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털머리타마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솜털머리타마린(S. oedipus)은 머리 털이 솜처럼 하얀 영장류로, 콜롬비아 북서부의 좁은 지역에 서식한다. 몸무게는 약 432g이며,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20.8–25.9cm이다. 솜털머리타마린은 과일과 곤충을 주로 먹으며 씨앗 확산자 역할을 한다. 주행성이며, 2~13마리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협력 육아와 이타적인 행동을 보인다. 솜털머리타마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불법 거래가 주요 위협 요인이다. Proyecto Tití와 같은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마린속 - 흰입술타마린
- 타마린속 - 얼룩얼굴타마린
얼룩얼굴타마린은 몸집이 작아 사냥 대상이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일부는 애완동물로 길러지기도 한다. - 콜롬비아의 고유종 동물 - 메데인작은귀땃쥐
- 콜롬비아의 고유종 동물 - 브럼백올빼미원숭이
- 콜롬비아의 포유류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 콜롬비아의 포유류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솜털머리타마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 |
| 상태 | 멸종 위기 |
| 상태 기준 | IUCN 3.1 |
| 상태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details/19823/0 |
| CITES | 부록 I |
| CITES 참고 |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
| 학명 | Saguinus oedipus |
| 명명자 | (Linnaeus, 1758) |
| 이명 | Simia oedipus Linnaeus, 1758 |
| 한국어 이름 | 와타보우시타마린 |
| 영어 이름 | Cotton-head tamarin Cotton-top Cotton-top pinché Cotton-top tamarin |
| 일본어 이름 | 와타보우시타마린 |
![]() | |
| 구글 지도 검색어 | 솜털머리타마린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소목 | 광비원소목 |
| 과 | 오마키원숭이과 |
| 아과 | 마모셋아과 |
| 속 | 타마린속 |
| 종 | 솜털머리타마린 |
| 신체적 특징 | |
| 무게 | 0.5 kg (1.1 lb) |
| 기타 | |
| 참고 | 절멸 위기 동물 |
2. 분류 및 명칭
솜털머리타마린(''S. oedipus'')은 영어로 "솜털머리타마린"(cotton-top tamarin) 또는 "솜털머리타마린"(cotton-headed tamarin)으로 불린다. 이 이름은 머리 전체를 덮고 목까지 내려오는 흰 털에서 유래했다.[6] 스페인어로는 ''bichichi, tití pielroja, tití blanco, tití cabeza blanca|bichichi, tití pielroja, tití blanco, tití cabeza blancaes'' 또는 ''tití leoncito|tití leoncitoes''라고 불린다.[43][10] 독일어권에서는 Lisztaffe|리스트 원숭이de라고 흔히 부르는데, 이는 머리 털이 프란츠 리스트의 머리 모양과 닮았기 때문이다.[2]
솜털머리타마린은 비단원숭이과에 속하며, 평균 몸무게는 432g이다.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20.8cm에서 25.9cm 사이이고, 꼬리는 약 33cm에서 41cm로 몸통보다 약간 더 길다.[28] 이 종은 성적 이형성이 없으며, 수컷과 암컷의 크기와 몸무게가 비슷하다.[10]
솜털머리타마린은 콜롬비아 북서부의 좁은 지역에 한정되어 서식한다. 남쪽과 동쪽으로는 카우카 강과 마그달레나 강 사이, 북쪽으로는 대서양 연안, 서쪽으로는 아토라토 강에 서식지가 한정된다.[43] 이들은 콜롬비아에서만 발견되며, 서식지의 98%가 파괴되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 전체가 솜털머리타마린에게 적합했지만, 삼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감소로 인해 조각난 공원과 보호 구역에서 생존하고 있다. 솜털머리타마린에게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는 460000ha의 1차 및 2차 숲으로 구성된 파라밀로 국립 공원이다.[43]
솜털머리타마린은 주로 과일(40%)과 동물성 물질(40%)을 먹는다.[19] 곤충, 검과 수액 같은 식물 삼출액, 꿀, 때때로 파충류와 양서류도 먹이에 포함된다. 몸집이 작고 음식 통과 속도가 빨라 고품질 고에너지 식단을 섭취해야 한다. 곤충 식성이 흔하며, 숨어 다니기, 덮치기, 쫓기, 구멍 탐사, 잎 뒤집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곤충을 사냥한다.[21]
열대 우림과 이차림, 드문드문 있는 숲 등에 서식하는[54][57] 주행성 동물이다.[57] 8-10헥타르의 행동권 내에서 생활하며,[57] 주로 암수 한 쌍과 어린 개체로 이루어진 1-19마리의 가족군을 형성하지만,[54] 행동권 내에 어린 개체나 다른 무리에서 침입한 젊은 개체로 이루어진 무리도 형성한다.[57]
이 종은 1758년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처음 기술했으며, ''Simia oedipus''로 명명했다.[30] 린네가 종명으로 선택한 ''oedipus''는 "부은 발"을 의미하지만, 이 종은 특별히 큰 발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그가 왜 이 이름을 선택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린네는 종종 특별한 근거 없이 신화에서 이름을 선택했으며, 오이디푸스의 이름을 다소 임의적으로 사용했을 수 있다.[5]
1977년 필립 허쉬코비츠는 털 색상 패턴, 두개골 및 하악골 형태, 귀 크기를 기반으로 종에 대한 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했다. 그는 제프루아타마린(''S. geoffroyi'')을 ''S. oedipus''의 아종으로 분류했다.[18] 그러나 이후 Hernández-Camacho와 Cooper(1976),[27] 러셀 미터마이어와 Coimbra-Filho(1981),[18] 그리고 Grooves(2001)는[15] ''S. oedipus''와 ''S. geoffroyi''를 별개의 종으로 간주한다.
