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그나 그라이키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라틴어로 '대(大) 그리스'를 뜻하며, 기원전 8세기부터 7세기에 걸쳐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건설한 식민 도시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지역은 그리스의 문화, 언어, 종교를 이탈리아에 전파하여 독자적인 문명을 발전시켰으며, 예술, 건축,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번영을 누렸다.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경제적으로 무역, 농업, 수공업이 발달했고, 정치적으로는 독립적인 폴리스 체제를 유지하며 번영했지만, 로마의 정복으로 점차 쇠퇴했다. 오늘날에도 그리코어라는 그리스 방언이 남아 문화적 유산을 잇고 있으며, 유적지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실리카타주의 역사 - 아피아 가도
    아피아 가도는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가 군사적 필요에 의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군사 도로로, 로마와 이탈리아 남부를 연결하며, 일부 구간은 복구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고, 역사 유적과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바실리카타주의 역사 - 양시칠리아 왕국
    양시칠리아 왕국은 1816년부터 1860/61년까지 이탈리아 남부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나폴리 왕국과 시칠리아 왕국이 통합되어 부르봉 왕가의 페르디난도 1세가 통치했으나, 주세페 가리발디의 천인대 원정으로 사르데냐 왕국에 병합되어 이탈리아 왕국이 되었다.
  • 마그나그라이키아 - 리아체 청동상
    리아체 청동상은 1972년 이탈리아 리아체 해안에서 발견된 기원전 5세기경의 고대 그리스 조각 두 구로, 초기 양식에서 초기 고전 양식으로의 과도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발견 경위와 제작 시기 등에 대한 논쟁이 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복원되었다.
  • 마그나그라이키아 - 파에스툼
    파에스툼은 이탈리아 캄파니아주에 있는 고대 그리스 도시로, 기원전 600년경에 건설되어 로마 시대에도 번성했으며, 세 개의 도리스 양식 신전과 고분 벽화로 유명하다.
  • 그리스 식민지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 그리스 식민지 - 아마시아
    튀르키예 북부 아마시아는 예실 강을 낀 비옥한 평야에 위치하며 폰투스 왕국 수도, 로마, 동로마, 셀주크, 오스만 제국을 거치며 다양한 문화 유산을 간직한 "셰흐자데의 도시"로 역사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으로 유명하다.
마그나 그라이키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명칭
고대 그리스어Μεγάλη Ἑλλάς (Megálē Hellás)
라틴어Magna Graecia
이탈리아어Magna Grecia
로마자 표기Magna Graecia (마그나 그라이키아)
의미'대(大) 그리스'
기본 정보
유형역사적 지역
위치이탈리아 남부
설립기원전 8세기
민족그리스인
주요 도시시바리스
거주민이탈리아테인 및 시켈리오테인
역사
설립그리스인들이 기원전 8세기에 식민지를 건설하며 시작
특징고대 그리스 문화가 번성했던 지역
정치 체제귀족들이 다스리는 도시 국가들의 연합체
문화
언어고대 그리스어
예술독자적인 그리스 문화 발달
주요 유적파에스툼의 헤라 신전
세제스타의 도리아식 신전
타란토의 청년 조각상
남이탈리아에서 발견된 크라테르
특징금속 공예 기술 발달
현대
현재 국가이탈리아
언어그리스어-칼라브리아어 및 그리코어 사용 지역 존재

2. 용어

Megálē Hellás|메갈레 헬라스grc(대그리스)라고도 불리는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는 라틴어 표현이다. 이 명칭은 기원전 2세기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우스[10]의 글에서 처음으로 확인되며, 피타고라스와 그의 철학 학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11][12]

고대 저술가들은 "마그나 그라이키아"를 남부 이탈리아의 여러 지역[13][14][15]을 가리키는 데 사용했으며, 시칠리아를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경우도 있었다. 스트라보와 리비우스는 시칠리아를 포함하는 더 넓은 정의를 지지했다.[16] 스트라보는 그리스인들이 정복한 영토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했다.[17][24]

3. 역사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 그리스인들은 기근이나 인구 과잉 등 여러 이유로 새로운 상업 판로와 항구를 찾아 이탈리아 남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4] 당시 흑해 동부 해안이나 마실리아(마르세유) 등 본국과 멀리 떨어진 곳에도 그리스 식민지들이 들어섰다. 로마인들은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를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 '대 그리스')라고 불렀는데, 이 곳에 그리스인들이 매우 많았기 때문이었다. 스트라보는 고대 지리학자들이 시칠리아 포함 여부에 대해 이견을 보였으나,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범위를 넓게 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한 대표적인 학자였다.[16]

그리스 문화고대 그리스어의 방언, 종교 의식과 폴리스 전통은 식민화를 통해 이탈리아에 유입되었다. 이탈리아에 들어온 그리스 문화는 독자적으로 발달했으나, 이후 토착 이탈리아 문화 및 라틴 문명과 교류하게 된다. 칼키스와 쿠마에의 그리스 알파벳 변형은 에트루리아인들이 받아들였고, 나중에 고대 이탈리아 알파벳을 거쳐 라틴 알파벳으로 진화하여 오늘날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가장 중요한 문화적 유산이 되었다.

벨리니 광장에 있는 고대 그리스 도시 네아폴리스(현재 나폴리) 유적


고트족 침략 이후 중세 초기에는 비잔티움 제국이 마그나 그라이키아 지역을 느슨하게 지배했다. 레오 3세는 성상 파괴를 옹호하여 로마 교황의 권한이 이 지역에서 유효함을 승인했으며[86], 동로마 제국은 롬바르드족 침공 전까지 이탈리아 관구 형태로 이 땅을 지배하다가 노르만족에게 빼앗겼다. 비잔티움 문화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통해 이 지역의 문화적 뿌리를 이루었다.

이탈리아 남부 그리스인들은 점차 라틴화되었고 (파이스툼은 기원전 4세기에 이미 라틴화됨) 그리스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칼라브리아나 살렌토반도 대부분 지역에는 여전히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소수 집단이 남아있다. 그리코어는 고대 도리아 방언과 비잔티움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요소가 결합된 언어로, 마그나 그라이키아 지역 일부 주민들이 사용한다. 그리코어 전승과 구전이 많이 전해오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수천 명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상당수는 주변 이탈리아 언어권에 흡수되고 있다. 마그나 그라이키아에 대한 기록은 (비잔티움의 이탈리아 남부 지배가 끝나는) 11세기까지 대부분 그리스어로 작성되었다.

3. 1. 고대 그리스의 식민지 건설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 그리스인들은 사회 위기(기근이나 인구 과잉 등), 새로운 상업 판로와 항구를 찾아 고국을 떠나 이탈리아 남부에 정착하게 되었다.[24] 당시 흑해 동부 해안이나 마실리아(마르세유) 등 본국과 멀리 떨어진 곳에도 그리스 식민지들이 들어섰다.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도 그리스의 그러한 식민지였다.

식민화를 통해 그리스 문화고대 그리스어의 방언, 종교 의식과 폴리스의 전통도 이탈리아에 수입되었다. 원래 그리스 문화가 발달했으나, 이후 토착 이탈리아 문화와 라틴 문명과 교류하게 된다. 가장 중요한 문화적 유산은 칼키스와 쿠마에의 그리스 알파벳 변형으로, 이것을 에트루리아인들이 받아들였고 나중에 이 고대 이탈리아 알파벳이 라틴 알파벳으로 진화하여 오늘날까지 세계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리스인들이 해외 식민지를 건설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인구 증가로 인한 위기(기근, 과밀 등), 내란, 새로운 상업 거점 및 항구에 대한 증가하는 필요성, 그리고 전쟁 후 고향에서 추방되는 것 등이 있었다.

