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기는 출생 직후부터 만 1세까지의 영아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만 5세까지의 어린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아기는 신체적 특징, 감각, 발달, 돌보는 방법,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특징을 보인다. 아기의 발달은 운동, 사회성, 언어, 정서 발달을 포함하며, 이 시기에는 모유 수유와 적절한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 아기의 건강을 위해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예방 접종이 필요하며, 영아 사망 및 질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사회적으로는 아동 복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기 |
---|
2. 용어
'''영아'''(嬰兒)는 출생 직후부터 만 1세까지를 뜻하며, 유아(幼兒)는 만 2세부터 만 5세까지를 의미한다.[51] 대한민국 영유아보육법에서 영유아란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52] 영국 영어에서 ''유아 학교''(infant school)는 4세에서 7세 사이의 어린이를 위한 학교를 의미한다. 법률 용어로서, ''유아기''(infancy)는 미성년자와 유사하며, 개인이 18세가 될 때까지 지속된다.[5]
신생아는 어깨와 엉덩이가 넓고, 복부는 약간 튀어나와 있으며, 팔다리는 몸에 비해 비교적 길다. 갓 태어난 아기는 어깨와 골반이 좁고, 배가 튀어나왔으며, 팔과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다.[6]
3. 신체적 특징
출생 직후 신생아의 피부는 회색이나 어두운 푸른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가 숨을 쉬기 시작하면, 보통 1~2분 안에 피부색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신생아는 젖어 있고, 핏자국으로 덮여 있으며, 태지라는 흰색 물질로 덮여 있는데, 이는 항균 장벽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7]
신생아의 탯줄은 푸르스름한 흰색을 띤다. 출생 후 탯줄은 보통 잘라내어 2.5cm~5cm 정도의 짧은 부분을 남긴다. 탯줄에는 동맥 두 개와 정맥 하나, 총 세 개의 혈관이 있다.[47] 두 개의 동맥은 아기에게서 태반으로 혈액을 운반하고, 하나의 정맥은 아기에게 혈액을 다시 운반한다.
신생아의 생식기는 부풀어 있고 붉은색을 띠며, 남아의 경우 음낭이 유난히 크다.[47] 젖가슴 또한 커질 수 있는데, 남아도 마찬가지다.[47] 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모체 호르몬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이다.[47] 여아(또는 남아)는 젖꼭지에서 젖(또는 마녀의 우유)이 나오거나 질에서 혈액이나 우유 같은 물질이 나올 수 있다.[47] 이는 모두 정상적인 현상이며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47]
선진국에서 신생아의 평균 키는 35.6cm~50.8cm이며, 미숙아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아기의 키는 눕혀서 머리 꼭대기부터 발뒤꿈치까지 측정한다.
만삭 신생아의 평균 출생 체중은 약 3.4kg이며, 보통 2.7kg~4.6kg이다. 출생 후 첫 5~7일 동안 만삭 신생아의 체중은 3~7% 감소하는데,[8] 이는 폐를 처음 채우는 체액이 흡수 및 배뇨되고, 모유 수유가 효과를 발휘하기까지 며칠 걸리기 때문이다. 첫 주가 지나면 건강한 만삭 신생아는 하루에 10~20g/kg씩 체중이 늘어야 한다.[8]
3. 1. 머리