Thorington(1976) 등 일부 연구자들은[18] ''S. oedipus''가 제프루아타마린보다 흰발타마린(''S. leucopus'')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는 Hanihara와 Natoria의 치아빗 치아 형태 분석(1987)과 Skinner(1991)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18]
이 흰머리타마린 종은 흰발타마린과 같은 다른 아마존 분지 형태와 분기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털 색상 패턴의 변화와 두 종 간의 유사한 유년기-성인기 전환에 대한 형태학적 고려를 통해 뒷받침된다.[28] 허쉬코비츠는 두 종의 분리가 홍적세에 카우카-마그달레나 강이 교차하는 아트라토 강의 높이에서 일어났다고 제안했다. 당시 이 지역은 바다로 덮여 있었고, 이는 이소종 분화를 유발하는 지리적 장벽을 만들었다. 오늘날 두 종은 주로 아트라토 강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28]
3. 형태

솜털머리타마린은 이마에서 목덜미까지 어깨 위로 흐르는 흰색 털로 이루어진 긴 시상 능선을 가지고 있다. 얼굴 피부는 검은색이며 눈 위에 회색 또는 흰색 띠가 있다. 이 띠는 얼굴 가장자리를 따라 턱까지 이어진다.[16] 타마린은 일반적으로 얼굴 특징에 따라 털이 많은 얼굴, 얼룩덜룩한 얼굴, 털이 없는 얼굴의 세 그룹으로 나뉘는데, 솜털머리타마린은 얼굴을 덮고 있는 가는 흰색 털이 너무 가늘어서 맨얼굴처럼 보여 털이 없는 타마린으로 간주된다. 아래쪽 송곳니는 앞니보다 길어서 엄니처럼 보인다.[21] 다른 비단원숭이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솜털머리타마린은 턱 양쪽에 세 개의 어금니가 아닌 두 개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다.[43]
솜털머리타마린은 손바닥과 발바닥, 눈꺼풀, 콧구멍 가장자리, 젖꼭지, 항문, 음경을 제외한 모든 신체 부위를 덮고 있는 털을 가지고 있다. 등은 갈색이고, 하체, 팔, 다리는 흰색-노란색이다. 엉덩이와 안쪽 허벅지, 윗꼬리는 붉은 오렌지색이다. 털은 몸 전체에 걸쳐 다양한 밀도로 분포되어 있다. 생식기 부위(음낭 및 치골 부위), 겨드랑이, 꼬리 기저부의 밀도가 낮고, 앞쪽 부위의 밀도는 훨씬 높다. 많은 개체는 목에 눈에 띄는 색상의 줄무늬 또는 소용돌이 모양의 털을 가지고 있다. 솜털머리타마린은 또한 이마와 입 주변에 수염을 가지고 있다.[28]
몸길이는 24~30센티미터이며,[57] 체중은 0.4~0.6킬로그램이다.[56] 머리 꼭대기의 솜털은 어깨까지 뻗어 있지만(관모),[54] 얼굴은 짧은 털로 덮여 있다.[57] 일본어 이름은 관모에서 유래되었으며,[54] 영어 이름(Cotton-top = 면 앞머리라는 뜻)과 독일어 이름 Lisztaffe(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처럼 보인다)도 관모에서 유래되었다.[56] 머리와 얼굴의 털은 흰색이다.[55][57] 목에서 어깨까지의 털은 밝은 갈색이다.[56] 등쪽의 털은 황갈색 또는 회황색이다.[56] 배면과 사지의 털은 흰색 또는 황백색이다.[55][56][57] 꼬리의 털은 기부와 그 주변이 붉은 주황색 또는 갈색이고, 끝은 검은색이다.[55][57] 얼굴과 귓바퀴의 피부는 검고, 귓바퀴에는 털이 없어 노출되어 있다.[57]
4. 서식지 및 분포
솜털머리타마린은 서식지 남쪽의 습한 열대 우림부터 북쪽의 열대 건조림까지 1차림과 2차림 모두에서 발견된다. 해발 400m 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1500m까지 발견된 적이 있다.[43][27] 열대 우림의 하층을 선호하지만, 땅에서 먹이를 찾거나 하층 식생과 수관 사이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숲 조각에 적응할 수 있으며 비교적 교란된 서식지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건조림에는 뚜렷한 계절이 있다. 12월에서 4월 사이는 건조하고, 8월에서 11월 사이에는 폭우가 내려 숲 바닥이 범람할 수 있다. 서식지 전체에서 연간 강수량은 500mm에서 1300mm 사이로 다양하다.[10]
5. 생태
열대 생태계에서 씨앗 확산자 역할을 한다. 더 큰 영장류가 더 큰 씨앗을 먹는 반면, 타마린은 더 작은 씨앗을 먹는다. 배출된 씨앗은 다른 씨앗보다 발아율이 높으며, 더 큰 씨앗을 섭취하면 장내 기생충을 제거하고 배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0]
주행성 동물이며, 잎이 무성한 나무에서 사회적 무리와 함께 잠을 잔다. 무리는 해가 뜨고 한 시간 후에 함께 잠자는 나무를 떠나 하루 종일 먹이를 찾고, 쉬고, 이동하고, 털을 다듬는다.[10][34] 늦게 일어나 해 질 녘 전에 먹이 찾기와 이동 속도를 높여 땅거미 및 야행성 포식자를 피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요 포식자로는 맹금류, 족제비과, 고양이과, 뱀 등이 있다.[44][46] 잠재적 포식자를 항상 경계하며 극도로 주의한다. 무리가 휴식을 취할 때 한 개체가 떨어져 나가 망을 보며 위협을 감지하면 무리에게 경고한다.[10]
