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안은 바다가 육지와 만나는 선을 의미하며, 조석, 파랑, 기압 등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동한다. 해안선은 최고조 해수면을 나타내는 고조 해안선과 최저조 해수면을 나타내는 저조 해안선으로 구분되며, 육지와 바다의 경계인 해안선은 지형도와 해도에 각각 다르게 표시된다. 해안선은 침식, 퇴적, 지각 운동, 해수면 변화 등의 요인에 의해 위치가 변하며, 각 국가별로 연안의 범위와 정의가 다르다. 해안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으로 구분되며, 연안해역은 해안선으로부터 12해리 이내의 해저 및 해안을 포함하고, 연안육역은 무인도와 유인도의 일정 부분을 포함한다. 해안은 조석 범위에 따라 거대 조석, 중간 조석, 미세 조석 해안으로 분류되며, 파도의 에너지와 퇴적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지형이 형성된다. 해안은 침식, 퇴적, 기타 지질 작용을 통해 다양한 지형을 형성하며, 이러한 지형은 해안의 이용과 보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해안은 어업, 관광, 레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지만, 해양 오염, 해수면 상승, 해안 침식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해안 생태계 보전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안 - 방조제
    방조제는 해안 침식 방지, 항구 건설 등을 위해 바닷가에 건설되는 구조물이며, 다양한 종류와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건설 비용, 생태계 영향, 해수면 상승에 대한 취약성과 같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 해안 - 하구
    하구는 강이 바다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으로, 퇴적 작용으로 다양한 지형을 형성하고 기수역 생태계를 구성하며 인간의 경제 활동에 중요하지만 생태적 위협에 직면하여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해안지리학 - 암초
    암초는 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를 의미하며, 기원, 지리적 위치, 수심 등에 따라 분류되고, 해양법상 영해 등의 권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해안지리학 - 갯벌
    갯벌은 조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평탄한 지형으로, 생물 다양성 유지, 오염 물질 정화, 해안 침식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하여 보존 및 복원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 지형 -
    땅은 지구의 단단한 표면을 의미하며 천연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피복, 수계, 지하수, 대기의 일부, 인간 활동의 결과 등을 포함하여 지구과학, 생명과학, 인문학적으로 연구되고, 지형 형성, 생태계, 토지 이용, 환경 문제와 관련되며, 문화권에 따라 의미와 중요성이 다양하게 해석된다.
  • 지형 - 구릉
    구릉은 평야와 산지의 중간 형태를 띠며 다양한 침식 형태를 보이고 농업, 혼합림, 초원 등으로 이용되며, 한국에서는 국토지리원 기준에 따라 정의되고 수도권 집중 완화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안
개요
정의육지와 바다 또는 대양이 만나는 지역
특징
길이약 620,000 km
수직: 1 ~ 50 m
수평: 150 km
인구 집중전 세계 인구의 60%가 거주
주요 생태계맹그로브 숲
염습지
해초
산호초
중요성
생태적 기능다양한 육상 및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 제공
기후 변화 영향기후 변화에 따른 위협 증가
관련 용어
해안선해안과 육지 사이의 경계선

2. 해안선의 정의 및 측정

해안선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경계선으로, 정선이라고도 불린다. 해수면은 조석, 파랑, 기압 등의 영향으로 끊임없이 변동하므로 해안선 역시 계속 이동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정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인 약최고고조면을 해안선으로 정한다.[48]



지구는 약 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12] 해안선은 파도에 의한 침식, 퇴적 작용, 지각 운동에 의한 융기와 침강, 해수면 변화 등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하기 쉽다.[43][44]

각국의 해안선 길이는 '''국가별 해안선 길이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 섬나라인 일본은 해안선이 길어, 그 합계는 3만 5000킬로미터에 달하며,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의 1.5배,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国)의 2배에 달한다.[45][46]

2. 1. 해안선의 정의

바다가 육지와 맞닿은 선을 '''해안선''' 또는 '''정선'''이라고 한다. 육지면은 단기간에는 거의 일정하지만, 해면은 조석, 파랑, 기압 등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 부정기적으로 오르내리므로 해안선은 고정된 선이 아니라 계속 이동한다. 최저조일 때의 해안선을 저조 해안선, 최고조일 때의 해안선을 고조 해안선이라 한다. 파랑이 높아지면 바닷물은 고조 해안선보다 더 육지로 밀려든다. 지도에 그려진 육지의 경계선은 파랑이 미칠 수 있는 한계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정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인 약최고고조면을 해안선으로 정한다.[48]

지형도에는 고조 해안선이, 해도에는 저조 해안선이 사용된다.

2. 2. 해안선의 측정

바다가 육지와 맞닿은 선을 '''해안선'''(海岸線) 또는 '''정선'''(汀線)이라 하는데, 육지면은 단기간에는 거의 일정하다고 볼 수 있으나, 해면은 조석, 파랑, 기압 등의 변화에 따라서, 혹은 주기적, 부정기적으로 오르내리므로 해안선은 일정한 선이 아니고 계속 이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저조일 때의 해안선을 저조 해안선, 최고조일 때의 해안선은 고조 해안선이라 한다. 파랑이 높아지면 바닷물은 고조 해안선보다 더 육지로 밀려든다. 지도에 그려진 육지의 연변선은 이 파랑이 미칠 수 있는 한계의 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정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인 약최고고조면을 해안선으로 정한다.[48]

해안선 역설에 따르면, 해안선의 길이는 측정에 사용된 방법과 척도에 따라 달라진다. 해안선을 더 작은 단위로 측정할수록 해안선의 길이는 증가한다. 이 역설은 1960년에 루이스 프라이 리처드슨이 처음 관찰했으며, 베누아 만델브로트는 이를 수학적으로 공식화했다.

3. 연안의 구분 및 관리

연안은 재질에 따라 모래 해변, 암석 해안 등으로, 생성 원인에 따라 침수 해안, 이수 해안 등으로 나뉜다.

