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양군은 중국 남북조 시대에 존재했던 군으로, 서진 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다. 291년 서진이 사마양을 서양왕에 봉하면서 익양군에서 분할되어 서양국으로 시작되었으며, 326년 사마양이 익양현왕으로 강등되면서 서양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송나라 때 영주에 속하기도 했으며, 남제, 진나라를 거쳐 북주 시대에 익주로 편입되었다가 58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폐지되었다. 서양군은 여러 현을 관할했으며, 남만계 종족이 거주하기도 했다.

2. 역사

291년(원강 원년), 서진에 의해 사마양이 서양왕에 봉해지자[1], 익양군이 분할되어 '''서양국'''이 세워졌다. 서양국은 예주에 속했으며, 군치는 서양현에 위치했다. 326년(동진 함화 원년)에 서양왕 사마양이 익양현왕으로 강등되면서[2], 서양국은 서양군으로 개칭되었다.

454년(남조 송 효건 원년)에 서양군은 영주로 전속되었다. 469년(태시 5년)에 서양군은 다시 예주에 속했다가 이후 다시 영주에 속했다. 송나라의 서양군은 서양, 서릉, 효녕, 기양, 의안, 기수좌, 동안좌, 건녕좌, 희수좌, 양성좌의 10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제 시대에 서양군은 서릉, 기양, 서양, 효녕, 기사, 의안좌, 희수좌, 동안좌, 기수좌의 9개 현을 관할했다.[4]

575년(남조 진 태건 7년)에 서양군의 군치가 보성으로 이전되었다.[5]

북주 시대에 서양군은 익주로 전속되었다.

583년(개황 3년)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서양군은 폐지되었다.[6]

2. 1. 진 (서진, 동진)

오나라를 멸망시킨 서진은 기춘군을 익양군에 통폐합했으나, 진 혜제 시기 기춘군에 속한 지역이 서양군으로 분리되었고 예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서양군에는 후한 광무제 시기 남군에서 이주된 남만계열 종족이 살고 있었다.[7][8]

서진, 동진 시대 서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양현西陽縣신양시 광산현 양돈향(楊墩鄕) 단강유지(段崗遺址) → 황강시 황저우구 동남서양군 태수의 치소가 있었다. 316년(서진 민제 건흥 4년) 기춘군이 있던 장강변으로 교치되었다.
서릉현西陵縣우한시 신저우구
기춘현蘄春縣황강시 치춘현 관요진(蘄州鎭) 서북 기수(蘄水) 동안372년(동진 간문제 함안 2년), 기춘현에서 기양현(蘄陽縣)으로 개명되었다.[9]
주현邾縣황강시 서 신하촌(新河村) 일대339년(동진 성제 함강 5년) 폐지되었다.
대현軑縣황강시 이수이현 서 파하진(巴河鎭) 동316년 서양현과 함께 교치되었다.



291년(원강 원년) 서진에 의해 사마양이 서양왕에 봉해지자[1], 익양군이 분할되어 '''서양국'''이 세워졌다. 서양국은 예주에 속했으며, 군치는 서양현에 위치했다. 326년(동진 함화 원년) 서양왕 사마양이 익양현왕으로 강등되면서[2], 서양국은 서양군으로 개칭되었다.

2. 2. 송 (남조)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영주가 신설됨에 따라 서양군은 영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469년(유송 명제 태시 5년), 예주로 편입되었다가 후에 다시 영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파수(巴水), 기수(蘄水), 희수(希水), 적정수(赤亭水), 서귀수(西歸水)는 군 북쪽 경계의 산악지대에서 발원하여 장강으로 흘렀는데, 이 하천 유역의 험한 지역에 남만계열 종족이 살고 있었다. 유송은 이들을 '''서양만(西陽蠻)''' 혹은 상기한 5개 하천에 산다고 하여 '''오수만(五水蠻)'''이라고 불렀다. 448년(유송 문제 원가 25년), 유송은 이들을 통치하기 위해 군내 남만 거주지에 건창(建昌), 남천(南川), 장풍(長風), 적정(赤亭), 노정(魯亭), 양성(陽城), 팽파(彭波), 천계(遷溪), 동구(東丘), 동안(東安), 서안(西安), 남안(南安), 방전(房田), 희수(希水), 고파(高坡), 직수(直水), 기수(蘄水), 청석(清石)의 18개 좌현을 설치하고 서양군의 속현으로 편제했다. 이 좌현은 여러 차례 통폐합을 거치면서 기수, 동안, 건녕, 희수, 양성의 5개 좌현으로 줄어들었다.[8]

