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94년은 동아시아에서 임진왜란이 지속되었고, 유럽에서는 앙리 4세가 파리에 입성하고 아홉 년 전쟁이 시작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조선은 평양 전투와 한산도 대첩에서 승리했으며, 일본에서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했다. 유럽에서는 수에즈 해전, 라 피르 전투,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공연 등이 있었고, 잉글랜드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배우로 활동했다. 주요 인물로는 구스타브 2세 아돌프, 니콜라 푸생 등이 태어났고, 정철, 틴토레토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594년 |
---|
2. 동아시아
임진왜란이 3년째 이어지면서 조선, 일본, 명나라 모두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있었다.
조선은 일본군의 침략에 맞서 힘겨운 싸움을 계속했다. 1월 3일 송유진의 난이 일어났고,[1] 4월 23일 제2차 당항포 해전이 벌어졌다.[1] 7월 2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였고,[1] 10월 16일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에게 승리하였다.[1] 11월 12일부터 12월 29일까지 장문호 해전이 있었다.[1]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을 계속 진행하고 있었다. 6월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하였고,[1] 10월 8일 (분로 3년 음력 8월 24일)에는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졌다.[6]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도록 각 사찰에 법령을 내렸다.[6]
명나라는 만력제가 조선에 원군을 파견하여 임진왜란에 개입하였다.[1] 7월 2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 만력제는 한산에게 대장경을 하사하였다.[1]
2. 1. 조선
임진왜란이 3년째에 접어들면서, 조선은 일본군의 침략에 맞서 계속 싸웠다. 1월 3일 송유진의 난이 일어났고,[1] 4월 23일 제2차 당항포 해전이 벌어졌다.[1] 6월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했고,[1] 7월 2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했다.[1] 10월 16일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에게 승리했으며,[1] 11월 12일부터 12월 29일까지 장문호 해전이 있었다.[1]2. 1. 1. 주요 사건
- 1월 3일 - 송유진의 난 발생[1]
- 4월 23일 - 제2차 당항포 해전 발발.[1]
- 6월 -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하다.[1]
- 7월 2일 -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다.[1]
- 10월 16일 -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다.[1]
- 11월 12일 ~ 12월 29일 - 장문호 해전 발발.[1]
- 10월 8일 (분로 3년 음력 8월 24일) -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지다.[6]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도록 각 사찰에 법령을 내리다.[6]
2. 1. 2. 인물
1594년에는 탄생한 인물에 대한 기록이 원본 문서에 나타나 있지 않다.2. 2. 일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시기로, 임진왜란이 계속 진행 중이었다. 6월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하였고,[1] 7월 2일에는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 10월 8일 (분로 3년 음력 8월 24일)에는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졌다.[2] 또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도록 각 사찰에 법령을 내렸다.[2]2. 2. 1. 주요 사건
