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리놀렌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파-리놀렌산(α-리놀렌산, ALA)은 리놀레산에서 파생된 지방산으로, 아마, 치아씨, 들기름, 들깨 등에 풍부하게 함유된 오메가-3 지방산의 일종이다. 종자유가 주요 공급원이며, 엽록체에서도 발견된다. 가공 및 조리 중 안정성을 보이지만, 베이킹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체내에서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으로 전환되며,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전립선암 위험 증가와의 연관성을 보이기도 한다. 한국인의 경우 하루 약 2g 섭취가 권장된다.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라는 단어는 리놀레산(linoleic acid)에서 불규칙적으로 파생된 것으로, 단어 자체는 그리스어인 "linon"("flax", "아마"를 의미)에서 유래하였다. 리놀레산의 오메가-6 이중 결합이 포화되면 올레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올레(oleic)"는 올레산(oleic acid) 또는 올레산과 관련됨"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리놀렌산의 이중 결합 중 하나를 포화시키면 리놀레산이 생성된다.
2. 어원
3. 식이 공급원
종자유는 α-리놀렌산의 가장 풍부한 공급원이며, 특히 삼씨기름, 치아씨유, 들기름, 아마인유, 카놀라유, 콩기름에 α-리놀렌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42] α-리놀렌산은 또한 완두 잎의 틸라코이드 막에서도 얻을 수 있다.[42] 식물의 엽록체는 광합성 틸라코이드 막이 95% 이상을 차지하며, 리놀렌산이 풍부하여 유동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고해상도 탄소-13 NMR 스펙트럼에서 급격한 공명으로 나타난다.[43]
일부 연구에서는 α-리놀렌산이 가공 및 조리 중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언급하고 있다.[44] 그러나 다른 연구들은 α-리놀렌산이 전이 금속 촉매로 건성유에 사용되는 기능 자체로 중합되기 때문에 베이킹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45] 일부 α-리놀렌산은 베이킹 온도에서 산화될 수도 있다.[45]일반명 학명 기름 중의 α-리놀렌산 %† 참조 치아시드 Salvia hispanica 64% [46] 키위 Actinidia chinensis 62% [46] 들깨 Perilla frutescens 58% [46] 아마 Linum usitatissimum 55% [46] 월귤 Vaccinium vitis-idaea 49% [46] 카멜리나 Camelina sativa 35-45%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35% [46] 산자나무 Hippophae rhamnoides L. 32% [47] 삼 Cannabis sativa 20% [46] 호두 Juglans regia 10.4% [48] 유채 Brassica napus 10% [41] 콩 Glycine max 8% [41] †평균값
3. 1. 주요 식물성 공급원
종자유는 α-리놀렌산의 가장 풍부한 공급원이며, 특히 삼씨기름, 치아씨유, 들기름, 아마인유, 카놀라유, 콩기름에 α-리놀렌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42] α-리놀렌산은 완두 잎의 틸라코이드 막에서도 얻을 수 있다.[42] 식물의 엽록체는 광합성 틸라코이드 막이 95% 이상을 차지하며, 리놀렌산이 풍부하여 유동성이 매우 높다.[43]
일부 연구에서는 α-리놀렌산이 가공 및 조리 중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언급하고 있다.[44] 그러나 다른 연구들은 α-리놀렌산이 전이 금속 촉매로 건성유에 사용되는 기능 자체로 중합되기 때문에 베이킹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45] 일부 α-리놀렌산은 베이킹 온도에서 산화될 수도 있다.[45]일반명 학명 기름 중의 α-리놀렌산 %† 참조 치아시드 Salvia hispanica 64% [46] 키위 Actinidia chinensis 62% [46] 들깨 Perilla frutescens 58% [46] 아마 Linum usitatissimum 55% [46] 월귤 Vaccinium vitis-idaea 49% [46] 카멜리나 Camelina sativa 35-45%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35% [46] 산자나무 Hippophae rhamnoides L. 32% [47] 삼 Cannabis sativa 20% [46] 호두 Juglans regia 10.4% [48] 유채 Brassica napus 10% [41] 콩 Glycine max 8% [41] †평균값