사육 상태에서 최대 24년까지 살 수 있으며, 야생에서의 수명은 평균 13년이다.[10] 열대 우림에 서식하지만[54], 이차림이나 드문드문 있는 숲 등에도 서식한다.[57] 8-10헥타르의 행동권 내에서 생활하며,[57] 주로 암수 한 쌍과 어린 개체로 이루어진 1-19마리의 가족군을 형성하여 생활하지만,[54] 행동권 내에 어린 개체나 다른 무리에서 침입한 젊은 개체로 이루어진 무리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57]
동물성 경향이 강한 잡식성으로[54], 곤충, 수지, 꽃, 과실 등을 먹는다.[57]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한 번에 2마리의 어린 개체를 연 2회에 걸쳐 낳으며,[57] 수컷도 육아를 한다.[57]
6. 행동
잡식성이지만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며,[54] 곤충, 수지, 꽃, 과실 등을 먹는다.[57] 번식 형태는 태생으로, 한 번에 2마리의 새끼를 연 2회 낳으며,[57] 수컷도 육아에 참여한다.[57]
6. 1. 사회 체계
솜털머리타마린은 매우 사회적인 영장류로, 보통 2~9마리, 많게는 13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43][34][40] 이 가족 무리는 크기와 구성원이 유동적이며, 무리 안에는 항상 뚜렷한 우열 관계가 있다. 무리의 우두머리는 번식 쌍인데, 이 쌍은 보통 일부일처제 관계를 맺으며 무리를 이끈다.[40]
우세한 쌍만이 무리에서 번식하며, 암컷은 대개 번식하는 수컷보다 우위에 있다. 번식하지 않는 무리 구성원은 지배적인 쌍의 자손일 수도 있지만, 다른 곳에서 온 성체가 함께 생활하며 협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집단화는 포식 압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45] 솜털머리타마린은 다른 무리 구성원에게 이익이 되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며,[14] 특히 무리의 어린 개체들이 우두머리 쌍의 새끼를 키우는 협력 육아에 참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두머리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보다 일란성 쌍둥이를 낳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한 쌍만으로는 새끼를 키우는 데 힘이 부칠 수 있다.[41]
무리 안의 어린 암컷들의 번식을 막기 위해, 우두머리 암컷은 페로몬을 사용한다. 이는 성적 행동을 억제하고 사춘기를 늦춘다.[39][26] 무리에 합류하는, 혈연 관계가 없는 수컷은 이러한 억제를 풀어줄 수 있는데, 이 때문에 무리의 여러 암컷이 임신할 수 있지만, 보통 한 번의 임신만 성공적으로 이어진다.[42]
열대 우림에 주로 서식하지만,[54] 이차림이나 드문드문 있는 숲 등에도 서식한다.[57] 주행성이며,[57] 8-10헥타르의 행동권 안에서 생활한다.[57] 주로 암수 한 쌍과 어린 개체로 이루어진 1-19마리의 가족군을 이루어 생활하지만,[54] 행동권 안에 어린 개체나 다른 무리에서 침입한 젊은 개체로 이루어진 무리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57]
잡식성이지만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며,[54] 곤충, 수지, 꽃, 과실 등을 먹는다.[57]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한 번에 2마리의 새끼를 연 2회 낳으며,[57] 수컷도 육아에 참여한다.[57]
6. 2. 협력 육아
솜털머리타마린은 우세한 번식 쌍의 새끼를 돌보는 데 있어 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는 협동 번식(Cooperative Breeding)을 한다. 부모, 형제자매, 다른 곳에서 이주해 온 성체들은 번식 쌍의 새끼 양육을 함께 한다. 여기에는 아기를 안아주고, 보호하고, 먹이를 주고, 위로하고, 심지어 집단의 어린 새끼들과 함께 놀이 행동을 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솜털머리타마린은 유아 돌봄에 있어 높은 수준의 부모의 투자를 보인다. 특히 아버지인 수컷은 암컷보다 더 많은 양육에 참여한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컷과 암컷 유아 모두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접촉과 근접성을 선호한다.[12] 수컷은 집단의 우세한 암컷의 호의를 얻기 위해 구애의 형태로 새끼 양육에 추가적인 지원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아기를 안아주는 데 소비한 시간이 수컷의 전체적인 교미 빈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증거가 있다.[47]