암석 해안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환경을 제공한다. 반면 모래 해변은 생물 다양성이 비교적 낮지만, 모래 틈새에 서식하는 간극성 생물이나 육지 쪽의 해빈 식물 등 고유한 생태계를 유지한다.

화롄 현 펑빈 향 해안


세계 인구가 점점 더 연안 지역에 집중되면서, 국제 연합의 지도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44%가 해안에서 150k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6] 많은 주요 도시들이 좋은 항만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일부 내륙 지역은 운하를 건설하여 항만 지위를 얻기도 한다.

국가들은 군사 침략자, 밀수업자 및 불법 이민자로부터 해안을 방어한다. 고정된 연안 방어 시설은 오랫동안 많은 국가에서 건설되었으며, 연안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해군과 해안 경비대를 갖추고 있다.

3. 1. 연안의 정의

연안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으로 나눈다.

연안해역은 해안선으로부터 12해리 이내의 해저 및 하층토를 포함한 바다와 바닷가를 포함하며, 연안 육역은 무인도 전체와 유인도 및 내륙의 경우 바다로부터 일정한 거리까지 연안으로 규정한다. 유인도의 경우에는 섬의 크기가 큰 편이어서 섬 전체를 연안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다만, 각 나라마다 지정하는 범위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15]

국가연안 육역연안 해역
뉴질랜드영어평균 최고 분수령 경계12해리 영해
대한민국한국어500m 또는 1km 이내12해리 이내
미국영어 로드아일랜드주60m 이내3해리
미국영어 알래스카주해발고도 약 30.48m 
미국영어 플로리다주연안인접지역대서양 3해리 (5.6km)
미국영어 캘리포니아주평지고조정선 5마일 (8km)관할해역 3마일 (4.8km)
미국영어 코네티컷주약 304.80m 이하 습지지역 
브라질pt평균 고조선에서 2km 
스리랑카si평균 고조선에서 300m평균 저조선에서 2km
스웨덴sv2해리(3.7km)이내
오스트레일리아영어3km 이내1km 이내
이스라엘he 평균저조선에서 200m
인도hi고조선과 저조선 사이의 빈지와 육지측 500m
일본일본어해안선에서 1km 이내의 표고 100m이하 지역만․간조시 기준 50m
중국중국어해안선기준 10km수심 10~15m
코스타리카es평균해수면에서 200m고조선과 저조선 사이
프랑스프랑스어100m12해리



"연안 수역" (또는 "연안 해역")은 다양한 맥락에서 다르게 사용되는 다소 일반적인 용어이며, 지리적으로 해안에서 몇 킬로미터 이내의 해역에서 육지에서 백 킬로미터 이상 뻗어 있을 수 있는 전체 대륙붕까지 이른다.[28] 따라서 연안 수역이라는 용어는 법적 및 경제적 경계에 대한 논의[29] (영해공해 참조) 또는 연안 지형의 지리 또는 대륙붕을 통해 작동하는 생태계 (해양 연안 생태계)를 고려할 때 약간 다른 방식으로 사용된다.

연안 구역이라는 용어에도 단일 정의가 없다. 이는 바다, 호수, 또는 의 해안과 가까운 부분이다.[34] 연안 환경에서 연안 구역은 거의 침수되지 않는 만조선에서 영구적으로 수중에 있는 해안 지역까지 확장된다.

해안은 바다에 의해 형성된 육지 부분을 가리키지만, 예전에는 "물가" 또는 "해변" 등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40] "물가"는 수면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중국 한자에서 물가를 뜻하는 渚(저)나 汀(정)이 그 발음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40] 연안은 육지 부분뿐만 아니라 수면 부분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육지와 바다의 경계인 ""은 해안선이라고 한다. 조위와 관련하여 "고조 해안선", "저조 해안선"의 두 종류가 있으며, 지형도에는 고조 해안선이, 해도에는 저조 해안선이 사용된다.

3. 2. 연안 관리

연안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으로 나눈다.

연안해역은 해안선으로부터 약 19.31km 이내의 해저 및 하층토를 포함한 바다와 바닷가를 포함하며, 연안 육역은 무인도 전체와 유인도 및 내륙의 경우 바다로부터 일정한 거리까지 연안으로 규정한다. 유인도의 경우에는 섬의 크기가 큰 편이어서 섬 전체를 연안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다만, 각 나라마다 지정하는 범위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국가연안 육역연안 해역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평균 최고 분수령 경계약 19.31km 영해
대한민국한국어500m 또는 1km 이내약 19.31km 이내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로드아일랜드주60m 이내약 4.83km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알래스카주해발고도 약 30.48m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플로리다주연안인접지역대서양 약 4.83km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캘리포니아주평지고조정선 약 8.05km관할해역 약 4.83km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코네티컷주약 304.80m 이하 습지지역
Brasil|브라질pt평균 고조선에서 2km
ශ්‍රී ලංකා|스리랑카si평균 고조선에서 300m평균 저조선에서 2km
Sverige|스웨덴sv약 3.22km이내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3km 이내1km 이내
יִשְׂרָאֵל|이스라엘he평균저조선에서 200m
भारत|인도hi고조선과 저조선 사이의 빈지와 육지측 500m
日本|일본일본어해안선에서 1km 이내의 표고 100m이하 지역만․간조시 기준 50m
中国|중국중국어해안선기준 10km수심 10m~15m
Costa Rica|코스타리카es평균해수면에서 200m고조선과 저조선 사이
France|프랑스프랑스어100m약 19.31km



UNEP가 전 세계 연안 관리를 위해 발표한 연안 위험 휠 시스템


점점 더 많은 세계 인구가 연안 지역에 살고 있다.[20] 국제 연합의 지도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44%가 해안에서 150km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6] 많은 주요 도시들이 좋은 항만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일부 내륙 지역은 운하를 건설하여 항만 지위를 얻었다.

국가들은 군사 침략자, 밀수업자 및 불법 이민자로부터 해안을 방어한다. 고정된 연안 방어 시설은 오랫동안 많은 국가에서 건설되었으며, 연안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해군과 해안 경비대를 갖추고 있다.