아르카이크 시대 동안 그리스 인구는 그리스 본토의 제한된 경작 가능한 토지의 수용 능력을 넘어섰고, 그 결과 다른 곳에 대규모 식민지 건설이 이루어졌다. 어떤 추정에 따르면, 그리스 정착 지역의 확장으로 인구는 기원전 800년부터 기원전 400년까지 약 10배 증가하여 80만 명에서 무려 1000만 명에 달했다.[19] 이것은 단순히 무역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착지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이러한 그리스 식민지들은 로마 식민지와 달리 모국 도시에 의존하지 않았고, 독립적인 도시 국가였다.[20]

또 다른 이유는 강력한 경제 성장과 그에 따른 모국의 인구 과잉이었다.[4] 일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위치한 지형은 대도시를 유지할 수 없었다. 난민들이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식민지로 이주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정치 또한 이유가 되었다.[21]

그리스인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그리스 외부에 정착했다. 첫 번째는 그리스인들이 세운 영구적인 정착지로, 독립적인 폴리스를 형성했다. 두 번째 형태는 역사가들이 ''엠포리움''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그리스인과 비그리스인 모두가 거주했고 상품의 제조와 판매에 주로 관심을 가졌던 무역 거점이다. 이러한 후자 유형의 정착지의 예로는 동쪽의 알 미나와 서쪽의 피테쿠사이가 있다.[22]

기원전 750년경부터 그리스인들은 250년 동안 확장을 시작하여 사방으로 식민지를 건설했다.

스트라보의 『지리학』에 따르면,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의 식민지 개척은 이미 트로이 전쟁 시대에 시작되어 수 세기 동안 지속되었다.[23]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세기에 이탈리아 남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24] 그들의 첫 번째 대규모 이주는 에우보이아인들에 의해 나폴리 만(Pithecusae, Cumae)과 메시나 해협(Zancle, Rhegium)을 목표로 이루어졌다.[25] 이스키아 섬에 있는 피테쿠사이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스 식민지로 여겨지며, 쿠마에는 이탈리아 본토의 첫 번째 식민지이다.

두 번째 물결은 아카이아인들이 주도했는데, 그들은 처음에는 이오니아 해안(Metapontum, Poseidonia, Sybaris, Kroton)에 집중했다.[26][27] 기원전 720년경 이전의 일이다.[28] 기원전 8세기와 6세기 사이의 알 수 없는 시기에 이오니아계 아테네인들은 스킬레티움(Scylletium)(오늘날의 카탄차로 근처)을 건설했다.[29]

3. 2.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발전과 쇠퇴

고대 그리스 식민지


로마의 이탈리아 정복 및 확장 이전 철기 시대의 이탈리아 민족언어 지도


레기오(현 레조 칼라브리아)의 고대 그리스 도시 유적(레조 칼라브리아 해안가)


레조 칼라브리아의 마그나 그라이키아 국립 박물관에 전시된 ''리아체 청동상''


레조 칼라브리아의 마그나 그라이키아 국립 박물관에 전시된 로크리 출신 디오스쿠리 조각상 오른쪽 조각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 그리스인들은 사회 위기(기근이나 인구 과잉) 등 다양한 이유 때문에 새로운 상업 판로와 항구를 찾아 고국을 떠나 이탈리아 남부에 정착하게 되었다.[24]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는 그리스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로마인들은 이 지역을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 '대 그리스')라고 불렀다.[10]

식민화를 통해 그리스 문화고대 그리스어의 방언, 종교 의식과 폴리스의 전통도 이탈리아에 수입되었다. 원래 그리스 문화가 발달했으나, 이후 토착 이탈리아 문화와 라틴 문명과 교류하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문화적 유산은 칼키스와 쿠마에의 그리스 알파벳 변형으로, 이것을 에트루리아인들이 받아들였고 나중에 이 고대 이탈리아 알파벳이 라틴 알파벳으로 진화하여 오늘날까지 세계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구 과잉과 기타 정치적, 상업적 이유로 카푸아, 네아폴리스(나폴리), 시라쿠사(시라쿠사), 아크라가스(아그리젠토), 타라스(타란토), 레기온(레조 칼라브리아) 등 새로운 도시들이 건설되어 이탈리아 내 영향력을 확장했다.[28]

기원전 6세기 초,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주요 도시들은 높은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룩하여 이웃 도시들과의 전쟁을 통해 영토 확장에 관심을 돌렸다. 따라서 6세기는 식민지들 사이의 큰 충돌로 특징지어진다. 새로운 균형과 새로운 세력 관계를 확립한 충돌 중 일부는 사그라 강 전투(로크리 에피제피리와 크로톤 사이의 충돌), 시리스(시바리스와 메타폰툼에 의해 파괴됨), 그리고 크로톤과 시바리스 사이의 충돌(후자의 파괴로 끝남)이었다.[32]

기원전 500년부터 기원전 218년까지의 이탈리아의 로마 지배 확장


기원전 213년경 카르타고의 지배 영역 최대치(파란색)


기원전 3세기, 로마의 성장과 함께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점차 로마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피르루스 전쟁 이후 남부 이탈리아의 대부분 도시들은 로마와 조약을 맺었고, 이는 일종의 간접 지배를 인정하는 것이었다.[36] 포에니 전쟁 기간에 시칠리아는 로마에 의해 정복되었고, 제2차 포에니 전쟁 후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나머지 지역도 로마 공화국에 합병되었다.[6]

3. 3. 중세 시대

서로마 제국 붕괴와 고트족의 이탈리아 지배가 시작된 중세 초기,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동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535년부터 554년까지 벌어진 동로마 제국과의 고트 전쟁으로 동고트 왕국이 붕괴되자, 이탈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마그나 그라이키아에는 그리스와 소아시아에서 비잔티움 문화를 가지고 온 그리스인들이 유입되어 다시 그리스화가 진행되었다.

8세기 전반, 레온 3세 황제는 성상 파괴령을 발표하여 성상 파괴 운동을 시작했고, 로마 교황과 로마 황제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레온 3세는 남이탈리아의 넓은 지역으로 진출했고[86], 이후 동로마 제국은 롬바르드족의 침공 이전까지 이탈리아 총독령(Catepanate of Italy)의 형태로 11세기 중반까지 남이탈리아를 지배하다가, 이후 노르만족에게 빼앗겼다.

11세기 후반, 지중해에 세력을 넓히고 있던 노르만족의 로베르토 귈리스카르도는 남이탈리아와 시칠리아를 정복하였다(노르만인의 남이탈리아 정복 참조). 그들은 후에 시칠리아 왕국을 건설하였고, 이후 남이탈리아에서 그리스인의 지배는 막을 내렸다.

3. 4. 현대 이탈리아

오늘날 약 30,000명의 그리코어 사용자 소수 집단이 칼라브리아와 아풀리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현대 그리코어는 헬레니즘 시대에 지중해에서 널리 쓰인 코이네 그리스어와 깊은 관련이 있지만, 도리아 그리스어의 일부 요소도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이탈리아 의회는 그리코인들을 ''Minoranze linguistiche Grike dell'Etnia Griko-Calabrese e Salentina''라는 공식 명칭으로 민족 언어 소수 민족으로 인정하고 있다.[77]



남이탈리아에 거주하는 그리스인들은 점차 이탈리아화되어 그리스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칼라브리아 주와 풀리아 주(특히 살렌토 반도)에는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남았다. 그리코어는 마그나 그라이키아 지역 사람들이 사용하는 그리스어 방언으로, 헬레니즘 시대에 지중해 전역에 퍼진 고대 공통 그리스어(코이네)에 가깝지만, 고대 그리스어 도리아 방언의 요소도 남아 있으며, 중세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등의 요소가 혼합된 언어이다.

한때 남이탈리아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화자도 많았던 그리코어도 근대에 들어 이탈리아어에 밀려 사용 범위가 축소되어 일부 코무네에 화자 공동체만 남게 되었다. 그리코어의 요소 중 일부는 시칠리아어, 타란토어, 나폴리어와 같은 남이탈리아 로망스어에 흡수되어 남아 있다.

풀리아 주 살렌토 반도 내에 있는 그레치아 살렌티나에서는 그 언어와 음악을 비롯한 전통을 보존하는 활동이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리스 본토와의 교류도 활발하다.

4. 주요 도시

마그나 그라이키아에는 여러 도시가 있었는데, 이탈리아 본토와 시칠리아 섬에 위치하였다.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고대 식민지와 방언 분포도


이탈리아 반도에서 최초의 그리스 식민 도시 쿠마이는 에우보이아 섬의 할키스 사람들에 의해 건설되었다.[85] 고대 로마인들은 그리스인이 매우 많은 이 지역들을 "마그나 그라이키아"라고 불렀다. 스트라본은 시칠리아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를 마그나 그라이키아로 보는 입장이었다.[23]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그리스 도시들은 부유해지고 세력을 키웠다. 대표적인 도시로는 카푸아, 나폴리 등이 있다.

모겐스 헤르만 한센(Mogens Herman Hansen)에 따르면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 있었던 폴리스(poleis) (폴리스 국가) 목록은 다음과 같다.[44][45] 이 목록에는 모든 헬레니즘 정착지가 아니라 폴리스 구조를 중심으로 조직된 정착지만 나열되어 있다.

