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국협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국 협상은 20세기 초, 독일을 중심으로 한 삼국 동맹에 대항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러시아 간에 맺어진 일련의 외교적 협상 및 관계를 의미한다. 1870-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 독일의 부상과 프랑스의 고립을 우려한 열강들은 각자 동맹을 모색했다. 독일은 삼국 동맹을 통해 프랑스를 견제하려 했으나,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갈등으로 인해 삼국 동맹은 약화되었다. 이에 영국은 고립 정책을 버리고 프랑스와 영불 협상을, 러시아와 영러 협상을 맺으며 삼국 협상을 형성했다. 삼국 협상은 삼국 동맹과 달리 상호 방위 조약은 아니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유럽의 주요 열강 간의 세력 균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프랑스 관계 - 틸지트 조약
    틸지트 조약은 1807년 프랑스, 러시아, 프로이센 간에 체결되어 프로이센의 영토 손실과 배상금 지불, 러시아의 대륙 봉쇄령 참여를 주요 내용으로 하며, 나폴레옹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러시아-프랑스 관계 - 러시아 원정
    러시아 원정은 1812년 나폴레옹 1세가 러시아 제국을 침공한 사건으로, 프랑스는 러시아 굴복과 대륙 봉쇄령 관철을 목표로 했으나 러시아군의 저항과 추위로 대참패하여 유럽 패권에 타격을 입고 러시아 민족주의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 - 영불 협상
    영불 협상은 1904년 프랑스와 영국이 체결한 협정으로, 식민지 경쟁 해소와 독일의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이집트, 모로코 등 여러 지역의 영토 및 권익 문제를 다루며 앙탕트 코르디알의 토대를 마련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 -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이 오스만 제국군과 싸워 시나이 반도, 팔레스타인, 시리아 지역을 점령한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은 수에즈 운하 보호와 팔레스타인 장악을 목표로 진행되어 영국이 해당 지역에 대한 위임 통치를 확립하고 이스라엘과 요르단 건국에 영향을 미쳤다.
삼국협상
개요
명칭삼국 협상
원어명영어: Triple Entente
프랑스어: Triple-Entente
러시아어: Тройственная Антанта (Troystvennaya Antanta)
역사
결성 시기1907년
주요 참가국프랑스 제3공화국
대영제국
러시아 제국
관련 사건러일 전쟁
영국-러시아 협상
제1차 세계 대전
배경삼국 동맹에 대한 견제 필요성 대두
프랑스의 외교적 고립 탈피 노력
영국의 영광스러운 고립 정책 전환
러시아의 남하 정책 추진
결성 과정1894년: 러불 동맹 체결
1904년: 영불 협상 체결
1907년: 영국-러시아 협상 체결, 삼국 협상 완성
목적유럽 내 세력 균형 유지
독일 제국의 팽창 저지
상호 방위 및 협력
해체 시기러시아 혁명 이후 사실상 해체
특징
동맹 형태공식적인 군사 동맹은 아니었음
협력 범위외교, 군사, 경제 등 다방면에서 협력
약점참가국 간 이해관계 상충
러시아 제국의 불안정
영향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삼국 협상과 삼국 동맹 간 대립 심화
전후 유럽 질서 재편삼국 협상국의 승리로 베르사유 체제 수립
기타
관련 인물레몽 푸앵카레
에드워드 7세
니콜라이 2세

2. 유럽 열강들의 동맹 시스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1870년~1871년)에서 프로이센과 동맹국들은 프랑스 제2제국을 무너뜨리고 프랑스 제3공화국을 수립했다. 프로이센은 프랑크푸르트 조약에서 프랑스가 알자스-로렌독일 제국에 양도할 것을 강요했고, 이는 프랑스와 독일 제국 간의 관계 악화로 이어졌다.[4] 프랑스는 독일의 군사력 확장을 경계하며 자체적인 군수 산업과 군대를 구축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독일 수상은 프랑스를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해 1873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과 함께 삼제 동맹을 결성했다. 비스마르크는 프랑스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의 결과에 대한 복수심으로 손실을 되찾으려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4] 삼제 동맹은 제1인터내셔널과 같은 사회주의 운동에 반대하는 역할도 했다.[5] 그러나 민족주의 부상, 오스만 제국의 쇠퇴, 발칸반도 독립 투쟁 등으로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동맹은 어려움을 겪었다.[6]

1879년 10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오 동맹을 결성했고, 1882년 5월 이탈리아가 합류하면서 삼국 동맹이 형성되었다.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1878년 베를린 조약의 여파로 발칸반도의 상황은 불안정해졌다.

