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녀 루치아 축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녀 루치아 축일은 기독교 순교자 성녀 루치아의 사망일인 12월 13일에 기념되는 축일이다. 이 축일은 4세기에 시작되어 6세기에는 교회 보편 축일이 되었으며, 스칸디나비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기념된다. 스웨덴에서는 20세기 초에 시작된 현대적인 루치아 축제가 인기를 얻었으며, 촛불을 든 소녀가 행렬을 이끄는 전통이 있다. 이탈리아 시라쿠사의 수호성인이며, 북유럽과 이탈리아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독특한 관습과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월 13일 - 1996년 영월 지진
1996년 영월 지진은 강원도 영월 지역에서 발생하여 인근 지역에 건물 균열, 담장 붕괴, 도로 유실 등의 피해를 입혔으며, 강원도,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등 전국 각지에서 진동이 감지되었다. - 덴마크의 문화 - 휘게
휘게는 덴마크어에서 유래된 문화적 개념으로, 일상 속 편안함과 행복을 추구하며, 웰빙을 증진하는 아늑하고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삶의 방식이다. - 덴마크의 문화 - 얀테의 법칙
얀테의 법칙은 덴마크 소설에 등장하는 10가지 규칙으로, 개인의 특별함을 경계하고 겸손과 평범함을 강조하며 북유럽 사회의 평등주의적 가치를 반영한다. - 스웨덴의 문화 - 얀테의 법칙
얀테의 법칙은 덴마크 소설에 등장하는 10가지 규칙으로, 개인의 특별함을 경계하고 겸손과 평범함을 강조하며 북유럽 사회의 평등주의적 가치를 반영한다. - 스웨덴의 문화 - 가재축제
스페인 에레라 데 피수에르가에서 40년 이상 개최된 가재 축제는 지역 사회 유대 강화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가재 요리, 지역 특산물, 문화 공연, 가재 잡기 체험 등을 제공하고 2011년부터 스웨덴 저녁 식사 행사를 통해 국제적인 문화 교류를 증진한다.
성녀 루치아 축일 | |
---|---|
개요 | |
![]() | |
종류 | 기독교 |
기념일 | 매년 12월 13일 |
기념하는 사람들 | 로마 가톨릭교도 루터교도 성공회 교인 기타 |
기간 | 1일 |
유래 및 의미 | |
어원 | 루치아 (빛) |
의미 | 대림절 중간에 위치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빛을 향한 희망을 인도함 |
기원 | 시라쿠사의 젊은 여성 순교자 성녀 루치아 |
배경 |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 시대 |
전통 | |
의상 | 흰옷과 붉은색 허리띠 |
머리 장식 | 상록수와 12개의 촛불로 장식된 화관 |
역할 | 집안의 맏딸이 성녀 루치아로 분장하여 커피와 특별한 루치아 빵을 가족에게 제공 |
루치아 빵 | 샤프란과 향신료로 맛을 낸 빵 (루세카트) |
밀 심기 | 헝가리, 크로아티아 등 유럽 국가에서 성녀 루치아 축일에 밀을 심는 전통 |
상징 | 새로 태어난 생명과 그리스도의 빛을 상징 |
지역별 특징 | |
스칸디나비아 국가 | 젊은 여성들이 성녀 루치아로 분장하여 축하 |
핀란드 | 헬싱키에서 루터교 대성당에서 루치아 대관식이 열리고 시내 중심으로 행진 |
스웨덴 | 주요 교회에서 콘서트 개최, 과거에는 여성 합창단, 현재는 남성 가수도 참여 |
기타 | |
연관 | 동지 |
베르타 | 게르만 이교 여신 베르타 |
2. 역사
시라쿠사의 비문은 성녀 루치아 축일을 지역 축일로 언급하며 기원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흠 없는 에우스키아는 약 25년 동안 선하고 순수한 삶을 살았고, 나의 성 루치아 축일에 사망했다. 그녀에 대한 적절한 찬사를 찾을 수 없으니, 그녀는 기독교인이었고, 충실하며, 완벽 그 자체였고, 감사와 은혜로 가득했다".[9] 성녀 루치아 축일은 6세기에 교회의 보편적인 축일이 되었으며, 기독교 순교자의 서기 304년 12월 13일 사망을 기념한다.[10][11][12] 성녀 루치아 축일은 성사집에 나타나며, 그레고리오 1세와 베다의 성사집에도 나타나며, 이탈리아와 잉글랜드에도 성 루치아에게 헌정된 교회가 있었다.[10][11]
기독교 선교사들이 스칸디나비아에 도착하여 전도하면서 성녀 루치아 기념일이 함께 전파되었다.[2] 성녀 루치아는 루터교 신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북유럽 사람들 (덴마크인, 스웨덴인, 핀란드인, 노르웨이인)과 미국, 캐나다 및 이탈리아에서도 여전히 기념되는 몇 안 되는 성인 중 하나이다. 성녀 루치아 축일과 관련된 일부 관습은 해당 지역에서 기독교가 채택되기 이전부터 존재했을 수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민속 및 종교의 상당 부분이 그렇듯, 빛과 어둠 사이의 연례 투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
스칸디나비아에서는 (18세기 중반까지) 이 날짜가 1년 중 가장 긴 밤이었으며, 당시 사용되던 율리우스력으로 인해 동지와 일치했다.[13] 이는 영국의 시인 존 돈의 시 "성 루치아의 날 밤의 시, 가장 짧은 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의 그레고리력에서는 해당되지 않지만, 14세기에는 율리우스력에서 8일의 오차가 발생하여 동지가 12월 13일에 해당했을 것이다. 16세기에 그레고리력을 처음 도입했을 때는 10일의 오차가 있었고, 스칸디나비아가 새로운 달력을 채택한 18세기에는 11일로 증가하여 동지는 12월 21일에 해당했다. 하지만 12월 13일을 성 루치아 축일로 선택한 것은 14세기 율리우스력의 8일 오차보다 더 오래된 일이다. 이 날짜는 트리덴틴 이전 수도원력에서 증명되었으며, 아마도 6세기와 7세기에 그녀의 삶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언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 전역에서 사용된 날짜이다.