- 1월 3일 - 송유진의 난 발생[1]
- 4월 23일 - 제2차 당항포 해전 발발.[1]
- 6월 -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1]
- 7월 2일 -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1]
- 10월 16일 -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1]
- 11월 12일 ~ 12월 29일 - 장문호 해전 발발.[1]
- 10월 8일 (분로 3년 음력 8월 24일) -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짐.[2]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도록 각 사찰에 법령을 내림.[2]
2. 2. 2. 인물
- 1월 1일 - 바르텔레미 비몽, 프랑스 선교사 (1667년 사망)
- 1월 7일 - 빈첸초 2세 곤차가, 이탈리아 공작이자 가톨릭 추기경 (1627년 사망)
- 1월 12일 - 그레게르 크라베, 노르웨이 총독 (1655년 사망)
- 1월 16일 - 마에다 토시츠네, 일본 무장 (1658년 사망)
- 1월 24일 - 피에르 드 마르카, 프랑스 주교이자 역사가 (1662년 사망)
- 2월 2일 - 필립 파월, 웨일스 순교자 (1646년 사망)
- 2월 5일 - 비아지오 마리니, 이탈리아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 (1663년 사망)
- 2월 16일 - 훌리아나 모렐, 스페인-프랑스 학자 (1653년 사망)
- 2월 19일 - 헨리 프레데릭, 웨일스 공, 제임스 1세와 덴마크의 앤의 장남 (1612년 사망)
- 2월 21일 - 요한 에른스트 1세, 작센-바이마르 공작, 독일 공작 (1626년 사망)
- 2월 26일 - 윌리엄 워즈워스, 미국 식민지 개척자 (1675년 사망)
- 3월 25일 - 마리아 테셀스샤데 비셔르, 네덜란드 시인이자 조각가 (1649년 사망)

- 4월 21일 -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1661년 사망)
- 4월 29일 - 사무엘 페어클로, 영국 목사 (1677년 사망)
- 5월 1일 - 존 헤인즈, 코네티컷 총독 (1653년 사망)
- 5월 9일 - 나사우-딜렌부르크의 루이 헨리 공, 30년 전쟁의 군 지도자 (1662년 사망)
- 5월 15일 - 졸름스-라우바흐의 소피,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요아힘 에른스트 변경백의 아내 (1651년 사망)
- 5월 29일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그라프 추 파펜하임, 30년 전쟁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야전 원수 (1632년 사망)
- 6월 3일 - 세자르 드 부르봉, 방돔 공작, 프랑스 귀족 (1665년 사망)
- 6월 11일 - 토마스 크롬웰, 아드글래스 백작, 영국 귀족 (1653년 사망)
- 6월 23일 - 토마스 티렐, 영국 판사이자 정치인 (1672년 사망)
- 6월 - 니콜라 푸생, 프랑스 화가 (1665년 사망)
- 7월 6일 - 바덴-두를라흐 변경백 프리드리히 5세 (1622–1659) (1659년 사망)
- 7월 10일 - 바르톨로메오 제나리, 이탈리아 화가 (1661년 사망)
- 7월 14일 - 베아트 알브레히트 폰 람슈타인, 독일 가톨릭 주교 (1651년 사망)
- 8월 4일 - 알렉산데르 루드비크 라지비우, 폴란드 귀족 (1654년 사망)
- 8월 5일 - 스테파노 두라초, 이탈리아 추기경 (1667년 사망)
- 8월 16일 - 인열왕후, 조선의 왕비 (1636년 사망)
- 9월 13일 - 프란체스코 마넬리, 이탈리아 작곡가 (1667년 사망)
- 9월 30일 - 앙투안 지라르 드 생-아망, 프랑스 시인 (1661년 사망)
- 10월 4일 - 요한 샤터르, 네덜란드 황금 시대 하를렘 시민군 단원 (1673년 사망)
- 10월 27일 - 요한 루돌프 베트슈타인, 스위스 외교관 (1666년 사망)
- 11월 15일 - 장 퓌제 드 라 세르, 프랑스 작가이자 극작가 (1665년 사망)
- 11월 24일 - 헨리 그레이, 켄트 백작 10세 (1651년 사망)
- 11월 26일 - 제임스 웨어, 아일랜드 계보학자 (1666년 사망)
- 11월 30일 - 존 코신, 잉글랜드 성직자 (1672년 사망)
- 12월 7일 - 프레데리크 코닝, 네덜란드 황금 시대 하를렘 시민군 단원 (1636년 사망)