'''이탈리아'''

고대 명칭위치현대 명칭건설 연도모도시건설자
헤라클레이아(루카니아)바실리카타주기원전 433~432년타라스(타란토) 및 투리오이(투리)
히포니온칼라브리아주비보 발렌티아기원전 7세기 후반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로크리)
히엘레, 또는 엘레아, 벨리아 (로마 명칭)캄파니아주기원전 540~535년경포카이아, 마살리아알랄리에 난민
카울로니아칼라브리아주기원전 7세기크로톤(크로토네)아이기온의 티폰
크로톤칼라브리아주크로토네기원전 709~708년리페스, 아카이아미셀루스
퀴메, 쿠마이 (로마 명칭)캄파니아주기원전 750~725년경칼키스 및 에레트리아에우보이아 퀴메의 히포클레스와 칼키스의 메가스테네스
라오스칼라브리아주기원전 510년 이전시바리스(시바리)시바리스 난민
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칼라브리아주로크리기원전 7세기 초로크리스
메드마칼라브리아주기원전 7세기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로크리)
메타폰티온바실리카타주메타폰토기원전 630년경아카이아아카이아의 류키포스
메타우로스칼라브리아주조이아 타우로기원전 7세기잔클레 (또는 아마 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로크리))
네아폴리스캄파니아주나폴리기원전 6~5세기 (이전에는 기원전 8세기 퀴메(쿠마이)의 항구로 파르테노페로 알려짐)퀴메(쿠마이)
피테쿠사이캄파니아주이스키아기원전 8세기칼키스 및 에레트리아
포세이도니아, 파에스툼 (로마 명칭)캄파니아주기원전 600년경시바리스(시바리) (그리고 아마도 트로이젠)
픽소우스캄파니아주폴리카스트로 부센티노기원전 471~470년레기온(레조 칼라브리아)과 메세나(메시나)레기온과 메세나의 폭군 미키토스
레기온칼라브리아주레지오 칼라브리아기원전 8세기칼키스(할키스) (잔클레(메시나) 및 메세니아 난민과 함께)잔클레(메시나)의 안티므네스토스 (또는 아마 칼키스(할키스)의 아르티메데스)
시리스바실리카타주기원전 660년경 (또는 기원전 700년경)콜로폰콜로폰 난민
시바리스칼라브리아주시바리기원전 721~720년 (또는 709~708년)아카이아와 트로이젠헬리케의 이스
타라스풀리아주타란토기원전 706년경스파르타팔란토스 및 파르테니아이
테메사알 수 없음, 그러나 칼라브리아주에 위치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아우소네스)
테리나칼라브리아주기원전 460년 이전, 아마도 기원전 510년경크로톤(크로토네)
투리오이칼라브리아주기원전 446년 및 444~443년아테네 및 기타 여러 도시아테네의 람폰과 크세노크라테스



'''시칠리아'''

고대 명칭위치현대 명칭건설 연도모도시건설자
아바카이논(Abakainon)메시나 광역시(Metropolitan City of Messi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아드라논(Adranon)카타니아 광역시(Metropolitan City of Catania)아드라노(Adrano)기원전 400년경시라쿠사이디오니시오스 1세
아기리온(Agyrion)엔나 주(Province of Enna)아기라(Agir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아이트나(Aitna)카타니아 광역시카타네(Katane) 유적지기원전 476년시라쿠사이히에론
아크라가스(Akragas)아그리젠토 주(Province of Agrigento)아그리젠토기원전 580년경겔라아리스토노스(Aristonoos)와 피스틸로스(Pystilos)
아크라이(Akrai)시라쿠사 주(Province of Syracuse)팔라촐로 아크레이데(Palazzolo Acreide) 근처기원전 664년시라쿠사이
알라이사(Alaisa)메시나 광역시투사(Tusa, Sicily)기원전 403-402년헤르비타(Herbita)헤르비타의 아르코니데스(Archonides of Herbita)
알론티온(Alontion), 할룬티움(Haluntium)(로마식 명칭)메시나 광역시산 마르코 달룬치오(San Marco d'Alunzio)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아폴로니아(Apollonia (Sicily))메시나 광역시산 프라텔로(San Fratello) 근처 몬테 베키오(Monte Vecchio)기원전 405-367년시라쿠사이아마 디오니시오스 1세
엥기온(Engyon)엔나 주트로이나(Troi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에우보이아(Euboia)카타니아 광역시리코디아 에우베아(Licodia Eubea)기원전 7세기, 아마 기원전 8세기 후반레온티노이
갈레리아(Galeri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겔라칼타니세타 주(Province of Caltanissetta)겔라(Gela)기원전 689-688년로도스(린도스(Lindos)), 크레타인로도스의 안티페모스와 크레타인 엔티모스
헬로론(Heloron)시라쿠사 주시라쿠사이
헨나(Henna)엔나 주엔나(En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헤라클레이아 미노아아그리젠토 주카톨리카 에라클레아(Cattolica Eraclea)기원전 628년 이후셀리누스, 스파르타기원전 510년경 이후 에우릴레온에 의해 재건
헤라클레이아(Herakleia)시칠리아 서부 미확인 지역기원전 510년경스파르타도리우스(Dorieus)
헤르베소스(Herbessos)엔나 주몬타냐 디 마르조(Montagna di Marzo)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헤르비타(Herbit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히메라(Himera)팔레르모 주(Province of Palermo)테르미니 이메레세(Termini Imerese)기원전 648년잔클레, 시라쿠사이 추방자들에우클레이데스, 시모스, 사콘
힙파나(Hippana)팔레르모 주몬테 데이 카발리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이마카라(Imachara)카타니아 광역시멘돌리토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칼리폴리스(Kallipolis)기원전 8세기 후반낙소스
카마리나(Kamarina, Sicily)라구사 주(Province of Ragusa)산타 크로체 카메리나(Santa Croce Camerina)기원전 598년경시라쿠사이, 코린트시라쿠사의 다스콘과 코린트의 메네콜로스
카스메나이(Casmenae)시라쿠사 주기원전 644-643년시라쿠사이
카타네(Catania)카타니아 광역시카타니아기원전 729년낙소스에우아르코스
켄토리파(Centuripe)엔나 주켄토리페(Centuripe)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케팔로이디온(Cefalù)팔레르모 주체팔루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레온티노이(Lentini)시라쿠사 주렌티니기원전 729년낙소스테오클레스?
리파라(Lipari)메시나 광역시리파리기원전 580-576년크니도스(Knidos), 로도스(Rhodes)펜타슬로스, 고르고스, 테스토르, 에피테르시데스
롱가네(Longane)메시나 광역시로디 밀리치(Rodì Milici) 근처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메가라 히블라에아(Megara Hyblaea)시라쿠사 주아우구스타(Augusta, Sicily)기원전 728년메가라 니사이아테오클레스?
모르간티나(Morgantina)엔나 주아이도네(Aidone) 근처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밀라이(Milazzo)메시나 광역시밀라초기원전 700년경?잔클레
나코네(Nakone)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낙소스(Naxos)메시나 광역시지아르디니 낙소스(Giardini Naxos)기원전 735-734년칼키스(Chalcis), 낙소스(키클라데스)테오클레스
페트라(Petr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피아코스(Piakos)카타니아 광역시멘돌리토?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셀리누스(Selinunte)트라파니 주(Province of Trapani)마리넬라 디 셀리누테(Marinella di Selinunte)기원전 628-627년메가라 히블라에아팜밀로스
실레라이오이(Sileraioi)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스티엘라나이오이(Stielanaioi)카타니아 광역시?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시라쿠사이(Syracuse, Sicily)시라쿠사 주시라쿠사기원전 733년코린트코린트의 아르키아스
타우로메니온(Taormina)카타니아 광역시타오르미나기원전 392년시라쿠사이아마 디오니시오스 1세
틴다리스(Tindari)메시나 광역시틴다리(Tindari)기원전 396년시라쿠사이디오니시오스 1세
티르레노이(Tyrrhenoi)팔레르모 주?알리메나(Alime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잔클레/메사나(Messana)메시나 광역시메시나기원전 730년경칼키스(Chalcis), 퀴메퀴메의 페리에레스와 칼키스의 크라타이메네스



'''마그나 그라이키아에 속하지 않는 도시'''