집단 내에서 단 한 마리의 암컷만 번식하기 때문에, 유아 돌봄에 대한 많은 투자는 모든 새끼가 독립할 때까지 생존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솜털머리타마린은 집단의 새끼를 돌보기 위해 많은 비용을 부담한다.[47][38] 수컷 운반자, 특히 아버지인 운반자는 집단의 새끼를 위해 큰 에너지 비용을 치른다. 이러한 부담은 일부 수컷 솜털머리타마린이 전체 체중의 최대 10–11%까지 잃게 할 수 있다.[4] 과도한 체중 감소는 아기 운반이 운반자의 먹이 섭취 능력을 방해하기 때문에 음식 섭취 감소로 발생할 수 있다. 수컷 운반자의 체중 감소와 음식 섭취 감소 추세는 우세한 암컷의 배란 전 기간과 대조적이며, 이 기간 동안 암컷은 자신의 음식 섭취를 늘리고 아기 운반 의무를 줄인 후 체중이 증가한다.[38]
6. 3. 이타성
솜털머리타마린(면털머리타마린)의 수컷이 육아에 참여하는 것은 이타성을 보이는 행동으로 보이지만, 우두머리 수컷의 경우 유전자 중심의 이기적인 이유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수컷이 겪는 체중 감소와 먹이 획득 능력 저하는 결과적으로 우세한 암컷의 지속적인 임신을 유도하여 수컷의 유전자를 가진 더 많은 자손을 낳게 한다.[38] 또한, 솜털머리타마린의 협력 번식은 집단의 크기와 부모의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처음 육아에 참여하는 수컷은 경험 많은 수컷보다 유아를 더 오래 안고 다니며, 작은 집단에서는 조력자가 더 많은 일을 하는 큰 집단보다 수컷이 유아를 안고 먹이를 주는 비율이 더 높다. 유아에 대한 전체적인 돌봄은 집단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유아의 성장 결과는 양육 경험 수준이 다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48]
협력 번식 가설에 따르면, 솜털머리타마린은 어린 새끼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친사회적 행동 패턴을 보인다.[14] 이들은 유아를 돌보고, 경고 신호를 보내며, 음식을 공유하는 등 집단 내에서 이타적으로 행동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솜털머리타마린이 상호 이타성에 참여할 수 있는 심리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만,[24] 이들이 오로지 강화 이력에 대한 판단만을 사용하여 행동하는지는 불분명하다.[25]
다른 연구들은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상호 이타주의가 이 영장류의 친사회성과 관련이 없음을 시사한다.[14] 일부 연구자들은 이 영장류가 이기적인 이유와 자신에게 약간의 이익이 되는 상황에서 협력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즉, 솜털머리타마린의 협력은 진정한 이타주의보다는 상호주의로 설명될 수 있다.[25]
사육 환경의 타마린은 협력 경향과 과거 행동을 바탕으로 다른 개체를 구별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솜털머리타마린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미래의 협력을 결정한다. 짧은 기간의 배반은 이 영장류와 협력자 간의 빠르고 돌이킬 수 없는 관계 단절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솜털머리타마린은 잠재적 협력자의 예상되는 이익을 기반으로 경제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25]
6. 4. 앙갚음과 공격성
솜털머리타마린은 다양한 이타적 행동을 보이지만, 부정적 상호 작용과 처벌을 통해 상당한 양의 앙갚음을 한다. 이들은 자신들에게 이익을 거부하는 원숭이들과 즉시 협력을 거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25] 또한, 사육 상태에서 이 영장류는 완전히 협력하는 동료에게 이타적 행동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솜털머리타마린과 같은 협력적인 사회에서 반복적인 상호 작용이 개체가 집단 내 다른 구성원에게 행동적 처벌을 가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믿는다.[13] 이러한 반응은 다른 종에서도 관찰되었다.[23] 그러나 이러한 상호 처벌, 또는 이타적 행동의 상대적 부족은 다른 개체가 유사한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한 후 솜털머리타마린이 다른 영장류를 처벌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반응 촉진의 결과로 발생할 수도 있다.[7]
