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남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남터는 현재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 변에 위치했던 곳으로, 조선 시대 군사 훈련장과 정치범 처형 장소로 사용되었다. 특히 1801년, 1839년, 1846년, 1866년의 천주교 박해 시기에는 많은 순교자들이 처형된 장소로 알려져 있다. 1984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방문하여 한국 순교자 103위를 성인으로 시성했으며, 현재는 새남터 순교성지 기념성당이 건립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반가톨릭주의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한국의 반가톨릭주의 - 병인박해
    병인박해는 1866년 흥선대원군이 천주교를 탄압한 사건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의 천주교 전파와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발생하여 9명의 프랑스 선교사와 8,000여 명의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되었으며, 병인양요의 원인이 되었다.
  • 기독교 성지 - 예루살렘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며, 5,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핵심 쟁점 지역이다.
  • 기독교 성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김건순
    김건순은 조선 후기 노론 명문가 출신으로 천주교에 입교하여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며 정약종과 함께 《성교전서》를 저술하던 중 황사영에 의해 순교자로 기록되었다.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새남터
개요
새남터 순교자 기념 성당
위치서울특별시
좌표37.5249626, 126.956892
완공1987년
한국어 이름새남터
한자 표기沙南基
로마자 표기Saenamteo
MR 표기Saenamt'ŏ

2. 명칭 유래

새남터라는 이름은 원래 이곳에 나무와 사초가 많아 붙여진 '새나무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2][3] 다른 설에 따르면, 이전의 고유 한국어 이름인 노들(Nodeul)의 한자식 표기인 '사남기'(沙南基)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4]

3. 지리적 위치

새남터는 남쪽으로 한강, 북쪽으로 한양 도성 사이의 모래와 젖은 땅이 있는 곳이었다. 현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내 한강 북쪽 강변 근처에 위치해 있다.[5]

4. 역사

1840년 경에 제작된 〈수선전도〉에 사남기라고 적혀있다.


새남터는 한양성 밖 남쪽 한강변에 있던 곳으로, 본래 노들 혹은 한자로 음역(音譯)해서 사남기(沙南基)라고 불리었다. 이 자리는 조선 초기부터 군사들의 연무장으로 사용됐고 국사범을 비롯한 중죄인의 처형장으로 사용되어 왔다. 1456년(세조 2년)에는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던 사육신이 처형된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19세기 천주교 박해 기간 동안 새남터는 천주교 순교자들이 처형된 장소로 가장 유명하다. 희생자들에는 한국인, 프랑스인, 중국인 사제, 선교사, 평신도 등이 포함되었다. 11명의 사제가 새남터에서 처형되었으며, 평신도들은 주로 서소문 밖 사거리 등 다른 장소에서 처형되었다.[10]

4. 1. 정치적 희생

1456년(세조 2년), 단종 복위를 도모하던 사육신 등 많은 이들이 이곳에서 처형되었다. 새남터는 조선 초기부터 군사들의 연무장으로 사용됐고 국사범을 비롯한 중죄인의 처형장으로 사용되어 왔다. 즉, 정치적 신념에 따른 양심수들이 처형당한 곳이라고 볼 수 있다.[6]

4. 2. 천주교 박해와 순교

1801년부터 1866년까지 10명의 외국인 사제를 포함한 11명의 목자가 새남터에서 순교했다. 이곳은 '사제들의 순교지'라고 불릴 정도로, 천주교 박해와 관련된 중요한 장소이다. 1801년, 1839년, 1846년, 1866년에 걸쳐 일어난 네 차례의 천주교 박해 기간 동안 한국인, 프랑스인, 중국인 사제, 선교사, 평신도들이 새남터에서 처형되었다.[10]

4. 2. 1. 1801년 신유박해와 주문모 신부

1801년 신유박해 때, 여러 한국 천주교 신자들이 周文謨 신부의 행방을 알아내기 위해 고문을 받고 처형되었다.[7] 주문모 신부는 중국으로 피신하기 위해 서울을 떠났지만, 다시 돌아와 자진하여 의금부에 투신했다.[8] 1801년 5월 31일 새남터에서 참수되었다.[9]

4. 2. 2. 1839년 기해박해

1839년 기해박해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로랑마리조제프 앵베르 주교, 피에르 모방 신부, 자크 샤스탕 신부가 새남터에서 처형되었다.[10] 이들의 시신은 교우들이 포졸들의 엄중한 감시를 뚫고 거두어 노고산에 매장했다가 4년 후 삼성산에 안장했다.