동물성 지방에도 약간의 α-리놀렌산이 포함되어 있지만, 헤드(牛脂)(소기름)의 경우에는 1일 300g 섭취하지 않으면 α-리놀렌산 필요량을 충족할 수 없고, 심장병 예방의 관점에서도 현실적이지 않다. 목초를 사료로 주어지는 양의 고기(머튼, 램)에서는 다른 고기에 비해 α-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비율이 높아지고, 곡물 사료를 많이 주어지고 있는 닭고기나 돼지고기에서는 α-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의 비율이 낮아진다.3. 2. 잎채소
씨앗 기름은 알파-리놀렌산의 가장 풍부한 공급원이며, 특히 대마씨앗, 차, 페릴라, 아마씨( 아마인유), 유채( 카놀라), 그리고 대두 등에서 많이 함유되어 있다.[4] 또한, 알파-리놀렌산은 ''완두''(완두 잎)의 잎에 있는 틸라코이드 막에서도 얻을 수 있다.[4] 식물 엽록체는 광합성 틸라코이드 막의 95% 이상으로 구성되어 ALA의 풍부함으로 인해 고해상도 탄소-13 NMR 스펙트럼에서 날카로운 공명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매우 유동적이다.[5]
어떤 연구에서는 ALA가 가공 및 조리 중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밝혔다.[6]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ALA가 전이 금속 촉매가 있는 페인트에서 활용되는 특징인 자가 중합되기 때문에 베이킹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일부 ALA는 베이킹 온도에서 산화될 수도 있다.[7]
α-리놀렌산은 넓은 잎 식물의 잎의 틸라코이드 막 조직( 광합성에 관여하는)에서도 얻을 수 있다.[38] 실제로, 시금치나 청경채 등의 채소에서 α-리놀렌산이 검출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름 | 다른 이름 | 린네식 이름 | ALA %†(기름 중) | 출처 |
---|---|---|---|---|
차 | 차 종류 | Salvia hispanica | 64% | [8] |
키위 씨앗 | 차이니즈 구스베리 | Actinidia chinensis | 62% | [8] |
페릴라 | 시소 | Perilla frutescens | 58% | [8] |
아마 | 아마씨 | Linum usitatissimum | 55% | [8] |
링곤베리 | 코우베리 | Vaccinium vitis-idaea | 49% | [8] |
카멜리나 | 카멜리나 | Camelina sativa | 37% | [9] |
쇠비름 | 쇠비름 | Portulaca oleracea | 35% | [8] |
큰개갓냉이 | 매화꽃 | Cardamine pratensis | 35% | [10] |
크랜베리 | 아메리칸 크랜베리 | Vaccinium macrocarpon | 35% | |
구스베리 | 구스베리 | Hippophae rhamnoides L. | 32% | [11] |
라즈베리 | 라즈베리 | Rubus idaeus | 31% | |
블루베리 | 빌베리 | Vaccinium myrtillus L. | 29% | |
대마 | 대마초 | Cannabis sativa | 20% | [8] |
호두 | 잉글리시 월넛/페르시안 월넛 | Juglans regia | 10.4% | [12] |
유채 | 카놀라 | Brassica napus | 10% | [3] |
대두 | 콩 | Glycine max | 8% | [3] |
†평균값 |
식물성 기름으로서 | 다른 이름 | 학명 | % ALA† | ref. |
---|---|---|---|---|
차조기(들깨油)(들깨기름) | shiso(perilla) | Perilla frutescens | 58% | [39] |
아마(아마씨유) | linseed | Linum usitatissimum | 55% | [39] |
유채 | canola | Brassica napus | 10% | [31] |
대두 | soya | Glycine max | 8% | [31] |
†평균값 |
3. 3. 안정성 및 가공
α-리놀렌산은 다른 많은 기름들보다 더 빨리 산패되는 경향이 있어 상대적으로 산화되기 쉽다.[58][16] α-리놀렌산의 산화적 불안정성은 제조업자들이 콩기름과 같이 α-리놀렌산을 함유하고 있는 기름을 부분적으로 수소화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58] 콩은 미국에서 식용유의 가장 큰 공급 원료이며, 2007년 연구에 따르면 콩기름 생산량의 40%가 부분적으로 수소화되었다.[59][17]그러나 부분적으로 수소화될 때, 불포화 지방산의 일부는 건강에 해로운 트랜스 지방산이 된다. 소비자들은 트랜스 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제품을 점점 더 기피하고 있으며, 정부는 식품에 트랜스 지방이 포함되는 것을 금지하기 시작했다.[60][18] 이러한 규제와 시장의 압력으로 인해 α-리놀렌산을 적게 함유한 콩의 개발이 촉진되었다. 이와 같은 새로운 품종의 콩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수소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보다 안정적인 기름을 생산하므로 튀김 기름과 같은 트랜스 지방이 없는 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60][19]