신생아의 머리는 몸에 비해 매우 크며, 두개골은 얼굴에 비해 엄청나게 크다. 출생 시 신생아 두개골의 많은 부위는 아직 뼈로 변환되지 않아 숨구멍(fontanel)으로 알려진 "연약한 부분"을 남겨둔다. 노긴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은 유아 두개골 융합 지연을 담당한다.[7] 분만 중에는 아기의 두개골이 산도를 통과하도록 모양이 바뀌어, 아이가 모양이 변형되거나 길쭉한 머리로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3. 2. 외모
갓난아기(갓 태어난 아기, 신생아)는 어깨와 골반이 좁으며, 배가 튀어나왔고, 팔과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다.[6] 일부 신생아는 솜털이라고 불리는 가늘고 부드러운 체모를 가지고 있다. 아기의 머리카락 색깔과 질감은 변할 수 있다. 빨간색 머리카락은 금발로, 곱슬머리는 생머리로, 굵고 어두운 머리카락은 숱이 훨씬 적고 밝게 다시 나타날 수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피부는 종종 회색 또는 어두운 푸른색을 띤다. 신생아가 숨을 쉬기 시작하면, 보통 1~2분 이내에 피부색이 정상적인 톤을 되찾는다. 신생아는 젖어 있으며, 핏자국으로 덮여 있고, 태지라고 알려진 흰색 물질로 덮여 있는데, 이는 항균 장벽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7]
3. 3. 탯줄
신생아의 탯줄은 푸르스름한 흰색을 띤다. 출생 후 탯줄은 일반적으로 잘라내어 2.5cm~5cm 정도의 짧은 부분을 남긴다. 탯줄에는 세 개의 혈관, 즉 두 개의 동맥과 하나의 정맥이 있다.[47] 두 개의 동맥은 아기에서 태반으로 혈액을 운반하고, 하나의 정맥은 아기에게 혈액을 다시 운반한다.
3. 4. 생식기
신생아의 생식기는 커지고 붉어지며, 남아는 유난히 큰 음낭을 갖는다.[47] 젖가슴 또한 커질 수 있으며, 심지어 남아의 경우에도 그렇다.[47] 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모체 호르몬에 의해 발생하며 일시적인 현상이다.[47] 여아(그리고 심지어 남아)는 젖꼭지에서 우유를 분비하거나(때로는 마녀의 우유라고 불림), 질에서 혈액 또는 우유와 같은 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47] 어느 경우든 이는 정상적인 현상으로 간주되며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47]
3. 5. 길이 및 체중
선진국에서 신생아의 평균 신장은 35.6cm에서 50.8cm이며, 미숙아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아기의 키는 아기를 눕히고 머리 꼭대기에서 발뒤꿈치까지 측정 테이프를 뻗어 측정한다.
만삭 신생아의 평균 출생 체중은 약 3.4kg이며, 일반적으로 2.7kg에서 4.6kg 범위에 있다. 출생 후 첫 5~7일 동안 만삭 신생아의 체중은 3~7% 감소하는데,[8] 이는 폐를 처음 채우는 체액의 흡수 및 배뇨의 결과이며, 모유 수유가 효과를 발휘하기까지 며칠의 지연이 있기 때문이다. 첫 주가 지나면 건강한 만삭 신생아는 하루에 10~20g/kg씩 체중이 증가해야 한다.[8]
4. 감각
갓난아기는 여러 종류의 감각을 느낄 수 있으나, 발달 단계에 있다는 점에서 가볍게 두드려 주거나 껴안거나 달래는 데 주로 반응한다. 갓난아기는 아주 약한 시력을 가지고 있고, 45cm 이내에 정면에 있는 물체만 볼 수 있다.[53] 6개월뿐만 아니라 7~12개월을 전후해서 시력이 성인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기가 뱃속에 있을 때는 엄마 몸속에서 나는 소리들, 가령 심장 박동을 들을 수 있고, 외부의 소리들, 가령 사람의 목소리나 음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갓난아기는 보통 여자의 목소리에 남자의 목소리보다 더 반응한다. 갓난아기는 다른 맛, 즉 달고 시고 쓰고 짠 것을 구별할 줄 알며, 단 것을 좋아한다. 갓난아기는 태어나면서 냄새를 맡을 줄 알며, 산모가 아기에게 초유 수급 시 1주일이 지나기 전 자기 엄마의 젖과 다른 엄마의 젖 냄새를 구별할 줄 안다.