로마 제국에서는 12월 25일 (율리우스력)이 태양이 태어난 날, 즉 Sol Invictus의 생일로 기념되었으며, 이는 354년의 연대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구세주의 탄생일로 여겼는데, 세상이 춘분 (당시에는 3월 25일로 여겨짐)에 창조되었고, 그리스도가 그 날짜에 잉태되어 9개월 후 동지에 태어났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14]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루치아는 약 283년에 부유하고 고귀한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로마 출신이었지만, 그녀가 다섯 살 때 사망하여[4] 루치아와 그녀의 어머니는 보호자를 잃었다. 그녀의 삶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출처는 성인전 외에는 없지만, "빛"(''Lux, lucis'')을 의미하는 이름 ''루치아''(Lucia)를 가진 성녀 루치아는 서기 310년경 시칠리아 시라쿠사에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시칠리아 성인으로 알려져 있다.[16]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처녀 서약을 한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를 이교도와 약혼시켰다. 그녀는 성녀 아가타의 성지에서 어머니의 오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도움을 구하던 중, 성녀 아가타가 그녀에게 꿈에 나타났다. 성녀 아가타는 루치아에게 믿음을 통해 병이 치유될 것이라고 말했고, 루치아는 어머니를 설득하여 결혼을 취소하고 지참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부하게 했다. 격분한 그녀의 구혼자는 그녀가 기독교인이라고 총독에게 고발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사창가로 끌려갈 것이라는 위협을 받았지만, 천 명의 남자와 50마리의 황소로도 그녀를 움직일 수 없었다. 대신, 그들은 그녀 주변에 불을 지를 재료를 쌓고 불을 질렀지만, 그녀는 계속해서 자신의 죽음이 다른 기독교인들의 두려움을 덜어주고, 믿지 않는 자들에게 슬픔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군인 중 한 명이 그녀의 목에 창을 찔러 그녀의 비난을 막으려 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또 다른 사람은 그녀를 순종시키기 위해 그녀의 눈을 도려냈지만, 그녀의 눈은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 성녀 루치아는 기독교의 종부성사를 받은 후에야 죽을 수 있었다.[17]
한 이야기에 따르면, 성녀 루치아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치하의 공포 속에서 카타콤에 숨어 있는 기독교인들을 돕기 위해 일했는데, 가능한 한 많은 물품을 가지고 가기 위해 그녀는 양손이 자유로워야 했다. 그녀는 머리에 촛불을 화환으로 고정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18] 성녀 루치아는 종종 야자 가지와 함께 순교의 상징으로 미술에 묘사된다.[19]
2. 1. 초기 기원과 중세 시대
시라쿠사의 비문은 성녀 루치아 축일을 지역 축일로 언급하며 기원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흠 없는 에우스키아는 약 25년 동안 선하고 순수한 삶을 살았고, 나의 성 루치아 축일에 사망했다. 그녀에 대한 적절한 찬사를 찾을 수 없으니, 그녀는 기독교인이었고, 충실하며, 완벽 그 자체였고, 감사와 은혜로 가득했다".[9] 성녀 루치아 축일은 6세기에 교회의 보편적인 축일이 되었으며, 기독교 순교자의 서기 304년 12월 13일 사망을 기념한다.[10][11][12] 성녀 루치아 축일은 성사집에 나타나며, 그레고리오 1세와 베다의 성사집에도 나타나며, 이탈리아와 잉글랜드에도 성 루치아에게 헌정된 교회가 있었다.[10][11]기독교 선교사들이 스칸디나비아에 도착하여 전도하면서 성녀 루치아 기념일이 함께 전파되었다.[2] 성녀 루치아는 루터교 신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북유럽 사람들 (덴마크인, 스웨덴인, 핀란드인, 노르웨이인)과 미국, 캐나다 및 이탈리아에서도 여전히 기념되는 몇 안 되는 성인 중 하나이다. 성녀 루치아 축일과 관련된 일부 관습은 해당 지역에서 기독교가 채택되기 이전부터 존재했을 수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민속 및 종교의 상당 부분이 그렇듯, 빛과 어둠 사이의 연례 투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
스칸디나비아에서는 (18세기 중반까지) 이 날짜가 1년 중 가장 긴 밤이었으며, 당시 사용되던 율리우스력으로 인해 동지와 일치했다.[13] 이는 영국의 시인 존 돈의 시 "성 루치아의 날 밤의 시, 가장 짧은 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의 그레고리력에서는 해당되지 않지만, 14세기에는 율리우스력에서 8일의 오차가 발생하여 동지가 12월 13일에 해당했을 것이다. 16세기에 그레고리력을 처음 도입했을 때는 10일의 오차가 있었고, 스칸디나비아가 새로운 달력을 채택한 18세기에는 11일로 증가하여 동지는 12월 21일에 해당했다. 하지만 12월 13일을 성 루치아 축일로 선택한 것은 14세기 율리우스력의 8일 오차보다 더 오래된 일이다. 이 날짜는 트리덴틴 이전 수도원력에서 증명되었으며, 아마도 6세기와 7세기에 그녀의 삶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언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 전역에서 사용된 날짜이다.