몇몇 컨소시엄이 α-리놀렌산을 적게 함유한 콩을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듀퐁은 Δ6-불포화효소를 암호화 하고 있는 FAD2 유전자를 침묵시키는데 성공하여, α-리놀렌산 및 리놀레산을 매우 적게 함유하고 있는 콩기름을 생산하고 있다.[61] 몬산토는 전통적인 육종 기술을 통해 만들었기 때문에 GMO 제품보다 논란이 적은 α-리놀렌산을 적게 함유한 콩의 브랜드인 "비스티브 골드(Vistive Gold)"를 시장에 선보였다.
4. 생리적 기능 및 건강
α-리놀렌산의 가장 좋은 공급원은 씨앗이지만, 대부분의 씨앗과 씨앗 기름은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훨씬 더 풍부하다. 아마씨(적절한 영양소 흡수를 위해선 갈아야 하기 때문)와 치아씨는 예외로 한다. 리놀레산은 필수 지방산이며 다른 오메가-6 지방산들처럼 세포막의 위치를 두고 오메가-3 지방산과 경쟁하며 사람의 건강에 매우 다른 영향을 미친다. 필수 지방산 상호작용의 복잡한 세트가 있다.
사람은 12-탈포화효소와 15-탈포화효소가 없어서 스테아르산으로부터 α-리놀렌산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서 α-리놀렌산을 섭취해야 한다.[49]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n-''3) 및 도코사헥사엔산(DHA, 22:6 ''n''-3)은 어류 및 조류의 기름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지방산은 많은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이코사펜타엔산과 도코사헥사엔산은 또한 식이 α-리놀렌산으로부터 사람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α-리놀렌산 → 스테아리돈산 → 에이코사테트라엔산 → 에이코사펜타엔산 → 도코사펜타엔산 → 9,12,15,18,21-테트라코사펜타엔산 → 6,9,12,15,18,21-테트라코사헥사엔산 → 도코사헥사엔산의 대사 과정을 거치지만, 단지 몇 %의 효율에 불과하다.[49] 오메가-3 긴사슬 다불포화 지방산 합성의 효율이 α-리놀렌산 전환의 캐스케이드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α-리놀렌산으로부터 도코사헥사엔산의 합성은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합성보다 훨씬 더 제한적이다.[50][51] α-리놀렌산의 도코사헥사엔산으로의 전환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잘 일어난다.[52]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체내에서는 Δ6-지방산 불포화효소에 의해 18:3 (n−3)의 알파-리놀렌산(ALA)의 Δ6 위치에 불포화 결합이 생성되고, 엘롱가제에 의해 탄소 2개가 신장되어 20:4 (n−3)의 아라키돈산이 생성된다. 그리고 Δ5-지방산 불포화효소에 의해 불포화 결합이 증가하여 20:5 (n−3)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 생성되고, 이 에이코사펜타엔산에서 22:5 (n−3)의 도코사펜타엔산(DPA)을 거치거나 Sprecher's shunt라 불리는 경로를 거쳐 22:6 (n−3)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생성된다(자세한 내용은 불포화효소 참조).[32]
이와 같이 인간을 포함한 많은 동물은 체내에서 알파-리놀렌산을 원료로 하여 EPA와 DHA를 생산할 수 있지만, 알파-리놀렌산에서 EPA와 DHA로 전환되는 비율은 약 10~15% 정도이다.[33]
불포화하는 불포화효소와 탄소 2개를 신장하는 엘롱가제, ω-3 지방산과 ω-6 지방산은 공통적이므로, ω-3 지방산의 최초 출발 물질인 알파-리놀렌산을 섭취함으로써 ω-6 지방산의 최초 출발 물질인 리놀레산이 더욱 다가불포화된 ω-6 지방산인 아라키돈산으로 대사되는 것을 억제한다. 알파-리놀렌산의 섭취가 적고 아라키돈산이 과잉으로 존재하게 되면 아라키돈산 카스케이드를 거쳐 여러 가지 강력한 생리 활성 물질이 생성되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알파-리놀렌산에서 생성되는 DHA는 뇌와 망막의 인지질에 포함되는 지방산의 주요 성분이다. 임신·출산기에는 어머니에게 있어 무시할 수 없는 ω-3 지방산 고갈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산후 우울증의 위험성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사람과 비교하여 우울증 환자는 ω-3 지방산의 축적량이 유의하게 낮고 ω-6과 ω-3의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33]
