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러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러시아는 14세기 초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서 유래된 용어로, 지리적으로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 지역을 지칭했으나, 이후 교회적 연관성을 잃고 지리적 명칭으로만 남았다. 17세기에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우크라이나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20세기에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공식 사용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우크라이나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러시아 민족주의 담론에서 우크라이나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개념으로 소러시아주의가 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 내에서 러시아에 대한 열등감과 러시아 문화 숭배를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명 어원학 - 대러시아
- 지명 어원학 - 갈리치아
갈리치아는 동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우크라이나와 폴란드에 걸쳐 있으며, 갈리치아 공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을 거치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 종교가 공존했고, 석유 산업이 발달했다. - 러시아의 근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근세사 - 러시아 차르국
러시아 차르국은 1547년 이반 4세의 즉위로 모스크바 대공국에서 건국되어 동로마 제국의 유산을 계승하고 절대 권력을 지닌 차르가 통치했으며, 류리크 왕조와 로마노프 왕조를 거치며 영토 확장, 서구화 개혁 등의 격변을 겪었다. - 우크라이나의 지리사 - 헝가리 왕국
헝가리 왕국은 1000년 이슈트반 1세 대관식과 함께 성립되어 1946년까지 존속한 중앙유럽의 왕국으로, 아르파드 왕조를 시작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이 왕위를 세습했으며, 중세 시대 중앙유럽 강국이었으나 오스만 제국 침략으로 영토가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원으로 존속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토를 상실, 1946년 공화국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었음에도 '헝가리 왕국'이라는 명칭과 국체가 유지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지리사 - 좌안 우크라이나
좌안 우크라이나는 드니프로강 좌안의 우크라이나 지역으로, 17세기 후반 안드루소보 조약 이후 러시아의 지배를 받으며 코사크 헤트만국으로서 자치를 누렸으나, 점차 자치권이 축소되어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되었다.
소러시아 | |
---|---|
지리적 위치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소러시아 |
러시아어 명칭 | Малая Русь (말라야 루시) |
우크라이나어 명칭 | Мала Русь (말라 루스), Мала Росія (말라 로시야), Малоросія (말로로시야) |
그리스어 명칭 | Μικρά Ῥωσία (미크라 로시아) |
역사 | |
국가 | 러시아 제국 |
오늘날 |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
인물 | |
관련 민족 | Малоросс (말로로스) |
2. 어원 및 명칭 변화
'소 러시아'라는 명칭은 14세기 초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사용했던 그리스어 용어 미크라 로시아/Μικρὰ Ῥωσσίαgrc에서 유래했다.[37] 초기에는 '소(小)' 또는 '레서(Lesser)'가 지리적으로 더 가까운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 지역을 의미했으나,[6] 점차 교회적 연관성을 잃고 지리적 명칭으로만 남게 되었다.[6]
"μικρὰ Ρωσσία"라는 표현은 1292년 코디누스의 저작에서 처음 발견된다.[9] 13세기 중반 키예프 대공국(루스)이 몽골 제국에 멸망하고, 그 대공국의 후계자로서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남서 루스)과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북동 루스)이 탄생하자, 콘스탄티노폴 총대주교청에 속했던 기존의 키예프 관구를 분할하기 위한 전제가 성립되었다. 그리스 성직자들은 두 대공국을 구분할 필요가 있었기에, 고대 그리스의 "소 헬라스"[35]와 "대 헬라스"[36]의 지역적 구분을 응용하여, 남서 루스를 "소 러시아", 북동 루스를 "대 러시아"라고 불렀다[37].
"소러시아"라는 용어는 현재 우크라이나와 현대 우크라이나 민족, 언어, 문화 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때 시대착오적인 표현이 되었다. 이러한 용법은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 영토와 국민("소러시아인")이 "하나의 분리될 수 없는 러시아"에 속한다는 제국주의적 관점을 전달하는 것으로 인식된다.[23] 오늘날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은 이 용어를 우크라이나 정체성과 언어를 억압하는 러시아의 억압을 나타내는 경멸적인 표현으로 간주한다.
1303년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의 요청에 따라 콘스탄티노폴 총대주교청은 키예프 관구를 분할, 대 러시아 관구와 소 러시아 관구를 창설했다.[38] 1335년 유리 2세에 의해 "전(全) 소 루스의 공"이라는 칭호가 처음 사용되었으나,[39] 1340년대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이 분할되면서 소 러시아 관구는 폐지되고, 14세기 중반 이후 "소 러시아"라는 용어는 사라졌다.
