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코사헥사엔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뇌와 망막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으로, 신경 세포막을 구성하고 신경 신호 전달 및 세포막 유동성 유지에 기여한다. DHA는 식이 섭취 또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으로부터 생합성되며,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지만 EPA는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 DHA는 심혈관 건강, 인지 기능, 정신 건강, 임신 및 수유 중인 여성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식이 보충제 및 특정 해산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DHA는 또한 공업적으로 생산되어 식품 및 보충제로 사용된다.

2. 중추신경계의 구성 성분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뇌와 망막에서 가장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이다.[93][14][31] DHA는 불포화도가 매우 높아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의 다불포화 지방산(PUFA) 중 40%, 망막의 다불포화 지방산 중 60%를 차지하며,[93][15] 뉴런의 세포막 중량의 약 50%를 구성하는 핵심 성분이다.[93][15]

DHA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한다. 콜린, 글리신, 타우린과 같은 물질의 운반체 매개 수송을 돕고, 지연 정류 칼륨 통로의 기능을 조절하며, 시냅스 소포로돕신의 반응에도 관여한다.[94][16][17] 또한, DHA 함량이 높은 포스파티딜세린(PS)은 신경 신호 전달 및 신경 전달 물질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4]

뇌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DHA가 부족하거나 그 수치가 낮아지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지력 감퇴와의 관련성이 보고되었으며,[95][14][18] DHA 수치 저하는 신경 세포포스파티딜세린 감소로 이어져 세포 자살을 조절하는 능력을 약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신경 세포의 사멸을 증가시킬 수 있다.[96] 심한 우울증을 겪는 환자의 뇌 조직에서는 DHA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기도 했다.[97][98][19][20]

DHA는 뇌 내에 가장 풍부한 장쇄 불포화 지방산으로,[61]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 뇌 조직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63] 이는 EPA 등 다른 오메가-3 지방산과는 구별되는 특징일 수 있으며,[63] 특정 지방산들은 DHA의 뇌 내 흡수를 방해할 수도 있다.[64]

3. 대사 합성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다양한 생물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합성된다.

인간의 경우, 주로 식이를 통해 DHA를 얻지만, 체내에서 α-리놀렌산이나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ω-3)으로부터 대사 중간생성물도코사펜타엔산(DPA, 22:5 ω-3)을 거쳐 소량 전환될 수도 있다.[85][86][57] 과거에는 EPA가 24탄소 중간체를 거쳐 퍼옥시좀에서 β 산화를 통해 DHA로 전환된다는 '스프레처 션트(Sprecher's shunt)' 가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졌으나[99][100], 현재는 DPA에서 직접 Δ4-불포화효소(FADS2)에 의해 DHA가 생성되는 경로가 주된 것으로 밝혀졌다.[22]

미세조류, 이끼, 균류와 같은 생물에서는 α-리놀렌산을 출발 물질로 하여, 여러 종류의 불포화효소와 신장효소가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일련의 반응을 통해 DHA를 합성한다.[101]

해양 생태계에서는 ''스키조키트리움''(Schizochytrium)과 같은 라비린투라류 미생물이 DHA를 생산하며, 이것이 먹이 사슬을 통해 등푸른 생선 등 다른 생물에 농축된다.

3. 1. 호기성 진핵생물 경로

미세조류, 이끼, 균류와 같은 호기성 진핵생물 및 일부 동물에서는 불포화효소와 신장효소의 순차적인 작용을 통해 도코사헥사엔산(DHA)을 생합성한다. 이 경로는 여러 탈포화 반응과 연장 반응으로 구성되며, 원래 ''Thraustochytrium''이라는 미세조류에서 확인되었다.[21] 이 경로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101][21]

# α-리놀렌산(ALA, 18:3 ω-3)의 6번 탄소 위치에서 Δ6-불포화효소가 작용하여 스테아리돈산(SDA, 18:4 ω-3)을 생성한다.

# 스테아리돈산이 Δ6-신장효소에 의해 탄소 사슬이 길어져 에이코사테트라엔산(ETA, 20:4 ω-3)이 된다.

# 에이코사테트라엔산의 5번 탄소 위치에서 Δ5-불포화효소가 작용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ω-3)을 생성한다.

# 에이코사펜타엔산이 Δ5-신장효소에 의해 탄소 사슬이 길어져 도코사펜타엔산(DPA, 22:5 ω-3)이 된다.

# 도코사펜타엔산의 4번 탄소 위치에서 Δ4-불포화효소가 작용하여 최종적으로 도코사헥사엔산(DHA, 22:6 ω-3)을 생성한다.

필수 지방산의 대사 경로와 에이코사노이드 형성. α-리놀렌산에서 시작하여 DHA가 합성되는 경로를 포함한다.