솜털머리타마린의 처벌은 집단 내, 집단 간, 그리고 종 간의 공격적 행동 반응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많은 마모셋, 다른 타마린, 특히 속 ''사구이누스''(Saguinus)에 속하는 솜털머리타마린은 동성(同性) 원숭이에게 거의 독점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29] 이러한 동성 간의 공격 행동은 암컷에게서 더 빈번하게 나타나며, 번식 암컷이 준성체 및 성체 암컷 모두를 가족 집단에서 이주하도록 강요할 때 매우 중요하다.[34]
공격성은 집단 내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다른 종의 침입자에 대한 반응은 훨씬 더 극심하며, 과시 행동에 성적 이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암컷은 일반적으로 냄새 표시 침입자 대응 전술을 사용하고, 수컷은 위협적인 발성, 신체적 공격, 입모를 더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다.[20] 솜털머리타마린의 냄새 표시는 항문 생식기 냄새 표시 또는 치골 위 냄새 표시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위협 신호에 이 두 개의 별도 샘 영역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암컷이 이러한 표식의 차별적 사용을 통해 서로 다른 진화적 위협을 개발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20] 이러한 다양한 신호는 영토적 조우를 알리거나 생식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암컷의 위협 강도는 일반적으로 성별에 관계없이 침입자에게 향할 때 유사하다. 반대로, 수컷 솜털머리타마린은 암컷보다 동성 수컷에게 훨씬 더 위협적이다.[20]
6. 5. 의사 소통
솜털머리타마린은 새와 같은 휘파람 소리, 부드러운 지저귐 소리, 고음의 떨림 소리, 스타카토 소리로 의사소통한다. 연구자들은 38가지의 뚜렷한 소리로 이루어진 솜털머리타마린의 발성이 문법 규칙을 따르는 등 매우 정교하다고 묘사한다.[11] 1982년 제인 클리블랜드와 찰스 스노든은 솜털머리타마린의 발성 레퍼토리를 분류하기 위해 심층적인 특징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솜털머리타마린은 메시지를 다양하게 나타내는 짧고 주파수 변조된 "짹짹거림"의 8가지 음성 변형과 5가지의 더 긴 일정 주파수 "휘파람"으로 구성된 단순한 문법을 사용한다고 결론지었다. 이 소리들 중 일부는 솜털머리타마린이 음성 형태 구문론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소리는 어휘 구문론 사용의 예시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11]
각 소리 유형에는 문자 기호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C 소리는 음식을 찾는 것과 관련이 있고, D 소리는 먹는 것과 관련이 있다.[8] 이러한 소리는 듣는 쪽의 청각적 위치 정보를 더 잘 전달하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11] 솜털머리타마린은 이러한 다양한 발성을 사용하여 의도, 사고 과정, 호기심, 두려움, 당황, 놀이, 경고, 기쁨, 새끼에 대한 호출 등 다양한 감정을 서로 소통한다.[35]
6. 5. 1. 언어 습득
생후 20주까지 솜털머리타마린은 성체 원숭이가 낼 수 있는 다양한 발성을 완전히 만들어내지 못한다. 이러한 발성 능력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언어 습득이 언어 이해 능력의 발생과 함께 초기에 일어난다고 믿고 있다.[8] 유아는 때때로 성체와 유사한 소리를 낼 수 있지만, 이는 드물게 올바른 맥락에서 이루어지며 생후 20주 동안 일관성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아 솜털머리타마린은 성체의 소리에 제시될 때 다양한 맥락에 행동적으로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는 언어적 인식이 새끼에게 빠르게 습득되는 기술이며, 그 뒤를 청각적 이해, 그리고 적절한 발성 능력이 따른다는 것을 나타낸다.[8]
