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육상 연맹(AAA)이 주최하는 육상 경기 대회로, 1973년 필리핀 마리키나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 1977년 이스라엘의 참가가 배제되면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대회가 취소되고, 1979년부터 1989년까지 비공식 대회로 진행되기도 했다. 1991년부터 정식 대회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1975년 서울에서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200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200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육상 선수들이 참가하여 남녀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놓고 경쟁한 대회로,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종합 7위를 기록했다.
  •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201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201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중국 우한에서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총 42개국이 참가했다.
  • 197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주관의 국제 대회로, 1973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다른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 197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호놀룰루 마라톤
    호놀룰루 마라톤은 1973년 시작되어 매년 2만 5천 명 이상이 참가하는 세계 10대 마라톤 중 하나로, 알라 모아나 비치 파크에서 시작해 호놀룰루 해안가를 따라 카피올라니 공원에서 끝나는 코스에서 열리며 일본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된 해를 제외하고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아시아 국가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아시아 축구 발전과 함께 성장하며 대회 양상 변화와 규모 확대를 거듭해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종목육상 선수권 대회
주최아시아 육상 연맹
웹사이트웹사이트
현 대회2025년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연혁
첫 대회1973 마리키나
마지막 대회2023 방콕
다음 대회2025 구미
개최 빈도2년마다
활동 기간1973년–현재
역대 개최지
1회1973 – 마리키나
2회1975 – 서울
3회1979 – 도쿄
4회1981 – 도쿄
5회1983 – 쿠웨이트시티
6회1985 – 자카르타
7회1987 – 싱가포르
8회1989 – 뉴델리
9회1991 – 쿠알라룸푸르
10회1993 – 마닐라
11회1995 – 자카르타
12회1998 – 후쿠오카
13회2000 – 자카르타
14회2002 – 콜롬보
15회2005 – 인천
16회2007 – 암만
17회2009 – 광저우
18회2011 – 고베
19회2013 – 푸네
20회2015 – 우한
21회2017 – 부바네스와르
22회2019 – 도하
23회2023 – 방콕
24회2025 – 구미

2. 역사

이 대회는 1977년 이스라엘의 참가가 배제된 후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와 정치적 갈등으로 논란이 되었다.[1] 1979년부터 1989년까지의 선수권 대회는 IAAF에 의해 비공식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아시아 육상 경기 회의"로 불렸다.[1] 이 문제는 이스라엘이 1990년에 유럽 육상 연맹 경기에 참가하기 시작하면서 해결되었다.[1]

2. 1. 초기 역사와 정치적 갈등 (1973년 ~ 1990년)

1977년 이스라엘의 참가가 배제된 후 IAAF와 정치적 갈등이 발생하면서 논란을 빚었다.[1] 이 대회는 취소되었고, 1979년부터 1989년까지의 선수권 대회는 IAAF에 의해 비공식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아시아 육상 경기 회의"로 불렸다.[1] 이 상황은 이스라엘이 1990년에 유럽 육상 연맹 경기에 참가하기 시작하면서 해결되었다.[1]