고대 명칭위치현대 명칭건립 연도모도시건립자
아드리아 (Adria)베네토주 (Veneto)아드리아 (Adria)기원전 385년시라쿠사 (Syrakousai)알 수 없음
안코나 (Ankón)마르케주 (Marche)안코나 (Ancona)기원전 387년시라쿠사 (Syrakousai)알 수 없음


4. 1. 이탈리아 본토



이탈리아 반도에서 최초의 그리스 식민 도시 쿠마이(쿠마이)는 에우보이아 섬의 할키스 사람들에 의해 건설되었다.[25]

고대 로마인들은 그리스인이 매우 많은 이 지역들을 "마그나 그라이키아"라고 불렀다.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범위는 이를 기술한 고대 지리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다. 단순히 반도 남부의 타란토 만 주변의 풀리아주칼라브리아주만을 가리키는 사람도 있고, 시칠리아를 포함하는 사람도 있다. 스트라본은 시칠리아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를 마그나 그라이키아로 하는 입장의 지지자였다.[23]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그리스 도시들은 부유해지고 세력을 키웠다. 대표적인 도시로는 카푸에(카푸아), 네아폴리스(나폴리), 시라쿠사, 아크라가스(아그리젠토), 시바리스 등이 있다. 그 밖에도 타라스(타란토), 로크로이 에피제피리오이(로크리), 레기온(레조 칼라브리아), 크로톤(크로토네), 투리이(투리), 엘레아(베리아, 현재 노비 베리아 주변), 안콘(안코나) 등이 있다.

모겐스 헤르만 한센(Mogens Herman Hansen)에 따르면 이탈리아에 있었던 폴리스(poleis) (폴리스 국가) 목록은 다음과 같다.[44] 이 목록에는 모든 헬레니즘 정착지가 아니라 폴리스 구조를 중심으로 조직된 정착지만 나열되어 있다.

고대 명칭위치현대 명칭건설 연도모시티건설자
헤라클레이아(루카니아)바실리카타주기원전 433~432년타라스(타란토) 및 투리오이(투리)
히포니온칼라브리아주비보 발렌티아기원전 7세기 후반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로크리)
히엘레, 또는 엘레아, 벨리아 (로마 명칭)캄파니아주기원전 540~535년경포카이아, 마살리아(마르세유)알랄리에 난민
카울로니아칼라브리아주기원전 7세기크로톤(크로토네)아이기온의 티폰
크로톤칼라브리아주크로토네기원전 709~708년리페스, 아카이아미셀루스
퀴메, 쿠마이 (로마 명칭)캄파니아주기원전 750~725년경칼키스 및 에레트리아에우보이아 퀴메의 히포클레스와 칼키스의 메가스테네스
라오스칼라브리아주기원전 510년 이전시바리스(시바리)시바리스 난민
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칼라브리아주로크리기원전 7세기 초로크리스
메드마칼라브리아주기원전 7세기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로크리)
메타폰티온바실리카타주메타폰토기원전 630년경아카이아아카이아의 류키포스
메타우로스칼라브리아주조이아 타우로기원전 7세기잔클레 (또는 아마 로크로이 에피제피로이(로크리))
네아폴리스캄파니아주나폴리기원전 6~5세기 (이전에는 기원전 8세기 퀴메(쿠마이)의 항구로 파르테노페로 알려짐)퀴메(쿠마이)
피테쿠사이캄파니아주이스키아기원전 8세기칼키스 및 에레트리아
포세이도니아, 파에스툼 (로마 명칭)캄파니아주기원전 600년경시바리스(시바리) (그리고 아마도 트로이젠)
픽소우스캄파니아주폴리카스트로 부센티노기원전 471~470년레기온(레조 칼라브리아)과 메세나(메시나)레기온과 메세나의 폭군 미키토스
레기온칼라브리아주레지오 칼라브리아기원전 8세기칼키스(할키스) (잔클레(메시나) 및 메세니아 난민과 함께)잔클레(메시나)의 안티므네스토스 (또는 아마 칼키스(할키스)의 아르티메데스)
시리스바실리카타주기원전 660년경 (또는 기원전 700년경)콜로폰콜로폰 난민
시바리스칼라브리아주시바리기원전 721~720년 (또는 709~708년)아카이아와 트로이젠헬리케의 이스
타라스풀리아주타란토기원전 706년경스파르타팔란토스 및 파르테니아이
테메사알 수 없음, 그러나 칼라브리아주에 위치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아우소네스)
테리나칼라브리아주기원전 460년 이전, 아마도 기원전 510년경크로톤(크로토네)
투리오이칼라브리아주기원전 446년 및 444~443년아테네 및 기타 여러 도시아테네의 람폰과 크세노크라테스


4. 2. 시칠리아

모겐스 헤르만 한센에 따르면 시칠리아에 있던 46개의 폴리스('도시 국가') 목록이다.[45] 이 목록에는 모든 헬레니즘 정착지가 아니라 폴리스 구조를 중심으로 조직된 정착지만 나열되어 있다.

고대 명칭위치현대 명칭건설 연도모 도시건설자
아바카이논(Abakainon)메시나 광역시(Metropolitan City of Messi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아드라논(Adranon)카타니아 광역시(Metropolitan City of Catania)아드라노(Adrano)기원전 400년경시라쿠사이디오니시오스 1세
아기리온(Agyrion)엔나 주(Province of Enna)아기라(Agir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아이트나(Aitna)카타니아 광역시카타네(Katane) 유적지기원전 476년시라쿠사이히에론
아크라가스(Akragas)아그리젠토 주(Province of Agrigento)아그리젠토기원전 580년경겔라아리스토노스(Aristonoos)와 피스틸로스(Pystilos)
아크라이(Akrai)시라쿠사 주(Province of Syracuse)팔라촐로 아크레이데(Palazzolo Acreide) 근처기원전 664년시라쿠사이
알라이사(Alaisa)메시나 광역시투사(Tusa)기원전 403-402년헤르비타(Herbita)헤르비타의 아르코니데스(Archonides of Herbita)
알론티온(Alontion), 할룬티움(Haluntium)(로마식 명칭)메시나 광역시산 마르코 달룬치오(San Marco d'Alunzio)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아폴로니아(Apollonia)메시나 광역시산 프라텔로(San Fratello) 근처 몬테 베키오(Monte Vecchio)기원전 405-367년시라쿠사이아마 디오니시오스 1세
엥기온(Engyon)엔나 주트로이나(Troi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에우보이아(Euboia)카타니아 광역시리코디아 에우베아(Licodia Eubea)기원전 7세기, 아마 기원전 8세기 후반레온티노이
갈레리아(Galeri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겔라칼타니세타 주(Province of Caltanissetta)겔라(Gela)기원전 689-688년로도스(린도스(Lindos)), 크레타인로도스의 안티페모스와 크레타인 엔티모스
헬로론(Heloron)시라쿠사 주시라쿠사이
헨나(Henna)엔나 주엔나(En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헤라클레이아 미노아아그리젠토 주카톨리카 에라클레아(Cattolica Eraclea)기원전 628년 이후셀리누스, 스파르타기원전 510년경 이후 에우릴레온에 의해 재건
헤라클레이아(Herakleia)시칠리아 서부 미확인 지역기원전 510년경스파르타도리우스(Dorieus)
헤르베소스(Herbessos)엔나 주몬타냐 디 마르조(Montagna di Marzo)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헤르비타(Herbit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히메라(Himera)팔레르모 주(Province of Palermo)테르미니 이메레세(Termini Imerese)기원전 648년잔클레, 시라쿠사이 추방자들에우클레이데스, 시모스, 사콘
힙파나(Hippana)팔레르모 주몬테 데이 카발리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이마카라(Imachara)카타니아 광역시멘돌리토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칼리폴리스(Kallipolis)기원전 8세기 후반낙소스
카마리나라구사 주(Province of Ragusa)산타 크로체 카메리나(Santa Croce Camerina)기원전 598년경시라쿠사이, 코린트시라쿠사의 다스콘과 코린트의 메네콜로스
카스메나이시라쿠사 주기원전 644-643년시라쿠사이
카타네카타니아 광역시카타니아기원전 729년낙소스에우아르코스
켄토리파엔나 주켄토리페(Centuripe)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케팔로이디온팔레르모 주체팔루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레온티노이시라쿠사 주렌티니기원전 729년낙소스테오클레스?
리파라메시나 광역시리파리기원전 580-576년크니도스(Knidos), 로도스(Rhodes)펜타슬로스, 고르고스, 테스토르, 에피테르시데스
롱가네(Longane)메시나 광역시로디 밀리치(Rodì Milici) 근처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메가라 히블라에아(Megara Hyblaea)시라쿠사 주아우구스타기원전 728년메가라 니사이아테오클레스?
모르간티나(Morgantina)엔나 주아이도네(Aidone) 근처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밀라이메시나 광역시밀라초기원전 700년경?잔클레
나코네(Nakone)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낙소스메시나 광역시지아르디니 낙소스(Giardini Naxos)기원전 735-734년칼키스, 낙소스(키클라데스)테오클레스
페트라(Petr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피아코스(Piakos)카타니아 광역시멘돌리토?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시켈족(Sicels))
셀리누스트라파니 주(Province of Trapani)마리넬라 디 셀리누테(Marinella di Selinunte)기원전 628-627년메가라 히블라에아팜밀로스
실레라이오이(Sileraioi)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스티엘라나이오이(Stielanaioi)카타니아 광역시?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시라쿠사이시라쿠사 주시라쿠사기원전 733년코린트코린트의 아르키아스
타우로메니온카타니아 광역시타오르미나기원전 392년시라쿠사이아마 디오니시오스 1세
틴다리스메시나 광역시틴다리(Tindari)기원전 396년시라쿠사이디오니시오스 1세
티르레노이(Tyrrhenoi)팔레르모 주?알리메나(Alimena)?그리스 건설자가 아님 (헬레니즘화된 토착 정착지)
잔클레/메사나(Messana)메시나 광역시메시나기원전 730년경칼키스, 퀴메퀴메의 페리에레스와 칼키스의 크라타이메네스