- 12월 8일 - 피에르 프티, 프랑스 천문학자, 군사 기술자, 물리학자 (1677년 사망)
- 12월 9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스웨덴 국왕이자 장군 (1632년 사망)

- 12월 21일 - 로버트 서튼, 렉싱턴 남작 1세, 잉글랜드 정치인 (1668년 사망)
- 12월 24일 - 오토, 헤센-카셀 방백, 헤센-카셀의 공자, 헤어스펠트 수도원 관리자 (1617년 사망)
- 12월 27일 - 오베 예데, 덴마크 제독, 크리스티안 4세 사망 후 임시 정부 구성원 (1660년 사망)
- 존 브램홀, 잉글랜드 성공회 성직자이자 논쟁가 (1663년 사망)
- 피터 올리버, 잉글랜드 세밀화가 (1648년 사망)
- 토마시 자모이스키, 폴란드 귀족 (1638년 사망)
- 타르퀴니오 메룰라, 이탈리아 작곡가 (1665년 사망)
2. 3. 명나라
명나라 만력제는 조선에 원군을 파견하여 임진왜란에 개입하였다.[1] 7월 2일에는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 또한, 만력제는 한산에게 대장경을 하사하였다.[1]2. 3. 1. 주요 사건
- 1월 3일 - 송유진의 난 발생[1]
- 4월 23일 - 제2차 당항포 해전 발발[1]
- 6월 -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1]
- 7월 2일 -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1]
- 10월 16일 -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1]
- 11월 12일 ~ 12월 29일 - 장문호 해전 발발[1]
- 10월 8일 (분로 3년 음력 8월 24일) -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짐[1]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도록 각 사찰에 법령을 내림[1]
2. 3. 2. 인물
1594년에는 주어진 원문에 출생한 인물에 대한 정보가 없다.3. 유럽
1594년은 유럽 각국에서 종교 전쟁 및 왕위 계승과 관련된 분쟁이 지속된 해였다. 프랑스에서는 앙리 4세가 샤르트르 대성당에서 즉위식을 거행하면서 부르봉 왕조를 열었고, 종교 전쟁을 종식시켰다.[2] 잉글랜드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1]
3. 1. 잉글랜드
1594년 잉글랜드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연극 배우로 활동했다는 기록이 있으며,[1] 10월에는 그의 연극 실수 연발이,[2] 11월에는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공연되었다.[3]월 | 출생 | 사망 |
---|---|---|
2월 | ||
4월 | ||
5월 | ||
6월 | ||
11월 | ||
12월 | ||
날짜 불명 |
3. 1. 1. 주요 사건
- 1월 27일: 포르투갈 제국과 오스만 제국 간 수에즈 해전이 벌어졌다.
- 2월 27일: 앙리 4세가 파리에 입성하여 프랑스 국왕 대관식을 거행하였다.
- 3월 11일: 잉글랜드의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연극 배우로 활동하였다.
- 4월 13일: 나바라의 앙리가 라 피르 전투에서 스페인에 승리하였다.
- 5월: 아일랜드에서 아홉 년 전쟁이 발발하였다.
- 6월: 고니시 유키나가가 부산에 왜성을 축조하였다.
- 7월 2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에 승리하였다.
- 8월 2일: 마르틴 데 라스 에라스가 산토도밍고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 8월: 에스파냐령 네덜란드에서 아르망 드 곤토가 군사 작전을 전개하였다.
- 10월 16일: 조선의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에 승리하였다.
- 10월: 영국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실수 연발이 공연되었다.
- 11월: 영국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말괄량이 길들이기가 공연되었다.
- 12월 25일: 스페인 가라차이코에 가톨릭 교회가 설립되었다.
- 음력 8월 24일: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졌다.
- 날짜 불명
- 중국 만력제가 불교 승려 한산에게 대장경을 하사하였다.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라는 법령을 각 사찰에 내렸다.
