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힐랄 S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힐랄 SFC는 1957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에서 19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사우디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평가받는다. 4번의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포함하여, 아시아 클럽 선수권/AFC 챔피언스 리그, 아시안 컵 위너스컵, 아시안 슈퍼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를 제패하며 아시아 최고의 클럽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라이벌로는 알 나스르 FC, 알 이티하드 클럽이 있으며,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힐랄 SFC - 칼리두 쿨리발리
    칼리두 쿨리발리는 세네갈 출신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로, FC 메츠, KRC 헹크, SSC 나폴리를 거쳐 첼시 FC와 알 힐랄 SFC에서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세리에 A 최우수 수비수상을 수상했고, 세네갈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이끌었다.
  • 알힐랄 SFC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은 1987년에 건설된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장으로, 다양한 스포츠 행사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2017년부터 여성의 입장이 허용되었다.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구단 - 알샤바브 FC (리야드)
    알샤바브 FC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47년 이전에 창단되어 사우디 프로 리그에서 6회 우승했으며,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흰색, 회색, 검은색을 팀 컬러로 한다.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구단 - 알나스르 FC
    알나스르 FC는 1955년 창단되어 노란색과 파란색을 팀 색상으로 하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사우디 프로 리그 9회 우승, 아시아 클럽 위너스컵 우승 등 국내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2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영입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 1957년 설립된 축구단 - 세레소 오사카
    세레소 오사카는 1957년 창단되어 J리그에서 활동하며 J리그컵과 천황배 우승을 달성하고, 오사카 더비를 통해 감바 오사카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프로 축구팀이다.
  • 1957년 설립된 축구단 - 브리즈번 로어 FC
    브리즈번 로어 FC는 1957년 창단된 홀란디아 이날라 사커 클럽을 모태로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을 연고로 하는 오스트레일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A리그에서 세 차례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달성했다.
알힐랄 S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클럽 이름알 힐랄 사우디 축구 클럽
별칭알-자임 (리더)
푸른 물결
세기의 클럽
아시아의 갤럭티코
창단1957년 10월 16일
구단주파블릭 인베스트먼트 펀드 (75%)
알 힐랄 비영리 재단 (25%)
회장파하드 빈 나펠
감독조르제 제주스
홈 경기장킹덤 아레나
수용 인원30,000명
리그사우디 프로 리그
현재 시즌2023-24 시즌
최종 순위1위 (우승)
웹사이트알 힐랄 공식 웹사이트
클럽 색상
색상파랑
하양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써드 유니폼

2. 역사

1979년 알힐랄의 호베르투 히벨리누(왼쪽)와 나지브 알이맘(오른쪽)


알힐랄은 1957년 10월 15일 압둘 라만 빈 사드 빈 사이드에 의해 '올림픽 클럽'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이는 당시 알 샤바브 클럽 내부의 분열에서 비롯된 것으로, 빈 사이드는 알 샤바브 회장직 사임 후 새로운 클럽을 만들었다. 창단 1년여 만인 1958년 12월 3일, 사우드 국왕에 의해 현재의 이름인 '알힐랄'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아랍어로 '초승달'을 의미한다.[3]

초창기 팀 구성을 마친 알힐랄은 1961년 킹스컵에서 우승하며 첫 트로피를 들어 올렸고, 1964년에도 다시 킹스컵 정상에 올랐다. 1976년 사우디 프로리그가 출범하자 1976-77 시즌 초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일찍부터 강팀의 면모를 보였다. 1970년대에는 마리우 자갈루 감독, 호베르투 히벨리누와 같은 브라질의 유명 축구인들을 영입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살레 알 누에이메, 유세프 알 투나이얀, 사미 알 자베르 등 자국 스타 선수들을 앞세워 리그 4회, 킹스컵 4회 우승을 차지하며 사우디 국내 무대의 강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준우승을 기록했다.

1990년대는 알힐랄의 아시아 제패 시대로 기록된다. 1991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것을 시작으로, 2000년까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회, 아시안 컵위너스컵 2회(1997, 2002), 아시안 슈퍼컵 2회(1997, 2000) 우승을 휩쓸었다.[4]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09년 IFFHS로부터 '20세기 아시아 최고의 클럽'으로 선정되기도 했다.[24]

21세기에 들어서는 알 이티하드와의 치열한 라이벌 구도 속에서도 리그 우승을 여러 차례 차지하며 국내 최강팀의 지위를 유지했다. 특히 에릭 게레츠 감독이 이끌던 2010-11 시즌에는 무패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시아 무대에서는 한동안 우승과 인연을 맺지 못했다. 2014년과 2017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진출했으나 각각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와 우라와 레즈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5]

2023년 알 힐랄에서 뛰고 있는 세계적인 축구 선수 네이마르


2019년, 라즈반 루체스쿠 감독 체제 하에 마침내 AFC 챔피언스리그 정상에 다시 오르며 19년 만의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 상대는 2년 전 패배를 안겼던 우라와 레즈였다. 이 시즌 알힐랄은 리그와 킹스컵까지 우승하며 트레블을 달성하는 위업을 이루었다. 이후 2021년에도 포항 스틸러스를 꺾고 우승하며 통산 4번째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려 대회 최다 우승팀 기록을 세웠다.

