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리어는 세리어족에 속하는 유일한 언어이다. 이 언어는 멕시코 소노라 주에 거주하는 세리족에 의해 사용되며, 다른 언어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가설이 제시되었지만, 현재는 고립어로 간주된다. 세리어라는 이름은 외부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세리 공동체 내에서는 'Cmiique iitom'으로 불린다. 세리어는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한다. 형태론적으로는 동사, 명사, 조사가 어형 변화를 하며, 통사론적으로는 두부 최종어의 특징을 보인다. 세리어에는 여러 관사가 존재하며, 다양한 지시 대명사와 인칭 대명사가 사용된다. 어휘는 풍부하며, 관용구와 고정된 표현이 발달했다. 세리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며, 세리 위원회에 의해 개정된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 세리어 문헌은 점차 출판되고 있으며, 멕시코 헌법도 세리어로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마푸체어
    마푸체어는 남아메리카 마푸체족이 사용하는 고립어 또는 미분류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포합어 및 교착어적 문법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로 표기하고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세리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세리어
자칭Cmiique iitom (끄미께 이이톰)
발음[kw̃ĩːkɛˈiːtom]
사용 지역멕시코, 소노라주
민족세리족
화자 수723명 (2020년 인구 조사)
언어 계통호카 제어?
문자라틴 문자
ISO 639-3sei
Glottologseri1257
언어 상태
UNESCO취약

2. 분류

세리어족은 세리어가 유일하게 현존하는 어족이며, 관련된 다른 언어들은 지난 몇 세기 동안 사라졌다. 세리어를 유마어족, 캘리포니아의 멸종된 살리난어, 그리고 훨씬 더 큰 가설적인 호칸어족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8] 이러한 가설들은 아메리카 대륙의 모든 언어들을 어족으로 분류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던 시대에 나왔다. 그러나 세리어의 경우, 거의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다. 그러한 증거가 제시되고 평가될 때까지, 이 언어는 고립어로 간주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3. 명칭

"세리"라는 이름은 스페인 사람들과 최초로 접촉한 이후로 사용되어 온 이들에 대한 외래어입니다(때때로 "Ceres"와 같이 다르게 쓰이기도 함). 길그(Gilg)는 1692년에 이것이 스페인어 이름이라고 보고했지만, 분명 이것은 다른 지역 집단이 세리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한 이름이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모래 사람들"과 같은 의미의 야키어(Yaqui) 용어[9] 또는 "빨리 달리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오파타어(Opata) 용어[10]라는 현대적인 주장은 사실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전자에 대한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고, 후자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증거도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세리 공동체 내부에서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이름은 ''Cmiique iitom''인데, 이는 ''Cocsar iitom''("스페인어") 및 ''Maricaana iitom''("영어")과 대조됩니다. 이 표현은 문자 그대로 "(세리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의미하는 명사구입니다. ''Cmiique''는 "세리 사람"을 의미하는 단수 명사입니다. ''iitom''은 자동사 caaitomsei("말하다")의 간접 명사화된 형태로, 접두사 ''i-''(3인칭 소유격)와 이 종류의 어근에 대한 명사화 접두사의 생략이 사용되었습니다. 언어를 가리키는 데 가끔 들리는 또 다른 유사한 표현은 ''Cmiique iimx''인데, 이는 타동사 quimxsei("말하다")(어근 = ''amx'')를 기반으로 한 유사한 구문입니다.

최근 사전 제목에 사용된 언어 이름으로 세리 위원회가 선택한 이름은 Comcaac quih Yazasei로, ''Cmiique iitom''의 복수형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지만 그러한 유형의 프로젝트에는 적절했습니다. ''Comcaac''는 ''Cmiique''의 복수형이며, ''yaza''는 ''iitom''에 해당하는 복수 명사화된 형태입니다. (oozasei는 복수 어근이며, ''y-''(동반 모음 변화와 함께)는 명사화 접미사입니다. 3인칭 소유격 접두사는 ''y'' 앞에서 생략됩니다. quihsei는 단수 관사입니다(복수 명사와 결합하여 세리 공동체를 지칭합니다).