5. 발달
아기는 생후 6개월 정도까지 모유나 분유를 먹고 자라며, 이 시기에 신생아 황달이 나타나기도 한다. 발달 단계는 개인차가 있지만, 생후 6개월 정도가 되면 앉기 시작하고, 이유식을 시작한다. 앉은 후에는 배밀이를 하고, 점차 기어다니게 된다. 1세 무렵에는 벽 등을 잡고 걷기 시작하며, 1세 반에서 2세 무렵에는 언어를 배우고 배변 훈련을 시작한다. 갓 태어난 신생아는 '''신생아 미소'''(생리적 미소)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주변 사람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47]
인생의 첫 1,000일(대략 2세 생일까지의 기간)은 평생의 건강, 성장, 신경 발달의 기반이 확립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5. 1. 운동 발달
신생아는 통일이 없는 전신운동밖에 하지 않는다. 전체 운동에서 특수 부분 운동으로의 분화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된다. 즉 머리·목의 운동에서 팔·상반신·하반신·다리로 발달한다. 발달은 중심에서 외부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손의 운동은 팔의 운동보다 늦고, 손가락 끝의 운동은 그보다 더 늦게 발달한다.[56]한편 영아기에는 생후 7개월을 전후해서 앉기를 할 수 있으며, 생후 10개월을 전후해서 길 수 있으며, 13~16개월을 전후해서 일어서기와 걷기를 시도한다.
5. 2. 사회성 발달
사회적 행동은 유아(乳兒)가 인물과 사물을 구별하기 시작한 다음에 시작된다. 사람의 소리가 나면 그쪽으로 머리를 돌리고, 성인의 미소에 미소로 응답하며, 주위에 사람이 있으면 쾌활해지고, 손발을 움직여 기쁨을 표시한다. 이러한 생후 2~3개월의 반응이 최초의 사회적 행동으로 간주된다. 이와 같이 먼저 성인과의 사회적 반응이 시작된다. 5~6개월에는 어머니와 타인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낯가리기'도 이 무렵에 나타나며, 표정을 이해하기도 한다. 10개월경이 되면 서투른 말을 시작하고, 1년쯤 되면 어른의 요구나 의사를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하며 모방도 나타난다.[57]다른 어린이와의 관계는 4~5개월 정도에 다른 어린이에게 웃음을 보이고, 특히 응애응애하는 울음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등의 행동부터 시작된다. 6개월 이후가 되면 상대에게 손을 내밀거나, 장난감을 두고 다투는 정도의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57]
5. 3. 언어 발달
1개월 이내의 신생아는 울음, 몸짓, 폭발음 등으로 주변 환경과 소통한다. 2개월경에는 발성기관의 무의식적인 운동으로 폭발음과 비슷한 소리를 내는데, 이는 감정 표현의 일종이다. 초기 발음은 모음과 자음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지만, 점차 모음과 자음(ㅍ, ㅂ, ㅁ, ㄷ, ㄹ, ㅅ 순서)이 분화된다. 처음에는 발음이 부정확하여 생략, 난음, 이행, 전치, 첨가, 융합 등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58]3~8개월경에는 소리를 내고 듣는 것 자체를 즐기는 '남어'라는 유희 행동이 나타나지만, 아직 특정 대상과의 관련성은 없다. 10~12개월경이 되면 소리가 특정 대상과 연결되어 의미를 가지면서 언어가 시작된다. 처음에는 한 단어(1어문)로 요구를 표현한다.[58]
영아기에는 언어습득과 관련하여 옹알이를 한다. 아기의 표정을 따라 하고 공감하는 것은 아기가 효능감을 느끼고 자신의 행동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준다. 부모가 아기의 옹알이에 적절하게 반응하면 언어 습득이 빨라진다.[19] 옹알이를 통해 부모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의도적 의사소통의 발달에 중요하다.[20]
부모가 아기의 옹알이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면 언어 발달이 촉진된다. 아기가 특정 사물을 보며 옹알이할 때 그 사물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아기가 사물의 이름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된다.[19] 하지만 아기의 발화와 관계없이 반응하거나, 아기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려고 하면 언어 발달에 해로울 수 있다.[21]
5. 4. 정서 발달