3. 역대 대회

대회연도개최 도시개최국날짜경기장종목참가국선수우승 국가
11973마리키나 필리핀11월 18일–23일로드리게스 스포츠 센터37
21975서울 대한민국6월 9일–14일동대문운동장39
-1977정치적 논란으로 인해 취소됨
31979도쿄 일본5월 31일 – 6월 3일국립 경기장38
41981도쿄 일본6월 5일–7일국립 경기장37
51983쿠웨이트시티 쿠웨이트11월 3일–9일쿠웨이트 국립 경기장38
61985자카르타 인도네시아9월 25일–29일겔로라 스나얀 경기장42
71987싱가포르 싱가포르7월 22일–26일국립 경기장40
81989뉴델리 인도11월 14일–19일자와할랄 네루 경기장40
91991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10월 19일–23일스타디움 메르데카40
101993마닐라 필리핀11월 30일 – 12월 4일리잘 기념 경기장41
111995자카르타인도네시아9월 20일–24일겔로라 스나얀 경기장41
121998후쿠오카 일본7월 19일–22일하카타노모리 육상 경기장43
132000자카르타인도네시아8월 28일–31일겔로라 스나얀 경기장4337441
142002콜롬보 스리랑카8월 9일–12일수가타다사 경기장43
152003마닐라 필리핀9월 20일–23일리잘 기념 경기장43
162005인천대한민국9월 1일–4일인천문학경기장4335536
172007암만 요르단7월 25일–29일암만 국제 경기장4434
182009광저우 중국11월 10일–14일광둥 올림픽 경기장4437505
192011고베 일본7월 7일–10일고베 유니버시아드 기념 경기장4240464
202013푸네 인도7월 3일–7일쉬리 시브 샤트라파티 스포츠 콤플렉스4242522
212015우한 중국6월 3일–7일우한 스포츠 센터 경기장4240497
222017부바네스와르 인도7월 5일–9일칼링가 경기장4241560
232019도하 카타르4월 21일–24일칼리파 국제 경기장4342595
-2021항저우 중국5월 20일–23일항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242023방콕 태국7월 12일–16일국립 경기장4542728
252025구미시 대한민국구미 시민운동장
262027샤먼 중국샤먼 에그렛 스타디움
272029수라카르타 인도네시아마하난 경기장


  •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에서 비공식적으로 간주하여, "아시아 육상 경기 대회"라고 불렀던 대회는 회색 배경으로 표시하였다.

|}

3. 1. 대회 목록

대회연도개최 도시개최국날짜경기장종목참가국선수우승 국가
11973마리키나 필리핀11월 18일–23일로드리게스 스포츠 센터37
21975서울 대한민국6월 9일–14일동대문운동장3917414
-1977정치적 논란으로 인해 취소됨
31979도쿄 일본5월 31일 – 6월 3일국립 경기장3823
41981도쿄 일본6월 5일–7일국립 경기장3724468
51983쿠웨이트시티 쿠웨이트11월 3일–9일쿠웨이트 국립 경기장38
61985자카르타 인도네시아9월 25일–29일겔로라 스나얀 경기장42
71987싱가포르 싱가포르7월 22일–26일국립 경기장40
81989뉴델리 인도11월 14일–19일자와할랄 네루 경기장4035
91991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10월 19일–23일스타디움 메르데카40
101993마닐라 필리핀11월 30일 – 12월 4일리잘 기념 경기장41
111995자카르타인도네시아9월 20일–24일겔로라 스나얀 경기장41
121998후쿠오카 일본7월 19일–22일하카타노모리 육상 경기장43
132000자카르타인도네시아8월 28일–31일겔로라 스나얀 경기장4337441
142002콜롬보 스리랑카8월 9일–12일수가타다사 경기장43
152003마닐라 필리핀9월 20일–23일리잘 기념 경기장43
162005인천대한민국9월 1일–4일인천문학경기장4335536
172007암만 요르단7월 25일–29일암만 국제 경기장4434
182009광저우 중국11월 10일–14일광둥 올림픽 경기장4437505
192011고베 일본7월 7일–10일고베 유니버시아드 기념 경기장4240464
202013푸네 인도7월 3일–7일쉬리 시브 샤트라파티 스포츠 콤플렉스4242522
212015우한 중국6월 3일–7일우한 스포츠 센터 경기장4240497
222017부바네스와르 인도7월 5일–9일칼링가 경기장4241560
232019도하 카타르4월 21일–24일칼리파 국제 경기장4342595
-2021항저우 중국5월 20일–23일항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242023방콕 태국7월 12일–16일국립 경기장4542728
252025구미시 대한민국구미 시민운동장
262027샤먼 중국샤먼 에그렛 스타디움
272029수라카르타 인도네시아마하난 경기장


  • 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에서 비공식적으로 간주하여, "아시아 육상 경기 대회"라고 불렀다.

