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탈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탈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의 이름은 "고통받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는 아나톨리아 지역의 통치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제우스의 초대를 받아 신들과 함께 식사하는 영광을 누렸으나, 신들의 음식을 훔치고 아들을 요리하여 신들에게 대접하는 만행을 저질러 타르타로스에서 영원한 형벌을 받았다. 탄탈로스는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리는 고통을 받으며, 이러한 그의 이야기는 "갖고 싶은 것을 얻지 못하는 안타까운 고통"을 의미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기아의 왕 - 펠롭스
펠롭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탄탈로스의 아들이자 히포다메이아의 남편으로, 전차 경주에서 승리하여 피사의 왕이 되었으나 미르틸로스 살해로 저주를 받아 그의 가문은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했고, 올림피아에서 영웅으로 숭배받으며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어원이 되었다. - 프리기아의 왕 - 미다스
미다스는 기원전 8세기 후반 프리기아를 통치한 왕으로 그리스와의 교역, 킴메르인의 침략, 만지는 것을 금으로 바꾸는 능력,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 탐욕과 과욕의 상징, '미다스의 손'이라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 제우스의 자식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제우스의 자식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탄탈로스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탄탈로스 |
| 다른 이름 | 아티스 |
| 유형 | 그리스 신화 속 왕 |
| 거주지 | 리디아, 프리기아, 또는 파플라고니아 |
| 배우자 | 디오네 타위게테 에우리테미스타 에우리안assa 클리티에 에우프리토 |
| 부모 | (1) 제우스와 플루토 (2) 트몰루스와 플루토 |
| 자녀 | 펠롭스, 니오베, 브로테아스, 다스킬로스 |
| 신화 속 정보 | |
| 죄 | 신들의 음식을 훔치고, 자신의 아들을 신들에게 바침 |
| 형벌 | 타르타로스에서 영원히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림 |
| 관련 용어 | 탄탈로스의 고통 |
| 영어 이름 | |
| 영어 이름 | Tantalus |
| 그리스어 | |
| 그리스어 | Τάνταλος |
|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 | Tántalos |
2. 어원
Τάνταλος|탄탈로스grc ()라는 이름은 "고통받는"을 의미하는 τάλας|탈라스grc ()에서 파생되었으며, "많은 것을 감내해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 단어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R. S. P. 비크스는 이러한 해석을 거부한다.[5]
2. 1. 플라톤의 해석
플라톤은 그의 저서 ''크라튈로스'' ([http://nlp.perseus.tufts.edu/hopper/text.jsp?doc=Perseus%3Atext%3A1999.01.0171%3Atext%3DCrat.%3Asection%3D395e 395e])에서 Τάνταλος|탄탈로스grc를 ταλάντατος|탈란타토스grc(대격 ταλάντατον|탈란타톤grc)로 해석했는데, 이는 "고통받는"을 의미하는 τάλας|탈라스grc에서 파생되어 "많은 것을 감내해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단어 ''τάλας|탈라스grc''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R. S. P. 비크스는 인도유럽어 해석을 거부한다.[5]
2. 2. 현대 언어학적 해석
플라톤은 그의 저서 ''크라튈로스''에서 Τάνταλος|탄탈로스grc를 ταλάντατος|탈란타토스grc (대격 ταλάντατον|탈란타톤grc)로 해석했는데, 이는 "고통받는"을 의미하는 τάλας|탈라스grc에서 파생되어 "많은 것을 감내해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5]''τάλας|탈라스grc''는 일부 학자들이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기지만, R. S. P. 비크스는 인도유럽어 해석을 거부한다.[5]
3. 역사적 배경
탄탈로스는 신화 속 인물이지만, 역사적으로 실존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는 "탄탈리스"나 "탄탈로스의 도시", "시필루스"라는 아나톨리아 도시의 통치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6][7] 파우사니아스는 같은 지역에 탄탈로스의 무덤이 있었다고 전한다.[19]
탄탈로스는 프리기아의 왕으로 불리기도 하지만,[8] 그의 도시는 아나톨리아 서쪽 끝에 있었고, 리디아는 기원전 1천 년 전에 국가로 성장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프리기아의 중심지와는 거리가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아들 펠롭스가 "리디아의 펠롭스"로 언급되는 것을 근거로 그가 리디아 가문 출신일 것이라고 추정한다.[11][12][9]
탄탈로스의 아버지는 티몰루스라는 리디아의 왕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티몰루스는 시필루스 산처럼 고대 리디아의 산 이름이기도 하다. 탄탈로스는 주로 리디아,[10] 드물게는 프리기아[11] 또는 파플라고니아[12] 지역과 관련되어 나타나는데, 이 지역들은 모두 소아시아에 위치한다.