4. 3. 마그나 그라이키아에 속하지 않는 도시

고대 명칭위치현대 명칭건립 연도모 도시건립자
아드리아 (Adria)베네토주 (Veneto)아드리아 (Adria)기원전 385년시라쿠사 (Syrakousai)알 수 없음
안코나 (Ankón)마르케주 (Marche)안코나 (Ancona)기원전 387년시라쿠사 (Syrakousai)알 수 없음


5. 행정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행정 조직은 헬레니즘 폴리스(poleis)에서 계승되었으며, 귀족정이 통치하는 "폴리스(도시 국가)"의 개념을 채택하였다.[4]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도시들은 본토의 그리스 폴리스(poleis)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이었으며,[46] 군대와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다.[47][48][49] 시라쿠사의 경우 디오니시오스 폭군이 다스리며 카르타고인들과 죽을 때까지 싸운 것처럼 폭정의 사례도 있었다.[46][50]

6. 경제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도시들에서는 무역, 농업, 수공업이 발달했다. 초기에는 이탈리아 원주민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무역은 곧 고향 그리스와의 교류를 위한 훌륭한 통로가 되었는데, 오늘날에는 거래된 상품의 종류와 교역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28]

7. 주화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의 그리스 주화는 수많은 폴리스를 형성한 이탈리아 토착민과 시칠리아 토착민으로부터 유래했습니다. 이러한 헬레니즘 공동체는 그리스 이주민들로부터 생겨났습니다. 남부 이탈리아는 완전히 헬레니즘화되어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로 알려졌습니다. 각 정치 단위는 자체 주화를 발행했습니다.

시라쿠사의 테트라드라크마(기원전 415~405년경), 아레투사와 사륜전차가 새겨져 있다.


타란토(Taranto 또는 Tarentum)는 가장 두드러진 폴리스 중 하나였습니다.

기원전 2세기까지, 이러한 그리스 주화들 중 일부는 로마의 지배하에 진화하여 최초의 로마 속주 화폐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8. 문화

그리스 식민지인들이 건설한 마그나 그라이키아는[3] 본토와의 거리와 남부 이탈리아 원주민들의 영향으로 독특한 문명을 발전시켰다. 본토 그리스의 예술, 문학, 철학은 식민지 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타란토와 같은 일부 도시에서 문화가 크게 발전했다.[4] 피타고라스크로토네로 이주하여 기원전 530년에 자신의 학파를 설립했으며, 아이슈퀼로스, 헤로도토스, 크세노파네스, 플라톤 등도 마그나 그라이키아를 방문했다.

마그나 그라이키아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분야인물
철학자엘레아의 파르메니데스, 제논, 렌티니고르기아스, 아그리젠토엠페도클레스
피타고라스학파크로톤의 필롤라오스, 타란토아르키타스, 타란토의 리시스, 에케크라테스, 티마이오스
수학자시라쿠사아르키메데스
시인시라쿠사테오크리토스, 스테시코로스, 레지오 칼라브리아의 이비쿠스, 로크리의 노시스, 투리이의 알렉시스, 타란토의 레오니다스
의사알크마이온, 크로톤의 데모케데스
조각가클레아르코스
화가제욱시스
음악학자타란토의 아리스토크세노스
입법가로크리의 잘레우코스


8. 1. 언어



중세 동안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많은 그리스 주민들은 완전히 라틴화되었지만,[7] 그리스 문화와 언어의 일부는 남아 오늘날까지도 살아남았다. 한 예로 칼라브리아주 (보베시아)와 풀리아주 (그레치아 살렌티나)의 그리코인들이 있는데, 그들 중 일부는 여전히 그리코어와 관습을 유지하고 있다.[8] 그리코어는 한때 마그나 그라이키아를 형성했던 그리스 요소의 마지막 흔적이다.[9]

칼라브리아주풀리아주 지역에는 오늘날 약 30,000명의 그리코어 사용자 소수 집단이 분포하고 있다. 현대 그리코어헬레니즘 시대에 지중해에서 널리 쓰인 코이네 그리스어와 깊은 관련이 있지만, 도리아 그리스어의 일부 요소도 보존하고 있다고 하며, 혹자는 이 언어의 기원이 원래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고대 식민시에서 기원한 것이라 보기도 한다.

이탈리아 의회는 그리코인들을 ''Minoranze linguistiche Grike dell'Etnia Griko-Calabrese e Salentina''라는 공식 명칭으로 민족언어 소수 민족으로 인정한다.[77]

8. 2. 예술과 건축

밀라노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된 아풀리아 도자기, 기원전 380~370년


모나스타라체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된 고고학 유물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건축과 도시계획 분야에서 모국 및 다른 그리스 식민지들을 능가했다.[52] 마그나 그라이키아와 다른 그리스 식민지에서는 화려한 장식의 도리스 양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시칠리아의 아카이아 식민지에서는 이오니아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52] 건축 자재로는 석회암이 사용되었으며,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도리스 양식은 절정에 달했다.[52]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도시들은 모국 도시들보다 공간 배분이 질서정연하고 합리적이었다. 타란토, 메타폰툼, 메가라 히블라에아는 도시 계획적으로 더 합리적인 그리스 도시의 초기 사례였다.[52] 이 새로운 도시 개념은 바둑판 모양의 도로망이 특징이며, 로도스와 밀레투스로 확산되었다.[52]

마그나 그라이키아에서는 회화와 조각도 주목할 만했다.[53][54] 조각, 소조(소형 조각), 청동 조각의 뛰어난 예가 있었으며,[53] 아테네의 토기장이들이 마그나 그라이키아로 이주하여 그곳 문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만들었다.[54] 이는 남이탈리아 고대 그리스 도자기의 탄생으로 이어졌으며, 모자이크, 금세공, 벽화도 주목할 만하다.[55][56]

주목할 만한 조각으로는 가자의 아폴론, 피옴비노의 아폴론, 마자라 델 발로의 춤추는 사티로스, 철학자의 머리, 리아체 청동상이 있으며, 토기로는 다리우스 토기, 네스토르의 잔이 있다. 주요 신전으로는 아그리젠토의 콘코르디아 신전, 헤라 라키니아 신전, 아그리젠토의 헤라클레스 신전, 아그리젠토의 주노 신전, 아그리젠토의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 시라쿠사의 아폴론 신전, 시라쿠사의 아테나 신전, 파에스툼의 아테나 신전, 셀리누스의 C 신전, 셀리누스의 E 신전, 셀리누스의 F 신전, 크로토네의 주노 라키니아 신전, 파에스툼의 두 번째 헤라 신전, 포체 델 셀레의 헤라이온, 타란토의 포세이돈 신전, 타볼레 팔라티네, 히메라의 승리의 신전이 있다.