Castro와 Snowdon(2000)의 연구에 따르면, 솜털머리타마린 유아는 성체의 전체 발성 범위에서 볼 수 없는 발성 구조를 가진 전형적인 소리를 주로 낸다고 한다. 유아는 다양한 맥락에서 다른 소리를 사용하는 성체를 모방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유아의 전형적인 소리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성체 솜털머리타마린은 유아가 있을 때 내는 경고 소리의 양을 현저하게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이는 어린 개체 밀집 지역에 포식자의 주의를 끌지 않도록 가까이 있는 성체가 적응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유아는 포식자가 있을 때 자신의 전형적인 소리를 줄인다. 유아가 성체의 소리 행동을 따라 하는지 또는 위험을 이해하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어린 솜털머리타마린이 미성숙한 언어 생성에도 불구하고 의미론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8]
Castro와 Snowdon(2000)은 언어 습득이 생성 이전에 이해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는 생각을 확인하기 위해, 유아가 청각 입력을 이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소리 내는 성체에 행동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성체가 음식 선호도를 나타내고 음식원으로 이동할 때 사용되는 C-소리를 내면, 유아는 먹이를 먹기 위해 성체 발성자에게 다가가지만, C-소리의 대용으로 전형적인 소리를 사용하지 않는다.[8] 이러한 발견은 유아가 먼저 발성을 이해하고, 나중에 성체의 발성으로 소통하는 능력을 습득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6. 5. 2. 일반적인 호출
솜털머리타마린의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주요 발성은 조합 긴 호출(CLC)과 경고 호출(AC)이다.[11][49] CLC는 짹짹거림과 휘파람 소리를 이용해 고립된 개체가 내는 일련의 접촉 호출을 말한다.[11][49] 이 호출은 이타적인 경고 목적으로도 사용되어 협동 행동을 돕는다. 솜털머리타마린의 포식자로는 뱀, 오셀롯, 타이라, 매 등이 있는데,[45] 위협적인 포식자가 나타나면 친족이 있는 곳에서 경고 호출을 보낸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조류 포식자와 지상 포식자를 구별하는 다양한 경고 호출을 낼 수 있다.[34]
CLC는 복잡한 여러 음절로 구성된 소리를 낸다. 연구자들은 긴 호출이 개체마다 차이가 있어, 소리를 듣는 쪽에서 누가 소리를 내는지 알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보를 전달한다고 보았다. 습관화-구별 패러다임을 사용한 실험에서 이 가설이 여러 번 확인되었다.[49][50] 그러나 CLC 발성을 구성하는 각각의 음절은 따로 떼어놓고 보면 원숭이들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할 만큼 충분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솜털머리타마린이 CLC를 인식할 때, 발성 전체를 하나의 단위로 받아들인다고 본다.[31] 이는 솜털머리타마린의 의사소통에 어휘 구문이 사용됨을 보여준다.
타마린은 AC를 통해 포식 위협을 구별할 수 있으며, 소리를 듣는 쪽에서는 이 의사소통 방식에서 다양한 복잡한 신호를 파악한다. 솜털머리타마린은 주로 경고 호출의 차이를 통해 협력하는 타마린이 누구인지 알 수 있다.[45] 또한, 성체는 AC를 통해 소리를 낸 타마린의 성별을 구별하고, 관련된 타마린의 경고 호출 레퍼토리 내에서 호출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45] 경고 호출을 통한 식별은 솜털머리타마린에게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AC 수신자는 협력하는 타마린을 식별하고,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AC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위험의 정도와 개체 및 집단의 위험 수준을 통계적으로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45]
또한, 청각 신호의 위치를 파악하면 포식자의 위치를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되며, 특히 집단 내 다른 타마린의 두 번째 AC가 있을 때 더욱 그렇다. 이는 포식자의 존재와 종류(예: 조류 또는 지상형)를 확인하고, 수신자가 포식자의 위치를 삼각 측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솜털머리타마린의 협력적인 번식 집단 상황에서, 이는 집단 구성원들이 위험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45] 예를 들어, 호출을 들은 타마린은 위험에 처한 친족과 그렇지 않은 친족(예: 어린 자손, 배우자, 하위자, 친척 등)을 구별하고, 이후 행동을 계획할 수 있다.