1458년 모스크바 정교회의 독립과 함께 콘스탄티노폴 총대주교청은 새로운 키예프 관구를 창설했다.[40] 1620년 이 관구 부활 운동에 정교회 성직자들이 큰 역할을 하면서, 정교도 거주 지역을 "소 러시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648년 흐멜니츠키 봉기 이후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헤트만 국가 외교에 종사한 루스계 성직자들은 헤트만 국가를 "소 러시아"라고 칭했다.[41] 1654년 페레야슬라프 조약 이후 모스크바의 차르는 자신의 칭호를 "전(全) 대·소·백 러시아의 군주"로 바꾸고,[42] 소 러시아 성[43]이 설치되었다.
17세기에 '말로로시야(Malorossiya)'라는 용어가 러시아에 도입되었으며, 영어로는 'Little Russia' 또는 'Little Rus''로 번역된다.[7] 지그문트 글로거는 '소(Little)'라는 용어를 'Little Poland'와 유사한 용어로 비교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시했다.[8]
1667년 헤트만 국가는 드니프로 강을 경계로 모스크바와 폴란드 사이에 분할되었고, "소 러시아"라는 지명의 범위는 좌안 우크라이나까지 축소되었다. 1722년 코사크 헤트만 정부는 폐지되었고, 1734년까지 러시아 정부의 소 러시아 위원회가 코사크를 통제했다. 1764년 헤트만 국가는 멸망했고, 소 러시아 총독부가 설치되었다. 1781년 예카테리나 2세의 명령에 따라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연대제가 폐지되었고, 1796년에 소 러시아 현으로 통합되었지만, 1802년에 체르니고프 현과 폴타바 현으로 분할되었다.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서쪽으로 확대되면서, "소 러시아"의 범위는 우안 우크라이나와 볼히니아까지 연장되었다. 19세기 초 이후 "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서부·북부·동부·중부를 가리키는 지명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우크라이나 지식인·계몽가들은 "소 러시아" 대신 "우크라이나"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세기에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소 러시아"는 공식 사용에서 삭제되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서도 "소 러시아"는 부정어의 색채를 유지하고 있다.
3. 역사적 용례
1303년,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의 군주의 요청에 따라, 콘스탄티노폴 총대주교청은 키예프 관구를 분할하고, 북동 루스 지역에 대 러시아 관구, 남서 루스 지역에 소 러시아 관구를 창설했다[38]. 13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칼리스토스 1세는 두 개의 교구 주교좌를 만들 때 이 용어를 사용했다. 블라디미르와 키예프에 대러시아를, 갈리치(Halych)와 노보그로도크(Navahrudak)에 소러시아를 설치했다.[10] 폴란드 국왕 카지미르 3세는 "레히아와 소러시아의 왕"이라고 불렸다.[10]
"소 러시아"는 교회 용어였기 때문에,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의 류리크 왕조의 여러 대공들의 세속 외교 문서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류리크 왕조가 끊어지고 피아스트 왕조로 바뀌면서, 1335년에 유리 2세에 의해 처음으로 "전(全) 소 루스의 공"이라는 칭호의 형태로 사용되었다[39]. 그러나, 1340년대에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이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 사이에 분할되면서, 소 러시아 관구도 폐지되었고, 14세기 중반 이후 "소 러시아"라는 용어 자체는 세속 사회와 교회 사회에서 사라졌다. 미하일 흐루셰프스키에 따르면, 소러시아는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과 관련이 있었으며, 왕국이 멸망한 후 이 명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1]
17세기 초에 "소 러시아"라는 개념은 정교회의 루스계 성직자의 활동에 의해 부활했다. 1458년, 모스크바 정교회의 독립과 함께, 콘스탄티노폴 총대주교청은 새로운 키예프 관구를 창설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정교도 루스인이 거주하는 지역[40]의 통제를 맡겼다. 이 키예프 관구는 1596년의 브레스트 종교 연합과 루스 단일 교회의 창설로 일시적으로 해소되었지만, 1620년에 부활했다. 이 관구 부활 운동에 정교회 성직자들이 큰 역할을 했고, 정교도 거주 지역을 "소 러시아"라고 부르기 시작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의 정교회의 단결력과 정교도의 자의식을 강화하려 했다. 예를 들어, 영향력 있는 성직자이자 작가인 이오안 비셴스키(1600, 1608), 키예프와 전 루스의 마테오 수도 대주교(1606), 페레미실의 이오안 주교 (비레츠키), 키예프의 이사야 (코핀스키) 수도 대주교,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라의 대수도원장 자카리아스 코피스텐스키 등이다.[12] 이 용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모든 정교회 루테니아 지역에 적용되었다.[12] 비셴스키는 "소러시아의 기독교인들, 리비우와 빌뉴스의 형제단"에게 연설했고, 코피스텐스키는 "소러시아, 또는 키예프와 리투아니아"라고 썼다.[12]