로마 제국에서는 12월 25일 (율리우스력)이 태양이 태어난 날, 즉 Sol Invictus의 생일로 기념되었으며, 이는 354년의 연대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구세주의 탄생일로 여겼는데, 세상이 춘분 (당시에는 3월 25일로 여겨짐)에 창조되었고, 그리스도가 그 날짜에 잉태되어 9개월 후 동지에 태어났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14]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루치아는 약 283년에 부유하고 고귀한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로마 출신이었지만, 그녀가 다섯 살 때 사망하여[4] 루치아와 그녀의 어머니는 보호자를 잃었다. 그녀의 삶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출처는 성인전 외에는 없지만, "빛"(''Lux, lucis'')을 의미하는 이름 ''루치아''(Lucia)를 가진 성녀 루치아는 서기 310년경 시칠리아 시라쿠사에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시칠리아 성인으로 알려져 있다.[16]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처녀 서약을 한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를 이교도와 약혼시켰다. 그녀는 성녀 아가타의 성지에서 어머니의 오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도움을 구하던 중, 성녀 아가타가 그녀에게 꿈에 나타났다. 성녀 아가타는 루치아에게 믿음을 통해 병이 치유될 것이라고 말했고, 루치아는 어머니를 설득하여 결혼을 취소하고 지참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부하게 했다. 격분한 그녀의 구혼자는 그녀가 기독교인이라고 총독에게 고발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사창가로 끌려갈 것이라는 위협을 받았지만, 천 명의 남자와 50마리의 황소로도 그녀를 움직일 수 없었다. 대신, 그들은 그녀 주변에 불을 지를 재료를 쌓고 불을 질렀지만, 그녀는 계속해서 자신의 죽음이 다른 기독교인들의 두려움을 덜어주고, 믿지 않는 자들에게 슬픔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군인 중 한 명이 그녀의 목에 창을 찔러 그녀의 비난을 막으려 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또 다른 사람은 그녀를 순종시키기 위해 그녀의 눈을 도려냈지만, 그녀의 눈은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 성녀 루치아는 기독교의 종부성사를 받은 후에야 죽을 수 있었다.[17]
한 이야기에 따르면, 성녀 루치아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치하의 공포 속에서 카타콤에 숨어 있는 기독교인들을 돕기 위해 일했는데, 가능한 한 많은 물품을 가지고 가기 위해 그녀는 양손이 자유로워야 했다. 그녀는 머리에 촛불을 화환으로 고정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18] 성녀 루치아는 종종 야자 가지와 함께 순교의 상징으로 미술에 묘사된다.[19]
2. 2. 스칸디나비아 전래와 토착화
''루시나타''(Lussinatta), 즉 루시의 밤은 스웨덴에서 12월 13일에 기념되었다. 그 당시 루시(Lussi)는 여성 악마나 마녀와 같은 악한 특성을 가진 존재로, 그녀의 추종자들인 ''루시페르다''와 함께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전해졌다. 이는 북부, 서부, 중부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는 스칸디나비아의 야생 사냥 신화인 ''오스코레아''의 잔영일 수 있다.[20]루시의 밤과 율 사이에는 트롤과 악령, 어떤 이야기에서는 죽은 자의 영혼들도 밖에 활동한다고 여겨졌다. 루시의 밤에 밖에 나가는 것은 특히 위험하다고 믿어졌다. 전통에 따르면, 장난을 친 아이들은 루시가 굴뚝을 통해 내려와 그들을 데려갈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했고, 율을 준비하는 특정 작업들을 끝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루시가 와서 집안을 벌할 것이라고 여겨졌다. ''루스바카''의 전통 – 악으로부터 자신과 집안을 보호하기 위해 루시나트를 통해 깨어있는 것은 해가 뜰 때까지 파티를 여는 현대적인 형태로 나타났다.[21]
이름(Lussi와 Lucia)의 유사성과 12월 13일이라는 축제 날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전통이 스칸디나비아의 현대적인 축제에서 함께 융합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전설 자체가 북유럽 민속에서 유래되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2. 3. 근대 이후의 변화
3. 주요 국가별 전통
현대적인 형태의 루치아 축제는 20세기에 시작되어 1927년 스톡홀름의 한 신문이 루치아를 선발하는 대회를 후원한 이후 인기를 얻었다.[28] 12월 13일, 루치아는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에서 숭배받는데, 흰색 드레스에 빨간색 허리띠를 두르고 촛불 왕관을 쓴 소녀가 촛불을 든 여성들의 행렬 선두에서 걷는 의식을 거행한다. 촛불은 성 루치아가 화형 선고를 받았을 때 그녀의 생명을 앗아가지 못한 불을 상징한다. 여성들은 전통적인 나폴리 노래인 ''산타 루치아''의 멜로디에 맞춰 루치아 노래를 부르는데, 나폴리 가사는 나폴리의 산타 루치아에서 보이는 풍경을 묘사하고, 스칸디나비아 가사는 루치아가 어둠을 이기는 빛을 묘사한다. 각 스칸디나비아 국가는 자국어로 가사를 가지고 있다. 이 노래를 부른 후, 행렬은 캐럴이나 루치아에 관한 더 많은 노래를 부른다.
==== 스웨덴 ====
스웨덴에서 현대적인 형태의 루치아 축제는 20세기에 시작되었으며, 1927년 스톡홀름의 한 신문이 루치아를 선발하는 대회를 후원하면서 대중화되었다.[28] 12월 13일, 흰색 드레스에 빨간색 허리띠를 두르고 촛불 왕관을 쓴 소녀가 촛불을 든 여성들의 행렬을 이끄는 의식이 거행된다. 촛불은 성 루치아가 화형을 당했을 때 그녀를 해치지 못한 불을 상징한다. 행렬은 전통적인 나폴리 노래인 ''산타 루치아''의 멜로디에 맞춰 루치아 노래를 부르며, 스웨덴어 가사는 ''Natten går tunga fjät'' (''밤은 무겁게 걸어가네'')[29] 또는 ''Sankta Lucia, ljusklara hägring'' (''성 루치아, 밝은 신기루'')이다. 이 노래를 부른 후, 행렬은 캐럴이나 루치아에 관한 다른 노래들을 부른다.
스웨덴에서 루치아 축하 행사의 "재탄생"은 독일 개신교 가정에서 소녀들이 천사 같은 그리스도 아이로 분장하여 크리스마스 선물을 나눠주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강림절과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 흰 옷을 입은 천사들과 별 소년들의 오래된 스웨덴 전통에서 진화했다는 설이 있다. 18세기 말 베네른 주변 지역에서 시작되어 19세기 동안 천천히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사프란으로 만든 빵인 ''루세카트''(성 루치아 빵)는 11월 초부터 사용되며 매우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전통이다.