국제 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내, 모로코에서 열린 2022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아시아 클럽 최초로 결승에 진출하여 레알 마드리드와 맞붙어 3-5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23][12]

2023년 6월, 사우디아라비아 공공 투자 기금(PIF)이 클럽 지분 75%를 인수했으며[25], 같은 해 여름 네이마르를 사우디 리그 역대 최고 이적료인 9000만유로(추가 옵션 포함)에 영입하는 등[13][26] 칼리두 쿨리발리, 후벵 네베스,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말콤, 야신 부누,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다.

알힐랄은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최다인 통산 19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리야드를 연고로 하는 알 나스르와의 리야드 더비는 사우디에서 가장 뜨거운 라이벌 경기로 꼽힌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우라와 레즈와 세 차례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에서 맞붙으며 새로운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2. 1. 창단 초기 (1957-1970년대)



알힐랄은 1957년 알 샤바브 클럽 내부의 분열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청소년 클럽(알 샤바브) 회장이었던 압둘 라흐만 빈 사에드는 지도부와의 갈등 끝에 사임했고, 여러 주요 선수들과 함께 클럽을 떠났다. 그는 1957년 10월 15일 리야드에서 새로운 클럽을 창단했는데, 초기 이름은 '''올림픽 클럽'''이었다.

클럽의 이름은 창단 1년여 만에 바뀌었다. 1958년 12월 3일, 당시 사우디 국왕이었던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가 올림픽 클럽, 알 나스르, 알 리야드, 알 카우카브가 참여한 토너먼트를 관람한 후, 현재의 이름인 '''알힐랄'''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힐랄'은 아랍어로 '초승달'을 의미한다. 창단 초기부터 알힐랄은 대중적인 지지와 함께 사우드 왕가의 관심을 받았다.[3]

팀 구성을 마친 알힐랄은 1961년 킹스컵에서 우승하며 구단 역사상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후 1963-64 시즌에는 크라운 프린스 컵에서 우승했고, 1964년에는 알 이티하드와의 승부차기 끝에 다시 한번 킹스컵 우승을 차지했다.

1976년 사우디 프로리그가 공식 출범했고, 알힐랄은 1976-77 시즌의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이어 1978-79 시즌에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초기 리그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알힐랄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브라질의 전설적인 감독 마리우 자갈루와 세계적인 선수 호베르투 히벨리누 등을 영입하며 팀의 위상을 높였다.

2. 2. 1980년대

1970년대 후반 사우디 프로리그 출범 이후 두 차례 우승을 차지한 알힐랄은 1980년대에 새로운 성공 시대를 맞이했다. 이 시기에는 카리스마 넘치는 수비수이자 알힐랄과 사우디아라비아 대표팀의 주장을 맡았던 살레 알 누에이메, 뛰어난 플레이메이커 유세프 알 투나이얀, 젊고 유망한 공격수 사미 알 자베르와 같은 재능 있는 자국 선수들이 팀을 이끌었다.

알힐랄은 1980년대 동안 리그 우승 4회, 국왕컵 우승 4회를 달성했으며, 이 중 두 번은 리그와 국왕컵을 동시에 우승하는 '시즌 더블'을 기록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 대회에서는 최종 라운드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여기서 2위를 기록하며 준우승했다. 1987년 대회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주전 선수 9명이 사우디 대표팀의 훈련 캠프 일정과 결승 1차전 날짜가 겹쳐 차출되면서 경기에 나설 수 없게 되었다. 결국 알힐랄은 결승전에 불참했고, 상대 팀이었던 일본의 요미우리 FC (현 도쿄 베르디)가 자동으로 우승팀이 되었다.

2. 3. 대륙 무대 제패 (1991-2002)

1990년대는 알 샤바브의 등장과 함께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에서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된 시기였다. 또한 전통의 라이벌인 알 나스르와 알 이티하드가 부활하면서 리그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고, 네 팀이 우승을 나누어 가졌다. 이 기간 동안 알힐랄은 세 차례의 리그 우승(1995-96, 1997-98, 2001-02)을 달성했다. 구단 유소년 아카데미에서는 나와프 알테미아트, 모함마드 알샬후브, 압달라 알주만, 아흐메드 알도키와 같은 국내 유망주들과 잠비아 출신 수비수 엘리야 리타나 등 뛰어난 선수들을 지속적으로 배출했다.