스트라본에 따르면 탄탈로스의 부는 프리기아와 시필루스 산의 광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시필루스 산 근처에는 탄탈로스와 관련된 카라괼 호수(탄탈로스 호수)와 "탄탈로스의 무덤", "펠롭스의 왕좌" 등 여러 유적들이 남아있다.[19] 탄탈로스라는 이름은 히타이트 왕들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0]
탄탈로스의 가족 관계는 문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 관계 | 이름 | 비고 |
|---|---|---|
| 아버지 | 티몰루스 | 리디아의 왕 |
| 플루토 | | | |
| 아내 | 디오네 | 아틀라스의 딸 |
| 에우리테미스타 | 크산투스의 딸 | |
| 에우리아나사 | 팍톨루스의 딸 | |
| 클리티아 | | | |
| 자녀 | 펠롭스 | 아르테우스 가문의 시조 |
| 니오베 | | | |
| 브로테아스 | | | |
| 다스킬루스 | | |
3. 1. 아나톨리아 지역 통치자
역사적인 탄탈로스가 실존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는 아마도 "탄탈리스"(Tantalís)라고 불리는 아나톨리아 도시의 통치자였거나, "탄탈로스의 도시" 또는 "시필루스"라는 도시의 통치자였을 것이다.[6][7] 파우사니아스는 그와 같은 이름의 항구가 있었고, 같은 지역에 "결코 눈에 띄지 않는" 그의 무덤이 있다고 보고한다.탄탈로스는 때때로 "프리기아의 왕"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8] 그의 도시는 아나톨리아 서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 리디아는 기원전 1천 년 전에 국가로 부상했으며, 내륙에 위치한 전통적인 프리기아의 중심지는 아니었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아들을 "리디아의 펠롭스"라고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그가 리디아의 시원적인 가문에 속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11][12][9]
다른 판본에서는 그의 아버지를 티몰루스로 지칭하는데, 티몰루스는 리디아의 왕이자 시필루스와 마찬가지로 고대 리디아의 또 다른 산의 이름이다. 탄탈로스의 인간적인 산-아버지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그를 리디아에 배치했다;[10] 더 드물게는 프리기아[11] 또는 파플라고니아에 위치했다.[12] 이 모든 곳은 소아시아에 있다.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탄탈로스의 부가 프리기아와 시필루스 산의 광산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 시필루스 산 근처에는 고대부터 탄탈로스와 그의 가문과 연관되어 온 고고학적 특징들이 있다. 이즈미르(고대 스미르나)의 야만라르 산 근처에는 카라괼 호수(탄탈로스 호수)가 있는데, 그를 둘러싼 이야기에 연관되어 있다. 파우사니아스가 언급한 기념물, 즉 톨로스 "탄탈로스의 무덤"(나중에 기독교화) "성 찰람보스의 무덤"과 시필루스 산의 또 다른 무덤이 있으며,[19] 그곳에는 그의 아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로 조각된 제단이나 벤치인 "펠롭스의 왕좌"가 있다.
탄탈로스와 한틸리의 이름 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탄탈로스라는 이름이 이 두 히타이트 왕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0]
3. 2. 리디아 또는 프리기아 왕?
역사 속 실존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탄탈로스는 "탄탈리스"(Tantalís)라고 불리는 아나톨리아 도시[6]나 "탄탈로스의 도시" 또는 "시필루스"라는 도시의 통치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7] 파우사니아스는 그와 같은 이름의 항구가 있었고, 그에 대한 "결코 눈에 띄지 않는" 무덤이 같은 지역에 있다고 기록했다.탄탈로스는 때때로 "프리기아의 왕"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8] 그의 도시는 아나톨리아 서쪽 끝에 위치해 있었다. 리디아는 기원전 1천 년 전에 국가로 부상했으며, 내륙에 위치한 전통적인 프리기아의 중심지는 아니었다. 그의 아들을 "리디아의 펠롭스"라고 언급한 것은 일부 학자들이 그가 리디아의 시원적인 가문에 속했을 것이라는 믿을 만한 근거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했다.[11][12][9]
다른 전승에서는 그의 아버지를 티몰루스라고 칭하는데, 티몰루스는 리디아의 왕이자 시필루스와 마찬가지로 고대 리디아의 또 다른 산의 이름이다. 탄탈로스의 인간적인 산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그를 리디아에 배치했고,[10] 더 드물게는 프리기아[11] 또는 파플라고니아[12]에 배치했다. 이 모든 곳은 소아시아에 있다.