애착 이론은 기본적으로 적응과 동물 행동학에 기반한 이론으로, 유아나 아동이 생존을 위해 위험하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특정 애착 대상'에게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31] 애착 형성은 유아나 아동이 평생 동안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의 바탕이 된다. 애착은 사랑이나 애정과 같지는 않지만,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애착과 애착 행동은 보통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에 발달한다. 유아는 자신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일정 기간 동안 일관되게 보살펴 주는 어른에게 애착을 형성한다. 부모의 반응은 애착 유형의 발달로 이어지며, 이는 개인의 감정, 생각, 그리고 이후 관계에서의 기대를 안내하는 '내부 작동 모델'로 이어진다.[32] 애착 유형에는 '안정', '불안-양가', '불안-회피'(모두 '체계화') 그리고 '혼란' 등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다른 유형보다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애착이 없거나 애착 능력에 심각한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심각한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33]유아는 어머니, 아버지, 형제자매, 그리고 가족이 아닌 양육자에게 각기 다른 관계를 형성한다.[34] 이항 애착 관계 외에도, 삼항 관계(어머니 – 아버지 – 유아)의 질 또한 유아 정신 건강 발달에 중요하다.[35][36]
5. 5. 수면

영아의 수면은 선형적이지 않고, 발달 단계와 나이에 따라 변화한다.[24]
미국 수면 재단은 일반적으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대략적인 수면 시간을 권장한다.[25] 2018년의 한 연구는 영아 수면 행동에 관한 146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수면 시간과 밤에 깨어나는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나열했다.[22]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잦은 각성은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23]
6. 돌보는 방법
아기가 우는 것은 본능적인 의사소통 방법이다.[9] 우는 아기는 배고픔, 불편함, 과도한 자극, 지루함, 외로움 등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려 할 수 있다. 아기를 돌보는 사람들은 아기를 관찰하거나 베이비캠을 이용하여 다른 방에서 아기를 관찰할 수 있다.
모유 수유는 모든 주요 영아 건강 기구에서 권장하는 수유 방법이다.[11] 모유 수유가 불가능하거나 원하지 않는 경우, 유축한 모유 또는 영아 분유로 젖병 수유를 한다. 아기는 젖꼭지를 찾는 본능적인 행동과 엄마 젖꼭지나 분유병의 인공 젖꼭지에서 젖이나 분유를 빨 수 있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초기 영아의 적절한 음식 섭취는 영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평생에 걸쳐 최적의 건강, 성장 및 신경 발달의 기초는 생애 처음 1,000일에 확립된다.[12]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식품 보충제를 추가할 수 있다. 많은 부모는 아이를 위해 모유 또는 분유를 보충하기 위해 상업용으로 만들어진 유아식을 선택하는 반면, 다른 부모는 아이의 식단 요구 사항에 맞게 평소 식사를 변경한다. 이 때 보호자가 이유식을 먹여주지 않고 아기가 스스로 먹도록 하는 자기주도이유식을 실시하기도 하며, 이 경우 음식은 퓨레나 미음 같은 종류보다는 아기가 손으로 잡기 편한 형태의 것으로 준비한다.
산업화된 국가의 영아는 배변 훈련을 받을 때까지 기저귀를 착용한다. 아기는 걸을 때까지 팔에 안거나, 슬링이나 아기띠에 안거나, 유모차나 유아차에 태워 이동한다. 대부분의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자동차에서 아기를 위한 어린이 안전 시트를 의무화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아기띠 착용은 아기에게 진정 효과가 있다.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요람에 눕혀진 아기는 더 자주 울고 발로 찼으며 심박수 증가를 보인 반면(아기가 스트레스를 받은 것), 어미가 안고 걸어다닐 때의 아기는 상당히 진정되었다.[28]
7. 건강 문제
아기는 면역계 등 생리적 시스템이 아직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여러 질병에 취약하다. 신생아 황달은 아기의 약 90% 정도에게 나타나며, 이는 태아성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발생한다.
