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양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양은 덕이 있는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행위를 의미하며, 중국의 삼황오제 신화에서 요, 순, 우 세 제왕이 아들이 아닌 다른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준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이 전설은 유교 사상에서 이상적인 왕위 계승의 모범으로 여겨졌으나, 실제 역사에서는 왕조 교체의 명분으로 악용되기도 했다. 왕망의 신나라 건국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선양은 찬탈을 미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선양의 절차는 왕조의 쇠퇴, 유력자의 등장, 황제의 선양 요청과 거절, 그리고 결국 왕위를 물려받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전 황제의 처우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주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의 군주 - 제후
제후는 고대 중국에서 왕에게 봉토를 받아 통치하는 세습적 수장으로, 동아시아와 유럽의 봉건 제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이묘, 귀족 등으로 불렸다. - 중국의 제도사 - 녹영군
녹영군은 청나라가 한족 군인 중심으로 창설한 군대로, 삼번의 난을 거치며 핵심 군사력으로 부상했으나 18세기 이후 쇠퇴하여 신군에게 자리를 내주고 해체되었으며 청나라 군사력 변화와 흥망성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 중국의 제도사 - 이갑제
이갑제는 명나라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및 세금 징수 제도로, 110호 단위로 백성을 편성하여 납세와 노역을 담당하게 했으며, 경제 변화로 인해 한계에 직면하여 일조편법으로 대체되었다.
선양 (역사) | |
---|---|
개요 | |
정치 체제 | 선양제 |
로마자 표기 | Seon-yang-je |
한자 표기 | 禪讓制 |
역사적 맥락 | |
기원 | 고대 중국 |
관련 인물 | 요 순 우 |
설명 | 고대 중국에서 천자가 자신의 지위를 다른 사람에게 물려주는 방식. 혈연에 의한 세습이 아닌, 능력과 덕망을 갖춘 인물에게 왕위를 넘겨주는 정치 형태. |
특징 | |
이상적인 정치 모델 | 유교에서 이상적인 정치 형태로 여겨짐. |
명분 | 천자의 자리는 사유물이 아니며, 백성을 다스릴 능력이 있는 자에게 주어져야 한다는 사상에 근거. |
실질 | 실제 역사에서는 이상적인 모습과는 달리 권력 투쟁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는 주장도 있음. |
역사적 해석 | |
진실성 논란 | 역사적 사실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 일부 학자들은 선양제가 이상적으로 미화된 정치적 신화라고 주장. |
권력 찬탈의 은폐 | 선양이라는 명목하에 실제로는 무력이나 계략을 통해 왕위를 찬탈하는 것을 정당화했다는 해석도 있음. |
유교적 이상 | |
공자의 평가 | 공자는 선양을 통해 왕위에 오른 요, 순 임금을 이상적인 지도자로 칭송. |
맹자의 평가 | 맹자는 백성을 위한 정치를 강조하며, 왕위 계승 역시 백성의 뜻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 |
현대적 의미 | |
리더십 | 현대 사회에서도 능력 있는 후계자에게 자리를 물려주는 리더십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음. |
민주주의와의 연관성 | 권력 세습을 막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지도자를 선출하는 민주주의 정신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는 해석도 있음. |
2. 전설 속의 선양
'''선양 전설'''[16]은 중국 삼황오제 신화에 나오는 이야기로, 요, 순, 우 세 임금이 아들이 아닌 덕이 있는 사람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는 전설이다. 요는 아들 단주가 덕이 부족하다고 여겨 순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순 역시 아들 상균이 왕위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우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이처럼 중국 전설에서는 혈연 관계가 아닌 덕망 있는 인물에게 제위를 물려주는 것을 이상적으로 여겼다.
