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장까마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장까마귀(Corvus corone)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온몸이 검은색이며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을 띤다. 유라시아 대륙과 일본 열도 등지에 분포하며, 텃새로 정착하여 살아간다. 부리까마귀와 유사하나, 크기가 약간 작고 부리가 가늘며 울음소리 등으로 구별된다. 잡식성으로 곤충, 씨앗, 작은 동물 등을 먹으며,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어 도구를 사용하거나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이는 등 영리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문화적으로는 불길한 새 또는 지혜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농작물 피해 등으로 인해 유해 조수로 관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까마귀속 - 큰까마귀
18세기에 린네에 의해 처음 기재된 큰까마귀는 참새목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종으로, 높은 지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니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 까마귀속 - 떼까마귀
떼까마귀는 유라시아 대륙 중위도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겨울 철새로 관찰되는 까마귀과 새로, 검은색 깃털과 흰색 부리 기저를 가지며 집단생활을 하는 잡식성 새로, 도구 사용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이는 종이다. - 유라시아의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유라시아의 새 - 쇠물닭
쇠물닭은 전 세계 습지에 서식하며 녹색빛 발과 붉은색 이마판을 가진 물닭속의 새로,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로 일부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아시아의 새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아시아의 새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송장까마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Corvus corone |
명명자 | Linnaeus, 1758 |
한국어 이름 | 해시보소카라스 (ハシボソガラス) |
영어 이름 | Carrion crow |
프랑스어 이름 | Aaskrähe |
스페인어 이름 | corneja negra |
덴마크어 이름 | Sortkrage |
러시아어 이름 | Чёрная ворона |
포르투갈어 이름 | Gralha-preta |
보전 상태 | 최소 관심 |
IUCN 3.1 | LC |
화석 범위 | 후기 플라이스토세 - 현재 |
아종 | |
분포 | |
![]() |
2. 분류 및 형태
까마귀는 칼 폰 린네가 1758년 획기적인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처음으로 기술한 많은 종 중 하나이며, 여전히 원래 이름인 ''Corvus corone''을 사용한다.[2] 이명은 라틴어 corvusla, "갈까마귀"[3]와 고대 그리스어 κορώνηgrc korōnēgrc-Latn, "까마귀"[4]에서 유래되었다.
과거에는 아종으로 여겨졌던 갈색까마귀 (''Corvus cornix'')는 별도의 종으로 분리되었으며, 동부까마귀 (''C. c. orientalis'')가 종으로 인정받을 만큼 충분히 구별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두 분류군은 잘 구분되며, 유라시아 육지의 반대편 끝에 있는 습하고 해양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
갈색까마귀와 함께 까마귀는 유라시아에서 아메리카까마귀 (''Corvus brachyrhynchos'')가 북미에서 차지하는 것과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한다. 두 종은 서로 매우 유사하게 보이지만, 까마귀가 아메리카까마귀에 비해 크고 체격이 더 건장하다는 점에서 크기로 구별할 수 있다.
전체 길이 약 50cm이며, 온몸이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띠며 암수 동색[23]이다. 겉으로 보이는 깃털은 검은색이지만, 피부에 가까운 곳의 짧은 솜털은 다운 재킷처럼 희고 부드러운 솜털로 되어 있어 추위에 매우 강하며 겨울에도 아무렇지도 않게 물에서 목욕을 한다.
살갗의 색깔은 검은 기가 도는 회색이다. 다리와 부리도 검은색이다. 돌연변이로 흰 개체가 출현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알비노 또는 백색 변종으로 생각된다.
부리까마귀와 비슷하지만, 약간 작고 부리가 가늘며 윗부리가 그다지 굽어 있지 않은 점, 이마(부리 위)가 튀어나와 있지 않은 점, 울음소리가 "갹갹"하고 약간 탁한 점, 그리고 울 때 부리까마귀는 몸을 흔들지 않고 머리를 앞으로 내밀고 목을 부풀리는 데 반해, 이쪽은 아랫배나 등의 깃털을 곤두세우고 머리를 내밀어 울음소리에 맞춰 절하듯이 머리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24].
부리까마귀와 가장 근연종은 목도리까마귀이며, 부리까마귀는 약간 거리가 있다.