4. 해안의 형성

조석은 퇴적물이 쌓이거나 침식되는 범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석의 범위가 넓으면 파도가 해안 더 깊숙이 도달하여 영향을 미치고, 범위가 좁으면 좁은 고도 구간에 퇴적이 집중된다. 조석 범위는 해안선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조석 자체는 침식을 직접 일으키지 않지만, 조석 급류는 강한 하구에서 바다로 밀려 올라가는 파도를 통해 침식을 유발할 수 있다.[16]

지질학자들은 조석 범위에 따라 해안을 세 가지로 분류한다.

구분조석 범위특징
거대 조석 해안4m 이상사주, 석호가 없고, 조류에 맞춰 정렬된 모래 능선이 있는 깔때기 모양 하구가 특징.
중간 조석 해안2m파도의 작용이 퇴적물의 바닥 형태를 결정하는 데 중요.
미세 조석 해안2m 미만파도의 작용이 퇴적물의 바닥 형태를 결정하는 데 중요.



거대 조석 해안과 중간 조석 해안의 구분이 특히 중요하다.

파도는 해안에 부딪히며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로 인해 해안선이 침식된다. 큰 파도는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여 더 많은 퇴적물을 이동시킨다. 해안선이 길면 파도 에너지가 분산될 공간이 넓지만, 절벽과 짧은 해안은 파도 에너지가 집중되어 절벽에 부딪히는 파도 에너지가 높아진다. 이로 인해 공기와 물이 바위 틈새로 압축되어 바위를 부수고, 파도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이 침식된 절벽에서 발생하여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마식 해안 또는 절벽 해안을 형성한다.

강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하구가 있는 해안선에서 퇴적물의 양에 큰 영향을 미친다.[18] 그러나 오늘날에는 댐 등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하천 퇴적물이 해안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열대 섬 해안선에서는 산호초가 퇴적물 공급원 역할을 한다.[19]

해안은 바다와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환경이다. 지구의 자연적인 과정, 특히 해수면 상승, 파도, 기상 현상은 해안의 침식, 퇴적(지질학) 및 재형성을 초래하고, 대륙붕 및 물에 잠긴 하곡(리아)의 홍수 및 생성을 유발한다.

5. 해안의 유형

해안은 여러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해안의 재질에 따라 사빈, 암석 해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빈은 모래로 된 해안이며, 암석 해안은 암초로 이루어진 해안이다.

사빈의 예시 (오키나와현구루마 섬의 나가마하마)


해안 지형이 만들어진 원인에 따라 '''침강 해안'''과 '''융기 해안'''으로 나눌 수 있다.[42] 침강 해안은 지반 침강으로 만들어지며, 융기 해안은 해저 융기로 만들어진다. 해면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삼각주 해안, 간석지, 산호초 등은 "중성 해안"으로 분류한다.

포구의 예시


단애 해안의 예시 (필리핀 바탕가스 주 나스구부 마을)


매립지와 같이 인공적으로 만든 해안은 "'''인공 해안'''"으로 분류한다. 해안 지대는 만조선·간조선과의 관계에 따라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로 나누기도 한다.

5. 1. 지질학적 분류

지질학자들은 조석 범위를 기준으로 해안을 분류한다. 조석 범위가 4m 이상인 '''거대 조석 해안''', 2m에서 4m 사이인 '''중간 조석 해안''', 2m 미만인 '''미세 조석 해안'''으로 나눈다.[17] 거대 조석 해안은 사주석호가 없고, 조류에 맞춰 정렬된 모래 능선이 포함된 깔때기 모양의 하구가 특징이다. 반면, 중간 조석 및 미세 조석 해안에서는 파도의 작용이 퇴적물의 바닥 형태를 결정하는 데 더 중요하다.[17]

해안 분류의 한 원칙에 따르면, 해수면 변화 또는 융기로 인해 해수면이 하강한 해안은 '''융기 해안'''이다. 융기 해안은 높은 조수 수위보다 높은 해안 지형으로 식별된다. 반대로, 해수면 변화, 침강, 지각 평형으로 해수면이 상승한 해안은 '''침강 해안'''이다. 침강 해안은 리아 (침수된 계곡) 및 피오르와 같이 침수된 지형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분류 원칙에 따르면, '''조화 해안선'''은 서로 다른 암석대가 해안과 나란히 뻗어 있는 해안선이다. 이 암석들은 저항이 달라 해안선은 만과 같은 독특한 지형을 형성한다. '''불협화 해안선'''은 암석이 파도침식되어 독특한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저항력이 약한 암석은 만입이나 을 만들고, 강한 암석은 이나 노출로 남는다.

해안선의 일부는 고에너지 해안 또는 저에너지 해안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고에너지 해안은 파랑 에너지가 높아 침식이 퇴적을 초과하여 절벽, 곶, 파식대 등이 발달한다. 저에너지 해안은 파랑으로부터 보호되거나 풍파 및 너울이 온화한 지역에 위치하며, 천천히 변화하며 퇴적 환경을 이룬다.

5. 2. 재질에 따른 분류

해안은 재질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모래로 이루어진 사빈과 암석으로 이루어진 암석 해안이 있다.

5. 3. 기타 분류



'''리비에라'''(Riviera)는 "해안선"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단어이다.[23][24][25] 이는 궁극적으로 라틴어 ripa|강둑la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는 리구리아해 해안에 대한 고유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riviera ligure''라는 형태로 사용된 후 ''riviera''로 축약되었다. 역사적으로 리구리아 리비에라는 제노바 남쪽의 카포 코르보(푼타 비안카)에서 시작하여 북쪽과 서쪽으로 현재 프랑스 영토인 모나코를 지나 때로는 마르세유까지 확장되었다.[23][26][27] 오늘날, 이 해안은 이탈리아 리비에라와 프랑스 리비에라로 나뉘지만, 프랑스는 이탈리아 리비에라를 지칭하기 위해 "리비에라"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프랑스 부분을 "코트 다 쥐르"(Côte d'Azur)라고 부른다.[24]