이 시기 알힐랄이 아시아 무대에서 거둔 성공은 이후 클럽의 정체성, 재정적 번영, 그리고 아시아 대륙 내에서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시작은 1991년으로, 이란의 에스테그랄 FC와의 결승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구단 역사상 첫 번째 아시아 대회 트로피인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후 알힐랄은 아시아 무대에서 꾸준히 강팀의 면모를 보였다. 1997년에는 아시안 컵위너스컵과 아시안 슈퍼컵에서 연달아 우승을 차지했다. 1999-2000 시즌에는 다시 한번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정상에 올랐는데, 일본의 주빌로 이와타를 상대로 89분에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하고 연장전 끝에 승리하는 명승부를 연출했다. 이 결승전은 대회 역사상 가장 흥미롭고 치열했던 경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같은 해 아시안 슈퍼컵에서도 우승했다. 이 시대 알힐랄이 확보한 마지막 아시아 타이틀은 2002년에 차지한 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이었다.[4]

2. 4. 2003-2011

21세기 초, 알힐랄과 알 이티하드의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는 사우디 축구에서 전례 없는 수준으로 격화되었다. 역사적으로 두 팀의 경기는 항상 격렬하고 열정적인 볼거리였으며, 리야드와 제다라는 사우디의 두 주요 도시를 연고로 하기에 많은 관중을 끌어모았다. 각 팀은 서로 다른 도시 배경과 가치를 대표했다. 알힐랄은 수도 리야드에 기반을 두고 전통적인 나지드 가치를 지니며 상류층과 중산층의 지지를 주로 받았고, 왕실의 관심도 받았다. 반면 알 이티하드는 항구 도시 제다에 기반을 두며 하류층과 중산층, 그리고 사우디 비거주자들의 지지를 받아 "국민 클럽"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시기 두 팀은 사우디 축구를 양분했다. 알힐랄은 2004–05, 2007–08, 2009–10, 2010–11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알 이티하드는 2000–01, 2002–03, 2006–07, 2008–09 시즌에 리그 정상에 올랐다. 이로 인해 두 팀은 10년 동안 단 두 시즌을 제외하고 거의 매 시즌 리그 우승과 준우승 자리를 번갈아 차지했다.

이 시대의 절정은 2007–08 시즌이었다. 시즌 내내 알 이티하드가 선두를 달렸고 알힐랄이 2위로 바짝 추격했다.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두 팀은 제다의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스타디움에서 맞붙었다. 알 이티하드는 최소한 무승부만 거두어도 홈에서 리그 우승을 확정할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이었다. 경기 초반 알 이티하드가 점유율과 공격 기회에서 앞섰지만 득점에는 실패했다. 후반 4분(49분), 아흐메드 알-프라이디의 크로스를 야세르 알-카타니가 헤더로 연결하여 골망을 흔들었고, 알힐랄이 1-0으로 앞서 나갔다. 알 이티하드는 동점 골을 넣기 위해 필사적으로 공격했지만, 골키퍼 모하메드 알-데아예아의 선방에 막혔다. 결국 경기는 알힐랄의 1-0 승리로 끝났고, 알힐랄은 원정 경기인 제다에서 극적으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은 야세르 알-카타니의 머리카락에 스치듯 맞고 들어간 결승골 때문에 شعره ياسر|슈아라 야시르ara(대략 "야세르의 머리카락") 리그로 불리기도 한다. 코스민 올라로이우 감독이 이끌던 알힐랄은 같은 해 사우디 왕세자 컵에서도 우승하며 더블을 달성했다.

2009-10 시즌 사우디 프로리그 우승을 자축하는 알힐랄 선수들


2009–10 시즌을 앞두고 에릭 게레츠가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했다. 게레츠 감독은 매우 공격적인 전술을 도입했으며, 기존의 재능 있는 국내 선수들과 함께 한국 국가대표 출신 수비수 이영표, 루마니아의 수비형 미드필더 미렐 러도이, 스웨덴 윙어 크리스티안 빌헬름손, 브라질 공격형 미드필더 치아고 네베스 등 수준급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했다. 이러한 국내외 선수들의 조화와 감독의 전술적 역량이 시너지를 발휘하며 알힐랄은 리그를 압도했고, 3경기를 남겨두고 일찌감치 우승을 확정했다. 같은 시즌 왕세자 컵에서도 우승하며 더블을 기록했다.

다음 2010–11 시즌에도 알힐랄의 지배력은 계속되었다. 하지만 2010 AFC 챔피언스 리그 준결승 탈락 이후 에릭 게레츠 감독은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맡기 위해 팀을 떠났다. 후임으로는 가브리엘 칼데론 감독이 부임했다. 칼데론 감독 체제 하에 알힐랄은 14개 팀으로 개편된 리그에서 19승 7무를 기록하며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알 에티파크 이후 사우디 리그 역사상 두 번째 무패 우승 기록이었다. 또한 왕세자 컵에서도 우승하며 2년 연속 더블을 달성했다.

2. 5. 대륙 무대에서의 고전 (2012-2018)

1999-2000 시즌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마지막으로 우승한 이후, 알힐랄은 자국 리그에서는 꾸준히 성공을 거두었지만 대륙 대회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보였다. 노쇠화된 선수단과 핵심 선수들의 이탈이 겹치면서 팀은 재건을 위한 과도기를 겪었다.