8. 3. 극장

타오르미나 그리스 극장, 시칠리아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시칠리아 그리스 식민지 주민들은 캄파니아와 아풀리아 출신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모국으로부터 극예술을 가져왔다.[57] 시라쿠사 그리스 극장, Teatro di Segesta|세게스타 그리스 극장it, Teatro greco di Tindari|틴다리 그리스 극장it, Teatro di Hippana|히파나 그리스 극장it, Teatro di Akrai|아크라이 그리스 극장it, Teatro di Monte Jato|몬테 야토 그리스 극장it, Teatro di Morgantina|모르간티나 그리스 극장it, 타오르미나 그리스 극장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원작 극작품은 단편들만 남아 있지만,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과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은 널리 알려져 있다.[58]

그리스어로 작품을 쓴 유명한 극작가들 중에는 마그나 그라이키아 출신이 많다. 아이시킬로스와 에피카르무스 같은 작가들은 시칠리아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다. 에피카르무스는 평생 동안 시라쿠사의 폭군들과 함께 일했기 때문에 시라쿠사 출신으로 간주된다. 그의 희극은 아리스토파네스보다 먼저 신들을 희극에 처음으로 등장시켰다. 아이스킬로스는 시칠리아 식민지에 오랫동안 머문 후 기원전 456년에 겔라 식민지에서 사망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기원전 6세기의 에피카르무스와 포르미스가 그리스 희극 발명의 기초가 되었다고 언급했다.[59]

시라쿠사 출신 포르미스 외에도 마그나 그라이키아 출신의 다른 극작가로는 시라쿠사의 아카이오스, 겔라의 아폴로도로스, 시라쿠사의 필레몬과 그의 아들 필레몬 2세가 있다. 칼라브리아의 투리이 식민지 출신 극작가로는 알렉시스가 있다. 린톤은 시라쿠사 출신 시칠리아인이지만, 거의 전적으로 타란토 식민지를 위해 활동했다.[60]

8. 4. 스포츠

이탈리아 남부에 위치한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식민 도시들은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을 정기적으로 그리스 올림피아델포이에서 열린 고대 올림픽 경기에 파견했다.[61]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식민지 주민들은 헬레니즘 경기를 매우 좋아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그리스인들에게 자신들이 동일한 기원을 공유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고, 그들의 신체적 힘과 경기 기술은 수십 세대 전 조상들도 행했던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가장 위대한 군주들은 그리스로 파견될 팀을 훈련할 것을 요구했다.[62]

따라서 스포츠는 헬레니즘 반도와의 소통 채널이었고, 마그나 그라이키아가 나머지 헬레니즘 세계에 자신을 보여주는 수단이었다.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정착민들은 고향에서 열린 스포츠 경기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크로토네의 선수들은 25회의 올림픽에서 18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61]

9. 유네스코 세계유산

콘코르디아 신전, 발레데이템플리, 아그리젠토, 시칠리아


발레데이템플리(Valle dei Templi, 신전의 계곡)는 시칠리아 아그리젠토(고대 그리스명: 아크라가스)에 있는 고고학 유적지이다. 이곳은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고대 그리스 예술과 건축의 가장 뛰어난 사례 중 하나이다.[79] "계곡"이라는 용어는 잘못된 명칭으로, 이 유적지는 아그리젠토 마을 외곽의 산등성이에 위치해 있다.

1997년부터 이 지역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1,300헥타르에 달하는 발레데이템플리 고고학 및 경관 공원은 유럽과 지중해 분지에서 가장 큰 고고학 공원이다.[80]

이 계곡에는 모두 도리아 양식으로 지어진 7개의 신전 유적이 있다. 올림피온을 제외한 신전 이름들은 르네상스 시대에 확립된 전통일 뿐이다. 신전들은 다음과 같다.

  • 콘코르디아 신전: 근처에서 발견된 라틴어 비문에서 이름이 유래했으며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다. 서기 6세기에 교회로 개조되었으며, 현재 계곡에서 가장 잘 보존된 신전 중 하나이다.
  • 주노 신전: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다. 기원전 406년 카르타고에 의해 불탔다.
  • 헤라클레스 신전: 고대 아크라가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신 중 하나였던 헤라클레스를 위한 신전이다.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이며 지진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여덟 개의 기둥만 남아 있다.
  • 올림피온: 기원전 480년 카르타고를 물리친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대규모 아틀라스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 네 개의 기둥만 남아 있지만 현재는 현대 아그리젠토의 상징이 되고 있다.
  • 헤파이스토스 신전: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계곡에서 가장 인상적인 건축물 중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재는 가장 침식이 심한 상태이다.
  •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고대 도시 성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질병 치료를 구하는 순례자들의 목적지였다.


계곡에는 피라미드 모양의 대형 응회암 기념물인 테론의 묘라고 불리는 무덤도 있다. 학자들은 이것이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사망한 로마인들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추측한다.

고대 그리스 도시 엘레아 유적


칠렌토, 발로디디아노, 알부르니 국립공원(이탈리아어 ''Parco Nazionale del Cilento, Vallo di Diano e Alburni'')는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주 살레르노도에 있는 이탈리아 국립공원이다. 칠렌토, 발로디디아노, 알부르니 산맥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1991년에 설립되었으며, 이전에는 칠렌토와 발로디디아노 국립공원(Parco Nazionale del Cilento e Vallo di Diano)으로 알려져 있었다. 1998년에는 고대 그리스 도시 포세이도니아, 엘레아 및 파둘라의 세르토사 수도원과 함께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81]

오늘날 포세이도니아 유적지에서 가장 유명한 특징은 기원전 550년에서 450년 사이에 건설된 그리스식 도리아 양식의 고전 양식의 세 개의 큰 신전이다. 모두 그 시대의 전형적인 건축물이며,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현저한 엔타시스와 뒤집힌 버섯 모양의 매우 넓은 주두를 가진 거대한 주랑을 가지고 있다. 기둥 위에는 두 번째 헤라 신전만이 대부분의 주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두 신전은 주심도리만 남아있다. 이 신전들은 헤라아테나(로마인들에게는 주노와 미네르바)에게 봉헌되었지만, 18세기 주장에 따라 이전에는 종종 다르게 확인되기도 했다. 두 개의 헤라 신전은 서로 바로 옆에 있으며, 아테나 신전은 도시 중심부의 반대편에 있다. 보존 상태가 훨씬 좋지 않은 다른 그리스와 로마 신전들도 있었다.

엘레아의 성벽 유적은 총 길이 3마일이 넘는 하나의 성문과 여러 개의 탑의 흔적과 함께 여전히 존재하며, 모두 현지의 결정질 석회암을 사용한 세 가지 다른 시대의 것들이다. 나중 시대에는 벽돌도 사용되었는데, 그 형태는 이곳 특유의 것으로, 한쪽 면에 두 개의 직사각형 홈이 있으며, 약 약 3.81cm 정사각형에 두께는 거의 약 10.16cm이다. 모두 그리스 벽돌 각인이 새겨져 있다. 유적지에는 저수조 유적과 기타 여러 건물의 흔적이 있다.[82]

고대 그리스 시대에 시라쿠사가 건설된 오르티지아 섬


시라쿠사는 기원전 733년에 코린토스와 테네아 출신의 그리스 정착민들이 코린토스의 아르키아스라는 식민 개척자의 지휘 아래 건설되었다. 도시 이름에는 Συράκουσαι|Syrakousaigrc, Συράκοσαι|Syrakosaigrc, Συρακώ|Syrakōgrc 등 여러 가지 변형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이 도시는 판탈리카의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그리스 시대 시라쿠사의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시립 성벽
  • 에마누엘레 판칼리 광장에 있는 아폴론 신전: 비잔틴 시대에는 교회로, 아랍 지배 시대에는 모스크로 개조되었다.
  • 오르티지아 섬에 있는 아레투사의 샘: 전설에 따르면 알페우스에게 쫓기던 님프 아레투사가 아르테미스에 의해 샘으로 변하여 이곳에 나타났다고 한다.[83]
  • 시라쿠사 그리스 극장: 그리스인들이 건설한 극장 중 가장 큰 규모의 관람석을 가지고 있으며, 67열의 좌석이 8개의 통로로 9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무대와 오케스트라의 흔적만 남아 있다. 이 건물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며, 로마인들에 의해 개조되어 서커스 경기 등 로마식 공연에 맞춰 변경되었다. 극장 근처에는 라토미에(채석장)가 있으며, 고대에는 감옥으로도 사용되었다. 가장 유명한 라토미에는 디오니소스의 귀이다.
  • 그로테첼리 고분군에 있는 아르키메데스의 무덤: 두 개의 도리스식 기둥으로 장식되어 있다.
  •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 도시 외곽 약 3km 지점에 위치하며, 기원전 6세기경에 건설되었다.