성 루치아 축일은 스웨덴의 공식적인 공휴일은 아니지만, 학교에서 루치아를 묘사할 소녀를 선택하는 관습이 널리 퍼져 있으며, 지역 우승자들 사이에서 전국적인 대회가 열린다. 지역 루치아들은 쇼핑몰, 양로원, 교회 등을 방문하여 노래를 부르고 생강 쿠키 (''페퍼카커'')를 나누어준다. 소년들도 행렬에 참여하는데, 흰색 가운을 입고 금색 별로 장식된 원뿔형 모자를 쓴 ''stjärngossar''(별 소년), 랜턴을 든 "톰테니사르"(산타의 요정), 생강빵 사람 등으로 분장한다. 그들은 성 스테판의 노래와 같은 자신만의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2008년 이후, 남성이 루치아로 등장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30][31] 2016년에는 유색 인종의 어린이가 성 루치아를 묘사하는 것에 대한 갈등도 있었다.[33][34]
==== 노르웨이와 덴마크 ====
현대적인 형태의 루치아 축제는 20세기에 시작되었으며, 1927년 스톡홀름의 한 신문이 루치아를 선발하는 대회를 후원한 이후 인기를 얻었다.[28] 12월 13일, 루치아는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에서 숭배받는데, 흰색 드레스에 빨간색 허리띠를 두르고 촛불 왕관을 쓴 소녀가 촛불을 든 여성들의 행렬 선두에서 걷는 의식을 거행한다.[28] 여성들은 전통적인 나폴리 노래인 ''산타 루치아''의 멜로디에 맞춰 루치아 노래를 부르는데, 각 스칸디나비아 국가는 자국어로 가사를 가지고 있다.[28]
덴마크에서 성 루치아 축일(Luciadag)은 1944년 12월 13일에 처음 기념되었다.[28] 이 전통은 "어둠의 시대에 빛을 가져오기" 위한 시도로, 스웨덴에서 포레닝엔 노르덴(Föreningen Norden)의 비서인 프란츠 벤드(Franz Wend)의 주도로 직접 수입되었다.[28]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에 대한 소극적인 항의의 의미로 해석되었지만, 그 이후로 계속 이어져 온 전통이 되었다.[28] 덴마크에서 이 전통은 교회 기념 행사가 항상 기독교에 강하게 집중되어 있고, 크리스마스와 함께 대부분의 교회에서 매년 열리는 지역 행사라는 점에서 스웨덴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28] 학교와 유치원에서도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둔 마지막 날 중 하나에 아이들을 위한 특별한 날로 이 행사를 기념하지만, 사회의 다른 곳에서는 큰 영향력이 없다.[28] 전통적인 덴마크 버전의 나폴리 노래는 본질적으로 기독교적이지 않으며, 유일한 기독교 개념은 "Sankta Lucia"이다.[28] 교회에서 사용되는 기독교 버전은 사제 홀거 리스너(Holger Lissner)가 1982년에 작곡한 ''Sankta Lucia''이다.[28]
역사적으로 노르웨이 사람들은 "Lussinatten"을 1년 중 가장 긴 밤으로 여겼고, 어떤 일도 해서는 안 되었다.[39] 그 밤부터 크리스마스까지 정령, 노움, 트롤이 땅을 돌아다녔다.[39] 무서운 요술쟁이 루시는 감히 일하는 사람을 벌했다.[39] 또한 전설에 따르면 농장 동물들은 Lussinatten에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일 년 중 가장 긴 밤에 추가 먹이를 받았다고 한다.[39] 12월 13일 밤인 "Lussinatt"는 20세기 초 노르웨이에서는 거의 잊혀졌지만, 여전히 불길한 밤으로 기억되었으며, 특히 중부, 중동부 내륙 지역에서 기념되었다.[39]
노르웨이에서 현대적인 루시아 축하 행사가 더 큰 규모로 채택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였다.[39] 스웨덴의 전통과 마찬가지로, 덴마크와 달리 루시아는 노르웨이에서 대체로 세속적인 행사이며, 유치원과 학교(종종 중등 수준까지)에서 기념된다.[39]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노르웨이 교회의 대림절 전례에도 포함되었다.[39] 소년들은 종종 행렬에 참여하여 높은 모자와 별 지팡이를 든 동방 박사로 등장한다.[39] 때때로 성 스테판의 찬가가 소년들을 위해 불린다.[39] 전통적인 이날 기념 행사를 위해, 학생들은 촛불을 들고 학교 건물 복도를 행렬하며 "루세캇" 번을 나누어 준다.[39] 전통적인 노르웨이 버전의 나폴리 노래는 덴마크처럼 특히 기독교적인 성격을 띠지 않으며, 유일한 기독교적 개념은 "Sankta Lucia"이다.[39]
==== 핀란드 ====
핀란드의 성 루치아 축일은 역사적으로 스웨덴 문화 및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핀란드인과 관련이 깊다.[35] 동지 일주일 전, "루시아의 날"을 기념하며, 성 루치아는 일년 중 가장 어두운 시기에 "밝음의 등불"로 기념된다.[35] 핀란드에서 성 루치아 축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898년에 나타나며, 1930년에 스웨덴에서 축제가 대중화된 후 핀란드에서도 대규모 축제가 시작되었다.[36] 1949년부터 핀란드의 성 루치아는 헬싱키 대성당에서 왕관을 수여받는다.[36] 핀란드에서 스웨덴 인구가 있는 거의 모든 곳에서 지역 성 루치아가 선출되며, 최근에는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인구도 이 축제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36]