3. 2. 포유류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식이를 통해 도코사헥사엔산(DHA)을 섭취하거나, 체내에서 α-리놀렌산을 원료로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나 DHA를 생합성할 수 있다. 다만, 동물에서 α-리놀렌산으로부터 EPA나 DHA로 전환되는 비율은 일반적으로 10-15% 정도로 낮은 편이다.[57]

인간에서 DHA 합성은 주로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ω-3)으로부터 엘롱게이즈(elongase)에 의해 탄소 사슬이 2개 증가하여 도코사펜타엔산(DPA, 22:5 ω-3)이 생성된 후, Δ4-불포화 효소(desaturase)에 의해 수소가 제거되어 DHA가 생성되는 경로를 따른다.[85][86] 2015년, 인간의 FADS2 유전자가 Δ4-불포화효소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22], 인간 역시 미세조류, 이끼, 균류 등 다른 진핵생물과 유사하게 EPA에서 DPA로의 Δ5-신장(elongation)과 DPA에서 DHA로의 Δ4-불포화(desaturation) 과정을 포함하는 전체 '호기성 진핵생물 경로'를 따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21][22] 이 경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에이코사펜타엔산(EPA, 20:5 ω-3)이 Δ5-신장효소에 의해 신장되어 도코사펜타엔산(DPA, 22:5 ω-3) 생성

# 도코사펜타엔산(DPA, 22:5 ω-3)의 4번째 탄소에서 Δ4-불포화효소(FADS2)에 의한 불포화 반응으로 도코사헥사엔산(DHA, 22:6 ω-3) 생성

과거에는 '스프레처 션트(Sprecher's shunt)'라는 다른 경로가 주요 합성 경로로 여겨졌다.[99][100] 이 가설은 1991년에 제안되었으며[23], EPA가 미토콘드리아 또는 퍼옥시좀 내에서 두 차례 신장되어 24:5 ω-3 지방산이 되고, 이후 Δ6-불포화 효소에 의해 24:6 ω-3으로 불포화된 다음, β 산화 과정을 통해 DHA(22:6 ω-3)로 짧아진다고 설명했다.[23][24] 스프레처 션트 가설은 오랫동안 포유류에서 Δ4-불포화효소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한동안 받아들여졌었다.[23][24] 그러나 β 산화 과정에 결함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DHA 합성 문제가 나타나지 않는 등 임상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22] 결국 Δ4-불포화효소(FADS2)의 발견으로 스프레처 션트 가설은 현재 받아들여지지 않는 낡은 모델이 되었다.[22]

3. 3. 혐기성 경로

등푸른 생선 및 기타 생물에 포함된 DHA의 대부분은, 라비린투라류의 1속인, ''스키조키트리움''(Schizochytrium) 등과 같은 해산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것이 먹이 사슬 과정에서 농축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4. 물질대사

도코사헥사엔산(DHA)은 체내에서 다양한 물질로 대사될 수 있다. 주요 대사 산물로는 염증해소촉진 전달자(SPM), 도코사헥사엔산 에폭사이드, 도코사헥사엔산의 친전자성 옥소-유도체(EFOX), 뉴로프로스테인, 에탄올아민, 아실글리세롤, 아미노산이나 신경전달물질의 도코사헥사엔오일 아마이드, 하이드록시 지방산의 분지형 도코사헥사엔산 에스터 등이 있다.[102][25]

사이토크롬 P450 계열 효소인 CYP2C9는 DHA를 에폭시도코사펜타엔산(EDP)으로 대사하는데, 주로 19,20-에폭시에이코사펜타엔산 이성질체가 생성된다.[103][26]

인간을 포함한 많은 동물은 α-리놀렌산을 원료로 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나 DHA를 생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α-리놀렌산에서 EPA나 DHA로 변환되는 비율은 10-15% 정도로 낮은 편이다.[57] 체내 DHA 생합성 경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알려져 있다.[58]

1. 직접 불포화 경로: 에이코사펜타엔산(20:5, ω-3)을 원료로 시작한다. 먼저 엘롱게이즈 효소 작용으로 탄소 사슬이 2개 늘어나 도코사펜타엔산(22:5 ω-3)이 생성된다. 이후 Δ4-불포화 효소에 의해 수소 원자가 제거되면서 이중 결합이 형성되어 DHA(22:6 ω-3)가 만들어진다.

2. Sprecher's shunt 경로: 이 경로는 페록시좀 또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에이코사펜타엔산에서 출발하여 엘롱게이즈에 의해 탄소 사슬이 두 번(총 4개) 늘어나 테트라코사펜타엔산(24:5 ω-3)이 된다. 다음으로 Δ6-불포화 효소에 의해 불포화되어 테트라코사헥사엔산(24:6 ω-3)이 생성된 후, β 산화 과정을 통해 탄소 사슬 일부가 잘려나가 최종적으로 DHA가 생성된다.

