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러 협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러 협상은 1907년 영국과 러시아 제국이 체결한 협정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세력 경쟁을 완화하고 독일의 부상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 협약은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티베트에 대한 양국의 세력권을 규정했다. 페르시아는 러시아와 영국의 세력권 및 중립 지대로 분할되었고, 아프가니스탄은 영국의 세력권으로 인정되었으며, 티베트에 대해서는 영토 보전과 내정 불간섭 원칙을 확인했다. 이 협상은 삼국 협상의 성립에 기여했으나,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반영 감정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7년 영국 - 1907년 제국 회의
    1907년 제국 회의는 에드워드 7세의 주최로 영국과 각 자치령의 총리 및 주요 각료들이 참석하여 대영제국의 주요 현안을 논의한 회의이다.
  • 1907년 8월 - 남대문 전투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에 반발한 시위대가 서울 남대문 일대에서 일본군과 벌인 전투인 남대문 전투는 박승환 참령의 자결 후 시위대의 무장 봉기로 시작되었으며, 비록 진압되었지만 전국적인 항일 의병 봉기의 도화선이 되었다.
  • 1907년 러시아 -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은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제2대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나, 급진적인 의원들의 다수로 정부와의 갈등 심화와 두마 해산으로 이어져 러시아 민주주의의 짧은 실험으로 평가받는다.
  • 1907년 러시아 - 1907년 10월 러시아 총선
    1907년 10월 러시아 총선에서 온건 보수 성향의 10월 17일 연합이 154석을 차지하며 제1당이 되었고, 국민주의자가 97석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입헌민주당, 우익, 진보당-평화혁신당 등 다양한 정당들이 의회에 진출하여 총 의석수는 509석이었다.
영러 협상
지도
조약 정보
이름1907년 영러 협상
로마자 표기Anglo-Russkaya Konventsiya 1907 g.
러시아어 표기Англо-Русская Конвенция 1907 г.
러시아어 전체 이름Конвенция между Соединенным Королевством и Россией относительно Персии, Афганистана, и Тибета
로마자 표기 (러시아어 전체 이름)Konventsiya mezhdu Soyedinennym Korolevstvom i Rossiyey otnositel'no Persii, Afghanistana, i Tibeta
체결일1907년 8월 31일
체결 장소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서명국영국
러시아 제국
협상 배경
주요 내용이란, 아프가니스탄, 티베트에서 양국의 세력 범위 결정
관련 문서영러 협상 (1899년)
영불 협상
역사적 맥락
관련 사건러일 전쟁
제1차 모로코 위기
관련 인물
관련 인물키스 닐슨 (Keith Neilson)
나카야마 히로시 (中山裕史)
기타
위키 소스영러 협상 위키 소스

2. 배경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중앙아시아로 진출하고, 대영 제국남아시아 지배를 강화하면서 두 열강은 격렬하게 경쟁했다. 이러한 갈등은 아프가니스탄, 이란, 티베트 등 완충 지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양국은 이 지역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7]

20세기 초,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면서 영국과 러시아는 각자의 차이점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7] 1880년대와 1890년대, 특히 1882년 영국의 이집트 점령 이후 협상 논의가 있었지만, 영국 내에서는 러시아와의 협상에 대한 강력한 저항이 있었다.[7]

1905년 혁명 이후, 러시아는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재정 지원을 위해 프랑스와 독일에 의존했고, 특히 독일의 지원은 1905년 7월 비외르케 밀약 체결로 이어졌다.[20] 영국은 1905년 8월 이 밀약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20] 1906년 5월 독일의 신조선법 제정은 영국이 러시아와의 협상을 추진하는 배경이 되었다.[20][22]

1890년대 솔즈베리 수상은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유럽의 균형을 유지하려 했으나,[22] 러시아는 영국의 제안을 거절했다.[22] 그러나 에드워드 그레이 외무장관은 러시아와의 협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7]

2. 1. 독일의 부상

1882년 5월 20일, 독일은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와 함께 삼국 동맹을 체결하여 국제 무대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8] 통일 이후 오토 폰 비스마르크 주도하에 독일은 국력을 강화하고 중동 지역 진출을 시도했으나, 이는 영국과 러시아의 견제를 받았다.[8]