마지막 결승 진출 이후 14년 만인 2014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알힐랄은 다시 결승 무대를 밟았다. 상대는 오스트레일리아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였으나, 니시무라 유이치 심판의 다소 논란이 있는 판정(팬들의 주장) 속에 합계 1-0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5] 이 기간 동안 알힐랄은 2011–12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부터 2015–16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까지 5시즌 동안 리그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고 세 차례 준우승에 그쳤다. 다만, 크라운 프린스 컵 3회(2011-12, 2012-13, 2015-16), 킹스컵 1회(2015), 슈퍼컵 1회(2015) 등 총 5개의 컵 대회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016–17 시즌 초반 부진으로 구스타보 마토사스 감독이 경질되고 라몬 디아스 감독이 새로 부임했다. 디아스 감독은 점유율 기반의 공격 축구를 팀에 이식했고, 이는 기존 선수단의 잠재력을 끌어내는 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알 아흘리 사우디 FC에서 영입한 골키퍼 압둘라 알마이우프의 패스 능력과 좌우 풀백인 야세르 알샤흐라니, 모하메드 알브레이크의 공격 가담, 그리고 팀의 핵심으로 성장한 살렘 알다우사리 등이 디아스 감독의 전술 아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알힐랄은 리그에서 시즌 최다 승점을 기록하며 우승했고, 2017 킹 컵에서도 정상에 올랐다.

다음 시즌인 2017-18 시즌에도 알힐랄은 자국 리그 선두를 유지하며 2017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다시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 상대인 일본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를 만나 1차전에서 핵심 선수 카를로스 에두아르두가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당하고, 2차전에서는 오마르 르카르빈마저 부상으로 이탈하는 악재 속에 합계 1-2로 패배하며 또다시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결승 패배의 여파는 컸고, 팀은 다음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며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조별 리그 통과에 실패했다. 결국 라몬 디아스 감독은 2018년 2월 21일 경질되었고, 후안 브라운이 임시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의 15번째 리그 우승을 이끌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 6. 다시 쓰는 대륙 정복 역사 (2019-현재)

2018-19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는 리그 참가 팀이 16개로 늘어나고 외국인 선수 쿼터가 8명으로 확대되는 등 변화를 맞았다. 이 시기 고미스, 카리요, 조빈코 등이 조르제 제주스 감독 체제 하에 합류했다. 시즌 초반 9연승을 달리며 순항했으나, 2019년 1월 30일 구단주 교체와 함께 제주스 감독은 2018 사우디 슈퍼컵 우승과 리그 선두에도 불구하고 경질되었다. 이후 팀은 알 나스르에 승점 1점 차로 밀려 리그 준우승에 그쳤고, 2018-19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준우승, 2019 킹스컵 준결승 탈락 등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파하드 빈 나필이 새 회장으로 선출되고 라즈반 루체스쿠 감독이 부임했다. 대한민국 수비수 장현수와 콜롬비아 국가대표 구스타보 쿠에야르 등이 영입되었다. 알힐랄은 2019-20 시즌 내내 선두권을 유지하며 알 나스르와의 경쟁 끝에 승점 72점이라는 리그 신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알 힐랄 선발 11인


2019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16강에서 알아흘리를 합계 4-2로, 8강에서 지역 라이벌 알이티하드를 합계 3-1로 꺾었다. 준결승에서는 카타르의 강호 알 사드를 만나 원정에서 4-1 대승을 거두고 홈에서 2-4로 패했으나 합계 6-5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2017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 상대였던 일본의 우라와 레즈를 다시 만나 홈 1-0, 원정 2-0, 합계 3-0으로 승리하며 19년 만에 통산 3번째 아시아 정상에 올랐다. 고미스는 대회 득점왕과 MVP를 동시에 석권했다. 이어 2019-20 사우디 킹스컵 결승에서 알 나스르를 2-1로 꺾고 우승하며, 리그, AFC 챔피언스 리그, 킹스컵을 모두 제패하는 역사적인 트레블을 달성했다.

2021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조별 예선을 통과한 후, 16강에서 이란의 에스테글랄(2-0 승), 8강에서 같은 이란의 페르세폴리스(3-0 승)를 차례로 꺾었다. 준결승에서는 오랜 라이벌 알 나스르와의 역사상 첫 AFC 챔피언스 리그 맞대결이 성사되어 '세기의 경기'로 불렸다. 알힐랄은 이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당시 똑같이 통산 3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던 대한민국포항 스틸러스를 상대로 경기 시작 16초 만에 선제골을 넣는 등 압도하며 2-0으로 승리했다. 이 우승으로 알힐랄은 통산 4번째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대회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2021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했다. 첫 경기에서 개최국 알 자지라를 6-1로 대파했으나, 준결승에서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첼시에 0-1로 패배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022년 2월 9일 첼시를 상대하는 알 힐랄


2022년 2월 9일 첼시를 상대로 선발 출전하는 알 힐랄


2022년 9월, 알힐랄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에게 2년 계약에 2.42억유로를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6][7][8][9] 호날두는 이후 2023년 1월 라이벌 팀 알 나스르와 계약했다.