1648년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흐멜니츠키 봉기가 발발하고, 사실상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헤트만 국가가 탄생하자, 그 국가의 외교에 종사한 루스계 성직자들은 헤트만 국가를 "소 러시아"라고 칭하고, "소 러시아"를 국호의 동의어로 하여 모스크바 대공국과의 외교 문서에서 사용했다[41]. 성직자들이 "소 러시아"를 유행시킨 결과, 1654년에 페레야슬라프 조약에 의해 헤트만 국가가 모스크바 대공국의 보호령이 된 후, 모스크바의 차르는 자신의 칭호를 "차르 및 대공, 전(全) 대·소·백 러시아의 군주"로 바꾸고[42], 헤트만 국가와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는 소 러시아 성[43]이 설치되었다. 그 무렵부터, 우크라이나 코사크 국가의 주민들은 "소 러시아인", 그들의 언어는 "소 러시아어"라고 불리게 되었다[44]. 1654년부터 1721년까지 러시아 차르의 공식 칭호는 (직역하면) '"모든 루스의 군주: 대러시아, 소러시아, 백러시아]"'를 포함했다. "소러시아"라는 용어는
4. 현대적 맥락
이 용어는 현대 우크라이나인들을 통합된 러시아 민족의 단일 민족으로 묘사하는 러시아 민족주의 담론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이는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의 이 용어에 대한 새로운 적대감과 거부감을 불러일으켰다. 2021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은 이러한 견해를 설명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한 7,000단어의 에세이를 발표했다.[24]
4. 1. 소 러시아주의
'소러시아주의'(말로로시이스트보/малоросійствоuk)는 일부 우크라이나 작가들에 의해 우크라이나 공동체의 일부에서 보이는 지방적 콤플렉스로 정의되며, 이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오랜 기간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본다.[25] 이는 우크라이나의 국가적 전통과 열망에 대한 무관심하고 때로는 부정적인 태도, 그리고 종종 러시아 문화와 러시아 제국주의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로 묘사된다.[25]
미하일로 드라호마노프는 "소러시아주의"라는 용어를 "외국의 압력과 영향" 아래에서 민족성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다른 민족의 더 나쁜 자질을 채택하고 자신의 더 나은 자질을 잃은" 러시아화된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적용했다.[25] 뱌체슬라프 리핀스키는 이 용어를 "무국가의 질병"으로 정의했다.[26] 이러한 열등감 콤플렉스는 갈리치아의 우크라이나인들이 폴란드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도 적용된다고 한다 (''gente ruthenus, natione polonus'').[27]
"소러시아인"이라는 용어는 또한 전형적으로 무식하고 소박하며 자존감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우크라이나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8][29]
「소러시아」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우크라이나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러시아에 대한 열등감인 "소러시아주의"는 사회적・심리적 현상이다. 이 현상의 원인은, 우크라이나가 오랫동안 러시아에 지배당하면서 정치・사회・학문・문화 등 다방면에서 억압받아 왔다는 데에 있다. 소러시아주의 신봉자는 우크라이나인이면서 우크라이나의 정치・사회・문화・전통에 대해 편견이나 적대감을 품고 발전의 필요성을 부정하며, 러시아 사회를 숭배하고 러시아 문화를 우선시하며, 우크라이나를 러시아의 정치 문화권의 불가결한 국가 혹은 지방으로 간주하는 사람이다. 19세기의 우크라이나 지식인 미하일로 드라호마노프는, 소러시아주의자는 러시아의 문화적 영향으로 우크라이나의 국민성이 굴절되어 러시아화된 우크라이나인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20세기 전반의 우크라이나 정치론자 뱌체슬라프 리핀스키는 소러시아주의가 "무국민의 병"・"노예의 심리"라고 말했다[45]。
소러시아주의의 반대어로 마제파주의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46]。
소러시아주의 신봉자로는 코사크의 통치자 이반 이스크라와 바실리 코추베이, 작가 니콜라이 고골[47], 정치인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48], 학자 블라디미르 베르나드스키, 기술자 세르게이 코롤료프 등이 있다.