1900년대 초, 독일의 급격한 해군력 증강은 영국에게 직접적인 위협으로 인식되었다.[8] 1906년 5월, 독일에서 신조선법이 제정되자, 에드워드 그레이 외무장관, 찰스 하딩 외무차관 등은 빌헬름 2세의 대륙 동맹 구상을 저지하고 독일에 대항하기 위해 영국과 러시아의 협상을 주장했다.[20][22] 이는 영국이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2. 2. 이란의 혼란

1905년, 혁명 활동이 테헤란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샤는 헌법을 수용하고 ''마즐리스''(의회) 구성을 허용하며 선거를 실시해야 했다.[9] 혁명의 주요 인물들은 세속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성직자들 사이에 분열을 야기하여 군주제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영국과 러시아 정부는 자유주의적이고 불안정한 새로운 정치 체제를 승인하지 않았으며, 외국에 특혜를 허용하고 지역에서 그들의 계획을 지원하는 안정적인 괴뢰 정부를 선호했다.[9]

영국과 러시아 정부는 이란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란을 세 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논의했다. 이 협정은 "이스파한을 포함한 북부 지역을 러시아에, 특히 케르만, 시스탄, 발루치스탄을 포함한 남동부 지역을 영국에 할당하고, 두 강대국 사이에 남은 땅을 중립 지대로 구분한다"고 규정했다.[10] 이란 분할은 영국과 러시아가 이란 내에서 각각의 영토 및 경제적 이익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란의 정치 체제에 대한 간섭을 계속할 수 있도록 했다. 외국의 도움으로 혁명가들은 유럽과 군주제 세력의 결합에 의해 측면 공격을 당했다. 이란 정부는 영국과 러시아의 동맹이 두 강대국이 적대적인 것보다 이란의 주권에 더 큰 위협이 된다는 것을 곧 깨달았다.[10] 결과적으로 1907년 영국과 러시아는 경제적 및 정치적 이익을 조정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3. 협상

1906년부터 러시아 외무장관 알렉산드르 이즈볼스키(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Изво́льский)와 주러시아 영국 대사 아서 니콜슨 경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었다. 양측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분쟁을 해소하고, 독일의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했다.[7] 1907년 8월 31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영러 협상이 체결되었으며, 이로써 삼국 협상이 성립되었다.

4. 주요 협정

영러 협약은 페르시아(이란), 아프가니스탄, 티베트 세 지역에 대한 영국러시아 제국의 세력권을 규정했다.[11]


  • 페르시아: 페르시아 북부는 러시아, 남부는 영국의 세력권으로 정해졌으며, 중립 지대도 설정되었다. 카자르 왕조의 독립은 존중되었다.
  • 아프가니스탄: 영국의 세력권으로 인정되었으며, 러시아는 영국의 계획을 존중했다.
  • 티베트: 양국은 티베트의 영토 보전과 내정 불간섭 원칙을 확인하고, 청나라의 종주권을 인정했다.

4. 1. 페르시아에 관한 협정

러시아 제국은 페르시아(이란) 북부를, 영국은 페르시아 남부를 각자의 세력권으로 설정하고, 두 세력권 사이에 중립 지대를 두었다.[10][12] 카자르 왕조의 독립과 이 지역에서의 기회 균등은 보장되었다.[10]

이 협정은 페르시아의 주권을 인정하면서도, 페르시아를 세 지역으로 분할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2] 러시아는 트란스카프카시아 및 중앙아시아 영토와 인접한 이란 북부 전체를 독점적 이권 지역으로 확보했다. 이 북부 지역은 서쪽의 오스만 제국 국경 카스르 시린에서 시작하여 테헤란, 이스파한, 야즈드를 거쳐 동쪽의 아프가니스탄, 이란, 러시아 국경이 만나는 지점까지 이어졌다.[12] 영국령 인도와 인접한 이란 남동부의 작은 지역은 영국의 독점적 이권 지역으로, 서쪽으로는 남중부 케르만과 남부 반다르 압바스까지 확장되었다. 이 두 지역 사이, 즉 중앙 이란의 일부와 남서부 전체는 중립 지대로 지정되어 양국과 각국 민간인들이 영향력 및 상업적 특권을 두고 경쟁할 수 있었다.[12]

그러나 페르시아 정부는 이 협상에 참여하지 못했고, 협정 체결 후에야 통보받았다.[15] 페르시아 정부는 이 협정이 국가 통합을 위협한다며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영국과 러시아의 협정 이행을 막을 힘은 없었다.[15] 특히, 이란 민족주의자들은 헌정 혁명 기간 동안 민주주의의 등불로 여겨졌던 영국이 이 조약에 서명한 것에 대해 분노했다. 결과적으로, 이 협정은 반영 감정을 비롯한 반서구적 태도가 이란 민족주의의 강력한 요소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15]

4. 2. 아프가니스탄에 관한 협정

아프가니스탄은 영국의 세력권으로 인정되었으며, 러시아 제국은 영국의 계획을 존중했다. 이를 계기로 영국은 러시아 제국과의 적대 관계를 피하면서 평화적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하게 되었다.