1887년, 비스마르크는 러시아와 비밀 재보험 조약을 체결하여 러시아가 프랑스와 동맹을 맺는 것을 막으려 했다. 이 조약은 전쟁 발발 시 독일과 러시아의 중립을 보장했다. 그러나 러시아와 프랑스의 관계 개선으로 1887년 비스마르크는 독일 금융 시장에서 러시아를 제외시켰고, 1890년 조약 갱신은 무산되어 독일과 러시아의 동맹은 종결되었다.[7] 1890년 비스마르크가 사임한 후, 빌헬름 2세세계정치를 추진하며 독일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8][9]

2. 1. 삼국 동맹과 삼국 협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프랑크푸르트 조약을 통해 프랑스에게 알자스-로렌독일 제국에 양도할 것을 강요했고, 이는 프랑스와 독일 제국 간의 관계 악화로 이어졌다.[4] 프랑스는 독일의 군사력 확장을 경계하며 자체적인 군수 산업과 군대를 구축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독일 수상은 프랑스를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해 1873년 삼제 동맹을 결성했다.[4] 이 동맹은 제1인터내셔널과 같은 사회주의 운동에 반대하는 역할도 했다.[5] 그러나 민족주의의 부상과 오스만 제국의 쇠퇴, 발칸반도에서의 독립 투쟁으로 인해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동맹은 어려움을 겪었다.[6]

1879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오 동맹을 결성했고, 1882년에 이탈리아가 합류하면서 삼국 동맹이 형성되었다.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1878년 베를린 조약으로 인해 발칸반도의 상황은 불안정해졌다.

비스마르크는 러시아와 1887년 비밀 재보험 조약을 체결하여 러시아가 프랑스와 동맹을 맺는 것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러시아와 프랑스 간의 관계가 개선되자, 비스마르크는 독일 금융 시장에서 러시아를 제외시켰고, 1890년 조약 갱신은 무산되었다.[7] 비스마르크가 사임한 후, 빌헬름 2세는 제국주의적인 "세계정치"를 추진하며 독일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8][9]

러시아는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려는 독일의 움직임을 우려했고,[10] 발칸반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경쟁했다. 1890년 재보험 조약이 갱신되지 않자,[11] 러시아는 외교적 고립을 우려하여 1894년 러불 동맹을 맺었다.[12] 프랑스는 독일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고 알자스-로렌을 수복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동맹을 강화했다.

삼국동맹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스와 러시아가 동맹을 맺었지만, 영국은 어느 쪽과도 공식적인 동맹 관계는 아니었다. 2월 혁명을 통해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가 폐위되고, 러시아 임시 정부가 수립되자, 영국과 프랑스 정치인들은 안도감을 표했다.[21]

2. 2. 러불 동맹

러시아는 유럽의 6대 강대국 가운데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경제적으로는 가장 낙후된 나라이기도 했다. 러시아는 독일에 대한 프랑스의 고민을 공유했다. 독일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 요청을 승인하는 한편 영국의 림퍼스 제독과 함께 오스만 제국 군대를 재편하기 시작했다. 이에 러시아는 독일이 러시아 전체 수출량의 2/5 정도를 수송하는 중요한 무역 동맥인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는 것을 우려했다.[10]

러시아는 발칸반도의 세력권을 놓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그러나 1890년에 재보험 조약이 갱신되지 않으면서[11] 러시아의 정치 지도자들은 그 나라의 외교적인 고립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되었다. 러시아는 1894년에 러불 동맹을 형성했다.[12]

프랑스는 삼국동맹에 대한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형성된 러불 동맹에 합류하면서 러시아와의 강한 유대 관계를 형성했다. 프랑스의 주요 관심사는 프랑스를 독일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알자스-로렌을 수복하는 것이었다.

2. 3. 영불 협상

영국은 19세기 마지막 10년 동안 거대한 해외 제국인 대영제국을 방어하는 데에 주된 초점을 맞추면서 "화려한 고립" 정책을 계속했다. 그러나 1900년대 초반까지 독일의 위협은 극적으로 증가했고, 영국은 동맹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영국은 독일의 제안을 거절하면서 프랑스, 러시아에 화답을 보냈다.

