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맹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맹경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13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대마도의 동향을 파악하고 보고하는 등 국방에 기여했으며, 회령부사, 의주목사 등을 거치며 지방관으로 활동했다. 1565년 사망했으며, 1553년 실록의 사관에게 탐욕스러운 지방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면앙 송순 등과 교류했으며, 국방과 민생 안정에 힘쓴 인물로 평가받는다.

2. 생애

송맹경은 경기도 광주 출신으로, 1513년(중종 8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1517년 부친상으로 잠시 관직을 떠났다가 1519년 복귀하였다.

초기에는 주로 내직(內職)에 머물렀으나, 이후 외직(外職)으로 나가 여러 지역의 목사, 부사등 수령을 맡았다. 1540년(중종 35년)에는 병조에서 장수(將師)감으로 천거되었고, 대마도의 동태를 파악하고 보고하는 등 국방에 힘썼다.[3] 1541년(중종 36년) 절충장군으로 승진, 제포 첨절제사에 임명되었다.[4] 1544년(인종 1년) 가선대부에 올랐다.

1546년(명종 2년) 노모 봉양을 위해 사직을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1547년(명종 2년) 어머니가 직접 상언을 올려 아들의 체직을 요청했으나 의주의 중요성 때문에 거절되었다.[6] 1553년(명종 8년)에는 실록의 사관에게 탐욕스러운 지방관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1565년(명종 20년) 사망하였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송맹경은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부안현감을 지낸 송관(宋觀)이고, 할아버지는 증 사복시정과 증 승정원좌승지에 추증된 송윤은이다. 아버지는 정주목사를 지내고 증 병조참판에 추증된 송수(宋壽)이고, 어머니는 광주이씨로 의정부좌찬성을 지낸 이극돈의 딸이다.

1513년(중종 8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바로 선전관이 되었고, 1517년 부친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직했다. 1519년 3년상을 마치고 복귀하여 도총부 총관, 황주목사 등을 역임했다.[1]

2. 2. 관직 생활

1528년(중종 23년) 형조정랑, 순천군수를 거쳐 1533년(중종 28년) 숙천부사, 한성부서윤, 장흥부사를 역임했다.[1] 1538년(중종 33년) 길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사간원의 반대로 취소되었다.[1] 1540년(중종 35년) 병조에서 장수에 적임자로 천거되었으며,[2] 대마도의 동태를 파악하고 보고하는 등 국방에 힘썼다.[3] 1541년(중종 36년) 절충장군으로 승진, 제포 첨절제사에 임명되었다.[4] 1542년(중종 37년) 경상좌도수군절도사, 1543년(중종 38년) 첨지중추부사를 거쳤다.[5]

1544년(인종 1년) 가선대부로 승진, 회령부사를 역임했다. 1546년(명종 2년) 노모 봉양을 위해 방어사직에서 사직을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547년(명종 2년) 의주목사가 되었으나, 우의정 정순붕의 반대로 노모 봉양을 위한 체직 요청이 거절되었다.[6] 1549년(명종 4년) 동지중추부사, 경상좌도수군절도사를 거쳐 병조참판이 되었다. 1551년(명종 6년) 첨지중추부사를 거쳐[7] 지방관으로 부임했다. 1553년(명종 8년) 실록의 사관에게 탐욕스럽고 거짓된 지방관 중 한 명으로 비판받았다.[8]

1560년(명종 15년) 행의흥위대호군이 되었다. 1561년(명종 16년) 회양부사로 부임했다.[9] 1563년(명종 18년) 임기 만료로 체직되었다.[9] 1564년(명종 19년) 동지중추부사, 첨지중추부사, 훈련원 도정, 겸 부총관, 내금위장, 겸 오위장 등을 역임했다. 1565년(명종 20년) 임소에서 사망하였다.

2. 3. 사후

왕명으로 장례가 치러졌으며, 그 해 5월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상대원리(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송윤은
아버지송수1470년 ~ 1517년
어머니광주 이씨의정부좌의정 이극돈의 딸
동생송숙경(宋叔璟)
양조카송희성(宋希聖)
동생송말경(宋末璟)
동생송범경(宋範璟)
동생송승경(宋承璟)
부인안동 권씨집의 권세형의 딸
아들송성(宋誠)
며느리한산 이씨관찰사 이언호의 딸
아들송눌(宋訥)미혼으로 요절
부인서산 류씨봉사 류형원의 딸, 효령대군의 3남 보성군의 서외손녀
사위우계 이씨 이용부 참판 광식(光軾)
사위칠원 윤씨 윤탁연1538년 5월 15일 ~ 1594년 5월 28일, 부 현감 윤이(尹伊)
외손자윤경원(尹慶元)
외손자윤길원(尹吉元)
사위이삼성(李三省)전주인, 부 부계(溥繼)
외손자이원서(李元瑞)가선
양자송희민(宋希敏)1556년 6월 7일 ~ 1617년 8월 2일, 6촌 송호(宋湖)의 아들
양며느리전주 이씨1534년 9월 7일 ~ ?년 1월 27일, 참봉 이중의(李重義)의 딸
양손자송일(宋逸)? ~ 1695년 12월 24일
양손부합천 백씨판관 백정홍(白廷弘)의 딸
양손녀사위윤상은(尹相銀)파평 윤씨
양손녀사위이일민(李逸民)전주 이씨
양손녀사위신욱(申煜)평산 신씨
이름 미상
서자송송(宋山+松)
외손녀사위김희려(金希呂)자 계남(系男)
서자송의생(宋義生)
서손자송상립(宋尙立)무과 부호군
서녀사위허문(許雨+文)참봉, 양천인
외손자허완(許日+宛)첨정
외손자허도(許悼)봉사
외손자허재(許日+栽)첨정
외손녀사위오영남(吳英男)주부
사위이무생(李茂生)전주인
외손자이징필(李澄泌)
외손녀사위유몽남(柳夢男)
외조부이극돈1435년1503년 2월 27일
장인권세형
장인이언호1477년 ~ 1519년


4. 평가

면앙 송순과 시문을 주고받았는데, 송순이 그에게 보낸 시 2수가 송순의 저서 면앙집에 실려 있다. 그밖에 소세양 등과도 교류하였다.

참조

[1] 실록 간원이 이극공·송맹경의 유임과 임천손 등의 체임을 아뢰자 임천손의 일은 윤허하지 않다 중종실록 1538-08-29
[2] 실록 병조가 장수에 합당한 사람들을 서계하다 중종실록 1540-05-07
[3] 실록 대마도에서 우리측의 배를 공격한 사건에 대한 대마 도주에게 보내는 서계 중종실록 1541-11-22
[4] 실록 송인수·이사증·송맹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중종실록 1541-07-05
[5] 실록 사간원이 안주의 축성하는 일 때문에 중신을 보낸 일을 아뢰다 중종실록 1543-12-29
[6] 실록 의주 목사 송맹경의 모친이 자식의 체직을 상언했으나 불허하다 명종실록 1547-08-21
[7] 실록 이준경·이찬·주세붕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명종실록 1551-12-06
[8] 실록 이준경이 젊은 무신으로 권반을 삼아 관방에 파견하도록 청하다 명종실록 1553-03-14
[9] 간행물 선생안 관동읍지(1871년) 회양부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