이 언어는 20세기 초부터(Hernández 1904와 같이) ''Kunkaak''으로 잘못 언급되었으며, 이러한 실수는 민족 집단의 이름과 언어의 이름을 혼동하는 사람들(스페인어와 영어에서는 종종 동일함)에 의해 현재까지 반복되었습니다. ''Comcaac''이라는 어휘는 세리어에서 사람들을 가리키는 데에만 사용됩니다.

4. 음운

세리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 음절 구조, 강세의 복잡한 상호 작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음: 세리어의 자음 체계는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등으로 구성된다.
  • 모음: 세리어는 /i/, /ɛ/, /ɑ/, /o/ 네 가지 모음을 가지며, 강세 음절에서 장모음과 단모음이 대립한다.
  • 음절 구조: 세리어의 음절 구조는 복잡한 편으로, 음절 초에 최대 세 개의 자음이 올 수 있으며, 음절말에는 최대 세 개의 자음이 올 수 있다.
  • 강세: 세리어에서 강세는 변별적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어근의 첫 음절에 강세가 오지만, 일부 명사나 동사에서는 어근이 아닌 접두사에 강세가 오기도 한다.

4. 1. 자음

세리어 자음 음소
colspan="2" rowspan="2"|순음치음/
치경음
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무기음순화무기음순화
비음
파열음
마찰음중앙음
측음
유음
탄음



최근 외래어에는 (스페인어 ''amigo''에서 온 ''hamiigo''(친구))와 (스페인어 ''uva''에서 온 ''hoova''(포도))와 같은 다른 자음이 나타날 수 있다.

순음 마찰음 는 일부 화자에게는 순치음 일 수 있으며, 뒤치경음 마찰음 는 권설음 일 수 있다.

와 는 전형적으로 치음이다.

무강세 음절에서 는 다음 자음의 조음 위치에 동화된다. 이 동화는 연결어에서 단어 경계를 넘어 발생할 수 있다. 앞에 또는 가 있으면, 비음화된 유음 이 되고 다음 모음은 비음화된다. 예를 들어 ''cmiique'' ("사람; 세리어")는 또는 로 발음된다. 일부 화자에게는 어말 이 구절이나 문장의 끝이나 단독으로 말할 때 이 될 수 있다. 19세기에 수집된 단어 목록을 주의 깊게 조사하면 이러한 음운 규칙 중 일부가 최근에 생겨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12]

4. 2. 모음

세리어 모음 음소
전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iːo oː
저모음ɛ ɛːɑ ɑː



모음 길이는 강세 모음절에서만 대조적이다. 저 전설 모음은 음성적으로 중고모음과 준개방 모음 사이에 있으며 /æ, æː/영어로도 표기되기도 했다.

무입술 모음은 순화 자음 다음에 올 때 이중모음 [iu̯, ɛo̯, ɑo̯]영어으로 실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미세한 음성적 세부 사항은 공동체 기반 문자 체계에는 표기되지 않는다.


4. 3. 음절 구조

세리어의 음절 구조는 상당히 복잡하다. 단순한 음두가 가장 흔하지만, 음두가 없는 음절은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절의 시작 부분에서 최대 세 개의 자음이 함께 나타날 수 있지만, 단어의 처음에서는 자음이 장음화될 수 없다(예: /tːi/ 또는 /pː/). 예를 들어, 허용되는 특정 조합은 영어보다 훨씬 제한적이지 않다. /ptk/와 같은 세리어의 세 자음 음두는 '''ptc'''amn (코르테스 가시 랍스터, ''Panulirus inflatus'')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로 존재한다. 단순한 음미가 나타나지만, 복잡한 음미가 더 흔하다. 단어 중간의 음미는 단일 자음을 포함하는 반면, 단어 끝의 음미는 최대 세 개의 자음을 포함할 수 있다. 네 개의 자음이 뭉쳐 있는 경우도 있지만, 어휘에서 더 드물다. 예를 들어 '''cösxt'''amt (... "많은 것들이 있었다…") , ipoo'''mjc x''', ...sei ("만약 그가/그녀가 그것을 가져온다면…", 첨가어미 ''x'' 포함) 와 같다.[11]

