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은 서오릉로에서 금강로까지 연결되는 서울특별시의 도로이다. 은평구, 종로구, 성북구, 노원구를 경유하며, 구기터널, 북악터널,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등과 교차한다. 주요 시설로는 국민대학교, 육군사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교통 - 통일로
통일로는 서울역에서 판문점까지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파주시도 제29호선 등을 포함하며,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다수의 부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창경궁로
창경궁로는 서울 중구에서 성북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간선도로로, 여러 구간 조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서울의 주요 도로들과 교차한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노선 종류 | 특별시도 |
노선 번호 | 20 |
총 연장 | 21.3km |
노선 개요 | |
기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구산동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
주요 경유지 | |
주요 교차 도로 | |
기타 정보 | |
도로명 (한국어) |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 |
로마자 표기 | Teukbyeolsido Je20-hoseon |
2. 주요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은 서울특별시 서북부 은평구 서오릉 인근 시경계에서 시작하여 동북부 노원구 담터사거리 시경계에서 끝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경기도 고양시의 서오릉로와 구리시의 금강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도로는 서오릉로, 진흥로, 평창문화로, 정릉로, 화랑로의 5개 도로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 은평구, 종로구, 성북구, 노원구를 차례로 통과한다. 주요 경유지로는 구산역, 역촌역, 구기터널, 북악터널, 국민대학교, 길음역, 월곡역, 석계역, 태릉입구역, 화랑대역, 육군사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태릉·강릉 등이 있다.
노선 중간에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하며, 내부순환로, 북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 등 서울의 주요 간선도로와 접속하여 서울 내부 및 외곽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높인다.
각 구간별 자세한 경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서오릉로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은 경기도 고양시와의 경계인 은평구 서오릉 입구에서 시작하며, 이 시작 구간이 서오릉로에 해당한다. 서오릉로는 시경계에서 시작하여 구산사거리, 구산역 교차로, 역촌사거리를 지나 역촌역 교차로에서 진흥로와 접속하며 끝난다. 이 구간은 전적으로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속한다.자세한 경유지 및 접속 도로는 아래 세부 구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1. 세부 구간
wikitext구간 | 명칭[1]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서오릉로 직결 | |||||
서오릉로 | 시경계 (서오릉입구)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
구산사거리 | 갈현로 | ||||
구산역 교차로 | 국도 제1호선 (연서로) | ||||
역촌사거리 | 역말로 | ||||
역촌역 교차로 | 서오릉로 진흥로 | rowspan=2 | | |||
진흥로 | |||||
대조,불광시장 교차로 | 불광로 | ||||
(구 질병관리본부) |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통일로) | ||||
구기터널 | rowspan=2 | | 연장: 610m | |||
종로구 | |||||
(구기터널앞) | 비봉길 | ||||
신영동삼거리 | 세검정로 | rowspan=2 | | |||
평창문화로 | |||||
북악터널 | rowspan=2 | | 연장: 810m | |||
정릉로 | 성북구 | ||||
국민대학교 | |||||
국민대입구IC |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내부순환로) | 내부순환로 하부 구간 | |||
(명칭 미상) | 솔샘로 | ||||
정릉IC |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내부순환로) | ||||
정릉입구 교차로 | 보국문로 | ||||
아리랑고개입구 교차로 | 아리랑로 | ||||
길음교 교차로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동소문로) | ||||
(길음역) |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삼양로·동소문로) | ||||
길음IC |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내부순환로) | ||||
종암사거리 |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종암로) | ||||
화랑로 | |||||
성북트리즘빌딩 | 오패산로 | 북부간선도로 하부 구간 일방통행 구간 | |||
월곡역 교차로 (월곡IC) | 월곡로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내부순환로) | ||||
하월곡IC | 북부간선도로 | 북부간선도로 하부 구간 | |||
상월곡역 교차로 | 장월로 | ||||
돌곶이역 교차로 | 돌곶이로 | ||||
장위사거리 | 한천로 | ||||
석계역 교차로(서부) | 석계로 한천로66길 | 고가차도 구간 | |||
석계역 교차로(동부) | 한천로45길 한천로48길 | ||||
월릉교 (월릉IC) | 서울특별시도 제61호선 (동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마들로 섬밭로 | 노원구 | |||
태릉입구역 교차로 | 국도 제3호선 (동일로) | ||||
(구 북부검찰청입구) | 공릉로 | ||||
화랑대역 교차로 | 신내로 | ||||
화랑대사거리 (묵동IC) | 북부간선도로 노원로 | ||||
(육군사관학교 입구) | 육군사관학교 | ||||
서울여자대학교 태릉·강릉 태릉선수촌 삼육대학교 | |||||
담터사거리 (시경계) | 불암로 담터길 | ||||
금강로 직결 |
'''IS''': 교차로, '''IC''': 나들목
2. 2. 진흥로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의 일부인 '''진흥로''' 구간은 은평구 역촌역 교차로에서 서오릉로로부터 분기하여 시작된다. 이 구간은 불광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인 통일로와 교차한 후, 길이 610m인 구기터널을 통과하여 종로구로 들어선다. 종로구에서는 세검정로, 평창문화로와 접속하고, 길이 810m인 북악터널을 지나 성북구의 정릉로 구간으로 이어진다.2. 2. 1. 세부 구간
진흥로(삼양로·동소문로)
일방통행 구간
(월곡IC)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내부순환로)
한천로66길
한천로48길
(월릉IC)
북부간선도로
마들로
섬밭로
(묵동IC)
노원로
태릉·강릉
태릉선수촌
삼육대학교
담터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