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이시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구성되는 12개의 시간 단위이다. 각 시진은 약 2시간에 해당하며, 한국어에서는 '자시'와 같이 십이지 뒤에 '시'를 붙여 표현한다. 십이시는 시간 체계, 방위와의 관계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조선 시대에는 시간 측정의 기준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법 - 24시간제
24시간제는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어 시간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오전/오후 혼동을 줄여 컴퓨터, 교통, 군사,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고대 이집트 천문학에서 기원하여 표준시 설정과 함께 확산되었다. - 시각법 - 12시간제
12시간제는 메소포타미아와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하여 하루를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시간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시계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정오와 자정 표기, 오전/오후 약어 사용 시 혼란이 있을 수 있어 24시간제와 병행하거나 명확한 용어 사용이 권장된다. - 한국 민속 - 조왕신
조왕신은 한국 전통 신앙에서 부엌을 지키며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신으로, 농업 사회에서 풍흉을 좌우하는 존재로 여겨져 숭배되었고, 현대에도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한국 민속 - 무속신앙
무속신앙은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으로 무당을 통해 신령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며 굿과 같은 의식을 행하고, 한국 민간 신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한국 철학 - 삼균주의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는 개인, 민족, 국가 간 완전한 평등을 추구하며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통해 이상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독립운동 이념으로, 손중산의 삼민주의, 서양 철학, 기독교적 평등주의의 영향을 받아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의 기반이 되었다. - 한국 철학 - 주체사상
주체사상은 자주, 자립, 자위를 핵심 원칙으로 하는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북한식 해석으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이어지며 김씨 일가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념적 성격과 적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와 비판이 존재한다.
십이시 | |
---|---|
십이지 정보 | |
십이지 |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
시간 | 자시(子時): 23시 ~ 01시 축시(丑時): 01시 ~ 03시 인시(寅時): 03시 ~ 05시 묘시(卯時): 05시 ~ 07시 진시(辰時): 07시 ~ 09시 사시(巳時): 09시 ~ 11시 오시(午時): 11시 ~ 13시 미시(未時): 13시 ~ 15시 신시(申時): 15시 ~ 17시 유시(酉時): 17시 ~ 19시 술시(戌時): 19시 ~ 21시 해시(亥時): 21시 ~ 23시 |
설명 | 각 시는 초(初)와 정(正)으로 나뉨. (예: 23시~0시는 자초(子初), 0시~1시는 자정(子正)) |
유래 | 자정(midnight)이라는 용어는 고대 시각제도에서 유래함. |
주의사항 | 과거의 시간은 관측지를 기준으로 하는 지방시이며, 현대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각제도는 표준시이므로, 옛날 기록에 나오는 시간에 32분을 더해 주어 현재의 시각제도인 표준시로 환산됨. |
2. 명칭
십이시진의 명칭은 『서경』이나 『시경』과 같은 오래된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하루를 열두 시간으로 나누고 각각의 시간에 이름을 붙인 것은 『춘추좌씨전』 소공 5년 조의 "고유 십시(故有十時)"라는 구절에 대한 두예의 주석에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두예의 주석에 따르면 당시 사용된 12가지 명칭은 야반(夜半), 계명(雞鳴), 평단(平旦), 일출(日出), 식시(食時), 우중(禺中), 일중(日中), 일뎨(日昃), 보시(晡時), 일입(日入), 황혼(黃昏), 인정(人定)이다. 이러한 고유 명칭 외에도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사용하여 각 시간을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시(子時)', '축시(丑時)' 등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지금도 '야반 자시', '계명 축시'처럼 고유 명칭과 십이지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옛 방식을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2. 1. 십이지
십이시는 각각의 시간에 "야반"과 같은 별칭이 있지만, 십이지로 부르기도 한다. 십이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구성된다. 한국어에서는 십이지 뒤에 '시(時)'를 붙여 "자시(子時)"와 같이 표현한다. 참고로 일본어에서는 "자의 시각(子の刻)"이나 "자자(子字)"[5] 등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2. 2. 기타 명칭
— 『춘추좌씨전』두예 주석이 명칭들 가운데 태양의 위치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것은 일출(日出), 우중(禺中), 일중(日中), 일뎨(日昃), 일입(日入)이다. 해돋이(일출)와 해넘이(일입), 해가 가장 높이 뜨는 남중(일중)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우중'은 태양이 동남쪽 모퉁이를 지나 남중에 가까워진 시간을, '일뎨'는 태양이 서쪽으로 기울어지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늘의 밝기와 관련된 명칭으로는 평단(平旦)과 황혼(黃昏)이 있다. 이는 각각 해가 뜨기 전과 해가 진 후의 박명 시간대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대 중국인의 식사 시간에서 유래한 명칭도 있다. 식시(食時)와 보시(晡時)가 그것인데, 옛사람들은 하루에 두 번, 해가 뜬 후와 해가 지기 전에 식사를 했다고 전해진다.