2023년 2월 모로코에서 열린 2022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하여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위다드 카사블랑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 플라멩구를 연달아 꺾고 아시아 클럽 최초로 결승에 진출하는 역사를 썼다.[10][11] 결승에서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인 유럽의 강호 레알 마드리드에게 3-5로 패배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12]

2022 AFC 챔피언스 리그는 AFC의 일정 변경(춘추제 → 추춘제) 결정으로 인해 2022년 4월 조별 예선 이후 2023년 2월에야 녹아웃 스테이지가 재개되었다. 알힐랄은 16강에서 아랍에미리트의 샤밥 알아흘리(3-1 승), 8강에서 이란의 풀라드(1-0 승)를 꺾었다. 준결승에서는 카타르의 알두하일을 상대로 오디온 이갈로의 4골을 포함, 7-0이라는 압도적인 대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다시 만난 우라와 레즈에게 합계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아시아 무대에서 우라와 레즈와 세 번의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서 맞붙으면서 라이벌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2023년 6월, 사우디아라비아 공공 투자 기금(PIF)이 클럽 지분 75%를 인수했다.[25] 같은 해 여름 이적 시장에서 알힐랄은 파리 생제르맹으로부터 브라질의 슈퍼스타 네이마르를 사우디 프로 리그 역대 최고 이적료인 9000만유로(추가 옵션 포함)에 영입하는 등 대대적인 선수 보강을 단행했다.[13][26] 칼리두 쿨리발리, 후벵 네베스,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말콤, 야신 부누,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등 유럽 리그에서 활약하던 정상급 선수들이 합류했다.

시즌 중 네이마르가 전방 십자인대 부상으로 이탈하자, 외국인 선수 쿼터에 헤낭 로지를 영입했다. 2024년 4월 11일, 알힐랄은 2023 사우디 슈퍼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알힐랄은 기존의 복잡한 3D 형태 엠블럼에서 벗어나 파란색과 흰색을 사용한 더 단순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의 새 로고를 발표했다. 새 로고는 세 개의 파란색 세로 줄과 초승달 문양으로 구성되며, 줄 사이의 여백 공간(네거티브 스페이스)을 활용하여 클럽 이름 '힐랄(Hilal)'을 뜻하는 'H'와 '사우디(Saudi)'를 의미하는 'S' 형상을 나타낸다.[14][16]

3. 경기장

알힐랄은 현재 사우디 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 위치한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경기장은 1987년에 건설되었으며, 총 67,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육상 경기와 축구 경기가 모두 가능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총 부지 면적은 50만 제곱미터에 달한다. 경기장은 킹 칼리드 국제공항담맘으로 향하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다.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의 지붕은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로 꼽히며, 전체 좌석을 포함하여 약 4만 7천 제곱미터의 면적을 덮고 있다. 직경 247m의 원형 구조를 24개의 기둥이 지지하고 있으며, 이 지붕은 강한 햇볕으로부터 관중석과 경기장을 보호하여 사막 기후 속에서도 비교적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알힐랄은 가끔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경기장에서도 홈 경기를 치른다. 이 경기장은 1969년에 건설된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경기장 중 하나이다.[27]

과거 2017년부터 2019-20 시즌까지 3시즌 동안은 리야드에 있는 사우드 대학교와 계약을 맺고 해당 대학교의 경기장을 임시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2022년 2월에는 알힐랄과 지역 라이벌인 알 나스르가 키디야(Qiddiya) 지역에 새로 건설될 경기장의 공동 임차인이 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이 경기장은 완공 시 40,000석 이상의 규모를 갖출 예정이며, 두 클럽의 새로운 홈 경기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키디야에 개발 중인 모든 스포츠 시설을 두 클럽이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17]

4. 라이벌 관계

알힐랄 SFC는 사우디 아라비아 축구계에서 여러 팀과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라이벌은 같은 리야드를 연고로 하는 알 나스르로, 두 팀의 경기는 리야드 더비로 불리며 사우디 축구에서 가장 중요한 경기 중 하나로 꼽힌다. 또한, 사우디 아라비아의 또 다른 주요 도시인 제다를 연고로 하는 알-이티하드와도 오랜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기는 사우디 엘 클라시코로 불린다.

국제 무대인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GCC 국가의 알 아인(아랍에미리트), 알 사드(카타르)를 비롯하여 이란페르세폴리스, 에스테그랄과 같은 팀들과 경쟁하고 있다. 동아시아 팀 중에서는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자주 만나는 일본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대한민국포항 스틸러스 등과도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18]

4. 1. 알 나스르 (리야드 더비)

알힐랄 SFC의 가장 큰 라이벌은 같은 지역을 연고로 하는 알 나스르이며, 두 팀 간의 경기는 리야드 더비라고 불린다. 두 팀은 지금까지 총 179번 맞붙었으며, 알힐랄이 72승 61패 45무로 상대 전적에서 앞서 있다. 알힐랄이 기록한 가장 큰 점수 차 승리는 2016-2017 시즌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에서 알 나스르를 5-1로 이겼을 때이다.

알 나스르와의 라이벌 관계는 알 이티하드와의 관계보다 더욱 치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알힐랄이 2014년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 진출했을 때, 알 나스르 팬들은 결승 2차전을 앞두고 상대 팀인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가 공항에 도착하자 그들을 맞이하며 응원하고, 알힐랄의 티켓 판매 계획을 방해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4. 2. 알 이티하드 (사우디 엘 클라시코)

알힐랄은 알-이티하드와도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전국 대회가 시작되면서 두 클럽은 사우디의 주요 도시인 리야드와 제다를 각각 대표하는 팀으로 여겨지며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들의 경기는 사우디 엘 클라시코라고 불린다.