465년(유송 명제 태시 원년), 유자업이 살해당하고 상동왕 유욱이 명제로 즉위하자 진군장군(鎭軍將軍) 강주자사 진안왕 유자훈(劉子勛)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당시 영주자사였던 안륙왕 유자수(劉子綏)가 이에 가담했다. 송나라 중앙군이 작미저에서 반란군을 격파했을 무렵, 전익지(田益之), 전의지(田義之), 성사재(成邪財), 전광흥(田光興)과 같은 서양군의 남만이 영주자사 유자수를 격파했다. 명제는 이들에게 여러 봉작을 하사했다. 이후 심유지가 영주자사로 임했을 때 전익종(田益宗)이 공을 세워 군대를 통솔하게 되었다.[10]

남조 송 시기 서양군의 현
현명한자민정대략적 위치비고
서양현西陽縣황강시 황저우구 동남
서릉현西陵縣男相우한시 신저우구
효녕현孝寧縣候相황강시 이수이현 서 파하진454년 지금의 대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기양현蘄陽縣황강시 치춘현 기주진(蘄州鎭) 일대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기양현의 치소가 남쪽으로 옮겨졌다.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 신채군에서 서양군으로 편입되었다.
의안현義安縣미상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 유민(流民)들이 정착하며 설치되었다.
기수좌현蘄水左縣황강시 이수이현 동448년 설치된 좌현 중의 하나이다.
동안좌현東安左縣미상448년 설치된 좌현 중의 하나이다. 465년, 기수, 직수, 희수 3개 현에 편입되었다.
건녕좌현建寧左縣황강시 마청시 서남 부교하(浮橋河) 부근448년 설치된 좌현 중의 하나이다. 건녕좌군(建寧左郡)이 설치되면서 건녕좌군의 수현이 되었지만, 군이 폐지되면서 서양군으로 편입되었다.
희수좌현希水左縣황강시 이수이현448년 설치된 좌현 중 하나이다.
양성좌현陽城左縣미상448년 설치된 좌현 중 하나로 본래 건녕좌군(建寧左郡)에 속했다. 464년 서양군의 적정, 양성, 팽파의 3개 좌현이 건녕좌군 양성좌현에 통폐합되었다. 건녕좌군이 폐지되면서 서양군의 속현이 되었다. 465년 서양만 수령 중 한명이자 유자훈의 난 때 유자수를 공격했던 성사재(成邪財)가 송 조정으로부터 양성현왕(陽城縣王)에 봉해졌고 3000호의 식읍을 받았다.



454년 (남조 송 효건 원년)과 469년 (태시 5년)에 서양군은 각각 영주와 예주로 전속되었다. 이후 다시 영주에 속했다. 송나라의 서양군은 서양, 서릉, 효녕, 기양, 의안, 기수좌, 동안좌, 건녕좌, 희수좌, 양성좌의 10개 현을 관할했다.[3]

2. 3. 남제

명제 즉위 초 서양만 수령 전익종이 명제에 반발을 일으키고 북위로 투항했다. 그러나 그가 땅을 바치고 북위에 투항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후에도 서양군은 남제의 땅으로 남았다.[11][12]

남제 시기 서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릉현西陵縣우한시 신저우구황스시 황스강구 일대502년(남제 화제 중흥 2년) 치소가 옮겨졌다.
기양현蘄陽縣황강시 치춘현 기주진(蘄州鎭) 일대
서양현西陽縣황강시 황저우구 동남
효녕현孝寧縣황강시 이수현 서 파하진
기사현期思縣미상익양군의 기사현과 다른 현으로 보이는데 《영명3년 호구부》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의안좌현義安左縣미상
희수좌현希水左縣황강시 이수현
동안좌현東安左縣미상
기수좌현蘄水左縣황강시 이수현


2. 4. 양 ~ 수나라 이전

291년(원강 원년), 서진에 의해 사마양이 서양왕에 봉해지자[1], 익양군이 분할되어 '''서양국'''이 세워졌다. 서양국은 예주에 속했으며, 군치는 서양현에 위치했다. 326년(동진함화 원년)에 서양왕 사마양이 익양현왕으로 강등되면서[2], 서양국은 서양군으로 개칭되었다.

454년(남조 송효건 원년)에 서양군은 영주로 전속되었다. 469년(태시 5년)에 서양군은 다시 예주에 속했다. 이후 다시 영주에 속했다. 송나라의 서양군은 다음 10개 현을 관할했다[3]

현명비고
서릉
기양
서양
효녕
기사
의안
희수좌
동안좌
기수좌
건녕좌
양성좌



남조 제 시대에 서양군은 위와 같이 9개 현을 관할했다[4]

동위, 서위후경의 난을 틈타 양나라를 공격하여 각각 회수이남지역과 파촉지역을 점령했는데, 서양군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동위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진패선진나라를 건국한 이후 회남지역을 수복하면서 다시 남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575년(진 선제 태건 7년), 군의 치소가 보성(保城)으로 옮겨졌다.[13] [5] 그러나 북제의 침공으로 진나라가 장강 이북지역을 상실하자 서양군은 다시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13]

북주 시대에 서양군은 익주로 전속되었다.