그의 아내의 정체는 다양하게 제시된다. 일반적으로는 아틀라스의 딸 디오네,[13] 플레이아데스의 타이게테, 아틀라스의 딸, 강의 신 크산투스의 딸 에우리테미스타,[14] 아나톨리아의 또 다른 강신인 팍톨루스의 딸 에우리아나사,[14][15] 클리티아, 암피다만테스의 딸,[14][16] 에우프리토[17] 등으로 알려져 있다. 탄탈로스는 또한 다스킬루스의 아버지라고도 불렸다.[18]
탄탈로스는 펠롭스를 통해 그의 손자 아르테우스의 이름을 딴 아르테우스 가문의 시조였다. 탄탈로스는 또한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의 증조부였다.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탄탈로스의 부가 프리기아와 시필루스 산의 광산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 시필루스 산 근처에는 고대부터 탄탈로스와 그의 가문과 연관되어 온 고고학적 특징들이 있다. 이즈미르 (고대 스미르나)의 야만라르 산 근처에는 카라괼 호수 (탄탈로스 호수)가 있는데, 그를 둘러싼 이야기에 연관되어 있으며, 파우사니아스가 언급한 기념물, 즉 톨로스 "탄탈로스의 무덤"(나중에 기독교화됨) "성 찰람보스의 무덤"과 시필루스 산의 또 다른 무덤이 있으며,[19] 그곳에는 그의 아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로 조각된 제단이나 벤치인 "펠롭스의 왕좌"가 있다.
탄탈로스와 한틸리의 이름 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탄탈로스라는 이름이 이 두 히타이트 왕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0]
탄탈로스의 가족 관계는 여러 고대 문헌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 표는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 관계 및 이름 | 출처 | |
|---|---|---|
| 부모 | 티몰루스와 플루토 | [24] |
| 제우스 | [25] | |
| 제우스와 플루토 | [26] | |
| 배우자 | 에우리아나사 | [27] |
| 디오네 | [21] | |
| 에우프리토 | [28] | |
| 에우리테미스타 | [29] | |
| 자녀 | 펠롭스 | [22] |
| 니오베 | [23] | |
| 다스킬루스 | [30] | |
| 브로테아스 | [31] |
3. 3. 티몰루스와의 관계
다른 버전에서는 탄탈로스의 아버지를 티몰루스라고 칭하는데, 티몰루스는 리디아의 왕이자 시필루스와 마찬가지로 고대 리디아의 또 다른 산의 이름이다. 탄탈로스의 인간적인 산-아버지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그를 리디아에 배치했고,[10] 더 드물게는 프리기아[11] 또는 파플라고니아[12]에 위치했는데 이 모든 곳은 소아시아에 있다.
3. 4. 가족 관계
다음은 탄탈로스의 가족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탄탈로스의 아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아틀라스의 딸 디오네로 알려져 있다.[13] 그 외에 플레이아데스 중 하나인 타이게테, 강의 신 크산투스의 딸 에우리테미스타,[14] 팍톨루스의 딸 에우리아나사,[14][15] 암피다만테스의 딸 클리티아,[14][16] 에우프리토 등이 있다.[17]
탄탈로스는 펠롭스를 통해 아르테우스의 이름을 딴 아르테우스 가문의 시조였으며,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의 증조부였다.