리구리아 리비에라의 명성으로 인해, 이 용어는 영어로 유입되어 햇볕이 잘 들고, 지형이 다양하며, 관광객에게 인기 있는 해안선, 특히 그러한 해안선을 지칭하게 되었다.[23]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장소로는 퀸즐랜드의 호주 리비에라와 에게해를 따라 펼쳐진 터키 리비에라 등이 있다.[24]

  • 절벽 해안 또는 침식 해안은 해양 작용으로 절벽으로 알려진 가파른 경사가 생성된 해안이다.
  • 평탄 해안은 육지가 바다로 점차 내려가는 해안이다.
  • 등급 해안선은 바람과 물의 작용으로 평평하고 곧은 해안선이 생성된 해안이다.
  • 제1 해안은 주로 구조 운동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주요 장기적인 과정에 의해 초기 단계의 개발을 겪고 있는 해안이다. 제2 해안은 제1 과정이 대부분 안정화되고, 보다 국지적인 과정이 두드러진 해안이다.
  • 침식 해안은 평균적으로 침식을 겪고 있는 반면, 퇴적 해안은 물질을 축적하고 있다.
  • 활동 해안은 판 경계에 있는 반면, 수동 해안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대륙붕에 있거나 판 경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해안은 바다에 의해 형성된 육지 부분을 가리키지만, 예전에는 "물가" 또는 "해변" 등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40] "물가"는 수면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중국 한자에서 물가를 뜻하는 渚(저)나 汀(정)이 그 발음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40] 연안은 육지 부분뿐만 아니라 수면 부분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해안의 분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재질에 따라 "모래 해변", "암석 해변" 등으로 분류하거나, 성인에 따라 "침수 해안", "이수 해안" 등으로 분류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해안과 생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면, 다양한 해안 중에서도 암석 해안이 특히 생물이 풍부하다. 모래 해변은 상대적으로 생물이 적지만, 모래 틈새에는 간극성 생물이, 육지 쪽에는 해빈 식물이 보인다.

육지와 바다의 경계인 ""은 해안선이라고 한다. 조위와 관련하여 "고조 해안선", "저조 해안선"의 두 종류가 있으며, 지형도에는 고조 해안선이, 해도에는 저조 해안선이 사용된다.

해안은 재질에 따라 사빈, 암석 해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빈은 모래로 된 해안이며, 암석 해안은 암초성의 해안이다.

또한, 해안 지형의 성인에 따라 '''침강 해안'''과 '''융기 해안'''으로 나눌 수 있다.[42] 침강 해안은 지반 침강에 의한 것이고, 융기 해안은 해저 융기에 의한 것이다. 해면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중성 해안"으로 분류하며, 삼각주 해안, 간석지, 산호초 등이 이에 해당한다.

매립지 등 인공적으로 조성한 해안은 "'''인공 해안'''"으로 분류한다. 해안 지대의 토지는 만조선·간조선과의 관계에 따라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로 분류하기도 한다.

6. 해안 지형

해안 지형


해안 지형은 크게 침수 해안과 이수 해안으로 나뉜다.

  • 침수 해안(Submergent coastline영어)

: 지반의 침강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만들어진 해안이다.[42] 하천 등에 의해 깎인 지형에 바다가 유입되기 때문에, 해안선이 복잡하고 리아스식 해안, 다도해, 피오르, 삼각강, 단층 해안 등이 나타난다. 산리쿠 해안, 세토 내해,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피오르 지대가 대표적인 예이다.

  • 이수 해안(Emergent coastline영어)

: 해저가 융기하거나 해수면이 하강하여 만들어진 해안이다.[42] 해안선은 평탄하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사빈 해안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연안주, 석호, 사주, 사취, 사구, 육계도, 육계사주(톰볼로), 해안 평야, 해안 단구, 해식애, 해식대 등이 나타난다. 지바현 구주쿠리 해변, 가고시마현 후키아게 해변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외에도 , 작은 만, , 반도 등 다양한 해안 지형이 존재한다.

6. 1. 침식 지형

조석은 종종 퇴적물이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범위를 결정한다. 조석의 범위가 큰 지역은 파도가 해안까지 더 멀리 도달할 수 있고, 조석의 범위가 작은 지역은 더 작은 고도 간격으로 퇴적을 발생시킨다. 조석 범위는 해안선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석 자체는 일반적으로 침식을 일으키지 않지만, 조석 급류는 파도가 강 하구에서 바다로 밀려 올라갈 때 침식을 일으킬 수 있다.[16]

파도는 해안에 부딪히면서 에너지를 방출하여 해안선을 침식시킨다. 파도가 클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더 많은 퇴적물을 이동시킨다. 해안선이 긴 해안은 파도가 에너지를 분산시킬 공간이 더 많지만, 절벽과 짧은 해안 면을 가진 해안은 파도 에너지를 분산시킬 공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절벽에 부딪히는 파도 에너지가 더 높고, 공기와 물이 바위의 틈새로 압축되어 바위를 갈라 부수게 된다. 파도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침식된 절벽 면에서 발생하며, 파도에 의해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은 마식 해안 또는 절벽 해안을 형성한다.

해안은 그것을 형성하는 바다와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환경이다. 지구의 자연적인 과정, 특히 해수면 상승, 파도 및 다양한 기상 현상은 해안의 침식, 퇴적(지질학) 및 재형성을 초래한다.