두 팀 모두 아시아 무대에서 성공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다. 알힐랄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1991년, 1999-2000년, 2019년, 2021년에 총 4번 우승을 차지했다. 반면, 알-이티하드는 2004년과 2005년에 AFC 챔피언스 리그 2연패를 달성한 바 있다.

사우디 엘 클라시코에서의 상대 전적은 알힐랄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알힐랄은 62번 승리했고, 알-이티하드는 50번 승리했으며, 35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으로, 역대 최고 점수차 승리는 2009-10 시즌에 알힐랄이 알 이티하드를 상대로 거둔 5-0 승리이다.[18]

4. 3. 기타 라이벌

알힐랄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여러 팀과 경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GCC 국가 중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의 알 아인, 카타르의 알 사드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이란페르세폴리스, 에스테그랄과 같은 팀들과도 치열한 경기를 펼친다. 동아시아에서는 AFC 챔피언스 리그의 주요 경쟁자인 일본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대한민국포항 스틸러스를 상대로 경쟁 관계를 가지고 있다.

5. 선수단

현재 감독포르투갈 출신의 조르제 제주스이다.[19]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기준)

''2024년 9월 13일 기준''[30]

등번호국적포지션이름비고
3세네갈DF칼리두 쿨리발리
4사우디아라비아DF칼리파 알-다우사리
5사우디아라비아DF알리 알-불라이히
6브라질DF헤난 로디
7사우디아라비아MF칼리드 알-간남알에티파크에서 임대
8포르투갈MF후벵 네베스
9세르비아FW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10브라질FW네이마르
11브라질FW마르코스 레오나르두
12사우디아라비아DF야세르 알-샤흐라니
15사우디아라비아MF모하메드 알-카타니
16사우디아라비아MF나세르 알-다우사리
17사우디아라비아GK모하메드 알-루바이에
20포르투갈DF주앙 칸셀루
21사우디아라비아GK모함메드 알-오와이스
22세르비아MF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24사우디아라비아DF모테브 알-하르비
26사우디아라비아MF압둘렐라 알말키
28사우디아라비아MF모하메드 칸노
29사우디아라비아MF살렘 알-다우사리주장
31사우디아라비아GK하비브 알워타얀
32사우디아라비아DF무테브 알무파르리지
33사우디아라비아MF압둘라 알자이드
37모로코GK야신 부누
39사우디아라비아MF모함메드 알자이드
40사우디아라비아GK아흐메드 아부 라센
43사우디아라비아MF무사브 알주와이르
44사우디아라비아MF수하이브 알자이드
45사우디아라비아MF파이살 알아스마리
56사우디아라비아MF모함메드 알카흐타니
70사우디아라비아DF모함메드 자흐팔리
77브라질MF말콤
87사우디아라비아DF하산 알-탐바크티
88사우디아라비아DF하마드 알-야미
96브라질FW미샤에우
99사우디아라비아FW압둘라 알-함단



'''감독'''

5. 2. 임대 선수 명단

wikitext

번호국적포지션이름임대 구단
15브라질MF마테우스 페레이라크루제이루
18사우디아라비아MF무사브 알주와이르알샤밥
26사우디아라비아MF압둘레일라 알말키알에티파크
40사우디아라비아GK아흐마드 아부 라센네옴
42사우디아라비아DF무아트 파키히알타아원
44사우디아라비아MF수하이브 알자이드알-파테
49사우디아라비아FW압둘라 라디프알에티파크
57사우디아라비아MF나세르 알하드후드알라에드
58사우디아라비아DF모하메드 바르나위알-오로바
60사우디아라비아GK아흐메드 알주바야알카디시아
88사우디아라비아DF하마드 알야미알샤바브
사우디아라비아MF압둘라 알자이드네옴
사우디아라비아MF모하메드 알자이드알-부키리야



2024년 9월 2일 기준[19]

6. 경영진

직책이름
회장파하드 나필 알-오타이비
부회장술리만 알하틀란
이사회 구성원압둘마지드 알하그바니
최고 경영자에스테베 칼자다
사무총장사미 아부 후다이르
재무타메르 알-타산
팬 용품 이사라시드 알-안잔
법률 담당 이사타메르 알-자세르
시설 개발 및 유지 관리 이사바드르 알-마유프
기타 스포츠 이사이브라힘 알-유세프
유소년 축구 이사압둘라티프 알-호사이니
투자 구역 이사압둘라 압둘-자바르



다음은 1957년 창단 이후 알 힐랄 SFC의 회장 목록이다.[20]