3. 5. 부의 원천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탄탈로스의 부가 프리기아와 시필루스 산의 광산에서 유래했다고 말한다.[19] 시필루스 산 근처에는 고대부터 탄탈로스와 그의 가문과 연관되어 온 고고학적 특징들이 있다. 이즈미르(고대 스미르나)의 야만라르 산 근처에는 카라괼 호수(탄탈로스 호수)가 있는데, 그를 둘러싼 이야기에 연관되어 있으며, 파우사니아스가 언급한 기념물, 즉 톨로스 "탄탈로스의 무덤"(나중에 기독교화) "성 찰람보스의 무덤"과 시필루스 산의 또 다른 무덤이 있다.[19] 그곳에는 그의 아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로 조각된 제단이나 벤치인 "펠롭스의 왕좌"가 있다.4. 신화
탄탈로스는 제우스의 친구로, 신들만 마실 수 있는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먹고 올림포스 산의 연회에 참석하는 특권을 누렸다. 그러나 신들을 시험하기 위해 아들 펠롭스를 스튜로 만들어 대접하는 끔찍한 일을 저질렀다. 신들은 모두 요리의 정체를 알아차렸지만, 데메테르는 딸 페르세포네를 하데스에게 납치당한 슬픔에 잠겨 펠롭스의 왼쪽 어깨 살을 먹고 말았다. 펠롭스는 부활 후 상아 어깨를 얻게 되었다. 또한 탄탈로스는 신의 음식을 훔쳐 인간 친구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신들의 분노를 산 탄탈로스는 타르타로스로 보내져 영원한 굶주림과 갈증의 형벌을 받았다. 늪의 물은 턱까지 차올랐지만 마시려 하면 사라졌고, 과일은 손을 뻗으면 멀어졌다. 유럽 언어에서 탄탈로스는 갖고 싶은 것이 눈앞에 있지만 손이 닿지 않는 고통을 상징하는 대명사가 되었다. 영어의 "tantalize"와 프랑스어의 "supplice de Tantale"는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다.
4. 1. 신들의 총애와 몰락
탄탈로스는 원래 신들에게 총애받아 올림포스 산에 초대되어 신들과 어울리는 특권을 누렸다. 하지만 점차 오만해져 신들의 음식인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훔쳐 사람들에게 신들의 비밀을 누설했다.[26] 심지어 신들을 시험하기 위해 아들 펠롭스를 죽여 그 고기로 요리를 만들어 대접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신들은 이 끔찍한 음식에 손을 대지 않았으나, 딸 페르세포네를 잃고 실의에 빠져 있던 데메테르만이 무심코 어깨 부위 고기를 먹고 말았다.[26]
분노한 신들은 탄탈로스를 타르타로스에 떨어뜨려 영원한 형벌을 받게 했다. 펠롭스는 다시 살아났지만, 데메테르가 먹어버린 어깨는 상아로 메워졌다.[26]
탄탈로스는 타르타로스에서 과일 나무 아래 물웅덩이에 갇히는 벌을 받았다. 그가 과일을 잡으려 하면 가지가 올라가고, 물을 마시려 하면 물이 줄어드는 영원한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렸다. 머리 위에는 시시포스가 굴리는 바위와 같은 위협적인 돌이 매달려 있었다.[27]
다른 이야기에서는 탄탈로스가 레아가 아기 제우스를 감시하기 위해 두었던 금 개를 훔쳤다고도 한다.[28] 친구 판다레우스가 개를 훔쳐 탄탈로스에게 맡겼는데, 탄탈로스는 개를 본 적도 없다고 거짓말을 했다.[29]
이러한 탄탈로스의 악행은 저주받은 아르테우스 가문의 비극으로 이어졌다. 탄탈로스의 무덤은 시필로스 산에 있었고,[30] 아르고스에서는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31]

4. 2. 펠롭스 살해 사건
탄탈로스는 신들의 총애를 받아 올림포스 산에 초대되어 신들과 어울리는 특권을 누렸으나, 점차 오만해져 신들의 음식인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훔쳐 인간들에게 나눠주고, 신들의 비밀을 누설했다.[26]탄탈로스는 신들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의 아들 펠롭스를 죽여 그 시체를 토막 내어 요리한 후, 연회에서 신들에게 대접했다. 신들은 이 끔찍한 음식의 정체를 알아차리고 손을 대지 않았으나, 딸 페르세포네를 잃고 슬픔에 잠겨 있던 데메테르만이 무심코 펠롭스의 어깨 부분을 먹고 말았다.
