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피렌체에서 활동했다. 초기에는 산타 마리아 누오바 병원, 산 자카리아 교회, 산 마르코 대성당 등에서 프레스코화를 제작했으며, 특히 산타폴로니아의 식당에 그린 '최후의 만찬'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이 작품은 사실적인 묘사와 건축적 구성을 통해 그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준다. 후기에는 빌라 카르두치를 위한 '유명한 사람들' 연작, '성모 승천', '남자의 초상'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조르조 바사리는 카스타뇨가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를 살해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0년대 출생 - 나폴레오네 오르시니
  • 1420년대 출생 - 가브리엘 빌
    가브리엘 빌은 15세기 독일의 신학자, 철학자, 경제 사상가로서 튀빙겐 대학교 설립에 기여하고, 윌리엄 오컴의 명목론을 따르면서 자신만의 신학 체계를 구축했으며, 공정한 가격과 화폐 가치의 안정성 등을 강조한 경제 사상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 1457년 사망 - 로렌초 발라
    로렌초 발라는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고전 문헌 연구를 통해 중세 시대의 권위에 도전하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의 위조 사실을 밝혀내고, 스콜라 철학을 비판하는 등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 1457년 사망 - 덕종 (조선)
    조선 덕종은 세조의 장남이자 성종의 아버지로,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였으며, 그의 죽음은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여러 논란을 낳았고, 후에 아들 성종의 즉위로 추존되었다.
  • 피렌체 광역시 출신 - 프란체스코 란디니
    프란체스코 란디니는 14세기 이탈리아 트레첸토 양식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가수, 시인, 악기 제작자로, 맹인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음악가로 칭송받았으며, '란디니 종지'라는 독특한 종지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고 그의 세속 발라타 작품은 스콰르찰루피 사본에 상당수 보존되어 14세기 이탈리아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피렌체 광역시 출신 - 마르실리오 피치노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1433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며 플라톤 철학을 연구하고, 플라톤 전집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서양에 플라톤 철학을 알리는 데 기여한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이다.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사리의
바사리가 1568년에 쓴 "가장 훌륭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의 삶"에 나오는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의 초상
출생지카스타뇨, 피렌체 근처
사망일1457년 8월 19일 (37–38세)
사망지피렌체
국적이탈리아
사조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

2. 생애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의 중요한 피렌체파 화가이다. 피렌체 근교 카스타뇨 디 안드레아에서 태어나 주로 피렌체와 베네치아 등지에서 활동했다. 초기에는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원근법과 사실적인 인물 묘사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이후 자신만의 강렬하고 조각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

1440년 메디치 가문의 후원으로 피렌체에서 활동을 시작했으며, 1442년에는 베네치아에서 산 자카리아 교회 등에 프레스코화를 남겼다. 피렌체로 돌아온 후 피렌체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디자인, 산타폴로니아 수녀원의 유명한 〈최후의 만찬〉 프레스코화(1447년) 등을 제작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후기에는 빌라 카르두치의 ''유명한 사람들'' 연작, 피렌체 대성당의 니콜로 다 톨렌티노의 기마상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1457년 피렌체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조르조 바사리는 그의 저서 『미술가 열전』에서 카스타뇨가 동료 화가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를 살해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베네치아노가 카스타뇨보다 늦게 사망했기 때문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2. 1. 초기 ( ~ 1440년대 초)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는 피렌체에서 멀지 않은 몬테 팔테로나 근처 마을 카스타뇨 디 안드레아에서 태어났다. 피렌체밀라노 간의 전쟁 동안에는 코렐라 (다른 자료에서는 콜레리아라고도 함)에 피난해 살다가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왔다. 1440년, 그는 베르나데토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피렌체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카스타뇨는 앙기아리 전투 이후 패배하여 교수형에 처해진 시민들의 초상화를 당시 행정 청사였던 포데스타 궁전(Palazzo del Podestà) 정면에 그렸는데, 이 일로 '안드레아 데글리 임피카티'(Andrea degli Impiccati|안드레아 델리 임피카티ita, '교수형 당한 자들의 안드레아')라는 별명을 얻었다.