그 외에 계명(雞鳴)은 글자 그대로 닭이 우는 시간대를, 인정(人定)은 사람들이 활동을 멈추고 조용해지는 시간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시간 체계
십이시는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시간 체계이다. 하루를 십이지에 맞춰 12개의 시간 단위로 나누었으며, 각 단위를 시진(時辰)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시진은 현대 시간으로 약 2시간에 해당한다. 하루의 시작인 자정은 자시(子時)의 중간인 정각(正刻)이며, 낮 12시인 정오는 오시(午時)의 정각이다. 필요에 따라 각 시진을 더 세분화하여 사용하기도 했으며,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계절에 따라 낮과 밤의 시진 길이가 달라지는 부정시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3. 1. 시진과 현대 시간의 대응
각 시진은 현대 시간으로 약 2시간에 해당하며, 각 시진이 시작하는 시각은 초각(初刻), 중간 시각은 정각(正刻)이다. 하루의 시작인 자정은 십이지의 첫 번째인 자시(子時)의 정각이 된다. 즉, 현대 시간으로 23시가 자시의 초각으로 시진의 시작이며, 자시의 정각인 0시를 자정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오시(午時)의 정각인 12시를 정오라고 한다.3. 2. 부정시법 (不定時法)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일본에서는 부정시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조간 4년(862년)에 일본에 도입된 선명력에서는 부정시법을 기준으로 하여, 항상 해가 뜨는 시각을 묘시(卯時)의 정각으로 삼고, 해가 지는 시각을 유시(酉時)의 정각으로 정했다. 헤이안 시대 이후 오랫동안 선명력이 사용되었으나, 에도 시대인 조쿄 원년(1684년)에 조쿄력이 도입되면서 변화가 생겼다. 조쿄력부터는 낮 시간을 단순히 해 뜨는 시각부터 해 지는 시각까지로 보지 않고, 그 전후의 박명 시간을 포함하게 되었다. 즉, 해 뜨기 2각 반[6] 전을 새벽으로 간주하여 하루의 시작인 묘시 정각으로 삼았고, 해 진 시각 2각 반 후를 해 질 녘으로 여겨 유시 정각으로 정했다[7]。이러한 방식 때문에 계절에 따라 시진(時辰)의 길이가 달라졌다. 여름에는 해돋이가 빠르고 해넘이가 늦어 낮 시간이 길어지는 반면, 겨울에는 해돋이가 늦고 해넘이가 빨라져 낮 시간이 짧아졌다. 따라서 낮과 밤을 각각 6등분한 시진의 길이, 즉 낮의 1각(刻)과 밤의 1각은 서로 길이가 같지 않았다. 겨울의 낮은 짧고 밤은 길었으며, 여름의 낮은 길고 밤은 짧았다. 이를 평균하면 하나의 시진은 대략 2시간 정도였다. 결과적으로 자시(子時)와 오시(午時, 정오)를 제외한 다른 시각들은 계절에 따라 변동했다[8]。
이후 간세이력에서는 새벽과 해 질 녘을 더욱 구체적으로 정의했는데, 태양 중심이 지평선 아래 7°21′40″의 복각(伏角)을 이루는 시각으로 정했다. 이는 구면 삼각법을 이용한 계산 결과로, 교토에서의 춘분과 추분 날 해 뜨기 전과 해 진 후 2각 반 시점의 태양 위치를 기준으로 한 것임이 후대의 메이지 시대 이후에 밝혀졌다[7]。이 기준에 따르면 새벽과 해 질 녘의 길이는 위도나 계절에 따라 달라지지만, 교토뿐만 아니라 에도에서도 약 36분 전후가 된다. 현대의 리과연표에는 시태양(視太陽) 중심의 복각이 7°21′40″이 되는 시각을 새벽과 해 질 녘으로 하여, 구 도쿄 천문대에서의 새벽, 해돋이, 해넘이, 해 질 녘 시각이 기록되어 있다[9]。
3. 3. 시진의 세분
각 시진은 약 2시간으로, 시작하는 시각을 초각(初刻), 중간 시각을 정각(正刻)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시(子時)는 밤 11시(23시)부터 새벽 1시까지인데, 23시가 자시의 초각, 0시(자정)가 자시의 정각이 된다. 낮 12시(정오)는 오시(午時)의 정각이다.명(明)대 이후 서양의 24시간제가 도입되면서 시진을 둘로 나누어 1시간에 해당하는 소시(小時) 단위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때 각 시진은 초각부터 1시간인 '초(初)'와 정각부터 1시간인 '정(正)'으로 나뉘었다. 예를 들어 자시는 23시부터 0시까지가 자초(子初), 0시부터 1시까지가 자정(子正)으로 구분되었다. 일본에서는 시진의 절반(1시간)을 반각(半刻, 半刻|はんとき일본어)이라고 불렀다.