자연계에서 등푸른 생선생물에 포함된 DHA의 대부분은 직접 생산된 것이 아니라, 라비린툴라류에 속하는 '''''Schizochytrium''''' 속과 같은 해양 미생물이 생산한 DHA가 먹이 사슬을 통해 농축된 것이다.

5. 건강에 대한 잠재적 영향

도코사헥사엔산(DHA)은 체내에서 직접 합성할 수 없는 α-리놀렌산을 원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필수 지방산으로 간주된다[69]。 DHA는 특정 신체 부위에 많이 분포하는데, 특히 뇌의 회색질, 망막, 신경, 심장, 정자, 모유 등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52]。 반면 혈액이나 지방 조직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존재한다[52]。 식품 중에서는 고등어, 정어리, 꽁치와 같은 등푸른 생선의 어유에 많이 들어있다. 과거 한국인은 생선 섭취를 통해 DHA를 비교적 많이 섭취했으나, 최근 식습관 변화로 섭취량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55]

DHA의 생리 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되었다[55]。 특히 1980년대 후반, 정제 순도가 낮았던 시기의 DHA를 이용한 초기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건강 효과 가능성이 보고되었으나[55], 이들 중 일부는 아직 작용 원리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55][65]


  • 학습 기능 향상 작용 (기억 개선, 건뇌 작용)
  • 항암 작용 (특히 유방암, 대장암, 폐암 등)
  • 혈중 지질 저하 작용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66]
  • 망막 반사능 향상 작용 (시력 저하 억제)
  • 혈압 강하 작용
  • 항혈전 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 항알레르기 작용
  • 항염증 작용
  • 항당뇨 작용 (혈당치 저하)


일부 연구에서는 DHA 부족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쳐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했으며[66], 알츠하이머병과의 연관성도 연구되었으나[67][68], 알츠하이머병 증상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 결과가 있다[61]

오메가-3 지방산인 DHA를 단독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만으로는 특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오메가-6 지방산과의 섭취 균형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상적인 섭취 비율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69]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DHA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함께 식품 첨가물, 양식 사료[53], 건강기능식품[54]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55][56]

5. 1. 심혈관 건강

오메가-3 지방산의 건강 효과도 참조하라.

여러 연구 방법의 일관성 부족이라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생태학적 연구, 무작위 대조 시험(RCT), 메타 분석, 동물 실험 등을 통해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심혈관 건강에 이롭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1][13] n−3 지방산 중, DHA는 심근에서의 우선적인 섭취, 강력한 항염증 작용, 신경보호물질 및 레졸빈으로의 대사를 통해 가장 유익하다고 여겨진다. 레졸빈은 심장 기능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27]

DHA는 심혈관 보호 역할과 관상동맥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 DHA 보충은 고밀도 지단백질(‘좋은 콜레스테롤’)을 개선하고,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28]

5. 2. 신경학적 연구 (인지 기능 및 정신 건강)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하여, 18개월간 402명의 경증에서 중등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는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정신 기능 저하를 늦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4]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도 보고되었다. 6개월간 485명의 경미한 기억 감퇴를 겪는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는 하루 900mg의 DHA(조류 유래) 섭취가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기억 및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05]

중년 성인의 경우, 높은 DHA 수치는 비언어적 추론 능력, 정신적 유연성, 작업 기억력, 어휘력 테스트에서 더 나은 성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06]

정신 건강 측면에서는 연구 결과가 다소 엇갈린다. 일부 연구에서는 DHA가 풍부한 생선기름 보충제가 산모의 산후우울증을 줄이거나 자녀의 인지 및 언어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보고했다.[107] 반면, 2017년의 예비 연구에서는 생선기름 보충제가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DHA 수치의 중요성과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109] 또한 심한 우울증 환자의 뇌 조직에서는 DHA 수치가 감소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9][20]

DHA는 뇌와 망막에서 가장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으로,[14] 뇌 다불포화 지방산(PUFA)의 40%, 망막 PUFA의 60%를 차지한다.[15] 뉴런 세포막의 약 50%가 DHA로 구성되어 있으며,[15]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DHA는 신경 신호 전달 및 신경 전달 물질 합성에 관여하는 포스파티딜세린(PS)의 주요 구성 성분이기도 하다.[14] 따라서 DHA 결핍은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될 수 있다.[14][18] DHA는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나,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등 다른 ω-3 지방산은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3]

5. 3. 임신과 수유

임신을 계획하거나 수유 중인 여성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110][29] 국제 지방산 및 지질 연구 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Fatty Acids and Lipids, ISSFAL)의 실무 그룹은 임산부와 수유부에게 하루 300mg의 도코사헥사엔산(DHA) 섭취를 권장했다.[111][30]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여성들의 평균 섭취량은 하루 45mg에서 115mg 사이로, 이는 캐나다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111]