  • 절벽 해안 또는 침식 해안은 해양 작용으로 절벽으로 알려진 가파른 경사가 생성된 해안이다.
  • 등급 해안선은 바람과 물의 작용으로 평평하고 곧은 해안선이 생성된 해안이다.
  • 해안을 따라 퇴적된 많은 양의 퇴적물은 주변 절벽 또는 벼랑의 침식으로 발생한다. 절벽 해안은 파도에 의한 경사면의 지속적인 침식으로 인해 육지 쪽으로 후퇴한다. 침식되는 경사면/절벽이 굳지 않은 퇴적물로 구성된 경우 기반암으로 만들어진 절벽보다 훨씬 더 빠르게 침식된다.[18]
  • 자연 아치는 곶이 파도에 의해 침식될 때 형성된다.
  • 해식 동굴은 특정 암반이 주변 암반보다 약한 부분이 많아 침식에 더 취약할 때 만들어진다. 이러한 취약한 부분은 더 빠른 속도로 침식되어 구멍이나 틈새를 만들고, 시간이 지나면서 파도의 작용과 침식을 통해 동굴이 된다.
  • 해식 기둥은 곶이 파도와 바람의 작용에 의해 침식되거나 아치가 붕괴되어 해안에서 떨어진 잔해를 남길 때 형성된다.
  • 해식 스텀프는 불안정성으로 인해 침식되었거나 무너진 짧아진 해식 기둥이다.
  • 파식구는 돌출된 경사면이 침식되어 절벽 재료에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경사면 재료가 붕괴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발생한다. 떨어진 잔해는 절벽 바닥에 쌓이고 결국 파도에 의해 제거된다.
  • 파식대는 해식 절벽의 침식과 후퇴가 오랫동안 발생한 후에 형성된다. 완만하게 경사진 파식대는 절벽 후퇴의 초기 단계에 형성된다. 이후에는 파도가 더 멀리 떨어진 해역에서 꺾이면서 에너지를 잃기 때문에 파식대의 길이가 짧아진다.[18]
  • 침수 해안()은 지반의 침강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한 해안이다.[42] 하천 등에 의해 깎인 지형에 바다가 유입되기 때문에, 해안 부근에서 급격하게 깊어지거나, 岸(물가 안)가까이에 생각지 못한 암초가 있는 등 해안선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다. 해안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석이 노출되고, 산지가 해안에 가까이 위치한다. 이러한 해안은 암초 해안이나 빈 해안이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磯(물가 기)'''라고도 불린다. 지형으로는 리아스식 해안, 다도해, 피오르, 삼각강, 단층 해안 등이 이에 분류된다. 예시로는 산리쿠 해안과 세토 내해,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피오르 지대가 있다.

6. 2. 퇴적 지형

조석은 종종 퇴적물이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범위를 결정한다. 조석 범위가 큰 지역은 파도가 해안까지 더 멀리 도달할 수 있고, 조석 범위가 작은 지역은 더 작은 고도 간격으로 퇴적을 발생시킨다. 조석 범위는 해안선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석 자체는 일반적으로 침식을 일으키지 않지만, 조석 급류는 파도가 강 하구에서 바다로 밀려 올라갈 때 침식을 일으킬 수 있다.[16]

지질학자들은 조석 범위를 기준으로 해안을 분류하는데, 조석 범위가 4m 이상인 ''거대 조석 해안'', 조석 범위가 2m 에서 4m인 ''중간 조석 해안'', 조석 범위가 2m 미만인 ''미세 조석 해안''으로 나눈다. 거대 조석 해안과 중간 조석 해안의 구분이 더 중요하다. 거대 조석 해안에는 사주석호가 없으며, 조류에 맞춰 정렬된 모래 능선이 포함된 깔때기 모양의 하구가 특징이다. 파도의 작용은 거대 조석 해안보다 중간 조석 및 미세 조석 해안을 따라 퇴적된 퇴적물의 바닥 형태를 결정하는 데 훨씬 더 중요하다.[17]

파도는 해안에 부딪히면서 에너지를 방출하여 해안선을 침식시킨다. 파도가 클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더 많은 퇴적물을 이동시킨다. 해안선이 긴 해안은 파도가 에너지를 분산시킬 공간이 더 많지만, 절벽과 짧은 해안 면을 가진 해안은 파도 에너지를 분산시킬 공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절벽에 부딪히는 파도 에너지가 더 높고, 공기와 물이 바위의 틈새로 압축되어 바위를 갈라 부수게 된다. 파도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침식된 절벽 면에서 발생하며, 파도에 의해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은 마식 해안 또는 절벽 해안을 형성한다.

강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하구가 있는 해안선에서 퇴적물의 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18] 오늘날, 해안에서의 하천 퇴적은 댐 및 기타 인간 규제 장치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퇴적물이 내륙에 퇴적되도록 하여 퇴적물을 하천에서 제거한다. 산호초는 열대 섬 해안선의 퇴적물 공급원이다.[19]

해안은 그것을 형성하는 바다와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환경이다. 지구의 자연적인 과정, 특히 해수면 상승, 파도 및 다양한 기상 현상은 해안의 침식, 퇴적(지질학) 및 재형성뿐만 아니라 대륙붕 및 물에 잠긴 하곡(리아)의 홍수 및 생성을 초래했다.

6. 3. 기타 해안 지형

조석은 종종 퇴적물이 쌓이거나 침식되는 범위를 결정한다. 조석 범위가 큰 지역은 파도가 해안까지 더 멀리 도달할 수 있고, 조석 범위가 작은 지역은 더 작은 고도 간격으로 퇴적을 발생시킨다. 조석 범위는 해안선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석 자체는 일반적으로 침식을 일으키지 않지만, 조석 급류는 파도가 강 하구에서 바다로 밀려 올라갈 때 침식을 일으킬 수 있다.[16]

지질학자들은 조석 범위를 기준으로 해안을 분류하는데, 조석 범위가 4m 이상인 '거대 조석 해안', 조석 범위가 2m인 '중간 조석 해안', 조석 범위가 2m 미만인 '미세 조석 해안'으로 나눈다. 거대 조석 해안과 중간 조석 해안의 구분은 더 중요하다. 거대 조석 해안에는 사주석호가 없으며, 조류에 맞춰 정렬된 모래 능선이 포함된 깔때기 모양의 하구가 특징이다. 파도의 작용은 거대 조석 해안보다 중간 조석 및 미세 조석 해안을 따라 퇴적된 퇴적물의 바닥 형태를 결정하는 데 훨씬 더 중요하다.[17]

파도는 해안에 부딪히면서 에너지를 방출하여 해안선을 침식시킨다. 파도가 클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더 많은 퇴적물을 이동시킨다. 해안선이 긴 해안은 파도가 에너지를 분산시킬 공간이 더 많지만, 절벽과 짧은 해안 면을 가진 해안은 파도 에너지를 분산시킬 공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절벽에 부딪히는 파도 에너지가 더 높고, 공기와 물이 바위의 틈새로 압축되어 바위를 갈라 부수게 된다. 파도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침식된 절벽 면에서 발생하며, 파도에 의해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은 마식 해안 또는 절벽 해안을 형성한다.