영국-러시아 협약에서 러시아는 영국이 아프가니스탄을 공격하지 않는 한 아프가니스탄이 영국의 세력권에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 대가로 영국은 러시아가 비정치적 주제에 대해 아프간 관리들과 동등한 상업적, 직접적 소통을 할 권리를 부여했다. 아프가니스탄 에미르 하비불라 칸은 협상이나 그 결론에 대해 영국이 자신에게 통보하지 않았기 때문에 협약 조항을 읽고 굴욕감과 분노를 느꼈다. 이 협정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반영국 감정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4. 3. 티베트에 관한 협정

영국과 러시아 제국은 티베트에 대한 영토 보전, 내정 불간섭 원칙을 확인하는 한편 티베트에 대한 청나라의 宗主權|종주권중국어을 인정했다. 영국은 이 협약을 통해 인도를 위협하는 러시아의 팽창을 막고, 티베트를 완충 지대로 유지하고자 했다. 그러나 중국은 "종주권"이라는 용어를 받아들이지 않고 "주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1905년 이후 티베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다.[18]

이 협약은 1903-1904년 영국 티베트 원정, 1904년 라싸 조약, 그리고 1906년 영국-중국 협약에 이어 체결되었으며,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을 재확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9]

참조

[1] 서적 British Documents on the Origins of the War 1898–1914, Volume IV, The Anglo-Russian Rapprochement 1903–7 https://archive.org/[...]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 서적 St. Petersburg and Moscow: Tsarist And Soviet Foreign Policy, 1814–1974
[3] 학술지 The Far Eastern Agreements of 1907 https://www.jstor.or[...]
[4] 서적 British Documents on the Origins of the War 1898–1914, Volume IV, The Anglo-Russian Rapprochement 1903-7 https://archive.org/[...]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5] 웹사이트 Agreement concerning Persia http://avalon.law.ya[...]
[6] 웹사이트 Anglo-Russian Entente http://www.britannic[...]
[7] 서적 Endgame: Britain, Russia and the Final Struggle for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I.B.Tauris
[8] 서적 Bismarck and the German Empire https://archive.org/[...]
[9] 웹사이트 The Strangling of Persia: A Story of European Diplomacy and Oriental Intrigue http://www.magepubli[...]
[10] 학술지 The Strategic Background to the Anglo-Russian Entente of August 1907 https://www.jstor.or[...]
[11] 서적 Afghanistan: A History from 1260 to the Present Reaktion Books
[12] 서적 Russia and Britain in Persia, 1864–1914: A Study in Imperialism Yale University Press 2021-08
[13] 서적 Endgame: Britain, Russia, and the Final Struggle for Central Asia Tauris 2021-08
[14] 서적 Transition to Global Rivalry: Alliance Diplomacy and the Quadruple Entente, 1895–190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Russia and Britain in Persia, 1864–1914: A Study in Imperialism Yale University Press 2021-08
[16] 서적 Endgame: Britain, Russia, and the Final Struggle for Central Asia Tauris 2021-08
[17] 서적 Transition to Global Rivalry: Alliance Diplomacy and the Quadruple Entente, 1895–190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8
[18] 서적 Reviews on Tibetan Political History: A Compilation of Tibet Journal Articles Library of Tibetan Works & Archives
[19] 서적 Aspects of India's International Relations, 1700 to 2000: South Asia and the World Pearson Education
[20] 학술지 露仏同盟の変容過程 : 1891-1907 : 日露戦争の衝撃 https://www.daito.ac[...] 2012-03
[21] 웹사이트 日露戦争と国際関係―英国の戦略的外交政策―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2023-03-11
[22] 학술지 英露協商とイランの借款問題 https://doi.org/10.1[...] 20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