이러한 권장 사항에도 불구하고, 최근 무작위 대조 시험 결과에 따르면 임신 중 하루 800mg의 DHA 보충제를 섭취한 그룹과 위약을 섭취한 그룹 간에 7년 후 자녀의 인지 능력 발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112]

5. 4. 뇌와 시각 기능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망막에서 가장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이다.[14][31] DHA는 뇌 다불포화 지방산(PUFA)의 40%, 망막 PUFA의 60%를 차지하며, 뉴런 세포막 중량의 50%를 구성한다.[15][93] 특히 회색질을 구성하는 세포막에 풍부하게 존재한다.[113][114]

뇌 기능과 시력은 DHA의 식이 섭취에 의존한다.[113][114][32][33] DHA는 세포막의 유동성 유지에 기여하는데,[61] 이는 DHA가 가진 많은 이중 결합으로 인해 인지질 간 상호작용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DHA는 콜린, 글리신, 타우린의 운반체 매개 수송, 지연 칼륨 통로의 기능, 시냅스 소포에 포함된 로돕신의 반응 등을 조절한다.[16][17][94]

DHA 함량이 높은 포스파티딜세린(PS)은 신경 신호 전달 및 신경 전달 물질 합성에 관여하며,[14] DHA 결핍은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14][18][95] 낮은 DHA 수치는 신경세포의 포스파티딜세린 수치를 낮춰 세포 자살을 조절하는 능력을 약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신경 세포의 사멸을 증가시킬 수 있다.[96] 또한, 심한 우울증 환자의 뇌 조직에서는 DHA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20][97][98] 이러한 역할 때문에 DHA는 신경 발생, 인지 및 신경퇴행성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필수 영양소 후보로 연구되고 있다.[113]

DHA는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을 포함한 다른 ω-3 지방산은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3] 이는 뇌 인지질에 DHA를 섭취시키면 뇌 내 DHA 비율이 증가하지만, EPA나 DPA 섭취는 뇌 인지질 조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동물 실험 결과에 근거한다.[63] 또한, 특정 지방산 선택적인 수송 기구를 통해 DHA가 뇌로 섭취될 가능성이 있으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EPA 등은 DHA 섭취를 억제할 수 있다.[64]

시각 기능과 관련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에 따르면 DHA는 망막 색소 변성증 환자의 시야 개선에 유의미한 이점을 보이지 않았다.[34] 그러나 동물 연구에서는 중수소 강화 DHA(D-DHA)의 경구 섭취가 황반 변성 예방에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35]

5. 5. 천식

오메가-3 다불포화지방산(PUFA), 예를 들어 도코사헥사엔산(DHA)과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은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36]

6. 영양

조류 기반의 도코사헥사엔산(DHA) 식이 보충제


도코사헥사엔산(DHA)은 특정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리된 연어는 100g 당 500~1,500 mg의 DHA와 300~1,000 mg의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을 함유하고 있다.[117][37] DHA가 풍부하게 함유된 다른 해산물로는 캐비어(100 g 당 3,400 mg), 멸치(100 g 당 1,292 mg), 고등어(100 g 당 1,195 mg), 조리된 청어(100 g 당 1,105 mg) 등이 있다.[117][37]

식용으로 사용되는 포유류의 뇌 역시 DHA의 좋은 직접 공급원이다. 예를 들어 는 100g 당 약 855 mg의 DHA를 함유하고 있다.[118][38] DHA는 뇌와 같은 특정 조직에서 주요 지방산이지만, 뇌를 제외한 다른 동물성 식품 공급원에서는 미리 형성된 DHA 함량이 일반적으로 낮다.[39]

인간은 체내에서 α-리놀렌산을 원료로 DHA를 생합성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의미에서 DHA는 필수 지방산으로 간주되기도 한다.[69] 하지만 체내에서 α-리놀렌산이 EPA나 DHA로 변환되는 비율은 10~15% 정도로 낮다.[57] 동물 조직 내 DHA는 혈액이나 지방 조직에는 적게 분포하며, 주로 뇌의 회백질, 망막, 신경, 심장, 정자, 모유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52]

식품에서는 고등어, 정어리, 꽁치와 같은 등푸른 생선의 어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55] 자연계에서 등푸른 생선 및 기타 생물에 포함된 DHA의 대부분은 라비린투라류의 ''Schizochytrium''속과 같은 해산 미생물이 생산한 것이 먹이 사슬을 통해 생물 농축된 결과이다.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2010년판)에서는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합하여 하루 총 1g 이상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59] 어유 식품을 비롯하여 대구, 청어, 고등어, 연어, 정어리, 남극 크릴 등은 EPA 및 DHA와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 공급원이다. 다만, 하루 3g 이상의 DHA를 섭취할 경우 혈액 응고 능력이 저하되어 출혈 경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다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60]

어패류 100g당 주요 지방산 함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어패류의 지방산'''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식이 보충제

