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성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전기는 1973년 삼성산요파츠로 설립되어 198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전자 부품 제조 기업이다. MLCC, 카메라 모듈, 유기 반도체 기판 등을 생산하며, 수원에 본사를 두고 세종, 부산,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에 생산 법인을 운영한다. 2020년 매출액은 8조 2,087억 원을 기록했으며, ESG 경영을 통해 환경 보호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해체된 기업 - 대원미디어
    대원미디어는 197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콘텐츠 기업으로, 애니메이션 제작, 방송, 출판, 캐릭터 상품 사업 등을 하며, 대원방송을 통해 애니메이션 채널을 운영하고 파워레인저, 가면라이더 시리즈 등 슈퍼히어로물을 국내에 선보인다.
  • 1974년 해체된 기업 -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1947년 설립되어 2001년 LG화학에서 분사한 대한민국의 생활용품, 화장품, 음료 제조 및 판매 기업으로, 적극적인 M&A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며 '후', '숨37°', '오휘' 등의 고급 화장품 브랜드와 '페리오', '엘라스틴'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코카콜라 음료를 인수하여 음료 사업도 전개하고 있지만, 기업 문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974년 해체된 기업 - 삼성SDI
    삼성SDI는 1970년 삼성NEC로 설립되어 1999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2차전지 사업 진출 후 전기차 배터리, ESS용 전지, 전자재료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으며,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다.
  • 197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7년 삼성정밀공업으로 설립되어 항공기 엔진, 방산 제품, 우주 발사체 부품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사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항공우주, 방산, 전기추진체계를 주요 사업 분야로 K9 자주포, 누리호 엔진, UAM용 수소연료전지 등을 개발·생산하고 사업 영역 확장 및 사업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 197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다인오디오
    다인오디오는 가정용 하이파이 스피커, 스튜디오 모니터,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등 다양한 스피커 및 오디오 시스템을 제조하는 덴마크의 음향 기기 제조사로, 고품질 사운드 재생 기술력을 인정받아 전 세계 녹음 스튜디오 및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하고 있다.
삼성전기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삼성전기 로고
회사명삼성전기 주식회사
영문 회사명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설립일1973년
설립 형태주식회사
창립자삼성산요파츠 (1973년 8월 8일), 삼성전기파츠 (1974년 3월), 삼성전자부품 (1977년 5월), 삼성전기 (1987년 2월)
상장일1979년 2월 27일
국가대한민국
본사 위치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 150 (매탄동)
산업 분야전기
전자 장비 및 기기
주요 제품MLCC
반도체 기판
인쇄 회로 기판 (PCB)
카메라 모듈
서비스기타 전자 부품 제조업
인쇄회로기판 및 전자부품 실장기판 제조업
모기업삼성그룹
주주삼성전자 외 특수관계인: 23.7%
국민연금공단: 12.8%
매출액8조 208억 원 (2020년)
영업이익8291억 원 (2020년)
순이익6238억 원 (2020년)
자산 총액9조 2254억 원 (2020년 12월)
자본금3880억 원 (2020년 12월)
직원 수11,624명 (2020년 12월)
최고 경영자경계현 (CEO)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표기삼성전기
로마자 표기Samseongjeongi
일본어 표기サムスン電機
시장 정보
종목 코드
연혁
초기삼성산요파츠 (1973년 8월 8일)
변경삼성전기파츠 (1974년 3월), 삼성전자부품 (1977년 5월), 삼성전기 (1987년 2월)
사업
주요 제품MLCC
반도체 기판
인쇄 회로 기판 (PCB)
카메라 모듈
재무 정보 (2019년)
매출69억 4400만 달러
영업 이익6억 3300만 달러
순이익5억 3500만 달러
자산74억 9200만 달러
직원 수34,212명

2. 회사 개요

1973년 삼성산요파츠로 설립되었으며, 이듬해인 1974년 상호를 삼성전기파츠로 변경하였다. 1977년에는 삼성전자부품으로, 1987년에는 현재의 상호인 삼성전기로 다시 변경했다.

본사는 대한민국 수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종부산에도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해외에는 중국,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지에 생산 법인을 두고 있다.

2020년 기준 매출액은 8.2087조이며, 영업이익은 8291억을 기록했다.

