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타나스 스메토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1926년 쿠데타 이후 1940년 소련 점령 전까지 리투아니아의 대통령이었다. 그는 리투아니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리투아니아 평의회 의장으로 독립 선언에 서명했으며,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1926년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그는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쳤으며, 1940년 소련의 점령 이후 망명 생활을 하다 미국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로, 초대 총리를 역임하고 민족주의 성향으로 독재 정치를 추구했으나, 쿠데타 지지 후 실각, 투옥, 망명, 그리고 소련 점령 하에서 사망했다.
  • 리투아니아의 망명자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로, 초대 총리를 역임하고 민족주의 성향으로 독재 정치를 추구했으나, 쿠데타 지지 후 실각, 투옥, 망명, 그리고 소련 점령 하에서 사망했다.
  • 리투아니아의 망명자 - 비두나스
    비두나스는 리투아니아 문화 부흥에 기여한 작가, 철학자, 음악가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윤리적 채식주의를 옹호했으며, 나치의 탄압을 받아 투옥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하여 서독에서 사망했다.
  • 리투아니아의 반공주의자 -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음악학자로, 사유디스 창립 멤버로서 1990년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선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조국동맹을 결성하고 세이마스 의장과 유럽 의회 의원을 역임하는 등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리투아니아의 반공주의자 -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는 리투아니아의 정치인이자 농학자로, 1920년부터 1926년까지 리투아니아 공화국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독립 선언 서명자로서 부총리, 장관, 의장을 거쳐 대통령이 되었고, 소련 굴락 수감 생활 후 귀국하여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리투아니아 농업대학교가 그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안타나스 스메토나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안타나스 스메토나
원어 이름Antanas Smetona
로마자 표기Antanas Smetona
출생일1874년 8월 10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코브노 현 우줄레니스
사망일1944년 1월 9일
사망지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안장지올 소울스 묘지, 채던, 오하이오
정치 경력
직위리투아니아 대통령
임기 시작1926년 12월 19일
임기 종료1940년 6월 15일
총리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유오자스 투벨리스
블라다스 미로나스
요나스 체르니우스
안타나스 메르키스
이전 대통령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대행)
다음 대통령안타나스 메르키스 (대행, 사실상)
비타우타스 란드스베르기스 (1990년, 최고 평의회 의장으로서)
직위2리투아니아 평의회 의장
임기 시작21917년 9월 23일
임기 종료21919년 4월 4일
이전 의장직위 창설
다음 의장스타시스 실링가스
총리2프라나스 도비다이티스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다음 대통령2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직위3리투아니아 대통령
임기 시작31919년 4월 4일
임기 종료31920년 6월 19일
개인 정보
배우자소피야 호다카우스카이테-스메토니에네 (1885–1968)
자녀마리아 다누테 (1905–1992)
비루테 (1906–1909)
율리우스 림가우다스 (1913–1974)
모교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정당 정보
소속 정당리투아니아 민주당 (1902–1907)
민족진보당 (1924년 이전)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연합 (1924–1940)
기타 정보
안타나스 스메토나

2. 생애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법학부 학생 시절의 스메토나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1874년 8월 10일(구력 7월 28일), 당시 러시아 제국 코브노 현에 속했던 우줄레니스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 요나스 스메토나와 율리요나 카르타나이테는 라지빌 가문 소유의 타우예나이 영지에서 일했던 농부였다.[1][2] 스메토나는 아홉 남매 중 여덟째였으며,[4] 그의 부모는 근면하게 일하여 상속받은 5ha의 땅을 두 배로 늘렸다.[5] 아버지는 글을 읽을 줄 알았고, 스메토나는 집에서 읽는 법을 배웠다.[6]