세리어 음절의 핵은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장모음은 글에서 이중으로 표시된다(예: /aː/ 또는 /iː/에 대해 ⟨aa⟩ 또는 ⟨ii⟩). ''kaoi'' (주격-단수-이가)와 같이 한 음절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모음 집합은 세 개의 별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11] 복잡한 핵을 가진 음절은 강세를 받는다. 그렇지 않으면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 어근의 첫 음절에 온다. 모음 집합은 종종 어근의 첫 음절에서 나타난다.

모음이 없는 하나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접사는 기존의 자음 집합 앞이나 뒤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음과 음절 분절이 복잡해진다. 필요한 경우, 빈 모음 자리는 삽입되고 종종 음절 자음이나 "i"로 채워져 발음을 돕는다.

4. 4. 강세

세리어 음절의 핵은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장모음은 글에서 이중으로 표시된다(예: /aː/ 또는 /iː/에 대해 ⟨aa⟩ 또는 ⟨ii⟩).[11] 복잡한 핵을 가진 음절은 강세를 받는다. 그렇지 않으면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 어근의 첫 음절에 온다. 모음 집합은 종종 어근의 첫 음절에서 나타난다.

스트레스는 세리어에서 대조적이다. 일반적으로 어근의 첫 음절에 떨어지지만, 그렇지 않은 단어들, 주로 명사들과 어근이 아닌 접두사에 스트레스가 떨어질 수 있는 소수의 일반적인 동사들이 많이 있다. 대안 분석[13]은 최근에 제안되었고 예외가 더 적은데, 단어 어근의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스트레스를 부여한다(접미사는 절대 강세를 받지 않고 접두사는 어근과의 음운적 융합의 결과로만 강세를 받기 때문이다). 이 규칙은 음절의 무게에도 민감하다. 어근의 무거운 마지막 음절은 스트레스를 끌어들인다. 무거운 음절은 긴 모음이나 모음 집합 또는 마지막 자음 집합이 있는 음절이다. (음절 종지에 있는 단일 자음은 세리어에서 일반적으로 추가측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강세 음절 다음에 오는 자음은 길어지고, 앞의 강세 모음과 단일 자음으로 분리된 모음도 길어져서 cootajsei ("개미")는 로 발음된다. 이러한 동소이체적으로 길어진 모음은 강세 음절에서 발견되는 음소적으로 긴 모음보다 더 길 수 있다. 다음 자음이나 모음이 접미사의 일부인 경우(coo-taj, coo("주걱코 가오리")의 복수형은 길어짐 없이 이다), 강세 음절이 긴 모음과 짧은 모음으로 구성된 경우(caaijoj, 일종의 쥐가오리는 길어짐 없이 이다), 또는 강세 모음이 강도를 나타내기 위해 길어지는 경우에는 길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대부분의 차용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5. 형태론

세리어에서 동사, 명사, 조사는 어형 변화를 하는 품사이다.[1]

5. 1. 명사

세리어에서 명사는 접미사를 통해 복수형으로 어형 변화를 한다. 예를 들어 '애가'를 뜻하는 noosisei와 '애가들'을 뜻하는 noosi-lcsei를 비교해 볼 수 있다. 복수형 변화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사전에는 각 명사가 복수형과 함께 나열되어 있다. 어떤 명사들은 복수를 나타내는 데 어중간삽입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메뚜기'를 뜻하는 caatcsei와 '메뚜기들'을 뜻하는 caatjcsei가 그 예이다. 소수의 명사들은 완전히 다른 어근을 가진 복수형을 갖는데, '세리족 사람'을 뜻하는 cmiiquesei와 '세리족 사람들'을 뜻하는 comcáacsei, '것'을 뜻하는 ziixsei와 '것들'을 뜻하는 xiicasei가 그 예이다.[1]