10. 고고학 유적지

마그나 그라이키아에는 여러 고고학 유적지가 남아있다.



고대 그리스 도시 헤라클레아 미노아 유적


고대 그리스 도시 카울로니아 유적


고대 그리스 도시 낙소스 유적


기원전 약 490년–470년에 제작된, 인면황소가 그려진 라우스의 스타테르 주화


지역유적지
아풀리아루디아이, 시폰토
바실리카타헤라클레이아 루카니아, 메타폰툼, 팔라티노 석판
칼라브리아카울로니아, 크리미사, 라우스, 스킬레티온, 시바리스, 테리나, 투리이, 팀포네 델라 모타
캄파니아쿠마이, 엘레아, 셀레 강 어귀의 헤라이온, 포세이도니아
시칠리아아바케눔, 아드라논, 아이트나, 아크라이, 아크릴라이, 아폴로니아, 카스메나이, 에릭스, 할라에사, 헬로루스, 헤라클레아 미노아, 허베소스, 히메라, 히블라 게레아티스, 막토리온, 메가라 히블라에아, 몬테 아드라노네, 모르간티나, 모티아, 낙소스, 세게스타, 셀리눈테, 틴다리



시칠리아 아그리젠토(고대 그리스명: 아크라가스)에 있는 발레 데이 템플리(신전의 계곡)는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고대 그리스 예술과 건축의 가장 뛰어난 사례 중 하나로, 1997년부터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79] 1300ha에 달하는 발레 데이 템플리 고고학 및 경관 공원은 유럽과 지중해 분지에서 가장 큰 고고학 공원이다.[80]

시라쿠사는 기원전 733년에 코린토스와 테네아 출신의 그리스 정착민들이 건설하였다. 현재 이 도시는 판탈리카의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10. 1. 아풀리아

루디아이와 시폰토는 아풀리아 지역에 있었다.

10. 2. 바실리카타

헤라클레이아 루카니아와 메타폰툼은 이 지역의 중요한 유적지이다. 메타폰툼 근처에는 팔라티노 석판이 있다.

10. 3. 칼라브리아


  • 카울로니아
  • 크리미사
  • 라우스
  • 스킬레티온
  • 시바리스
  • 테리나
  • 투리이
  • 팀포네 델라 모타

10. 4. 캄파니아


  • 쿠마이
  • 엘레아
  • 셀레 강 어귀의 헤라이온
  • 포세이도니아


포세이도니아 유적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기원전 550년에서 450년 사이에 건설된 그리스식 도리아 양식의 고전 양식의 세 개의 큰 신전이다.[81] 이 신전들은 모두 그 시대의 전형적인 건축물이며,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현저한 엔타시스(Entasis)와 뒤집힌 버섯 모양의 매우 넓은 주두(柱頭)를 가진 거대한 주랑(柱廊)을 가지고 있다. 기둥 위에는 두 번째 헤라 신전만이 대부분의 주두를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두 신전은 주심도리만 남아있다. 이 신전들은 헤라아테나(로마인들에게는 주노와 미네르바)에게 봉헌되었지만, 18세기 주장에 따라 이전에는 종종 다르게 확인되기도 했다. 두 개의 헤라 신전은 서로 바로 옆에 있으며, 아테나 신전은 도시 중심부의 반대편에 있다. 보존 상태가 훨씬 좋지 않은 다른 그리스와 로마 신전들도 있었다.

엘레아 성벽 유적은 총 길이 3마일이 넘는 하나의 성문과 여러 개의 탑 흔적과 함께 여전히 존재하며, 모두 현지의 결정질 석회암을 사용한 세 가지 다른 시대의 것들이다.[82] 나중 시대에는 벽돌도 사용되었는데, 그 형태는 이곳 특유의 것으로, 한쪽 면에 두 개의 직사각형 홈이 있으며, 약 약 3.81cm 정사각형에 두께는 거의 약 10.16cm이다. 모두 그리스 벽돌 각인이 새겨져 있다. 유적지에는 저수조 유적과 기타 여러 건물 흔적이 있다.

10. 5. 시칠리아



발레 데이 템플리(신전의 계곡)는 시칠리아 아그리젠토(고대 그리스명: 아크라가스)에 있는 고고학 유적지이다. 이곳은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고대 그리스 예술과 건축의 가장 뛰어난 사례 중 하나이다.[79] "계곡"이라는 용어는 잘못된 명칭으로, 이 유적지는 아그리젠토 마을 외곽의 산등성이에 위치해 있다. 1997년부터 이 지역 전체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1300ha에 달하는 발레 데이 템플리 고고학 및 경관 공원은 유럽과 지중해 분지에서 가장 큰 고고학 공원이다.[80]

이 계곡에는 모두 도리아 양식으로 지어진 7개의 신전 유적이 있다. 올림피온을 제외한 신전 이름들은 르네상스 시대에 확립된 전통일 뿐이다.

  • 콘코르디아 신전: 근처에서 발견된 라틴어 비문에서 이름이 유래했으며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다. 서기 6세기에 교회로 개조되었으며, 현재 계곡에서 가장 잘 보존된 신전 중 하나이다.
  • 주노 신전: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다. 기원전 406년 카르타고에 의해 불탔다.
  • 헤라클레스 신전: 고대 아크라가스에서 가장 존경받는 신 중 하나였던 헤라클레스를 위한 신전이다.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이며 지진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여덟 개의 기둥만 남아 있다.
  • 올림피온: 기원전 480년 카르타고를 물리친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대규모 아틀라스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Temple of Castor and Pollux): 네 개의 기둥만 남아 있지만 현재는 현대 아그리젠토의 상징이 되고 있다.
  • 헤파이스토스 신전(Temple of Hephaestus (Vulcan)):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계곡에서 가장 인상적인 건축물 중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재는 가장 침식이 심한 상태이다.
  • 아스클레피오스 신전(Temple of Asclepius): 고대 도시 성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질병 치료를 구하는 순례자들의 목적지였다.


계곡에는 피라미드 모양의 대형 응회암 기념물인 테론의 묘라고 불리는 무덤도 있다. 학자들은 이것이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사망한 로마인들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고 추측한다.

시라쿠사는 기원전 733년에 코린토스와 테네아 출신의 그리스 정착민들이 코린토스의 아르키아스라는 식민 개척자의 지휘 아래 건설되었다. 도시 이름에는 Συράκουσαιgrc ''Syrakousai'', Συράκοσαιgrc ''Syrakosai'', Συρακώgrc ''Syrakō'' 등 여러 가지 변형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이 도시는 판탈리카의 고분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그리스 시대 시라쿠사의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시립 성벽
  • 에마누엘레 판칼리 광장에 있는 아폴론 신전: 비잔틴 시대에는 교회로, 아랍 지배 시대에는 모스크로 개조되었다.
  • 오르티지아 섬에 있는 아레투사의 샘: 전설에 따르면 알페우스에게 쫓기던 님프 아레투사가 아르테미스에 의해 샘으로 변하여 이곳에 나타났다고 한다.[83]
  • 시라쿠사 그리스 극장: 그리스인들이 건설한 극장 중 가장 큰 규모의 관람석을 가지고 있으며, 67열의 좌석이 8개의 통로로 9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무대와 오케스트라의 흔적만 남아 있다. 이 건물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며, 로마인들에 의해 개조되어 서커스 경기 등 로마식 공연에 맞춰 변경되었다. 극장 근처에는 라토미에(채석장)가 있으며, 고대에는 감옥으로도 사용되었다. 가장 유명한 라토미에는 디오니소스의 귀이다.
  • 그로테첼리 고분군에 있는 아르키메데스의 무덤: 두 개의 도리스식 기둥으로 장식되어 있다.
  •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 도시 외곽 약 3km 지점에 위치하며, 기원전 6세기경에 건설되었다.


그 외 시칠리아 섬의 마그나 그라이키아 유적지는 다음과 같다.