2. 1. 형태
송장까마귀의 깃털은 검은색이며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이 나는데, 이는 갈까마귀(''Corvus frugilegus'')의 광택보다 훨씬 더 녹색을 띤다.[23] 부리, 다리, 발도 검은색이다. 송장까마귀는 크기가 약 48–52cm로, 큰까마귀의 평균 63cm에 비해 작고, 깃털이 검은색이라는 점에서 회색까마귀와 구별된다. 날개 길이는 84–100cm이며, 몸무게는 400–600g이다.겉으로 보이는 깃털은 검은색이지만, 피부에 가까운 곳의 짧은 솜털은 다운 재킷처럼 희고 부드러운 솜털로 되어 있어 추위에 매우 강하며 겨울에도 아무렇지도 않게 물에서 목욕을 한다. 살갗의 색깔은 검은 기가 도는 회색이다. 돌연변이로 흰 개체가 출현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알비노 또는 백색 변종으로 생각된다.
부리까마귀와 비슷하지만, 약간 작고 부리가 가늘며 윗부리가 그다지 굽어 있지 않은 점, 이마(부리 위)가 튀어나와 있지 않은 점, 울음소리가 "갹갹"하고 약간 탁한 점, 그리고 울 때 부리까마귀는 몸을 흔들지 않고 머리를 앞으로 내밀고 목을 부풀리는 데 반해, 이쪽은 아랫배나 등의 깃털을 곤두세우고 머리를 내밀어 울음소리에 맞춰 절하듯이 머리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24]
부리까마귀와 가장 근연종은 목도리까마귀이며, 부리까마귀는 약간 거리가 있다. 어린 송장까마귀는 갈색 깃털과 파란 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성장하면서 검은색과 갈색으로 변한다.
2. 2. 근연종
과거에는 아종으로 여겨졌던 갈색까마귀(''Corvus cornix'')는 현재 별도의 종으로 분리되었다.[5] 송장까마귀(''Corvus corone'')와 회색까마귀(''Corvus cornix'')는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두 종이다.[6] 이 두 종의 유럽 전역 지리적 분포는 플라이스토세 동안의 빙하기 주기로 인해 모체 집단이 분리된 후,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범위가 다시 확장되어 2차 접촉을 일으킨 결과로 나타났다.[7][8]
Poelstra와 연구진은 두 종의 거의 전체 게놈을 시퀀싱하여 두 종이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회색까마귀 게놈의 작은 부분(0.28%)만이 발현되지 않아 몸통에 더 밝은 깃털 색상을 부여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했다.[7] 따라서 두 종은 생존 가능한 잡종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접촉 지역 양쪽의 송장까마귀와 회색까마귀는 각각 거의 전적으로 동종과 짝짓기를 한다.[7][8]
3. 분포 및 서식지
송장까마귀(''Corvus corone'')와 회색까마귀(''Corvus cornix'')는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두 종이다.[6] 유럽 전역의 송장까마귀 두 형태의 지리적 분포는 플라이스토세 동안의 빙하기 주기에 의해 분리되었다가, 이후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2차 접촉을 통해 다시 확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7][8]
Poelstra와 연구진은 두 종이 DNA와 ''m''RNA 형태에서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하며, 회색까마귀 게놈의 작은 부분(<0.28%)만이 발현되지 않아 몸통에 더 밝은 깃털 색상을 부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7] 두 종은 생존 가능한 잡종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접촉 지역 양쪽의 송장까마귀와 회색까마귀는 서로 짝짓기를 하는 경향이 있다.[7][8]
송장까마귀는 유라시아 대륙과 일본 전역의 평지에서 낮은 산지에 분포하는 텃새이다.[22] 일본의 산과 숲, 도시에서도 발견된다.[9] 한국에서는 전국 평지에서 낮은 산지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하며, 하천 부지, 농경지 등 트인 환경을 선호하며, 도시화된 지역이나 고산 지대에서는 보기 드물다.
4. 생태
송장까마귀는 일반적으로 사교적이며, 겨울에는 집단으로 횃대를 형성한다.[10] 건물이나 나무 꼭대기와 같은 눈에 잘 띄는 곳에 앉아 각 쉰 소리 사이에 약간의 멈춤을 두고 세 번 또는 네 번 연속으로 빠르게 운다.[11] 울음소리는 "가아가"하고 탁하게 들리지만, 까마귀의 울음소리와 비슷한 경우도 있다. 각 일련의 울음소리가 나는 동안, 까마귀는 어깨를 올리고 머리와 목을 아래로 숙이며 각 "까" 소리에 맞춰 몸짓을 할 수 있다.[11] 날갯짓은 갈까마귀보다 느리고 신중하다.[11]
인간 근처에서 애완화될 수 있으며, 도시, 황무지, 숲, 해안 절벽 및 농경지와 같은 인간 활동이나 거주 지역 근처에서 종종 발견된다.[12] 하천 부지나 농경지 등 트인 환경에 서식하며, 극도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나 고산 지대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공원과 정원에서 갈매기, 다른 까마귀과, 그리고 오리와 같은 다른 사회적 새들과 먹이를 놓고 경쟁한다. 암수 한 쌍은 연중 영역을 갖지만, 비번식기에는 밤에 정해진 숲에 집단으로 둥지를 짓는다.