1885년, 스메토나가 11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어려운 가정 형편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1년 후 타우예나이의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리투아니아어 출판 금지 정책으로 인해 수업은 러시아어로 진행되었다.[7][8] 그의 어머니는 스메토나가 사제가 되기를 바랐다.[9] 1889년 초등학교를 졸업했지만, 김나지움 입학 연령(12세)을 넘긴 15세였기 때문에 우크메르게에서 개인 교습을 받으며 김나지움 4학년 시험을 준비해야 했다.[10] 1891년 여름, 리에파야 김나지움 입학을 시도했으나 거절당하고, 나이 제한이 없는 팔랑가의 예비 김나지움(프로-김나지움)에 입학했다.[11][12] 스메토나는 우수한 학생으로 수업료를 면제받았고, 기숙사 감독관과 개인 교습을 통해 생활비를 벌었다.[13] 이곳에서 훗날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서에 함께 서명하게 되는 스테포나스 카이리스, 유르기스 샤울리스, 카지미에라스 스테포나스 샤울리스 등과 함께 공부했다.[14] 팔랑가는 동 프로이센과 가까워 차르 정부가 금지한 리투아니아 서적을 쉽게 구할 수 있었고, 스메토나는 마이로니스의 역사책을 비롯한 리투아니아 간행물들을 접하며 민족의식에 눈뜨기 시작했다.[15]

1893년 예비 김나지움을 졸업한 스메토나는 가족의 뜻에 따라 카우나스의 사모기티아 신학교 입학 시험에 합격했다.[16] 그러나 사제직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여 진로를 바꿔 라트비아의 옐가바 김나지움에 입학했다. 옐가바는 당시 리투아니아 민족 부흥 운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스메토나는 이곳에서 유오자스 튜벨리스, 블라다스 미로나스 등 미래의 정치적 동지들을 만났다.[16] 특히 그리스어 교사였던 언어학자 요나스 야블론스키스는 리투아니아 언어와 문화를 장려했으며, 스메토나는 그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7] 야블론스키스를 통해 스메토나는 미래의 아내인 소피야 초다카우스카이테를 만나기도 했다.[19]

1896년 가을, 옐가바 김나지움 당국이 리투아니아 학생들에게 러시아 정교회식 기도를 러시아어로 드릴 것을 강요하자(다른 국적 학생들은 모국어 사용 허용), 스메토나를 포함한 일부 학생들이 이를 거부하여 퇴학당했다.[20] 대부분의 학생들은 나중에 학교 측의 요구에 따르고 복학했지만, 스메토나는 끝까지 거부했다.[21] 학생들은 교황 레오 13세와 러시아 제국 국민 교육부 장관 이반 델랴노프에게 청원서를 보냈고,[22] 스메토나, 유르기스 슐라펠리스(Jurgis Šlapelis), 페트라스 바이츄슈카(Petras Vaičiūška)는 델랴노프 장관과 직접 만나 리투아니아 학생들이 라틴어로 기도할 수 있도록 허락받고 퇴학당한 학생들의 학업 지속을 보장받았다.[23] 스메토나는 옐가바로 돌아가지 않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제9 김나지움을 졸업했다.[24]

1897년 김나지움을 졸업한 스메토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다. 역사와 언어학에 더 관심이 많았지만, 당시 리투아니아에서 가톨릭 신자가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이 사제, 변호사, 의사 등으로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법학을 선택했다.[24]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리투아니아 문화의 또 다른 중심지였고, 스메토나는 대학 내 비밀 리투아니아 학생 조직에 가입하여 의장을 맡았다. 그는 리투아니아어 서적 출판과 보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5] 또한 성 카테리나 성당의 리투아니아 합창단에서도 활동했다.[26]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기도 했지만 받아들이지는 않았다.[25] 1899년 1899년 러시아 학생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대학에서 퇴학당하고 2주간 투옥되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옛 수도인 빌뉴스로 추방되기도 했다.[24] 한 달 후 대학에 복학할 수 있었다.[27]

대학 시절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어 연구와 보급에도 힘썼다. 1898년에는 룸메이트인 블라다스 시루타비치우스(Vladas Sirutavičius)와 함께 페트라스 아비조니스(Petras Avižonis)가 쓴 리투아니아어 문법책을 등사판으로 약 100부 인쇄했다.[27] 1900년 여름에는 요나스 야블론스키스가 리투아니아어 표준 문법을 연구하는 것을 도왔으며, 특히 모테유스 발란추스 주교의 저작 편집에 기여했다.[19] 이 연구를 바탕으로 1901년에 출판된 문법책은 현대 표준 리투아니아어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9] 1902년 초, 리투아니아 서적 밀매 사건 수사 과정에서 경찰이 그의 방을 수색하여 금지된 리투아니아 간행물을 발견했고, 이로 인해 비보르크 성에 잠시 투옥되기도 했으나 무죄 판결을 받고 그해 봄 대학을 졸업할 수 있었다.[28]