이름시작종료챔피언십 (공식)
압둘라만 사이드195719653
압둘라만 알-함단19651966×
압둘라만 사이드19661970×
파이살 알-셰하일19701972×
압둘라 나세르19721976×
하즐룰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197619781
압둘라 나세르197819822
하즐룰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198219831
압둘라 사드198319909
압둘라만 사이드199019921
모하마드 무프티199219931
압둘라 사이드19931994×
칼리드 모하마드199419964
반다르 모하마드199720009
사우드 투르키200020036
압둘라 무사아드200320041
모하마드 파이살200420087
압둘라만 무사아드200820157
모하마드 알-호마이다니 (임시)201520151
나와프 사드201520184
사미 알-자베르201820181
모하마드 파이살20182019×
압둘라 알-자르부 (임시)20192019×
파하드 나필 알-오타이비2019현재12


7. 역대 감독

wikitext

감독임기
마리우 자갈루1976~1978, 2000~2001
라디슬라오 쿠발라1982~1986
조엘 산타나1987~1990
세바스치앙 라자로니1992~1993
넬시뉴1993~1994
조제 오스카 베르나르디1993~1995, 1997
빌렘 판 하네겜1995~1996
로리 산드리1999
앙헬 요르더네스쿠1999~2000
사페트 수시치2001~2002
아르투르 조르즈2001~2002
아드 데모스2002~2004
조제 페세이루2006~2007
토니뉴 세레주2007
마르코스 파케타2007
코스민 올러로이우2007~2009
에릭 헤러츠2009~2010
가브리엘 칼데론2010~2011
토마스 돌2011~2012
이반 하셰크2012
앙투안 콩부아레2012~2013
사미 알자베르2013~2014
라우렌치우 레게캄프2014~2016
라몬 디아스2016~2018, 2022~2023
조르즈 제주스2018~2019, 2023~
조란 마미치2019
페리클레스 샤무스카2019
러즈반 루체스쿠2019~2021
호제리우 미칼리2021
조제 모라이스2021
레오나르두 자르딤2021~2022


8. 수상

알힐랄 SFC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내 리그와 아시아 무대에서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 올린 명문 클럽이다.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에서는 통산 19회 우승하여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국제 대회에서는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4회 우승하며 아시아 클럽 축구 최강자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는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이다. 또한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202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3]

2009년 9월에는 IFFHS로부터 '20세기의 베스트 아시아 클럽'으로 선정되기도 했다.[24]

자세한 대회별 수상 내역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8. 1. 국내 대회

알 힐랄 SFC의 국내 대회 수상 내역
대회우승우승 시즌준우승
프로 리그191976–77, 1978–79, 1984–85, 1985–86, 1987–88, 1989–90, 1995–96, 1997–98, 2001–02, 2004–05, 2007–08, 2009–10, 2010–11, 2016–17, 2017–18, 2019–20, 2020–21, 2021–22, 2023–241979–80, 1980–81, 1982-83, 1986-87, 1992–93, 1994–95, 1996–97, 2005–06, 2006–07, 2008–09, 2012–13, 2013–14, 2015–16, 2018–19
킹스컵111961, 1964, 1980, 1982, 1984, 1989, 2015, 2017, 2019–20, 2022–23, 2023–241963, 1968, 1977, 1981, 1985, 1987, 2010, 2021-22
크라운 프린스 컵131963–64, 1994–95, 1999–00, 2003, 2004–05, 2005–06,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5–161997-1998, 2013–14, 2014–15
슈퍼컵52015, 2018, 2021, 2023, 20242016, 2020
연맹컵71986–87, 1989–90, 1992–93, 1995–96, 1999–2000, 2004–05, 2005–061985-1986, 2001-2002, 2003-2004, 2007-2008, 2009-2010
파운더스컵11999–2000-


8. 2. 국제 대회


  • '''FIFA 클럽 월드컵'''
  • * 준우승 (1): 2022[23]
  • * 4위 (1): 2005
  • '''AFC 챔피언스 리그''' ('''최다 우승''')
  • * '''우승 (4)''' : 1991, 1999-2000, 2019, 2021
  • * 준우승 (5) : 1986, 1987, 2014, 2017, 2022
  • '''아시안 컵위너스컵'''
  • * '''우승 (2)''' : 1997, 2002
  • '''아시안 슈퍼컵'''
  • * '''우승 (2)''' : 1997, 2000
  • * 준우승 (1) : 2002
  • '''걸프 클럽 챔피언스컵'''
  • * '''우승 (2)''' : 1986, 1998
  • * 준우승 (3) : 1987, 1992, 2000
  •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
  • * '''우승 (2)''' : 1994, 1995
  • * 준우승 (3) : 1989, 2018–19, 2023
  • '''아랍 컵 위너스 컵'''
  • * '''우승 (1)''' : 2000
  • '''아랍 슈퍼컵'''
  • * '''우승 (1)''' : 2001
  • * 준우승 (2) : 1992, 1995
  • '''사우디-이집트 슈퍼컵'''
  • * '''우승 (1)''' : 2001

8. 3. 개인

'''아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

'''아시아 세기의 골키퍼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 선정)'''

'''아랍 올해의 축구 선수'''