  • 아바케눔(Abacaenum)
  • 아드라논(Adranon)
  • 아이트나(Aetna) (시티)
  • 아크라이(Akrai)
  • 아크릴라이(Akrillai)
  • 아폴로니아(Apollonia) (시칠리아)
  • 카스메나이(Casmenae)
  • 에릭스(Eryx) (시칠리아)
  • 할라에사(Halaesa)
  • 헬로루스(Helorus)
  • 헤라클레이아 미노아(Heraclea Minoa)
  • 허베소스(Herbessos)
  • 히메라(Himera)
  • 히블라 게레아티스(Hybla Gereatis)
  • 막토리온(Maktorion)
  • 메가라 히블라에아(Megara Hyblaea)
  • 몬테 아드라노네(Monte Adranone)
  • 모르간티나(Morgantina)
  • 모티아(Motya)
  • 낙소스(Naxos) (시칠리아)
  • 세게스타(Segesta)
  • 셀리눈테(Selinunte)
  • 틴다리(Tindari)

참조

[1] 웹사이트 Sybaris: la storia della più ricca città della Magna Grecia https://www.calabria[...] 2023-07-10
[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30
[3] 백과사전 Magna Grecia Treccani
[4] 웹사이트 Magna Grecia https://www.treccani[...] 2023-07-09
[5] 서적 La Magna Grecia Scorpione Editrice
[6] 웹사이트 Le arti di Efesto. Capolavori in metallo https://www.archeolo[...] 2023-07-12
[7] 웹사이트 Multilinguismo in Sicilia ea Napoli nel primo Medioevo http://wpage.unina.i[...] 2023-07-15
[8] 웹사이트 Per la difesa e la valorizzazione della Lingua e Cultura Greco-Calabra https://www.affarire[...] 2023-07-15
[9] 웹사이트 Una lingua, un'identità: alla scoperta del griko salentino https://www.itinerar[...] 2020-05-25
[10] 서적 The Histories
[11] 서적 The Histories
[12] 서적 The colonial expansion of Greece Cambridge Ancient History
[13] 논문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ome and the Greek Cities of Southern Italy and Campania during the Republic and Early Empire http://theses.ncl.ac[...] Newcastle University
[14] 논문 La Conquista Romana di Magna Grecia
[15] 서적 Historiae Philippicae
[16] 웹사이트 MAGNA GRECIA https://www.treccani[...] 2021-11-24
[17] 서적 Geographica
[18] 웹사이트 Magna Grecia nell'Enciclopedia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1-09-18
[19]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Greek city-states http://www.umsystem.[...]
[20] 서적
[21] 학술지 Greek colonization movement, 8th–6th centuries http://dx.doi.org/10[...] 2013-02-04
[22] 서적
[23] 서적 Geographica https://web.archive.[...] 2020-02-05
[24] 서적 The Greek Cities of Magna Graecia and Sicily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5] 서적 'Capitani coraggiosi'. Gli Eubei nel Mediterraneo
[26] 서적 Geographica
[27] 서적 Histories
[28] 웹사이트 MAGNA GRECIA https://www.treccani[...] 2023-07-07
[29] 서적 Geographica
[30] 서적 Grecità adriatica. Un capitolo della colonizzazione greca in Occidente Pàtron
[31] 웹사이트 Gallipoli https://www.treccani[...] 2023-07-21
[32] 웹사이트 Arte seconda - la colonizzazione e il periodo Greco, capitolo III, Il VI secolo e lo scontro con Crotone, Battaglia Della Sagra https://www.locriant[...]
[33]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Roman Republic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Press
[34] 서적 Storia di Roma Einaudi
[35] 학술지 The Status of Greek Cities in Roman Reception and Adaptation http://www.jstor.org[...]
[36] 서적 The Classical World Penguin Books
[37] 웹사이트 La colonia romana di Croto e la statio di Lacenium https://www.gruppoar[...]
[38] 논문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ome and the Greek Cities of Southern Italy and Campania during the Republic and Early Empire http://theses.ncl.ac[...]
[39] 웹사이트 Slavs and nomadic populations in Greece https://www2.rgzm.de[...] 2021-06-19
[40] 학술지 The Church of Ravenna and the Imperial Administration in the Seventh Century
[41] 서적 The Latin Church in Norman Ita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Sanctity and Pilgrimage in Medieval Southern Italy, 1000–12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Volume 1 Routledge
[44] 서적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45] 서적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46] 웹사이트 MAGNA GRECIA https://www.romanoim[...] 2023-07-10
[47] 서적 Histories
[48] 웹사이트 In Storia – ATENE E L'OCCIDENTE – Relazioni con le città siceliote ed italiote in funzione della spedizione in Sicilia – Parte I http://www.instoria.[...] 2023-07-10
[49] 서적 Scritti politici https://archive.org/[...] M. Guigoni
[50] 웹사이트 DIONISIO I il Vecchio (Διονύριος o πρεσβύτερος) tiranno di Siracusa https://www.treccani[...] 2023-07-10
[51] 학술지 Greek Remnants in Southern Italy
[52] 웹사이트 L'architettura in Grecia e nelle colonie http://www.magnagrec[...] 2023-07-21
[53] 웹사이트 Gli artisti della Magna Grecia https://www.bronzi50[...] 2023-07-21
[54] 웹사이트 La pittura vascolare greca https://www.fotoarte[...] 2023-07-21
[55] 웹사이트 Riapre la collezione Magna Grecia: al MANN un passeggiata nella storia degli antichi tesori del sud https://www.arte.it/[...] 2023-07-21
[56] 웹사이트 Manifestazioni della cultura dell'Occidente greco. La pittura parietale https://www.treccani[...] 2023-07-21
[57] 웹사이트 Storia del Teatro nelle città d'Italia https://www.melogran[...] 2022-07-27
[58] 웹사이트 Il teatro https://www.studocu.[...] 2022-07-27
[59] 웹사이트 Aristotele – Origini della commedia https://www.studocu.[...] 2022-07-28
[60] 웹사이트 Rintóne https://www.treccani[...] 2022-07-28
[61] 웹사이트 Olimpiadi antiche https://www.treccani[...] 2023-07-11
[62] 웹사이트 Gli atleti greci, i campioni delle gare panelleniche https://www.storican[...] 2022-08-09
[63] 웹사이트 Ipotesi sulla definizione di Pithekoussai come emporion o apoikia https://www.academia[...] 2023-07-12
[64] 웹사이트 Cuma, la prima città greca in Italia https://www.archeofl[...] 2016-06-29
[65] 웹사이트 Sibari e la sibaritide http://www.pugliadig[...] 2023-07-12
[66] 웹사이트 I GRECI IN CAMPANIA – LA PRIMA CITTÀ: CUMA https://www.visitqua[...] 2023-07-12
[67] 웹사이트 Turi: una polis magnogreca tra tradizioni storiografiche e modelli politico-urbanistici https://iris.unipv.i[...] 2023-07-12
[68] 서적 La guerra del Peloponneso Carocci editore
[69] 서적 History of Sicily from the earliest time https://archive.org/[...]
[70] 서적 Scritti minori
[71] 서적 From Candia to Venice: Greek icons in Italy, 15th–16th centuries : Museo Correr, Venice, 17 September-30 October, 1993 https://books.google[...] Foundation for Hellenic Culture
[72] 서적 Tra Europa e "Indie di quaggiù". Chiesa, religiosità e cultura popolare nel Mezzogiorno (secoli XV-XIX) https://books.google[...] Ed. di Storia e Letteratura
[73] 서적 Greec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74] 서적 Time https://books.google[...] Time Incorporated
[75] 서적 Greece https://books.google[...] Michelin Tyre
[76] 서적 Knowledge Preservation Through Community of Practice: Theoretical Issues and Empirical Evid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8-29
[77] 서적 From Information to Smart Society: Environment, Politics and Econom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0-16
[78] 웹사이트 Delimiting the territory of the Greek linguistic minority of Messina http://www.provincia[...] 2016-05-12
[79] 웹사이트 Valle dei Templi https://www.visitita[...] 2023-07-14
[80] 웹사이트 Parco Valle dei Templi http://www.parcodeit[...] 2012-05-17
[81] 웹사이트 Info on whc.unesco.org https://whc.unesco.o[...]
[82] 백과사전 Velia
[83] 서적 The Spring of Arethusa 2023
[84] 서적 Basilicata, Calabria Touring Editore
[85] 서적 Travelling Heroes: In the Epic Age of Homer Random House
[86] 논문 The Church of Ravenna and the Imperial Administration in the Seventh Centu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