1902년 대학을 졸업한 스메토나는 빌뉴스로 이주하여 빌뉴스 농업 은행(Vilnius Land Bank)에서 1915년까지 근무했다.[29] 1904년, 그는 빌뉴스의 성 라파엘 대천사 성당에서 소피야 초다카우스카이테와 결혼했다.[30]

2. 2. 언론 및 민족 운동

빌뉴스에서의 초기 활동에서 스메토나는 여러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단체와 관계를 맺고, 리투아니아 민주당에 가입하여 빌뉴스 대의회에서 당 대표가 되었다. 그는 이후 이 단체의 간부회에 선출되었다.

1904년부터 1907년까지, 그는 리투아니아 신문 『빌뉴스 신보』에서 활동했으며, 1905년부터 1906년까지는 주간지 『리투아니아의 농부들』을 편집했다. 1907년, 스메토나는 유오자스 투마스-바이즈간타스 신부와 함께 신문 『희망』을 창간하여 발행하고 배포하기 시작했다. 『희망』을 통해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민족의 단결을 강조했다. 1914년, 그는 새롭게 격주로 발행되는 주간지 『바이라스』의 발행을 시작했다.

스메토나는 또한 리투아니아어 서적 출판을 위한 아우슈라사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으며, 리투아니아 상호 지원 협회, 리타스 교육 협회 등의 회원이었다. 그는 빌뉴스 시내의 여러 학교에서 리투아니아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3. 정치 활동

스메토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재학 시절부터 비밀 리투아니아 학생 조직에 참여하고 의장을 맡는 등 초기부터 정치 활동에 관여했다.[25] 1899년 러시아 학생 시위에 참여했다가 퇴학, 투옥, 빌뉴스 추방을 경험하기도 했다.[24]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쟁 피해자를 돕기 위한 리투아니아 구호 협회에서 활동하며 부의장과 의장을 역임했고,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위한 외교 활동에도 참여했다.[1][2] 그는 리투아니아 평의회 의장으로서 1918년 2월 16일 리투아니아 독립선언서에 서명하며 리투아니아 독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독립 이후 리투아니아의 승인을 얻고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바이마르 공화국과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을 방문하기도 했다.[1]

1919년 4월 4일,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국가 평의회에 의해 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그러나 1920년 제헌의회에서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가 후임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1]

대통령 퇴임 후 스메토나는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여러 정기 간행물을 편집하며 언론 활동을 이어갔다.[1] 1923년에는 메멜란트(클라이페다)가 리투아니아에 편입된 후 잠시 행정관을 맡았으나, 총리와의 의견 차이로 사임했다.[1] 같은 해 11월에는 자신이 편집하던 '바이라스'(Vairaslt) 지에 실린 아우그스티나스 볼데마라스의 글로 인해 잠시 투옥되기도 했다.[1]

이 시기 스메토나는 학술 활동에도 힘썼다. 1923년부터 1927년까지 리투아니아 대학교(현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에서 예술론, 역사, 철학 등을 가르치는 조교수로 재직했으며[1], 1932년에는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에서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또한, 클라이페다 지역 문제와 관련하여 리투아니아인 라이플단 활동에 참여했으며,[1] 1924년부터 1940년까지 국제 은행 이사회의 부의장을 지냈다.[1]

스메토나의 정치 경력은 1926년 쿠데타를 통해 다시 한번 전환점을 맞이하여 대통령직에 복귀했으나, 그의 통치는 점차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결국 1940년 소련의 리투아니아 점령으로 인해 망명길에 오르게 된다.

3. 1. 제1차 세계 대전과 독립 운동

리투아니아 평의회 위원들. 앞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스메토나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리투아니아 구호 협회 중앙위원회의 초대 부의장을 맡았고, 이후 의장이 되었다. 1916년 여름, 스메토나는 다른 리투아니아 대표들과 함께 빌뉴스에서 독일 동부 전선 사령관에게 리투아니아가 독립 국가로서의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전달했다. 이는 우선 독일로부터 자치권을 인정받으려는 목적이었다.

