain {{!}} anatomy
https://www.britanni[...]
2021-05-07
[2]
간행물
The Influence of the Diencephalon ('Tween Brain) on Metabolism.
192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