도코사헥사엔산(DHA)은 식이 보충제로 널리 사용된다.[120][41] 초기에는 주로 영아용 조제분유에 첨가되어 사용되었다.[120][41]

1980년대 초,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장기간의 우주 비행을 위한 식물 기반 식품 공급원 연구를 후원했다. 이 연구 과정에서 특정 종류의 해조류가 DHA와 아라키돈산을 함유한 식물성 기름을 풍부하게 생산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는 조류 기반 DHA 개발로 이어졌다.[119]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DHA에 대한 자격을 갖춘 건강 강조 표시(health claim)를 발표했다.[121][42]

제조된 DHA 중 일부는 조류에서 추출하여 채식주의자를 위한 제품으로 판매된다.[122][43] 이러한 조류 기반 DHA 제품은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같은 다른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한 어유(생선기름) 제품과 시장에서 경쟁한다.[122][43] 어유와 조류 기반 DHA는 모두 식품 첨가물로 가공된 후에는 특별한 냄새나 맛이 없다.[122][43]

DHA는 건강 보조 식품[54] 뿐만 아니라 식품 첨가물[55], 양식 사료[53]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56]

6. 2. 채식주의자와 비건

채식주의자의 식단은 일반적으로 일부 제한된 양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포함하고 있으며, 비건의 식단은 일반적으로 DHA를 포함하지 않는다.[123][44] 예비 연구에 따르면 조류 기반의 식이 보충제는 DHA 수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24][45]

성인 채식주의자나 비건의 경우, DHA 결핍으로 인한 건강이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 하지만 모유를 통해 성장 중인 영아에게 충분한 양의 DHA를 공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23][44]

6. 3. 생선기름의 DHA와 EPA

생선기름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 도코사헥사엔산(DHA)를 포함한 오메가-3 지방산의 혼합물을 함유한 캡슐제 형태로 널리 판매된다. 보충제 캡슐의 생선기름이 산화되면 EPA 및 DHA 함량이 낮아질 수 있다.[125][126][46][47] 빛, 산소 노출, 열은 모두 생선기름 보충제의 산화를 촉진할 수 있다.[125][126][46][47] 산화를 최소화하려면 품질이 좋고 냉장 보관된 제품을 구입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127][48]

6. 4. 어린이의 DHA 일일 권장 섭취량

최적의 DHA 수치는 발달과 성숙에 중요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DHA 섭취에 대한 일일 권장량이 정해져 있다.[1]

아래 표는 다양한 연령대의 어린이에게 권장되는 DHA / DHA + EPA 일일 섭취량을 보여준다.

PUFA나이 (세)권장 일일 섭취량
DHA1−210 – 12 mg/kg/일
DHA + EPA2−4100 – 150 mg/일
4−6150 – 200 mg/일
6−10200 – 250 mg/일


7. 인류 진화에서 DHA의 역할에 대한 가설

일부 연구자들은 인류가 육상에서 얻는 음식만으로도 필요한 양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었다고 본다.[128]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해산물에 풍부한 DHA가 인류의 큰 뇌가 발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29]

8. 우울증과 지방산에 대한 논의

20세기에 들어 우울증이 증가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ω-6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식물성 기름 섭취 증가와의 관련성을 지적하는 의견[73]이 있다[74]。일본의 경우, 환자 수 증가는 고령화나 우울증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인한 진료율 증가가 원인으로 꼽히기도 하지만[75], 명확한 해명은 부족한 상태이다[74][76]。ω-3 지방산 섭취가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일본 내 연구 근거는 아직 부족하다[77]

우울증 환자의 경우, ω-6 지방산에서 아라키돈산을 거쳐 생성되는 염증성 생리 활성 물질인 에이코사노이드의 수치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8][79]。또한, 건강한 사람과 비교했을 때 우울증 환자는 ω-3 지방산의 체내 축적량이 유의미하게 낮고, ω-6 지방산과 ω-3 지방산의 비율은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이 지적된다[57]

한편, 해산물을 많이 섭취하는 지역일수록 모유DHA 함량이 높고, 산후우울증 유병률은 낮다는 보고가 있다.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ω-3 지방산이 전달되면서 산모에게는 ω-3 지방산 부족 위험이 커질 수 있으며, 이는 산후우울증 발병 위험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57]

9. 공업적 생산

도코사헥사엔산(DHA)은 인공적으로 합성되지 않으며, 고도 불포화 지방산(PUFA)을 많이 함유한 어유, 참치 안와유, 유글레나 등을 원료로 하여 분리 및 정제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검토되어 왔으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70]

# PUFA를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 효소에 의한 선택적 가수 분해

#* 효소에 의한 선택적 에스테르화[71]

#* 은 착체 형성

#* 요소 포접 형성

#* 요오드 락톤화

# PUFA 자체의 물성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 증류 (정밀 증류, 분자 증류)

#* 용매 저온 분별

#* 저온 분별 결정화

# PUFA와 매체 간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 크로마토그래피

#* 막 분리 추출 (액-액 분배)