3. 제품 목록

삼성전기는 다양한 전자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제품 목록과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으며, 각 제품에 대한 상세 설명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MLCC(적층 세라믹 콘덴서): 전자기기 내부에서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 카메라 모듈: 스마트폰, 자동차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기능을 담당하는 부품이다.
  • 반도체용 기판: 반도체 칩과 메인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source`의 '유기반도체 기판'에 해당)
  • 리지드플렉시블 기판(경연성 인쇄회로기판): 단단한 부분과 유연한 부분을 결합하여 공간 효율성과 디자인 자유도를 높인 회로 기판이다.

3. 1. 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적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는 전자기기 내부에서 전류가 필요한 만큼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 부품으로, 마치 물의 양을 조절하는 과 같은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 한 대에 약 800개, LED TV에는 약 2,000개가 들어가는 등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필수 부품이다.

최근 전자기기가 점점 작아지는 추세에 따라, MLCC 역시 크기는 줄이면서도 더 많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소형·고용량 제품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 삼성전기는 이러한 기술 흐름에 발맞춰, 사람 머리카락 굵기와 비슷한 크기(0.4mm x 0.2mm)의 초소형 0402 MLCC를 생산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MLCC 시장 상황이 개선되고 평균 판매 가격도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삼성전기의 관련 부품 사업부 실적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3. 2. Power Inductor

전원 공급 장치 및 회로에 적용되는 인덕터의 한 종류이다. 주로 금속 복합체(Metal composite)나 페라이트(Ferrite) 재료를 사용하여 생산한다. 파워 인덕터는 특정 전압을 필요한 수준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에 주로 사용되며, IC(Integrated Circuit)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인덕터는 전원 회로에 사용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때 인덕턴스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저항이 낮은 특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3. 3.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을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사진동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이다.[1]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및 자동차, 스마트가전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모든 분야에서 고화질소형, 슬림화저전력화, 고강성이 요구되어 높은 수준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1]

삼성전기는 렌즈, 액추에이터(Actuator) 및 패키징(PKG) 기술의 내재화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카메라 모듈 설계 및 제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모두 보유한 유일한 업체로 평가받는다.[1]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외에도 자동차 전장용, 센싱용 등 신규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2] 특히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개발에서 축적한 고화소, 초소형화 기술, 자동 초점(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기능 및 고품질 액추에이터/렌즈 기술 등을 신규 사업 분야에 적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2]

최근에는 삼성 갤럭시 노트 8에 듀얼 카메라 모듈 공급을 시작하며 카메라 모듈 사업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2]

3. 4. 반도체용 기판 (Package Substrate)

모바일 기기나 PC의 핵심 반도체에 사용되는 Package 기판이다. 반도체와 메인보드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외부의 충격이나 환경 변화로부터 비싼 반도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일반적인 회로 기판보다 훨씬 더 미세한 회로가 촘촘하게 새겨져 있는 고밀도 회로 기판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통해 고가의 반도체를 메인 기판에 직접 부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과정에서의 불량률을 낮추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5. 리지드플렉시블 기판(Rigid-Flex PCB)

리지드플렉시블 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이라고도 불리며, 유연한 플렉시블 기판과 단단한 리지드 기판을 하나로 합친 형태이다. 이를 통해 플렉시블 기판의 장점인 유연성과 리지드 기판의 장점인 표면실장을 위한 강성을 동시에 갖추게 된다.

이 기판은 모듈 간 연결을 위한 별도의 커넥터가 필요 없어 기기의 소형화에 유리하며, 부품을 더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어(실장 밀도 향상)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주로 얇고 유연성이 요구되는 IT 기기, 특히 카메라 모듈 등에 많이 사용된다.