3. 행정 구역

오나라를 멸망시킨 서진은 기춘군을 익양군에 통폐합했으나, 진 혜제 시기 기춘군에 속한 지역이 서양군으로 분리되어 예주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서양군은 시대에 따라 소속이 변동되었는데, 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454년)에는 영주로, 유송 명제 태시 5년(469년)에는 다시 예주로, 이후에는 다시 영주로 소속이 바뀌었다.[3]

서양군에는 후한 광무제 시기 남군에서 이주된 남만계열 종족이 살고 있었다.[7][8] 이들은 파수(巴水), 기수(蘄水), 희수(希水), 적정수(赤亭水), 서귀수(西歸水) 등 군 북쪽 경계의 산악지대에서 발원하여 장강으로 흐르는 하천 유역의 험한 지역에 살았는데, 유송은 이들을 '''서양만(西陽蠻)''' 혹은 '''오수만(五水蠻)'''이라고 불렀다.[8]

유송 문제 원가 25년(448년), 유송은 이들을 통치하기 위해 군내 남만 거주지에 18개 좌현을 설치하고 서양군의 속현으로 편제했다. 이 좌현들은 여러 차례 통폐합을 거쳐 기수, 동안, 건녕, 희수, 양성의 5개 좌현으로 줄어들었다.[8] 명제 즉위 초에는 서양만 수령 전익종이 명제에 반발하여 북위로 투항하기도 했으나, 땅을 바치고 투항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서양군은 계속 남제의 영토로 남았다.[11][12]

575년(진 선제 태건 7년), 군의 치소가 보성(保城)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북제의 침공으로 진나라가 장강 이북 지역을 상실하면서 서양군은 다시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13]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서양군은 폐지되었다.[6]

3. 1. 진 (서진, 동진)

오나라를 멸망시킨 서진은 기춘군을 익양군에 통폐합시켰으나, 진 혜제 시기 기춘군에 속한 지역이 서양군으로 분리되었고 예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서양군에는 후한 광무제 시기 남군에서 이주된 남만계열 종족이 살고 있었다.[7][8]

서진, 동진 시대 서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양현西陽縣신양시 광산현 양돈향(楊墩鄕) 단강유지(段崗遺址) → 황강시 황저우구 동남서양군 태수의 치소가 있었다. 316년(서진 민제 건흥 4년) 기춘군이 있던 장강변으로 교치되었다.
서릉현西陵縣우한시 신저우구
기춘현蘄春縣황강시 치춘현 관요진(蘄州鎭) 서북 기수(蘄水) 동안372년(동진 간문제 함안 2년), 기춘현에서 기양현(蘄陽縣)으로 개명되었다.[9]
주현邾縣황강시 서 신하촌(新河村) 일대339년(동진 성제 함강 5년) 폐지되었다.
대현軑縣황강시 이수이현 서 파하진(巴河鎭) 동316년 서양현과 함께 교치되었다.



291년(원강 원년)에 서진에 의해 사마양이 서양왕에 봉해지자[1], 익양군이 분할되어 '''서양국'''이 세워졌다. 서양국은 예주에 속했으며, 군치는 서양현에 위치했다. 326년 (동진함화 원년)에 서양왕 사마양이 익양현왕으로 강등되면서[2], 서양국은 서양군으로 개칭되었다.

3. 2. 송 (남조)

454년(유송 효무제 효건 원년), 영주가 신설됨에 따라 서양군은 영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469년(유송 명제 태시 5년), 예주로 편입되었다가 후에 다시 영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파수(巴水), 기수(蘄水), 희수(希水), 적정수(赤亭水), 서귀수(西歸水)는 군 북쪽 경계의 산악지대에서 발원하여 장강으로 흘렀는데, 이 하천 유역의 험한 지역에는 남만계열 종족이 살고 있었다. 유송은 이들을 '''서양만(西陽蠻)''', 혹은 상기한 5개 하천에 산다고 하여 '''오수만(五水蠻)'''이라고 불렀다. 448년(유송 문제 원가 25년), 유송은 이들을 통치하기 위해 군내 남만 거주지에 건창(建昌), 남천(南川), 장풍(長風), 적정(赤亭), 노정(魯亭), 양성(陽城), 팽파(彭波), 천계(遷溪), 동구(東丘), 동안(東安), 서안(西安), 남안(南安), 방전(房田), 희수(希水), 고파(高坡), 직수(直水), 기수(蘄水), 청석(清石)의 18개 좌현을 설치하고 서양군의 속현으로 편제했다. 이 좌현은 여러 차례 통폐합을 거치면서 기수, 동안, 건녕, 희수, 양성의 5개 좌현으로 줄어들었다.[8]