201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발표된 10년 이상에 걸친 50,000명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알파-리놀렌산을 풍부하게 섭취하고 동시에 리놀레산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것은 유의하게 우울증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결과와 대조적으로 이 조사에서는 어유에 포함된 EPA나 DHA의 섭취는 우울증 발생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34]
여러 연구에서[53][54] α-리놀렌산과 전립선암 위험 증가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다. 이러한 위험은 α-리놀렌산의 공급원(예: 육류, 식물성 기름)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55] 그러나, 2006년에 실시된 대규모 연구에서는 α-리놀렌산의 총섭취량과 전립선암의 전반적인 위험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56] 2009년의 메타 분석은 초기 연구에서 출판 편향의 증거를 발견했으며, α-리놀렌산이 전립선암의 위험 증가에 관여한다면 위험 증가에 기여하는 부분은 매우 작다고 결론지었다.[57]
ALA 섭취는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및 치명적인 관상동맥 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20][21] ALA 섭취량을 늘리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백을 감소시켜 지질 프로필을 개선할 수 있다.[22] 2021년 한 검토 연구에 따르면 ALA 섭취는 모든 원인, 심혈관 질환 및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지만 암 사망 위험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알파-리놀렌산을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다.[35][36]
4. 1. EPA 및 DHA로의 전환
사람은 12-탈포화효소와 15-탈포화효소가 없어서 스테아르산으로부터 α-리놀렌산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서 α-리놀렌산을 섭취해야 한다.[49]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n-''3) 및 도코사헥사엔산(DHA, 22:6 ''n''-3)은 어류 및 조류의 기름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지방산은 많은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이코사펜타엔산과 도코사헥사엔산은 또한 식이 α-리놀렌산으로부터 사람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α-리놀렌산은 Δ6-지방산 불포화효소에 의해 18:3 (n−3)에서 Δ6 위치에 불포화 결합이 생성되고, 엘롱가제에 의해 탄소 2개가 신장되어 20:4 (n−3)의 아라키돈산이 생성된다. 그리고 Δ5-지방산 불포화효소에 의해 불포화 결합이 증가하여 20:5 (n−3)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 생성되고, 이 에이코사펜타엔산에서 22:5 (n−3)의 도코사펜타엔산(DPA)을 거치거나 Sprecher's shunt라 불리는 경로를 거쳐 22:6 (n−3)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생성된다(자세한 내용은 불포화효소 참조).[32]
α-리놀렌산 → 스테아리돈산 → 에이코사테트라엔산 → 에이코사펜타엔산 → 도코사펜타엔산 → 9,12,15,18,21-테트라코사펜타엔산 → 6,9,12,15,18,21-테트라코사헥사엔산 → 도코사헥사엔산의 대사 과정을 거치지만, 단지 몇 %의 효율에 불과하다.[49] 오메가-3 긴사슬 다불포화 지방산 합성의 효율이 α-리놀렌산 전환의 캐스케이드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α-리놀렌산으로부터 도코사헥사엔산의 합성은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합성보다 훨씬 더 제한적이다.[14][50][51] α-리놀렌산의 도코사헥사엔산으로의 전환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잘 일어난다.[15][52]
인간을 포함한 많은 동물은 체내에서 알파-리놀렌산을 원료로 하여 EPA와 DHA를 생산할 수 있지만, 알파-리놀렌산에서 EPA와 DHA로 전환되는 비율은 약 10~15% 정도이다.[33]
4. 2. 건강상의 이점