순위선수국적
1살렘 알다우사리사우디아라비아27
2사미 알자베르사우디아라비아23
3바페팀비 고미프랑스20
4야세르 알카흐타니사우디아라비아18
5모하마드 알샬후브사우디아라비아13
압둘라 알자만사우디아라비아
7카를루스 에두아르두브라질12
8나세르 알샴라니사우디아라비아11
9유세프 알투나얀사우디아라비아10
오마르 크르빈시리아


9. AFC 클럽 랭킹

AFC의 공식 랭킹이다.[29]

''2017년 10월 22일 기준''

순위구단
1알힐랄
2전북 현대 모터스
3알아흘리
4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5가시마 앤틀러스


참조

[1] 웹사이트 Saudi Arabia's PIF takes over Al-Ittihad, Al-Nassr, Al-Hilal and Al-Ahli https://www.bbc.com/[...] 2023-06-06
[2] 웹사이트 IFFHS https://www.iffhs.co[...] 2023-07-20
[3] 웹사이트 The story of Al-Hilal Foundation http://www.alhilal.c[...] 2009-05-30
[4] 웹사이트 Asian Club Championship Flashback: Al Hilal v Jubilo Iwata (1999–2000) https://www.the-afc.[...] 2022-06-08
[5] 웹사이트 Western Sydney Wanderers win Asian Champions League title https://www.theguard[...] 2014-11-02
[6] 웹사이트 Cristiano Ronaldo turns down 242 million euros from Saudi Arabian side Al Hilal https://www.marca.co[...] 2022-09-13
[7] 웹사이트 Cristiano Ronaldo: Chief of Saudi Arabia's football federation wants superstar to join league https://www.middleea[...] 2022-09-13
[8] 웹사이트 Kante not accepting Chelsea contract offer, Rashford parts with agency ally, UEFA knew of Russia friendly https://theathletic.[...] 2022-09-12
[9] 웹사이트 Cristiano Ronaldo receives bumper offer from Saudi Arabian club https://theathletic.[...] 2022-07-15
[10] 웹사이트 Al-Hilal beats Wydad to reach Club World Cup semifinals https://apnews.com/a[...] 2023-02-09
[11] 웹사이트 Al-Hilal shock Flamengo with 3–2 win in Club World Cup semifinal https://edition.cnn.[...] 2023-02-09
[12] 웹사이트 Real Madrid5 Al-Hilal 3 https://www.bbc.com/[...] 2023-02-21
[13] 뉴스 Neymar joins Saudi club Al-Hilal from PSG in two-year deal https://www.reuters.[...] 2023-09-10
[14] 웹사이트 Al Hilal Reveal New Logo - Complete Redesign https://www.footyhea[...] 2023-04-03
[15] 웹사이트 📸{{!}} #AlHilalVsAlNassr #MBS_ProLeague 12th Round #AlHilal https://twitter.com/[...] 2023-04-03
[16] 웹사이트 Saudi Arabia's Al-Hilal debut new brand identity https://www.arabnews[...] 2023-09-29
[17] 웹사이트 Al Nassr & Al Hilal sign one of the region's largest strategic partnerships valued at SAR100 million per club annually with Qiddiya https://qiddiya.com/[...] 2022-05-31
[18] 웹사이트 Al Hilal vs Al Ittihad – Saudi Arabia Pro League Head to Head (H2H) Statistics and Match Preview http://www.soccerpun[...] 2016-11-21
[19] 웹사이트 اللاعبون https://alhilal.com/[...] Al Hilal SFC 2023-07-21
[20] 웹사이트 Presidents – Al Hilal Saudi Club: The Official Website http://www.alhilal.c[...] 2017-01-04
[21] 뉴스 Inside Riyadh's Kingdom Arena, Saudi Arabia's new sports and entertainment centre https://www.thenatio[...] 2024-02-02
[22] 웹사이트 Saudi Arabia's PIF takes over Al-Ittihad, Al-Nassr, Al-Hilal and Al-Ahli https://www.bbc.com/[...] 2023-06-06
[23] 웹사이트 アルヒラルが南米王者を撃破、クラブW杯決勝進出!! 前半に数的不利に陥ったフラメンゴは反撃及ばず https://web.gekisaka[...] 2023-02-08
[24] 웹사이트 IFFHS HISTORY : CONTINENTAL CENTURY CLUBS (1900-1999) https://www.iffhs.co[...] 2024-08-01
[25] 웹사이트 PIF takes ownership of four Saudi Pro League clubs as Aramco, Neom, Driyah Gate and Royal Commission for Al-Ula also buy in https://www.sportspr[...] 2023-06-06
[26] 웹사이트 ネイマールのサウジ移籍決定! アル・ヒラルと2年契約を締結、給与は最大580億円超か https://www.soccer-k[...] 2023-08-16
[27] 문서 알・ヒラルを始め、[[アル・ナスルFC]]などリヤドを本拠地とするチームとの共用。
[28] 웹인용 Prince Faisal bin Fahd Stadium https://akhbaar24.ar[...]
[29] 웹인용 Asia Football / Soccer Clubs Ranking http://footballdatab[...]
[30] 웹인용 اللاعبون https://alhilal.com/[...] Al Hilal SFC 2023-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