시진을 40분 간격으로 셋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를 순서대로 상각(上刻), 중각(中刻), 하각(下刻)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시의 상각", "자시의 중각", "자시의 하각"과 같이 부른다. 다만, 이 용어들이 기간이 아니라 시점(상각=초각, 중각=정각, 하각=다음 시진의 초각)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
또한 시진을 30분 간격으로 넷으로 나누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시의 경우 "자시 하나", "자시 둘", "자시 셋", "자시 넷"과 같이 부른다. 일본에서는 시진의 4분의 1(30분)에 해당하는 시간을 사반각(四半刻, 四半刻|しはんとき일본어)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에도 시대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던 시간의 최소 단위였다. "초목도 잠든 축시 삼각(丑三つ刻)"이라는 표현에서의 "축시 삼각"은 대략 새벽 2시부터 2시 30분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4. 방위와의 관계
정오의 태양 방위는 남쪽이며, 이는 십이지 중 오(午)에 해당한다. 자정 무렵 태양의 방위는 북쪽이며, 이는 십이지 중 자(子)에 해당한다. 지구상의 남북 방향을 잇는 선을 자오선(子午線)이라고 부르는 것은 여기에서 유래했다. 마찬가지로 동쪽의 방위는 묘(卯), 서쪽의 방위는 유(酉)에 해당하므로, 동서 방향을 잇는 선을 묘유선(卯酉線)이라고 한다. 이러한 십이지와 방위의 관계는 다른 시각에서는 정확히 들어맞지 않지만, 대략적으로는 일치한다.
5. 한국에서의 시진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까지 십이시를 이용한 시간 체계인 시진(時辰)을 공식적인 시간 단위로 사용했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서양식 시간 체계와 표준시를 사용하므로 일상생활에서는 시진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극이나 역사 관련 매체에서는 시대상을 반영하기 위해 "오시(午時)에 참수하라"와 같이 시진을 언급하는 경우가 종종 등장한다.
십이시 외에도 한국의 전통적인 시간 단위로는 하루를 100등분 한 각(刻), 하룻밤을 5등분 한 경(更), 그리고 경(更)을 다시 5등분 한 점(點) 등이 있었다. 특히 경과 점은 밤 시간을 세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참조
[1]
문서
初刻、正刻、終の時刻表記は定時法での24時間記法のもの。
[2]
문서
時間帯を表す明・朝・昼・夕・暮・宵・夜・暁などの語は、時間により2通りあるものもあり、それは斜線で区切って示した。
[3]
문서
24時間記法の6時ではなく、宣明暦では日の出の時刻。貞享暦以降は日の出2刻半(36分)前の夜明け。したがって冬は遅くなり、夏は早くなる。
[4]
문서
24時間記法の18時ではなく、宣明暦では日没の時刻。貞享暦以降は日没2刻半(36分)後の日暮れ。したがって冬は早くなり、夏は遅くなる。
[5]
문서
明治5年太政官布告第337号に、「改暦前の時刻の呼称を『字』を用いていた」とある。
[6]
문서
ここでいう1刻は十二時辰ではなく、1日を100等分したものであり、1刻=14分24秒。
[7]
논문
江戸時代の時刻と現代の時刻
https://doi.org/10.5[...]
東京地学協会
1977
[8]
문서
現在の時刻による正午と、当時の南中における午の正刻は、経度のみならず、季節に依っても数分程度前後する。均時差・アナレンマ参照。
[9]
서적
『理科年表』, p2 - 30.
NAOJ
[10]
웹인용
십이시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2-22
[11]
저널
한국사에서 하루의 시작은 언제부터인가?
http://janss.kr/Up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