4. 2. 3. 1846년 병오박해와 김대건 신부

1846년 병오년에는 한국교회 최초의 천주교 사제김대건 신부와 그동안의 순교를 '''기해 일기'''로 남긴 현석문이 이곳에서 참수되었다.[10]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9월 16일에, 현석문은 9월 19일에 처형되었다.[10]

4. 2. 4. 1866년 병인박해

병인박해 때 시메온-프랑수아 베르뇌 주교, 시몬-마리-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베르나르-루이 보리외, 피에르-앙리 도리, 샤를-앙투안 푸르티에, 마리-알렉상드르 프티니콜라 신부 등 6명의 프랑스 천주교 사제들과 우세영, 정의배 두 평신도가 새남터에서 순교했다.[1]

5. 새남터 순교성지 기념성당

1950년 새남터가 순교 기념지로 지정되었고, 1956년 '가톨릭 순교 성지' 기념비가 세워졌다.[14] 1981년 한강 본당에서 새남터 본당이 분리 독립했고, 1987년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에서 현재의 기념 성당을 건립해 봉헌했다.[14]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새남터 성당에서 열린 시성식에서 한국 순교자 103위를 성인으로 시성했다. 이들은 1839년, 1846년, 1866년의 박해 희생자 중 시성 기준을 충족하는 문서가 발견된 사람들이다.[11]

5. 1. 건축 양식

기념 성당은 명지대 건축학과 교수 박태연이 설계하여 1987년에 완공되었다. 한강철교 북단 서쪽에 위치한다.[15]

지하 1층, 지상 3층의 콘크리트 라멘조 건물로, 외부 마감은 한식 기와와 전벽돌 및 치장 콘크리트 위에 미색 단청을 사용하였다. 외관은 콘크리트 구조로 중층 한옥(초익공 양식)을 재현하였으나, 내부는 홀 형식의 단순한 장방형 공간으로 가구 골조들이 노출되어 있다. 전통 목조 건축 양식을 직설적으로 복고하여 토착화를 꾀한 대표적인 예이지만, 내부 공간의 상징성이나 전례의 분위기를 살려내지 못하고 1,100여 평의 부지 중앙에 성당을 배치함으로써 부지의 활용도가 떨어지며 순교지 새남터의 터를 살려내지 못하였다는 비판을 받는다.[13]

5. 2. 기념관

1950년 순교 기념지로 지정되었고, 1956년 '가톨릭 순교 성지' 기념비가 세워졌다.[14] 1981년 한강 본당에서 새남터 본당이 분리 독립했고, 1987년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에서 현재의 기념 성당을 건립해 봉헌했다.[14] 2006년 9월 3일 성당 지하 주차장을 개조해 '새남터 기념관'을 만들어 축복식을 거행하고 전시실로 사용하고 있다.[14] 이곳에는 역사 전시물과 한국 순교자 9인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12]

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과 시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4년 새남터 성당에서 한국 순교자 103위를 성인으로 시성했다.[11] 이들은 1839년, 1846년, 1866년의 박해 희생자 중 시성 기준을 충족하는 문서가 발견된 사람들이다.[11] 이후, 추가 순교자들에 대한 시성 절차가 시작되었거나 진행 중이다.[11]

참조

[1] 웹사이트 Seoul pilgrimage trail shares spirit of Catholic martyrs http://www.korea.ne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15-08-19
[2] 뉴스 [Rediscover Seoul(77)] Pilgrimage around Seoul with a priest from Mexico http://www.koreahera[...] 2010-05-06
[3] 웹사이트 성지역사 http://saenamteo.or.[...] 2015-08-19
[4] 서적 한수산의 순교자의 길을 따라 1 경기 서울편 https://books.google[...] 까리따스수녀회생활성서사 2009
[5] 웹사이트 Saenamteo Catholic Holy Place of the Martyrs: Introduction http://saenamteo.or.[...] 2015-08-19
[6]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8-19
[7] 서적 A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19
[8] 서적 똑바로 살아라: 신정일이 쓴 조선의 진보주의자들 https://books.google[...] Dasan Books 2010
[9] 웹사이트 Father James Zhou Wen-mo (1752–1801) http://www.koreanmar[...] Special Episcopal Commission to Promote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2015-08-20
[10] 웹사이트 103 Korean Martyr Saints http://www.koreanmar[...] Special Episcopal Commission to Promote Beatification and Canonization 2015-08-19
[11] 서적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2] 웹사이트 Saenamteo Catholic Holy Place of the Martyrs: Shrine http://saenamteo.or.[...] 2015-08-19
[13] 저널 한국 성당건축의 정체성 모색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14] 서적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15] 저널 천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관의 리모델링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