친족 용어와 신체 부위 명사는 접두사를 통해 소유자를 나타내는 어형 변화를 한다. 예를 들어 '너의 아들(남성)'을 뜻하는 ma-sáacsei와 '너의 머리'를 뜻하는 mi-lítsei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이들은 필수적으로 소유 명사이기 때문에 소유자가 명시되지 않을 때는 특별한 접두사가 나타나며, 친족 용어는 때때로 어미에도 추가적인 요소가 있다. '자신의 아들'을 뜻하는 ha-sáac-atsei와 '자신의 머리'를 뜻하는 ha-lítsei를 비교해 보라. 어떤 명사들은 단수와 복수 소유자를 구분하기 위해 추가적인 복수형을 갖는데, '그/그녀의 눈'을 뜻하는 itojsei, '그/그녀의 눈들'을 뜻하는 itojsei, '그들의 눈들'을 뜻하는 itolcojsei가 그 예이다.[1]

5. 2. 동사

세리어의 유한 동사는 주어의 수, 인칭,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 그리고 시제/법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한다.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른 변화 예시는 다음과 같다.

  • ihpyopánzxsei: 내가 달렸다.
  • inyopánzxsei: 네가 달렸다(단수).
  • yopanzxsei: 그것/그녀/그가 달렸다.
  • hayopáncojcsei: 우리가 달렸다.
  • mayopáncojcsei: 너희가 달렸다(복수).
  • yopáncojcsei: 그들이 달렸다.


목적어의 인칭에 따른 변화(철자상으로는 별개의 단어로 쓰이지만 실제로는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ma hyoohosei: 내가 너를 보았다(단수).
  • mazi hyoohosei: 내가 너희를 보았다(복수).
  • ihyóohosei: 내가 그/그녀/것/그들을 보았다.


간접 목적어(3인칭을 제외하고는 별개의 단어로 쓰인다)에 따른 변화는 다음과 같다.

  • me hyacóhotsei: 내가 그것을 너에게 보여주었다(단수 또는 복수).
  • cohyacóhotsei: 내가 그것을 그/그녀/그들에게 보여주었다.


동사의 "시제"는 중간 형태와 최종 형태, 비현실과 현실로 나뉜다.

  • popánzxsei (비현실, 중간, 3인칭): (만약) 그것/그녀/그가 달린다면.
  • tpanzxsei (현실, 중간, 3인칭): (때) 그것/그녀/그가 달렸다.
  • yopánzxsei (먼 현실, 최종, 3인칭): 그것/그녀/그가 달렸다.
  • impánzxsei (가까운 현실, 최종, 3인칭): 그것/그녀/그가 달렸다.
  • spánxz ahasei (비현실, 최종, 3인칭): 그것/그녀/그가 달릴 것이다.


동사는 부정형이거나 수동태일 수 있다. 타동사는 형태론적 조작을 통해 자동사화될 수 있으며, 사동 동사는 형태론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5. 3. 후치사 및 관계 전치사

세리어의 후치사는 보어의 인칭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hiti'는 '나에게', 'miti'는 '너에게', 'iti'는 '그녀/그에게'를 의미한다. 한때 후치사로 불렸던 단어들 중 대부분(그리고 일부는 여전히 제한된 상황에서 후치사로 불린다)은 사실 관계 전치사이다. 이러한 단어들은 동사 복합어 바로 앞에 위치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의미상의 보어와 인접하지 않는다. 이들 중 일부는 복수 보어를 나타내는 교체 어근을 가지고 있다. miihax|너(단수)와 함께sei와 miicot|너희(복수)와 함께sei를 비교해 보라.

6. 통사론

세리어는 두부최종어이다. 동사는 일반적으로 절의 끝(주어와 직접목적어 뒤에 그 순서대로)에 나타나며, 주절은 종속절을 따른다. 소유격은 소유 대상 앞에 온다. 이 언어에는 진정한 형용사가 많지 않다. 형용사와 같은 동사는 이 언어의 동사와 같은 종류의 구성과 형태론으로 두부 명사를 따른다. 영어와 같은 언어의 전치사에 해당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동사 앞에 나타나도록 제한되며, 명사구에서는 보어를 따른다.[1]

6. 1. 관사

세리어에는 명사 뒤에 오는 여러 가지 관사가 있다.