영국과 프랑스는 1904년에 식민지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 영불 협상에 서명했는데, 이는 영국의 화려한 고립 정책에 대한 종말을 예고했다. 프랑스와 영국은 1904년에 북아프리카의 영향권에 대한 5개의 별도 협정을 체결했다. 제1차 모로코 위기는 나중에 독일의 팽창주의에 대한 명백한 두려움으로부터 영국과 프랑스 양국 간의 협력을 장려했다.[13]

2. 4. 영러 협상

러일 전쟁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러시아는 1905년 러시아 혁명의 원인을 제공했고, 입헌군주제로의 변화를 상실했다. 일본과의 전쟁에서 동맹 관계는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삼국동맹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 유럽에서의 가치는 여전했다.[19]

1907년에 타결된 영러 협상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티베트에 대한 오랜 분쟁을 해결하고, 그레이트 게임이라 불리는 영국과 러시아 간의 중앙아시아에서의 경쟁 관계를 종식시키기 위한 시도였다.[20] 또한 근동에서 독일의 영향력을 확대한 바그다드 철도에 대한 영국의 두려움을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3. 군비 경쟁

전통적으로 바다를 지배하던 영국은 1909년까지 독일 해군을 영국 해군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보았다. 영국은 기술 면에서 드레드노트가 등장했을 정도로 상당히 앞서 있었고 주요 건설 프로그램으로 대응했다. 영국은 독일이 결코 경쟁할 수 없는 왕립해군을 건설했다.[14]

영국은 영국-독일 해군력 경쟁에서 비롯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 1912년 2월에 제1대 홀데인 자작 리처드 홀데인을 독일 베를린으로 보냈다. 하지만 독일이, 독일을 침략자라고 말할 수 없는 전쟁에 참전해야 한다면 중립을 유지하겠다는 영국의 약속과 "해군 휴일"을 연계하려 했기 때문에 임무는 실패로 끝났다. 제라 스테이너는 "그것은 지난 6년 동안 매우 조심스럽게 길러졌던 모든 협상 시스템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했을 것이다. 독일의 침략에 대한 공포에 대항하기 위한 독일의 양보는 없었다."고 설명했다.[14] 결과적으로 영국은 독일이 회담을 실패로 이끄는 전쟁을 시작하지 않았더라도 독일을 공격하는 국가에 합류할 권리를 보유했다.[15][16]

독일의 역사가인 디르크 뵝커는 "확실히 해군 경쟁은 초기에 결정되었다. 정치 지도자들과 외교관들은 그것을 쟁점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배웠으며 그것이 1914년에 전쟁을 위한 결정을 야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해군 경쟁은 상호 적대감과 불신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평화적 외교와 공동 이해 관계에 대한 대중의 인정을 위한 공간을 제한하고 유럽에서의 전쟁으로 가는 길을 닦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설명했다.[17]

4.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의 상황

삼국 협상은 삼국동맹, 러불동맹과는 달리 상호 방위 동맹이 아니었기 때문에 영국은 1914년에 자유롭게 독자적인 외교 정책 결정을 내렸다. 에어 크로이 영국 외무부 사무관은 "물론 근본적인 사실은 삼국협상이 동맹이 아니라는 것이다. 궁극적인 비상 사태의 목적상 그것은 전혀 실체가 없는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삼국협상은 단지 마음 한구석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두 나라의 정부가 공유하고 있지만 모든 내용을 잃을 정도로 모호해질 수도 있고, 또한 그렇게 될 수도 있는 일반적인 정책의 관점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18]

참조

[1] 논문 The Far Eastern Agreements of 1907 https://www.jstor.or[...] 1954
[2] 서적 Barricades and Borders: Europe 1800–1914 2003
[3] 보고서 Chapter 7: Declaration of the Triple Entent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1915
[4] 서적 Imperial Germany 1850–1918 2002
[5] 문서 Gildea 2003
[6] 서적 The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2002
[7] 서적 Great power diplomacy, 1814–1914 1992
[8] 서적 Kaiser Wilhelm II 2000
[9] 서적 Wilhelm II: The Kaiser's personal monarchy, 1888–1900 2004
[10] 서적 A Great Russia: Russia and the Triple Entente, 1905 to 1914 2002
[11] 웹인용 Reinsurance Treaty - Germany-Russia [1887] https://www.britanni[...]
[12] 서적 The fateful Alliance: France, Russia, and the coming of the First World War 1984
[13]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2012
[14] 서적 Britain and the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1977
[15] 서적 The Sleepwalkers 2012
[16] 논문 The Anglo-German naval rivalry and informal arms control, 1912-1914 1992
[17] 웹사이트 Naval Race between Germany and Great Britain, 1898-1912 https://encyclopedia[...] 2015
[18] 서적 British Foreign Policy Under Sir Edward Gre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19] 서적 A Great Russia: Russia and the Triple Entente, 1905-1914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20] 논문 Great Britain's Great Game: An Introduction https://www.jstor.or[...]
[21] 서적 The Emperors: How Europe's Rulers Were Destroyed by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Amberley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