465년(유송 명제 태시 원년), 유자업이 살해당하고 상동왕 유욱이 명제로 즉위하자 진군장군(鎭軍將軍) 강주자사 진안왕 유자훈(劉子勛)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당시 영주자사였던 안륙왕 유자수(劉子綏)가 이에 가담했다. 송나라 중앙군이 작미저에서 반란군을 격파했을 무렵, 전익지(田益之), 전의지(田義之), 성사재(成邪財), 전광흥(田光興)과 같은 서양군의 남만이 영주자사 유자수를 격파했다. 명제는 이들에게 여러 봉작을 하사했다. 이후 심유지가 영주자사로 임했을 때 전익종(田益宗)이 공을 세워 군대를 통솔하게 되었다.[10]

송 (남조) 시기 서양군의 현
현명한자민정대략적 위치비고
서양현西陽縣황강시 황저우구 동남
서릉현西陵縣男相우한시 신저우구
효녕현孝寧縣候相황강시 이수이현 서 파하진454년 지금의 대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기양현蘄陽縣황강시 치춘현 기주진(蘄州鎭) 일대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기양현의 치소가 남쪽으로 옮겨졌다. 464년(유송 효무제 대명 8년) 신채군에서 서양군으로 편입되었다.
의안현義安縣미상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 유민(流民)들이 정착하며 설치되었다.
기수좌현蘄水左縣황강시 이수이현 동448년 설치된 좌현 중의 하나이다.
동안좌현東安左縣미상448년 설치된 좌현 중의 하나이다. 465년, 기수, 직수, 희수 3개 현에 편입되었다.
건녕좌현建寧左縣황강시 마청시 서남 부교하(浮橋河) 부근448년 설치된 좌현 중의 하나이다. 건녕좌군(建寧左郡)이 설치되면서 건녕좌군의 수현이 되었지만, 군이 폐지되면서 서양군으로 편입되었다.
희수좌현希水左縣황강시 이수이현448년 설치된 좌현 중 하나이다.
양성좌현陽城左縣미상448년 설치된 좌현 중 하나로 본래 건녕좌군(建寧左郡)에 속했다. 464년 서양군의 적정, 양성, 팽파의 3개 좌현이 건녕좌군 양성좌현에 통폐합되었다. 건녕좌군이 폐지되면서 서양군의 속현이 되었다. 465년 서양만 수령 중 한명이자 유자훈의 난 때 유자수를 공격했던 성사재(成邪財)가 송 조정으로부터 양성현왕(陽城縣王)에 봉해졌고 3000호의 식읍을 받았다.



454년 (남조 송 효건 원년) 서양군은 영주로 전속되었다. 469년 (태시 5년) 서양군은 다시 예주에 속했다. 이후 다시 영주에 속했다. 송나라의 서양군은 서양, 서릉, 효녕, 기양, 의안, 기수좌, 동안좌, 건녕좌, 희수좌, 양성좌의 10개 현을 관할했다.[3]

3. 3. 남제

명제 즉위 초, 서양만 수령 전익종이 명제에 반발하여 북위로 투항했다. 그러나 전익종이 땅을 바치고 북위에 투항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이후에도 서양군은 남제의 영토로 남았다.[11][12]

남제 시대 서양군은 서릉, 기양, 서양, 효녕, 기사, 의안좌, 희수좌, 동안좌, 기수좌 등 9개 현을 관할했다.[4]

남제 시기 서양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서릉현西陵縣우한시 신저우구 → 황스시 황스강구 일대502년(남제 화제 중흥 2년) 치소가 옮겨졌다.
기양현蘄陽縣황강시 치춘현 기주진(蘄州鎭) 일대
서양현西陽縣황강시 황저우구 동남
효녕현孝寧縣황강시 이수이현 서 파하진
기사현期思縣미상익양군의 기사현과 다른 현으로 보이는데, 《영명3년 호구부》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의안좌현義安左縣미상
희수좌현希水左縣황강시 이수이현
동안좌현東安左縣미상
기수좌현蘄水左縣황강시 이수이현 동


참조

[1] 서적 晋書
[2] 서적 晋書
[3] 서적 宋書
[4] 서적 南斉書
[5] 서적 陳書
[6] 서적 隋書
[7]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8]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9] 서적 원화군현도지 https://zh.wikisourc[...]
[10]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1]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12] 서적 남제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