α-리놀렌산의 가장 좋은 공급원은 씨앗이지만, 대부분의 씨앗과 씨앗 기름은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훨씬 더 풍부하다. 아마씨(적절한 영양소 흡수를 위해선 갈아야 하기 때문)와 치아씨는 예외로 한다.[49] 리놀레산은 필수 지방산이며 다른 오메가-6 지방산들처럼 세포막의 위치를 두고 오메가-3 지방산과 경쟁하며 사람의 건강에 매우 다른 영향을 미친다. 필수 지방산 상호작용에는 복잡한 세트가 있다.사람은 12-탈포화효소와 15-탈포화효소가 없어서 스테아르산으로부터 α-리놀렌산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서 α-리놀렌산을 섭취해야 한다.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n-''3) 및 도코사헥사엔산(DHA, 22:6 ''n-''3)은 어류 및 조류의 기름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지방산은 많은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이코사펜타엔산과 도코사헥사엔산은 또한 식이 α-리놀렌산으로부터 사람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α-리놀렌산 → 스테아리돈산 → 에이코사테트라엔산 → 에이코사펜타엔산 → 도코사펜타엔산 → 9,12,15,18,21-테트라코사펜타엔산 → 6,9,12,15,18,21-테트라코사헥사엔산 → 도코사헥사엔산의 대사 과정을 거치지만, 단지 몇 %의 효율에 불과하다.[49] 오메가-3 긴사슬 다불포화 지방산 합성의 효율이 α-리놀렌산 전환의 캐스케이드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α-리놀렌산으로부터 도코사헥사엔산의 합성은 에이코사펜타엔산의 합성보다 훨씬 더 제한적이다.[50][51] α-리놀렌산의 도코사헥사엔산으로의 전환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잘 일어난다.[52]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체내에서는 Δ6-지방산 불포화효소에 의해 18:3 (n−3)의 알파-리놀렌산(ALA)의 Δ6 위치에 불포화 결합이 생성되고, 엘롱가제에 의해 탄소 2개가 신장되어 20:4 (n−3)의 아라키돈산이 생성된다. 그리고 Δ5-지방산 불포화효소에 의해 불포화 결합이 증가하여 20:5 (n−3)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 생성되고, 이 에이코사펜타엔산에서 22:5 (n−3)의 도코사펜타엔산(DPA)을 거치거나 Sprecher's shunt라 불리는 경로를 거쳐 22:6 (n−3)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생성된다(자세한 내용은 불포화효소 참조).[32]
이와 같이 인간을 포함한 많은 동물은 체내에서 알파-리놀렌산을 원료로 하여 EPA와 DHA를 생산할 수 있지만, 알파-리놀렌산에서 EPA와 DHA로 전환되는 비율은 약 10~15% 정도이다.[33]
불포화하는 불포화효소와 탄소 2개를 신장하는 엘롱가제, ω-3 지방산과 ω-6 지방산은 공통적이므로, ω-3 지방산의 최초 출발 물질인 알파-리놀렌산을 섭취함으로써 ω-6 지방산의 최초 출발 물질인 리놀레산이 더욱 다가불포화된 ω-6 지방산인 아라키돈산으로 대사되는 것을 억제한다. 알파-리놀렌산의 섭취가 적고 아라키돈산이 과잉으로 존재하게 되면 아라키돈산 카스케이드를 거쳐 여러 가지 강력한 생리 활성 물질이 생성되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알파-리놀렌산에서 생성되는 DHA는 뇌와 망막의 인지질에 포함되는 지방산의 주요 성분이다. 임신·출산기에는 어머니에게 있어 무시할 수 없는 ω-3 지방산 고갈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산후 우울증의 위험성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건강한 사람과 비교하여 우울증 환자는 ω-3 지방산의 축적량이 유의하게 낮고 ω-6과 ω-3의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33]
201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발표된 10년 이상에 걸친 50,000명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알파-리놀렌산을 풍부하게 섭취하고 동시에 리놀레산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것은 유의하게 우울증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결과와 대조적으로 이 조사에서는 어유에 포함된 EPA나 DHA의 섭취는 우울증 발생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34]
여러 연구에서[53][54] α-리놀렌산과 전립선암 위험 증가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다. 이러한 위험은 α-리놀렌산의 공급원(예: 육류, 식물성 기름)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55] 그러나, 2006년에 실시된 대규모 연구에서는 α-리놀렌산의 총섭취량과 전립선암의 전반적인 위험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56] 2009년의 메타 분석은 초기 연구에서 출판 편향의 증거를 발견했으며, α-리놀렌산이 전립선암의 위험 증가에 관여한다면 위험 증가에 기여하는 부분은 매우 작다고 결론지었다.[57]