카스타뇨가 누구에게 그림을 배웠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프라 필리포 리피파올로 우첼로 밑에서 도제 수업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1440년부터 1441년 사이에는 산타 마리아 누오바 병원에 ''성인들과 함께하는 십자가형'' 프레스코화를 그렸다. 이 작품의 원근법적인 구성과 인물 표현은 마사초의 영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1442년에는 베네치아로 가서 산 자카리아 교회의 산 타라시오 예배당에 프레스코화를 남겼다. 이후 산 마르코 대성당 (다른 자료에서는 산 마르코 수도원이라고도 함)에서도 작업하여 ''성모의 죽음'' (1442–1443) 프레스코화를 완성했다.

피렌체로 돌아온 후, 카스타뇨는 피렌체 대성당의 돔 원형 창을 위해 ''그리스도의 강하''를 주제로 한 스테인드글라스를 디자인했다. 1445년 5월 30일에는 피렌체의 영향력 있는 길드 중 하나인 의사 및 약제사 조합(Arte dei Medici e Spezialiita)에 가입했다. 같은 해에 그린 ''성모자와 성인'' 프레스코화는 현재 우피치 미술관의 콘티니 보나코시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2. 2. 전성기: 〈최후의 만찬〉(1447)

산타폴로니아 수녀원 식당의 〈최후의 만찬〉


1447년 카스타뇨는 피렌체의 산타폴로니아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녀원 식당에서 프레스코화 작업을 진행했다. 식당 벽 하단에는 유명한 〈최후의 만찬〉 프레스코화를 그렸고,[2] 그 위에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묘사한 다른 장면들인 〈십자가형〉, 〈매장〉, 〈부활〉을 함께 그렸으나,[3][14] 이 상단부 그림들은 현재 훼손된 상태이다. 이러한 장면들의 조합은 이전에는 시도된 적 없는 구성으로 알려져 있다.[4] 그는 또한 수녀원 회랑의 반원형 벽면(루네트)에도 〈피에타〉를 그렸다. 당시 많은 피렌체의 유력 가문들이 딸들을 산타폴로니아 수녀원에 보내고 있었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작업은 카스타뇨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최후의 만찬〉은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의 예술적 재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6] 이 작품은 건축적인 무대 설정 속에서 인물들을 균형 있게 배치한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천진하게 잠든 사도 요한과 긴장감 속에 등을 꼿꼿이 세운 유다 이스카리옷의 자세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열두 사도들은 두 명씩 짝을 이루며 손 모양 등이 거울에 비친 듯 대칭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이러한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인물들의 옷 색깔과 자세 또한 작품 전체의 균형감에 기여한다.

이 프레스코화의 세밀한 묘사와 자연주의는 카스타뇨가 이전의 예술 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음을 보여준다. 그림이 그려진 대리석 벽면 자체는 고대 로마 미술 양식을 의식하여 디자인되었으며, 기둥과 조각상 역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조각을 연상시킨다. 또한, 그림 속 공간이 마치 벽 너머에 실제 존재하는 방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는 트롱프뢰유(Trompe-l'œil, 속임수 그림) 기법의 초기 사례로 볼 수 있다. 인물의 머리카락 표현, 옷 주름의 사실적인 묘사, 그리고 명확하게 구사된 원근법 등은 카스타뇨의 발전된 기량을 보여주는 요소들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이 작품을 미리 접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는 카스타뇨 작품의 정적인 분위기와 대조적으로 더 극적인 형태와 감정을 표현하고자 자신의 〈최후의 만찬〉을 그렸다고 여겨진다.[7]

2. 3. 후기 (1449 ~ 1457)

''성모 승천''


1449년부터 1450년 사이에 카스타뇨는 피렌체 산 미니아토 프라 레 토리(San Miniato fra le Torri) 성당의 주 제단(성 줄리안 예배당)을 위해 ''성 미니아스와 성 줄리안 사이의 성모 승천''을 그렸다. 이 작품은 현재 베를린의 국립회화관에 소장되어 있다. 같은 해에 그는 필리포 카르두치와 협력하여 피렌체 레냐이아에 있는 빌라 카르두치를 위해 ''유명한 사람들'' 연작 프레스코화를 제작했다. 이 연작에는 피포 스파노, 파리나타 델리 우베르티, 니콜로 아치아이올리, 단테[15], 페트라르카, 조반니 보카치오[16], 쿠마이의 무녀[17], 에스더, 토미리스 여왕 등이 포함되었다.