3. 2. 역대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1중국325227126678
2일본172206231609
3인도94120140354
4카타르654042147
5카자흐스탄353846119
6사우디아라비아28231364
7대한민국285866152
8태국26313087
9바레인32271675
10스리랑카22202466
11우즈베키스탄20292271
12중화 타이베이184162121
13이란18182258
14쿠웨이트1619944
15필리핀15111844
1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2112346
17베트남94720
18키르기스스탄82515
19말레이시아6162749
20아랍에미리트64313
21이라크59923
22타지키스탄5218
23미얀마3249
24이스라엘3148
25파키스탄2338
26시리아32611
27인도네시아19919
28홍콩1528
29오만1247
30요르단1135
31아제르바이잔1113
32투르크메니스탄1102
33싱가포르28515
34레바논0224
35몽골0112
36캄보디아0022
36네팔0022


4. 대회 기록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의 대회 기록은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기록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 이 문서에서는 대회 기록들을 개략적으로 소개한다.

1985년 자카르타 대회 마라톤에서 이종현 선수가 세운 2시간 20분 29초의 기록은 북한 육상의 저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1993년 마닐라 대회에서 대한민국김순형 선수가 1500m에서 3분 38초 60의 기록을 세웠다.

4. 1. 남자부 기록

Soraoat Dapbang
Chayut Khongprasit
Puripol Boonson 태국2023년 방콕 대회4 × 400m 계주3분 01초 56Aruna Dharshana
Rajitha Niranjan
Pabasara Niku
Kalinga Kumarage
Pasindu Kodikara2023년 방콕 대회마라톤2시간 20분 29초이종현 북한1985년 자카르타 대회20km 경보1시간 17분 21초Han Yucheng 중화인민공화국2003년 마닐라 대회높이뛰기2m 35무타즈 에사 바르심 카타르2011년 고베 대회장대높이뛰기5.91 m어니스트 오비에나2023년 방콕 대회멀리뛰기8m 40 (+0.3 m/s)Lin Yu-tang2023년 방콕 대회세단뛰기17m 22(-1.0 m/s)천옌핑 중화인민공화국1991년 쿠알라룸푸르 대회포환던지기20m 41인드라지트 싱(Inderjeet Singh영어) 인도2015년 우한 대회원반던지기65.95 m에흐산 하다디2019년 도하 대회해머던지기80m 45무로후시 코지 일본2002년 콜롬보 대회창던지기86.72 m정자오춘2019년 도하 대회십종 경기8037점드미트리 카르포프 카자흐스탄2013년 푸네 대회



1985년 자카르타 대회 마라톤에서 이종현 선수가 세운 2시간 20분 29초의 기록은 북한 육상의 저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1993년 마닐라 대회에서 대한민국김순형 선수가 1500m에서 3분 38초 60의 기록을 세웠다.

4. 2. 여자부 기록

웨이융리
Kong Lingwei
Ge Manqi 중화인민공화국2019년 도하4×400m 릴레이3분 30초 93Rajwinder Kaur
Satti Geetha
Chitra K.Soman
만지트 카우르 인도2005년 인천높이뛰기1m 94이마이 미키
타티아나 에피멘코 일본
키르기스스탄1998년
2007년 후쿠오카
암만장대높이뛰기4m 66리링 중화인민공화국2015년 우한멀리뛰기6m 97진징메이링 일본2023년 방콕세단뛰기14m 69올가 리파코바 카자흐스탄2007년 암만포환던지기19m 69황즈훙 중화인민공화국1989년 뉴델리원반던지기66.42m펑빈 중국2023년 방콕해머던지기75.66m왕정중국2019년 도하창던지기65.83m뤼후이후이중국2019년 도하7종 경기6259점가르다 슈아 시리아1993년 마닐라1일차 - 100m 허들/14.08 높이뛰기/1m77 포환던지기/14m17 200m/24.67
2일차 - 멀리뛰기/6m17 창던지기/50m08 800m/2:16.95


4. 3. 주요 기록 (한국 선수 중심)

은 제거되어야 할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아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나온 한국 선수들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Asian Championships http://www.gbrathlet[...] 2010-02-21
[2] 웹사이트 99TH ASIAN COUNCIL MEETING, 14TH DECEMBER 2022, BALI, INDONESIA – Home http://www.athletics[...]
[3] 웹사이트 History – Home http://www.athletics[...]
[4] 웹사이트 Statistics Handbook – 10th Asian Indoor Athletics Championships, Astana, KAZ – Home http://www.athletics[...]
[5] 서적 日本陸上競技連盟七十年史 1995
[6] 웹사이트 Asian Championships http://www.gbrathlet[...]
[7] 문서 中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