#* 초임계 이산화탄소[72]

특정 성분만을 고효율, 고농도로 분리 추출하는 기술 개발도 이루어졌다. 성분의 변질이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 환경에서 분리 추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mega-3 fatty acids https://ods.od.nih.g[...]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3-02-15
[2] 논문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the developing central nervous system (CNS) - Implications for dietary recommendations
[3] 논문 Docosahexaenoic acid (Review) https://karger.com/a[...] 2016
[4] 논문 Health benefits of docosahexaenoic acid (DHA) 1999
[5] 논문 Docosahexaenoic acid and the brain- what is its role? https://apjcn.nhri.o[...] 2019
[6] 웹사이트 Dictionary - Definition of DocosahexaenoicAcids http://www.websters-[...]
[7] 문서
[8] 논문 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eicosapentaenoic, do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in young women
[9] 논문 Eicosapentaenoic and docosapentaenoic acids are the principal products of α-linolenic acid metabolism in young men
[10] 논문 The Systems Theory of Autistogenesis: Putting the Pieces Together
[11] 논문 Docosahexaenoic acid concentrations a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because of estrogenic effects
[12] 논문 Omega-3 fatty acids' supplementation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https://www.tandfonl[...] 2018-10
[13] 논문 Marine Omega-3 (N-3) Fatty Acids for Cardiovascular Health: An Update for 2020 2020
[14] 논문 Phosphatidylserine in the brain: Metabolism and function
[15] 논문 Essential fatty acids, DHA and the human brain http://medind.nic.in[...] 2005-03
[16] 논문 Discovery of essential fatty acids
[17] 논문 Essentiality of fatty acids
[18] 논문 A role for docosahexaenoic acid-derived neuroprotectin D1 in neural cell survival and Alzheimer disease 2005-10
[19] 논문 Selective deficits in the omega-3 fatty acid docosahexaenoic acid in the postmortem orbitofrontal cortex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20] 논문 Lower docosahexaenoic acid concentrations in the postmortem prefrontal cortex of adult depressed suicide victims compared with controls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
[21] 논문 Biosynthesis of docosahexaenoic acid (DHA, 22:6-4, 7,10,13,16,19): two distinct pathways 2003-02-01
[22] 논문 The fatty acid desaturase 2 (FADS2) gene product catalyzes Δ4 desaturation to yield n-3 docosahexaenoic acid and n-6 docosapentaenoic acid in human cells. 2015-09
[23] 논문 n-3 Fatty acids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 biological background 2001-06
[24] 논문 The metabolism of 7,10,13,16,19-docosapentaenoic acid to 4,7,10,13,16,19-docosahexaenoic acid in rat liver is independent of a 4-desaturase http://www.jbc.org/c[...] 1991-10
[25] 논문 Bioactive metabolites of docosahexaenoic acid 2017
[26] 논문 CYP-eicosanoids--a new link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cardiac disease? 2011-11
[27] 논문 Cardiac physiology and clinical efficacy of dietary fish oil clarified through cellular mechanisms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https://ro.uow.edu.a[...] 2014
[28] 논문 Health benefits of docosahexaenoic acid (DHA) https://pubmed.ncbi.[...] 1999
[29] 웹사이트 Omega-3 Fatty Acids: An Essential Contribution http://www.hsph.harv[...] 2012-09-18
[30] 논문 Directly quantitated dietary (n-3) fatty acid intakes of pregnant Canadian women are lower than current dietary recommendations http://jn.nutrition.[...]
[31] 논문 Nutrition for the brain: commentary on the article by Isaacs et al. on page 308 http://surfer.nmr.mg[...] 2008-03
[32] 논문 Beyond building better brains: bridging the docosahexaenoic acid (DHA) gap of prematurity 2015-01
[33] 논문 The role of omega-3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of the retina 2005-01
[34] 논문 Vitamin A and fish oils for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retinitis pigmentosa 2020-06-18
[35] 논문 Heavy lipids protect against heavy metals 2022
[36] 논문 Role of omega-3 fatty acids and their metabolites in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2015
[37] 웹사이트 EPA and DHA Content of Fish Species. Appendix G2 http://www.health.go[...]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5
[38] 웹사이트 Beef, variety meats and by-products, brain, cooked, simmered http://nutritiondata[...] 2011-10-27
[39] 논문 Docosahexaenoic acid and human brain development: Evidence that a dietary supply is needed for optimal development https://doi.org/10.1[...] 2014
[40] 웹사이트 Nutritional Products from Space Research http://www.sti.nasa.[...] NASA