신생아기는 면역력이 약하고, 신경 발달이 미숙하여 질병의 특이 증상을 발견하기 어렵다. 또한, 많은 선천성 질환이 발견되는 시기이므로, 신생아학에서 다루는 매우 특이한 시기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신생아과 또는 미숙아과에서 담당하며, 신생아 중환자실(NICU)에서 실제 의료가 이루어진다.[47]
신생아 기간 동안 주의해야 할 질병은 다음과 같다:
- 신생아 황달
- 영아 호흡 곤란 증후군
- 신생아 루푸스
- 신생아 결막염
- 신생아 파상풍
- 신생아 패혈증
- 신생아 장 폐쇄
- 양성 신생아 발작
- 신생아 당뇨병
- 신생아 동종 면역 혈소판 감소증
- 신생아 단순 포진
- 신생아 혈색소 침착증
- 신생아 수막염
- 신생아 간염
- 신생아 저혈당증
7. 1. 영아 사망
영아 사망은 만 1세 미만의 사망을 말한다. 영아 사망은 태어난 지 27일 이내의 사망인 신생아 사망과 4주 이후의 사망인 후신생아 사망으로 나뉜다. 영아 사망의 가장 큰 이유는 질식, 감염, 선천성 기형, SIDS이다.[38] 영아 살해도 영아 사망의 한 부분이다.전염병 지수는 한 나라의 건강에 중요한 척도가 되는데, 이는 영아, 아동, 임산부의 건강 상태와 연관이 있으며, 의료 조치, 사회경제학적 상태와 공공 보건의 실천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39][40]
연간 1,000명 출생당 생후 1년 미만의 사망수를 영아 사망률(Infant mortality)이라고 한다.[48] 역학에서는 공중 보건 지표로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개발도상국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 주산기 사망률: 임신 22주부터 출생 후 7일 미만(주산기)의 사망률
- 신생아 사망률: 생후 4주 미만(신생아)의 사망률
- 영유아 사망률: 5세까지의 사망률
국제 연합 밀레니엄 개발 목표에서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영유아 사망률을 3분의 2 감소시키는 것(Target 4.A)을 목표로 삼았다. 그 결과 1,000명 출생당 90에서 43으로 감소했다.[49]
7. 2. 질병
영아는 면역계 등 생리적 시스템이 아직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여러 질병에 취약하다. 신생아 기간 동안 주의해야 할 질병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 황달
- 영아 호흡 곤란 증후군
- 신생아 루푸스
- 신생아 결막염
- 신생아 파상풍
- 신생아 패혈증
- 신생아 장 폐쇄
- 양성 신생아 발작
- 신생아 당뇨병
- 신생아 동종 면역 혈소판 감소증
- 신생아 단순 포진
- 신생아 혈색소 침착증
- 신생아 수막염
- 신생아 간염
- 신생아 저혈당증
신생아의 온몸이 노랗게 변하는 신생아 황달은 아기 90% 정도에게 나타나며, 이는 태아성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발생한다.