3. 1. 2. 인물
월 | 출생 | 사망 |
---|---|---|
1월 | | | |
2월 | | | |
3월 | | | |
4월 | | | |
5월 | | | |
6월 | | | |
7월 | | | |
8월 | | | |
9월 | | | |
10월 | | | |
11월 | | | |
12월 | | | |
날짜 불명 | | |
3. 2. 프랑스
앙리 4세가 왕위에 오르면서 종교 전쟁이 종식되고 부르봉 왕조가 시작되었다.3. 2. 1. 주요 사건
- 6월, 고니시 유키나가중국어가 부산에 왜성을 건설하였다.[1]
- 7월 2일,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
- 10월 16일,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
- 10월 8일 (분로 3년 음력 8월 24일), 이시카와 고에몬이 산조 강변에서 가마 삶는 형에 처해졌다.[2]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려의 여색과 육식을 금지하고, 파계승을 추방하도록 각 사찰에 법령을 내렸다.[2]
3. 2. 2. 인물
출생일 | 인물 | 설명 |
---|---|---|
1월 1일 | 바르텔레미 비몽 | 프랑스 선교사 (1667년 사망) |
1월 7일 | 빈첸초 2세 곤차가 | 이탈리아 공작이자 가톨릭 추기경 (1627년 사망) |
1월 12일 | 그레게르 크라베 | 노르웨이 총독 (1655년 사망) |
1월 16일 | 마에다 토시츠네 | 일본 무장 (1658년 사망) |
1월 24일 | 피에르 드 마르카 | 프랑스 주교이자 역사가 (1662년 사망) |
2월 2일 | 필립 파월 | 웨일스 순교자 (1646년 사망) |
2월 5일 | 비아지오 마리니 | 이탈리아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 (1663년 사망) |
2월 16일 | 훌리아나 모렐 | 스페인-프랑스 학자 (1653년 사망) |
2월 19일 | 헨리 프레데릭, 웨일스 공 | 제임스 1세 & 6세와 덴마크의 앤의 장남 (1612년 사망) |
2월 21일 | 요한 에른스트 1세, 작센-바이마르 공작 | 독일 공작 (1626년 사망) |
2월 26일 | 윌리엄 워즈워스 | 미국 식민지 개척자 (1675년 사망) |
3월 25일 | 마리아 테셀스샤데 비셔르 | 네덜란드 시인이자 조각가 (1649년 사망) |
4월 21일 |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1661년 사망) |
4월 29일 | 사무엘 페어클로 | 영국 목사 (1677년 사망) |
5월 1일 | 존 헤인즈 | 코네티컷 총독 (1653년 사망) |
5월 9일 | 나사우-딜렌부르크의 루이 헨리 공 | 30년 전쟁의 군 지도자 (1662년 사망) |
5월 15일 | 졸름스-라우바흐의 소피 |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요아힘 에른스트 변경백의 아내 (1651년 사망) |
5월 29일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그라프 추 파펜하임 | 30년 전쟁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야전 원수 (1632년 사망) |
5월 29일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 신성 로마 제국의 육군 원수 (1632년 사망) |
6월 3일 | 세자르 드 부르봉, 방돔 공작 | 프랑스 귀족 (1665년 사망) |
6월 11일 | 토마스 크롬웰, 아드글래스 백작 | 영국 귀족 (1653년 사망) |
6월 15일 | 니콜라 푸생 | 프랑스의 화가 (1665년 사망) |
6월 23일 | 토마스 티렐 | 영국 판사이자 정치인 (1672년 사망) |
6월 | 니콜라 푸생 | 프랑스 화가 (1665년 사망) |
7월 6일 | 바덴-두를라흐 변경백 프리드리히 5세 | (1622–1659) (1659년 사망) |
7월 10일 | 바르톨로메오 제나리 | 이탈리아 화가 (1661년 사망) |
7월 14일 | 베아트 알브레히트 폰 람슈타인 | 독일 가톨릭 주교 (1651년 사망) |
8월 4일 | 알렉산데르 루드비크 라지비우 | 폴란드 귀족 (1654년 사망) |
8월 5일 | 스테파노 두라초 | 이탈리아 추기경 (1667년 사망) |
8월 16일 | 인열왕후 | 인조의 정비 (1636년 사망) |
8월 16일 | 인열왕후 | 조선의 왕비 (1636년 사망) |
9월 13일 | 프란체스코 마넬리 | 이탈리아 작곡가 (1667년 사망) |
9월 30일 | 앙투안 지라르 드 생-아망 | 프랑스 시인 (1661년 사망) |
10월 4일 | 요한 샤터르 | 네덜란드 황금 시대 하를렘 시민군 단원 (1673년 사망) |