4. 2. 1. 펠롭스의 부활
탄탈로스는 신들의 총애를 받아 올림포스에 초대될 정도였으나, 오만해져 신들의 음식인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훔치고 신들의 비밀을 누설했다.[26] 그는 신들을 시험하기 위해 아들 펠롭스를 죽여 요리해 바쳤다. 신들은 음식을 먹지 않았지만, 페르세포네를 잃고 슬픔에 빠진 데메테르는 무심코 펠롭스의 어깨 고기를 먹고 말았다.[26]이에 분노한 신들은 탄탈로스를 타르타로스에 떨어뜨려 영원한 벌을 받게 하고, 펠롭스는 다시 살려냈다. 이때 데메테르가 먹어버린 어깨는 하얀 상아로 메워졌다.[26] 제우스의 명령에 따라 운명의 여신 중 하나인 클로토가 펠롭스의 몸 조각들을 모아 신성한 솥에 넣고 끓여 헤파이스토스가 만들고 데메테르가 준 상아로 어깨를 만들었다.[26]
부활한 펠롭스는 매우 아름다운 청년이 되었고, 포세이돈은 그를 올림포스로 데려가 전차를 가르쳤다. 그러나 훗날 제우스는 탄탈로스에게 분노하여 펠롭스를 올림포스에서 쫓아냈다.[26]
4. 3. 타르타로스에서의 영원한 형벌
탄탈로스는 타르타로스라는 지하 세계의 가장 깊은 곳에서 영원한 형벌을 받았다. 그는 턱까지 차오르는 물웅덩이 속에 서 있었지만, 물을 마시려고 하면 물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머리 위에는 먹음직스러운 과일이 달린 나뭇가지가 있었지만, 손을 뻗으면 가지가 위로 올라가 버려 영원한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렸다.[24]탄탈로스는 제우스의 초대로 올림포스 산에서 신들과 함께 식사하며 암브로시아와 넥타를 훔쳐 인간들에게 나눠주고 신들의 비밀을 누설했다.[26] 또한, 아들 펠롭스를 희생시켜 신들에게 바치는 끔찍한 악행을 저질렀다. 데메테르만이 딸 페르세포네를 잃은 슬픔에 펠롭스의 어깨를 먹었고, 펠롭스가 부활했을 때 상아로 어깨를 만들어 주었다.
탄탈로스의 머리 위에는 시시포스가 언덕 위로 굴려야 하는 바위와 같은 위협적인 돌이 솟아 있었다.[27] 이러한 형벌은 그에게 영원히 영양을 박탈하는 저주를 내렸다.
이 때문에 유럽 계열 언어에서 탄탈로스는 갖고 싶은 것이 눈앞에 있는데 손이 닿지 않는 안타까운 고통의 대명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어의 동사 "tantalize"는 "갖고 싶은 것을 과시하며 애태우다"라는 의미이며, 프랑스어의 "supplice de Tantale"(직역하면 "탄탈로스의 고통")는 같은 의미를 지닌다.
4. 3. 1. 금색 개 도난 사건
다른 이야기에서 탄탈로스는 레아가 아기 제우스를 감시하기 위해 두었던 금 개를 간접적으로 훔친 혐의를 받았다. 다른 버전에서는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 신전을 지키기 위해 만든 기계 개였다.[28] 탄탈로스의 친구 판다레우스가 개를 훔쳐 탄탈로스에게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주었다. 나중에 판다레우스가 개를 돌려달라고 요청했을 때, 탄탈로스는 "금 개를 본 적도 없고 들은 적도 없다"고 말하며 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부인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이 사건 때문에 탄탈로스의 머리 위에 거대한 돌이 걸려 있다고 한다.[29]4. 4. 아르테우스 가문의 저주
탄탈로스는 지하 세계의 가장 깊은 곳에서 악인을 처벌하는 타르타로스에 거주했으며 오디세우스가 그를 보기도 했다.[25] 그의 어머니는 플루토(부를 의미)이며 할머니는 크토니아(대지를 의미)인데, 이를 통해 그가 저승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탄탈로스는 제우스의 초대로 올림포스 산의 식탁에 익시온처럼 초대받았다. 그러나 그는 제우스의 환대를 악용하여 암브로시아와 넥타를 훔쳐 자신의 백성에게 가져다주고 신들의 비밀을 누설했다.[26]
또한 탄탈로스는 자신의 아들 펠롭스를 희생시켜 토막내고 삶아 신들에게 연회에서 제공하여 그들의 전지전능함을 시험했다. 신들은 이 끔찍한 메뉴의 본질을 알고 제물에 손을 대지 않았지만, 딸 페르세포네를 잃은 슬픔에 잠긴 데메테르만이 소년의 어깨 일부를 먹었다.