신생아기는 면역력이 약하고, 신경 발달이 미숙하여 질병의 특이 증상을 발견하기 어렵다. 또한, 많은 선천성 질환이 발견되는 시기이므로, 신생아학에서 다루는 매우 특이한 시기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신생아과 또는 미숙아과에서 담당하며, 신생아 중환자실(NICU)에서 실제 의료가 이루어진다.[47]
8. 아동 복지 및 사회적 지원
아동 복지는 영아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아 사망률은 연간 1,000명 출생당 생후 1년 미만의 사망수를 의미하며, 역학에서는 공중 보건 지표로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수치는 개발도상국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48]
영아 사망률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주산기 사망률: 임신 22주부터 출생 후 7일 미만(주산기)의 사망률
- 신생아 사망률: 생후 4주 미만(신생아)의 사망률
- 영유아 사망률: 5세까지의 사망률
국제 연합의 밀레니엄 개발 목표에서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영유아 사망률을 3분의 2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Target 4.A)로 설정했다. 그 결과, 영유아 사망률은 1,000명 출생당 90명에서 43명으로 감소했다.[49]
9. 기타
쌍둥이는 한 번의 임신으로 두 명 이상의 아기가 태어나는 경우를 말하며, 특별한 관심과 돌봄이 필요하다.[1] 신생아 바꿔치기는 병원 등에서 고의 또는 과실로 아기가 바뀌는 사건으로, 법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Charlton T. Lewis,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īnfāns
http://www.perseus.t[...]
2023-04-05
[2]
웹사이트
Neonate
http://www.m-w.com/c[...]
Merriam-Webster
2007-03-27
[3]
논문
Originalbeiträge. Internationale musiktherapeutische Ansätze für frühgeborene Kinder/ International Music Therapy Approaches with premature Infants
http://dx.doi.org/10[...]
2015-06-01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Term Pregnancy
https://www.acog.org[...]
2023-12-20
[5]
웹사이트
Infancy
http://dictionary.la[...]
Law.com
2015-09-30
[6]
서적
Nursing Care of the Pediatric Neurosurgery Pati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7]
논문
The BMP antagonist noggin regulates cranial suture fusion
2003-04-10
[8]
EMedicine
Neonatology Considerations for the Pediatric Surgeon
[9]
서적
The Calm and Happy Toddler: Gentle Solutions to Tantrums, Night Waking, Potty Training and Mor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5-12-03
[10]
논문
The Origins of Social Knowledge in Altricial Species
2020
[11]
논문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2005-02
[12]
웹사이트
The first 1,000 days of life: The brain's window of opportunity
https://www.unicef-i[...]
2019-03-28
[13]
논문
Infant Feeding
1995-01
[14]
서적
Weaning of infants. (Review)
https://archive.org/[...]
Academic OneFile.
[15]
논문
Infants' Need for Touch
[16]
웹사이트
Entwicklungspsychologische Grundlagen der frühen Kindheit und frühpädagogische Konsequenzen
https://www.kita-fac[...]
2020-12-31
[17]
논문
Infant-Directed Speech Facilitates Word Segmentation
2005-01
[18]
웹사이트
Püppi, muttu AA machen?
https://www.spektrum[...]
2014-02
[19]
웹사이트
Parents, listen next time your baby babbles
https://now.uiowa.ed[...]
2020-12-31
[20]
간행물
Maternal Respons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Directed Vocalizing in Social Interactions
2014-07
[21]
논문
Associations between early maternal behaviours and child language at 36 months in a cohort experiencing adversity
2019-01
[22]
논문
Sleep-wake behaviour during the first 12 months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a systematic review
https://www.tandfonl[...]
2020-11-01
[23]
간행물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leep, and the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the Respiratory Network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2023-11-23
[24]
웹사이트
Uninterrupted Infant Sleep, Development, and Maternal Mood
https://publications[...]
2023-11-23
[25]
논문
National Sleep Foundation's updated sleep duration recommendations: final report
https://pubmed.ncbi.[...]
2015-12
[26]
웹사이트
Bindung – von der Theorie zur Praxis: worauf kommt es an?
https://web.archive.[...]
2020-12-31
[27]
웹사이트
Bindungsstörungen Material zur Systemischen Arbeit in Erziehung und Betreuung
https://web.archive.[...]
2020-12-31
[28]
논문
Infant calming responses during maternal carrying in humans and mice
2013-05
[29]
간행물
Increased Carrying Reduces Infant Cry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pediatrics.a[...]