2024년, 핀란드계 가나인 여성인 다니엘라 오우수가 핀란드 최초의 흑인 루치아로 선발되면서 소셜 미디어 상에서 인종차별적 비난과 수만 건의 혐오 메시지가 쏟아지는 사건이 발생했다.[37]
==== 이탈리아 ====
성녀 루치아는 시라쿠사(시칠리아)의 수호성인이다.[23] 12월 13일에는 성녀 루치아의 유해가 담긴 은제 조각상이 시라쿠사 대성당에서 산타 루치아 푸오리 레 무라 바실리카까지 행진한 후, 12월 20일에 다시 돌아온다.[23] 시칠리아인들은 성녀 축일에 곡물을 가득 실은 배가 항구에 도착하면서 기근이 끝났다는 전설을 기억한다. 이곳에서는 12월 13일에 빵 대신 통곡물을 먹는 것이 전통이다. 이는 보통 리코타 치즈와 꿀을 섞거나 때로는 콩과 함께 맛있는 수프로 제공되는 삶은 밀알 요리인 ''쿠치아(cuccìa)''의 형태로 나타난다.[22] [24]
성녀 루치아는 이탈리아 북동부, 즉 트렌티노, 동롬바르디아(베르가모, 브레시아, 크레모나, 로디, 만토바), 베네토 일부(베로나), 에밀리아-로마냐 일부(피아첸차, 파르마, 레조 에밀리아, 볼로냐), 프리울리 전역의 어린이들에게도 인기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성녀는 12월 12일과 13일 밤 사이에 착한 아이들에게는 선물을, 못된 아이들에게는 석탄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전통에 따르면 성녀는 당나귀와 그녀를 호위하는 카스탈도와 함께 온다. 아이들은 루치아를 위해 커피, 당나귀를 위해 당근, 카스탈도를 위해 와인 한 잔을 놓아두어야 한다. 그들은 성녀 루치아가 선물을 전달하는 것을 보아서는 안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성녀가 재를 눈에 던져 일시적으로 눈을 멀게 할 것이다.[18]
==== 기타 국가 ====
크로아티아, 헝가리 및 주변 국가에서 성녀 루치아 축일에는 밀 씨앗을 심는 전통이 있다. 오늘날 이것은 예수의 탄생을 상징하는 기독교 상징으로 사용되며, 때로는 루치아 성녀가 가져다주는 그리스도의 빛을 상징하는 촛불을 새싹 중앙에 놓기도 한다. 밀 씨앗은 둥근 접시나 흙 접시에 심고 물을 준다. 심은 곳을 촉촉하게 유지하면 씨앗이 발아하여 크리스마스 즈음에 이상적으로는 새싹이 몇 인치 정도 자란다.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새로운 생명을 떠올리게 하는 새싹은 리본으로 묶어 크리스마스 트리 근처나 아래에 놓을 수 있다.[25] 이 시기, 즉 성 바르바라 축일(12월 4일)에 밀을 심는 진짜 이유는 새싹의 밀도, 색상, 풍성함으로 다가올 수확량을 예측하고 좋은 수확을 얻을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26][27] 헝가리에서는 루카 세케(루시아 의자) 전통이 있는데, 성녀 루치아 축일에 의자나 걸상을 만들기 시작하여 매일 한 조각씩 만들어서 크리스마스 이브까지 완성해야 한다. 그날 밤, 완성된 의자나 걸상 위에 서면 마녀가 누구인지 볼 수 있다고 한다.
산타 루치아는 몰타의 므타르파와 고조의 산타 루치아의 수호성인이다.[22] 12월 13일 몰타는 공화국의 날도 기념한다. 세인트루시아는 수호성녀인 성 루치아의 이름을 딴 카리브해의 작은 섬나라로, 12월 13일은 국경일로 기념된다. 빛과 갱신의 국가 축제는 빛의 성녀인 시라쿠사의 성 루치아를 기리기 위해 휴일 전날 밤에 열린다. 이 축제에서는 수도인 캐스트리스에 장식 조명(대부분 크리스마스 테마)이 켜지고, 장인들이 경쟁을 위해 장식된 등불을 선보이며, 공식 행사는 불꽃놀이로 마무리된다.[41]
몰레루사 시는 1963년부터 이 날을 전후하여 종이 의상 대회를 개최한다. 성녀 루치아는 재봉사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며, 재봉사들은 종이로 정교한 드레스를 만들어 그들의 재능을 보여주었다.[42]
성 루치아 축일 축하는 스칸디나비아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으며, 파티, 가정, 교회, 그리고 전국 각지의 단체들을 포함한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환경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사람들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의 유대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43]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ELCA)에서 성 루치아는 12월 13일에 기념일로 취급되며, 이때 붉은 제의를 착용한다. 보통, 12월 13일에 가장 가까운 강림절의 일요일이 성 루치아를 위해 따로 지정되며, 전통적인 스칸디나비아 행렬이 거행된다.
캔자스주 린즈보그에서 열리는 공개 성 루치아 축하는 마을의 스웨덴 유산을 보여주는 방식이며, 지역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또한, 방문객들을 마을로 불러 모으면서 재정적인 이점을 가져다준다.[43] 1979년부터 텍사스주 허토는 루터교회에서 마을을 위한 성 루치아 축제를 개최해 왔다. 매년 교구에서 루치아를 한 명 뽑는다. 그 후 행렬은 교회를 돌며, 전통적인 성 루치아 노래를 부르고, 전통적인 사프란 빵과 생강 쿠키를 제공한다.[44] 구스타브 아돌푸스 칼리지는 스웨덴 이민자들이 설립한 학교로서, 1941년부터 매년 성 루치아 축제를 기념해 왔다.