1917년 9월 6일, 스메토나는 신문 '리에투보스 아이다스'(Lietuvos Aidas|리투아니아의 메아리lt)를 창간하여 발행인이자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창간호에서 그는 "리투아니아 민족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독립된 리투아니아 국가를 다시 확립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독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1917년 9월 18일부터 22일까지 빌뉴스에서 열린 리투아니아 평의회(이후 국가 평의회로 개칭)에 참여했으며, 1917년부터 1919년까지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1918년 2월 16일,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인물 중 한 명이다.

3. 2. 초대 대통령과 그 이후

1919년 4월 4일, 리투아니아 국가 평의회는 스메토나를 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1920년 4월 19일, 리투아니아 헌법 제정 회의는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를 후임 대통령으로 선출했고, 스메토나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스메토나는 재선되지 못했으며,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여러 정기 간행물을 편집했다.

1923년 1월 메멜란트(클라이페다)에서 소요 사태가 발생한 후, 같은 해 2월 20일 스메토나는 메멜란트 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와의 의견 차이로 인해 곧 사임했다.

1923년 11월에는 Vairas|바이라스lit라는 정기 간행물에 아우그스티나스 볼데마라스가 쓴 글을 실었다는 이유로 며칠 동안 투옥되기도 했다.

학술 활동에도 참여해 1923년부터 1927년까지 리투아니아 대학교(훗날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로 개칭)에서 조교수로 일하며 예술론, 역사, 철학, 리투아니아 언어학 등을 가르쳤다. 1926년에는 빌뉴스 대학교의 강사로도 활동했다. 1932년에는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로부터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스메토나는 클라이페다 지역 문제와 관련하여 리투아니아인 라이플단의 활동에 참여했으며, 1924년부터 1940년까지는 국제 은행 이사회의 부의장을 맡기도 했다.

3. 3. 1926년 쿠데타와 권위주의 통치

스메토나는 대통령 카지스 그리니우스를 축출한 1926년 리투아니아 쿠데타의 주동자 중 한 명이었다. 쿠데타 이후 같은 해 12월 19일, 그는 리투아니아의 제4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취임 후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를 총리로 임명했다.

스메토나는 점차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강화해 나갔다. 1928년에는 의회를 억압하고, 5월 15일에는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1929년에는 볼데마라스를 총리직에서 해임하고 사실상 리투아니아의 독재자가 되었다[68]. 이후 1931년1938년 대통령 선거에서 연이어 재선되어 1940년 6월 15일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공산당 활동은 탄압받았으며, 토지 소유주에게 유리한 정책이 시행되었다. 한편으로는 국가 경제를 안정시키고[71], 군사비와 교육 예산을 증액하며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3. 4. 소련 점령과 망명

1940년,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에 체결된 독소 불가침 조약의 비밀 의정서에 따라 리투아니아소련에 점령되었다. 같은 해 6월, 소련이 리투아니아에 최후 통첩을 보내자, 정부 내 다수와 군 사령관들은 소련의 요구 수용에 반대했다. 스메토나는 대통령 직무를 총리 안타나스 메르키스에게 인계하고, 6월 15일 가족과 함께 동프로이센 국경을 넘어 독일을 거쳐 스위스로 망명했다.[69]

다음 날인 6월 16일, 메르키스는 국영 라디오를 통해 스메토나의 대통령직 해임과 자신의 대통령직 승계를 발표했다. 그러나 6월 17일, 메르키스는 소련군에 의해 체포되었고, 이후 굴라크에서 복역하다 1955년 사망했다.[69]

1941년, 스메토나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피츠버그, 시카고 등지에 잠시 머물렀다. 1942년 5월에는 아들 율류스 가족이 있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로 이사하여 정착했다.[72][69] 망명 기간 동안 그는 리투아니아 역사 연구와 자서전 집필에 몰두했다.[69]

1944년 1월 9일, 클리블랜드에 있는 아들 율류스의 집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사망했다.[72] 화재 당시 스메토나와 아내 소피야는 2층에 있었으며, 연기를 피해 계단을 내려오던 중 스메토나는 외투를 가지러 다시 집 안으로 들어갔다가 연기에 질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그는 감기에 걸려 있었고 연설을 앞두고 있었다.[65] 그는 집 안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되었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도착 전에 사망했다.[66]