6. 5. 3. 음식 호출
솜털머리타마린은 먹이가 있을 때 선택적이고 특화된 소리를 낸다.[17] 여기에는 솜털머리타마린이 음식에 접근하여 분류할 때 내는 C-콜과 음식 획득과 관련되어 먹는 동안 나타나는 D-콜이 포함된다.[11]
C-콜 지저귐은 음식 선호도를 전달하는 정직한 신호로 여겨지며, 솜털머리타마린은 선호하는 음식원에 접근할 때 이러한 지저귐을 더 자주, 더 빠르게 소리 낸다. 기능적으로 이 행동은 다른 타마린에게 발신자가 먹이를 먹는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할 것이고, 선호하는 음식원이 있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17] 이러한 연구는 음식 호출이 동료 집단 구성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다른 솜털머리타마린 관찰 결과에 따르면 음식의 양과 분배 및 청중은 발신자의 음식 중심 소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7]
솜털머리타마린은 집단 구성원이 있거나 없을 때 모두 음식 호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7] 또한, 음식 호출에 대한 반응은 음식원의 시각적 확인과는 상관없이 원래 발신자에게 되돌아간다. 이것은 매우 원시적인 형태의 의사소통의 결과로 보일 수 있지만, Roush와 Snowdon (2005)는 음식 호출 행동이 수신 타마린에게 음식에 대한 정신적으로 표현 가능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7. 보존 상태
야생 개체수는 약 6,000마리로 추정되며, 성체는 2,000마리 정도이다.[43] 이 종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25종"에 등재되었다.[32] 그러나 2012~2014년 간행물에는 선정되지 않았다.[33]
주요 멸종 위협은 삼림 벌채로 인한 서식지 파괴이다. 솜털머리타마린은 원래 서식지의 4분의 3 이상을 잃었고,[43] 저지대 숲은 역사적 범위의 5%로 줄어들었다. 이는 대규모 농업(소 사육 등), 벌목, 기름 야자 농장, 수력 발전 프로젝트 등으로 인해 솜털머리타마린의 서식지가 파편화되었기 때문이다.[9]
IUCN은 불법 애완동물 거래와 과학 연구 또한 멸종 위기 요인으로 지목했다. 최근 생물 의학 연구에서의 사용은 제한되었지만, 불법 포획은 여전히 큰 위협이다.[3] 1976년 이전에는 생물 의학 연구를 위해 솜털머리타마린이 수출되기도 했으나, CITES가 이 종을 부록 I에 등재하면서 모든 국제 거래가 금지되었다.
사육 상태의 솜털머리타마린은 대장염에 취약하며, 이는 특정 유형의 결장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 과거 최대 40,000마리가 인간의 질병 및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연구를 위해 포획, 수출되었다. 현재는 국제법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사육 개체수가 충분하여 종 유지는 가능하지만, 야생에서는 여전히 심각한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9]
1985년, 솜털머리타마린과 콜롬비아 북부 서식지 보존을 위한 Proyecto Tití(타마린 프로젝트)[36]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장 연구, 교육, 지역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멸종 위기 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호 활동 참여를 장려하며, 현재 야생동물 보전 네트워크와 협력하고 있다.[51]
8. 보존 노력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과거 애완용 및 실험용으로의 남획으로 인해 솜털머리타마린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57] 야생 개체수는 1,000마리 이하로 추정되며,[58] "세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놓인 영장류 25종(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중 하나로 꼽힌다.[59]
참조
[1]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2]
문서
German Wikipedia article
:de:Lisztaffe
2023-09-01
[3]
뉴스
Rare monkey twins born at Chester Zoo
https://www.bbc.com/[...]
BBC
2024-08-09
[4]
논문
Costs of caregiving: weight loss in captive adult male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following the birth of infants
[5]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백과사전
Pinché tamarin
Marshall Cavendish
[7]
서적
Behavior and Evolu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논문
Development of vocal responses in infant cotton-top tamarins
[9]
웹사이트
Primate Factsheets: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Conservation
http://pin.primate.w[...]