2020-02-02
[30]
웹사이트
Infant Age Restrictions
http://www.delta.com[...]
Delta Airlines
2013-04-27
[31]
논문
The Efe forager infant and toddler's pattern of social relationships: Multiple and simultaneous
[32]
서적
A.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Handbook of Attachment: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33]
서적
Child Maltreatment: 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06-30
[34]
간행물
The role of the father in early family interactions. Inf Mental Health J
[35]
논문
Child development and early triadic relationships
1999-02
[36]
논문
Parental capacities for triadic relationships during pregnancy: Early predictors of children's behavioral and representational functioning at preschool age
2005-01
[37]
논문
Of hissing snakes and angry voices: human infants are differentially responsive to evolutionary fear-relevant sounds
[38]
서적
Infant Mortality: A Continuing Social Problem
Ashgate Pub Co
[39]
논문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life expectancy, infant mortality, and maternal mortality rates: results of a cross-national comparison
1994-07
[40]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maternal and infant health programs in 13 Argentine provinces
http://www.scielosp.[...]
2007-04
[41]
서적
Sociology: Your Compass for a New World
Wadsworth/Cengage Learning
[42]
논문
Infant Mortality
[43]
웹사이트
Infant Mortality Rate (Deaths per 1,000 Live Births), Linked Files, 2006–2008
http://www.stateheal[...]
2012-06-12
[44]
간행물
Human Growth Development and Learning
[45]
간행물
Developmental Psychology
[46]
웹사이트
母子保健法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0-02-13
[47]
웹사이트
The first 1,000 days of life: The brain’s window of opportunity
https://www.unicef-i[...]
2019-03-28
[48]
웹사이트
厚生統計に用いる主な比率及び用語の解説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乳児死亡率の定義
2020-02-13
[49]
웹사이트
GOAL 4: REDUCE CHILD MORTALITY
http://www.un.org/mi[...]
国際連合
2016-09-01
[50]
서적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제 6단원 '언어의 세계' 212쪽
교육과학기술부
[51]
웹인용
유아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28
[52]
웹사이트
영유아보육법
http://www.law.go.kr[...]
[53]
문서
(아기의 정신세계와 아기의 눈 참조.)
[54]
문서
바빈스키 반사는 발바닥의 가벼운 자극에 대하여 발가락을 부채처럼 바깥쪽으로 벌리는 선상(扇狀) 확대 동작운동을 말한다.
[55]
문서
모로 반사는 위를 보고 자고 있는 아이에게 갑자기 강한 자극을 주면 갑자기 팔을 뻗고 벌리는 운동을 말한다.
[56]
백과사전
신생아의 운동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
[57]
백과사전
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
[58]
백과사전
언어발달의 단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
[59]
웹인용
"[인간 행동의 진화] 영아살해"
http://www.dongascie[...]
2021-01-10
[60]
웹인용
20개월 아기 밟고 성폭행한 ‘악마’…장모에 “하고 싶다” [그해 오늘]
https://m.edaily.co.[...]
2023-12-28
[61]
웹인용
"배고파 운다고" 생후 3일된 영아 살해 유기한 친모 징역 7년
https://www.yna.co.k[...]
2023-11-24
[62]
웹인용
갓난아기 살해 후 제부도 풀숲에 유기···남녀 긴급체포
https://m.khan.co.kr[...]
2024-02-08
[63]
웹인용
"[마음의 인류학] 빈곤, 아동학대의 또 다른 요인"
https://www.hankooki[...]
2016-03-28
[64]
웹인용
1세 아기 성폭행 후 SNS에 영상 유포…러軍 만행에 네티즌 분노
https://www.chosun.c[...]
2022-04-10
[65]
웹인용
"36주 아기 20만원에 팔아요"...중고거래 사이트 '발칵'
https://www.ytn.co.k[...]
2020-10-17
[66]
웹인용
The first 1,000 days of life: The brain’s window of opportunity
https://www.unicef-i[...]
2019-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