10월 27일 | 요한 루돌프 베트슈타인 | 스위스 외교관 (1666년 사망) |
11월 15일 | 장 퓌제 드 라 세르 | 프랑스 작가이자 극작가 (1665년 사망) |
11월 24일 | 헨리 그레이, 켄트 백작 10세 | (1651년 사망) |
11월 26일 | 제임스 웨어 | 아일랜드 계보학자 (1666년 사망) |
11월 30일 | 존 코신 | 잉글랜드 성직자 (1672년 사망) |
12월 7일 | 프레데리크 코닝 | 네덜란드 황금 시대 하를렘 시민군 단원 (1636년 사망) |
12월 8일 | 피에르 프티 | 프랑스 천문학자, 군사 기술자, 물리학자 (1677년 사망) |
12월 9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 스웨덴의 국왕이자 30년 전쟁 프로테스탄트측 지도자 (1632년 사망) |
12월 9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 스웨덴 국왕이자 장군 (1632년 사망) |
12월 13일 | 임경업 | 조선 중기의 군인 (1646년 사망) |
12월 21일 | 로버트 서튼, 렉싱턴 남작 1세 | 잉글랜드 정치인 (1668년 사망) |
12월 24일 | 오토, 헤센-카셀 방백 | 헤센-카셀의 공자, 헤어스펠트 수도원 관리자 (1617년 사망) |
12월 27일 | 오베 예데 | 덴마크 제독, 크리스티안 4세 사망 후 임시 정부 구성원 (1660년 사망) |
존 브램홀 | 잉글랜드 성공회 성직자이자 논쟁가 (1663년 사망) | |
피터 올리버 | 잉글랜드 세밀화가 (1648년 사망) | |
토마시 자모이스키 | 폴란드 귀족 (1638년 사망) | |
타르퀴니오 메룰라 | 이탈리아 작곡가 (1665년 사망) |
3. 3. 기타 유럽 국가
1594년은 유럽 각국에서 종교 전쟁 및 왕위 계승과 관련된 분쟁이 지속된 해였다.3. 3. 1. 주요 사건
4. 연호 및 기년
5. 탄생
- 5월 29일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신성 로마 제국의 육군 원수.[1]
- 6월 15일 - 니콜라 푸생, 프랑스의 화가.[2]
- 8월 16일 - 인열왕후, 조선 16대 국왕 인조의 정비.[3]
- 12월 9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스웨덴의 국왕이자 30년 전쟁 프로테스탄트측 지도자.[4]
- 12월 13일 - 임경업, 조선 중기의 군인.[5]
- 3월 25일 - 마리아 테셀스샤데 비셔르, 네덜란드 시인이자 조각가.[6]
- 6월 - 니콜라 푸생, 프랑스 화가.[2]
- 12월 9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스웨덴 국왕.[4]
- 고로하치히메일본어, 다테 마사무네의 딸[7]
6. 사망
- 2월 2일 - 조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이탈리아 작곡가 (1525년~)
- 2월 7일 - 정철, 조선의 문인 (1536년~)
- 2월 8일 - 팔라틴 백작부인 엘리자베스 폰 지메른-스폰하임, 작센 공작부인 (1540년~)
- 2월 23일 - 마게세 도산, 의사 (1507년~)
- 4월 - 바너비 구지, 영국의 시인 (1540년~)
- 4월 16일 - 페르디난도 스탠리, 제5대 더비 백작, 잉글랜드 왕국의 왕위 계승 서열 2위 (1559년~)
- 4월 29일 - 토머스 쿠퍼, 영국의 주교, 사전 편찬자, 작가 (약 1517년~)
- 5월 2일 - 에드워드 앳슬로, 영국의 의사
- 5월 15일 - 샬롯 드 라 마르크, 프랑스 공작부인 (1574년~)
- 5월 30일 - 벌린트 벌러시, 헝가리 작가이자 귀족 (1554년~)
- 5월 31일 - 틴토레토, 이탈리아 화가 (1518년~)
- 5월 31일 - 프란체스코 파니골라, 이탈리아 주교 (1548년~)
- 6월 3일 - 존 에일머, 영국의 신학자 (1521년~)
- 6월 7일 - 로드리구 로페스, 엘리자베스 여왕의 의사 (반역죄로 처형) (1525년~)
- 6월 14일 - 오를랑 드 라쉬, 플랑드르 작곡가 (1532년~)
- 6월 29일 - 닐스 카스, 덴마크 재상 (1535년~)
- 7월 - 지롤라모 메이, 이탈리아 역사학자이자 인문주의자 (1519년~)
- 7월 10일 - 파올로 벨라시오, 이탈리아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1554년~)
- 8월 5일 - 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라 대공녀 (1534년~)
- 10월 8일 - 이시카와 고에몬, 일본의 닌자이자 도둑 (1558년~)
- 10월 16일 - 윌리엄 앨런, 영국의 추기경 (1532년~)
- 10월 28일 - 오쿠보 타다요, 무장, 카니에 7본창 중 한 명 (1532년~)
- 11월 6일 - 야나기다 하루스케, 고가 공방가 중신, 세키야도성 성주 (1524년~)