4. 연혁


  • 1973년 3월: '''삼성산요파츠'''로 설립되었다.
  • 1974년: 상호를 삼성전기파츠로 변경하였다.
  • 1977년 5월: 상호를 삼성전자부품으로 변경하였다.
  • 1987년 2월: 상호를 현재의 '''삼성전기'''로 변경하였다.
  • 1990년 11월: 태국 법인을 설립하였다.
  • 1994년 1월: 중국 천진 법인을 설립하였다.
  • 1997년 7월: 필리핀 법인을 설립하였다.
  • 2001년 5월: 중국 고신 법인을 설립하였다.
  • 2007년 4월: 인텔로부터 'PQS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 2007년 11월: 제33회 국가품질경영대회 제안부문에서 '대통령상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2009년 4월: 삼성전자LED 합작법인인 삼성LED를 설립하였다.
  • 2009년 10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에 편입되었다.
  • 2010년 4월: '세계 최소형 울트라 슬림 튜너'를 개발하였다.[5]
  • 2010년 7월: 중국 쿤산법인을 준공하였다.
  • 2011년 9월: 중국 텐진 빈해공장을 준공하였다.
  • 2011년 10월: 세계 최고성능 0603 2.2㎌ MLCC를 개발하였다.[6]
  • 2013년 7월: 베트남 생산거점을 설립하였다.
  • 2013년 10월: 세계 최고성능 카메라모듈을 개발하였다.[7]
  • 2014년 1월: 세계 최초 자기충전방식 무선충전 인증을 획득하였다.[8]
  • 2014년 7월: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평가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2015년 11월: 대한민국 동반성장 기업대상 4회 연속 수상 및 2년 연속 CDP 명예의 전당에 편입되었다.
  • 2016년 8월: 필리핀, 천진(빈해) 新공장을 완공하였다.
  • 2016년 9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World에 8년 연속 편입되었다.[9]
  • 2017년 4월: 필리핀법인 新공장을 준공하였다.
  • 2017년 5월: 천진법인 新공장을 준공하였다.
  • 2018년 12월: 영업이익 1조 클럽을 달성하였다.
  • 2019년 4월: 세계 최소형 5G 안테나 모듈을 개발하였다.
  • 2019년 5월: 초슬림 광학 5배줌 카메라모듈을 양산하였다.
  • 2020년 7월: 자동차 파워트레인 및 ABS용 MLCC 5종을 개발하였다.
  • 2020년 9월: 세계 최소형 파워인덕터를 개발하였다.
  • 2024년 11월: 통신 모듈 사업에서 철수하였다.[10]

5. 지배구조

2022년 삼성전기 대표이사로 장덕현이 선임되었다.

2021년 3월 기준으로 삼성전기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과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사회 내에는 보상위원회, 경영위원회,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등 5개의 소위원회가 있으며, 이사회 의장은 사외이사가 맡고 있다.

구분성명
사내이사장덕현
김두영
김성진
사외이사김용균
김준경
여윤경
이윤정



2020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으로부터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급 평가에서 A 등급을 획득하였다.

6. ESG 경영

삼성전기는 지속가능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를 중심으로 한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환경(E) 분야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 감축, 에너지 효율 개선,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환경 경영 참조)

사회(S) 분야에서는 장애인 지원, 농어촌 상생, 지역사회 발전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노력한다. 또한, 인권 존중 문화를 확산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사회공헌 참조)

지배구조(G) 측면에서는 투명하고 건전한 기업지배구조를 확립하는 동시에,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 및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힘쓰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공급망 관리 참조)

6. 1. 환경 경영

삼성전기는 사업 전략과 연계하여 경영 활동 전 과정에 탄소 경영 전략을 반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주주 및 투자자 가치를 높이며, 고객사와의 신뢰 관계를 강화하고자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로 매출액 대비 원단위 기준으로 2025년까지 2014년 대비 7% 감축을 설정하고 운영 중이다.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온실가스 배출원을 목록화하고 배출량을 산정하여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또한 WRI/WBCSD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사업장 내 직·간접 배출원(SCOPE 1, 2)뿐만 아니라 기업 가치 사슬 전반의 배출원(SCOPE 3)까지 파악하고 배출량을 산정하여 온실가스 배출 저감 활동 추진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저탄소 에너지 경영 체제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전담 조직을 운영하며, 매년 절감 목표를 설정하고 모든 임직원이 참여하는 에너지 절감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영진 평가 항목에는 에너지 도전 목표 달성률을 반영하여 상의하달식(Top-down) 에너지 경영 활동을 실행한다.

신재생에너지 전환 노력의 일환으로 모든 사업장의 조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하여 유지하고 있다. 또한 100k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도입하여 매년 120MWh의 재생 에너지를 확보하고 있다. 이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국내, 중국, 동남아 전 사업장으로 확대하여 2027년까지 총 6,239kWp 용량의 시설을 추가 투자·설치하고, 이를 통해 연간 7,135MWh의 재생 에너지를 추가 확보하는 목표를 수립하여 진행 중이다.

제조 설비에 대해서는 에너지 절감 사양 심의를 통해 절감형 설비를 제작하고 있으며, 건물 신축 및 증축 시에도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적용과 신재생 에너지 기술 도입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한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한국위원회 평가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연속 CDP Korea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선정되었다. 또한 제34회 에너지절약대회에서는 당시 삼성전기 사장이었던 최치준이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전력 위기 극복에 기여한 공로로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ISO 50001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모든 생산 법인이 인증을 완료했다. 인증 취득 현황은 아래와 같다.