[41] 웹사이트 FDA: Why is there interest in adding DHA and ARA to infant formulas? https://www.fda.gov/[...]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07-01
[42] 웹사이트 FDA Announces New Qualified Health Claims for EPA and DHA Omega-3 Consumption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9-06-19
[43] 뉴스 Magical or Overrated? A Food Additive in a Swirl https://www.nytimes.[...] 2007-01-14
[44] 논문 DHA status of vegetarians
[45] 논문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uses of vegetarian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46] 논문 Fish oil supplements in New Zealand are highly oxidised and do not meet label content of n-3 PUFA release 2015-01-21
[47] 논문 Oxidation of Marine Omega-3 Supplements and Human Health 2013
[48] 논문 Long chain omega-3 dietary supplements: a review of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erbal Supplement Database 2011-08-01
[49] Drug Bank Drug Bank https://www.drugbank[...]
[50] 논문 Imaging incorporation of circulating docosahexaenoic acid into the human brain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51] 논문 Docosahexaenoic Acid and Cognition throughout the Lifespan
[52] 간행물 도코사헥사엔산 함유 인지질의 분자 구조와 생리 기능 https://doi.org/10.5[...]
[53] 간행물 알테미아 섭취기에 있어서 톱 가자미 유생에의 EPA와 DHA의 급여 적정량 https://doi.org/10.2[...]
[54] 간행물 여자 단대생(영양사 전공)의 영양 보조 식품(보충제) 이용과 영양・식물 섭취 상황에 대해서 2004-04-01
[55] 간행물 도코사헥사엔산의 생리 활성 https://doi.org/10.5[...]
[56] 간행물 오메가3 지방산의 건강 식품・보충제로서의 실태와 이용법 https://hdl.handle.n[...]
[57] 간행물 Omega-3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섭취와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적 검토-최근 연구 동향의 리뷰를 중심으로
[58] PDF n-3 지방산과 염증 반응 - 생물학적 배경 http://eurheartjsupp[...]
[59] 웹사이트 脂質 https://www.mhlw.go.[...]
[60] 논문 Analysi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blood serum after fish oil administration
[61] 논문 Docosahexaenoic acid supplementation and cognitive decline in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trial
[62] 간행물 Metabolic Disposition of Ethyl Eicosapentaenoate and Its Metabolites in Rats and Dogs
[63] 학위논문 라트에서 n-3 및 n-6 계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생리 작용에 관한 연구 https://hdl.handle.n[...]
[64] 연구 健全な神経発達の為に新生児の血液脳関門がもつ機能性脂質供給ルート解明と投与設計
[65] 간행물 n-3 계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각종 병태에 대한 유용성 검토 https://doi.org/10.1[...]
[66] 논문 Omega-3 fatty acids in ADHD and relat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67] 논문 Impact of different saturated fatty acid,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cholesterol containing diets on beta-amyloid accumulation in APP/PS1 transgenic mice
[68] 논문 Nutrition in brain development and aging: role of essential fatty acids
[69] 간행물 必须脂肪酸밸런스와 생체기능―서설 https://doi.org/10.4[...]
[70] 간행물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고도 정제 기술 https://doi.org/10.5[...]
[71] 논문 ドコサヘキサエン酸 (DHA) https://doi.org/10.5[...]
[72] 논문 超臨界二酸化炭素によるイカ内臓からのドコサヘキサエン酸 (DHA) の選択的抽出分離 https://doi.org/10.1[...]
[73] 간행물 脂肪酸と自律神経:視点を変えて食を考える
[74] 논문 Omega-3 多価不飽和脂肪酸の摂取とうつを中心とした精神的健康との関連性について探索的検討-最近の研究動向のレビューを中心に http://id.nii.ac.jp/[...] 2009-03-01
[75] 웹사이트 うつ病の患者さんは増加しているのでしょうか? うつ病Q & A http://www.secretari[...]
[76] 논문 【原著論文】大学生の心理的ストレスへの応答における食事によるn-6/n-3系多価不飽和脂肪酸の摂取比率の影響 https://doi.org/10.1[...]
[77] 웹사이트 日本うつ病学会治療ガイドライン. II.大うつ病性障害 2012 Ver.1. 平成24年7月26日 http://www.secretari[...] 2012-07-26
[78] 저널 The macrophage theory of depression
[79] 저널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depression: when cholesterol does not satisfy
[80] 저널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the developing central nervous system (CNS) - Implications for dietary recommendations
[8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websters-[...] 2012-04-21
[82] 문서
[83] 웹인용 History of Martek http://aboutmartek.m[...] 2007-04-05
[84] 웹인용 Martek Products http://aboutmartek.m[...] 2008-07-29
[85] 저널 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eicosapentaenoic, do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in young women
[86] 저널 Eicosapentaenoic and docosapentaenoic acids are the principal products of α-linolenic acid metabolism in young men
[87] 저널 The Systems Theory of Autistogenesis: Putting the Pieces Together
[88] 저널 Docosahexaenoic acid concentrations a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because of estrogenic effects
[89] 저널 ω-3 fatty acids in the prevention of cognitive decline in humans
[90] 뉴스 Inuit Study Adds Twist to Omega-3 Fatty Acids’ Health Story https://www.nytimes.[...] 2015-09-17
[91] 뉴스 Fish Oil Claims Not Supported by Research http://well.blogs.ny[...] 2015-03-30
[92] 저널 Clinical Trial Evidence and Use of Fish Oil Supplements 2014-03