베네수엘라 메리다 주의 무쿠치에스 마을은 수호성인으로 성녀 루치아와 성 무어인의 베네딕토를 선택했다. 수호성인 축제는 12월에 열린다.[46]
3. 1. 스웨덴
스웨덴에서 현대적인 형태의 루치아 축제는 20세기에 시작되었으며, 1927년 스톡홀름의 한 신문이 루치아를 선발하는 대회를 후원하면서 대중화되었다.[28] 12월 13일, 흰색 드레스에 빨간색 허리띠를 두르고 촛불 왕관을 쓴 소녀가 촛불을 든 여성들의 행렬을 이끄는 의식이 거행된다. 촛불은 성 루치아가 화형을 당했을 때 그녀를 해치지 못한 불을 상징한다. 행렬은 전통적인 나폴리 노래인 ''산타 루치아''의 멜로디에 맞춰 루치아 노래를 부르며, 스웨덴어 가사는 ''Natten går tunga fjät'' (''밤은 무겁게 걸어가네'')[29] 또는 ''Sankta Lucia, ljusklara hägring'' (''성 루치아, 밝은 신기루'')이다. 이 노래를 부른 후, 행렬은 캐럴이나 루치아에 관한 다른 노래들을 부른다.스웨덴에서 루치아 축하 행사의 "재탄생"은 독일 개신교 가정에서 소녀들이 천사 같은 그리스도 아이로 분장하여 크리스마스 선물을 나눠주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강림절과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 흰 옷을 입은 천사들과 별 소년들의 오래된 스웨덴 전통에서 진화했다는 설이 있다. 18세기 말 베네른 주변 지역에서 시작되어 19세기 동안 천천히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사프란으로 만든 빵인 ''루세카트''(성 루치아 빵)는 11월 초부터 사용되며 매우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전통이다.
성 루치아 축일은 스웨덴의 공식적인 공휴일은 아니지만, 학교에서 루치아를 묘사할 소녀를 선택하는 관습이 널리 퍼져 있으며, 지역 우승자들 사이에서 전국적인 대회가 열린다. 지역 루치아들은 쇼핑몰, 양로원, 교회 등을 방문하여 노래를 부르고 생강 쿠키 (''페퍼카커'')를 나누어준다. 소년들도 행렬에 참여하는데, 흰색 가운을 입고 금색 별로 장식된 원뿔형 모자를 쓴 ''stjärngossar''(별 소년), 랜턴을 든 "톰테니사르"(산타의 요정), 생강빵 사람 등으로 분장한다. 그들은 성 스테판의 노래와 같은 자신만의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2008년 이후, 남성이 루치아로 등장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30][31] 2016년에는 유색 인종의 어린이가 성 루치아를 묘사하는 것에 대한 갈등도 있었다.[33][34]
3. 2. 노르웨이와 덴마크
현대적인 형태의 루치아 축제는 20세기에 시작되었으며, 1927년 스톡홀름의 한 신문이 루치아를 선발하는 대회를 후원한 이후 인기를 얻었다.[28] 12월 13일, 루치아는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에서 숭배받는데, 흰색 드레스에 빨간색 허리띠를 두르고 촛불 왕관을 쓴 소녀가 촛불을 든 여성들의 행렬 선두에서 걷는 의식을 거행한다.[28] 여성들은 전통적인 나폴리 노래인 ''산타 루치아''의 멜로디에 맞춰 루치아 노래를 부르는데, 각 스칸디나비아 국가는 자국어로 가사를 가지고 있다.[28]덴마크에서 성 루치아 축일(Luciadag)은 1944년 12월 13일에 처음 기념되었다.[28] 이 전통은 "어둠의 시대에 빛을 가져오기" 위한 시도로, 스웨덴에서 포레닝엔 노르덴(Föreningen Norden)의 비서인 프란츠 벤드(Franz Wend)의 주도로 직접 수입되었다.[28]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에 대한 소극적인 항의의 의미로 해석되었지만, 그 이후로 계속 이어져 온 전통이 되었다.[28] 덴마크에서 이 전통은 교회 기념 행사가 항상 기독교에 강하게 집중되어 있고, 크리스마스와 함께 대부분의 교회에서 매년 열리는 지역 행사라는 점에서 스웨덴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28] 학교와 유치원에서도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둔 마지막 날 중 하나에 아이들을 위한 특별한 날로 이 행사를 기념하지만, 사회의 다른 곳에서는 큰 영향력이 없다.[28] 전통적인 덴마크 버전의 나폴리 노래는 본질적으로 기독교적이지 않으며, 유일한 기독교 개념은 "Sankta Lucia"이다.[28] 교회에서 사용되는 기독교 버전은 사제 홀거 리스너(Holger Lissner)가 1982년에 작곡한 ''Sankta Lucia''이다.[28]
역사적으로 노르웨이 사람들은 "Lussinatten"을 1년 중 가장 긴 밤으로 여겼고, 어떤 일도 해서는 안 되었다.[39] 그 밤부터 크리스마스까지 정령, 노움, 트롤이 땅을 돌아다녔다.[39] 무서운 요술쟁이 루시는 감히 일하는 사람을 벌했다.[39] 또한 전설에 따르면 농장 동물들은 Lussinatten에 서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일 년 중 가장 긴 밤에 추가 먹이를 받았다고 한다.[39] 12월 13일 밤인 "Lussinatt"는 20세기 초 노르웨이에서는 거의 잊혀졌지만, 여전히 불길한 밤으로 기억되었으며, 특히 중부, 중동부 내륙 지역에서 기념되었다.[39]
노르웨이에서 현대적인 루시아 축하 행사가 더 큰 규모로 채택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였다.[39] 스웨덴의 전통과 마찬가지로, 덴마크와 달리 루시아는 노르웨이에서 대체로 세속적인 행사이며, 유치원과 학교(종종 중등 수준까지)에서 기념된다.[39]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노르웨이 교회의 대림절 전례에도 포함되었다.[39] 소년들은 종종 행렬에 참여하여 높은 모자와 별 지팡이를 든 동방 박사로 등장한다.[39] 때때로 성 스테판의 찬가가 소년들을 위해 불린다.[39] 전통적인 이날 기념 행사를 위해, 학생들은 촛불을 들고 학교 건물 복도를 행렬하며 "루세캇" 번을 나누어 준다.[39] 전통적인 노르웨이 버전의 나폴리 노래는 덴마크처럼 특히 기독교적인 성격을 띠지 않으며, 유일한 기독교적 개념은 "Sankta Lucia"이다.[39]