단수 부정 관사(영어의 'a', 'an')는 자음 앞에서는 'zo', 모음 앞에서는 'z'이다. ('하나'를 뜻하는 'tazo'와 역사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복수 부정 관사(대략 'some'에 해당)는 'pac'이다.

Comcaac pac yoozcam.|세리 사람들 몇몇 왔다.|몇몇 세리 사람들이 도착했다.sei

정관사(영어의 'the')는 대상의 위치와 움직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 Quijsei (단수)와 coxalcasei (복수)는 앉아 있는 대상에 사용된다.
  • Capsei/copsei (단수)와 coyolcasei (복수)는 서 있는 대상에 사용된다. Capsei과 copsei은 방언 변이형이다.
  • Comsei (단수)와 coitojsei (복수)는 누워 있는 대상에 사용된다.
  • Hipmocasei (단수)와 hizmocatsei (복수)는 가까이 다가오는 대상에 사용된다.
  • Hipinticasei (단수)와 hipinticatsei (복수)는 가까이 멀어지는 대상에 사용된다.
  • Timocasei (단수)와 tamocatsei (복수)는 멀리서 다가오는 대상에 사용된다.
  • Tinticasei (단수), tanticatsei (복수), himinticasei (단수), himinticatsei (복수)는 멀리서 멀어지는 대상에 사용된다.
  • Hacsei (단수 및 복수)는 장소와 동명사에 사용된다. Hacsei는 모음 뒤에서는 로, 자음 뒤에서는 로 발음된다.
  • Quihsei (단수)와 coisei (복수)는 불특정하다. Quihsei는 자음 앞에서는 로, 모음 앞에서는 로, 문장 끝에서는 로 발음된다.


이러한 관사들은 역사적으로 세리어의 관계절에서 나타나는 동사의 명사화된 형태에서 유래했다: quiijsei ("앉아 있는 것"), caapsei ("서 있는 것"), coomsei ("누워 있는 것"), quiihsei ("위치해 있는 것 (특히 천과 같은 부드러운 물건)"), mocasei ("오는 것"), conticasei ("가는 것"), caahcasei ("위치해 있는 것"; 어근 -ahcasei)

6. 2. 지시대명사

단순 지시대명사는 네 가지가 있으며, 복합 지시형용사와 대명사는 매우 많다. 단순 지시대명사는 tiix|저것sei, taax|저것들, 저것(집합체)sei, hipíix|이것sei, hizáax|이것들, 이것(집합체)sei이다.

복합 지시대명사는 관사에 지시 요소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himcop|멀리 서 있는 저것sei, ticop|가까이 서 있는 저것sei, hipcop|서 있는 이것sei, himquij|멀리 앉아 있는 저것sei, himcom|멀리 누워 있는 저것sei 등이 있다. 이러한 복합 지시대명사는 형용사(명사구의 끝에 위치) 또는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6. 3. 인칭대명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귀적이지 않은 인칭 대명사는 두 가지가 있다. hesei(1인칭, "나", "우리")와 mesei(2인칭, "너"(단수 또는 복수))이다. 이러한 대명사는 단수 또는 복수의 지시 대상을 가질 수 있으며, 수의 차이는 동사 어근에서 나타난다. 재귀 대명사는 hisojsei "나 자신", misojsei "너 자신", isojsei "그/그녀/것 자신", hisolcasei "우리들 자신", misolcasei "너희들 자신" 및 isolcasei "그들 자신"이다.