어떤 과학적 리뷰에 따르면, α-리놀렌산의 소비를 많이 할수록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이 약간 낮아지지만, 여러 연구들에서의 결과의 다양함은 확실한 결론을 도출하기 전에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62] ALA 섭취는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및 치명적인 관상동맥 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20][21] ALA 섭취량을 늘리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백을 감소시켜 지질 프로필을 개선할 수 있다.[22] 2021년 한 검토 연구에 따르면 ALA 섭취는 모든 원인, 심혈관 질환 및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지만 암 사망 위험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알파-리놀렌산을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다.[35][36]
4. 3. 잠재적 위험
α-리놀렌산의 가장 좋은 공급원은 씨앗이지만, 대부분의 씨앗과 씨앗 기름은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훨씬 더 풍부하다.[49] 아마씨와 치아씨는 예외이다. 리놀레산은 필수 지방산이며 다른 오메가-6 지방산들처럼 세포막의 위치를 두고 오메가-3 지방산과 경쟁하며 사람의 건강에 매우 다른 영향을 미친다.[49] 사람은 12-탈포화효소와 15-탈포화효소가 없어서 스테아르산으로부터 α-리놀렌산을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서 α-리놀렌산을 섭취해야 한다.[49]여러 연구에서[53][54] α-리놀렌산과 전립선암 위험 증가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다. 이러한 위험은 α-리놀렌산의 공급원(예: 육류, 식물성 기름)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55] 그러나, 2006년에 실시된 대규모 연구에서는 α-리놀렌산의 총섭취량과 전립선암의 전반적인 위험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56] 2009년의 메타 분석은 초기 연구에서 출판 편향의 증거를 발견했으며, α-리놀렌산이 전립선암의 위험 증가에 관여한다면 위험 증가에 기여하는 부분은 매우 작다고 결론지었다.[57]
ALA 섭취는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및 치명적인 관상동맥 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20][21] ALA 섭취량을 늘리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저밀도 지단백을 감소시켜 지질 프로필을 개선할 수 있다.[22] 2021년 한 검토 연구에 따르면 ALA 섭취는 모든 원인, 심혈관 질환 및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지만 암 사망 위험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5. 한국인의 α-리놀렌산 섭취
한국인에게 하루 약 2g의 알파-리놀렌산 섭취가 필요하다. 자세한 내용은 필수지방산#필요섭취량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역사
α-리놀렌산은 1887년 카를 하주라(Karl Hazura)가 발견하고 명명했지만,[24] 이성질체를 분리하지는 못했다. 1909년 에른스트 에르드만(Ernst Erdmann)과 F. 베드퍼드,[25] 아돌프 롤렛(Adolf Rollett)이[26] 독자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α-리놀렌산을 최초로 분리했다. 이는 1942년 J. W. 맥커천(J. W. McCutcheon)의 합성 논문[27]과 그린(Green)과 힐디치(Hilditch)의 1930년대 연구 조사[28]에 인용되어 있다. 1995년 C6 호몰로게이션 시약을 이용하여 최초로 인공적으로 합성되었는데, [(''Z-Z'')-노나-3, 6-다이엔-1-일]트라이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의 포스포늄 염과 메틸 9-옥소노나노에이트의 비티히 반응 후 비누화하여 합성을 완료하였다.[66][29]
참조
[1]
논문
Large-scale preparation of (9Z,12E)-[1-13C]-octadeca-9,12-dienoic acid, (9Z,12Z,15E)-[1-13C]-octadeca-9,12,15-trienoic acid and their 1-13C all-cis isomers
[2]
논문
α-Linolenic acid: Nutraceutical,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evaluation
https://www.scienced[...]