다른 까마귀과 종과 마찬가지로, 송장까마귀는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거나 자신 또는 새끼를 위협하는 포식자와 경쟁자를 적극적으로 괴롭히고,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으로 집단 모빙 행동에 참여한다.[13] 지능이 높아, 신호 대기 중인 차의 타이어 앞에 호두나 조개 등을 놓고 깨는 것도 이 종이다.[25]
식성은 잡식성으로, 곤충류, 조류의 알과 병아리, 작은 동물, 동물의 사체, 과실, 종자 등을 먹는다.[26] 까마귀보다 비교적 식물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26] 까마귀와 달리 땅을 워킹(번갈아 가며 다리를 내딛는 보행)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지면 채식(땅 파먹기)도 한다. 둥지는 트인 장소에 위치한 나무에 나뭇가지를 조합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들며, 둥지 재료로 철사나 옷걸이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산란기는 4월경이며,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주로 암컷이 포란하며, 그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가져다준다. 포란일수는 약 20일이며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암수가 공동으로 하며, 새끼는 부화 후 약 1개월에 둥지를 떠난다. 육아에 실패한 경우에는 다시 포란하여 육아를 하기도 하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북쪽에서는 1회가 한계로 보인다.
4. 1. 울음소리
4. 2. 지능
송장까마귀는 머리가 좋고 지능이 높아 가장 영리한 동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4] 훈련받은 까마귀는 6~7세 아이와 맞먹거나 상회하는 지능을 보이기도 한다. 부피 개념과 시간의 흐름을 인지하고, 자기 자신을 알아보며, 여가 시간이나 문화, 고유의 언어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지어 즉흥적 문제 해결력과 도구 제작 능력은 침팬지를 능가한다는 연구도 있다. 인간과 함께 갈고리를 사용하는 유일한 동물이다.[25]2002년에는 배티라는 이름의 뉴칼레도니아 까마귀가 병 속의 먹이를 꺼내기 위해 철사를 구부려 사용한 기록이 있다. 스크럽 제이라는 까마귀는 먹이로 땅콩과 벌레를 주었을 때 시간이 오래 지나면 벌레가 썩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부패한 벌레는 찾으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고 땅콩만 찾아먹었는데, 이는 시간의 흐름을 이해한다는 증거이다.
모든 까마귀과 조류처럼, 송장까마귀는 최대 30까지의 수량을 구별할 수 있고,[15] 규칙을 유연하게 전환하며,[16] 인간과 까마귀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17] 까마귀의 뇌 구조가 영장류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능력은 수렴 진화의 산물로 실현되었음을 시사한다.[14]
4. 3. 먹이
송장까마귀는 잡식성으로 썩은 고기를 비롯하여 곤충, 지렁이, 다른 무척추동물, 곡물, 과일, 씨앗, 견과류, 작은 포유류, 양서류, 물고기, 음식 찌꺼기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알을 훔치기도 한다.[18] 본래 청소동물이기 때문에 인간의 생활 쓰레기를 먹기 위해 사람들이 사는 곳에 자주 나타나며, 다른 맹금류나 심지어 여우의 사냥감을 괴롭히기도 한다.[18] 적극적으로 사냥하며, 사냥감을 잡기 위해 다른 까마귀와 협력하기도 한다. 까마귀보다 비교적 식물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26], 땅을 걸어 다니며 땅을 파먹기도 한다.