공식 기록상 화재 원인은 과열된 난로였지만, 스메토나의 정치적 활동 때문에 소련 정보기관(NKGB)에 의한 방화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65]

1월 13일, 스메토나의 장례식은 클리블랜드의 세인트 존 복음사가 대성당에서 거행되었고, 유해는 캘버리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아내 소피야는 1968년 클리블랜드에서 사망했다. 1975년, 스메토나의 유해는 오하이오주 샤르돈의 올 소울스 묘지로 이장되어 아내 소피야 곁에 안치되었다.[67][69]

참조

[1] harvard
[2] 웹사이트 Antanas Smetona http://www.sejm-wiel[...] 2023-07-08
[3] harvard
[4] harvard
[5] harvard
[6] harvard
[7] harvard
[8] 웹사이트 Prezidentinis Smetonų duetas: laikas istorinei tiesai http://www.regionuna[...] 2019-12-05
[9] harvard
[10] harvard
[11] harvard
[12] harvard
[13] harvard
[14] harvard
[15] harvard
[16] harvard
[17] harvard
[18] harvard
[19] harvard
[20] harvard
[21] harvard
[22] harvard
[23] harvard
[24] harvard
[25] harvard
[26] harvard
[27] harvard
[28] harvard
[29] harvard
[30] 웹사이트 St. Raphael the Archangel Church https://cityofmercy.[...] 2019-10-16
[31] 웹사이트 Švėkšnos sinagoga, turgaus aikštė https://www.jewish-h[...] 2019-05-02
[32] 웹사이트 Lietuvos lenkai ir "Žydų karalius" Antanas Smetona https://www.15min.lt[...] 2023-12-25
[33] 논문 A. Smetonos valdžios politika žydų atžvilgiu (1927-1940) https://etalpykla.li[...] 2004
[34] 웹사이트 Istorikas siūlo išeitį: parodyti garbingą Lietuvos istorijos vietą Vakarų civilizacijos kontekste https://www.lrt.lt/n[...] 2020-12-05
[35] harvard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뉴스 Nazis Escape Death Sentence in Lithuania: President Smetona Changes Sentence to Ward Off Trouble with Germans Reading Eagle 1935-05-18
[40] 웹사이트 Neumanno-Sasso byla https://www.mle.lt/s[...]
[41] 뉴스 Nazis Celebrate Return of Memel: Germans Sing and Dance While Lithuanians Weep Openly; Refugees Halted The Free-Lance Star 1939-03-22
[42] 서적 Lietuvos istorija 11–12 klasėms Vaga
[43] harvnb
[44] harvnb
[45] 서적 Undigested Past: The Holocaust in Lithuania
[46] 웹사이트 Istorijos puslapiai: kaip A. Smetona prezidentavo pasitraukęs iš Lietuvos http://kauno.diena.l[...] 2014-08-17
[47] 웹사이트 Didžiosios tautos aukos http://www.partizana[...] 2017-11-03
[48] 웹사이트 Prezidentas Antanas Smetona egzilyje: "Nenoriu savo rankomis subolševikinti Lietuvą" http://pasauliolietu[...] 2019-06-12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harvnb
[59] 웹사이트 Kybartų aktai https://www.vle.lt/s[...] 2024-04-03
[60] 문서 Exiles Memorial Center
[61] harvnb
[62] harvnb
[63] harvnb
[64] 서적 Antanas Smetona and his Lithuania Brill Rodopi
[65] 뉴스 Smetona Head of Lithuania, Killed in Fire at Cleveland Cleveland Plain Dealer 1944-10-01
[66] 뉴스 Antanas Smetona Dies in Fire: President of Lithuania Dies in Cleveland; Fled Country on Russian Occupation The Montreal Gazette 1944-01-10
[67] Youtube Klivlandas. A.Smetonos paslaptys https://www.youtube.[...] 2024-03-03
[68] 웹사이트 Antanas Smetona http://search.eb.com[...] 2007-06-03
[69] 웹사이트 Antanas Smetona https://www.findagra[...] 2006-09-26
[70] 문서 리투아니아 공화국 대통령 칭호 수여
[71] 백과사전 Smetona, Antanas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06-03
[72] 웹사이트 findagrave http://www.findagra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