5. 대중문화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2번 C단조, Op. 17은 우크라이나 민요를 사용했기 때문에 "소러시아"라는 별명이 붙었다.[31] 역사가 할로우 로빈슨에 따르면, 작곡가의 친구이자 모스크바의 저명한 음악 평론가인 니콜라이 카슈킨은 "1896년 저서 ''차이콥스키의 추억''에서 이 별칭을 제안했다."[32]
6.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The Development of a Little Russian Identity and Ukrainian Nationbuilding
https://www.jstor.or[...]
[2]
서적
Making ethnicity in southern Bessarabia : tracing the histories of an ambiguous concept in a contested land
2019
[3]
뉴스
Russia rejects new Donetsk rebel 'state'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7-19
[4]
서적
Eternal Russia: Yeltsin, Gorbachev, and the Mirage of Democrac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2-03
[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language
http://etymolog.rusl[...]
Progress
2010-10-10
[6]
간행물
Великая, Малая и Белая Русь
http://rusrand.ru/fi[...]
Изд-во АН СССР
2018-05-16
[7]
서적
The Roots of Ukrainian Nationalism: Galicia As Ukraine's Piedmon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
웹사이트
Province of Little Poland (Prowincya Małopolska)
https://literat.ug.e[...]
2021-04-17
[9]
웹사이트
The 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1890
[10]
서적
Україна під татарами і Литвою
Видавничий дім «Альтернативи»
[11]
서적
Історія України-Руси, том I
"Наукова думка"
[12]
서적
Україна під татарами і Литвою
Видавничий дім «Альтернативи»
[13]
문서
«…Самой столицы Киева, також части сие Малые Руси нашия». "Воссоединение Украины с Россией.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в трех томах"
изд-во АН СССР
[14]
서적
История запорожских казаков. Т.2
http://www.tuad.nsk.[...]
Наукова думка
2007-03-20
[15]
문서
"Листи Івана Сірка"
Института украинской археографии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sk.theglossy[...]
2018-12-23
[17]
서적
Україна під татарами і Литвою
Видавничий дім «Альтернативи»
[18]
문서
Rus`, Little Russia and Ukraine
https://malorus.ru/u[...]
[19]
문서
Дневник (Шевченко)
[20]
문서
Две русские народности
[21]
웹사이트
Малороссия в ее словесности
http://izbornyk.org.[...]
2011-07-18
[22]
웹사이트
Ukrainians
http://www.encyclope[...]
2007-05-03
[23]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events of the Orange Revolution in Ukraine
http://www.wumag.kie[...]
2020-02-10
[24]
웹사이트
On the Historical Unity of Russians and Ukrainians
http://en.kremlin.ru[...]
2022-01-25
[25]
서적
Dovidnyk z istorii Ukrainy
http://history.frank[...]
[26]
웹사이트
Lypynsky on the imperative of political independence
http://www.day.kiev.[...]
"Den"
2008-05-21
[27]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 Premodern Identities in Russia, Ukraine and Belarus
https://diasporia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Sour Milk of Andriy Danylko"
http://telekritika.k[...]
"Telekritika"
2008-08-21
[29]
뉴스
НРУ: Верка Сердючка – позор Полтавы
http://www.korrespon[...]
Korrespondent.net
2007-09-29
[30]
뉴스
Полюбить Сердючку
http://www.korrespon[...]
Korrespondent
2007-09-29
[31]
서적
Tchaikovsky: A Biography
Random House
[32]
웹사이트
Symphony No. 2, Little Russian
https://www.bso.org/[...]
2024-06-14
[33]
문서
Мала Русь, Мала Росія, Малоросія / Малая Русь, Малая Россия, Малороссия
[34]
문서
独立正教会
[35]
문서
Μικρά Ελλάς
[36]
문서
Μεγάλη Ελλάς
[37]
문서
ルーシ
[38]
문서
小ロシア府主教区
[39]
문서
マゾヴィア
[40]
문서
キエフ地方
[41]
웹사이트
小ロシア(ウクライナ百科辞典)
http://www.encyclope[...]
[42]
웹사이트
ヨーロッパ主君の称号一覧
https://web.archive.[...]
[43]
문서
Приказ Малыя Россия
[44]
문서
ルーシ人
[45]
웹사이트
''Довідник з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 За ред. І. Підкови та Р. Шуста. — Київ: Генеза, 1993.
http://history.frank[...]
[46]
웹사이트
Маланюк Є. Малоросійство. - 1959.
http://spilka.us.org[...]
[47]
웹사이트
Червак Б. Гоголь як дзеркало малоросійства // Українська првада. 01.04.2009ю
http://www.pravda.co[...]
[48]
웹사이트
Масенко Л. "Феномен малоросійства: Павло Скоропадський" (з книги "Мова і політика"), 2000.
http://www.interes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