[3]
웹사이트
IUPAC Lexicon of Lipid Nutrition
http://www.iupac.org[...]
2006-02-22
[4]
논문
Growth temperature effects on thylakoid membrane lipid and protein content of pea chloroplasts 1
1983-05
[5]
논문
13-C NMR studies of lipid fatty acyl chains of chloroplast membranes
https://www.research[...]
[6]
논문
Processing and cooking effects on lipid content and stability of alpha-linolenic acid in spaghetti containing ground flaxseed.
[7]
웹사이트
OXIDATIVE STABILITY OF FLAXSEED LIPIDS DURING BAKING
http://serials.unibo[...]
2012-12-30
[8]
웹사이트
Seed Oil Fatty Acids – SOFA Database Retrieval
http://sofa.mri.bund[...]
2018-03-26
[9]
논문
Camelina (''Camelina sativa'' (L.) Crantz) as Feedstuffs in Meat Type Poultry Diet: A Source of Protein and n-3 Fatty Acids
2022-01
[10]
논문
Physicochemical Properties, Fatty Acid Composition, Volatile Compounds of Blueberries, Cranberries, Raspberries, and Cuckooflower Seeds Obtained Using Sonication Method
2021-12
[11]
학회발표
Sea buckthorn: New crop opportunity
http://www.hort.purd[...]
ASHS Press
2006-10-28
[12]
웹사이트
Omega-3 fatty acids
http://www.umm.edu/a[...]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13]
논문
Are all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reated equal?
[14]
논문
Fatty acids and early human development
[15]
논문
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longer-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uman adults
http://rnd.edpscienc[...]
2018-11-04
[16]
웹사이트
Metabolism in plants to produce healthier food oils (slide #4)
http://www.metabolic[...]
2007-01-11
[17]
웹사이트
Ban on trans fat could benefit Iowa
http://www.truthabou[...]
2007-01-03
[18]
웹사이트
Trans Fat
https://www.fda.gov/[...]
2024-09-06
[19]
웹사이트
ADM to process Monsanto's Vistive low linolenic soybeans at Indiana facility
http://www.monsanto.[...]
2007-01-06
[20]
논문
Impact of α-Linolenic Acid, the Vegetable ω-3 Fatty Acid,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gnition
https://academic.oup[...]
[21]
Systematic review
α-Linolenic acid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12
[22]
논문
Effects of α-linolenic acid intake on blood lipid profiles: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ttps://www.tandfonl[...]
2021-12-14
[23]
논문
Research Dietary intake and biomarkers of alpha linolenic acid and risk of all cause, cardiovascular, and cancer mortality: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https://www.bmj.com/[...]
2021-12-14
[24]
논문
Über trocknende Ölsäuren IV. Abhandlung
https://babel.hathit[...]
2020-11-01
[25]
논문
Über die im Leinöl enthaltene Linolensäure
https://babel.hathit[...]
2020-10-31
[26]
논문
Konstitution der Linolensäure
https://babel.hathit[...]
2020-10-31
[27]
논문
Zur Kenntnis der Linolensäure und des Leinöls
https://zenodo.org/r[...]
2019-07-01
[28]
OrgSynth
Linolenic acid
[29]
논문
The identification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30]
논문
Direct preparation of (''Z'',''Z'')-1,4-dienic units with a new C6 homologating agent: synthesis of α-linolenic acid
[31]
웹사이트
https://www.drugbank[...]