강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은 하구가 있는 해안선에서 퇴적물의 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18] 오늘날 해안에서의 하천 퇴적은 댐 및 기타 인간 규제 장치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퇴적물이 내륙에 퇴적되도록 하여 퇴적물을 하천에서 제거한다. 산호초는 열대 섬 해안선의 퇴적물 공급원이다.[19]

해안은 그것을 형성하는 바다와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환경이다. 지구의 자연적인 과정, 특히 해수면 상승, 파도 및 다양한 기상 현상은 해안의 침식, 퇴적(지질학) 및 재형성뿐만 아니라 대륙붕 및 물에 잠긴 하곡(리아)의 홍수 및 생성을 초래했다.

  • 절벽 해안 또는 침식 해안은 해양 작용으로 절벽으로 알려진 가파른 경사가 생성된 해안이다.
  • 평탄 해안은 육지가 바다로 점차 내려가는 해안이다.
  • 등급 해안선은 바람과 물의 작용으로 평평하고 곧은 해안선이 생성된 해안이다.
  • 제1 해안은 주로 구조 운동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주요 장기적인 과정에 의해 초기 단계의 개발을 겪고 있는 해안이다. 제2 해안은 제1 과정이 대부분 안정화되고, 보다 국지적인 과정이 두드러진 해안이다.
  • 침식 해안은 평균적으로 침식을 겪고 있는 반면, 퇴적 해안은 물질을 축적하고 있다.
  • 활동 해안은 판 경계에 있는 반면, 수동 해안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대륙붕에 있거나 판 경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 강 어귀
  • 석호
  • 염생 습지
  • 맹그로브
  • 다시마 숲
  • 산호초
  • 굴 암초

7. 해안 생태계

해안에는 많은 생물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조수의 간만, 해안의 저질(갯벌, 모래, 암초), 먹이 분포 등에 따라 서식지를 세밀하게 구분한다. 암초의 경우, 수위에 따라 바위에 부착하는 생물이 다르기 때문에 띠 모양 분포를 관찰하기 쉽다.[47]

만조 시의 해안선을 '''만조선''', 간조 시의 해안선을 '''간조선'''이라고 부르며, 해안은 이 두 선으로 구분하여 '''조상대''', '''조간대''', '''조하대'''의 3개의 지대로 나뉜다.


  • '''조상대'''(비말대): 만조선보다 위쪽으로, 항상 육지인 부분이다. 염분에 약한 식물은 살기 어렵고 건조와 해풍에 강한 생물만이 서식한다.
  • '''조간대''': 만조선과 간조선 사이로, 하루 중 육지와 해중을 오가는 부분이다.[47] 영양과 햇빛이 충분하지만, 염분 농도와 온도가 급격히 변하고 강한 파도에 노출되어 환경 변화에 강한 생물이 주로 서식한다. 간조 시 해수가 남는 물웅덩이는 생물에게 중요한 생활 공간이다.
  • '''조하대''': 간조선보다 아래쪽으로, 항상 해중인 부분이다. 생물에게 안정된 환경이지만, 간조선 부근은 강한 파도에 적응해야 한다.


해안은 지형과 조건에 따라 생물에게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지리적인 분류와는 또 다르다. 또한, 어떤 생물을 중심으로 생각하느냐에 따라서도 보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 '''암초 해안''': 갯바위는 생물 다양성이 높고 다양한 동식물을 관찰하기 좋다.
  • '''모래 해변''': 저질이 단조롭고 고정되지 않아 생물 다양성은 낮지만, 독특한 생물이 서식한다. 모래 틈새에는 틈새 생물이 서식한다.
  • '''갯벌''': 내만이나 하구의 바람과 파도가 약한 곳에 형성되며, 고운 진흙이 퇴적된다. 간조 시 넓은 갯벌이 드러나며, 주로 해산 생물이 서식한다. 열대에서는 맹그로브가 성립한다.

7. 1. 해안 생물

육지에는 바다오리, 바다거북, 점프펭귄 등이 서식한다. 바다 달팽이와 다양한 종류의 따개비는 바위 해안에 살며 바다에서 퇴적된 음식을 찾아 먹는다. 돌고래갈매기처럼 일부 해안 동물은 관광객이 던져주는 음식을 먹는 등 인간에게 익숙해졌다. 해안 지역은 모두 연안대의 일부이므로 해안 바로 바깥에서 착생동물인 산호, 해면, 불가사리, 홍합, 해초, 물고기, 말미잘을 포함한 풍부한 해양 생물이 발견된다.[47]

펠리컨, 가마우지, 제비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등 여러 종류의 바닷새가 다양한 해안에 서식하며, 이들은 물고기와 조개류를 찾아 먹는다. 웨일스 등 일부 국가의 해안에는 바다사자가 서식한다.

해안에는 많은 생물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조수의 간만, 해안의 저질(갯벌·모래·암초), 먹이 분포 등에 따라 서식지를 세밀하게 구분한다. 암초의 경우, 수위에 따라 바위에 부착하는 생물이 다르기 때문에 띠 모양 분포를 관찰하기 쉽다.

해안 생물의 서식지는 조수의 간만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조상대: 만조선보다 위쪽으로, 항상 육지인 부분이다. '비말대'라고도 하며, 염분에 약한 식물은 살기 어렵고 건조와 해풍에 강한 생물만이 서식한다.
  • 조간대: 만조선과 간조선 사이로, 하루 중 육지와 해중을 오가는 부분이다. 영양과 햇빛이 충분하지만, 염분 농도와 온도가 급격히 변하고 강한 파도에 노출되어 환경 변화에 강한 생물이 주로 서식한다. 간조 시 해수가 남는 물웅덩이는 생물에게 중요한 생활 공간이다.
  • 조하대: 간조선보다 아래쪽으로, 항상 해중인 부분이다. 생물에게 안정된 환경이지만, 간조선 부근은 강한 파도에 적응해야 한다.