- 11월 15일 - 마틴 프로비셔, 영국의 탐험가 (1535년~)
- 11월 20일 - 가스파르 데 키로가 이 벨라, 스페인 대심문관 (1512년~)
- 11월 29일 - 알론소 데 에르실라 이 수니가, 바스크 군인이자 시인 (1533년~)
- 12월 2일 - 게르하르두스 메르카토르, 플랑드르-독일의 지도 제작자 (1512년~)
- 12월 16일 - 앨리슨 발푸어, 스코틀랜드의 마녀로 추정
- ''날짜 불명''
- * 존 존슨, 영국의 류트 연주자이자 작곡가 (약 1545년~)
- * 토머스 키드, ''스페인 비극''의 작가 (1558년~)
참조
[1]
서적
Popular History of Thailand
Claremint
[2]
웹사이트
Shakespeare quartos: Titus Andronicus
https://www.bl.uk/tr[...]
[3]
서적
Istorija srpskog naroda
Ianis
[4]
서적
A Shakespeare Companion 1564–1964
Penguin
[5]
웹사이트
The Principal Navigations, Voyages, Traffiques and Discoveries of the English Nation
https://web.archive.[...]
[6]
서적
Wars of the Americas: A Chronology of Armed Conflict in the New World, 1492 to the Present
ABC-CLIO
[7]
웹사이트
Fundación de la Ciudad de San Luis
https://www.efemerid[...]
2023-11-29
[8]
서적
A magyar állam főméltóságai Szent Istvántól napjainkig – Életrajzi Lexikon ("The High Officers of the Hungarian State from Saint Stephen to the Present Days –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elikon Kiadó Kft.
[9]
서적
Women on the Renaissance Stage: Anna of Denmark and Female Masquing in the Stuart Court, 1590–1618
Manchester
[10]
서적
Elizabeth I: War and Politics, 1588-1603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서적
Elizabeth's Sea Dogs: How England's Mariners Became the Scourge of the Seas
Conway
[12]
서적
The Collins Enclyclopaedia of Scotland
HarperCollins
[13]
서적
Armada Española desde la unión de los reinos de Aragón y Castilla ("The Spanish Armada after the Union of the Kingdoms of Aragon and Castile")
Sucesores de Rivadeneyra
[14]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Robert Appleton Company
[15]
서적
Marwar And The Mughal Emperors (1526–1748)
Munshiram Manoharlal
[16]
서적
Histoire du Parlement de Paris
[17]
서적
William Shakespeare: The Comedy of Errors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tuart England, 1603-1689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
서적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A Research Guid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15
[20]
서적
Under the Mask of William Shakespeare
https://books.google[...]
Merlin
[21]
서적
Tintoretto: Tradition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2]
서적
Belgian Laces
https://books.google[...]
Belgian Researchers, Incorporated
[23]
간행물
Frobisher, Martin
[24]
서적
性と宗教
講談社現代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