''남자의 초상''


1450년경에는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소장된 ''십자가형''과 워싱턴 내셔널 갤러리에 있는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18] 및 ''남자의 초상''을 그렸다. 1451년 1월부터 1453년 9월 사이에는 도메니코 베네치아노가 피렌체의 산테지디오 교회(현재는 소실됨)에서 미완성으로 남겨둔 ''성모 마리아의 생애'' 프레스코화를 완성했다.[8] 1453년 10월, 필리포 카르두치는 그에게 소피아노에 있는 자신의 빌라를 위한 프레스코화를 의뢰했으며, 오늘날에는 ''이브''와 파손된 ''아기와 함께 있는 성모''가 남아 있다.

1455년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는 피렌체의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에서 작업했다. 그는 이곳에서 ''성 히에로니무스, 파울라, 에우스토키움과 함께 있는 삼위일체''[19]와 ''성 율리아누스와 구세주'' 프레스코화를 그렸는데, 전자는 강조된 사실주의를 보여준다. 같은 시기 산타폴로니아 교회를 위해 그린 ''십자가형'' 또한 그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1456년에는 피렌체 대성당에서 유명한 프레스코화 ''니콜로 다 톨렌티노의 기마상''을 그렸다. 이 작품은 파올로 우첼로가 그린 콘도티에로 존 호크우드 경의 기마 초상화와 나란히 걸려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들의 전기 작가이자 화가인 조르조 바사리는 그의 저서 『미술가 열전』에서 카스타뇨가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를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베네치아노는 1461년에 사망했지만, 카스타뇨는 그보다 4년 전인 1457년흑사병으로 이미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3. 논란: 도메니코 베네치아노 살해 혐의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이자 전기 작가인 조르조 바사리는 그의 저서 『예술가 열전』에서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가 동료 화가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를 살해했다고 주장했다.[9]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카스타뇨는 1457년 흑사병으로 사망했고, 베네치아노는 그보다 4년 뒤인 1461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카스타뇨가 베네치아노를 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바사리가 이 이야기를 1448년에 '안드레이노'라는 인물이 '도메니코 디 마테오'를 살해한 다른 사건과 혼동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기록 보관소의 기록을 확인한 결과 이는 잘못된 해석으로 밝혀졌다. 기록에 따르면 사망한 화가의 이름은 도메니코 디 마테오가 아니라 도메니코 디 마르코였으며, 더 중요한 것은 그를 안드레아나 안드레이노라는 이름의 화가가 살해했다는 언급 자체가 없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완전히 거짓된 이야기는 수 세기 동안 카스타뇨의 명성에 큰 오점을 남겼다.[10] 바사리의 『예술가 열전』 두 번째 판에 실린 카스타뇨의 생애 부분에 덧붙여진 음산한 초상화 판화(명백히 완전히 날조된 것)는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반영한다.

4. 주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Andrea del Castagno in the "History of Art" https://web.archive.[...] 2006-09-09
[2] 웹사이트 Web Gallery of Art – Last Supper http://www.wga.hu/ht[...]
[3] 웹사이트 Web Gallery of Art – Resurrection http://www.wga.hu/ht[...]
[4] 서적 The Mural Painters of Tuscany from Cimabue to Andrea del Sarto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5] 문서 Spencer
[6] 웹사이트 Last Supper of Sant Apollonia – Florence http://www.museumsin[...] 2020-09-17
[7] 서적 Leonardo da Vinci, the Last Supper: A Cosmic Drama and an Act of Redemption 2006
[8] 웹사이트 The Churches of Florence – East http://www.churcheso[...] 2020-09-17
[9] 백과사전 Andrea Castagno
[10] 뉴스 Death in Florence http://www.lrb.co.uk[...] London Review of Books 2012-02-23
[11] 웹사이트 聖母永眠 http://www.wga.hu/fr[...]
[12] 웹사이트 キリスト降架 http://www.wga.hu/fr[...]
[13] 웹사이트 聖母子 http://www.museumsin[...]
[14] 웹사이트 キリスト復活 http://www.wga.hu/ht[...]
[15] 이미지 File:DanteFresco.jpg
[16] 이미지 File:Andrea_del_Castagno_Giovanni_Boccaccio_c_1450.jpg
[17] 이미지 File:Andrea_del_Castagno_005.jpg
[18] 이미지 File:Andrea_del_Castagno_002.jpg
[19] 웹사이트 聖ヒエロニムスと2人の女性聖者と三位一体 http://www.reproar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