[32]
웹사이트
IUPAC Lexicon of Lipid Nutrition
http://www.iupac.org[...]
2001
[33]
웹사이트
I章 最新の脂質栄養を理解するための基礎 ― ω(オメガ)バランスとは?
http://www.kinjo-u.a[...]
[34]
논문
Omega-3多価不飽和脂肪酸の摂取とうつを中心とした精神的健康との関連性について探索的検討-最近の研究動向のレビューを中心に
[35]
논문
Dietary intake of n-3 and n-6 fatty acids and the risk of clinical depression in women: a 10-y prospective follow-up study
2011
[36]
논문
Dietary alpha-linolenic acid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but increased prostate cancer risk: a meta-analysis
[36]
서적
健康食品データベース
第一出版
[37]
웹사이트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https://data.nal.usd[...]
[38]
저널
Growth Temperature Effects on Thylakoid Membrane Lipid and Protein Content of Pea Chloroplasts 1
http://www.pubmedcen[...]
2007-01-15
[39]
웹사이트
Seed Oil Fatty Acids - SOFA Database Retrieval
http://www.bagkf.de/[...]
[40]
저널
Large-scale preparation of (9Z,12E)-1-(13)C-octadeca-9,12-dienoic acid, (9Z,12Z,15E)-1-(13)C-octadeca-9,12,15-trienoic acid and their 1-(13)C all-cis isomers
[41]
웹사이트
IUPAC Lexicon of Lipid Nutrition
http://www.iupac.org[...]
2006-02-22
[42]
저널
Growth temperature effects on thylakoid membrane lipid and protein content of pea chloroplasts 1
1983-05
[43]
저널
13-C NMR studies of lipid fatty acyl chains of chloroplast membranes
https://www.research[...]
[44]
저널
Processing and cooking effects on lipid content and stability of alpha-linolenic acid in spaghetti containing ground flaxseed.
[45]
웹사이트
OXIDATIVE STABILITY OF FLAXSEED LIPIDS DURING BAKING
http://serials.unibo[...]
[46]
웹인용
Seed Oil Fatty Acids – SOFA Database Retrieval
http://sofa.mri.bund[...]
2019-10-18
[47]
콘퍼런스
Sea buckthorn: New crop opportunity
http://www.hort.purd[...]
ASHS Press
2006-10-28
[48]
웹인용
Omega-3 fatty acids
http://www.umm.edu/a[...]
University of Maryland Medical Center
[49]
저널
Are all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reated equal?
[50]
저널
Fatty acids and early human development
[51]
저널
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longer-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uman adults
http://rnd.edpscienc[...]
[52]
웹인용
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longer-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uman adults
http://rnd.edpscienc[...]
[53]
저널
Dietary fat intake and prostate cancer risk: a case-control study in Spain
[54]
저널
Dietary alpha-linolenic acid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but increased prostate cancer risk: a meta-analysis
[55]
저널
Alpha-linolenic acid and risk of prostate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Uruguay
[56]
저널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α-linolenic acid and the risk of prostate cancer (United States)
[57]
저널
The relat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the risk of prostate cancer
http://ajcn.nutritio[...]
2009-05
[58]
웹인용
Metabolism in plants to produce healthier food oils (slide #4)
http://www.metabolic[...]
2007-01-11
[59]
웹인용
Ban on trans fat could benefit Iowa
http://www.truthabou[...]
2007-01-03
[60]
웹인용
ADM to process Monsanto's Vistive low linolenic soybeans at Indiana facility
http://www.monsanto.[...]
2007-01-06
[61]
웹인용
Metabolism in plants to produce healthier food oils
http://www.metabolic[...]
2007-01-11
[62]
Systematic review
α-Linolenic acid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12
[63]
OrgSynth
Linolenic acid
[64]
저널
Zur kenntnis der linolensäure und des leinöls
https://zenodo.org/r[...]
[65]
저널
The identification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66]
저널
Direct preparation of (Z,Z)-1,4-dienic units with a new C6 homologating agent: synthesis of alpha-linolenic ac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