3. 3. 핀란드
핀란드의 성 루치아 축일은 역사적으로 스웨덴 문화 및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핀란드인과 관련이 깊다.[35] 동지 일주일 전, "루시아의 날"을 기념하며, 성 루치아는 일년 중 가장 어두운 시기에 "밝음의 등불"로 기념된다.[35] 핀란드에서 성 루치아 축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898년에 나타나며, 1930년에 스웨덴에서 축제가 대중화된 후 핀란드에서도 대규모 축제가 시작되었다.[36] 1949년부터 핀란드의 성 루치아는 헬싱키 대성당에서 왕관을 수여받는다.[36] 핀란드에서 스웨덴 인구가 있는 거의 모든 곳에서 지역 성 루치아가 선출되며, 최근에는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인구도 이 축제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36]2024년, 핀란드계 가나인 여성인 다니엘라 오우수가 핀란드 최초의 흑인 루치아로 선발되면서 소셜 미디어 상에서 인종차별적 비난과 수만 건의 혐오 메시지가 쏟아지는 사건이 발생했다.[37]
3. 4. 이탈리아
성녀 루치아는 시라쿠사(시칠리아)의 수호성인이다.[23] 12월 13일에는 성녀 루치아의 유해가 담긴 은제 조각상이 시라쿠사 대성당에서 산타 루치아 푸오리 레 무라 바실리카까지 행진한 후, 12월 20일에 다시 돌아온다.[23] 시칠리아인들은 성녀 축일에 곡물을 가득 실은 배가 항구에 도착하면서 기근이 끝났다는 전설을 기억한다. 이곳에서는 12월 13일에 빵 대신 통곡물을 먹는 것이 전통이다. 이는 보통 리코타 치즈와 꿀을 섞거나 때로는 콩과 함께 맛있는 수프로 제공되는 삶은 밀알 요리인 ''쿠치아(cuccìa)''의 형태로 나타난다.[22] [24]성녀 루치아는 이탈리아 북동부, 즉 트렌티노, 동롬바르디아(베르가모, 브레시아, 크레모나, 로디, 만토바), 베네토 일부(베로나), 에밀리아-로마냐 일부(피아첸차, 파르마, 레조 에밀리아, 볼로냐), 프리울리 전역의 어린이들에게도 인기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성녀는 12월 12일과 13일 밤 사이에 착한 아이들에게는 선물을, 못된 아이들에게는 석탄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전통에 따르면 성녀는 당나귀와 그녀를 호위하는 카스탈도와 함께 온다. 아이들은 루치아를 위해 커피, 당나귀를 위해 당근, 카스탈도를 위해 와인 한 잔을 놓아두어야 한다. 그들은 성녀 루치아가 선물을 전달하는 것을 보아서는 안 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성녀가 재를 눈에 던져 일시적으로 눈을 멀게 할 것이다.[18]
3. 5. 기타 국가
크로아티아, 헝가리 및 주변 국가에서 성녀 루치아 축일에는 밀 씨앗을 심는 전통이 있다. 오늘날 이것은 예수의 탄생을 상징하는 기독교 상징으로 사용되며, 때로는 루치아 성녀가 가져다주는 그리스도의 빛을 상징하는 촛불을 새싹 중앙에 놓기도 한다. 밀 씨앗은 둥근 접시나 흙 접시에 심고 물을 준다. 심은 곳을 촉촉하게 유지하면 씨앗이 발아하여 크리스마스 즈음에 이상적으로는 새싹이 몇 인치 정도 자란다.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새로운 생명을 떠올리게 하는 새싹은 리본으로 묶어 크리스마스 트리 근처나 아래에 놓을 수 있다.[25] 이 시기, 즉 성 바르바라 축일(12월 4일)에 밀을 심는 진짜 이유는 새싹의 밀도, 색상, 풍성함으로 다가올 수확량을 예측하고 좋은 수확을 얻을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26][27] 헝가리에서는 루카 세케(루시아 의자) 전통이 있는데, 성녀 루치아 축일에 의자나 걸상을 만들기 시작하여 매일 한 조각씩 만들어서 크리스마스 이브까지 완성해야 한다. 그날 밤, 완성된 의자나 걸상 위에 서면 마녀가 누구인지 볼 수 있다고 한다.산타 루치아는 몰타의 므타르파와 고조의 산타 루치아의 수호성인이다.[22] 12월 13일 몰타는 공화국의 날도 기념한다. 세인트루시아는 수호성녀인 성 루치아의 이름을 딴 카리브해의 작은 섬나라로, 12월 13일은 국경일로 기념된다. 빛과 갱신의 국가 축제는 빛의 성녀인 시라쿠사의 성 루치아를 기리기 위해 휴일 전날 밤에 열린다. 이 축제에서는 수도인 캐스트리스에 장식 조명(대부분 크리스마스 테마)이 켜지고, 장인들이 경쟁을 위해 장식된 등불을 선보이며, 공식 행사는 불꽃놀이로 마무리된다.[41]
몰레루사 시는 1963년부터 이 날을 전후하여 종이 의상 대회를 개최한다. 성녀 루치아는 재봉사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며, 재봉사들은 종이로 정교한 드레스를 만들어 그들의 재능을 보여주었다.[42]
성 루치아 축일 축하는 스칸디나비아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으며, 파티, 가정, 교회, 그리고 전국 각지의 단체들을 포함한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환경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사람들이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의 유대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43]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ELCA)에서 성 루치아는 12월 13일에 기념일로 취급되며, 이때 붉은 제의를 착용한다. 보통, 12월 13일에 가장 가까운 강림절의 일요일이 성 루치아를 위해 따로 지정되며, 전통적인 스칸디나비아 행렬이 거행된다.