2. 1. 진위 논란
서경에서 최초로 등장한 선양 제도는, 전국시대 맹자의 저서에서 처음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선양 전설의 진위 여부는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긍정적 견해: 선양 전설은 유가가 과거를 이상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났지만, 유학이 중국의 중심 사상이 되면서 크게 유행하여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사실로 받아들여졌으며 이상적인 왕조 교체의 전형으로 칭송되었다. 태고 시대에는 왕위가 별다른 이권이 없었기에 세습되지 않고, 유력자가 왕위를 계승했던 상황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6]
- 부정적 견해: 선양 전설은 전국시대 초기 묵자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라는 기원이라는 학자들의 연구도 존재한다.[17] 또한 한비자나 죽서기년과 같은 선대 고전에서는 이미 선양이 허구이며 순, 우가 각각 요, 순을 폐위, 감금시키고 제위에 올랐음을 폭로하고 있다. 실제 권력 교체에서는 무력, 유혈 사태, 권모술수가 적지 않게 동반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문헌이 쓰여진 당시의 권력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유가 사상의 근간인 '예(禮)'를 성립시키기 위해 이와 같은 이상화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3. 역사 속의 선양
유교에서 이상적인 통치 형태로 여겨졌던 선양은 실제 역사에서는 왕조 교체의 명분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왕망이 전한의 유자 영으로부터 선양을 받아 신을 건국한 것이 최초의 사례이다. 왕망은 전한의 권력을 전횡하면서 황제를 마음대로 교체하다가 어린아이를 황제로 세운 뒤에 다시 황위를 물려받아 신을 건국하였다. 이를 스스로 선양이라 일컬었는데, 이후 후한이 건국되면서 왕망은 찬탈자가 되었다.
그러나 왕망이 선례를 보인 이후 선양은 중국 역대 왕조들이 교체될 때 대의명분의 하나로 악용되었다. 삼국시대 조비가 후한 헌제 유협으로부터 선양받기도 했으며, 조비는 선양받은 이후 유협에게 산양공의 직위를 하사했다. 이러한 선양에 의한 왕조 교체가 가장 성행하였던 때가 위진남북조 시대이다.
3. 1. 중국
왕망이 전한의 유자 영으로부터 선양을 받아 신을 건국한 것이 최초의 사례이다.[1]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에 선양에 의한 왕조 교체가 가장 성행하였다.[2] 송의 유유가 선양받고 전 왕조 종친을 몰살한 이후, 선양과 함께 앞선 왕조 종친을 살해하는 관습이 정착되어 사실상 찬탈을 미화하는 대의명분으로 사용되었다.[2]이러한 악습은 먼 훗날 송태조에 이르러 없어지는데, 이유는 조광윤에게 제위를 넘겨주는 대신에 시씨 가문을 보호해달라는 후주 가신들과의 협상 때문이었다.[2] 역사상 선양이라고 불리는 것은 실제로는 찬탈에 가까운 것이며, 왕조의 정통성을 보장하는 연출로서 계속 행해졌다.[3] 선양 후에 전 황제나 일족이 살해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며, 오랫동안 전 황실을 보호했던 북송 등은 오히려 예외에 속한다.[3]
선양한 왕조 | 선양받은 왕조 |
---|---|
전한 | 신 |
후한 | 위 |
위 | 서진 |
동진 | 환현 |
동진 | 송 무제 |
송 | 제 고제 |
제 | 양 무제 |
소동 | 후경 |
양 | 진 무제 |
동위 | 북제 문선제 |
서위 | 북주 효민제 |
북주 | 수 문제 |
수 | 당 고조 |
양동 | 왕세충 |
양호 | 우문화급 |
장낙진 | 세노라 |
당 예종 | 측천무후 |
측천무후 | 당 중종 |
당 애종 | 주전충 |
양부 | 이변 |
후한 은제 | 후주 태조 |
후주 | 북송 태조 |
단정명 | 고승태 |
장방창 | 남송 고종 |
야율직로고 | 쿠츨루크 |
형식상 청의 선통제에서 중화민국으로의 선양도 이루어졌다. (청실 우대 조건)[3]
3. 2. 한국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는 선양의 형식을 띠었으나, 실제로는 찬탈에 가까웠다. 이러한 선양은 왕조의 정통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출로 활용되었으며, 선양 이후 이전 왕조의 황제나 일족이 살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북송과 같이 이전 황실을 오랫동안 보호한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1]3. 3. 베트남