7. 어휘

세리어는 풍부한 기본 어휘를 가지고 있다. 이 어휘의 유용성은 관용구의 사용으로 인해 배가된다. 예를 들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많은 후각적 은유 중 하나는 hiisax cheemt iha|나는 화가 났다sei라는 표현으로, 직역하면 '내 영혼이 냄새난다(선언형)'이다.[14] 세리어는 차용어가 적은데, 대부분 궁극적으로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지만, 오호담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도 유래했다.[16]

많은 개념은 단어 하나로 표현되지 않고, 여러 단어로 구성된 고정된 표현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신문"은 hapaspoj cmatsj|거짓말을 하는 종이sei, "나침반"은 ziix hant iic iihca quiya|장소가 어디에 있는지 아는 것sei, "라디오"는 ziix haa tiij coos|거기에 앉아 노래하는 것sei이다. 이러한 구절 형성은 어휘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과거에는 그 단어를 기반으로 별명을 가진 사람의 사망으로 인해 금기어가 된 어휘 항목에 대한 새로운 용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8. 문자 체계

세리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A aC cCö cöE eF fH hI iJ jJö jöL lM m
/ɑ/es/k/es/kʷ/es/ɛ/es/ɸ/es/ʔ/es/i/es/x/es/xʷ/es/ɬ/es/m/es
N nO oP pQu quR rS sT tX xXö xöY yZ z
/n/es/o/es/p/es/k/es/ɾ/es/s/es/t/es/χ/es/χʷ/es/j/es/ʃ/es



⟨Qu⟩는 모음 'e'와 'i' 앞에서 /k/es를 나타내며, 스페인어처럼 다른 경우에는 'c'를 사용한다. 장모음은 모음 문자를 두 번 써서 나타낸다. 유성 측음 /l/es은 ⟨l⟩ 아래에 밑줄을 그어 ⟨Ḻ ḻ⟩로 표기한다. 일반적으로 강세는 표시하지 않지만, 강세 있는 모음 위에 악센트 ⟨´⟩를 붙여 표시할 수 있다. 이중모음을 포함하는 이중자음을 사용하여 둥근 후치음을 표기하는 것은, 완전한 모음 'o'를 포함하는 변이형을 가진 형태소들을 시각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예: ''xeecoj'' /χɛːkox/es ("늑대"), ''xeecöl'' /χɛːkʷɬ/es ("늑대들").

B, D, G, Gü, V는 일부 외래어에 나타난다. U는 Q 다음에만 나타나며, 많은 유럽 언어에서와는 반대이다.

세리어 알파벳은 1950년대에 에드워드 W.와 메리 B. 모저에 의해 개발되었고, 나중에 스티븐 마를렛과 함께 일하는 세리 남녀 위원회에 의해 개정되었다.[17] 특히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둥근 연구개 파열음 /kʷ/es는 ⟨cu⟩와 ⟨cö⟩로 표기되었지만, 현재는 ⟨cö⟩로만 표기된다.
  • 이중모음 [ao̯] [iu̯] [eo̯]es는 각각 ⟨ao⟩ ⟨iu⟩ ⟨eo⟩로 표기되었지만, 현재는 둥근 후치음 앞의 /a i e/es의 동소이음으로 간주되어, 예를 들어 ''Tahéojc'' → ''Tahejöc''으로 바뀌었다.
  • 연구개 비음 [ŋ]es는 ⟨ng⟩로 표기되었지만, 현재는 /m/es의 동소이음으로 간주되어 ⟨m⟩으로 표기된다. 예: ''congcáac'' → ''comcaac''.
  • 비음화된 모음은 밑줄로 표시되었지만, 현재는 /km/es 다음에 나타나는 동소이음으로 간주된다. 예: ''cuá̱am'' → ''cmaam''.
  • 강세 있는 음절 다음에 오는 모음과 자음의 장음은 이중으로 표기되었지만, 현재는 동소이음으로 간주된다. 예: ''hóoppaatj'' → ''hóopatj''. 다른 상황에서의 장모음과 장자음은 여전히 이중으로 표기된다.
  • 어휘 경계가 때때로 바뀌었는데, 클리틱이 원래는 인접한 단어와 붙여 쓰였지만, 현재는 따로 쓰인다.