해안은 지형과 조건에 따라 생물에게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

  • 암초 해안: 갯바위는 생물 다양성이 높고 다양한 동식물을 관찰하기 좋다.
  • 모래 해변: 저질이 단조롭고 고정되지 않아 생물 다양성은 낮지만, 독특한 생물이 서식한다. 모래 틈새에는 틈새 생물이, 육지 쪽에는 해안 식물이 발견된다.
  • 갯벌: 내만이나 하구의 바람과 파도가 약한 곳에 형성되며, 고운 진흙이 퇴적된다. 간조 시 넓은 갯벌이 드러나며, 주로 해산 생물이 서식한다. 육지 쪽에는 담수의 영향으로 일부 육상 식물이 자라며, 염생 습지를 형성한다. 열대 지역에서는 맹그로브 숲이 발달한다.

7. 2. 해안 식물

많은 해안 지역은 다시마 숲으로 유명하다. 다시마는 이상적인 조건에서 하루에 0.5m까지 자랄 수 있는 빠르게 성장하는 해조류이다. 맹그로브, 해초류, 대형 조류 군락, 염생 습지는 각각 열대 및 온대 환경에서 중요한 해안 식생 유형이다.[3][4] 레스틴가는 또 다른 유형의 해안 식생이다.

해안에는 많은 생물이 살고 있으며, 이들 생물은 조수의 간만, 해안의 저질(갯벌·모래·암초), 먹이 분포 등에 따라 세밀하게 서식지를 구분한다. 암초의 경우, 수위에 따라 바위에 부착하는 생물이 다르기 때문에 띠 모양 분포를 관찰하기 쉽다.

모래 해변의 육지 쪽에는 해안 식물이 보인다. 내만이나 하구의 바람과 파도가 약한 곳에는 고운 진흙이 퇴적된다. 간조 시에는 넓은 갯벌 바닥이 공기에 노출된다. 이러한 환경을 갯벌이라고 한다. 갯벌에서는 주로 해산 생물이 서식한다. 갯벌의 육지 쪽에서는 담수의 영향으로 일부 육상 식물이 진입한다. 이러한 장소를, 육상 식물의 측면에서 볼 때 염생 습지라고 부른다. 열대에서는 여기에 맹그로브가 성립한다.

8. 해안의 이용과 보전

해안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시에 여러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상류의 댐, 사방댐, 해안의 방파제 등으로 인해 모래 공급이 줄어 모래사장이 사라지는 곳도 있다. 양빈을 하기도 하지만, 많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모래가 유실되어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 강에 버려진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가 해안에 쌓여 표착 쓰레기·해양 쓰레기가 되기도 한다.
  • 해양에 투기된 폐기물이나 화물선 사고로 유출된 적재물, 중유 등으로 인해 해안이 오염되기도 한다.

8. 1. 해안의 이용


  • 해안은 예로부터 어업을 통해 식량을 얻는 장소였다. 현대에는 낚시나 갯벌 체험 등 놀이와 레저 활동의 장으로 활용되며, 모래사장은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 아름다운 경관을 가진 해안은 관광 명소가 된다. 특히 지중해, 남태평양, 카리브해와 같은 섬나라에서는 관광경제의 중심이다. 이탈리아아말피 해안은 매년 모든 계층의 국제 관광객을 끌어모으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21][22]
  • 모래사장은 어부들이 작은 배를 올려놓고 밧줄 등으로 당겨 육지로 올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로부터 행해졌으며, 지금도 세계 각지의 모래사장에서 볼 수 있다.
  • 중형~대형 선박은 모래사장에서 육지로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암반 등 자연 지형은 배 밑바닥을 손상시킬 수 있어 이용하기 어렵다. 페니키아인의 국가 카르타고는 건축 기술을 이용하여 석재나 모르타르로 큰 항구를 건설하여 국제 해양 국가로서 번영했다. 일본 가마쿠라 시대에는 가마쿠라 해변에 돌을 대량 투입하여 선착장·하역장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해운에 활용했다. 현대에는 해안을 선착장으로 활용할 경우 콘크리트 공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토지를 늘리기 위해 해안 부근 바다를 매립하여 매립지를 만들기도 한다. 매립지는 공업 지대나 공항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해안 침식을 막기 위해 소파 블록(테트라포드) 설치 등의 조치가 이루어진다.
  • 상류의 댐·사방댐, 해안의 방파제 건설 등의 악영향으로 모래 공급이 감소하여 모래사장이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 양빈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비용에 비해 모래가 정착되지 않고 유출되어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 인류가 강에 투기한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가 해안으로 밀려와 대량의 표착 쓰레기·해양 쓰레기가 되기도 한다.
  • 해양 투기된 폐기물이나 화물선 사고 등으로 흘러나온 적재물이나 중유 등에 의해 해안이 오염되기도 한다.


--
--
--
--
안기(雁木)에 의한 호안
--
--


8. 2. 해안의 위협과 보전

해안은 인간 활동과 자연 현상으로 인해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한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에 의한 환경 영향 및 해안 개발 위험

  • 오염:
  • 수질 오염: 영양 과잉으로 인한 해안 부영양화 및 유해 조류 번성, 유류 유출, 플라스틱 등으로 인한 해양 쓰레기 발생.[35][36][37]
  • 해양 오염: 육지에서 발생하여 강, 하수구, 대기를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이 90%를 차지하며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35][36][37]
  • 해양 쓰레기: 바다, 호수, 강에 버려지는 인간이 만든 쓰레기(플라스틱, 금속, 유리 등). 해양 생물에게 피해를 주고 인간 건강과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
  • 기후 변화:
  • 해수면 상승: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양 열팽창과 빙하 및 극지방 빙상 해빙으로 발생. 해안 침식 및 염수 침투 야기.