제우스의 명령에 따라 세 명의 운명의 여신 중 하나인 클로토는 소년에게 다시 생명을 불어넣었다. 그녀는 몸의 각 부분을 수집하여 신성한 솥에 넣고 끓여서, 헤파이스토스가 만들고 데메테르가 제공한 상아로 어깨를 재건했다. 부활한 펠롭스는 매우 잘생긴 청년으로 성장했고, 포세이돈은 그를 올림포스로 데려가 전차 사용법을 가르쳤다. 나중에 제우스는 탄탈로스에게 분노하여 펠롭스를 올림포스에서 내쫓았다.
탄탈로스는 낮은 가지가 있는 과일 나무 아래의 물웅덩이에 서는 벌을 받았다. 그가 과일을 잡으려고 하면 가지는 그의 손에서 먹을 것을 들어 올렸고, 마시려고 몸을 숙이면 물은 그가 마시기도 전에 뒤로 물러났다. 그의 머리 위에는 시시포스가 언덕 위로 굴려야 하는 벌을 받는 돌과 같이 위협적인 돌이 솟아 있었다.[27] 이 운명은 그에게 영원히 영양을 박탈하는 저주를 내렸다.
다른 이야기에서 탄탈로스는 레아가 아기 제우스를 감시하기 위해 두었던 금 개를 간접적으로 훔친 혐의를 받았다. 다른 버전에서는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 신전을 지키기 위해 만든 기계 개였다.[28] 탄탈로스의 친구 판다레우스가 개를 훔쳐 탄탈로스에게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주었고, 나중에 판다레우스가 개를 돌려달라고 요청했을 때 탄탈로스는 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부인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이 사건 때문에 탄탈로스의 머리 위에 거대한 돌이 걸려 있다고 한다.[29]
탄탈로스는 저주받은 아르테우스 가문의 창시자였으며, 그의 행위로 인해 발생한 불행은 많은 그리스 비극의 주제가 되었다. 탄탈로스의 무덤 성소는 시필로스 산에 있었지만[30], 펠로폰네소스 반도 아르고스에서 그에게 경의가 표해졌다.[31] 레스보스 섬에는 작은 정착지 폴리온과 탄탈로스의 이름을 딴 산에 또 다른 영웅 신전이 있었다.[32]
참조
[1]
문서
Orestes
[2]
웹사이트
Tantalus
https://www.britanni[...]
[3]
문서
Suida
https://topostext.or[...]
[4]
웹사이트
Tantalize - Define Tantalize at Dictionary.com
http://www.dictionar[...]
2023-01-05
[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6]
서적
History of Art in Phrygia, Lydia, Caria And Lycia
Marton Press
[7]
문서
Pausanias, and other Greek sketches
[8]
서적
Bulfinch's Mythology
Kessinger Publishing Company
2004-06
[9]
서적
Early Greek myth : a guide to literary and artistic sources
https://www.worldca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3
[10]
문서
Olympian Odes
https://www.perseus.[...]
[11]
문서
Strabo
[12]
문서
Diodorus Siculus
[13]
문서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14]
문서
The Greek Myths
[15]
문서
Orestes
https://www.perseus.[...]
[16]
문서
Orestes
https://www.perseus.[...]
[17]
문서
Apostol. Cent.
[18]
문서
Argonautica
[19]
문서
tomb of Tantalus
[20]
서적
The East Face of Helicon: West Asiatic Elements in Greek Poetry and Myth
Oxford University Press
[21]
문서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22]
문서
Not named but certainly points out to him
[23]
문서
Not named but certainly describes her
[24]
웹사이트
De val van Tantalus
https://lib.ugent.be[...]
2020-10-02
[25]
문서
Odyssey
[26]
문서
Orestes
[27]
문서
Pausanias
[28]
문서
On Homer's Odyssey
https://books.google[...]
[29]
서적
The Greek Myths
Penguin
[30]
문서
Pausanias
[31]
문서
Pausanias
[32]
문서
Stephen of Byzantium
[33]
문서
ピンダロス『オリュンピア祝勝歌』3歌23行への古註
[34]
문서
パウサニアス、2巻22・3
[35]
문서
アントーニーヌス・リーベラーリス、36話
[36]
서적
ディオニューソス譚
[37]
서적
ディオニューソス譚
[38]
기타
82話
[39]
서적
オレステー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