9. 문학

세리어 문헌은 점차 출판되고 있다. 과거에 기록, 필사, 출판되었던 일부 이야기들은[18] 현재 재편집되어 출판되고 있다.[19] 여러 작가들에 의해 새로운 자료들도 준비되고 있다.[20] 세 명의 세리 작가의 수필이 네브래스카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새로운 북미 원주민 문학 선집에 실려 있다.[21] 가장 최근의 문학 작품들은 안드로이드 폰용 앱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종종 오디오가 함께 제공된다.

멕시코 헌법은 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Lenguas Indígenas)에 의해 세리어로 완전히 번역되었다. 세리어로 된 헌법의 공식 명칭은 Icaaitom Caaixaj Quipac Coha Hapaspoj Caacoj Quih Iti Hant Coii Hant Iij Cacloj Com Oaanloj Coisei이다.[22]

10. 기타

어류학자 후안 카를로스 페레스 히메네스는 캘리포니아만에서 새로 발견된 긴꼬리홍살귀상어(smooth-hound shark)의 새로운 종에 세리어(Seri) 언어로 "상어"를 뜻하는 ''hacat''을 사용하여 학명 ''Mustelus hacat''을 명명했다.

참조

[1] 간행물 Lenguas indígenas y hablantes de 3 años y más, 2020 http://cuentame.ineg[...] INEGI. Censo de Población y Vivienda 2020
[2] 문서 La situación sociolingüística de la lengua seri en 2006.
[3]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Seri http://www.ethnologu[...]
[4] 저널 The Seri Indians in 1692 as Described by Adamo Gilg
[5] 웹사이트 Seri Texts http://lengamer.org/[...]
[6] 웹사이트 La situación sociolingüística de la lengua seri en 2006 http://www.lengamer.[...] 2006
[7] 웹사이트 UNESCO http://www.unesco.or[...]
[8] 문서 For discussion of the Hokan question, see Campbell (1997), Marlett (2007) and Marlett (2011). For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with Salinan, see Marlett (2008).
[9] 문서 Apparently this claim first appeared in 1981, in a small publication written by a nonacademic, published in Mexico. It has been commonly repeated since then.
[10] 문서 Peñafiel (1898:225) is the first known reference to a "probable" origin for the word "Seri" but this claim was creatively elaborated in McGee (1898:95, 124); McGee was making wild speculations as one untrained in such matters.
[11] 문서 Marlett (1988)
[12] 문서 Marlett (2010).
[13] 문서 Marlett (2008b).
[14] 저널 Anger stinks in Seri: Olfactory metaphor in a lesser-described language https://www.research[...]
[15] 간행물 Seri kinship terminology http://www.sil.org/s[...] SIL Electronic Working Papers (1999-005)
[16] 웹사이트 Loanwords in Seri: the data http://lengamer.org/[...]
[17] 간행물 La evolución del alfabeto seri Universidad de Sonora
[18] 간행물 El hombre llamado barril y otras historias / El gigante llamado comelón y otras historias Instituto Lingüístico de Verano
[19] 웹사이트 Ziix haptc iiha comcaac quih ocoaaj quih ano yaii. http://www.lengamer.[...]
[20] 웹사이트 Comcaac quih ziix quih ocoaaj hac. (Enciclopedia seri.) http://www.lengamer.[...]
[21] 서적 Inside Dazzling Mountains: Southwest Native Verbal Art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2] 웹사이트 La Constitución Política de los Estados Unidos Mexicanos en Seri, Icaaitom Caaixaj Quipac Coha Hapaspoj Caacoj Quih Iti Hant Coii Hant Iij Cacloj Com Oaanloj Coi https://constitucion[...] INALI
[23]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Seri http://www.ethnologu[...]
[24] 저널 The Seri Indians in 1692 as Described by Adamo Gilg
[25] 웹사이트 Seri Texts http://lengamer.org/[...]
[26] 웹사이트 La situación sociolingüística de la lengua seri en 2006 http://www.lengamer.[...] 2006
[27] 웹사이트 UNESCO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