국제적인 노력

  • 지속가능발전목표 14 "해양 생태계 보전": 해안 위협 해결, 해양 연안 생태계 보존, 해안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 지원을 위한 국제 정책 목표.[8]
  • 유엔 생태계 복원 10년(2021-2030): 연안 생태계 복원 관심 부족 해결 노력.[9]

해안의 활용과 문제점

  • 어업 및 레저: 전통적 어업 활동, 낚시, 갯벌 체험, 해수욕장 등 레저 활동 장소.
  • 관광: 아름다운 경관은 관광 명소.
  • 선박 정박 및 육양: 모래사장은 소형 선박 정박 및 육양에 사용. 대형 선박은 모래사장 육양 불가, 암반 해안은 추가 조성 필요.
  • 매립: 토지 확장을 위해 해안 매립, 공업 지대, 공항 등 건설.
  • 침식 방지: 소파 블록(테트라포드) 설치 등으로 해안 침식 방지.
  • 모래사장 소멸: 댐, 방파제 건설로 모래 공급 감소, 양빈 실패 사례 존재.
  • 표착 쓰레기: 강에서 바다로 흘러간 쓰레기가 해안에 쌓임.
  • 해양 오염: 해양 투기 폐기물, 화물선 사고 유출물, 중유 등으로 해안 오염.


참조

[1]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coast 2024-07-19
[2] Merriam-Webster coastline 2024-07-19
[3] 서적 Ecological Connectivity Among Tropical Coastal Ecosystems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2009
[4] 학술지 The habitat function of mangroves for terrestrial and marine fauna: A review https://linkinghub.e[...] 2008
[5] 서적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Elsevier
[6] 웹사이트 UN Atlas of the Oceans https://coastalchall[...] CoastalChallenges.com 2013-10-31
[7]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the coasts https://worldoceanre[...] 2020-12-19
[8] 간행물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United Nations 2017-07-06
[9] 학술지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2021–2030—What Chance for Success in Restoring Coastal Ecosystems? 2020
[10] 웹사이트 Coastal Zones http://www.tulane.ed[...] 2008-12-11
[11] 학술지 The Indian Ocean Coast of Somalia https://www.research[...] 2000-12
[12] 웹사이트 Ocean Habitats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1-09-25
[13] 학술지 Estuarine fish and shellfish species in US commercial and recreational fisheries: economic value as an incentive to protect and restore estuarine habitat https://repository.l[...] 2021-09-24
[14] 웹사이트 Global Ocean Protection: Pres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http://www.iucn.org/[...] Iucn.org 2012-06-07
[15] 웹사이트 "The Coast" is Complicated: A Model to Consistently Describe the Nation's Coastal Population https://coast.noaa.g[...] 2023-06-13
[16] 서적 Exploring earth: an introduction to physical geology Prentice Hall 2002
[17] 서적 Origin of sedimentary rocks Prentice-Hall 1980
[18] 서적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Prentice Hall 1999
[19] 웹사이트 How is beach sand created? -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https://www.whoi.edu[...] 2021-08-10
[20] 학술지 Flocking to the Coast: World's Population Migrating into Danger http://www.livescien[...] 2008-12-14
[21] 웹사이트 Bay of Naples & Amalfi Coast History http://www.uniquecos[...] 2011-06-28
[22] 웹사이트 Costiera Amalfitana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5-09-14
[23] 백과사전 riviera https://books.google[...] Allied Chambers
[24] 서적 Nietzsche, Freud, Benn, and the Azure Spell of Ligur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5] 문서
[26] 서적 Winter havens in the sunny South, a complete handbook to the Riviera https://books.google[...] The Bazaar
[27] 서적 The Riviera, Or The Coast from Marseilles to Leghorn, Including Carrara, Lucca, Pisa, Pistoja and Florence https://books.google[...] Adam and Charles Black
[28] 서적 Ocean margin processes in global change: report of the Dahlem Workshop on Ocean Margin Processes in Global Change, Berlin, 1990, March 18-23 Wiley 1991
[29] 웹사이트 Coastal waters Definition: 255 Samples https://www.lawinsid[...] 2022-06-22
[30] 서적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and Biological Oceanography of Shelf Sea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coastal waters — European Environment Agency https://www.eea.euro[...] 2022-06-29
[32] 웹사이트 Coastal Waters https://www.epa.gov/[...] 2022-06-29
[33] 간행물 Nutrient Criteria Technical Guidance Manual,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Waters https://www.epa.gov/[...] USEPA 2001
[34] 학술지 Patterns and variation of littoral habitat size among lakes
[35] 학술지 Globally consistent assessment of coastal eutrophication 2021
[36] 논문 Nutrient Biogeochemistry of the Coastal Zone https://www.science.[...] 1998
[37] 논문 Globally Changing Nutrient Loads and Harmful Algal Blooms: Recent Advances, New Paradigms, and Continuing Challenges https://tos.org/ocea[...] 2017
[38] 서적 Sedimentology and sedimentary basins: from turbulence to tectonics Wiley-Blackwell 2011
[39] 웹사이트 海岸 > 渚にまつわるetc > 用語集 https://www.pref.iba[...] 茨城県 2020-05-09
[40] 서적 海岸線の歴史 ミシマ社
[41] 웹사이트 https://readyfor.jp/[...]
[42] 웹사이트 海岸工学 講義スライド 第2回(海岸形状と港湾構造物) http://www.suiri.civ[...] 山口大学工学部社会建設工学科水工学研究室 2020-05-09
[43] 사전 「かいがん‐せん【海岸線】」 http://dic.yahoo.co.[...] 大辞泉
[44] 백과사전 「海岸線(かいがんせん)」 http://100.yahoo.co.[...]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45] 서적 海岸線の歴史 ミシマ社
[46] 서적 海岸線の歴史 ミシマ社
[47] 웹사이트 沿岸海域土地条件図 地形区分等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20-05-09
[48] 법률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2장 측량 및 수로조사. 1절 6조 측량기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