Wisconsin Primate Research Center (WPRC) Library
2013-03-05
[10]
웹사이트
Primate Factsheets: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Taxonomy, Morphology, & Ecology
http://pin.primate.w[...]
Wisconsin Primate Research Center (WPRC) Library
2012-11-19
[11]
논문
The complex vocal repertoire of the adult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oedipus'')
[12]
논문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first twenty weeks in the cotton-top tamarin (''Saguinus o. oedipus'')
[13]
논문
Punishment in animal societies
[14]
논문
Prosocial behaviour emerges independent of reciprocity in cottontop tamarins
[15]
서적
Primates of Colombia
CONSERVATION International
[16]
서적
Mammals of the Neotropics: The Central Neotropics: Ecuador, Peru, Bolivia, Braz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논문
Food-associated calls correlate with food preferences in cotton-top tamarins
[18]
서적
New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Mesoamerican Primates: Distribution,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Springer
[19]
서적
Primate Adaptation and Evolution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20]
논문
Sexual dimorphism in responses to unfamiliar intruders in the tamarin, ''Saguinus oedipus''
[21]
서적
Marmosets and Tamarins: Systematics, Behaviour, and E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2]
간행물
[23]
서적
The Genetic and Cultural Evolution of Cooperation
MIT Press
[24]
논문
Give unto others: Genetically unrelated cotton-top tamarin monkeys preferentially give food to those who altruistically give food back
[25]
논문
Evolving the ingredients for reciprocity and spite
[26]
논문
Fertility status, dominance, and scent marking behavior of family-housed female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in absence of their mothers
[27]
서적
Neotropical Primates: Field Studies and Conservatio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8]
서적
Living New World Monkeys (Platyrrhini): with an Introduction to Primat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논문
Parent-offspring conflict and sibling competition in a monogamous primate
http://si-pddr.si.ed[...]
[30]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https://books.google[...]
Holmiae (Laurentii Salvii)
[31]
서적
Cognitive Animal: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n Animal Cognition
MIT Press
[32]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33]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12–2014
http://www.conservat[...]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2013-03-04
[34]
서적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Callitrichidae
http://pats-eduent.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35]
웹사이트
Cotton-top Tamarin
https://www.oaklandz[...]
Oakland Zoo
2012-06-20
[36]
웹사이트
Proyecto Tití
http://proyectotiti.[...]
Proyecto Tití
2013-05-29
[37]
논문
Food transfer and development of feeding behavior and food-associated vocalizations in cotton-top tamarins
[38]
논문
Costs of infant-carrying in the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39]
논문
Sociosexual development, pair bond formation, and mechanisms of fertility suppression in female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oedipus'')
[40]
논문
Demography, group composition, and dispersal in wild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groups
[41]
서적
Adaptive Radiations of Neotropical Primates
Plenum Press
[42]
논문
Reproductive events of wild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in Colombia
[43]
웹사이트
Saguinus oedipus (amended version of 2020 assessment)
https://www.iucnredl[...]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04-06
[44]
서적
Ecology and Behavior of Neotropical Primates
World Wildlife Fund
[45]
논문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alarm calls contain sufficient information for recognition of individual identity
[46]
서적
Primate Ecology and Social Structure. Volume 2, New World Monkeys
Pearson Preston Hall
[47]
논문
Is infant-carrying a courtship strategy in callitrichid primates?
[48]
논문
Variations in care for cottontop tamarin, ''Saguinus oedipus'', infants as a function of parental experience and group size
[49]
논문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long calls by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acoustic analyses and playback experiments
[50]
논문
Perception of harmonics in the combination long call of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51]
웹사이트
Cotton-top Tamarin Conservation
http://wildlifeconse[...]
Wildlife Conservation Network
2013-05-29
[52]
웹사이트
CITES homepage and Appendices I, II and III
http://www.cites.org[...]
[53]
웹사이트
Saguinus oedipus
http://www.iucnredl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3-07-01
[54]
서적
原色ワイド図鑑3 動物
学習研究社
[55]
서적
動物大百科3 霊長類
平凡社
[56]
논문
サルの分類名(その6:マーモセット科)
[57]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3 中央・南アメリカ
講談社
[58]
웹사이트
ワタボウシタマリンとは?希少サルを紹介【絶滅動物シリーズ】
https://ecotopia.ear[...]
浜屋
2019-02-27
[59]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CI)
[60]
간행물
''Saguinus oedipus'' (Linnaeus, 1758) 목화머리타마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