정조에서 전 레 왕조로, 전 레 왕조에서 이 왕조로, 이 왕조에서 쩐 왕조로, 쩐 왕조에서 호 왕조로 선양이 이루어졌다.[1]후 레 왕조에서 막 왕조로 선양이 이루어졌다.[1]
형식상으로는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에게서 베트남 민주 공화국으로 선양도 이루어졌다. (베트남 8월 혁명)[1]
3. 4. 선양의 절차 (중국)
위나라 조조(무제)・조비(문제) 부자의 사례가 선례가 되었기에 "위무보한(魏武輔漢)의 고사"라고 칭한다.[7]순서 | 내용 |
---|---|
1 | 왕조의 쇠퇴[8] |
2 | 왕조 내부의 새로운 유력자의 등장[9] |
3 | 어린 황제 등 실권이 없는 황제가 즉위한다 (유력자가 선양을 시키기 위해 즉위시키는 경우가 많다)[10] |
4 | 유력자가 공위를 받는다[11] |
5 | 유력자가 왕위를 받는다[12] |
6 | 유력자가 구석을 받는다. 공위, 왕위와 동시에 혹은 전후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
7 | 각 방면에서 길조가 보고되는 등, 왕조 교체에 대한 분위기가 조성된다. |
8 | 현 황제가 유력자에게 황제가 되도록 요청하지만, 유력자는 이를 굳게 거절한다. (굳게 거절함으로써 자신의 덕의 깊이를 과시하는 연출이다.) |
9 | 유력자가 마지못해 현 황제로부터 황제의 자리를 물려받는다. (주변의 간청을 받아들여 어쩔 수 없이, 라는 형식을 연출하여 자신의 덕을 드러낸다.) |
10 | 유력자(새 황제)는 왕조명을 자신의 봉국의 것으로 변경하고, 새로운 왕조가 되었음을 선포한다[13] |
11 | 전 황제는 새 황제에 의해 영지를 하사받고, 왕후가 된다[14] |
후한 헌제나 위에서 서진으로의 왕조 교체에서 전 황제인 조환은 천수를 누렸으나, 남북조 시대 이후에는 살해되거나 자살을 강요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북송 조광윤은 후주 시종훈을 살해하지 않고, 그 일족인 시씨의 보호를 엄수하게 했다.
참조
[1]
학위논문
Yielding to the Worthy: The Chinese Abdication Myth as Discourse on Hereditary vs. Merit-based Leadership
https://etd.ohiolink[...]
Youngstown State University
2015-08
[2]
서적
"Canon of Shun"
Classic of History
[3]
논문
A Study of the Pottery Inscription 'Wen Yi 文邑'
http://www.kaogu.cn/[...]
2009
[4]
웹사이트
Ancient Chinese thoughts on abdication, hereditary succession relevant today
https://asiatimes.co[...]
2022-08-09
[5]
웹사이트
历史真相:禅让制在上古时期真的存在吗?禅让制到底何"让"之有
https://www.163.com/[...]
2023-01-19
[6]
문서
中国史以外に類例を見るなら、[[王政ローマ]]は世襲ではなく有力者が選挙によって選ばれた。ただしこちらも、共和制期においての理想化に過ぎないという説もある。
[7]
문서
後漢が黄巾の乱によって衰退する、魏が明帝死後に実権のない幼帝斉王芳が擁立される、東晋が司馬道子、司馬元顕の専横、孫恩の乱や桓玄の簒奪で衰退、唐が黄巣の乱で衰退するなど
[8]
문서
後漢内部での曹操の登場、魏での司馬師、司馬昭、東晋内部での劉裕、唐での朱全忠、など
[9]
문서
後漢内部での献帝、魏の元帝、東晋の安帝および恭帝、唐の哀帝など
[10]
문서
213年曹操が魏公となる、258年司馬昭が晋公となる、418年劉裕、宋公となる、など
[11]
문서
216年曹操が魏王となる、264年司馬昭が晋王となる、419年劉裕、宋王となる、など
[12]
문서
213年曹操が魏公となり、九錫を与えられる、258年司馬昭が晋公となり、九錫を与えられる、418年劉裕、宋公となるともに九錫を与えられる、など
[13]
문서
220年曹操の子魏王曹丕、魏を建てる、420年劉裕、宋を建てる、など
[14]
문서
220年後漢の献帝が山陽公となる、265年魏の元帝が陳留王となる、479年宋の順帝が汝陰王となる、など
[15]
문서
直接禅譲に繋がらない殺害は、これ以前からあった。自らに対して兵を挙げた、魏の[[曹髦]]を殺した[[司馬昭]](直接の下手人は[[成済]])など
[16]
웹인용
堯舜禪讓
https://web.archive.[...]
2017-02-03
[17]
문서
고힐강, 《고사변》, 1927 / 빈미정, 〈황제신화전설에 대한 문헌적 고찰〉, 《중국문학》제44집,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