4. 4. 번식
송장까마귀의 산란기는 3~6월이며,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일수는 19~20일,[19] 육추기간은 30~35일이다. 암컷이 주로 알을 품고,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가져다준다.[19] 부화 후 약 1개월 뒤 둥지를 떠난다.[19]부피가 큰 나뭇가지 둥지는 보통 키가 큰 나무에 위치하지만, 절벽 가장자리, 오래된 건물 및 전력선 철탑도 사용될 수 있다.[19] 둥지는 까마귀의 둥지와 유사하지만, 덜 부피가 크다.[19] 갈색 반점이 있는 3~4개의 파란색 또는 녹색 알은 암컷 혼자서 18~20일 동안 품으며, 수컷이 먹이를 준다.[19]

이전 해의 새끼가 남아 새로운 새끼를 키우는 것을 돕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20] 짝을 찾는 대신, 먹이를 찾고 부모가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것을 돕는다.[20]
둥지는 트인 장소에 위치한 나무에 나뭇가지를 조합한 밥그릇 모양으로 만들며, 둥지 재료로 철사나 옷걸이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25]
5. 인간과의 관계
까마귀는 숲에 서식했던 반면, 이 종은 인가 근처에 서식하며 분리되어 살아왔다. 과거 일본에서 "까마귀"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켰지만, 도시 지역에 부리까마귀가 진출했기 때문에 "일본의 까마귀" 자리를 부리까마귀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실제로 도시화와 함께 부리까마귀가 개체 수를 늘리고 있는 반면, 이 종은 개체 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
학명의 종소명 *corone*은 일반적으로 울음소리에서 유래했다고 생각되지만, 흰 까마귀를 거느리고 있던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 아폴론의 애인인 코로니스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수렵 조류이기는 하지만, 오늘날 고기를 식용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주로 번거로운 절차 없이 농업 해조로 구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다만 세계적으로는 중국이나 서양에서 옛날부터 약용으로 먹어온 역사가 있으며, 소위 별미로가 아니라 일반적인 식재료로 제공된 예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많이 있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아키타현, 이바라키현, 나가노현, 기후현 등에서 한때 식용으로 제공되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나가노현 우에다시의 '''[https://life.ja-group.jp/recipe/detail?id=8363 까마귀 된장 구이]'''라는 향토 요리이다. 기후현에서도 다이쇼 시대 중기까지는 지역 고깃집에서 까마귀 고기가 팔렸다고 한다. 현재도 극소량이 식용으로 제공되고 있다[27]。
까마귀 고기의 조리 방법은 기본적으로 조류의 조리 방법과 같지만, 까마귀는 근육질이고 지방이 적기 때문에 낮은 온도로 천천히 굽거나 잘게 다져서 요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껍질을 구우면 매우 질기고 식감이 좋지 않으므로 껍질을 제거하고 요리하는 것이 좋다.
5. 1. 문화
서양에서는 까마귀를 불길한 새로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북유럽 신화에서는 주신 오딘의 상징이자 지혜를 상징하는 새로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과거에 "까마귀"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켰고 길조로 여겨졌으나, 도시 지역에 부리까마귀가 진출하면서 "일본의 까마귀" 자리를 부리까마귀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현재는 비둘기와 유사하게 유해 조수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학명의 종소명 *corone*은 일반적으로 울음소리에서 유래했다고 생각되지만, 흰 까마귀를 거느리고 있던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 아폴론의 애인인 코로니스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수렵 조류이기는 하지만, 오늘날 고기를 식용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만 세계적으로는 중국이나 서양에서 옛날부터 약용으로 먹어온 역사가 있으며, 별미가 아닌 일반적인 식재료로 제공된 예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이 있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아키타현, 이바라키현, 나가노현, 기후현 등에서 한때 식용으로 제공되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나가노현 우에다시의 '''[https://life.ja-group.jp/recipe/detail?id=8363 까마귀 된장 구이]'''라는 향토 요리이다. 기후현에서도 다이쇼 시대 중기까지는 지역 고깃집에서 까마귀 고기가 팔렸다고 한다.[27] 현재도 극소량이 식용으로 제공되고 있다.[27]
까마귀 고기는 근육질이고 지방이 적기 때문에 낮은 온도로 천천히 굽거나 잘게 다져서 요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껍질을 구우면 매우 질기고 식감이 좋지 않으므로 껍질을 제거하고 요리하는 것이 좋다.
5. 2. 식용
과거 한국에서는 까마귀 고기를 식용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다.[27]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아키타현, 이바라키현, 나가노현, 기후현 등에서 한때 식용으로 제공되었다. 특히, 나가노현 우에다시의 '''[https://life.ja-group.jp/recipe/detail?id=8363 까마귀 된장 구이]'''라는 향토 요리가 유명하다. 기후현에서도 다이쇼 시대 중기까지 지역 고깃집에서 까마귀 고기가 팔렸다.[27]수렵 조류이기는 하지만, 오늘날 고기를 식용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27] 다만, 세계적으로는 중국이나 서양에서 옛날부터 약용으로 먹어온 역사가 있으며, 일반적인 식재료로 제공된 예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이 있다.