연도인증 취득 사업장/법인
2011년국내 3개 사업장
2014년중국 사업장, 태국 사업장
2016년필리핀 법인, 베트남 법인


6. 2. 사회공헌

삼성전기는 장애인문화, 체육, 의료 부문 지원과 농어촌 지원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2년부터 각 지역 농어촌 마을과 1사 1촌 자매결연을 맺기 시작하여 2013년 기준으로 전라도강원도 등에 총 15개 자매마을을 두고 있다.[11]

2005년에는 의료 지원의 일환으로 저소득층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인공관절 무료 시술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2016년까지 총 514명이 시술을 받았다.[12][1]

2006년부터는 매년 전국 장애인 배드민턴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 대회에는 선수, 응원단, 자원봉사자를 포함하여 전국 16개 시에서 약 3,000명이 참가한다.

2008년부터는 TJB 대전방송과 함께 전국 장애학생 음악콩쿠르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 콩쿠르에는 발달, 시각, 지체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개인 또는 단체로 참가한다.[13][2]

2013년에는 장애 아동 및 청소년 35명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 'hello!SEM'을 창단하여 운영하고 있으며,[14][3] 첫 정기 연주회를 개최하기도 했다.[4]

2019년부터는 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청소년이 함께하는 통합 인재양성 프로그램인 'SEM-IRANG(쌤이랑)'을 운영하고 있다.[15]

이 외에도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6. 3. 공급망 관리

삼성전기는 협력회사와 상호 수평적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협력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동반성장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1차 협력회사가 2차 협력회사를 지원할 수 있도록 대금 지급 조건 개선, 현금 결제 비율 확대, 협력회사 협의체 구성 등을 지원한다. 또한, 2차 협력회사의 경영 개선을 직접 돕기 위해 상생펀드를 통한 자금 지원, 협력회사 대상 무료 교육 등을 확대하고 있다.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분쟁광물 지역의 환경과 인권을 개선하는 데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특히, 10개 분쟁 지역에서 비윤리적으로 채굴되는 분쟁광물인 3TG(탄탈럼, 주석, 텅스텐, )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품에 분쟁광물이 포함되었는지 철저히 조사하는 협력회사 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하여, 고객에게 정상적 유통 과정을 거친 제품을 제공한다.

7. 관련 기업

참조

[1] 뉴스 Lee Chun Tek Orthopaedic Specialty Hospital, 500th free artificial joint surgergy http://news.mk.co.kr[...] Maeil Business News 2016-10-20
[2] 뉴스 [Sharing with neighbors] Samsung Electro-Mechanis http://economy.hanko[...] Internet hankookilbo 2012-10-24
[3] 뉴스 Samsung Electro-Mechanics forms an orchestra for disabled and provides free artificial joint surgery http://www.fnnews.co[...] The Financial News 2013-11-26
[4] 뉴스 Samsung Electro-Mechanics holds its first regular concert "Hello! SEM Orchestra http://economy.hanko[...] Internet hankookilbo 2014-06-17
[5] 웹인용 네이버/지식백과/기업사전/삼성전기 http://m.terms.naver[...] 굿모닝미디어 2011-08-05
[6] 웹인용 삼성전기, 세계 최고성능 초소형 MLCC 개발 http://sbscnbc.sbs.c[...] SBS CNBC 2011-10-11
[7] 웹인용 삼성전기, 세계 최고성능 카메라모듈 개발 http://www.samsungse[...] 삼성전기 homepage 2013-10-04
[8] 웹인용 삼성전기, 세계최초 자기공진방식 무선충전 인증 http://www.samsungse[...] 삼성전기 homepage 2014-10-08
[9] 뉴스 DJSI 월드지수에 국내 21개사 편입 http://www.fnnews.co[...] 매일경제 2016-09-09
[10] 뉴스 노태민, 삼성전기, 비주력 정리…통신·모듈 철수 '공식화' https://www.thebell.[...] 더벨 2024-11-19
[11] 뉴스 삼성전기, 저소득층 장애인 인공관절 무료시술 http://www.dt.co.kr/[...] 디지털 타임스 2013-11-20
[12] 뉴스 이춘택병원, 500번째 무료 인공관절 수술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6-10-20
[13] 뉴스 (이웃과 함께하는 나눔경영) 삼성전기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12-10-24
[14] 뉴스 삼성전기,장애우 오케스트라 창단·관절 무료시술 등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3-11-26
[15] 뉴스 삼성전기, 삼성 사회공헌 동참…‘쌤이랑’ 1기 출범 준비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9-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