캔자스주 린즈보그에서 열리는 공개 성 루치아 축하는 마을의 스웨덴 유산을 보여주는 방식이며, 지역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또한, 방문객들을 마을로 불러 모으면서 재정적인 이점을 가져다준다.[43] 1979년부터 텍사스주 허토는 루터교회에서 마을을 위한 성 루치아 축제를 개최해 왔다. 매년 교구에서 루치아를 한 명 뽑는다. 그 후 행렬은 교회를 돌며, 전통적인 성 루치아 노래를 부르고, 전통적인 사프란 빵과 생강 쿠키를 제공한다.[44] 구스타브 아돌푸스 칼리지는 스웨덴 이민자들이 설립한 학교로서, 1941년부터 매년 성 루치아 축제를 기념해 왔다.
베네수엘라 메리다 주의 무쿠치에스 마을은 수호성인으로 성녀 루치아와 성 무어인의 베네딕토를 선택했다. 수호성인 축제는 12월에 열린다.[46]
4. 한국에서의 성 루치아 축일
5. 상징과 의미
6. 논란과 비판
참조
[1]
서적
Companion to the Calendar
https://archive.org/[...]
Liturgy Training Publications
2015-12-12
[2]
간행물
St. Lucy's Day
Christian History
[3]
웹사이트
Santa Lucia Day
http://www.elca.org/[...]
ELCA
2015-09-30
[4]
웹사이트
St. Lucy
http://www.stlucy-ch[...]
St. Lucy's Church, Scranton, Pennsylvania
2014-12-13
[5]
서적
The Christmas Encyclopedia
McFarland & Company
[6]
웹사이트
Santa Lucia Day traditions
http://www.elca.org/[...]
ELCA
2015-12-12
[7]
웹사이트
Nordic Europe relies on Saint Lucy, symbol of light in winter, when darkness prevails
SIR
2015-12-12
[8]
웹사이트
December 13 St. Lucy's Day
http://www.stnichola[...]
St. Nicholas Center
2015-12-12
[9]
서적
Saint Lucy
Mimep-Docete
[10]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A&C Black
[11]
서적
The Camp of Refuge: A Tale of the Conquest of the Isle of Ely
https://archive.org/[...]
Simpkin, Marshall & Co.
[12]
서적
Religious Education
Folens Limited
2004-05-01
[13]
웹사이트
Nordisk familjebok (1876–1926)
https://runeberg.org[...]
Runeberg
2014-12-13
[14]
웹사이트
Christmas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15]
웹사이트
Nordisk familjebok (1876–1926)
https://runeberg.org[...]
Runeberg
2015-03-15
[16]
문서
Guilte Legende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Early English Text Society
2006
[17]
문서
2006
[18]
웹사이트
Happy Saint Lucy's Day in Italy!
http://www.iitaly.or[...]
iItaly
2018-12-02
[19]
웹사이트
Palm in Christian Symbolism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7-12-01
[20]
문서
Lucia och lussebrud i Värmland
Svenska kulturbilder
1936
[21]
문서
Lussi, Tomas og Tollak: tre kalendariske julefigurar
1976
[22]
웹사이트
Saint Lucy – Sicily's Most Famous Woman
http://www.bestofsic[...]
Best of Sicily Magazine
2009
[23]
서적
St Lucy of Syracuse: A Biography
2024
[24]
웹사이트
Lussekatter and Cuccia for St. Lucy’s Day
http://blogs.smithso[...]
Smithsonian Magazine
2010-12-10
[25]
웹사이트
Santa Lucia Day Traditions
https://www.learncro[...]
learncroatian
2014-12-12
[26]
웹사이트
Santa Lucia Day Traditions
https://www.learncro[...]
learncroatian
2014-12-12
[27]
웹사이트
Santa Lucia Day Traditions
https://www.24sata.h[...]
24sata
2015-12-22
[28]
뉴스
Taking in the Light: Sweden's Lucia Celebrations
https://www.nytimes.[...]
2024-01-07
[29]
웹사이트
Everybody Loves Lucy
http://ac-support.eu[...]
University of Maryland University College – Italian Studies
[30]
웹사이트
Boys blocked from bearing 'girls-only' Lucia crown
The Local
[31]
웹사이트
Johan Gustafsson – med rätt att lussa
Metro.se
[32]
웹사이트
Sexåringen, luciakronan och säkerheten
Aftonbladet.se
[33]
뉴스
Swedish Lucia advert sparks love and hate online
https://www.thelocal[...]
2022-03-10
[34]
뉴스
Swedish festive ad pulled following racist abuse of child
https://www.thelocal[...]
2022-03-10
[35]
웹사이트
Winter Solstice celebrations in Finland
http://www.euronews.[...]
Euronews
2012-12-14
[36]
웹사이트
"Lucia – legend och historia."
http://www.folkhalsa[...]
[37]
웹사이트
Black woman targeted by racist abuse in Finland over festival rol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12-17
[38]
웹사이트
En evangelisk udgave af lucia-sangen
https://www.kristeli[...]
kristeligt-dagblad.dk
2019-01-28
[39]
웹사이트
Norwegian Christmas
http://www.ricksteve[...]
Rick Steves' Europe
[40]
문서
Sáŋta Lucia lávlla davvisámegillii
https://ovttas.no/si[...]
[41]
웹사이트
National Day – Festival of Lights and Renewal
http://stlucianow.co[...]
[42]
웹사이트
Historia del Concurso de Vestidos de Papel
https://www.museuves[...]
Museu Vestits de Paper Mollerussa
2020-12-14
[43]
서적
St. Lucia in Lindsborg, Kansas
Utah State University Press
1991
[44]
웹사이트
Swedes in Texas
http://www.williamso[...]
2017-11-10
[45]
웹사이트
The Festival of Saint Lucia
https://gustavus.edu[...]
[46]
웹사이트
La población de Mucuchíes
http://www.meridapre[...]
CIBERTRONIC C.A
2009-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