까마귀 고기는 근육질이고 지방이 적기 때문에 낮은 온도로 천천히 굽거나 잘게 다져서 요리하는 것이 좋다. 껍질을 구우면 매우 질기고 식감이 좋지 않으므로 껍질을 제거하고 요리하는 것이 좋다.
5. 3. 유해 조수
송장까마귀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쓰레기를 파헤치는 등의 문제를 일으켜 유해 조수로 지정되어 관리되기도 한다.[27] 더불어민주당은 생태계 균형 및 농작물 보호를 위해 유해 조수 개체 수 조절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과거 일본에서는 '까마귀'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켰지만, 도시 지역에 부리까마귀가 진출하면서 그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5. 4. 기타
송장까마귀는 수렵 조류이지만, 오늘날 고기를 식용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주로 농업 해조로 구제되는 경우가 많다.[27] 그러나 세계적으로는 중국이나 서양에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먹어온 역사가 있으며, 별미가 아닌 일반적인 식재료로 제공된 예도 많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일부, 아키타현, 이바라키현, 나가노현, 기후현 등에서 한때 식용으로 제공되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나가노현 우에다시의 '''[https://life.ja-group.jp/recipe/detail?id=8363 까마귀 된장 구이]'''라는 향토 요리이다. 기후현에서도 다이쇼 시대 중기까지 지역 고깃집에서 까마귀 고기가 팔렸다고 한다.[27] 까마귀 고기는 근육질이고 지방이 적기 때문에 낮은 온도로 천천히 굽거나 잘게 다져서 요리하는 것이 좋으며, 껍질은 질겨 제거하고 요리하는 것이 좋다.참조
[1]
간행물
"''Corvus corone''"
2017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http://dz1.gdz-cms.d[...]
Holmiae. (Laurentii Salvii).
[3]
웹사이트
Corvus
http://www.m-w.com/d[...]
Merriam-Webster
2008-02-04
[4]
문서
LSJ|korw/nh|κορώνη|ref
[5]
서적
"Crows and jays: a guide to the crows, jays and magpies of the world"
A&C Black, London
1994
[6]
논문
Birding and DNA: species for the new millennium
[7]
논문
The genomic landscape underlying phenotypic integrity in the face of gene flow in crows
https://kops.uni-kon[...]
2014
[8]
논문
How carrion and hooded crows defeat Linnaeus's curse
2014
[9]
서적
"The Life of Birds"
BBC
1998
[10]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Crows, Ravens and Rooks – With Photos
https://www.animalwi[...]
2022-01-24
[11]
웹사이트
British Garden Birds – Carrion Crow
https://www.garden-b[...]
2022-01-24
[12]
서적
RSPB Handbook of British Birds
Christopher Helm
2012
[13]
논문
The effects of avian mobbing on a potential predator, the European kestrel, Falco tinnunculus
1990
[14]
논문
Inside the corvid brain—probing the physiology of cognition in crows
[15]
논문
Numerosity representations in crows obey the Weber–Fechner law
2016
[16]
논문
Abstract rule neurons in the endbrain support intelligent behaviour in corvid songbirds
2013-11-28
[17]
논문
Comparing the face inversion effect in crows and humans
2017-12-01
[18]
웹사이트
Corvus corone (carrion crow)
https://animaldivers[...]
2022-12-18
[19]
웹사이트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05) Nest Record Scheme data
http://blx1.bto.org/[...]
[20]
논문
Direct fitness benefits of group living in a complex cooperative society of carrion crows, Corvus corone corone
[21]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鳥
小学館
[22]
문서
都心部には分布しない
[23]
웹사이트
ハシボソガラス
http://j-hunters.com[...]
一般社団法人 大日本猟友会
2024-01-09
[24]
웹사이트
ハシブトガラスとハシボソガラスの違い
https://www.kankyo.m[...]
東京都環境局自然環境部計画課
2024-01-09
[25]
서적
街・野山・水辺で見かける 野鳥図鑑
日本文芸社
[26]
서적
身近な鳥のすごい事典
イースト・プレス
[27]
블로그
カラス届きました。
https://lescargot.ex[...]
[28]
간행물
Corvus corone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https://dx.doi.org/1[...]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