[93] 저널 Essential Fatty Acids, DHA and the Human Brain https://web.archive.[...] 2005-03
[94] 저널 Essentiality of Fatty Acids http://www.springerl[...]
[95] 저널 A role for docosahexaenoic acid-derived neuroprotectin D1 in neural cell survival and Alzheimer disease 2005-10
[96] 저널 Resolvins, docosatrienes, and neuroprotectins, novel omega-3-derived mediators, and their aspirin-triggered endogenous epimers: an overview of their protective roles in catabasis
[97] 저널 Selective deficits in the omega-3 fatty acid docosahexaenoic acid in the postmortem orbitofrontal cortex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98] 저널 Lower docosahexaenoic acid concentrations in the postmortem prefrontal cortex of adult depressed suicide victims compared with controls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
[99] 저널 n-3 Fatty acids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 biological background 2001-06
[100] 저널 The metabolism of 7,10,13,16,19-docosapentaenoic acid to 4,7,10,13,16,19-docosahexaenoic acid in rat liver is independent of a 4-desaturase http://www.jbc.org/c[...] 1991-10
[101] 저널 Biosynthesis of docosahexaenoic acid (DHA, 22:6-4, 7,10,13,16,19): two distinct pathways 2003-02-01
[102] 저널 Bioactive metabolites of docosahexaenoic acid 2017
[103] 저널 CYP-eicosanoids--a new link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cardiac disease? 2011-11
[104] 저널 Docosahexaenoic acid supplementation and cognitive decline in Alzheimer disease: a randomized trial 2010-11
[105] 저널 Beneficial effects of docosahexaenoic acid on cognition in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106] 저널 Serum Phospholipid Docosahexaenonic Acid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ing during Middle Adulthood http://jn.nutrition.[...]
[107] 저널 Effect of DHA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depression and neuro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08] 저널 Vitamin A and fish oils for retinitis pigmentosa 2013
[109] 저널 Lipid correlates of antidepressant response to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A pilot study
[110] 웹인용 Omega-3 Fatty Acids: An Essential Contribution http://www.hsph.harv[...] 2015-06-12
[111] 저널 Directly quantitated dietary (n-3) fatty acid intakes of pregnant Canadian women are lower than current dietary recommendations http://jn.nutrition.[...]
[112] 저널 Seven-Year Follow-up of Children Born to Women in a Randomized Trial of Prenatal DHA Supplementation http://jamanetwork.c[...] 2017-03-21
[113] 저널 Docosahexaenoic acid (DHA): an ancient nutrient for the modern human brain 2011-05
[114] 저널 Beyond building better brains: bridging the docosahexaenoic acid (DHA) gap of prematurity 2015-01
[115] 저널 Nutrition for the brain: commentary on the article by Isaacs et al. on page 308 http://surfer.nmr.mg[...] 2008-03
[116] 저널 DHA supplementation decreases serum C-reactive protein and other markers of inflammation in hypertriglyceridemic men 2009-03
[117] 웹인용 EPA and DHA Content of Fish Species. Appendix G2 http://www.health.go[...]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09-15
[118] 웹인용 Beef, variety meats and by-products, brain, cooked, simmered http://nutritiondata[...] 2011-10-27
[119] 웹인용 Nutritional Products from Space Research http://www.sti.nasa.[...] NASA 2019-10-18
[120] 웹인용 FDA: Why is there interest in adding DHA and ARA to infant formulas? http://www.fda.gov/F[...]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07-01
[121] 웹인용 FDA Announces New Qualified Health Claims for EPA and DHA Omega-3 Consumption and the Risk of Hypertens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9-08-30
[122] 뉴스 Magical or Overrated? A Food Additive in a Swirl https://www.nytimes.[...] 2007-01-15
[123] 저널 DHA status of vegetarians
[124] 저널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uses of vegetarian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125] 저널 Fish oil supplements in New Zealand are highly oxidised and do not meet label content of n-3 PUFA release 2015-01-21
[126] 저널 Oxidation of Marine Omega-3 Supplements and Human Health 2013
[127] 저널 Long chain omega-3 dietary supplements: a review of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erbal Supplement Database 2011-08-01
[128] 저널 Docosahexaenoic acid biosynthesis and dietary contingency: Encephalization without aquatic constraint
[129] 저널 Evidence for the unique fun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DHA) during the evolution of the modern hominid bra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